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079A -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 Google Patents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079A
KR20240082079A KR1020220166042A KR20220166042A KR20240082079A KR 20240082079 A KR20240082079 A KR 20240082079A KR 1020220166042 A KR1020220166042 A KR 1020220166042A KR 20220166042 A KR20220166042 A KR 20220166042A KR 20240082079 A KR20240082079 A KR 2024008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ffee
drip
drip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영
이의선
Original Assignee
이정영
이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영, 이의선 filed Critical 이정영
Priority to KR102022016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2079A/ko
Publication of KR2024008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한 시간과 압력하에서 커피 원두에 물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비숙련자라할지라도 고품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원두 분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원형 용기 구조로, 측면에는 주름진 중첩 영역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된 원통 구조를 이루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보다 상대적으로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여과부 상단을 원형으로 지지하며 중앙에는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 주변에는 여과부를 고정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링 형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드립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APPARATUS FOR DRIPPING COFFEE AND FILTER FOR THE SAME}
본 개시 내용은 드립 방식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청년층에서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기호식품이다. 통상 커피는 원두를 직접 갈아 여과지로 된 필터를 이용하여 드립하는 핸드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거나, 머신을 이용하여 고압 방식으로 추출하게 된다.
머신을 이용한 고압 추출 방식은 기계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 균일한 커피 맛을 구현할 수 있으나 맛과 향에서 드립 방식의 커피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다. 이에, 복잡한 커피 향을 즐기기 위해서는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 추출이 이용되고 있다.
핸드 드립 방식은 뛰어난 맛과 향의 커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원두 분말이 담긴 필터에 물을 고르게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 과정이 매우 어려워 균일한 맛을 구현하기 쉽지 않다. 이에, 비숙련자의 경우 커피의 맛과 향을 끌어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 드립용 필터들은 모두 접혀진 상태에서 파우치처럼 펼쳐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드리퍼 역시 이러한 파우치 형태의 필터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종래 구조의 경우 필터 내 위치에 따라 원두의 밀도차가 커서 전체적으로 고른 시간과 압력으로 물을 커피 원두에 접촉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원형의 필터가 개발되어 있긴 하나 이 역시 원뿔 형태로 균일한 드립이 쉽지 않다. 드리퍼 또한 원뿔 형태의 필터에 맞춰 개발된 것으로 다른 구조의 필터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구조의 경우 사용자가 필터를 장치에 맞춰 알맞게 접고 펼쳐줘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필터가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본 과제는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한 시간과 압력하에서 커피 원두에 물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비숙련자라할지라도 고품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된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이 용이하고 커피 맛과 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필터 사용 과정에서 필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필터는, 원두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드리퍼에 사용되는 드립필터일 수 있다.
상기 드립필터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원두 분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원형 용기 구조로, 측면에는 주름진 중첩 영역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된 원통 구조를 이루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보다 상대적으로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여과부 상단을 원형으로 지지하며 중앙에는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 주변에는 여과부를 고정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링 형태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 또는/및 상기 걸림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폭이 2 내지 5mm일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장치는 상기 드립필터를 이용하여 원두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커피 드리퍼일 수 있다.
상기 커피 드리퍼는, 상기 드립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용기 상부에 본체를 올려놓기 위한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커피 배출을 위한 출구가 형성된 원형 용기 구조이고, 내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원호형태로 굽어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단차면을 이루어 상기 드립필터의 걸림부가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의 폭은 상기 드립필터의 걸림부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출구쪽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의 직경은 상기 드립필터의 개구부 직경의 45%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 둘레를 따라 거치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출구에서 밖으로 나오는 상기 드립필터의 돌출 부분 높이보다 작아, 외부에서 상기 드립필터의 돌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원통형태를 이루며 측면이 주름지고 하부는 원만하게 곡면을 형성한 구조의 필터를 통해, 전체적으로 원두 밀도차를 줄여 보다 균일한 시간과 압력하에서 물과 원두를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비숙련자의 경우에도 단지 필터에 물을 붓는 것으로 맛과 향을 최대한 높인 고품질의 드립 커피를 쉽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드리퍼에 맞춰 필터를 접거나 형태를 변형시키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그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해 필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용의 드리퍼를 통해 커피 드립 과정에서 드립필터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드립필터의 기능을 온전히 이끌어낼 수 있다.
드립 과정 중에 드립필터의 하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도 볼거리를 선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리퍼 및 드립필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리퍼 및 드립필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에에 따른 커피 드리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리퍼 및 드립필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리퍼 및 드립필터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드립필터(100)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립필터(100)는 원두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드리퍼(200)에 사용되는 필터로,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원두 분말(도 2의 P 참조)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원형 용기 구조를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필터(100)는 측면에는 주름진 중첩 영역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된 원통 구조를 이루는 여과부(110)와, 여과부(110)보다 상대적으로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여과부(110) 상단을 원형으로 지지하며 중앙에는 여과부(110)와 연통되도록 개구부(122)를 형성하고 개구부 주변에는 여과부(110)를 고정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링 형태의 걸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10)는 분쇄된 원두를 내부에 채울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하단이 막힌 원형의 통 구조를 이룬다. 여과부(110)는 메쉬 도는 다공성 구조로, 온수를 드립 하였을 때 원두 분말을 걸러내고 커피를 추출한다. 여과부(110)는 인체에 무해한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과부(110)는 상단부가 걸림부(120)에 접합되어 원형으로 지지된다. 걸림부(120)에 결합되는 여과부(110)의 상단 부분은 접혀져 중첩됨에 따라 측면에는 중첩 영역(112)에 의한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여과부(110)는 예를 들어, 평면의 종이 용기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시켜 제조됨에 따라 상단 부분은 서로 접혀져 충첩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여과부(110)는 전체가 하나의 얇은 종이로 되어 있고, 측면에 주름진 중첩 영역(112)을 형성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며 하부는 완만한 곡면 형태로 된 원통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과부(110)는 상측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부(120)에 접합될 수 있다.
걸림부(120)은 여과부(110)를 원형으로 지지하여 그 형태를 유지시킨다. 걸림부(120) 중앙부에는 여과부(110)와 연통되도록 원형의 개구부(122)를 형성한다. 이에, 걸림부(120)은 소정의 폭을 갖는 링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드립필터(100)는 여과부(110) 상단에 링 형태의 테두리를 이루는 걸림부(120)에 의해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며, 걸림부(120)를 이용하여 전용 드리퍼(2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120)는 폭(D)이 2 내지 5mm일 수 있다. 걸림부(120)의 폭(D)이 2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커피 드립 과정에서 여과부(110)를 제대로 지탱하기 어렵다. 걸림부(120)의 폭(D)이 5mm를 넘는 경우에는 여과부(110)에 대한 지지력의 상승효과는 크지 않으면서 제조 비용만 증가하게 된다. 또한, 걸림부(120)의 폭(D)이 5mm를 넘는 경우 드리퍼(200)의 안쪽 면에 드립필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드리퍼(200)를 구현하기 어렵다.
걸림부(120)는 종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여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여과부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120)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종이판을 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종이판 사이에 여과부(110)의 절곡된 상단이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드립필터(100)는, 걸림부(120)에 의해 여과부(110) 상단이 원형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형 용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립필터(100)가 원형으로 제공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드립필터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드립필터를 원형으로 접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용의 드리퍼(200)에 드립필터(100)를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드립필터(100)와 사용자 사이 접촉을 줄임으로써 드립필터(10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립필터(100)는 원통형태를 이루며 측면이 주름지고 하부는 원만하게 곡면을 형성한 구조를 이룸에 따라, 드립필터(100) 내에 담긴 원두 분말(P)은 드립필터(100) 내 위치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매우 균일한 밀도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물을 부었을 때 드립필터(100) 내에 원두 분말(P)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물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립을 위한 별도의 기술이나 조작없이 드립필터(100) 내에 단순하게 물을 채우는 것으로도 간편하게 고품질의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드립필터(100)의 효과를 온전히 얻기 위해서는 여과부(110)의 완만하게 만곡된 하부 형태대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전용의 드리퍼(200)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시예의 드리퍼(200)는 상기한 구조의 드립필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맞춤 설계되어 여과부(11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드리퍼(200)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드리퍼(2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여과부(110)와 걸림부(120)를 갖는 원형의 드립필터(100)를 사용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드리퍼(200)는, 드립필터(100)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210), 본체(210) 하부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리퍼(200)는 본체(210)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사용자가 쉽게 본체를 잡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나, 개수, 설치 위치 등은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체(21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커피 배출을 위한 출구(212)가 형성된 원형 용기 구조를 이룬다. 본체(210)는 상하로 연장되어 출구(212)와 연결되고 드립필터(100)의 여과부가 안착되는 내측면(214)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면(2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원호형태로 굽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드립필터(100)를 본체(210) 내부에 장착하였을 때 본체(210)의 내측면(214)이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를 원호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드립필터(10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내측면(2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체(210) 상부쪽 내측면(214)은 곡률반경이 커서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를 거의 원통형태로 유지시키며, 하부쪽은 곡률반경이 작아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 하부를 완만하게 만곡된 곡면 형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원두 드립 과정에서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가 드리퍼(200) 내에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에 온전한 형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210)는 내측면(214)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출구(212)쪽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리브(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216)는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형태 또는 나선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16)의 돌출 정도나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내측면(214)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리브(216) 상단 형성 위치 역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리브(216)에 의해 본체(210) 내측면(214)과 여과지 사이 공간이 확보되어, 추출되는 커피액이 여과부(110)를 통과하여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본체(210)는 내측면(214)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단차면을 이루어 드립필터(100)의 걸림부(120)가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218)는 내측면(214)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턱부(218)의 폭(L)은 드립필터(100)의 걸림부(120) 폭(D)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대응되는 크기란 단턱부(218)의 폭(L)이 드립필터(100)의 걸림부(120) 폭(D)과 같거나 약간 더 큰 정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필터(100)를 본체(210)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드립필터(100)의 걸림부(120)가 본체(210) 상부의 단턱부(218)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 상단을 고정하고 있는 걸림부(120)가 단턱부(218)에 걸려 드립필터(100)가 본체(210) 아래로 흘러내려가지 않고 본체(2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단턱부(218)는 본체(210)의 상단에서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210) 상단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에, 본체(210) 내부에 드립필터(100)를 장착하여 걸림부(120)가 단턱부(218)에 걸쳐져 있는 상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부에서는 드리퍼(200) 내에 어떤 드립필터(100)가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비숙련자라할지라도 본 실시예의 드립필터(100)를 사용하는 것을 노출시키지 않고 마치 숙련된 기술로 커피를 추출한 것과 같은 느낌을 소비자에게 연출할 수 있다.
본체(210)의 내측면(214)을 따라 하부에 출구(212)가 연통 형성된다, 출구(212)는 드립필터(100)의 여과부(110)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배출되는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출구(212)의 직경(R2)은 드립필터(100)의 개구부(122) 직경(R1)의 45%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출구(212)의 직경(R2)이 드립필터(100)의 개구부(122) 직경(R1)의 45%보다 작은 경우에는, 커피가 과소추출될 수 있으며 여과부(110)의 하부가 출구(212)에서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시각 효과를 얻기 어렵다.
출구(212)의 직경(R2)이 드립필터(100)의 개구부(122) 직경(R1)의 50%보다 큰 경우에는, 커피가 과대추출될 수 있으며 여과부(110)의 하부가 출구(212) 밖으로 너무 많이 튀어나오게 되어 여과부의 형태가 일그러지는 등 변형되어 균일한 추출이 어려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드리퍼(200)는 출구(212) 둘레를 따라 거치대(220)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40)는 드리퍼(200)를 바닥에 지지하는 다리의 역할과 더불어 거치대(220)가 올려져 있는 용기에서 본체(2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작용할 수 있다. 거치대(220) 아래로 돌출된 지지대(240)가 용기 등의 내면에 걸려 출구(212)가 용기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0)의 돌출 높이(H1)는 출구(212)에서 밖으로 나오는 드립필터(100)의 돌출 부분 높이(H2)보다 작아, 외부에서 드립필터(100)의 돌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돌출 높이란 거치대(220)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돌출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여과부(110)에 물을 부었을 때, 자중에 의해 여과부(110) 하부가 밑으로 처지면서 출구(212)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커피액이 담기는 용기가 투명한 재질인 경우, 외부에서 지지대(240) 아래로 쳐진 여과부(110)를 통해 커피가 드립디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도 많은 볼거리를 선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드립필터 110 : 여과부
112 : 중첩영역 120 : 걸림부
122 : 개구부 200 : 드리퍼
210 : 본체 212 : 출구
214 : 내측면 216 : 리브
218 : 단턱부 220 : 거치대
230 : 손잡이 240 : 지지대

Claims (5)

  1. 커피 원두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드리퍼에 사용되는 드립필터로,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원두 분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원형 용기 구조로, 측면에는 주름진 중첩 영역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하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된 원통 구조를 이루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보다 상대적으로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여과부 상단을 원형으로 지지하며 중앙에는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 주변에는 여과부를 고정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링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는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폭이 2 내지 5mm인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드립필터를 이용하여 원두를 드립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한 커피 드리퍼로,
    상기 커피 드리퍼는, 상기 드립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용기 상부에 본체를 올려놓기 위한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커피 배출을 위한 출구가 형성된 원형 용기 구조이고, 내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원호형태로 굽어진 구조의 커피 드리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면에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단차면을 이루어 상기 드립필터의 걸림부가 걸려 지지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드리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폭은 상기 드립필터의 걸림부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커피 드리퍼.
KR1020220166042A 2022-12-01 2022-12-01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KR2024008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42A KR20240082079A (ko) 2022-12-01 2022-12-01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42A KR20240082079A (ko) 2022-12-01 2022-12-01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079A true KR20240082079A (ko) 2024-06-10

Family

ID=9148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042A KR20240082079A (ko) 2022-12-01 2022-12-01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2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083A (en) Self contained disposable coffee brewing device
RU2223691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US6189438B1 (en) Filtering device,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ter elemen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brewed beverages
US4306492A (en) Apparatus for making a coffee beverage
US20090229472A1 (en)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US4986172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RU2001124658A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US5775206A (en) Coffeemaker with a permanent filter
KR20060107839A (ko)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침적 프레스
US4735719A (en) Coffee filter ring
JP4091420B2 (ja) 一体型の容器および抽出器装置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RU2225154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US6138551A (en) Filter device
US9060643B2 (en) Extraction device for immersion beverage primary liquid
RU2002101890A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KR20240082079A (ko) 커피 드리퍼 및 커피 드리퍼용 드립필터
KR20110009651U (ko) 휴대용 드립퍼 및 이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0495084Y1 (ko) 드립백 거치대
WO2016013932A1 (en) Pad for use in a machine for preparing at least one part of a single beverage serving, system including a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such a system
JP3138633U (ja) コーヒー抽出用カップ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JP3705742B2 (ja) ドリッパ兼用収容容器
US20220369846A1 (en) Coffee Filter 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