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1465A - 트레이형 증류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형 증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1465A KR20240081465A KR1020240066847A KR20240066847A KR20240081465A KR 20240081465 A KR20240081465 A KR 20240081465A KR 1020240066847 A KR1020240066847 A KR 1020240066847A KR 20240066847 A KR20240066847 A KR 20240066847A KR 20240081465 A KR20240081465 A KR 202400814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illation
- tray
- gas
- target material
- material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57 suspen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4—Tray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8—Liquid distrib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트레이형 증류장치 및 증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류장치 및 증류방법에 따르면,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가 마련되어 증류대상물질을 분산투입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 내부와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사이의 압력차가 줄어들고 폼 또는 버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대상물질로부터 목적 휘발성분을 분리함으로써 고순도 제품을 회수하는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트레이(tray)를 구비한 컬럼 형태의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형 증류장치는 PVC (poly vinyl chloride) 중합 공정에서 잔류 모노머 (VCM) 스트리핑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기-액 접촉에 따라 폼 또는 버블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중합 과정에서 포함된 분산제, 유화제, 현탁제 등으로 불리우는 계면활성제 계열 성분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폼 또는 버블은, PVC 슬러리가 압력이 높은 배관으로부터 진공 운전되는 증류장치로 주입되면서 빠르게 감압되는 것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폼 또는 버블의 발생을 완화시키기 위한 증류장치 및 증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류장치는, 내부에서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투입되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가 투입되는 기체 유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가 반응하여 분리된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로부터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제거된 결과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에 복수의 홀이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각각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다운커머(downcomer);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분산투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세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120°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복수개 구비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 상부로부터 내려온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상기 트레이상에서 상기 다운커머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베플(baff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류대상물질은 서스펜션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제조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방법은, 내부에서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투입되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가 투입되는 기체 유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가 반응하여 분리된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로부터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제거된 결과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에 복수의 홀이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각각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다운커머(downcomer);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한 증류방법으로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상기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유입부로 기체를 제공하여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를 반응시켜 상기 증류대상물질에 포함된 상기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상기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각각에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동일한 유량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류대상물질은 서스펜션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제조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류장치 및 증류방법에 따르면,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가 마련되어 증류대상물질을 분산투입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 내부와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사이의 압력차가 줄어들고 폼 또는 버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이형 증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증류장치가 증류대상물질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와 최상단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트레이형 증류장치에 있어서 기체-액체(슬러리) 유량에 따라 정상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증류장치가 증류대상물질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와 최상단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트레이형 증류장치에 있어서 기체-액체(슬러리) 유량에 따라 정상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류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디까지나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구체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이형 증류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트레이형 증류장치(1)는 상부(20)에서 유입되는 증류대상물질이 트레이(30)로 흐르고, 하부(40)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기체는 트레이(30) 바닥에 마련된 다수개의 홀을 통해 트레이(30) 바닥면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증류대상물질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는, 몸체부(100),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 기체 유입부(300), 배출부(400), 회수부(500), 트레이(600) 및 다운커머(7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내부에서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는 원통형 챔버로서, 내부에 복수개의 트레이(600) 및 다운커머(700)를 수용하며, 증류대상물질이 몸체부(100)의 상부에서 유입되고 기체(가스 또는 증기)가 몸체부(100)의 하부에서 유입된다.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증류대상물질이 투입되는 배관으로서, 증류대상물질이 상부에서 유입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최상단의 트레이(600a)보다 상측에 마련되어, 투입된 증류대상물질이 최상단 트레이(600a)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증류대상물질이 분산투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증류대상물질로서 PVC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류대상물질이 PVC인 경우 PVC 슬러리 또는 라텍스 형태이며 suspension, micro-suspension, emulsion polymerization 등을 통한 PVC solid particle이 10~60wt% 포함되어 있다. 이때 PVC는 단일 monomer 제품 일 수도 있고 copolymer 제품 일 수도 있다.
기체 유입부(300)는 기체가 투입되는 구성으로서 증류대상물질의 유입 방향과는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기체가 상승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아울러, 몸체부(100)의 상부에는 잔여 기체 및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여 분리된 휘발성 물질을 증류장치(10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00)가 마련되고, 몸체부(100)의 하부에는 증류대상물질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제거된 결과물질인 고순도 제품(product)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500)가 마련된다.
또한, 몸체부(100) 내부에는 트레이(600)가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각각의 트레이(600)에는 복수개의 홀(hole)이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600) 각각의 일측에는 다운커머(downcomer)(700)가 마련되어, 몸체부(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증류대상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다운커머(700)는 트레이(600)를 수평이동한 증류대상물질이 하부에 위치한 다음 트레이(600)로 이동하는 통로이므로 n-1번째 트레이의 일단에 다운커머가 마련된 경우 n번째 트레이의 타단에 다운커머가 마련되고, n+1번째 트레이의 일단에 다운커머가 마련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즉, 다운커머(700)를 통해 내려온 증류대상물질은 트레이(600) 상에서 수평이동하여 반대편에 위치한 다운커머(700)를 통해 다음 트레이(60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에 있어서, 베플(baffle)(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플(800)은, 각각의 트레이(600)에 복수개 구비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트레이(600) 상부로부터 내려온 증류대상물질이 트레이(600)상에서 다운커머(700)까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베플(800)이 마련되면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할 수 있는 이동 경로가 길어져서 기-액 반응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트레이(600)상에서 증류대상물질이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가 증류대상물질로부터 휘발성 물질을 분리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고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n-1번째 트레이(600a)의 증류대상물질은 위어(weir, 60a)를 넘쳐흘러 n-1번째 트레이(600a)와 n번째 트레이(600b)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 다운커머(downcomer, 70a)로 유입된 후, n번째 트레이(600b)를 수평으로 흘러 n번째 트레이(600b)의 위어(weir, 60b)를 넘쳐흘러 n+1번째 트레이(600c)로 내려간다.
이때, 증류대상물질이 트레이(600) 바닥면에서 베플(800)이 형성한 유로를 따라 수평으로 흐르는 동안, 트레이(600) 바닥면에 마련된 다수개의 홀을 통해 상승하는 기체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증류대상물질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이 분리된다.
여기서, 다운커머(70a)는 상측 트레이(600a)에서 흘러내리는 증류대상물질을 하측 트레이(600b) 위로 흘려 보내는 댐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레이형 증류장치(1)에서는 상부(20)에서 증류대상물질을 주입하는데, 초기 주입시 좁은 배관형태의 주입구를 통해 높은 압력을 가지고 주입되다가 내부가 진공인 몸체부(10)로 주입되면서 급격한 감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PVC(poly vinyl chloride) 중합 공정인 경우, VCM(Vinyl Chloride Monomer) 증발량이 극대화되어 폼(foam)이 발생하게 된다. 폼이 발생하면 인접하는 상측 트레이에 도달하여 정상 흐름 및 운전을 방해하거나, 기-액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물질전달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고, 특히 몸체부(10) 내부 최상단에서 발생하는 폼은 후단 공정으로 배출되어 공정을 오염시키거나, 후에 스케일(scale)로 발달하여 제품 품질 및 물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와 최상단 트레이(600a)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를 마련하고 있으며, 증류대상물질 예를 들어 PVC는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로 분산투입된다. 종래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배관을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로 설계하는 경우,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에 PVC가 분산투입되면, 하나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에 투입되는 PVC의 유량은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의 개수에 반비례하여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100) 내부와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 사이의 압력차가 줄어들고, 폼 또는 버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2개 내지 5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형 증류장치에는 기체-액체(슬러리) 유량에 따라 정상 운전이 가능한 범위가 존재한다. 도 6은 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투입되는 PVC의 유량이 소정의 임계치 이하가 되면 PVC가 트레이(600)를 수평이동하지 못하고 침강된다. 흐르지 못하고 침강되는 PVC는 고여서 스케일로 변할 우려가 있고, 트레이(600)의 홀을 막아 증류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에 동일한 유량의 PVC가 투입되는 경우 상술한 임계치 유량보다 큰 유량을 공급하면서도 폼 또는 버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 1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투입되는 유량의 1/3만큼 분산투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3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는 몸체부(100) 외부면 둘레를 따라 120°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방법의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트레이형 증류장치(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증류대상물질을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S100) 및 기체 유입부(300)로 기체를 제공하여 증류대상물질과 기체를 반응시켜 증류대상물질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증류대상물질은 서스펜션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제조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
서스펜션 중합공정으로 제조되는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메틸 메타크릴산(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PTF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에멜젼 중합공정으로 제조되는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메틸 메타크릴산(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PTF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증류대상물질로서 PVC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류대상물질이 PVC인 경우 PVC 슬러리 또는 라텍스 형태이며 suspension, micro-suspension, emulsion polymerization 등을 통한 PVC solid particle이 10~60wt% 포함되어 있다. 이때 PVC는 단일 monomer 제품 일 수도 있고 copolymer 제품 일 수도 있다.
증류대상물질을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S100)에 있어서, PVC는 각각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동일한 유량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투입되어야 할 유량은 하나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만이 구비되어 있을때의 1/3로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류장치가 정상 운전될 수 있는 최소 유량이다.
또한, PVC를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S100)에 있어서,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의 위치에 따라 투입되는 유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다운커머(700)와 가장 먼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에 공급되는 PVC의 유량만을 최소 유속(하나의 공급부만이 구비되어 있는 종래 증류장치 대비 1/3)보다 크게 되도록 하고, 다운커머(700)에 가까운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2,200-3)일수록 점점 더 작은 유량을 공급하여 최소 유속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PVC를 분산투입할 수 있다.
이때, 유량을 다르게 투입하는 것은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200-3)의 배관 직경을 변경하거나 노즐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운커머(700)와 거리가 멀수록 트레이(600)상에서 더 긴 유로를 이동해야 하므로 유속이 더 빨라야 하고 따라서 더 큰 유량의 PVC를 투입할 필요가 있고, 다운커머(700)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트레이(600)상에서 다운커머(700)를 통해 하부의 트레이(600)로 내려가기까지 짧은 유로만을 이동하게 되므로 유속을 천천히 하여 기체와의 반응시간을 길게 해 줄 필요가 있다. 물론 이때에도 최소 유속 이상을 만족하는 유량이 투입되어야 한다.
즉, 다운커머(700)와 먼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1)에는 투입되는 PVC 유량을 최소 유속보다 크게 되도록 조절 함으로써 PVC가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침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운커머(700)와 가장 가까운 증류대상물질 공급부(200-3)에 투입되는 PVC 유량은 최소 유속으로 조절 함으로써 PVC와 기체와의 반응시간을 최대한 길게 하여 휘발성 물질의 분리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예시로 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트레이형 증류장치
100: 몸체부
200-1~200-3: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300: 기체 유입부
400: 배출부
500: 회수부
600, 600a, 600b, 600c: 트레이
60a, 60b: 위어
700, 70a: 다운커머
800: 베플
100: 몸체부
200-1~200-3: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300: 기체 유입부
400: 배출부
500: 회수부
600, 600a, 600b, 600c: 트레이
60a, 60b: 위어
700, 70a: 다운커머
800: 베플
Claims (8)
- 내부에서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투입되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가 투입되는 기체 유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가 반응하여 분리된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로부터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제거된 결과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에 복수의 홀이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각각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다운커머(downcomer);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분산투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세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복수개 구비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 상부로부터 내려온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상기 트레이상에서 상기 다운커머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베플(baffle)을 더 포함하는 증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은 서스펜션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제조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
- 내부에서 증류대상물질과 기체가 반응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투입되는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가 투입되는 기체 유입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가 반응하여 분리된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로부터 상기 휘발성 물질이 제거된 결과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에 복수의 홀이 마련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각각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증류대상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다운커머(downcomer);를 포함하고,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한 증류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상기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유입부로 기체를 제공하여 상기 증류대상물질과 상기 기체를 반응시켜 상기 증류대상물질에 포함된 상기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류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상기 복수개의 증류대상물질 공급부에 분산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대상물질 공급부 각각에 상기 증류대상물질을 동일한 유량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대상물질은 서스펜션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에멀젼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제조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66847A KR20240081465A (ko) | 2019-12-30 | 2024-05-23 | 트레이형 증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408A KR20210084901A (ko) | 2019-12-30 | 2019-12-30 | 트레이형 증류장치 |
KR1020240066847A KR20240081465A (ko) | 2019-12-30 | 2024-05-23 | 트레이형 증류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408A Division KR20210084901A (ko) | 2019-12-30 | 2019-12-30 | 트레이형 증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1465A true KR20240081465A (ko) | 2024-06-07 |
Family
ID=766868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408A KR20210084901A (ko) | 2019-12-30 | 2019-12-30 | 트레이형 증류장치 |
KR1020240066847A KR20240081465A (ko) | 2019-12-30 | 2024-05-23 | 트레이형 증류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408A KR20210084901A (ko) | 2019-12-30 | 2019-12-30 | 트레이형 증류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070868A4 (ko) |
JP (1) | JP7547485B2 (ko) |
KR (2) | KR20210084901A (ko) |
CN (1) | CN115023275B (ko) |
WO (1) | WO202113743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5936A (en) * | 1979-06-28 | 1981-10-20 | Chevron Research Company | Fractionation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heat recovery from bottom stream |
BR8600564A (pt) * | 1985-02-11 | 1986-10-21 | Falvourtech Pty Ltd | Dispositivo de contato de contra-corrente ou coluna de destilacao,sistema para reduzir o conteudo alcoolico de uma bebida contendo alcool,sistema para reduzir o conteudo alcoolico de vinho,sistema para remocao de aroma e/ou sabor de um suco de fruta,sistema para dessulfurizar um liquido e processo para destilar,destilar por fracionamento ou remover um componente volatil selecionado,ou componentes de um liquido |
US5130102A (en) * | 1990-06-11 | 1992-07-14 |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 Catalytic distillation reactor |
JPH0824502A (ja) * | 1994-07-19 | 1996-01-3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蒸留塔 |
EP0964732A1 (en) | 1997-03-03 | 1999-12-22 | Koch Enterprises, Inc. | Downcomer for chemical process tower |
JPH11226301A (ja) * | 1998-02-20 | 1999-08-24 | Nippon Shokubai Co Ltd | 蒸留方法及び蒸留装置 |
JP3856974B2 (ja) * | 1999-02-17 | 2006-12-13 | 株式会社日本触媒 | 蒸留方法及び蒸留装置 |
JP3787261B2 (ja) * | 1999-04-16 | 2006-06-21 | 株式会社日本触媒 | 易重合性化合物の重合防止方法 |
JP2002085902A (ja) | 2000-09-12 | 2002-03-26 | Sumitomo Heavy Ind Ltd | 蒸留装置及び蒸留方法 |
KR100428379B1 (ko) * | 2001-04-16 | 2004-04-29 | (주)알.케이.테크 |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
JP4848112B2 (ja) | 2001-09-28 | 2011-12-28 | 住友化学株式会社 | 易重合性物質の蒸留方法 |
FR2875145A1 (fr) * | 2004-09-15 | 2006-03-17 | Manuf De Prod Chim De Tournan | Dispositif de traitement par distillation de fraction hydrocarbonee |
KR200372878Y1 (ko) * | 2004-10-18 | 2005-01-15 | 종 출 이 | 증류기의 트레이구조 |
EP2540365B1 (en) * | 2011-06-27 | 2017-05-03 | Neste Oyj | Feed section of a separation column |
US9266035B2 (en) * | 2012-09-06 | 2016-02-23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Distillation tower feed device |
JP6033050B2 (ja) * | 2012-11-16 | 2016-11-30 |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芳香族炭化水素製造装置 |
CN202983264U (zh) * | 2012-12-27 | 2013-06-12 | 上虞市解氏化学工业有限公司 | 一种生产邻氟苯胺的精馏塔用进料喷口 |
US9919238B2 (en) * | 2013-07-18 | 2018-03-20 | Lg Chem, Ltd. | Distillation apparatus |
KR101602017B1 (ko) * | 2013-07-19 | 2016-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중 벽 기액장치 |
KR101779547B1 (ko) * | 2016-11-02 | 2017-09-18 | 주식회사 포스코 | 증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첨가제 제조 설비 |
CN207950707U (zh) * | 2018-01-31 | 2018-10-12 | 丹阳同泰化工机械有限公司 | 一种高效气液分离器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7408A patent/KR20210084901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0
- 2020-11-23 CN CN202080091129.1A patent/CN115023275B/zh active Active
- 2020-11-23 JP JP2022540682A patent/JP7547485B2/ja active Active
- 2020-11-23 WO PCT/KR2020/016577 patent/WO2021137435A1/ko unknown
- 2020-11-23 EP EP20909691.6A patent/EP4070868A4/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5-23 KR KR1020240066847A patent/KR2024008146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70868A4 (en) | 2024-01-03 |
JP7547485B2 (ja) | 2024-09-09 |
JP2023509048A (ja) | 2023-03-06 |
CN115023275A (zh) | 2022-09-06 |
CN115023275B (zh) | 2024-05-31 |
WO2021137435A1 (ko) | 2021-07-08 |
EP4070868A1 (en) | 2022-10-12 |
KR20210084901A (ko)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40813A (en) | Method for reducing volatiles in polymerized styrene | |
CN110746524B (zh) | 脱挥发分设备和使用该脱挥发分设备的过程 | |
KR20070067617A (ko) | 폴리머 함유 액체용 정지형 탈휘발화 장치 | |
CA2493819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volatiles from a mass processable polymer | |
CN111699202B (zh) | 一种回收溶液聚合过程中的烯烃的方法 | |
CN86102878A (zh) | 聚合合成物的连续处理方法 | |
KR20240081465A (ko) | 트레이형 증류장치 | |
US4184857A (en) | Stripping column and process for removal of volatile matter | |
CN111295397B (zh) | 一种在溶液聚合过程中回收烯烃的方法 | |
EP3142781B1 (en) | Systems and methods using an insert assembly with stacked gas flow gaps | |
EP0855410B1 (en) | Devolatilizer tray array | |
JP2010504848A (ja) | 三相蒸気分配器 | |
JP2004277702A (ja) | ポリマーから揮発成分を分離する方法 | |
JP6494048B2 (ja) | 脱去装置{stripping apparatus} | |
KR102141517B1 (ko) | 폴리머로부터 탄화수소를 분리하는 방법 | |
EP2548896A1 (en) | Residual monomer elimination device and polyvinyl alcohol resin production method | |
AU2019280943B2 (en) | Device for residual-monomer removal | |
CA1138769A (en) | Process for stripping volatile material from aqueous latex | |
KR102577183B1 (ko) | 증류장치 및 증류방법 | |
JPH02232205A (ja) | 揮発性物質の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 |
US6364939B1 (en) | Method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foam during the treatment of a dispersion or a liquid with water vapour | |
EP1201284A2 (en) | Solvent exchange column and a method of use therefor | |
KR20230140863A (ko) | 액체 트랩 탱크 및 액체 트래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