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646A - 과일 착즙 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착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646A
KR20240079646A KR1020220162752A KR20220162752A KR20240079646A KR 20240079646 A KR20240079646 A KR 20240079646A KR 1020220162752 A KR1020220162752 A KR 1020220162752A KR 20220162752 A KR20220162752 A KR 20220162752A KR 20240079646 A KR20240079646 A KR 2024007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uit
juice
cutting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서원학
윤대한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영태
서원학
윤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서원학, 윤대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22016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9646A/ko
Priority to PCT/KR2023/019478 priority patent/WO2024117784A1/ko
Publication of KR2024007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03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especially for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1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 A23N4/18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for citrus fruit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씨앗이 있는 과일을 그대로 공급하여 씨앗을 제거하면서 착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과즙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과일의 껍질 일측을 절단하여 씨앗 배출용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절개롤러의 출측과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입측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롤러를 지난 과일을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안내하며 상기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절개선을 통해 과일에서 씨앗을 빼내는 제3 롤러를 포함하는 과일 착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 착즙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OF FRUIT}
본 개시내용은 과일에서 과즙을 짜낼 수 있도록 된 과일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레몬이나 깔라만씨 등의 과일은 과육을 먹기보다는 주로 착즙 과정을 거쳐 얻어진 과즙을 이용하여 음료 등의 식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과일을 대량으로 착즙하기 위해 착즙설비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설비는 서로 맞물려 과일을 압착하는 착즙롤러를 구비하여, 회전되는 착즙롤러 사이로 과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과즙을 짜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과일의 경우 껍질이 두껍고 과육 안쪽에 씨앗이 들어 있어서 과일을 강하게 압착하여 착즙할 수 없다. 맛이 다르므로 껍질이나 씨앗에서 착즙이 일어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압착이 강하면 씨앗이나 껍질에서도 착즙이 이루어져 과즙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설비는 과일의 씨앗으로 인해 강하게 과일을 압착하기 어려워 착즙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즙율을 높이기 위해 과일을 절단하여 설비에 공급하거나, 과일에서 껍질과 씨앗을 미리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에,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과제는, 씨앗이 있는 과일을 그대로 공급하여 착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과일로부터 씨앗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면서 착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착즙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과일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과즙이 찌꺼기와 같이 배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착즙 장치는, 한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과즙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과일의 껍질 일측을 절단하여 씨앗 배출용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절개롤러의 출측과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입측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롤러를 지난 과일을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안내하며 상기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절개선을 통해 과일에서 씨앗을 빼내는 제3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장치는, 상기 제2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롤러를 제1 롤러에 대해 이동시켜 제1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착즙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장치는, 상기 제3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롤러를 상기 제1 롤러에 대해 이동시켜 제1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씨앗 배출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롤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개롤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안착면의 뒤쪽에는 과일을 밀어주는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회전방향으로 배치되어 과일의 외측면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칼날이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된 구조일 일 수 있다.
상기 절개롤러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과일을 밀어주기 위한 톱니 형태의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형의 톱니판, 상기 톱니판에 이웃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톱니롤의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의 과일 안착면으로 돌출되는 칼날이 형성된 원형의 칼판을 포함하고, 상기 톱니판과 칼판은 교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절개롤러는 과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의 뒤쪽에 칼날이 마련되어 과일의 뒤쪽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절개롤러는 상기 제1 롤러에 대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면에 놓인 과일이 절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뒤쪽의 돌출부로 밀려 칼날에 가압 절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와 2 롤러 사이 입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입측이 출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과일이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3 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의 입측은 출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과일이 제1 롤러와 제3 롤러 사이를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장치는, 하부에 배치되어 과일에서 착즙되어 떨어지는 과즙을 수용하기 위한 과즙탱크, 상기 과즙탱크 상부에 마련되어 과즙과 같이 배출되는 씨앗을 과즙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장치는, 상기 제2 롤러의 출측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과일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씨앗을 거르고 과즙을 통과시키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복수개의 구동롤과 상기 구동롤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름망은 양 선단이 연결된 무한 궤도 구조로, 상기 구동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과즙탱크 상부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과즙탱크 외측에 배치되어 과즙탱크를 지난 거름망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거름망을 세척하는 크리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과일에서 씨앗을 분리하면서 착즙이 이루어짐에 따라, 과일을 절단하거나 씨앗을 분리하는 등의 사전 작업이 불필요하다. 이에, 씨앗이 있는 과일도 그대로 공급하여 착즙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과일에서 씨앗이 분리된 상태에서 착즙이 이루어짐에 따라, 씨앗의 간섭없이 보다 강한 압력으로 과일을 압착할 수 있고, 과육의 과즙을 최대한 짜내 착즙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과육에서 짜낸 과즙은 아래로 떨어지고 찌거기는 위로 배출되도록 하여, 과즙이 찌꺼기와 같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과즙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씨앗 등의 찌거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깨끗한 과즙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의 씨앗 분리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의 과일 절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의 여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는 착즙용 과일로 깔라만시를 압착하여 과즙을 생산하는 장치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칼라만시 외에 레몬 등 착즙용 과일 모두에 저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착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본 장치에서 각 롤러의 회전축들은 z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이 뻗은 방향을 축방향이라 한다. 또한, 과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각 롤러 사이로 과일이 들어가는 쪽을 입측이라 하고 롤러를 지나 과일이 나오는 쪽을 출측이라 한다. 또한, 과일의 앞쪽이라 함은 과일 진행방향을 향하는 쪽을 의미하고 뒤쪽이라 함은 그 반대쪽을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착즙 장치는, 과일(P)을 압착하여 과즙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씨앗 배출을 위해 과일(P) 뒤쪽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롤러(40), 과일(P)을 눌러 씨앗을 분리하기 위한 제3 롤러(30), 과일(P)에서 착즙되어 떨어지는 과즙을 수용하기 위한 과즙탱크(50), 과즙탱크(50) 상부에 마련되어 과즙과 같이 배출되는 씨앗을 과즙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여과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한 쌍을 이루고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P)을 통과시키고 그 과정에서 과일(P)을 압착하여 과즙을 추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축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축방향 길이는 설비의 크기나 생산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롤러(1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20)는 제1 롤러(10)와 같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외표면이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과일(P)의 종류에 따라 표면 조도를 달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착즙 장치는, 제2 롤러(20)에 설치되어 제2 롤러(20)를 제1 롤러(10)에 대해 이동시켜 제1 롤러(1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착즙조절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즙조절부(22)는 제2 롤러(20)를 이동시키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즙조절부(22)는 구동모터나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2 롤러(20)를 이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롤러(10)에 대해 제2 롤러(2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사이 간격이 변하게 된다. 이에, 과일(P)의 크기나 과일(P) 껍질 두께 등에 따라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사이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과일(P) 껍질은 압착되지 않으면서도 과육에 대한 압착 강도를 높여 과즙만을 최대한 착즙할 수 있게 된다.
제2 롤러(20)의 하부에는 찹즙 완료되어 배출되는 껍질 등의 과일찌꺼기를 수거하는 수거통(7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출측으로 나온 과일찌거기는 제2 롤러(20)를 따라 이동되다 수거통(70)으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제2 롤러(20) 일측에는 과일찌꺼기를 제2 롤러(20) 표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7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 롤러(30)는 절개롤러(40)를 거친 과일(P)을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사이로 안내함과 더불어 과일(P) 내부의 씨앗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3 롤러(30)는 축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롤러(3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외표면이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롤러(30)는 과일(P)의 종류에 따라 표면 조도를 달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의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의 출측과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입측 사이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제3 롤러(30)는 절개롤러(40)를 지난 과일(P)을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사이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의 입측은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의 출측과 바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의 출측으로 나온 과일(P)은 제3 롤러(30)에 의해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의 입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의 출측은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입측과 바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의 출측으로 나온 과일(P)은 제3 롤러(30)에 의해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입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1 롤러(10)와 쌍을 이루어 과일(P)을 가압함으로써, 과일(P) 내부에서 씨앗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롤러(10)와의 사이로 과일(P)을 통과시키고 그 과정에서 과일(P)을 압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P)은 절개롤러(40)를 거치면서 뒤쪽 하부에 절개선이 형성되고, 앞쪽 부분이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 사이의 입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과일(P)은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의 입측에서 출측으로 통과하면서 앞쪽부터 뒤쪽으로 압착된다.
과일(P)이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에 의해 압착되어 상하로 눌려지면서 뒤쪽 하부에 형성된 절개선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과일(P)이 앞쪽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뒤쪽으로 눌려짐에 따라 과일(P) 내부의 씨앗은 점차적으로 뒤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뒤쪽으로 밀려나는 씨앗은 최종적으로 벌어진 절개선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 사이를 지나면서 과일(P) 내부의 씨앗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착즙 장치는, 제3 롤러(30)에 설치되어 제3 롤러(30)를 제1 롤러(10)에 대해 이동시켜 제1 롤러(1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씨앗 배출조절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조절부(32)는 제3 롤러(30)를 이동시키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조절부(32)는 구동모터나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3 롤러(30)를 이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롤러(10)에 대해 제3 롤러(3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 사이 간격이 변하게 된다. 이에, 과일(P)의 크기나 과일(P) 내부의 씨앗 크기 등에 따라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 사이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과일(P) 내부의 씨앗을 모두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와 2 롤러 사이 입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입측이 출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는 입측보다 출측이 위쪽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롤러(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롤러(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의 입측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위쪽에 출측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롤러(30)를 지난 과일(P)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과일(P)이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 사이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통과함에 따라, 과일(P)에서 착즙되는 과즙이 모두 밑으로 떨어져 회수되고 과일찌꺼기만이 위로 이동되어 배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과일찌꺼기에 과즙이 포함되어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착즙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롤러(30)와 제1 롤러(10) 사이의 입측 역시 출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과일(P)이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 사이를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도 1에서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의 수직방향에 대해 과일(P) 진행방향쪽으로 약간 치우쳐져 있어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의 입측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위쪽에 출측이 형성된다. 따라서, 과일(P)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과일(P)이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 사이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통과함에 따라, 과일(P)에서 밀려나는 씨앗이 보다 쉽게 밑으로 떨어져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롤러(30)는 제1 롤러(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과일(P) 내부에서 씨앗을 보다 강한 힘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롤러의 직경이 작은 경우 과일과의 접촉에 따른 접선의 각도가 커지게 되고, 롤러로부터 과일에 가해지는 힘의 수평성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과일의 씨앗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상대적으로 세져 씨앗을 강하게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롤러(10)의 아래쪽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3 롤러(30)가 위치함에 따라 한쪽에서 씨앗을 밀어내는 힘을 높여 작은 크기의 씨앗이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내 모두 제거가능하게 된다.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와의 사이로 과일(P)을 통과시키면서 과일(P)에 씨앗 배출용 절개선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롤러(40)는 축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롤러(10)와 쌍을 이루어 과일(P)을 절개한다.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롤러(10)와의 사이로 과일(P)을 통과시키고 그 과정에서 과일(P)을 절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입측이 과일(P) 공급을 위한 호퍼(80)의 출구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호퍼(8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과일(P)은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 사이의 입측으로 공급되고, 절개롤러(40)는 호퍼(8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과일(P)을 연속적으로 제1 롤러(10)와의 사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개롤러(4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개롤러(40)는, 돌출부(43)를 형성된 톱니판(41)과, 칼날(45)을 형성한 칼판(42)이 교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톱니판(41)은 원형의 판 구조물로,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과일(P)을 밀어주기 위한 톱니 형태의 돌출부(4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돌출부(43)와 돌출부(43) 사이는 과일(P)이 놓이는 평면의 안착면(44)을 형성한다. 이에, 과일(P)은 하나씩 안착면(44)에 놓이고 돌출부(43)에 의해 밀려 이동될 수 있다.
돌출부(43)는 평면의 안착면(44)에 대해 뒤쪽에서 세워져 수직의 벽면을 이룬다. 돌출부(43)는 대략 과일(P) 직경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43)에 마련되는 칼날(45)이 대략 과일(P) 중간 위치보다 아래 쪽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칼판(42)은 원형의 판 구조물로, 톱니판(41)에 이웃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판(41)의 돌출부(43)와 돌출부(43) 사이에서 안착면(44)으로 돌출되는 칼날(4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칼날(45)은 돌출부(43)와 대응되는 개수로 돌출부(43) 위치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칼날(45)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돌출부(43)에서 안착면(44)쪽으로 연장된다. 이에, 톱니판(41)과 칼판(42)을 교대로 적층하였을 때, 칼날(45)은 돌출부(43) 사이에서 안착면(44)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돌출부(43)에서 안착면(44)쪽으로 돌출되는 칼날(45)의 길이는 대략 과일(P)의 반경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칼날(45)은 대략 과일(P)의 반경 깊이로 박히면서 껍질을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의 칼날(45)은 안착면(44)에 대해 대략 과일(P)의 절반 정도의 높이와 길이로 돌출됨으로써, 과일(P)의 뒤쪽 하부 위치에서 대략 전체의 1/4 정도의 영역을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절개롤러(40)는 톱니판(41) 사이에 칼판(42)이 삽입되도록 교대로 적층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 이에, 절개롤러(40)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과일(P)이 안착되는 안착면(44)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개롤러(40)의 회전방향을 따라 안착면(44)의 뒤쪽에는 과일(P)을 밀어주는 돌출부(43)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안착면(44)에는 회전방향으로 연장되어 과일(P)의 외측면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칼날(45)이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개롤러(40)는 제1 롤러(10)에 대해 하부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절개롤러(40)의 안착면(44)으로 공급된 과일(P)은 절개롤러(40)가 회전되는 중에 자중에 의해 칼날(45)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롤러(40)가 회전되어 과일(P)이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 사이로 진입할 때, 제1 롤러(10)에 의해 뒤쪽의 돌출부(43)로 밀려 칼날(45)에 확실히 가압 절개될 수 있다. 절개롤러(40)가 제1 롤러(10)에 대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된 경우 과일(P)이 자중에 의해 제1 롤러(10)와 절개롤러(40) 사이로 진입하면서 뒤쪽의 칼날(45)에 절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과일(P)의 절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80)의 출구에서 공급된 과일(P)은 절개롤러(40)의 안착면(44)에 놓이고, 절개롤러(4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롤러(10)쪽의 입측으로 이동된다.
과일(P)이 제1 롤러(10)에 접함에 따라 제1 롤러(10)에 의해 뒤쪽으로 밀리게 되고, 안착면(44) 뒤쪽에 배치된 칼날(45)에 가압된다. 이에, 칼날(45)이 과일(P)의 껍질을 파고들면서 과일(P)의 절개가 이루어진다. 과일(P)은 칼날(45)에 의해 절개되면서 제1 롤러(10)에 의해 돌출부(43)까지 밀려나게 된다. 즉, 안착면(44)에 놓인 과일(P)이 제1 롤러(10)에 의해 돌출부(43)가지 밀리는 과정에서 칼날(45)에 의해 절개가 이루어진다. 과일(P)이 돌출부(43)까지 밀려 칼날(45)이 완전히 과일(P) 내부로 파고들면서, 과일(P)의 뒤쪽 하부는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1/4 크기로 절개된다.
제1 롤러(10)에 의해 밀리는 과일(P)은 돌출부(43)에 걸려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절개롤러(4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43)에 의해 밀려 제1 롤러(10)와 절개롤서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과일(P)은 1 롤러와 절개롤러(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칼날(45)에 의해 뒤쪽 하부가 절개되어, 씨앗 배출을 위한 절개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롤러(40)는 과일(P)의 진행방향을 따라 과일(P)이 안착되는 안착면(44)의 뒤쪽에 칼날(45)이 마련되어 과일(P)의 뒤쪽에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에 의해 과일(P)의 앞쪽이 가압되면서 뒤쪽으로 밀려나는 씨앗이 과일(P) 뒤쪽 하부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하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제1 롤러(10)와 제3 롤러(30) 및 제1 롤러(10)와 제2 롤러(20)를 지나면서 과일(P)에서 착즙된 과즙은 하부에 배치된 여과부(60)를 거쳐 과즙탱크(50)로 수거된다.
여과부(60)는 과즙탱크(50) 상부에 마련되어 과즙과 같이 배출되는 씨앗을 과즙에서 분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부(60)는 씨앗 등을 거르고 과즙을 통과시키는 거름망(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60)는, 복수개의 구동롤(62)과, 일측 구동롤(62)에 연결되어 구동롤(6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61)은 양 선단이 연결된 무한 궤도 구조로, 구동휠과 피동휠 사이에 연결되어 과즙탱크(50) 상부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새로운 거름망(61)이 과즙탱크(50) 상부에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막힘 없이 씨앗 등을 연속적으로 거를 수 있게 된다.
도 5는 구동롤(62)이 4개인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두 개의 구동롤(62)을 구비하여 거름망(61)이 과즙탱크(50)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60)는 과즙탱크(50) 외측에 배치되어 과즙탱크(50)를 지난 거름망(61)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거름망(61)을 세척하는 크리닝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리닝부(65)는 거름망(61)의 뒤쪽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여과망에 걸려 있는 씨앗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거름망(61)이 회전되면서 크리닝부(65)를 거쳐 세척됨으로써, 오염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거름망(61)을 과즙탱크(50) 상부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제1 롤러 20 : 제2 롤러
22 : 착즙조절부 30 : 제3 롤러
32 : 배출조절부 40 : 절개롤러
41 : 톱니판 42 : 칼판
43 : 돌출부 44 : 안착면
45 : 칼날 50 : 과즙탱크
60 : 여과부 61 : 거름망
62 : 구동롤 63 : 구동부
65 : 크리닝부 70 : 수거통

Claims (5)

  1. 한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과즙을 추출하기 위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이격 배치되어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호퍼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롤러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과일의 껍질 일측을 절단하여 씨앗 배출용 절개선을 형성하는 절개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절개롤러의 출측과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입측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롤러를 지난 과일을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안내하며 상기 제1 롤러와 쌍을 이루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과일을 압착하여 절개선을 통해 과일에서 씨앗을 빼내는 제3 롤러
    를 포함하는 과일 착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롤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절개롤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안착면의 뒤쪽에는 과일을 밀어주는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회전방향으로 배치되어 과일의 외측면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칼날이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된 구조의 과일 착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롤러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과일을 밀어주기 위한 톱니 형태의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형의 톱니판, 상기 톱니판에 이웃하여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톱니롤의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의 과일 안착면으로 돌출되는 칼날이 형성된 원형의 칼판을 포함하고, 상기 톱니판과 칼판은 교대로 적층되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의 과일 착즙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롤러는 과일의 진행방향을 따라 과일이 안착되는 안착면의 뒤쪽에 칼날이 마련되어 과일의 뒤쪽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구조의 과일 착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과일에서 착즙되어 떨어지는 과즙을 수용하기 위한 과즙탱크, 및 상기 과즙탱크 상부에 마련되어 과즙과 같이 배출되는 씨앗을 과즙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과일 착즙 장치.
KR1020220162752A 2022-11-29 2022-11-29 과일 착즙 장치 KR20240079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752A KR20240079646A (ko) 2022-11-29 2022-11-29 과일 착즙 장치
PCT/KR2023/019478 WO2024117784A1 (ko) 2022-11-29 2023-11-29 과일 착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752A KR20240079646A (ko) 2022-11-29 2022-11-29 과일 착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646A true KR20240079646A (ko) 2024-06-05

Family

ID=9132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752A KR20240079646A (ko) 2022-11-29 2022-11-29 과일 착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9646A (ko)
WO (1) WO20241177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8503487A1 (es) * 1983-04-06 1984-10-01 Sadrym Maquina rodajadora de frutos.
WO1988007333A1 (en) * 1987-03-23 1988-10-06 The State Of Queensland Fruit processing apparatus
JP2008000085A (ja) * 2006-06-23 2008-01-10 Izumi Kosho Kk 果実の種子抜き装置
KR100840693B1 (ko) * 2007-04-16 2008-06-23 한성푸드영농조합법인 과실가공 시스템
KR101289536B1 (ko) * 2013-02-28 2013-07-24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784A1 (ko)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778A (en) Juice extractor having modified plug-forming cutter
EP0728423B1 (en) Automatic citrus fruit juicer
US20060191425A1 (en) Pulp squeezer
KR101971876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101258648B1 (ko) 매실씨 제거장치
KR101074420B1 (ko) 원액기
KR100840693B1 (ko) 과실가공 시스템
KR20170058114A (ko) 대추씨 제거기
EP0559260B1 (en) Fruit juicer
TW201922153A (zh) 水果榨汁機
US45559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aloe vera gel
KR20240079646A (ko) 과일 착즙 장치
CN113317517A (zh) 一种山楂果核果肉分离装置
US10743576B2 (en) Citrus fruit juice extractor
US2004056A (en) Method and machine for extracting oil from the peels of citrus fruit
US3952647A (en) Roll for extracting oil from shaved flavedo
WO2012107771A1 (en) Pres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20052995U (zh) 一种茶树花榨汁机构
CN211704236U (zh) 一种立式螺杆榨汁机及其压榨头
CN112405645B (zh) 一种农业用萝卜切片设备
KR102253697B1 (ko) 물기나 수분이 있는 물체를 파쇄하고 착즙하는 파즙기
CN216392960U (zh) 沙棘果去籽装置
RU2773474C1 (ru) Система выжимания фруктов
KR20180094169A (ko) 대용량 착즙기
US4774880A (en) Collector tray and cut fruit support for juic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