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179A -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 Google Patents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179A
KR20240079179A KR1020230168230A KR20230168230A KR20240079179A KR 20240079179 A KR20240079179 A KR 20240079179A KR 1020230168230 A KR1020230168230 A KR 1020230168230A KR 20230168230 A KR20230168230 A KR 20230168230A KR 20240079179 A KR20240079179 A KR 2024007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rolidone
patch
transdermal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권
김성수
이유정
홍동현
김혜정
장관영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o-phenolic cannabinoids, e.g. cannabidiol, cannabigerolic acid, cannabichromene or tetrahydrocannab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Abstract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는 신속한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피부투과도 및 약효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며, 피부 자극성이 낮아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작용 없이 칸나비디올을 안전하게 체내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Transdermal patch comprising cannabidiol as an active agent}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에 관한 것이다.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은 대마(Cannabis)에서 분리 추출된 물질로 THC와 함께 대마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Petr Jirasek 등., 2022).
대마 식물에는 약 113개의 확인된 칸나비노이드가 있으며 CBD는 대마 식물 추출물의 최대 40%를 차지한다. CBD는 신체에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및 기타 여러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 연구에서는 CBD가 불안, 인지, 운동 장애 및 통증을 포함한 상이한 질병 및 증후군의 치료에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CBD의 장기간 사용의 부작용은 졸음, 식욕 감소, 설사, 피로, 권태감, 쇠약 및 수면 문제를 포함한다. 미국에서는, 칸나비디올 약물 에피디올렉스(Epidiolex)가 두 가지 간질 장애의 치료를 위해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았다.
한편 경피투여 패치제는 피부 흡수를 통해 신체에 약물을 전달하는 제형으로, 편의성이 우수한 패치를 피부에 붙일 때 투여를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경피투여형 패치제가 피부미용이나 주름개선을 위한 미용품, 금연보조제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52903호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층; 약물 저장층; 및 박리층이 순차로 적층된 경피흡수 패치제로서, 상기 약물 저장층은 유효성분 및 점착기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고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 및 피부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 기준으로,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 35 중량 %; 점착제 10 ~ 80 중량 %; 및 피부투과 촉진제 5 ~ 3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칸나비디올을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는 신속한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피부투과도 및 약효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홍반등과 같은 피부 자극성이 낮아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작용 없이 칸나비디올을 안전하게 체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투여방법이 간단하며, 투여 중지해야 할 경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작은 사이즈로 제조되어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CBD 누적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CBD 누적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CBD 누적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CBD 누적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제의 CBD 누적피부투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지층; 약물 저장층; 및 박리층이 순차로 적층된 경피흡수 패치제를 제공한다.
상기 약물 저장층은 유효성분 및 점착기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기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흡수제제는 피부에 부착 또는 보관하는 동안 제제로부터 칸나비디올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물함유 매트릭스층의 일면에 위치하며 약물함유 매트릭스층을 지지하는 기제로 구성되는 지지층을 가진다.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기제는 공지의 패치제 등에 사용되는 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지지층에 사용되는 기제로는 얇고 유연성이 있으며 약물함유 메트릭스층과 반응성이 없고 피부와의 반응성이 없어 알러지 반응을 야기하지 않으며 지지층으로 약물의 흡수 및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 물질(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층은 경피흡수제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필름(film), 또는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수분에 의해 경피흡수제제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흡수 능력이 있는 레이온, 폴리에스터 등의 부직포, 폴리에스터, 아크릴, 실크, 면 등의 직포, 또는 이들의 적층 혼성물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경피흡수제제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물보호용 물질(기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지지층을 이루는 기제는 폴리에스터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5 ~ 100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60 ㎛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5 ㎛ 미만인 경우, 두께가 얇아 약물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100 ㎛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접착시켰을 때 휘어지기 어려워 사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SIS), 스틸렌-에틸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ethylene-isoprene-styrene, SEIS)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 SBS)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e, SBR)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rylene, PIB)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Henkel사의 아크릴 공중합체로 구성된 압력 감응 점착제인 Durotak과 Gelva 제품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Nusil사에서 제조된 MED-1356 실리콘계 점착제, Dow corning사에서 제조된 실리콘계 점착제일 수 있다. 특히 Dow corning사에서 제조된 실리콘계 점착제가 적합하며, 이는 아민기를 갖는 약제와 상용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점착성을 갖는 고분자이다. 구체적으로 Bio-PSA 4102, Bio-PSA 4302, Bio-PSA 4602 등이 있다. 다만 다른 실리콘 점착제나 실리콘 점착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를 각각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점착제 Bio-PSA 460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저장층은 피부투과 촉진제 및/또는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점착제만으로는 원하는 점착력을 얻기 어려울 경우 적당한 양으로 원하는 점착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로진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지, 로진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수지, 알파메틸스티렌 수지, 탄소수 5 ~ 9인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수지, 탄소수 5~9인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탄화수소수지, 수소 첨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 테르펜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약물의 피부투과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부틸-3-도데실-2-피롤리돈(1-butyl-3-dodecyl-2-pyrrolidone), 1,5-디메틸-2-피롤리돈(1,5-dimethyl-2-pyrrolidone), 1-에틸-2-피롤리돈(1-ethyl-2-pyrrolidone), 1-헥실-4-메틸옥시카르보닐-2-피롤리돈(1-hexyl4-methyloxycarbonyl-2-pyrrolidone), 1-헥실-2-피롤리돈(1-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돈(1-(2-hydroxyethyl)pyrrolidone), 3-하이드록시-N-메틸-2-피롤리돈(3-hydroxy-N-methyl-2-pyrrolidone), 1-라우릴-4-메틸옥시카르보닐-2-피롤리돈(1-lauryl-4-methyloxycarbonyl-2-pyrrolidon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카프릴릴-2-피롤리돈(N-carprylyl-2-pyrrolidone), N-도데실-2-피롤리돈(N-dodecyl-2-pyrrolidone), 글리세롤라우릴알코올(glycerol lauryl alcohol),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프로필미리스트레이트(isopropyl myrist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프로필렌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monolaurate), 프로필렌모노올레이트(propylene mono-oleate), 올레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oleylmacrogolglyceride), 올레인산(oleic acid), 라우로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auroylmacrogoglyceride), 리놀레오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inoleoylmacrogoglyceride), 프로필렌글리콜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caprylate/capr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모노올레이트(Sorbitanmonostearate mono-oleate), 글리세롤모노라우레이트(glycerol 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트리글리세라이드, 올레익 애시드,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monolaurate), 라우릴락테이트(lauryl lact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옥수수유 PEG-8 에스터, 옥수수유 PEG-6 에스터 또는 트리아세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저장층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물 저장층 총 중량 100% 기준으로, 10 ~ 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적정수준으로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35 중량% 초과시에는 효과의 변화가 미미하다.
상기 약물 저장층은, 점착기제를 약물 저장층 총 중량 100% 기준으로, 10 ~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8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약물 저장층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점착기제의 역할이 미미해 기계적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배합시 점도가 높고 점착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약물 저장층 총 중량 (100 중량 %)에 대해 5 ~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에 의한 제제의 점착력 향상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제제를 박리할 때의 피부자극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저장층 총 중량 (100 중량 %)에 대해 5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가 약물 저장층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소기의 피부 투과 촉진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점착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약물 저장층의 두께는 20 ~ 100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80 ㎛일 수 있다.
상기 약물 저장층의 두께가 20 ㎛ 미만인 경우 약물 저장층 내에 포함되는 약물인 칸나비디올의 농도가 너무 높아져서 제제 내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지며, 또한 점착력이 너무 낮아 부착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100 ㎛를 초과하는 경우 약물 저장층 내에 포함되는 약물인 칸나비디올의 농도가 너무 낮아 적절한 피부투과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흡수 패치제의 박리층은 경피흡수 패치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필름이나 이의 적층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또는 불소 수지를 도포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등의 필름, 종이 또는 이들의 적층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층의 두께는 15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 인 것이 좋다. 상기 박리층이 15 ㎛ 미만인 경우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리용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고무계 점착체,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 및 피부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 기준으로,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 35 중량 %; 점착제 10 ~ 80 중량 %; 및 피부투과 촉진제 5 ~ 3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점착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5 ~ 3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패치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5 ~ 3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치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는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탈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EVONIK사에서 제조된 아크릴산 공중합체 (유드라짓 RS),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유드라짓 RL 100), 메타크릴산/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유드라짓 L, 유드라짓 S),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유드라짓 E)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탈크릴레이트 공중합체(플라스토이드 B)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실리콘 점착제; 및 피부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올레익 애시드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패치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경피흡수 패치의 제조
칸나비디올 10중량%, SIS 고무계 점착제 40중량%, 점착 부여제 (로진에스터 수지) 35 중량%, 점착력 증진제 5 중량% 및 피부투과 촉진제 10 중량%를 넣은 후, 톨루엔을 가하여 고형분 총량이 35 중량%가 되게 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약물이 함유된 점착 용액을 도포기 위에 고정시킨 실리콘이 처리된 폴리에스터 이형필름 위에 도포하고 100℃에서 10 분간 1000 rpm의 속도의 풍속으로 건조시켜 두께가 75㎛ 인 점착층 (약물저장층) 시트를 제조한 뒤 폴리에스터 지지필름과 함지하고 이를 패치 사이즈 30cm2의 크기로 잘라 상기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도 1).
실시예 2. 경피흡수 패치의 제조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조성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상기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이다.
실시예 3, 4, 5. 경피흡수 패치의 제조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조성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단 이때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7.5㎛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6. 경피흡수 패치의 제조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조성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단 이때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 1
(고형분 %)
실시예 2
(고형분 %)
실시예 3
(고형분 %)
CBD 10 10 20
NP(피부투과촉진제) 10 10 10
Styrene-Isoprene-Styrene Rubber
(SIS 고무계 점착제)
40
Rosin Ester
(점착부여제)
35
Mineral oil(점착증진제) 5
Durotak®87-9301
(non functional)
(아크릴계 점착제)
80 70
고형분 총합
중량 %
100 100 100
혼합도(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구분 실시예 4
(고형분 %)
실시예 5
(고형분 %)
실시예 6
(고형분 %)
API CBD 20 20 25
피부투과촉진제 NP 10 15 15
점착기제 Styrene-Isoprene-Styrene Rubber 38 37 40
점착
부여제
Rosin Ester 32 28 20
고형분 총합
중량 %
100 100 100
혼합도(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NP : N-도데실-2-피롤리돈
실험예 1. 피부투과량 분석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의 CBD 피부투과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약물투과 실험용 확산장치(프란츠셀)에 물ㆍ에탄올 혼합액(1:1)으로 채워 온도를 32.0℃로 유지시키고, 피부는 시험용 사체피부(Human cadaver skin)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된 패취를 원형(0.64cm2)으로 절단한 후 사체피부 표피에 부착하고, 프란츠 확장 장치의 공여 부분에 장착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간별로 상기 약물이 확산된 완충용액 250 μl씩을 취하고 즉시 신선한 물ㆍ에탄올 혼합액(1:1)을 보충하였으며, 취한 완충액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하였다.
24시간 후 CBD 피부투과도를 확인한 결과, 각각 a) 실시예 1(고무계, 약물 10%) : 10.05 ㎍/㎠, b) 실시예 2(아크릴계, 약물 10%) : 2.15 ㎍/㎠, c) 실시예 3(아크릴계, 약물 20%) : 23.81㎍/㎠ 의 값을 나타내었다. 피부투과시험결과 아크릴계보다 고무계에서 피부투과도가 높았으며, 약물 농도가 두배가 되었을 때 피부투과도는 약 10배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상기 결과로 볼 때 약물농도를 최대한 높이면서 친유성이 강한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피부투과도를 급격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시예 1, 4 ~ 6의 경피흡수 패치의 CBD 피부투과량을 비교한 결과, 약물농도가 10%에서 25%가 되었을 때, 피부투과도는 약 3배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1 11.85
실시예 4 27.48
실시예 5 26.99
실시예 6 35.39
이후,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의 CBD 피부투과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은 위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점착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7
(고형분 %)
실시예 8
(고형분 중량%)
실시예 9
(고형분 %)
실시예 10
(고형분 %)
CBD 20 20 20 20
피부투과촉진제 NP 10 10 10 10
고무계
점착기제
EVA 70
SBR 70
아크릴계
점착기제
Durotak®87-2516
(-OH)
70
Durotak®87-2516
(-COOH)
70
고형분 총합
중량 %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NP : N-도데실-2-피롤리돈, EVA :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SBR :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7 8.53
실시예 8 28.05
실시예 9 15.27
실시예 10 12.20
24시간 후 CBD 피부투과도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8(SBR)가 28.05 ㎍/㎠ 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도 4).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의 CBD 피부투과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은 위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점착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4a
(고형분 %)
실시예 8
(고형분 %)
실시예 11
(고형분 %)
실시예 12
(고형분 %)
CBD 20 20 20 20
피부투과촉진제 NP 10 10 10 10
고무계
점착기제
SIS 70
SBR 70
PIB 70
실리콘
점착기제
Silicon
(MED-1356)
70
고형분 총합
중량 %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PIB :폴리이소부틸렌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4a 16.02
실시예 8 14.56
실시예 11 36.76
실시예 12 48.99
24 시간 후 CBD 피부투과도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11(고무계 PIB) 36.76 ㎍/㎠ , 실시예 12(Silicon) 48.99 ㎍/㎠의 값을 나타내었다 (도 5).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약물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의 CBD 피부투과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은 위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피부투과 촉진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13
(고형분 %)
실시예 14
(고형분 %)
실시예 15
(고형분 %)
실시예 16
(고형분 %)
실시예 17
(고형분 %)
실시예 18
(고형분 %)
CBD 20 20 20 20 20 20
피부
투과
촉진제
LA 10 10
IPM 10 10
PD 10 10
PIB 70 70 70
Silicon
(bio-
PSA-4102)
70 70 70
고형분 총합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LA : 라우릴 알코올, IPM : 이소프로필 미리스트레이트,
PD :폴리그리세릴-3 디소스테아레이트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8 23.94
실시예 13 63.00
실시예 14 78.20
실시예 15 100.97
실시예 16 170.68
실시예 17 123.01
실시예 18 128.22
24 시간 후 CBD 피부투과도를 확인한 결과, PIB 고무계 점착제/투과촉진제 LA, IPM, PD의 경우 각각 63.00, 78.20, 100.97 ㎍/㎠, Silicone 점착제/투과촉진제 LA, IPM, PD의 경우 각각 170.68, 123.01, 128.22 ㎍/㎠의 값을 나타내었다 (도 6).
물성 및 피부투과 개선 정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피부투과 증진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19
(고형분 %)
실시예 20
(고형분 %)
실시예 21
(고형분 %)
실시예 22
(고형분 %)
실시예 23
(고형분 %)
실시예 24
(고형분 %)
CBD 20 20 20 20 20 20
피부
투과
촉진제
LA 10 10 10 10 10
OA 10
첨가제 PVP 6
VA 6
BMMMC 6
실리콘계 점착제
Bio-PSA 4302
70
실리콘계 점착제
Bio-PSA 4602
70 70 64 64 64
고형분 총합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상분리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상분리 상분리 균일,
Clear Solution
OA : 올레익 에시드,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VA :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BMMMC :뷰틸 메타클레이트-메틸 메타클레이트 공중합체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16 71.98
실시예 20 52.36
실시예 21 120.15
실시예 24 50.44
물성 보완을 목적으로 첨가제를 추가한 경우 상분리가 되거나 낮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19, 20 비교시 실시예 19(Bio-PSA 4302)는 상분리 되었으며, 실시예 20(Bio-PSA 4602)보다 실시예 16(Bio-PSA 4102)이 피부투과도가 더 높았으나 약물함유 매트릭스의 물성 측면에서 실시예 20이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0과 21의 비교에서 피부투과 촉진제 LA보다 OA가 더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물성 및 피부투과 개선 정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하기 표 11, 표 12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피부투과 촉진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25
(고형분 %)
실시예 26
(고형분 %)
실시예 27
(고형분 %)
실시예 28
(고형분 %)
실시예 29
(고형분 %)
실시예 30
(고형분 %)
실시예 31
(고형분 %)
CBD 20 20 20 20 20 20 20
PGMC 10
TC 10
PG 10
PG 45 10
PG 90 10
OA 10
IPM 10
실리콘계 점착제
Bio-PSA 4602
70 70 70 70 70 70 70
고형분 총합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PGMC :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래이트, TC : 트리글리세라이드, PG :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PG45: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Type 1), PG90 :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Type 2)
피부투과 촉진제 종류별 스크리닝
구분 실시예 32
(고형분 %)
실시예 33
(고형분 %)
실시예34
(고형분 %)
실시예35
(고형분 %)
실시예36
(고형분 %)
실시예37
(고형분 %)
실시예38
(고형분 %)
실시예39
(고형분 %)
실시예40
(고형분 %)
실시예41
(고형분 %)
실시예42
(고형분 %)
CBD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OPG 10
CPG 10
PGD 10
DGME 10
GMLN 10
POE 10
NP 10
SA 10
PSM 10
GML 10
GMO 10
실리콘계 점착제
Bio-PSA 4602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고형분 총합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OPG : 올레일 폴리옥실-6 글리세라이드, CPG : 카프릴로카프로일 폴리옥실-8 글리세라이드, PGD : 폴리글리세리-3 디올레이트, DGME :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GMLN :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 POE : 폴리옥시에틸렌(20) 올레일 이써, NP : N-도데실-2- 피롤리돈, SA : 스테아릭 애시드, PSM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GML : 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GMO :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21 128.12
실시예 25 70.10
실시예 26 153.65
실시예 27 139.02
실시예 28 84.98
실시예 29 120.45
실시예 30 139.40
실시예 31 143.08
24시간 후 CBD 피부투과도 확인 결과, 실시예 26, 27, 30. 31에서 매우 높은 피부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이후 물성 개선 정도를 연구하기 위해, 하기 표의 조성으로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26
(고형분%)
실시예43
(고형분%)
실시예44
(고형분%)
실시예45
(고형분%)
CBD 20 20 20 20
피부투과촉진제 IPM 10 10 10 10
물성개선용 고분자 EUDRAGIT E 100 10
EUDRAGIT RL 100 10
EUDRAGIT E PO 10
Silicon
(bio-PSA-4602)
70 60 60 60
고형분총합
(중량 %)
100 100 100 100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UDRAGIT E 100),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EUDRAGIT RL100),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UDRAGIT E PO) 고분자를 추가하여 패치를 제조한 결과, 피부투과도가 우수하면서도 패치의 물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성 및 피부투과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51
(고형분%)
실시예52
(고형분%)
실시예53
(고형분%)
실시예54
(고형분%)
실시예55
(고형분%)
실시예56
(고형분%)
실시예57
(고형분%)
CBD 20 20 20 20 20 20 20
LabrafacLipophile WL 1349(MCT) 10
IPM 10
Oleyl alcohol 10
LabrafacPG 10
Oleic acid 10
Lauroglycol 90 10
LauroglycolTMFCC 10
PIB 70 70 70 70 70 70 70
고형분총합
(중량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도
(μg/cm2)
실시예 31 73.84 ㎍/㎠
실시예 51 33.61 ㎍/㎠
실시예 52 68.89 ㎍/㎠
실시예 53 68.72 ㎍/㎠
실시예 54 34.02 ㎍/㎠
실시예 55 84.44 ㎍/㎠
실시예 56 52.31 ㎍/㎠
실시예 57 58.32 ㎍/㎠
이후, 물성 및 피부투과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의 조성으로 약물 저장층을 형성한 경피흡수 패치를 제조하였다. 약물 저장층 (점착층) 시트의 건조 후 두께는 30㎛가 되도록 하였다.
구분 실시예
58
(고형분%)
실시예
59
(고형분%)
실시예
60
(고형분%)
실시예
61
(고형분%)
실시예
62
(고형분%)
실시예
63
(고형분%)
실시예
64
(고형분%)
CBD 20 20 20 20 20 20 20
Oleyl alcohol 10 10 10 10 10
Oleic acid 10 10
PIB 고분자량(분자량:80~170만) 25 25 25 23 23 20 20
저분자량(분자량: 1만~12만) 15 15 20 17 20 20 20
점착부여제 30 30 25 30 27 30 30
고형분총합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혼합도
(Miscibility)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균일,
Clear Solution
SAMPLE NO. 24시간 피부투과결과
실시예63 82.66 ㎍/㎠
실시예64 111.74 ㎍/㎠
실시예58 44.16 ㎍/㎠
실시예59 65.18 ㎍/㎠
실시예60 74.20 ㎍/㎠
실시예61 71.31 ㎍/㎠
실시예62 65.12 ㎍/㎠

Claims (16)

  1. 지지층; 약물 저장층; 및 박리층이 순차로 적층된 경피흡수 패치제로서,
    상기 약물 저장층은 유효성분 및 점착 기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성분은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레이온, 폴리에스터, 아크릴, 실크, 면 및 이들의 혼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5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중합체(SIS), 스틸렌-에틸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ethylene-isoprene-styrene)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e)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rylene, PIB) 공중합체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저장층은 피부투과 촉진제 또는 점착 부여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N-사이클로헥실-2-피롤리돈(N-cyclohexyl-2-pyrrolidone), 1-부틸-3-도데실-2-피롤리돈(1-butyl-3-dodecyl-2-pyrrolidone), 1,5-디메틸-2-피롤리돈(1,5-dimethyl-2-pyrrolidone), 1-에틸-2-피롤리돈(1-ethyl-2-pyrrolidone), 1-헥실-4-메틸옥시카르보닐-2-피롤리돈(1-hexyl4-methyloxycarbonyl-2-pyrrolidone), 1-헥실-2-피롤리돈(1-hexyl-2-pyrrolidone),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돈(1-(2-hydroxyethyl)pyrrolidone), 3-하이드록시-N-메틸-2-피롤리돈(3-hydroxy-N-methyl-2-pyrrolidone), 1-라우릴-4-메틸옥시카르보닐-2-피롤리돈(1-lauryl-4-methyloxycarbonyl-2-pyrrolidon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카프릴릴-2-피롤리돈(N-carprylyl-2-pyrrolidone), N-도데실-2-피롤리돈(N-dodecyl-2-pyrrolidone), 글리세롤라우릴알코올(glycerol lauryl alcohol),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이소프로필미리스트레이트(isopropyl myrist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프로필렌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monolaurate), 프로필렌모노올레이트(propylene mono-oleate), 올레일 마크로골 글리세라이드(oleylmacrogolglyceride), 올레인산(oleic acid), 라우로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auroylmacrogoglyceride), 리놀레오일 마크로고 글리세라이드(linoleoylmacrogoglyceride), 프로필렌글리콜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caprylate/capr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모노올레이트(Sorbitanmonostearate mono-oleate), 글리세롤모노라우레이트(glycerol monolaurate), 프로필렌글릴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laur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트리글리세라이드, 올레익 애시드,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monolaurate), 라우릴락테이트(lauryl lact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옥수수유 PEG-8 에스터, 옥수수유 PEG-6 에스터 또는 트리아세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지, 수소 가로진글리세린 에스테르 수지, 로진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수지, 알파메틸스티렌 수지, 탄소수 5~9인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수지, 탄소수 5~9인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수지, 수소 첨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 테르펜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테르펜 페놀 수지로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저장층의 두께는 20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종이 및 이들의 적층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의 두께는 15 ~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11.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고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 및 피부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 기준으로,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 35 중량 %;
    고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 10 ~ 80 중량 %; 및
    피부투과 촉진제 5 ~ 3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패치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는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탈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패치용 조성물.
  16. 칸나비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실리콘 점착제; 및 피부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용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투과 촉진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올레익 애시드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 패치용 조성물.
KR1020230168230A 2022-11-28 2023-11-28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KR20240079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746 2022-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179A true KR20240079179A (ko) 2024-06-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768B1 (ko) 경피 흡수 제제
JP4943657B2 (ja) カプサイシンを含むポリシロキサンマトリックスを有する治療パッチ
US8153151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ug delivery from silicone adhesive blends
CA2739380C (en) Amorphous rotigotine transdermal system
US9226902B2 (en) Stabilized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EP1696013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patch
US20070264319A1 (en) Transdermal Antiemesis Delivery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Therefor
KR20010036685A (ko) 펜타닐을 함유하는 매트릭스형 경피투여제
KR20120107153A (ko) 펜타닐 경피 패치제
US6899894B1 (e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ining hormones and crystallization inhibitors
WO2008016077A1 (en) Adhesive preparation
KR100473677B1 (ko) 물리적 특성이 향상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를 구비한 경피 또는 국소 플래스터 시스템
KR20080077404A (ko) 비소프롤롤 함유 접착 제제
KR20240079179A (ko) 칸나비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피흡수 패치제
KR20060123551A (ko) 최소한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디하이드로피리딘 타입칼슘 길항제용 경피 전달 장치
JP5512910B2 (ja) ツロブテロール含有経皮吸収製剤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貼付剤
KR20110035404A (ko) 천식 치료용 경피흡수제제
WO1993001776A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bimakalim transdermally
JP2005281202A (ja) 経皮吸収型貼付剤用支持体及び経皮吸収型貼付剤
EP2238990A2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