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460A -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460A
KR20240080460A KR1020220163838A KR20220163838A KR20240080460A KR 20240080460 A KR20240080460 A KR 20240080460A KR 1020220163838 A KR1020220163838 A KR 1020220163838A KR 20220163838 A KR20220163838 A KR 20220163838A KR 20240080460 A KR20240080460 A KR 2024008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fur
manufacturing
was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유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유퍼
Priority to KR102022016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0460A/ko
Publication of KR2024008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0Cutting furs; Making fur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2Finishing, e.g. pointing furs; Producing designs o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의류에서 추출된 모피를 이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fur products using waste clothing}
본 발명은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의류에서 추출된 모피를 이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쓰레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리사이클, 또는 업사이클 등의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식주의 하나인 의류의 폐기물의 경우, 환경 오염의 주범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조사에 의하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폐수 발생의 20%를 의류 업계가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모피류를 포함한 모피 제품의 경우, 천연모피의 경우 동물 보호 이슈와 결부되어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인조모피의 경우에도 제조~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의 문제가 항상 발생한다.
따라서, 폐 의류에서 모피류로 이루어진 모피부를 분리,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제10-21166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 의류에서 추출된 모피를 이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은, 폐기된 의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 기준에 따라서 제1 의류와 제2 의류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된 의류를 세척하는 1차 세척 단계; 상기 세척된 의류에서 모피류를 절개하여 분리 모피를 제조하는 1차 절개 단계; 및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세척하는 2차 세척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의 면적이 50% 이상인 제1 의류와, 모피류의 면적이 50% 미만인 제2 의류로 분류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의류에 대해서 레이저 스캐닝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용도에 따라서 재 절개하는 2차 절개 단계; 및 상기 2차 절개된 모피를 제품에 적용하는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의하면, 폐 의류에 포함된 모피류의 면적에 따라서 폐 의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폐 의류에서 모피류를 분리, 추출하여 모피제품 제조에 활용함으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폐 의류를 이용하여 모피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단순 면적 계산이 아니라, 모피류 부분의 부분별 일체성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유리한 재활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분류 단계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 부분의 전체 면적 비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모피류로 이루어진 각 부분의 면적 또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분류 기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의류를 분류하고, 리사이크 및 업사이클에 최적의 의류를 선택하여 리사이클 및 업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은, 폐기된 의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 기준에 따라서 제1 의류와 제2 의류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된 의류를 세척하는 1차 세척 단계; 상기 세척된 의류에서 모피류를 절개하여 분리 모피를 제조하는 1차 절개 단계; 및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세척하는 2차 세척 단계; 를 포함한다.
<수집 단계>
수집 단계는, 폐기된 의류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폐기된 의류의 수집은 종래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집 단계에서는, 의류의 분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분류 단계>
분류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집된 의류는, 분류 단계에서 분류 기준에 따라서 제1 의류와 제2 의류로 분류된다. 상기 분류 기준에 의하면, 상기 수집된 의류는, 각각의 상기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의 면적이 50% 이상인 제1 의류와, 모피류의 면적이 50% 미만인 제2 의류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분류됨에 따라서, 분리 모피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만일, 모피류의 면적이 의류 면적의 50% 이상인 경우, 모피류의 분리 및 절개가 간편하다. 그러나, 의류 면적의 50% 미만인 경우에는, 모피류의 분리 및 절개가 복잡하며, 따라서 재활용 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전체 면적이라 함은, 소정의 계산식으로 도출되는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의류 전체의 면적을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스캔한 후, 면적값을 도출한다. 이어서, 모피로 이루어진 부분의 면적을 동일하게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스캔한 후, 면적값을 도출한다. 이어서, 상기 전체 면적값 대비 모피부의 면적값을 비율로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모피부의 면적은 전체 모피부의 면적이 아니라, 특정 부분으로서 연속을 이루는 부분의 면적일 수 있다.
즉, 모피가 의류의 여러 부분에 걸쳐서 이루어진 경우, 회수율이 적어질 수 있고, 재생율 또한 낮아질 수 있는 반면에, 모피로 이루어진 부분이 넓은 면적에 걸쳐서 연속으로 이루어진 일 부분일 경우, 회수율 및 재생율이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수 및 재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가 또한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모피로 이루어진 일 부분의 면적이 클수록 유리하므로, 이처럼 넓은 면적에 걸쳐서 모피로 이루어진 일 부분이 있는 경우에만 별도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순 면적 계산이 아니라, 부분별 판단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유리한 재활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분류 기준은 반드시 50% 를 기준으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전체 면적의 50 % 미만인 경우에도, 모피류가 일체로 구성된 부분이 전체 면적의 40% 일 경우, 재활용 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 부분의 전체 면적 비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모피류로 이루어진 각 부분의 면적 또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분류 기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의류에 대해서 레이저 스캐닝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이저 스캐닝 방법에 의하면, 의류에 포함된 재질을 모피류와 그 외의 재료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저 스캐닝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적외선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1차 세척 단계>
1차 세척 단계는, 상기 분류된 제1 의류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1차 세척 단계에서 세척되는 의류는 모피류가 아직 절개되기 전 상태이다. 따라서,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등의 1차적인 세척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절개 단계>
1차 절개 단계는, 상기 1차 세척된 의류에서 모피류를 절개하여 분리함으로서, 분리 모피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1차 절개 단계는 의류에서 모피류만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단계로서, 모피류의 분리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적 방법으로 모피류를 직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아울러, 1차 절개 단계는 여러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모피류와 직물류를 연결하는 결합 실을 연화하는 단계와, 상기 연화된 실을 물리적으로 뜯는 물리적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2차 세척 단계>
2차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세척한다. 상기 절개 단계를 거침에 따라서, 모피만으로 이루어진 분리 모피가 제조되므로, 분리 모피에 대해서 모피 세척 방법을 적용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세척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세척 방법은 모피의 세척에 적합한 세척 방법일 수 있다. 아울러, 2차 세척 단계는, 세척 외에, 코팅, 건조 등의 다양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 절개 단계 및 제조 단계>
실시예에 의하면, 2차 절개 단계, 및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절개 단계는, 상기 절개 및 세척된 분리 모피를 용도에 따라서 재 절개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모피 코트를 제조할 경우, 코트 제조에 적절한 면적으로 상기 분리 모피를 절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피류의 면적이 비교적 큰 의류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재활용 가능성 및 적용 제품의 폭이 커질 수 있다.
이어서, 제조 단계는, 상기 2차 절개된 모피를 제품에 적용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적용 단계에서는, 통상적인 모피 제품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적용 단계는, 상기 2차 절개된 모피를 재처리하는 재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처리 단계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에 의해서 모피를 재처리 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옻칠 경화, 코팅제 도포, 화학적 처리, 방향제 첨가, 약품 첨가, 분쇄, 염색, 프레싱, 접합, 건조 등의 물리적, 화학적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에 의하면, 폐 의류에 포함된 모피류의 면적에 따라서 폐 의류를 분류하고, 분류된 폐 의류에서 모피류를 분리, 추출하여 모피제품 제조에 활용함으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폐 의류를 이용하여 모피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분류 단계에서 분류된 제2 의류에 대해서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2 의류는 모피류의 함량이 적은 의류이므로, 일반적인 폐기 과정을 거치거나, 또는 다른 방법의 리사이클 방법을 적용하여 모피류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분류 단계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 부분의 전체 면적 비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모피류로 이루어진 각 부분의 면적 또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분류 기준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의류를 분류하고, 리사이크 및 업사이클에 최적의 의류를 선택하여 리사이클 및 업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사이클 및 업사이클 제품을 폭넓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수집 단계
200: 분류 단계
300: 1차 세척 단계
400: 1차 절개 단계
500: 2차 세척 단계
600: 2차 절개 단계
700: 적용 단계

Claims (4)

  1. 폐기된 의류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 기준에 따라서 제1 의류와 제2 의류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된 의류를 세척하는 1차 세척 단계;
    상기 세척된 의류에서 모피류를 절개하여 분리 모피를 제조하는 1차 절개 단계; 및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세척하는 2차 세척 단계;
    를 포함하는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의류의 전체 면적 대비 모피류의 면적이 50% 이상인 제1 의류와, 모피류의 면적이 50% 미만인 제2 의류로 분류하는 것인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수집된 의류에 대해서 레이저 스캐닝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수집된 의류를 분류하는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분리 모피를 용도에 따라서 재 절개하는 2차 절개 단계; 및
    상기 2차 절개된 모피를 제품에 적용하는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KR1020220163838A 2022-11-30 2022-11-30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KR20240080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38A KR20240080460A (ko) 2022-11-30 2022-11-30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838A KR20240080460A (ko) 2022-11-30 2022-11-30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460A true KR20240080460A (ko) 2024-06-07

Family

ID=9148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838A KR20240080460A (ko) 2022-11-30 2022-11-30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04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35B1 (ko) 2019-09-09 2020-05-28 신은정 독고가죽을 활용한 업사이클 가죽주머니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35B1 (ko) 2019-09-09 2020-05-28 신은정 독고가죽을 활용한 업사이클 가죽주머니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andez et al. Polyester textiles as a source of microplastics from households: a mechanistic study to understand microfiber release during washing
Soto et al. A real case study of mechanical recycling as an alternative for managing of polyethylene plastic film presented in mixed municipal solid waste
Horodytska et al. Plastic waste management: current status and weaknesses
US11465156B2 (en) Waste processing
CN104452310B (zh) 基于废旧衣物制备高性能涤纶纤维工艺
Nayak et al.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processes adapted by fashion brands
SK279837B6 (sk) Spôsob oddeľovania podielov plastických hmôt zo zm
Kim et al. Pilot trial on separation conditions for diaper recycling
Candido Recycling of textiles and its economic aspects
Pinlova et al. Characterization of fiber fragments released from polyester textiles during UV weathering
Agrawal et al. Municipal textile waste and its management
KR20240080460A (ko) 폐 의류를 활용한 모피제품 제조 방법
KR20240056048A (ko) 폐 의류를 활용한 가죽제품 제조 방법
RKMDS et al. Environmental pollution by tea processing
CN109477255A (zh) 制备用于再生皮革基底的纤维的方法
Cho et al. A study on decision tree creation using intervening variable
Wojnowska-Baryła et al. The Growing Problem of Textile Waste Generation—The Current State of Textile Waste Management
Sahoo et al. Recycled fibres from polyester and nylon waste
RU2414551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бытовых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тходов вторичного текстиля
Radev et al. Textile waste in the context of the circular economy
Pambudi et al. Upcycled design: From plastic bag to bicycle bag
Sautina WASTE RECYCLING
KR20150085179A (ko) 낙엽을 이용한 종이 제조 방법
Lee et al. Development of an economically sustainable recycling process for the footwear sector
Kliś Recycling of production waste of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in circular economy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