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247A -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247A
KR20240082247A KR1020230172430A KR20230172430A KR20240082247A KR 20240082247 A KR20240082247 A KR 20240082247A KR 1020230172430 A KR1020230172430 A KR 1020230172430A KR 20230172430 A KR20230172430 A KR 20230172430A KR 20240082247 A KR20240082247 A KR 2024008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il
unit
electromagnets
electro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트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트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트윅
Priority to PCT/KR2023/0197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117867A1/ko
Publication of KR2024008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동전자기장을 이용하는 다양한 치료기기에 있어 치료의 핵심 부품인 자기장 발생부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코일 전자석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자성 물질의 내외 플레이트가 적용된 자기장 발생 모듈을 구비하고 이러한 자기장 발생 모듈을 다시 수평 또는 수직의 공간에 중심축을 맞추어 배치하여 타측 자기장 발생 모듈 간의 인력 및 척력을 통해 저전력으로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하는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Device for Generating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맥동전자기장을 이용하는 다양한 치료기기에 있어 치료의 핵심 부품인 자기장 발생부로서 2개 이상의 코일 전자석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자성 물질의 내외 플레이트가 적용된 자기장 발생 모듈(Module)을 구비하고, 이러한 자기장 발생 모듈을 다시 수평 또는 수직의 공간에 중심축을 맞추어 배치하여 타측 자기장 발생 모듈 간의 인력 및 척력을 통해 저전력으로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하는 맥동전자기장 치료기의 전자석 장치 및 그 전자석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침습 치료법 중에 하나인 맥동전자기장 치료(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는 그 치료 기전이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지면서 많은 치료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에서 설명된 메커니즘과 같이 일정한 저주파 펄스(Pulse) 형태로 맥동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을 생성하여 세포에 인가하면 세포막(Cell Membrain)의 특정 부위에서 탈분극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혈액의 Ca2+ 이온이 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세포질(Cytoplasm) 내부의 산화질소(NO)를 증가시키며 증가된 산화질소(NO)로 인해 세포핵(Nucleus)의 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고리형 구아노신 일인산)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세포(Cell) 및 조직(Tissue)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즉, 맥동전자기장을 통해 세포에 미세 전류가 발생하면 세포의 산소 및 미네랄의 흡수율이 증가하고 세포내의 독소가 감소하여 세포의 신진대사(Metabolism)가 활성화되는 것이 다수의 여러 연구 논문을 통해 확인되었고 실제 골형성 촉진과 부종, 통증 감소의 임상 효과로 인해 다수의 상처 및 통증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맥동전자기장을 적용한 대다수의 치료기들은 전자기장 발생을 위해 루프(Loop)형 코일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원거리까지 자력 전달이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코일에 고전력을 투입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크기가 커져 휴대가 어려워 개인용 치료기로 응용되기에 한계가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설명된 MBST社 제품은 Hemholtz Coil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어 루프 코일의 직경이 D인 경우 D/2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루프 코일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 기기의 크기가 커지고 코일의 중심 부분까지 충분한 자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고(高)전력이 필요하여 전류 제어를 위한 비교적 큰 제어 시설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Medtec社 제품 역시 루프형 코일 형태를 적용하고 있어 전자기장 발생부의 크기가 크고 고전력의 파워가 필요하며 평면 2차원 배치 형태로 인해 입체적인 자력 전달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SE Therapies社의 제품은 단일 전자기장 발생 모듈을 적용하여 코일간의 상호 작용이 없으며 원거리 자력 전달을 하기 위해 다수의 코일을 나선형으로 조합하다 보니 크기가 커지고 고전력이 필요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종래의 선행 특허 기술에서는 단일 코일 전자석 모듈을 방사형으로 다수 배치하여 타측의 전자석 모듈과의 인력을 유도하는 기술을 제안하였으나 원거리에 이격된 타측 전자석과의 인력을 유도하기 위해 비교적 큰 전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들을 다시 정리하면 루프(Loop) 형태의 코일을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기 큰 형태이며 원거리 자력 전달을 위한 고전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제어 장치의 용량 및 크기가 커지게 되어 휴대가 용이한 개인용 치료 기기로의 응용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하나의 코일 전자석을 적용한 모듈의 경우에도 원거리에 위치한 타측 전자석 모듈과의 인력을 유도하기 위해 비교적 큰 전력이 필요하여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역시 커지게 된다.
한편 맥동전자기장(PEMF)은 맥동전자기장을 환부에 인가하여 세포의 재생과 염증을 돕는 치료법으로 1979년 부정유합과 관련된 골절치유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 이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임상 진행 및 연구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질병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예: 치료 용도는 근육통, 골다공증, 관절염 등). 또한 자력은 일정한 펄스 형태로 환부에 인가되고 보통 수에서 수백 mT의 강도를 가지며 수백Hz 이하의 주파수 형태를 띤다.
기존의 맥동전자기장 치료기기에 적용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부는 코일을 루프와이어 형태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거리에 따라 자력이 급격이 감소하고 원거리까지 자력 전달을 위해 큰 용량의 전력이 필요하다. 여러 구리(copper) 코일을 감아 전류를 인가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력(F)을 활용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높은 전력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제어부의 크기가 커지고 제품의 크기 역시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맥동전자기장 치료기기에 적용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부는 코일을 루프와이어 형태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자기장이 코일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발생하게 된다. 치료하려는 부위가 원거리에 위치한 조직의 경우는 문제 없으나 피부와 같이 근거리에 위치한 조직을 치료 목적으로 할 경우 자력의 발생 부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얼굴 피부 조직의 재생을 위해 해당 치료법을 적용할 경우 불필요한 자기장이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런데 기존 기술에서는 루프와이어 코일 형태이기 때문에 자력의 발생 범위를 제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맥동전자기장은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여 자력을 변경한다. 즉, 코일의 저항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압의 강도와 주파수를 조절하여 전류량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자기장(B)의 강도 및 주파수 역시 변경되어 다양한 파형을 유도할 수 있다. 자기장의 강도 및 파형에 따라 다양한 치료 효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한 논문 "Veterinary application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James S. Gaynora, Sean Hagbergb, Blake T. Gurfeinc, 2018을 보면, 파형의 경우 골성장자극기에서 제안된 디지털 형태의 A 파형으로 200us 및 20us 간격으로 5ms간 파열되는 파형이 15Hz 간격으로 반복되는 비대칭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5V/m의 전기장(E)을 전달한다. 또 아날로그 형태의 B 파형의 경우는 부종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7.12MHz 간격으로 2ms간 파열되는 단파형이 2Hz 간격으로 반복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0V/m의 전기장(E)을 전달한다. 이처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에 따라 원거리에 전달되는 전기장(E)과 자기장(B)의 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으로 원거리에 자력을 전달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자력의 극성방향이 일정한 간격으로 에너지 손실 없이 교번해야 하는데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존 방법은 전압 변화를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코일의 역기전력으로 인해 코일에서 열이 발생하고 에너지 소모가 발생한다. 즉,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맥동전자기장을 이용하는 치료기에서는 다수의 자기장 발생부를 가질 수 있다. 맥동전자기장을 발행하는 회로 구성은 회로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 H-브릿지나 DAC(Digital Analog Converter)와 같이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자력극성제어부, DC/DC, BMS, OP AMP와 같이 소비전력을 증폭하여 극성제어부에 제공하는 전원부, 자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로 구성된 전자기장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생하는 자기장이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자기장 발생부를 사용하고 발생하는 자력간 상호 중첩 및 상쇄의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라면 자기장 발생부의 씽크(Sync)를 맞추는 것이 유리하다.
기존 기술에서는 CPU와 마이콤(Micom)과 같은 제어부가 다수의 자기장 발생부를 제어하는 방식이라 자기발생부간 씽크가 맞지 않아 비동기 구간이 발행하며 이로 인해 자기장 발생부간 중첩 및 상쇄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실 예로 4개의 자력발생부를 하나의 Micom이 제어하면 인접하는 자력발생부간 자력 발생 시간차(비동기 구간)는 수ms 이상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5096호(2017.01.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8795호(2017.08.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6120호(2021.08.30)
논문: "Veterinary application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 James S. Gaynora , Sean Hagbergb , Blake T. Gurfeinc,20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맥동전자기장을 이용하는 다양한 치료기기에 있어 치료의 핵심 부품인 자기장 발생부로서 2개 이상의 코일 전자석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자성 물질의 내외 플레이트가 적용된 자기장 발생 모듈(Module)을 구비하고 이러한 자기장 발생 모듈을 다시 수평 또는 수직의 공간에 중심축을 맞추어 배치하여 타측 자기장 발생 모듈 간의 인력 및 척력을 통해 저전력으로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하는 맥동전자기장 치료기의 전자석 장치 및 그 전자석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맥동전자기장(PEMF) 치료기에 적용 가능한 맥동전자기장 발생 모듈(혹은 장치, 소자 등)로서 페어형 전자석을 이용한 원거리 자력 전달 및 자기장 발생 영역을 제어할 수 있고, 다층 PCB 패턴을 이용한 페어형 전자석 유닛 즉 장치를 구성하며,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을 구성하고, 영구자석 회전을 통한 맥동자기장 발생 유닛을 구성하며, 전압제어 주파수, 트리거 스위치를 활용한 맥동전자기장 동기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전자기장 발생 모듈(혹은 유닛, 장치, 소자, 부품 등)은, 코일 전자석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전자석 유닛을 의미하며,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코일 전자석의 척력과 인력을 작용시켜 자력을 기준값을 초과하는 원거리의 지정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전자석은, 원통 프레임에 감기는 코일 권선, 상기 코일 권선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 권선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지정 방향으로 전달하는 쌍(pair) 형태의 강자성체 코어, 상기 강자성체 코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강자성체 코어로부터 전달되는 자력을 상기 원거리의 지정 거리까지 전달하는 강자성체의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강자성체 코어의 타측에 구비되어 복수 형태의 강자성체 코어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일측 플레이트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의 타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코일 전자석 사이에 자력의 방향이 정해진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일측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 형태의 강자성체 코어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지정 간격을 두고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강자성체 코어의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일측 플레이트에 대면해 하나의 프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맥동전자기 발생부는, 상기 자력을 상기 원거리의 지정 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지정 주파수 및 진폭을 갖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맥동전자기 발생부는, 적어도 2개의 전자석 유닛을 포함하며, 2개의 전자석 유닛에서 각각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자력을 상기 원거리의 지정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코일 전자석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코일 전자석과의 척력을 이용하여 보다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발생 모듈의 구동방법은, 타측 또는 이웃한 전자기장 발생 모듈과의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는 시발점을 맞추기 위해 복수의 코일 전자석의 극성을 설정하는 단계, 전체 코일 전자석의 동작 시점과 중지 시점을 트리거 스위치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코어(core)에 코일이 권선되는 형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F)을 조절하는 전자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 유닛은, 한 쌍의 제1 코일 전자석과 제2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자석 유닛, 및 한 쌍의 제3 코일 전자석과 제4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3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4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간에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자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자기적 극성을 변경하며, 상기 자기적 극성을 교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전극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을 동시에 턴온시키고 턴오프시키는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에서 각각 분리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은 다층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patter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은, 전자석 유닛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는 형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F)을 조절하는 단계, 및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이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한 쌍의 제1 코일 전자석과 제2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전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한 쌍의 제3 코일 전자석과 제4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전자석 유닛이, 상기 제3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4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간에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전극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자기적 극성을 변경하며, 상기 자기적 극성을 교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을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가,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을 동시에 턴온시키고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에서 각각 분리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은 다층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patter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맥동전자기장에 적용되는 전자기장 발생 모듈의 크기 및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여 치료 기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코일 전자석의 동작 시점과 중지 시점을 일치시켜 복수의 코일 전자기장 발생 모듈의 상호 작용하는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맥동전자기장에 의한 세포활성화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MBST社(A), Medtec社(B), SE Therapies社(C)의 맥동전자기장을 적용한 치료기기 및 기기 내부의 루프 코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제안된 코일 전자석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2개의 코일 전자석으로 구성된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복수의 코일전자석 사이에 영구자석(223)이 적용된 단면도,
도 7은 복수의 코일 전자석으로 구성된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복수의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3차원 배치시 자력 흐름 예시도,
도 9는 코일 전자석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회로 로직도,
도 11은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척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 12는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인력 발생에 다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 13은 다수의 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전자석 유닛의 척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전자석 유닛의 인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 패턴형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독립형 통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일체형 통전 패턴(항상 같은 극성 유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일체형 통전 패턴(항상 다른 극성 유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각 층별 통전 패턴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의 개념도,
도 24는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
도 25는 영구자석 회전을 통한 맥동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개념도,
도 26은 인클로저를 적용한 맥동 전자기장 제한 개념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 파형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발생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29는 트리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회로 로직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거나,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과 결합 또는 접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고, 예컨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전자기장 발생부(200)는 전자석 유닛(201), 전극 제어 유닛(202), 전력 제어 유닛(203),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20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전자석 유닛(201)은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장을 발생하고, 전극 제어 유닛(202)은 전자석 유닛(201)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전자석 유닛(201)의 자기적 극성을 변경하여 교류 형태의 파형이 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전력 제어 유닛(203)은 전자석 유닛(201)으로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전자기력 크기를 제어하며,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204) 즉 트리거 스위치는 복수의 전자석 유닛이 동시에 시작과 멈춤을 할 수 있는 스위치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유닛(100)의 MCU(101)을 통해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204)의 On/ Off 시간을 제어하여 동작 헤르츠(Hz)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201)은 복수의 전자석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유닛(201-1 ~ 20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무릎을 적용한다고 볼 때, 상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맥동전자기 발생부(200)는 세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동작한다.
맥동전자기 발생부(200)의 전자석 유닛(20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전자석(210)이 2개 이상 즉 복수 형태로 구성되어 코일 전자석(210)의 척력과 인력을 작용시켜 보다 원거리까지 자력 전달이 가능하다. 여기서 원거리는 기준값을 초과하는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 유닛(201)은 코일 권선(212)을 일정한 형태로 감을 수 있는 원통 프레임(211),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리 등 도전성 재질의 코일 권선(212), 코일 권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코일 중앙에 위치하는 강자성체 코어(213), 코일 권선(212)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양(+)과 음(-)극성의 전류가 인가되는 피복 절연 케이블(214)로 구성된 코일 전자석(210), 그리고 사람의 관절 방향을 향하며 강자성 코어(213)로부터 전달되는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한 강자성체의 내측 플레이트(220), 내측 플레이트(220)의 반대면에 적용되고 페어로 적용되는 전자석의 코어(213)를 서로 연결하여 내측 플레이트(혹은 일측 플레이트)(220)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의 외측 플레이트(혹은 타측 플레이트)(221), 나아가 내측 플레이트(220)와 외측 플레이트(221)를 전자석 유닛의 코어(213)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등의 고정체(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은 사용자의 신체 관절에서 피부에 접촉(혹은 근접)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전자석 유닛(201)에서 코일 전자석(210)의 코어(213)를 연결하는 내측 플레이트(220)는 1~2mm의 근접 거리를 두어 구성되고, 가령 2개의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분리되어 구성되고, 전자석 유닛(201)에서 코일 전자석(210)의 코어(213)를 연결하는 외측 플레이트(221)는 이격 거리 없이 최단거리로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며, 자력을 원거리로 전달하기 위해 자력의 형태가 펄스(Pulse) 신호의 특성을 띠며 이를 위해 펄스(Pulse) 신호를 발생하는 유닛(204)과 H-브릿지 형태로 자기 극성을 변경하는 전극제어 유닛(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서 볼 때 H-브릿지는 전자석 유닛(Electromagnet Unit)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스위칭소자가 H자의 형태를 이루어 구성된다. 각각의 스위칭소자는 트랜지스터나 FET의 NPN(혹은 N채널) 소자와 PNP(혹은 P채널)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3의 MCU(101)는 제1 스위칭소자와 제4 스위칭소자에 LOW신호와 HIGH신호를 인가하거나, 제3 스위칭소자와 제2 스위칭소자에 LOW신호와 HIGH신호를 인가하는 형태로 번갈아 가며 스위칭 소자들을 동작시켜 전자석 유닛에 반대 극성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로 대각선 방향의 스위칭소자들을 상보적으로 동작시켜 자기 극성을 변경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력을 원거리로 전달하기 위해 전자석 유닛(201)에 인가되는 펄스(Pulse)는 반송파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치료기기에 적용되는 전자석 유닛(201)은 2개 이상을 적용하고 한쪽 전자석 유닛의 내측 플레이트(220)에 척력이 발생하게 하고 반대쪽 전자석 유닛 역시 반대 극성의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보다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펄스는 반송파 형태로 구성"한다는 것은 도 9 및 도 13에서 볼 때, 지정 주파수 및 진폭으로 발생된 펄스 신호(예: 동작 주파수)를 쪼개서, 더 정확하게는 펄스 발생 구간의 펄스를 쪼개서 새로운 펄스를 생성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송하고, 또 빛을 심부 깊이 침투시키기 위해 기설정된 펄스 신호를 변조하여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생성된 20 ~ 50Hz의 펄스 신호를 2 ㎒ 정도의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전자석 유닛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회로 로직도, 도 11은 도 2의 전자석 유닛의 척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 12는 전자석 유닛의 인력 발생에 다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도면이다.
전극제어 유닛(202)을 제어하여 펄스(Pulse) 신호를 교류 신호화한다. 전극제어 유닛(20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브릿지 회로 로직(Logi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MCU(101)의 제어에 따라 전자석 유닛(201)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경되고 이로 인해 전자석 유닛(201)의 내측 플레이트(220) 극성도 변경하게 된다. H 브릿지 회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동작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동작 형태(예: 상보적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자석 유닛(201)은 내부에 복수의 형태로 코일 전자석(210)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과 같이 전자석 유닛(201)에는 2개 이상의 복수 형태의 코일 전자석(210-1, 210-2)이 적용된다. 코일 전자석(210)은 비자성체의 원통 프레임(211)에 코일을 권선(212) 형태로 수차례 감고 코일의 끝단에서는 폴리계열의 PVC와 같은 절연 재질 피복이 적용된 케이블(214)을 적용하여 전극제어 유닛(202)과 연결된다. 원통 프레임(211)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선코일의 중앙에서는 강자성 코어(213)가 적용되어 코일 권선(혹은 권선코일)(21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일정 방향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코일 권선(212)의 양끝단에 연결된 절연 케이블(214)로 인가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 강자성의 코어(213) 양끝단 자력 극성이 N-S극 또는 S-N극으로 가변하게 된다. 페어로 이웃한 코일 전자석(210)의 강자성 코어(213) 양끝단에 인체 방향으로는 내측 플레이트(혹은 일측 플레이트)(220)를 약간의 이격 거리를 두고 고정체(222-1, 222-2)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내측 플레이트 반대방향에는 고정체(222-3, 222-4)를 이용하여 외측 플레이트(혹은 타측 플레이트)(221)를 연결 고정시킨다. 또한 보다 원거리로 자력을 전달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코일 전자석 사이에 영구자석(223)을 적용할 수 있고 도 7과 같이 복수의 코일 전자석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어(213)의 자력을 내측 및 외측 플레이트(221, 222)로 전달하여 원거리까지 자력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각 플레이트와 고정체는 비투자율(比透磁率)이 높은 강자성체 물질을 적용한다. 여기서, 비투자율은 자성화가 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공에서의 자력전달 투자율과 비교한 비율, 즉 이 값이 수백~수천이면 강자성체라고 한다.
실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 유닛(201)의 왼쪽에 위치한 코일 전자석(210-1)의 절연 케이블(214-1)에 +, - 극성으로 전류를 흘려 주고 오른쪽 코일 전자석(201-2)의 절연 케이블(214-2)에 -, +극의 전류를 흘려주면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왼쪽 코일 전자석(210-1)의 내측 플레이트(220-1)는 N극이 유도되고 오른쪽 코일 전자석(210-2)의 내측 플레이트(220-2)에는 N극이 유도된다.
이와 같이 경우에는 도 11의 CAE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같이 두 내측 플레이트에 인가된 자력의 방향이 동일하므로 서로 척력(斥力)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원거리까지 자력 전달이 가능해진다.
만일 오른쪽 코일 전자석(210-2)의 절연 케이블(214-2)에 +, - 극성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오른쪽 코일 전자석 내측 플레이트(220-2)에는 S극이 유도되고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 인력(引力)이 발생하여 서로 당기는 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 12의 CAE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221)를 통해 각 코어(213-1, 213-2)가 연결되어 있어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 역시 원거리까지 도달함을 알 수 있다.
전자석 유닛(201)은 치료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적용되는 수와 위치가 상이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무릎 관절 통증 치료에 적용한다면 연골 마모가 발생하여 염증이 발생하기 쉬운 대퇴골 하단의 관절 연골 및 경골의 반월상 연골을 향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자석 유닛(201)을 배치하고 각 전자석 유닛(201)의 자력 및 극성을 변경하면 도 8과 같이 관절 염증 부위로 다양한 방향과 강도로 자력이 통과하게 된다.
특히 척력이 발생하도록 전류를 인가하고 마주보는 전자석 유닛(201)끼리는 인력이 발생하도록 하면 보다 원거리까지 자력이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전자석 유닛의 척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 그리고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전자석 유닛의 인력 발생에 따른 자력 전달 CAE 이미지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20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전자석 유닛(201)과 그 구성에 있어서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페어형 전자석을 이용한 원거리 자력 전달과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전자석 유닛(201)을 재도시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유닛(201')과 관련한 내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전자석 유닛(201)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다시 간단히만 언급하면, 전자석 유닛(201')은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권선(210), 코일 권선을 일정한 형태로 감을 수 있는 원통 프레임(211),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리 코일 권선(212), 구리 코일 권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코일 중앙에 위치하는 강자성(磁性)의 코어(213), 코일 권선의 양 끝단과 연결되어 직류전원의 +와 전류가 인가되는 피복 절연 케이블(214), 사람의 관절 방향을 향하며 강자성 코어(213)로부터 전달되는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한 강자성의 내측 플레이트(220), 강자성 내측 플레이트(220)의 반대면에 적용되며 전자석 유닛(201) 내에 페어(Pair, 쌍)로 구성되는 코일 전자석(210)의 코어(213)를 상호 연결하여 내측 플레이트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의 외측 플레이트(221),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를 전자석 유닛의 코어(213)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와 같은 고정체(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와 같은 형태의 페어(Pair)형 전자석 유닛(201')으로 자기장을 발생하게 되면 전자석간 척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보다 원거리로 자력 전달이 가능하고 전자석간 인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자기장의 범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전자석간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 도 16과 같이 내측 플레이트(220) 및 외측 플레이트(221)에 동일한 극성이 발생하게 되어 자력을 서로 밀어주어 원거리 자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전자석간 인력이 발생하게 되면 내측 플레이트(220) 및 외측 플레이트(221)에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발생하게 되어 자력의 발생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외측 플레이트는 분리되지 않는 방식이라 내측 플레이트의 자력을 증가하는 효과를 유발한다. 페어형 전자석유닛(201')은 상호간에 인력과 척력을 발생하기 위해 2, 4, 6개 등의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쌍으로 구비되는 내측 플레이트(220)는 상호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으며 외측 플레이(221)는 쌍으로 구비되는 코어(213)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맥동전자기장 치료기기에 적용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부에서 코일을 루프와이어 형태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거리에 따라 자력이 급격이 감소하고 원거리까지 자력 전달을 위해 큰 용량의 전력이 필요한(여러 구리 코일을 감아 전류를 인가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력을 활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 맥동전자기장 치료기기에 적용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부는 루프와이어 코일형태이기 때문에 자력의 발생 범위를 제한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쌍으로 존재하는 전자석유닛(201')의 인력과 척력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원거리로 자력을 전달하거나 일정한 범위로 자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 패턴형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독립형 통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일체형 통전 패턴(항상 같은 극성 유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일체형 통전 패턴(항상 다른 극성 유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의 각 층별 통전 패턴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두께가 얇고 자력 강도가 낮은 맥동전자기장 의료기기의 경우는 자력 발생부가 소형으로 구비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층 PCB(310)의 내층에 전기가 통하는 통전 패턴을 스파이럴(Spiral) 커브 방식으로 구성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소형 전자석 유닛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페어형 전자석 유닛(201')과 같이 내측 플레이트(320) 및 외측 플레이트(321)를 적용하면 쌍으로 적용된 자력발생부간의 인력과 척력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층 PCB 내에 구비된 통전 패턴은 도 22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자력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PCB 제조 공정에서는 비아홀(Via Hole) 및 도금 공정을 통해 각 층별 패턴을 연결시킨다. 일반적으로 PCB는 단면, 양면, 4층, 6층의 형태로 내층의 수를 증가할 수 있다. 쌍으로 구비된 통전 패턴은 자기장 극성 및 목적에 따라 도 19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서로 연결되어 폐(Closed) 회로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독립형 통전 패턴 방식을 구현할 경우 각각의 극성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어해야 하는 전자석 유닛의 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도 20 내지 도 20과 같이 일체형 통전 패턴을 적용하면 항상 같은 극성 또는 다른 극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으나 제어해야 하는 전자석 유닛의 수가 줄어들어 제어부의 로드(Load)를 줄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 패턴을 이용한 페어형 전자석 유닛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층 통전 라인을 이용한 PCB형 자력 발생 유닛(301)은 다층 PCB 내 구현된 통전 패턴 Line(311)(보통, 구리로 구현되며 스파이럴 형태의 커브 형태), 직접적인 치료부위를 향하고 통전 패턴(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한 강자성의 내측 플레이트(320), 강자성 내측 플레이트(311)의 반대면에 적용되며 PCB형 자력 발생 유닛(301) 내에 페어(Pair, 쌍)로 구성되는 통전라인(311)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상호 연결하여 내측 플레이트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의 외측 플레이트(321), 통전 패턴(31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코일 중앙에 위치하는 강자성(磁性)의 코어 핀(322), 이 경우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는 코어핀에 의해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23은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의 개념도이며, 도 24는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의 단면도이다.
영구자석과 코일을 활용한 전자석 유닛(401)은 저전력으로 맥동전자기장을 발생시켜야 하는 경우는 도 23과 같이 영구자석(420)에 전자기장 발생을 위한 코일(410)을 적용한 영구자석형 전자석 유닛(401)을 적용할 수 있다. 영구자석에서는 항상 일정 강도의 자력이 발생하는데 이에 반대 극성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압 제어를 통해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영구자석의 자력 강도가 일정 헤르츠로 변화하게 되어 치료 부위를 자극하게 된다. 영구자석형 전자석 유닛(401)은 코일 권선(410)을 일정한 형태로 감기 위해 도 24와 같이 원통프레임(411)이 적용될 수 있다. 원통 프레임(411)은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원통 프레임(411)은 강자성 메탈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강자성 메탈 재질을 적용할 경우는 영구자석의 강도와 자기장 영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형 전자석 유닛(401)은 도 2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권선(410), 코일 권선을 일정한 형태로 감을 수 있는 원통 프레임(411), 코일 권선의 양 끝단과 연결되어 직류전원의 +와 전류가 인가되는 피복 절연 케이블(414), 자력을 항시 발생시키는 영구자석(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5는 영구자석 회전을 통한 맥동전자기장 발생 유닛의 개념도이며, 도 26은 인클로저(Enclosure)를 적용한 맥동 전자기장 제한 개념도이다.
영구자석 회전을 통한 맥동전자기장 발생 유닛(501)은 저전력으로 맥동전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해 영구자석을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RPM으로 회전하는 유닛에 해당한다. 모터의 회전 RPM은 맥동전자기장의 변화가 수 ~ 수십Hz가 되도록 수십에서 수천 RPM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과 모터를 연결하기 위해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 재질의 브라켓을 적용할 수 있다. 회전하는 영구자석과 달리 세트에 고정되어 일정방향(치료 부위)에 개구 부위를 가지고 있는 강자성 재질의 인클로저(520)를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도 26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부위로의 자기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한 개 이상의 개구형상(521)을 가지고 있으며 개구방향은 영구자석의 극성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영구자석 회전을 통한 맥동전자기장 발생 유닛(501)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을 항시 발생시키는 영구자석(420), 영구자석을 회전시켜 자력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모터(510), 영구자석을 고정하고 모터와 연결하는 브라켓(511), 일정한 방향에 개구 영역을 가지고 있어 영구자석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맥동전자기장 확산 방향을 제어하는 강자성 재질의 인클로저(520), 자력을 통과시킬수 있는 개구 홀(5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 파형도를 보여준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장 발생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에 따라 전기장(E)의 강도가 바뀔 수 있다. 자기장의 극성을 일정한 Hz로 교번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파형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경우 변곡 부위에서 역기전력 발생으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7과 같이 전압의 극성을 일정한 주기로 가변하여 맥동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최초(혹은 최소)에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치료 부위에 N극이 발현된다면 일정 시간 후 전압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치료부위의 극성을 S극으로 교번한다. 극성이 변곡되는 부분에서 역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 27과 같이 전압의 변곡구간에 수us~ms의 휴지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주기로 전압의 방향을 교번함과 동시에 각 구간에서는 단파형 파열 주파수(예: 수K~MHz)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전압의 방향을 일정 주기별로 별도의 파열 주파수를 이용하여 맥동전자기장을 발생할 경우 저전력으로 원거리 전달이 가능해진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발생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29는 트리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회로 로직도이다.
트리거 스위치를 활용한 맥동전자기장 동기화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석 모듈(여기서, 모듈은 회로들이 집적화된 IC 칩 등을 의미하거나 칩과 그 주변회로들이 PCB 기판상에 구성된 보드를 의미할 수 있음, 또 모듈은 부품, 소자, 장치 등이 될 수 있음)을 하나의 마이콤(MICOM)으로 제어하다 보면 각 전자석별 비동기화된 구간이 발생하여 각 전자석에서 발생한 자력간의 중첩 및 상쇄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9에서 볼 때 제어부(1)를 구성하는 MICOM과 전자석 극성 제어 유닛(2: 2-1~2-4) 사이에 트리거 스위치 유닛(6)을 추가할 수 있다.
트리거 스위치 유닛(6)은 극성 제어 유닛(2: 2-1~2-4)의 극성을 동시에 설정하고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극성제어 유닛이 동시에 동작하고 전자석 유닛의 자력 출력도 동기화하게 된다.
트리거 스위치 유닛(6)을 제어하는 단계는 도 29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기술한 입력 전압의 휴지기간을 고려하여 트리거 스위치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트리거 스위치 유닛(6) 또는 트리거 스위치 유닛을 이용한 맥동전자기장 주파수 제어 단계는, 각 Electrode Control Unit의 극성을 설정하는 단계(S1600), Trigger Switch Unit을 통한 동시 온(on) 단계(S1610), Trigger Switch Unit을 통한 동시 오프(off) 단계(S1620), off 단계 유지하는 단계(휴지기)(S1630), 각 Electrode Control Unit의 극성을 설정 단계(S1640), Trigger Switch Unit을 통한 동시 on 단계(S1650), Trigger Switch Unit을 통한 동시 off 단계(S1660) 및 off 단계 유지하는 단계(휴지기)(S1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0은 H-브릿지 회로 로직도를 나타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을 재도시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따라서, 도 30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간략히 다시 살펴보면, H-브릿지는 전자석 유닛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스위칭소자가 H자의 형태를 이루어 구성된다. 각각의 스위칭소자는 트랜지스터나 FET의 NPN(혹은 N채널) 소자와 PNP(혹은 P채널)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3의 MCU(101)는 제1 스위칭소자와 제4 스위칭소자에 LOW신호와 HIGH신호를 인가하거나, 제3 스위칭소자와 제2 스위칭소자에 LOW신호와 HIGH신호를 인가하는 형태로 번갈아 가며 스위칭 소자들을 동작시켜 전자석 유닛에 반대 극성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로 대각선 방향의 스위칭소자들을 상보적으로 동작시켜 자기 극성을 변경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동전자기장 치료기에 적용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모듈(또는 장치 등)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제어부 200: 맥동전자기 발생부

Claims (14)

  1. 코어(core)에 코일이 권선되는 형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F)을 조절하는 전자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유닛은,
    한 쌍의 제1 코일 전자석과 제2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자석 유닛; 및
    한 쌍의 제3 코일 전자석과 제4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제3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4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간에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자석 유닛;을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자기적 극성을 변경하며, 상기 자기적 극성을 교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전극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은,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을 동시에 턴온시키고 턴오프시키는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에서 각각 분리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은 다층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pattern)에 의해 구성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8. 전자석 유닛이,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는 형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F)을 조절하는 단계; 및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이,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한 쌍의 제1 코일 전자석과 제2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전자석 유닛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한 쌍의 제3 코일 전자석과 제4 코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전자석 유닛이, 상기 제3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4 코일 전자석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간에도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전극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여 자기적 극성을 변경하며, 상기 자기적 극성을 교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석 동작 스위치 유닛을 구성하는 트리거 스위치가, 상기 제1 전자석 유닛과 상기 제2 전자석 유닛을 동시에 턴온시키고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에서 각각 분리되어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코일 전자석과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타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타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유닛은, 상기 자력을 원거리까지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코일 전자석의 일측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 전자석은 다층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형성되는 도전 패턴(pattern)에 의해 구성되는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30172430A 2022-12-01 2023-12-01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40082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9700 WO2024117867A1 (ko) 2022-12-01 2023-12-01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764 2022-12-01
KR20220165764 2022-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247A true KR20240082247A (ko) 2024-06-10

Family

ID=9148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430A KR20240082247A (ko) 2022-12-01 2023-12-01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224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096B1 (ko) 2015-06-18 2017-01-10 (주)휴레브 복합 전자기 치료 장치
KR101768795B1 (ko) 2016-01-12 2017-08-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활성 및 분화촉진을 위한 맥동형 전자기장 발생 시스템
KR20210106120A (ko) 2020-02-20 2021-08-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096B1 (ko) 2015-06-18 2017-01-10 (주)휴레브 복합 전자기 치료 장치
KR101768795B1 (ko) 2016-01-12 2017-08-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활성 및 분화촉진을 위한 맥동형 전자기장 발생 시스템
KR20210106120A (ko) 2020-02-20 2021-08-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Veterinary application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therapy" James S. Gaynora , Sean Hagbergb , Blake T. Gurfeinc,2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868B2 (en) Architectures for sharing of current sources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EP2376178B1 (en)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pulse parameters using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US7335156B2 (e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US8460167B2 (en) Thermally assisted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US20210077800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tumors, especially intracranial tumors
WO2004082759A3 (en) Magnetic stimulator
US20090099405A1 (en) Monophasic multi-coil arrays for tran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O2008127011A3 (en) A low frequency magnetic physical treatment device using shumann resonance frequency, water molecule resonance frequency and brain waves as the important treatment information
AU2009205417A1 (en) Therapeutic micro-vibration device
WO2017175961A1 (ko) 손목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undararajan Nanosecond electroporation: another look
KR20190073169A (ko) 자기장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50795B1 (ko)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KR20240082247A (ko)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4623811B (zh) 自适应调节磁性强度的智能磁疗床垫
KR101608222B1 (ko) 자기장 치료를 위한 자기장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24117867A1 (ko) 맥동전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hristiansen et al. Magnetic fields for modulating the nervous system
CN201452386U (zh) 磁、热、红外线三合一治疗保健床垫
Bonmassar et al. Optimizing microscopic magnetic fields for neuronal stimulation
WO2023146003A1 (ko) 관절염 통증 치료기 및 그 치료기의 구동방법
KR20240082248A (ko) 비침습 안질환 치료기 및 그 치료기의 구동 방법
TWI755130B (zh) 可撓式多層線圈結構的腦部磁波刺激裝置
CN108113856B (zh) 轻柔式电磁理疗贴装置
Grigoryev et al. Technology and methods for formation of the complex magnetotherapy impact by the inductor ar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