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831A -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 Google Patents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9831A KR20240079831A KR1020220163140A KR20220163140A KR20240079831A KR 20240079831 A KR20240079831 A KR 20240079831A KR 1020220163140 A KR1020220163140 A KR 1020220163140A KR 20220163140 A KR20220163140 A KR 20220163140A KR 20240079831 A KR20240079831 A KR 20240079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defibrillator
- automatic external
- cardiac arrest
- sudden cardiac
- storage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49418 Sudden Cardiac Death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08000014221 sudden cardiac arrest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0446 Cardia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은,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용 모니터링 장치;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 및 모니터링 장치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에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하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한다.A system for identifying and rescuing patients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is disclosed.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for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that monitors the status of users using a specific space to determine wheth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has occurre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manage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stored in the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a monitoring device an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each of which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provides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t includes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that scan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and sends a dispatch notification to those capable of rescue operations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급성심정지 환자를 식별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구조할 수 있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that can remotely identify and more efficiently rescu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공항, 터미널, 지하철 대합실, 대형 백화점, 대형 쇼핑몰, 대형마트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시설과 공공장소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응급 용품이나 응급 처치장비들이 수납된 응급 구조함이 다수 배치된다. In general, in public places and multi-use facilities where many people gather, such as airports, terminals, subway waiting rooms, large department stores, large shopping malls, large supermarkets, and amusement parks, emergency supplies and emergency supplies that can provide first aid are provide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 number of emergency rescue boxes containing treatment equipment are placed.
또한, 응급 처치 용품들 외에도 심장에 전기충격을 줄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배치하여, 심정지 등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시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다. Additionally, in addition to first aid supplies, we have deployed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that can deliver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so that it can deliver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cardiac arrest.
그러나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여부,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위치의 근처에 응급 장비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 등이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경우 신속하게 응급상황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f the occurrence of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nd whether emergency equipment is provided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re not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problems may arise in which emergency situations cannot be quickly responded to.
따라서 터미널이나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다중 이용 시설과 공공장소에서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patients with sudden cardiac arrest have occurred in public places and multi-use facilities where many people gather, such as terminals, subway waiting rooms, and amusement parks.
한편, 응급 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는 날씨의 의한 환경적 변화 요소에 따라 변화량을 예측할 수 없고, 또한 자연방전으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응급 상황시 사람의 생명을 지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자연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Meanwhil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which is an emergency equipment, has a built-in battery to receive power,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attery cannot be predicted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 factors such as the weather, and also becomes unusa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natural discharge.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are times when it is not possible to protect a person's lif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pontaneous discharg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tinuously check the discharge state of the batter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는 패드의 겔이 마르게 되면 인체에 패드를 부착시킬 수 없게 되므로, 패드의 겔이 마르지 않고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관함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annot attach the pad to the human body when the gel on the pad dries, it is essential to have technolog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torage box at appropriate conditions so that the gel on the pad does not dry out and is maintained in optimal condition. .
종래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잔량 및 패드를 관리하기 위해 자동심장충격기의 배치날짜를 이용해 일정 기간의 유통기한을 설정한 후, 그 유통기한에 맞추어 배터리와 패드 교체도 하고 수기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점검도 해왔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anage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pads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 expiration date for a certain period was set using the deployment dat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then the batteries and pads were replaced according to the expiration date, and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was manually recorded. I have also inspected it.
특히, 자동심장충격기를 장시간 보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매월 점검해야 하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 날짜를 사용하여 일정기간의 유통기한을 정한 후, 그 기한에 맞추어 교체하는 방식으로는 그 관리량이 많아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자동심장충격기의 다중 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설치 의무화 관련 법안이 시행되면서 급속도로 증가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 장소들을 일일이 찾아내어 점검하기에는 더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an be used stably while being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di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must be checked every month. However, the expiration date for a certain period is set using the installation dat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then replaced according to that deadline. This method is difficult to manage due to the large amount of management. Moreov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 mandating the installation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in multi-use facilities and apartment complexes, it became even more difficult to find and inspect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installation location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또한,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람의 왕래가 드문 늦은 밤이나 새벽 시간에 고가의 의료장비 도난사고가 발생하여 필요 시,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고가 장비인 자동심장충격기의 도난으로 금전적인 손해 및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it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heft of expensive medical equipment occurs late at night or early in the morning when there is little traffic, which not only causes problems of not being able to use the equipment when necessary, but also causes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which is an expensive equipment, to be stolen. There were also problems with financial loss due to theft and the inability to prepare for emergency situations.
이와 관련하여, 근래에는 시, 군, 구나 관할 보건소 및 설치기관의 관리책임자 등의 통합관제센터에서 공공장소에 설치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위치 및 보관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었다.In relation to this, in recent years, integrated control center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under city, county, or district jurisdictions and managers of installation organizations monito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storage status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installed in public places and request rescu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re was a demand for an emergency rescue system that could perform up to
그러나 현 시점에서의 응급 구조 시스템은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 위치와 배터리 및 패드 관리 기한 및 도난, 분실 여부 등에 대해서만 주기적으로 통보해주는 정도일 뿐, 실질적으로 관할 보건소의 관리 담당자들이 일일이 보관함을 찾아 확인하고 관리해야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더더욱 효율적인 관리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응급장비를 매월 1회 이상 점검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므로, 더욱 그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However, the current emergency rescue system only provides periodic notification of the storage loc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battery and pad management deadline, and whether it is stolen or lost. In reality, managers at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find and check each storage box and manage it. Since this is a system that must be managed, an even more efficient management platform is needed.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n obligation to inspect emergency equipment at least once a month unde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management efficiency must be further improved.
결국, 종래에는 공공장소에서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갑자기 발생한 급성심정지 환자에 대한 대응이 늦어질 수 밖에 없으며,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위치의 근처에 자동심장충격기가 마련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도 어려울 뿐더러, 자동심장충격기가 마련된 위치를 알더라도 그 자동심장충격기가 정상인 상태가 아니라면 급성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수 없게 되거나, 새로운 자동심장충격기를 찾아서 또 다시 시간을 낭비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end, conventionally,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in real time wheth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has occurred in a public place, so the response to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s inevitably delayed, an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installed near the location of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Not only is it difficult to know the exact location, but even if you know wher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installed, i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not in a normal condition, you will not be able to perform CPR on a patient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or you will have to waste time searching for a new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Problems may aris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 발생 위치로 누구보다도 빠르게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도착하여 급성심정지 환자를 구조할 수 있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nitor the status of users using a specific space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has occurred and to manage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a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Furthermore, you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and scan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location. By sending a dispatch notification to those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near the location, identification and rescue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can be made by arriving at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occurred faster than anyone else with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normal condition and rescuing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providing a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용 모니터링 장치;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에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하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nitoring device for identifying acute cardiac arrest patients that monitors the status of users using a specific space to determine wheth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has occurre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manage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stored in the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AED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respectively,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from the monitoring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of patients with sudden cardiac arrest, comprising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that scan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nd sends a dispatch notification to persons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 system may be provided.
상기 구조활동 가능자는 심폐소생술이 가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통해 출동 알림을 받을 수 있는 CPR 서포터즈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제센터는,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에서 출동 알림에 대한 승락 답변을 받은 CPR 서포터즈의 위치와,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수납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경유하여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상기 CPR 서포터즈에게 제공할 수 있다.Persons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include CPR supporters who are capable of CPR and can receive dispatch notifications through an app on a mobile device,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provides an approval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PR supporter who received the CPR, the loc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nd the state of the stor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ontain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a normal state is determined. The shortest travel route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can be provided to the CPR supporters via .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들에 대한 영상 정보인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정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이용객의 영상인 이용객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특징을 상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는 응급 상황 인지부; 및 상기 응급 상황 인지부에 의해 응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로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응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n image registration database that stores images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which is imag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An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that detects an object from a user image, which is the image of the user captured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object with the registered images of one or mor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to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ituation by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it may include a respons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occurrence information service to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각각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provides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includes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is dispos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of each of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provide data regarding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t least one IoT (Internet of Things) terminal that collects and transmits the data to a serv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that stores and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IoT terminal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합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기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합리시버는 수신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비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tegrated receiver that receives the data from at least one IoT terminal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server, wherein the IoT terminal encrypts the collected data and encrypts it. Converted into data, the converted encryp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ceiver, and the integrated receiver decrypts the received encrypted data, converts it into unencrypted data, and transmits the unencrypted data to the ser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유닛본체;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main body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 humidity control fan coupled to the storage unit main body and controlling humidity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a temperature control heating wire that is coupled to the storage unit main body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wherein the IoT terminal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Data 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torage space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cei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ncludes: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tachmen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main body to detect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able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 siren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main body to sound an alarm;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humidity control fan, the temperature control heating wir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tachment detection sensor, and the siren;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the heating wi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able, the siren, and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IoT terminal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able. Data on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able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cei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placed outdoors, and provides a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o as to protect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from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snow, rain, and wind. It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급호출버튼; 및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상기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includes a tower main body that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the storage unit; A door coupled to the tow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An emergency call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er main body; and a door open/closed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er body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closed, wherein the IoT terminal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and opens/closes the doo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ed, and whether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activated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ceiver.
상기 IoT 단말기가 수집하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The data about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may be data about self-diagnosis that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regularly perform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들에 대한 영상 정보인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고, 응급 상황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objects by photographing users using a specific space in real time with a camera, and compare them with images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which are imag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Able to recognize emergency situations and provide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또한,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및 패드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및 충격여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동작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located in a public place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operating normally, the battery status and pad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shock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y monitoring whether the door of the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ed, and whether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activated,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ereby increas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osts can be reduced.
나아가,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함으로써,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 발생 위치로 누구보다도 빠르게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도착하여 급성심정지 환자를 구조할 수 있다.Furthermor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s provided, and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location is scanned, near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location. By sending a dispatch notification to those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arrive at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a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occurs faster than anyone else with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normal condition and rescue the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구조 과정의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질환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자동심장충격기 및 IoT 단말기의 단말 계통 인증작업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enario of an emergency rescue process using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device fo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the cardiac disease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lowchart of the terminal system authentication process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an IoT terminal.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s pulled out from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ure 8, show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being introduced into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ure 10.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구조 과정의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질환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자동심장충격기 및 IoT 단말기의 단말 계통 인증작업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이 수납유닛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의 후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cenario of an emergency rescue process using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dentification and rescue of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system.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and 5 illustrate a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of the cardiac disease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terminal system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IoT terminal.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w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s withdrawn from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It is a drawing,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 8,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unit storage space,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 9.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art of the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of FIG. 10.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은, 카메라(C)와, 모니터링 장치(10)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와, 통합관제센터(20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 camera (C), a monitoring device (10), an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1000). Includes control center (2000).
카메라(C)는 공항, 터미널,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용객을 촬영하여 이용객 영상을 제공하는 CCTV 또는 영상 센서일 수 있다.The camera (C) may be a CCTV or video sensor installed in one or more public places, such as airports, terminals, subway waiting rooms, and amusement parks, to film users and provide user images.
시스템 관리자 단말(2)은 모니터링 장치(10)에 의해 감지된 응급 상황을 사용자가 모니터링하여 대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테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PDA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모니터링 장치(10)는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영상 관리부(11)와, 응급 상황 인지부(12)와, 대응 처리부(13)와,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10)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영상과 이용객 영상을 관리하며, 카메라(C)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 및 객체의 특징을 추출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고, 응급 상황일 경우 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시스템 관리자 단말(2)에 알린다. This
영상 관리부(11)는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미리 저장된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을 통해 저장된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 데이터 및 카메라(C)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이용객으로부터 객체를 검출하여, 객체의 특징으로부터 응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전 데이터를 획득 및 관리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급성심정지 환자 등록부(11a)와,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 관리부(11b)와, 이용객 영상 등록부(11c)를 포함한다.The
급성심정지 환자 등록부(11a)는, 미리 알려진 급성심정지 환자의 영상을 등록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영상 정보를 확보한다. 이는 급성심정지 환자가 응급상황에서 취하는 행동 패턴에 의해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register 11a registers images of previously known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and secures image inform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This allows the characteristics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to be extracted based on the behavioral patterns they take in emergency situations and stored in the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 관리부(11b)는 미리 알려진 급성심정지 환자의 전조 증상을 급성심정지 환자의 영상 정보에서 추출한다. 미리 알려진 급성심정지 환자의 전조 증상은, 이동 중 심장부위의 통증으로 인하여 가슴을 움켜쥐는 상황, 급성심정지의 발생으로 쓰러지는 현상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심장부위의 통증으로 인하여 가슴을 움켜쥐는 상황은, 성인 남성의 이동중인 상황에서 손의 말단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뒤, 일시적으로 이동을 멈춘 상황에서 손의 말단 위치가 무게 중심의 위치 근처로 이동하는 경우 1차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이와 and 조건으로, 이동 중인 사람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동 중인 사람의 체적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뒤, 이동 중인 사람의 무게 중심이 급격하게 하방으로 낮아지는 상황(예를 들어 성인 남성의 이동 중인 상태의 일반적인 무게 중심의 위치가 기 저장된 기준 위치인 지면에서 50cm 이내로 변화되는 경우)은 이동중인 성인 남성이 급성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 관리부(11b)는 기존의 급성심정지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을 추출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필드화 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 데이터를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여기서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 데이터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체적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파악한다. 즉 미리 설정된 급성심정지 환자의 기준 무게 중심을 기반으로 급성심정지이 발생하는 경우의 무게 중심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파악하여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 응급으로 심혈관 질환이 발생한 급성심정지 환자의 이동 영상을 저장하고, 이로부터 급성심정지가 발생하기 전인 급성심정지 환자의 무게 중심 위치와 급성심정지가 발생한 뒤의 무게 중심 위치를 비교하여급성심정지가 발생한 경우의 무게 중심 위치 변화로부터 급성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의 무게 중심 위치 변화에 따른 급성심정지 발생 기준 범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을 추출하여 필드화 되는 데이터의 일 예는 아래의 <표 1>과 같다.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표 1><Table 1>
위 <표 1>을 참조하면,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을 추출하여 필드화 되는 데이터는 얼굴영상, 신체영상, 손의 위치 변화율, 무게중심변화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태값은 정상상태인 '0'과 응급상태인 '1'로 추출할 수 있다.<표 1>의 열굴영상의 데이터 값이 '0' 인 경우는 얼굴영상에서 눈, 코, 입을 마킹 포인트로 설정하여 일그러짐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하고, 열굴영상의 데이터 값이 '1' 인 경우는 얼굴영상에서 눈, 코, 입을 마킹 포인트로 설정하여 일그러짐의 변화가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the data that is fielded by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may include facial images, body images, hand position change rate, and center of gravity change rate data. Due to this, the state value can be extracted as '0', which is the normal state, and '1', which is the emergency state. If the data value of the open cave image in <Table 1> is '0', the eyes, nose, and mouth are marked on the face image. Th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change in distortion by setting it as a point, and when the data value of the heat bend image is '1', it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change in distortion occurs by setting the eyes, nose, and mouth as marking points in the face image.
<표 1>의 신체영상 데이터 값이 '0'인 경우는 무게 중심의 변화에 따른 이동 그래프의 연장선이 지면의 수평선과 교차되지 않고 나란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하고, 신체영상 데이터 값이 '1'인 경우는 무게 중심의 변화에 따른 이동 그래프의 연장선이 지면의 수평선과 교차되는 상태를 말한다.If the body image data value in <Table 1> is '0', i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line of the movement graph due to the change in center of gravity is parallel to the horizontal line of the ground without intersecting, and if the body image data value is '1' This refers to a state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movement graph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intersects the horizontal line on the ground.
<표 1>의 손의 위치 변화율 값이 '0'인 경우는 미리 설정된 안정 상태의 손의 위치 변화율 범위에 속하는 경우의 상태이며, 손의 위치 변화율 값이 '1'인 경우는 미리 설정된 안정 상태의 손의 위치 변화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이다.If the hand position change rate value in <Table 1> is '0', it is in the preset steady state hand position change rate range, and if the hand position change rate value is '1', it is in the preset stable state. This is a state where the hand position change rate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표 1>의 무게중심 변화율 값이 '0'인 경우는 미리 설정된 안정 상태의 무게 중심 변화율 범위에 속하는 경우의 상태이며, 무게중심 변화율 값이 '1'인 경우는 미리 설정된 안정 상태의 무게 중심 변화율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이다.If the center of gravity change rate value in <Table 1> is '0', it is within the preset stable state center of gravity change rate range, and if the center of gravity change rate value is '1', it is within the preset stable state center of gravity change rate range. This is a state in which the rate of change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이와 같은 데이터는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 될 수 있다.Such data can be extracted from images of patients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and stored in advance.
이용객 영상 등록부(11c)에는, 공항, 터미널,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영상을 카메라(C)로부터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등록한다.In the
응급 상황 인지부(12)는, 이용객 영상 등록부(11c)에 등록된 다수의 이용객 상태를 필드화된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 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도록 필드화하고, 필드화된 이용객 상태 데이터를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이용객의 상태 데이터는 이용객이 이동하는 중에 이용객의 체적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를 파악하여 안전범위 내(이는 이용객의 체적에 대한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상하위 5%이내의 변화를 의미한다)에서 무게 중심이 변화하고 있는지 여부와,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객의 무게 중심 변화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지 여부는 전술한 급성심정지 환자의 무게 중심 위치 변화에 따른 급성심정지 발생 기준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말한다.The emergency
응급 상황 인지부(12)는, 객체 검출부(12a)와, 특징 추출부(12b)와, 급성심정지 환자 인식부(12c)와, 응급 상황 판단부(12d)를 포함한다. The emergency
객체 검출부(12a)는, 카메라(C)로 부터 전달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포함된 이용객으로부터 객체를 검출한다. 객체 검출 기술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특징 추출부(12b)는 객체 검출부(12a)에 의해 검출된 객체로부터 특징을 추출한다. 이는 전술한 <표 1>의 데이터 필드와 매핑될 수 있는 특징으로, 얼굴영상, 신체영상, 손의 위치 변화율, 무게중심변화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급성심정지 환자 인식부(12c)는 특징 추출부(12b)에 의해 추출된 특징과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데이터의 특징을 비교한다.The sudden cardiac arrest
응급 상황 판단부(12d)는 급성심정지 환자 인식부(12c)의 비교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필드의 상태 값이 '0'인 정상상태와 데이터 필드의 상태 값이 '1'인 응급 상황 발생 상태를 구분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한다.The emergency
다시 말해, 응급 상황 인지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필드화 되어 미리 저장된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과 필드화 되어 저장된 이용객 상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용객 상태 데이터가 급성심정지 환자 특징에 매칭되는 경우 응급 상황으로 인지하여 응급 상황 발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용객 상태 데이터가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에 매칭되는 경우는,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급성심정지 발생 기준 범위에 속하게 된 상태와, 이후 이용객이 정지하여 이동이 없는 상태에 있어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없는 지 여부를 종합하여 판단한다. 응급 상황 인지부(12)는 이용객의 상태 테이터가 전술한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급성심정지 발생 기준 범위에 속하게 된 상태와, 이후 이용객이 정지하여 이동이 없는 상태에 있어 무게 중심 위치 변화가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 응급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응급상황 발생 신호는 전술한 <표 1>의 급성심정지 환자의 특징을 추출하여 필드화 되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 1>의 상태 값이 '1'로 추출된 경우이다.In other words, the emergency
대응 처리부(13)는, 서비스 매핑부(13a)와, 응급상황 안내부(13b)와,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부(13c)와 응급상황 신고부(13d)와 추척 요청부(13f)를 포함한다.The
서비스 매핑부(13a)는, 응급 상황 인지부(12)에서 생성된 응급상황 발생 신호에 기초하여 응급 상황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응급 상황에 상응하는 응급 상황 발생 서비스를 매핑한다. As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s input based o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응급상황 안내부(13b)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 유닛(1000)에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하고, 시스템 관리자 단말(2)로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달한다.The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부(13c)는 시스템 관리자의 대응 서비스 요청에 따라 카메라(C)가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스템 관리자 단말(2)에 제공한다. 즉 카메라(C)가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시스템 관리자 단말(2)에 전달한다.The real-time
응급상황 신고부(13d)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 유닛(1000)과 상호 통신하며 응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관할 소방서의 119 구조대, 경찰서, 의료기관 등으로 응급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한다. 이는 시스템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것일 수도 있고,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 유닛(1000)의 응급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호출버튼(530)으로 응급 상황 신고 요청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척 요청부(13f)는 추적이 필요한 사람일 경우 해당 이용객을 119 구조대, 경찰서, 의료기관 등의 추적을 요청할 수 있다.The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 알려진 급성심정지 환자를 촬영한 영상, 특징 정보 및 상태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영상 관리부(11)와 응급 상황 인지부(12)가 응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의 모니터링 장치(10)를 마련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들에 대한 영상 정보인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고, 응급 상황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는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구비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과,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와, 서버(90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심장충격기(100)가 단독으로 배치되는 경우(a)와, 자동심장충격기(1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b)와, 자동심장충격기(1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에 수납되고 다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c)가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case where the automatic
일반적으로, (a)와 (b)의 경우는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이며, (c)의 경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일 것이다.Generally, cases (a) and (b) will be installed indoors, and case (c) will be installed outdoors.
이하에서는 실외에 설치되는 (c)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며, 따라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은 옥외형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이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에 설치되는 (a)와 (b)의 경우에도 구성요소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관리방법은 유사하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case of (c) installed outdoors, and therefor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1) is an outdo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installed indoors. In the case of installations (a) and (b),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components, but the basic management method is similar.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The automatic external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은, 수납유닛본체(310)와, 슬라이딩 이동레일(320)과, 고정브라켓(330)과, 습도 조절용 팬(340)과, 온도 조절용 열선(350)과,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와, 사이렌(370)과, 전원공급부(38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is automatic external
수납유닛본체(31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rage unit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liding moving
평소에는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편하고 손쉽게 유지 보수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레일(320)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부터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Normally, the storage unit main body (310)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is retracted into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S2), but in order to conveniently and easily mainta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300), a sliding moving rail (320) is provided, The automatic external
고정브라켓(33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납유닛본체(310)가 수납유닛 수용공간(S2)에 인입되었을 때, 즉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유지 보스가 필요하지 않은 평소에 수납유닛본체(310)를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 인입된 상태로 수납유닛본체(310)를 타워본체(5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습도 조절용 팬(34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팬 배기구(313, 도 10 참조)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온도 조절용 열선(350)은 수납유닛본체(310)에 결합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배치 열선부(351)와, 내부배치 열선부(351)로부터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부배치 열선부(352)를 포함한다.The temperature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배치 열선부(351)는 소용돌이 형태로 배치되고, 열선 통과공(312, 도 12 참조)을 통과하여 외부배치 열선부(352)로 연결되어,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S. 8 to 11, the internally arranged
이때, 내부배치 열선부(351)의 일측에는 열선 커버플레이트(311, 도 10 참조)가 마련되는데,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자동심장충격기와 밀착되어 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의 보관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heating cover plate 311 (see FIG.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ternally arranged
이러한 열선 커버플레이트(311)는 열전도율을 극대화하면서 자성의 영향을 막아주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부식에 강한 장점도 있다.This hot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는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자동심장충격기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사이렌(370)은 수납유닛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하며, 전원공급부(380)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및 사이렌(3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어부(미도시)는 습도 조절용 팬(340), 온도 조절용 열선(350),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360), 사이렌(370) 및 전원공급부(3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뿐만 아니라 후술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각각 마련하여 이중보관구조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를 보관함으로써, 실외에 배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를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utomatic external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실외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도 9 참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타워본체(510)와, 도어(520)와, 응급호출버튼(530)과, 경광등(540)과,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This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타워본체(510)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이 상부에 마련되고 하부에는 추가적인 장비 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The
도어(520)는 타워본체(510)에 결합되어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먼저, 타워본체(510)에는, 수납유닛 수용공간(S2)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일측과 접촉하여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누수방지부(515)가 마련된다.First, the
그리고,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수납유닛본체(310)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도어(520)가 닫혔을 때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접촉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누수방지부(315)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즉, 도어(520)와 제1 누수방지부(515)의 접촉에 의해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으로의 누수를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도어(5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누수방지 플레이트(521)와 제2 누수방지부(315)의 접촉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으로의 누수를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되므로, 이중구조의 누수방지부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눈 및 비에 의한 누수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ater leakage into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S2) of the tower
또한, 타워본체(510)의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을 배치하는 이중구조에 의해, 타워본체(510)와 수납유닛본체(310)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dual structure of arranging the automatic external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흡기팬(517)과 흡기구(518)가 마련되고,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본체(510)의 상부에는 배기팬(519)과 배기구(미도시)가 되어, 타워본체(5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수납유닛 수용공간(S2)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아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 내부의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 8, a pair of
흡기구(518)와 배기구(미도시)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의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팬(517)과 흡기구(518) 사이에는 미세먼지차단용 필터(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The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를 마련함으로써, 온도 및 습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빗물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응급호출버튼(530)은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응급상황 발생시에 응급호출버튼(530)을 누르게 되면, 서버로 신호가 송신되며, 이러한 신호에 따라 구급차를 포함한 의료지원 인력이 시간에 맞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동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The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미도시)는 타워본체(5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520)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어 개폐여부가 감지되면 후술할 IoT 단말기(7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A door open/closed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S1)에 배치되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IoT (Internet of Things)
이러한 IoT 단말기(70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연결방식에 의해 자동심장충격기(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도 추가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is IoT terminal 700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이 때,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about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llected by the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도어의 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ata collected by the
또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수집하거나 또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data, data may be collected continuously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t a certain period.
이렇게 IoT 단말기(70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는 서버(900)로 전송되어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 관리하는데 사용된다.The data collected by the
본 실시 예에서, IoT 단말기(7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대상에 따라 IoT 단말기(700)가 수집하는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ata collected by the
예를 들어,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IoT 단말기(700)가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한편, 통합리시버(8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7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에서는 보안을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IoT 단말기(700)가 수집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호화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로 송신하며, 통합리시버(800)는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비암호화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게 된다.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IoT 통신인 LTE-M(KT), NB-IoT(KT), ROLA(SKT)을 비롯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인터넷(Wi-Fi), 이더넷(Ethernet)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o explain this in detail, the
한편, 서버(900)는 적어도 하나의 IoT 단말기(7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PC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접속 장소에 대한 제한없이 간단하게 서버(900)에 접속할 수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administrator can simply access the
여기서 서버(900)는 클라우드 형태의 서버 시스템일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예를 들어,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가 감지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데이터가 IoT 단말기(700)로 전달되며, 다시 서버(9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된 데이터는 서버(900)에서 저장되고 처리되며, 관리 플랫폼을 통해 관리자에게 문자(SMS), 이-메일(E-mail) 또는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detects whether the door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ed or not is detecte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또한,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잔량 및 패드 유효기간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표를 작성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의 교체시기를 효율적으로는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nitoring and manag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pad expiration dat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regularly creating a checklis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an be efficiently managed.
그리고,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고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이 감지되며, 자동심장충격기의 사용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이 감지된다면 실제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급차를 포함한 의료지원 인력이 시간에 맞게 도착할 수 있도록 출동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data on whether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operating,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for example, the door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opene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ected, and the use and emergenc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ected. If the operation of the call button is detected, it will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a dispatch request can be made so that medical support personnel, including an ambulance, can arrive on tim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가진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통합관리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자동심장충격기(100)는, 예를 들어 매일 정해진 시간에 1회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등의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실시하게 되고,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IoT 단말기(700)으로 전달하게 된다.First, the automatic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의 종류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시리얼 번호, 자동심장충격기의 제조년월일, 자가진단 수행시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 유무, 고전압 회로의 오류여부, 배터리의 부족여부, 임피던스 회로의 오류여부, 심전도 회로의 오류여부, 배터리 경고여부, 시스템 오류여부, 배터리잔량 레벨(모델별 상이), 패드의 정상유무(모델별 상이)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The types of data regarding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clude the serial number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date of manufactur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time of self-diagnosis,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normal or not,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high voltage circuit, whether the battery is insufficient, and impedance. Circuit error, ECG circuit error, battery warning, system error, remaining battery level (different by model), normal pad (different by model), etc. In some cases, other necessary data is added. It could be.
IoT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20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자동심장충격기(100)와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는 자동심장충격기(100)로부터 IoT 단말기(700)로 전송될 때,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연결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유리하다.Since the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과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는 자동심장충격기(100)와 마찬가지로 IoT 단말기(7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외부로부터의 충격발생여부, 도어의 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통신에러, 점검모드의 작동여부 및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등의 데이터를 IoT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송신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automatic external
다음으로 IoT 단말기(700)는, 자동심장충격기(100),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300) 및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50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로 송신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통합리시버(800)는 서버(900)와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 사이에는 물리적인 거리가 멀다.Next, the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아닌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게 되며, 통신 방식은 IoT 통신인 LTE-M(KT), NB-IoT(KT), ROLA(SKT)을 비롯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인터넷(Wi-Fi), 이더넷(Ethernet)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used rather tha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include IoT communication such as LTE-M (KT), NB-IoT (KT), ROLA (SKT),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net (Wi-Fi), Ethernet, etc. may be used.
이 때, 송신되는 데이터는 전술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비롯하여, IoT 단말기의 시리얼번호, 통신의 종류, 접점 포트(port)의 연결상태, 통신의 세기, 시스템 오류의 코드 등의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필요한 그 외의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transmitted data includes data on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scribed above, as well as data such as the serial number of the IoT terminal, type of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of the contact port, communication strength, and system error code. may be transmitted, and in some cases, other necessary data may be added.
IoT 단말기(700)와 통합리시버(800)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데이터의 암호화가 필요하다.Since the
따라서, IoT 단말기(700)는 수집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암호화 데이터를 통합리시버(800)으로 송신하며, 통합리시버(800)는 수신한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비암호화 데이터를 서버(900)로 전달하게 된다. Therefore, the
이후에 서버(900)에서는 관리 플랫폼을 통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Afterwards, i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placed in a public place determines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operating normally, the battery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y monitoring whether the door of the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open or closed and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able,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ereby increas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nd reducing management costs. do.
한편, 통합관제센터(2000)는 모니터링 장치(10)와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에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모니터링 장치(1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P)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P)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P)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S)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AED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1000),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P)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 is provided, and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0) stor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1)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occurrence location (P) is scanned, and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occurrence location (P) is scanned. It serves to send a dispatch notification to nearby rescue personnel (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활동 가능자는 심폐소생술이 가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통해 출동 알림을 받을 수 있는 CPR 서포터즈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people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include CPR supporters who are capable of CPR and can receive dispatch notifications through an app on a mobile device.
여기서 CPR 서포터즈라 함은,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주변을 지나가는 시민들 중에 서포터즈 연계가 맺어진 사람으로서, 119 신고를 통해 구급차가 출동하더라도 일찍 도착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또는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응급 처치가 필요한 경우에, 골든타임 내에 신속한 심폐소생술 응급처치를 통한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켜 시민의 안전 및 생명을 보호하고자 유관기관 등에서 쳬게적으로 관리하는 인력을 말한다.Here, CPR supporters are people who are connected with supporters among citizens passing by the location of a patient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Even if an ambulance is dispatched through a 119 call, it is unable to arrive early or emergency treatment is required until the ambulance arrives. This refers to personnel systematically managed by related organizations to protect the safety and lives of citizens by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acute cardiac arrest patients through rapid CPR and emergency treatment within the golden time.
이러한 CPR 서포터즈들은 관련기관의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 가입하여 서포터즈 활동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정기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보다 전문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를 위해 특정한 정부기관 등에서 CPR 서포터즈를 운영하고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se CPR supporters will be able to start their supporter activities by signing up on the website or mobile app of the relevant organization, and if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receiving CPR training on a regular basis, they will be able to perform CPR more professionally, and for this purpose, a specific government Organizations may be able to operate and manage CPR supporters.
한편, 이러한 CPR 서포터즈들은 119 구급대원들과는 달리 평상시에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P)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1)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100)를 필요로 하게 된다.Meanwhile, unlike 119 paramedics, these CPR supporters do not have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their normal moving situation, so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stor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1) at the location closest to the location (P) of the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0) is required.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위치의 근처에 자동심장충격기가 마련된 위치를 정확하게 알기도 어려울 뿐더러, 자동심장충격기가 마련된 위치를 알더라도 그 자동심장충격기가 정상인 상태가 아니라면 급성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수 없게 되거나, 새로운 자동심장충격기를 찾아서 또 다시 시간을 낭비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know exactly wher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loc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occurred, but even if the loc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known, i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not in a normal condition, the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This may result in the inability to perform CPR or the need to waste time searching for a new A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관제센터(2000)를 마련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CPR 서포터즈가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 발생 위치로 누구보다도 빠르게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도착하여 급성심정지 환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establishing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is provided from the
즉, 통합관제센터(2000)는 관할 소방서나 인근 병원 등의 유관기관 등과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으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 등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can quickly shar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local fire departments and nearby hospitals, and systematically collects data on the location of the AED storage box and the status of the AE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manage it.
통합관제센터(2000)는 CPR 서포터즈들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할 때, CPR 서포터즈들이 휴대폰, 스마트 워치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하고 가입한 앱을 통해 출동 알림을 발송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sends dispatch notifications to CPR supporters, it will be able to send dispatch notifications through the app that CPR supporters install and sign up for on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and smart watches.
또한, 출동 알림에 대하여 CPR 서포터즈가 승락 답변을 보내온 경우에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에서 출동 알림에 대한 승락 답변을 받은 CPR 서포터즈의 위치와,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경유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출동 승락 답변을 보낸 CPR 서포터즈에게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CPR supporter sends an approval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the location of the CPR supporter who received the consent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nd the AED storage box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Based on the location and condition of the stored AED, the shortest route to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via the AED storage box containing the AED in normal condition is approved. It will be provided to CPR supporters who sent responses.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장치(10)에 의해 확인된 급성심정지 환자의 인상착의 등을 제공하여 보다 빠르게 급성심정지 환자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급성심정지 환자의 체격 정보 등을 제공하여 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provides the impress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confirmed by the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구조 과정의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a scenario of an emergency rescue process using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여기에 도시된 시나리오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구성을 가진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The scenario shown her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operated in various ways.
먼저, 공항, 터미널, 지하철 대합실 및 놀이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하나 이상 설치된 카메라(C)에 의해, 이용객을 촬영하고 이용객의 영상을 모니터링 장치(10)로 제공하게 되는데,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손으로 가슴을 웅크려서 쓰러지는 사람을 탐지하게 되면, 여러 가지 자세 정보를 종합하여 행동을 인지하고 급성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First, one or more cameras (C)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airports, terminals, subway waiting rooms, and amusement parks film users and provide the images of users to the
이 때, 쓰러지는 사람이 급성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로 판단되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T1) 통합관제센터(2000)로 응급신호 알람을 송출하게 되며, 통합관제센터(2000)에서는 추가로 카메라(CCTV)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보다 확실하게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person who collapses is determined to be a patient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an emergency signal alarm is sent to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1),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additionally installs a camera (CCTV). It may be possible to make a more certain judgment through the process of checking.
여기서도, 급성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로 판단된다면, 관할 소방서 등에 119 구급차의 출동을 요구하는 알람을 발송함과 동시에,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위치와 가까운 곳에 있는 CPR 서포터즈(S)에게 응급 상황 알람을 발송할 수 있다.Here, to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 has suffered a sudden cardiac arrest, an alarm can be sent to the local fire department requesting the dispatch of a 119 ambulance, and at the same time, an emergency situation alarm can be sent to the CPR supporter (S) located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there is.
CPR 서포터즈에게 응급 상황 알람을 발송하는 방식은, CPR 서포터즈(S)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통해서 CPR 서포터즈의 위치가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있는지를 판단해서 가까운 곳에 있는 CPR 서포터즈에게 응급 상황 알람이나 출동 요청 알람을 발송할 수 있다.The method of sending an emergency situation alarm to CPR supporter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PR supporter is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location where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occurred through an app on the mobile device owned by the CPR supporter (S) and send a message to a nearby Emergency situation alarms or dispatch request alarms can be sent to CPR supporters.
만약, 통합관제센터(2000)가 CPR 서포터즈(S)로부터 출동 알림에 대한 승락 답변을 받게 되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T2)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한 정보를 받게 될 것이다. I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receives an approval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from the CPR supporter (S), the communication-connected (T2)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1000)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You will receive scann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AED storage box and the status of the stored AED.
그러면, 통합관제센터(2000)가 출동 알림에 대한 승락 답변을 받은 CPR 서포터즈의 위치와,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수납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경유하여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단거리의 이동경로, 즉 자동심장충격기 까지의 최적거리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CPR 서포터즈(S)에게 제공하게 된다.The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makes a decis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PR supporter who received the consent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the loc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nd the condition of the stor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 CPR supporters provide navigation information on the shortest travel route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via the AED storage box in which the AED in a normal state is stored, that is, the optimal distance to the AED. It will be provided to (S).
이 때, 통합관제센터(2000)가 CPR 서포터즈(S)에게 I1 경로를 따라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가 CPR 서포터즈(S)에게 I2 경로를 따라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may directly provide information to the CPR supporters (S) along the I1 path, but in some cases,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1000) provides the CPR supporters (S) with the I2 path. Depending on your needs, you may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directly.
한편,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마련된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응급 호출, 보관함 문열림,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 여부를 감지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이렇게, 자동심장충격기 까지의 최적거리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은 CPR 서포터즈(S)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으로 이동하여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꺼내서,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 발생 위치로 누구보다도 빠르게 도착하여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시함으로써, 급성심정지 환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PR supporter (S), who has been provided with navigation information about the optimal distance to the AED, moves to the AED storage box, takes out the AED in normal condition, and goes to the lo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a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occurs, better than anyone else. By arriving quickly and performing CPR us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t is possible to rescue a patient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
여기에 도시된 시나리오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구성을 가진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을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The scenario shown her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operat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의 모니터링 장치(10)를 마련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특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들에 대한 영상 정보인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을 인지하고, 응급 상황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또한, 공공장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정상작동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도어개폐여부,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관리 효율은 높이고 관리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located in a public place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operating normally, the battery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whether the door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open or closed. By monitoring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able,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ereby increas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and reducing management costs.
나아가, 통합관제센터(2000)를 마련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1000)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CPR 서포터즈가 급성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응급상황 발생 위치로 누구보다도 빠르게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지고 도착하여 급성심정지 환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establishing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2000),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is provided from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1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S2 : 수납유닛 수용공간
1 :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100 : 자동심장충격기
10 : 모니터링 장치
11 : 영상 관리부
12 : 응급 상황 인지부
13 : 대응 처리부
14 :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
100 : 자동심장충격기
3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310 : 수납유닛본체
315 : 제2 누수방지부
320 : 슬라이딩 이동레일
330 : 고정브라켓
340 : 습도 조절용 팬
350 : 온도 조절용 열선
351 : 내부배치 열선부
352 : 외부배치 열선부
360 :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370 : 사이렌
500 :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
510 : 타워본체
515 : 제1 누수방지부
517 : 흡기팬
518 : 흡기구
519 : 배기팬
520 : 도어
521 : 누수방지 플레이트
530 : 응급호출버튼
700 : IoT 단말기
800 : 통합리시버
900 : 서버
1000: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
2000: 통합관제센터S1: Storage space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2: Storage space for storage unit
1: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100: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 Monitoring device 11: Video management unit
12: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department 13: Response processing department
14: Image registration database 100: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300: Automatic cardiac defibrillator storage unit 310: Storage unit body
315: second water leak prevention unit 320: sliding moving rail
330: Fixing bracket 340: Fan for humidity control
350: Heating wire for temperature control 351: Internally arranged heating element
352: Externally arranged heating element
360: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not
370: Siren
500: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510: Tower body 515: First water leak prevention unit
517: intake fan 518: intake port
519: exhaust fan
520: Door 521: Leakage prevention plate
530: Emergency call button 700: IoT terminal
800: Integrated receiver 900: Server
1000: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2000: Integrated control center
Claims (10)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에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에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스캔하여,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구조활동 가능자에게 출동 알림을 발송하는 통합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 monitoring device for identifying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that monitors the status of users using a specific space to determine wheth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has occurre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manage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stored in the plurality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es; and
It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AED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respectively, receiv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automatically stores the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comprising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that scans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ed in the cardiac defibrillator storage box and sends a dispatch notification to persons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
상기 구조활동 가능자는 심폐소생술이 가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통해 출동 알림을 받을 수 있는 CPR 서포터즈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제센터는,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에서 출동 알림에 대한 승락 답변을 받은 CPR 서포터즈의 위치와,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 근처의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의 위치 및 수납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기초로 판단하여, 정상 상태의 자동심장충격기가 수납된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경유하여 상기 급성심정지 환자의 발생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상기 CPR 서포터즈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ose capable of rescue activities include CPR supporters who are capable of CPR and can receive dispatch notifications through an app on a mobile device,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Determin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PR supporter who received an approval response to the dispatch notification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the location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near the location of th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and the condition of the stor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us,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sudden cardiac ar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PR supporter is provided with the shortest travel route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patient with sudden cardiac arrest via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n whic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 a normal state is stored. and structural systems.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들에 대한 영상 정보인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등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정 공간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이용객의 영상인 이용객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특징을 상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급성심정지 환자 영상과 비교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는 응급 상황 인지부; 및
상기 응급 상황 인지부에 의해 응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로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응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nitoring device is,
An image registration database that stores images of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which is imag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An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that detects an object from a user image, which is the image of the user captured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 the specific space,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object with the registered images of one or more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s to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 and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comprising a respons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occurrence information service to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n emergency situation by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자동심장충격기를 수납하기 위한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각각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Provides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for stor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includes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is disposed 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of each,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o collect data on the state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send the data to a server. At least one IoT (Internet of Things) terminal that transmits; and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rver that stores and processes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IoT terminal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at least on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IoT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통합리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기는,
수집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며,
상기 통합리시버는 수신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비암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비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4,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management device,
It further includes an integrated receiver that receives the data from at least one IoT terminal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server,
The IoT terminal is,
Encrypting the collected data, converting it into encrypted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encrypted data to the integrated receiver,
The integrated receiver decrypts the received encrypted data, converts it into unencrypted data, and transmits the unencrypted data to the ser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유닛본체;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용 팬; 및
상기 수납유닛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용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5,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 storage unit main body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 humidity control fan coupled to the storage unit main body and controlling humidity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It is coupled to the storage unit main body and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heating wire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The IoT terminal is,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that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d collects data 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recei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수납유닛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경보를 울리는 사이렌;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및 상기 사이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습도 조절용 팬, 상기 온도 조절용 열선,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 상기 사이렌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탈착여부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6,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tachmen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main body to detect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ed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space;
A siren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main body to sound an alarm;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humidity control fan, the temperature control heating wir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tachment detection sensor, and the siren; and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the heating wir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able, the siren, and the power supply unit,
The IoT terminal is,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ata on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etachable or not is collected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detachment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ceiver.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은,
실외에 배치되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눈, 비 및 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6,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s,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that is placed outdoors and provides a storage unit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o as to protect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from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snow, rain, and wind.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further comprising: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는,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타워본체;
상기 타워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유닛 수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도어;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급호출버튼; 및
상기 타워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탐지하는 도어 개폐여부 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IoT 단말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 수납유닛 보관타워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탈착여부 및 상기 응급호출버튼의 작동여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통합리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8,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storage tower is,
A tower body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unit;
A door coupled to the tow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unit accommodation space;
An emergency call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er main body; and
It further includes a door open/closed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wer body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closed,
The IoT terminal is,
It is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tower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unit, and collect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attached or detached, and whether the emergency call button is activated, and the integrated receiver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to.
상기 IoT 단말기가 수집하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자가진단에 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5,
Data on the statu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s data on self-diagnosis that is regular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3140A KR102704585B1 (en) | 2022-11-29 | 2022-11-29 |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3140A KR102704585B1 (en) | 2022-11-29 | 2022-11-29 |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9831A true KR20240079831A (en) | 2024-06-05 |
KR102704585B1 KR102704585B1 (en) | 2024-09-09 |
Family
ID=9147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3140A KR102704585B1 (en) | 2022-11-29 | 2022-11-29 |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4585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5360A (en) * | 2008-04-02 | 2009-10-07 |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 Emergency relief system and method with emergency device monitored from remote area |
KR101038799B1 (en) | 2011-03-08 | 2011-06-03 | (주)나눔테크 | A cabinet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the public facility |
KR20150062430A (en) * | 2013-11-29 | 2015-06-08 | (주)나눔테크 | A cabinet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location 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
KR20190029274A (en) * | 2017-09-12 | 2019-03-20 | 장세복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management system for guiding the location of cardiac arrest patient |
KR20190108218A (en) * | 2018-03-13 | 2019-09-24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Emerg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 |
KR20220043436A (en) * | 2020-09-29 | 2022-04-05 | 루씨엠(주)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2022
- 2022-11-29 KR KR1020220163140A patent/KR1027045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5360A (en) * | 2008-04-02 | 2009-10-07 |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 Emergency relief system and method with emergency device monitored from remote area |
KR101038799B1 (en) | 2011-03-08 | 2011-06-03 | (주)나눔테크 | A cabinet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the public facility |
KR20150062430A (en) * | 2013-11-29 | 2015-06-08 | (주)나눔테크 | A cabinet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location 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
KR20190029274A (en) * | 2017-09-12 | 2019-03-20 | 장세복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management system for guiding the location of cardiac arrest patient |
KR20190108218A (en) * | 2018-03-13 | 2019-09-24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Emerg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Using Digital Image |
KR20220043436A (en) * | 2020-09-29 | 2022-04-05 | 루씨엠(주)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4585B1 (en) | 2024-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45904B2 (en) |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 |
AU2020277206B2 (en) | Drone control device | |
US12033492B2 (en) | Intelligent emergency response for multi-tenant dwelling units | |
US20090018875A1 (en) | 1st responder guidance and decision-support system enabling victim tracking and extraction | |
KR101923991B1 (en) | Method of Managing Uninhabited Music Practice Room | |
KR20170125736A (en) | Method of Managing Uninhabited Reading and Studying Room | |
CN105956978A (en) | Intelligent medical ward management system | |
JP2008146623A (en) |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program | |
CN106611478A (en) | Kindergarten pickup system based on face recognition technology | |
JP4025819B1 (en) | Monitoring system | |
KR102704585B1 (en) |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dentification and Rescue system | |
KR102503148B1 (en)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torage bo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CN106611395A (en) | Kindergarten shuttle system based on iris recognition technology | |
EP4010891B1 (en) | Device and method for site monitor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 |
JP2007164799A (en) | Neighborhood security system and neighborhood security method | |
WO2021084612A1 (en) | Digital safety response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