KR20240082638A -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638A
KR20240082638A KR1020220166470A KR20220166470A KR20240082638A KR 20240082638 A KR20240082638 A KR 20240082638A KR 1020220166470 A KR1020220166470 A KR 1020220166470A KR 20220166470 A KR20220166470 A KR 20220166470A KR 20240082638 A KR20240082638 A KR 2024008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flower pot
supply modul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기 김
Original Assignee
한 기 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기 김 filed Critical 한 기 김
Publication of KR2024008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2Adding fertiliser to wate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모듈과 이러한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모듈의 물공급챔버(18)는 화분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화분에 담겨진 흙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매우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어 식물재배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급수모듈의 양측에 바닥(300)과 측벽부분(400)을 조립시켜서 된 것이므로 별도의 급수기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물주기를 실시할 수 있어 식물재배를 보다 더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A prefabricated pot equipped with such a water supply module}
본 발명은 토양재배에 적합한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을 각종 식물 재배용 화분에 담겨진 흙의 중심부를 향하여 보다 원활하게 공급해줄 수 있는 급수모듈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토양재배에서 흙의 역할은 물과 공기, 비료를 머금었다가 식물의 뿌리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뿌리를 지지해서 식물이 쓰러지지 않게 해주는 것이다.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부족한 건조 상태에서는 뿌리의 모세 근부터 말아죽기 시작하게 된다.
반대로 과습인 경우에는 수분자체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수분이 흙 속에서 공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산소의 부족으로 식물의 뿌리가 썩어 들어가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의 뿌리는 적당한 수분과 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식물재배에 매우 중요하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25006호에 개시되어 있는 식물재배용 용기는 재배조에 제공되는 물의 량이 많아서 넘치는 물이 식물재배용기의 상부 벽에 천공된 구멍으로 배출되어 외벽으로 흐르는 물이 날개에서 차단되고 날개 내측으로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되어 저수조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재배 용기는 용기에 담겨진 흙의 겉흙 쪽으로 물을 공급하고 넘쳐서 저수조에 담겨지는 물을 심지를 통해서 흡수하여 용기에 담겨진 흙의 밑 쪽으로 공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용기 흙의 중심부까지 수분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의 물을 겉흙 쪽으로 공급해야만 하므로 물 넘침이 발생하여 용기의 외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었고, 이 넘치는 물을 저수조에 수용시켜 다시 심지를 통해서 흙밑쪽으로 공급해준다고 하더라도 용기 흙의 중심부에 까지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 실직적으로 미흡하게 되어서 겉흙이 흠뻑 젖을 정도로 자주 물주기를 해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과습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기마다 물 공급을 각각 해주어야만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재배용기에 동일량의 물을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었을 뿐만 아니라 물 주기를 할 때 물의 유실량이 많아지고 인력과 시간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 -2013-0119091호에 개시되어 있는 행사용 이동식 화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27665호에 개시되어 있는 식물재배용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5816호에 개시되어 있는 야외용 식물재배장치 등 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흙의 중심부까지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해줄 수 없었다.
특히, 겉흙이 흠뻑 젖을 정도로 물주기를 반복하는 경우 겉흙의 밀도가 높아져서 뿌리 쪽으로 산소를 공급해주는 공극이 크게 감소되기 마련이므로 단단해진 겉흙을 별도로 관리해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뿌리가 쉽게 썩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여러 개의 화분에 동시에 물주기를 할 수 없는 것이어서 화분마다 각각 물주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기 때문에 식물재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없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37934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17-0034417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화분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18-0148919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화분,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19-0057401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화분 등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분에 담겨진 흙의 중심부까지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해줄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물을 화분에 담겨진 흙의 중심부를 향하여 직접 공급해줄 수 있고 비료를 화분에 담겨진 흙의 겉흙 위로 공급해 줄 수 있으며 한 화분으로부터 인접한 여러 개의 화분에 동일량의 물을 동시에 공급해줄 수만 있다면 앞에서 설명한 종래기술 등의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소시켜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식물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모듈이 화분의 중앙부를 이루고 급수모듈의 양측에 바닥과 측벽부분이 조립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모듈이 화분과 일체화 되는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양측벽체와 전후 벽체로 이루어진 물공급챔버를 포함하는 급수모듈의 상기 양측벽체에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 수단과 대응하는 조립수단이 구비된 바닥과 측벽부분이 상기 물공급챔버의 양측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급수모듈이 화분의 내부 위치되는 것으로서, 물을 화분에 담겨진 흙의 중심부를 향하여 매우 원활하게 공급시켜 줄 수 있는 것이므로 겉흙위로 물주기를 해왔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물 공급주기를 연장시켜 주고 잦은 물주기에 의한 과습에 의한 피해를 방지해 줄 수 있고, 비료를 화분의 겉흙위로 정량 공급하여 식물성장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급수모듈에 대하여 동일량의 물을 공급시켜 줄 수 있어 물주기 작업의 인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식물재배를 보다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물의 사용량과 유실을 크게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포장, 뮬류 비용의 절감은 물론 급수모듈의 양측에 바닥과 측벽 부분을 조립시켜서 된 것 이기 때문에 조립식 화분에 별도의 급수기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식물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재배 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화분의 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의 한 실시 예를 보인 평면 일부 전개도.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은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도록 막혀진 바닥(10)과 양측벽체(12) 및 전후 벽체(14) 그리고 개구부(16)가 상부에 형성된 물공급챔버(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물공급챔버(18)의 전후 벽체(14)의 양측부에는 마개(20)로 개폐되거나 플랜지(22)를 중앙에 가진 연결관(24)이 결합되는 물 유입관(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챔버(18)의 양측벽체(12)와 바닥(10)이 접하는 하단부 쪽에는 여러 개의 물토출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챔버(18)의 바닥(10)중앙에는 지주삽입용 또는 상부 물 공급용 중공관체(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챔버(18)의 상부 전후방 쪽에는 비료를 공급해주는 비료공급챔버(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료공급챔버(34)는 막혀진 바닥(36)과 격벽(37)으로 상기 물공급챔버(18)와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바닥(36)의 양측에는 비료토출슬리트(3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39)에서 상기 물공급챔버(18)의 깊이는 도 3에 잘 표현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분(40)에 담겨진 흙(42)의 중심부에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고, 상기 비료공급챔버(34)의 깊이는 화분(40)에 담겨진 흙(42)중 겉흙(44)과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어서 물(46)을 화분(40)에 담겨진 흙(42)의 중심부를 향하여 바로 공급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겉흙(44) 위로 물주기를 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량의 물로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증발과 겉흙(44)의 경화에 따른 산소부족 현상을 방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비료 공급챔버(34)의 비료토출슬리트(38)를 통해서 공급되는 비료(48)는 겉흙(44)쪽에서 점차 식물의 뿌리 쪽으로 스며들게 되어서 식물의 성장을 돕게 된다. 상기 물공급챔버(18)의 양측벽체(12)에는 오버플로우(50)가 형성되어 있어 물(46)이 비료공급챔버(34)쪽으로 넘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오버플로우(50)를 초과하는 경우 화분(40)의 흙(42)쪽으로 유입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39)의 물공급챔버(18)는 도 2에 잘 표현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분(40)에 상기 물공급챔버(18)의 물유입관(26)을 다른 급수모듈의 물공급챔버와 연결관(24)으로 연결시켜 주는 경우 여러 화분에 동시에 동일한 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물주기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챔버(18)와 비료공급챔버(34)는 덮개(19,35)를 이용하여 각종 이물질의 유입과 증발방지를 도모해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은 도 1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모듈(39)이 화분의 중앙부를 이루고 급수모듈(39)의 양측에 바닥과 측벽 부분이 조립될 수 있도록 급수모듈(39)이 화분과 일체화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립식 화분은 물공급챔버(18)를 포함하는 급수모듈(39)이 화분의 중앙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급수모듈(39)의 물공급챔버(18)에 요입부(120)와 돌출부(122)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을 형성시키고, 상기 요입부(120) 및 돌출부(122)와 대응하는 요입부(220)와 돌출부(222)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이 형성된 바닥(300)과 측벽부분(400)을 상기 급수모듈과 조립시켜 만들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들의 형태는 구체적인 예시가 생략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분(400)에는 지주나 적층용 연결구가 끼워맞춤되는 중공부(60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은 화분의 형태를 이루는 바닥, 측벽 부분들을 단순히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것에 불과 했던 종래의 조립식 화분에 비하여 식물재배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10…막혀진 바닥 12…양측벽체
14…전후벽체 16…개구부
18…물공급챔버 20…마개
24…연결관 26…물유입구
28…몰토출구멍 30…플랜지
32…지주삽입용중공관체 34…비료공급챔버
38…비료토출슬리트 39…급수모듈
40…화분 42…흙
46…물 50…오버플로우
112…양측벽체 300…바닥
400…측벽부분

Claims (2)

  1. 조립식 바닥과 측벽부분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분에 있어서, 물공급챔버(18)가 막혀진 바닥(10)과 양측벽체(12) 및 전후 벽체(14) 그리고 개구부(1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후 벽체(14)의 양측부에는 마개(20)로 개폐되거나 연결관(24)이 삽입되는 물유입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10)의 양측에는 물토출구멍(28)이 형성되어 있는 급수모듈(39)의 양측에 바닥(300)과 측벽부분(400)들이 조립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듈(39)에는 물공급챔버(18)의 상부 전후방 쪽에 비료토출슬리트(38)를 가진 비료공급챔버(3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1020220166470A 2022-12-02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2024008263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638A true KR20240082638A (ko) 2024-06-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351B2 (en) Molded body for improving cultivation conditions for plants
US10701874B2 (en) Pot flower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200207813Y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20240082638A (ko) 급수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200207920Y1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KR20180079237A (ko) 식물재배용 화분
WO2018042570A1 (ja) 栽培装置、壁面緑化システム及び養液循環方法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CN210987252U (zh) 一种自动施肥花卉栽培装置
JPH0410757Y2 (ko)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227599Y1 (ko) 조경용 화분
CN216960899U (zh) 一种组合式水稻育秧盆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CN212487454U (zh) 一种可自动吸水的花盆
JP3084717U (ja) 植木鉢
JP3000999U (ja) 植物栽培容器
KR20010099373A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JP6705795B2 (ja)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KR200317161Y1 (ko) 난초용 화분
KR910008027Y1 (ko) 화분자동급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