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664A -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664A
KR20240079664A KR1020220162785A KR20220162785A KR20240079664A KR 20240079664 A KR20240079664 A KR 20240079664A KR 1020220162785 A KR1020220162785 A KR 1020220162785A KR 20220162785 A KR20220162785 A KR 20220162785A KR 20240079664 A KR20240079664 A KR 2024007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amount
insulin
measuring device
fixing part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비케이엠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로메디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케이엠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로메디 filed Critical 비케이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Abstract

결합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주입량 측정 회전부,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고정부와 체결된 체결확인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 및 상기 체결확인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확인부는,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INSULIN INJECTION AMOUNT TO DETECT BINDING ABNORMALITIES}
본 발명은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명 정도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병과 관련된 합병증 및 동반 질환은 인적,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여 중요한 보건 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최근 10년간 건강 보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경에는 국민 7명 당 1명인 722만 명(전국민의 14.4%)이 당뇨병 환자가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에 동반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의 손실도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당뇨병을 치료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환자의 혈당관리, 즉 혈당조절이 가장 중요한데, 인슐린은 보통 인슐린주사기, 인슐린 펜, 인슐린 펌프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주입된다.
특히 인슐린 펜은 자체 카트리지에 내장된 인슐린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많은 종류의 상품과 모델로 분류되고 있다. 대부분의 인슐린 펜은 재사용 펜과 1회용 펜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인슐린 펜은 인슐린 주사기에 비해 외출 도중 주입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간편한 다이얼 조작으로 정확한 사용량을 주입 가능하게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인슐린 펜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미국등록특허 제5,308,340호(발명의 명칭: MULTIPLE DOSE INJECTION PEN)와 같이 수동으로 인슐린을 주입하는 방법을 공개한 발명과 미국등록특허 제6,942,646호(발명의 명칭: PEN-TYPE INJECTOR HAN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이 자동으로 인슐린을 주입하는 방법을 공개한 발명이 있다.
한편, 인슐린포(Insulinfo)는 현재 2형 당뇨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펜형 약물주입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액세서리형 제품으로, 당뇨병 환자들이 펜형 인슐린 주입기 사용 시 설정된 인슐린 주입량을 간편하게 자동으로 측정 및 저장하는 장치로,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에 해당한다. 종래에는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예: 인슐린포)가 올바르게 결합되었음을 확인해 주는 장치가 없어, 펜형 약물주입기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에 편심되거나 기울어지게 정렬됨에 따라 인슐린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체결안정성이 개선된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된 이후, 인슐린 주입량의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주입량 측정 회전부,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고정부와 체결된 체결확인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 및 상기 체결확인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확인부는,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정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는 모두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경은 상기 연결고정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은 단차를 갖는 제1 외주면 및 제2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보다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인슐린 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체결안정성이 개선된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된 이후, 인슐린 주입량의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슐린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주입량 측정 회전부,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고정부와 체결된 체결확인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 및 상기 체결확인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확인부는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예: 인슐린포)가 올바르게 결합되었음을 확인해 주는 장치가 없어, 펜형 약물주입기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에 편심되거나 기울어지게 정렬됨에 따라 인슐린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확인부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펜형 약물주입기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에 편심되거나 기울어질 경우 결합의 이상 유무를 즉시 판별함으로써 인슐린 주입량의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인슐린 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슐린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슐린 펜(100)은 펜형 약물주입기(10) 및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형 약물주입기(10)는 설정된 인슐린을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여 환자의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10)는 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가 펜 형상을 가짐에 따라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10)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와 연결된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면부는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단면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부는 단면의 직경이 일정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형 약물주입기(10)는 일회용 또는 다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슐린 펜(100)은 펜형 약물주입기 사용 시 설정된 인슐린의 주입량을 간편하게 자동적으로 측정 및 저장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는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10)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와 펜형 약물주입기(10)가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는 연결고정부(52), 주입량 측정 회전부(54), 체결확인부(56) 및 상단고정부(5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부(52)는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10)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주입량 측정 회전부(54), 체결확인부(56) 및 상단고정부(58)가 펜형 약물주입기(10)와 연결되어 고정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고정부(52)는 펜형 약물주입기(10)의 일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고정부가 펜형 약물주입기의 일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펜형 약물주입기와 연결고정부는 서로 잘 결합되어 일체화된 스마트 인슐린 펜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부(52)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고정부(5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펜형 약물주입기(10)의 일 단부가 상기 연결고정부(5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량 측정 회전부(54)는 설정된 인슐린의 주입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54)는 상기 연결고정부(52)의 외주면과 체결된다.
예를 들어 주입량 측정 회전부(54)는 연결고정부(52)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54)의 내경은 상기 연결고정부(52)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54)의 내경이 상기 연결고정부(52)의 내경보다 크게 설계됨으로써, 주입량 측정 회전부(54)가 연결고정부(5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입량 측정 회전부(54)는 인슐린의 주입량을 측정하는 측정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시스템은 자동화 시스템에 따라 인슐린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시스템은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일렬로 정렬되어 올바르게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만약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될 경우 인슐린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확인부(56)는 펜형 약물주입기(10)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의 결합 이상 유무룰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확인부(56)는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54)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고정부(52)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확인부(56)는 상기 체결확인부(56)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5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센서(57)는 상기 체결확인부(56)의 외주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확인부(56)의 외주면은 단차를 갖는 제1 외주면 및 제2 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보다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외주면에 압력센서(5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57)는 펜형 약물주입기(10)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50) 간에 체결 시 눌려진 대칭압력을 비교하여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일렬로 정렬되어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슐린 펜(100)은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54) 및 상기 체결확인부(56) 사이에 개재되는 상단고정부(5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단고정부(58)는 스마트 인슐린 펜(10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주입량 측정 회전부(5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단고정부(58)는 상기 압력센서(57)에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조명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압력센서가 눌렸을 때 점멸됨으로써, 펜형 약물주입기와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의 올바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체결안정성이 개선된 스마트 인슐린 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가 펜형 약물주입기에 올바르게 결합된 이후, 인슐린 주입량의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인슐린 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스마트 인슐린펜
10: 펜형 약물주입기
50: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52: 연결고정부
54: 주입량 측정 회전부
56: 체결확인부
57: 압력센서
58: 상단고정부

Claims (5)

  1.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주입량 측정 회전부;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고정부와 체결된 체결확인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 및 상기 체결확인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단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확인부는,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과 연결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 및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는 모두 원통 형상인,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량 측정 회전부의 내경은 상기 연결고정부의 내경보다 큰,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주면은
    단차를 갖는 제1 외주면 및 제2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1 외주면보다 상기 체결확인부의 외측에 배치된,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KR1020220162785A 2022-11-29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KR2024007966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664A true KR20240079664A (ko) 2024-06-0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85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ose information
US20200237298A1 (en) Hypoglycemic Treatment Methods And Systems
US8688386B2 (en) Analyte testing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basal insulin therapy
JP6715761B2 (ja) 注入デバイス用高性能アダプタ
US6352523B1 (en) Capacitance-based dose measurements in syringes
ES2576639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evaluar la relación de hidratos de carbono con respecto a insulina
US20100016700A1 (en) Analyte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5792117A (en) Apparatus for optically determining and electronically recording injection doses in syringes
RU251756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ведения медикаментов пациенту
KR20010025042A (ko) 환자가 당뇨병의 의학적 자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료장치
DK2482870T3 (en) Plan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containers in the delivery of medicines
Weber et al. High frequency of unrecognized hypoglycaemia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s discovered by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EP2172237A1 (en) Electronic tag system
EP2587998B1 (en) Methods to ensure statistical power for average pre and post-prandial glucose difference messaging
CA2879324A1 (en) Method and system to indicate hyperglycemia or hypoglycemia for people with diabetes
KR20110014176A (ko) 분석물 측정 및 관리 장치 및 관련 방법
JP2018527088A (ja) 接続アセンブリを有するフローセンサシステム
US20220233781A1 (en) Injection device with dosage monitoring
KR20240079664A (ko) 결합 이상을 판별하는 인슐린 주입량 측정장치
CN211301537U (zh) 剂量测量设备
Malerba et al.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insulin administration using human and veterinary pen‐injectors and syringes for administration of insulin
US20190038844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Condition of a Therapeutic Agent Housed in an Injection Device
CN1293069A (zh) 医用输液装置
KR20200032308A (ko) 휴대형 자동 주사 장치의 카트리지 고정 가이드 구조
CN2448376Y (zh) 医用输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