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1566A - 수중 작업 고리 - Google Patents

수중 작업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1566A
KR20240081566A KR1020220163896A KR20220163896A KR20240081566A KR 20240081566 A KR20240081566 A KR 20240081566A KR 1020220163896 A KR1020220163896 A KR 1020220163896A KR 20220163896 A KR20220163896 A KR 20220163896A KR 20240081566 A KR20240081566 A KR 2024008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atchet
opening
hook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블루익스플로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블루익스플로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블루익스플로러
Priority to KR102022016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1566A/ko
Publication of KR2024008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8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작업 고리에 관한 것으로, 로프가 연결될 수 있고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직경을 가지는 걸고리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본체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걸고리부와 접하고 있는 개폐부 및 일면에 상기 몸체의 유선형과 대응하는 곡선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로프 관통홀이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직경의 지름 치수는 상기 제2 직경의 지름 치수보다 크며 상기 연결부,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관통홀에 걸린다.

Description

수중 작업 고리{Underwater working hook}
본 발명은 수중 작업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작업 시 잠수부는 산소가 충전된 산소통을 지고 잠수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산소통의 산소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수중 작업 시간은 산소 충전량으로 한정된다. 여기서, 잠수부는 호흡을 위해 수면에서 작업 위치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작업 위치에서 수면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산소통의 산소를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수중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는 산소량은 더욱 한정된다.
한편, 잠수부는 인양 대상물 인양 작업 시 로프를 인양 대상물에 결삭하게 된다. 조류, 시야 등의 문제로 결삭 작업은 쉽지 않다. 또한 산소의 한정된 용량으로 결삭 작업 시간 또한 한정되어 작업자는 산소 충전을 위해 작업 장소와 수면을 반복적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인양 대상물 인양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657호 (2012.05.09.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809호 (2014.03.17.공고)
본 발명은 잠수부가 인양 작업 시 인양 대상물과 로프를 신속하게 연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작업 고리는 로프가 연결될 수 있고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직경을 가지는 걸고리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본체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걸고리부와 접하고 있는 개폐부 및 일면에 상기 몸체의 유선형과 대응하는 곡선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로프 관통홀이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직경의 지름 치수는 상기 제2 직경의 지름 치수보다 크며 상기 연결부,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관통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수중 작업 고리는 상기 락킹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리본체부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고리 래칫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고리 래칫부가 걸리는 한 방향 래칫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 래칫부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 걸리며 타단이 상기 락킹부와 힌지 연결된 래칫조, 그리고 상기 래칫조의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 걸리도록 상기 래칫조에 탄성력을 가하는 래칫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작업 고리는 상기 락킹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래칫조의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걸림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연결부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걸고리부의 외측과 연결부의 외측이 곡선으로 형성되면서 경사져 있다. 인양고리와 접한 고리본체부는 곡선의 경사면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되어 인양고리는 개방부로 유도된다. 인양고리의 누름으로 개폐부는 움직이면서 개방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수중 작업 고리와 인양고리가 빠르게 결속되어 수중 작업 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된 고리본체부와 양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된 락킹부에 의해 수중 작업고리는 전체적으로 중성부력을 갖는다. 이에 수중에서 수중 작업 고리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작업 고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고리본체부가 인양 대상물의 고리와 접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인양 대상물의 고리에 의해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인양 대상물의 고리가 고리본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3의 고리본체부가 락킹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작업 고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작업 고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리본체부가 인양 대상물의 고리와 접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인양 대상물의 고리에 의해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양 대상물의 고리가 고리본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고리본체부가 락킹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작업 고리(100)는 고리본체부(110), 개폐부(120) 및 락킹부(130)를 포함하며 잠수부가 인양 작업 시 인양 대상물과 로프를 신속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수중 작업 고리(100)는 고리 래칫부(140), 그리고 걸림 해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본체부(110)는 몸체(111), 걸고리부(112) 및 연결부(113)를 포함하며 수중 작업 고리(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11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곡면을 가지고 있다. 몸체(111)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걸고리부(112)는 몸체(111)의 일단에서 제1 직경을 가지고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걸고리부(112)의 외측(112a)은 몸체(111)의 내측 방향을 향해 곡선 형태로 경사져 있다.
연결부(113)는 몸체(111)의 타단에서 제2 직경을 가지고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13)의 외측(113a)은 몸체(111)의 내측 방향을 향해 곡선 형태로 경사져 있다. 연결부(113)의 제2 직경 지름 치수는 제1 직경 지름 치수보다 작다.
이에 고리본체부(110)의 타단의 폭 넓이 치수는 일단의 폭 넓이 치수 보다 작다. 그리고 걸고리부(112)의 단부와 연결부(113)의 단부가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그 사이에 개방부(11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1), 걸고리부(112) 및 연결부(113)는 고리공간(110b)을 형성한다. 고리공간(110b)은 개방부(110a)를 통해 열리고 닫힌다.
개폐부(120)는 개폐몸체(121), 힌지핀(122) 및 개폐 탄성부재(123)를 포함하며 개방부(110a)를 단속한다.
개폐몸체(121)의 일단은 연결부(113)의 단부에 힌지핀(122)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개폐몸체(121)는 힌지핀(12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개폐몸체(121)의 타단은 걸고리부(112)의 단부와 접하고 있다. 이때 개폐몸체(121)의 타단은 걸고리부(112)의 내측과 접하고 있어 걸고리부(112)와 몸체(111)의 사이 내에서만 회전하며 걸고리부(112)의 외측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개폐몸체(121)의 외측(121a)은 몸체(111)의 내측 방향으로 곡선 형태로 경사져 있다.
개폐 탄성부재(123)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다. 개폐 탄성부재(123)는 힌지핀(122)을 감싸고 있으며 일단은 연결부(113)의 단부와 접하고 타단은 개폐몸체(121)와 접하고 있다. 개폐 탄성부재(123)는 개폐몸체(121)의 타단이 걸고리부(112)의 단부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폐몸체(1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개폐몸체(121)의 회전으로 개방부(110a)는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개폐몸체(121)가 힌지핀(122)을 기준으로 몸체(1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개방부(110a)는 열린다. 이때 개폐 탄성부재(123)에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개폐몸체(12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개폐몸체(121)는 개폐 탄성부재(12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며 단부가 걸고리부(112)의 단부와 접하면서 개방부(110a)는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리본체부(110)와 개폐부(120)는 음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락킹부(130)의 내부에는 관통홀(130a)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관통홀(130a)에는 로프(1)가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130a)의 지름 치수는 연결부(113)의 제2 직경의 지름 치수보다는 크고, 걸고리부(112)의 제1 직경 지름 치수보다는 작다. 이에 제2 직경을 갖는 고리본체부(110)의 타측은 관통홀(130a)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직경을 갖는 고리본체부(110)의 일측은 관통홀(130a)의 일면에 걸릴 수 있다.
락킹부(130)의 외측에는 손잡이(1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는 생략될 수 있다.
락킹부(130)의 일면은 몸체(111)의 외측과 접한다. 락킹부(130)의 일면은 몸체(111)와 대응하는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안치면(130b)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11)는 안치면(130b)과 접하며 안치면(130b)은 몸체(111)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락킹부(130)는 양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락킹부(130)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락킹부(130)의 부피는 고리본체부(110)의 부피보다 클 수 있다.
수중 작업 고리(100)는 음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된 고리본체부(110)와 개폐부(120), 그리고 양성부력을 갖도록 설계된 락킹부(130)에 의해 중성부력을 가질 수 있다.
고리 래칫부(140)는 래칫조(143), 그리고 래칫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락킹부(130)의 상면에서 움직이는 고리본체부가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먼저, 고리본체부(110)의 몸체(111) 외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방향 래칫(141)가 형성되어 있다. 한 방향 래칫(141)는 걸림홈(142)을 가지며 걸림홈(142)의 둘레는 경사면(142b)과 걸림면(142a)으로 이루어져 있다. 걸림면(142a)은 몸체(111)의 외측과 수직하며 경사면(142b)은 몸체(111)의 외측과 경사를 이루고 있다.
래칫조(143)는 락킹부(130)의 일면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래칫조(143)는 일단이 락킹부(130)와 힌지 연결되어 있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래칫조(143)의 타단은 걸림홈(142)에 걸릴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리본체부(110)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일 때 경사면(142b)과 래칫조(143)의 타단이 접한다. 이때 경사면(142b)은 래칫조(143)를 타고 넘어갈 수 있다. 이에 고리본체부(110)는 제1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고리본체부(110)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일 때 걸림면(142a)과 래칫조(143)의 타단이 접한다. 이때 걸림면(142a)은 래칫조(143)의 타단에 걸리게된다. 이에 고리본체부(110)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된다.
따라서, 고리본체부(110)는 수중 작업 시 고리 래칫부(140)에 의해 제1 방향로만 움직일 수 있다.
래칫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다. 래칫 탄성부재(144)는 래칫조(143)의 힌지에 배치되어 일단은 락킹부(130)의 일면과 접하며 타단은 래칫조(143)의 일단과 접하고 있다. 래칫 탄성부재는 래칫조(143)의 타단이 걸림홈(142)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래칫조(14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걸림 해제부(150)는 락킹부(130)의 일면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해제부(150)는 래칫조(143)가 한 방향 래칫(141)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때 고리본체부(110)는 락킹부(130)의 일면에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직경을 갖는 고리본체부(110)의 타측은 관통홀(130a)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수중 작업 고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로프(1)는 락킹부(130)를 관통하여 고리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로프(1)는 여유 공간을 가지고 고리본체부(110)와 결속되어 있다. 락킹부(130)는 고리 래칫부(140)를 통해 고리본체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고리본체부(110)는 안치면(113a)에 안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잠수부 또는 수중 드론은 인양 대상물 인양을 위해 수중 작업 고리(100)를 인양 대상물의 인양고리(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걸고리부(112)의 외측을 인양고리(2)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인양 대상물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고리본체부(110)는 걸고리부(112)의 경사진 외측에 의해 미끄러지며 인양고리(2)는 개폐부(120)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양고리(2)가 개폐부(1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중 작업 고리(100)를 인양 대상물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개폐부(120)는 인양고리(2)에 의해 눌리면서 단부가 몸체(111)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개방부(110a)는 열린다. 인양고리(2)는 고리본체부(110)의 고리공간(110b)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인양고리(2)가 고리공간(110b)에 위치한 상태에서 로프(1)를 당기게 되면 인양고리(2)는 걸고리부(112)의 내측에 걸리며 개폐부(120)는 개폐 탄성부재(12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부(110a)를 닫는다.
인양고리(2)가 걸고리부(112)에 걸려 있으므로 로프(1)를 당긴다. 몸체(111)의 내측과 걸고리부(112)의 내측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고리본체부(110)는 인양고리(2)와 로프(1)의 사이에서 움직이며 이때 락킹부(130)의 일면은 고리본체부(1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고리 래칫부(140)의 래칫조(143)는 한 방향 래칫(141)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고리본체부(110)는 고리 래칫부(140)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된다. 로프(1)의 당김으로 움직이는 고리본체부(110)의 연결부(113)의 일부분은 관통홀(130a)에 삽입된다. 이때 걸림 해제부(150)는 래칫조(143)가 한 방향 래칫(141)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고리본체부(110)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로프(1)를 계속 당기게 되면 연결부(113)와 개폐부(120)는 관통홀(130a)의 내부로 삽입되며 걸고리부(112)의 제1 직경부는 락킹부(130)의 일면에 걸리게 된다. 고리본체부(110)의 타측이 락킹부(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리본체부(110)는 락킹부(13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120)가 락킹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력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고리부(112)의 외측과 연결부(113)의 외측이 곡선으로 형성되면서 경사져 있다. 인양고리(2)와 접한 고리본체부(110)는 곡선의 경사면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되어 인양고리(2)는 개방부로 유도된다. 인양고리(2)의 누름으로 개폐부(120)는 움직이면서 개방부(110a)를 개방하게 된다. 인양고리(2)는 고리공간(110b)으로 삽입되어 빠르게 걸리게 된다. 이에 수중 작업 고리와 인양고리(2)가 빠르게 결속되어 수중 작업 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로프 2: 인양고리
100: 수중 작업 고리 110: 고리본체부
110a: 개방부 110b: 고리공간
111: 몸체 112: 걸고리부
112a: 외측 113: 연결부
113a: 외측 120: 개폐부
121: 개폐몸체 121a: 외측
122: 힌지핀 123: 개폐 탄성부재
130: 락킹부 130a: 관통홀
130b:안치면 131: 손잡이
140: 고리 래칫부 141: 한 방향 래칫
142: 걸림홈 142a: 걸림면
142b: 경사면 143: 래칫조
150: 걸림 해제부

Claims (5)

  1. 로프가 연결될 수 있고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직경을 가지는 걸고리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된 고리본체부,
    상기 개방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걸고리부와 접하고 있는 개폐부 및
    일면에 상기 몸체의 유선형과 대응하는 곡선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로프 관통홀이 중앙을 관통하고 있는 락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경의 지름 치수는 상기 제2 직경의 지름 치수보다 크며 상기 연결부, 상기 개폐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걸고리부는 상기 관통홀에 걸리는
    수중 작업 고리.
  2. 제1항에서,
    상기 락킹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리본체부가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고리 래칫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고리 래칫부가 걸리는 한 방향 래칫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수중 작업 고리.
  3. 제2항에서,
    상기 고리 래칫부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 걸리며 타단이 상기 락킹부와 힌지 연결된 래칫조, 그리고
    상기 래칫조의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 걸리도록 상기 래칫조에 탄성력을 가하는 래칫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수중 작업 고리.
  4. 제3항에서,
    상기 락킹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래칫조의 일단이 상기 한 방향 래칫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걸림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수중 작업 고리.
  5. 제1항에서,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은 상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곡선 형태로 경사져 있는 수중 작업 고리.
KR1020220163896A 2022-11-30 2022-11-30 수중 작업 고리 KR2024008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96A KR20240081566A (ko) 2022-11-30 2022-11-30 수중 작업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96A KR20240081566A (ko) 2022-11-30 2022-11-30 수중 작업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1566A true KR20240081566A (ko) 2024-06-10

Family

ID=9148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896A KR20240081566A (ko) 2022-11-30 2022-11-30 수중 작업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156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57B1 (ko) 2011-09-19 2012-05-09 김준연 카라비너
KR101374809B1 (ko) 2012-09-18 2014-03-17 김인숙 카라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57B1 (ko) 2011-09-19 2012-05-09 김준연 카라비너
KR101374809B1 (ko) 2012-09-18 2014-03-17 김인숙 카라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660A (en) Rope puller
US2942315A (en) Line fastening device
US10859134B2 (en) Rope gripper
JPS63315395A (ja) アンカ−の根がかり解放装置
US3945335A (en) Boat docking device
US11396353B2 (en) Horseshoe life buoy for water rescue and associated rescue rope assembly
JPH0380677B2 (ko)
ITGE940079A1 (it) Pinna da nuoto munita di fibbia per l'agganciamento del cinghiolo a
KR20240081566A (ko) 수중 작업 고리
US6256923B1 (en) Fish handling pliers
US5826531A (en) Mooring cleat cover
US6925690B2 (en) Bullsnap
AU2008201744A1 (en) Lifting device suitable for submersibles
KR102576882B1 (ko) 스킨스쿠버의 수면표시부표(smb)용 릴 장치
US5237722A (en) Rope pulling device
WO2007071896A1 (en) Hook
US5373801A (en) Submerged weight retrieval device
KR20190121594A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3341907A (en) Snap shackle
US5161309A (en) Predator defense swim fin
JPH02306892A (ja) アンカーの根がかり解放装置
US1915524A (en) Cargo hook
US9120541B1 (en) Anchor retrieval device
US3295243A (en) Fishing lure retrievers
US5542368A (en) Lightweight anchor with tail f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