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074A -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074A
KR20240079074A KR1020220162018A KR20220162018A KR20240079074A KR 20240079074 A KR20240079074 A KR 20240079074A KR 1020220162018 A KR1020220162018 A KR 1020220162018A KR 20220162018 A KR20220162018 A KR 20220162018A KR 20240079074 A KR20240079074 A KR 2024007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smart terminal
synchronization
examin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102022016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9074A/ko
Publication of KR2024007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07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의료장비와 의료기기의 저용량 환자데이터를 비식별화 처리하여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서버를 통해 정보 전송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실제 환자 데이터 값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지 않고, 영상매체를 통해서 전달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고유 식별자를 갖는 기기의 경우, QR코드 생성시 해당 기기의 고유 값을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대용량의 정보 전송 보다는 폼지, 결과값 등 소량의 의료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고, 파일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공간에 있어,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PATIENT EXAMIN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QR코드, 바코드 등의 디지털 코드와 카메라를 이용한 환자 검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의료기관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 등의 모든 과정과 기록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전산화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X-선이나 CT, MRI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해주는 의료용 영상처리 시스템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하나로 통합한 병원정보 시스템인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등이 의료정보시스템에 속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이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환자정보 데이터를 갖는 의료정보가 환자 개인의 신체와 관련된 전문적이고 공익적인 정보일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중에서도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자정보 디지털 데이터는 복제가 쉬워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부정확한 정보가 생산될 경우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환자 정보 데이터와 같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사생활 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관련 환자 정보 전송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개방형 유무선 융합 코디네이터 플랫폼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무선인터넷,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ISM 대역의 멀티서비스 사용으로 인해, 날로 통신 간섭현상이 심해지는 병원환경에서 실시간 정보 변경이 불가능하고 전송 신뢰도가 낮으며, 저전력통신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391773호 (2014.04.28) 2. 한국 특허등록 제10-1068687호 (2011.09.2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의료장비와 의료기기의 저용량 환자데이터를 비식별화 처리하여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서버를 통해 정보 전송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실제 환자 데이터 값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지 않고, 영상매체를 통해서 전달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고유 식별자를 갖는 기기의 경우, QR코드 생성시 해당 기기의 고유 값을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대용량의 정보 전송 보다는 폼지, 결과값 등 소량의 의료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고, 파일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공간에 있어,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 장비; 의료장비에서 생성된 환자 검진 정보를 전송받는 스마트 단말; 환자 검진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동기화 서버; 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 은 동기화 서버와 인증 완료 후, 동기화 서버로부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수신하고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정보를 직접 전송받아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서버; 는 의료 장비로부터 비식별화 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의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의료 장비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동기화 모듈; 동기화 모듈에서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모듈;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의료 장비; 는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결과 및 X-선, CT, MRI촬영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검사 정보 수집모듈; 수집된 환자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하는 비식별화 모듈; 의료장비와 근거리 통신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 모듈;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하는 검사정보 전송 모듈;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 은 환자 검사 결과 정보 및 동기화 정보 수신을 위한 QR 코드, 바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인증 코드 생성 모듈;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로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동기화 서버에서 정상 완료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동기화 정보 수집 모듈;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직접 전달받아 출력하는 검사 정보 출력 모듈;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상황에 데이터 노출이 없도록 하여 환자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서버는 전송내역에 대한 프로필만 저장할 뿐이어서, 실제 전송파일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의료 장비(100), 동기화 서버(200) 및 스마트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료 장비(100)는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생성한다.
스마트 단말(300)은 의료장비에서 생성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동기화 서버(200)은 스마트 단말에서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의료장비(100)로부터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서버(200)은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300)은 환자 개인정보를 이용해 생성한 QR 코드, 바코드 등의 디지털 코드를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동기화 서버 및 의료장비에서 환자 인증 및 환자가 소유한 스마트 단말임을 인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300)은 동기화 서버와 인증 완료 후, 동기화 서버로부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수신한다. 동기화 값은 스마트 단말로 전달된 환자 정보의 스트리밍 및 출력을 위한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300)에서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값을 수신하면, 환자 정보 출력 시 동기화 값이 자동 입력되어 환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서버를 통해 의료 장비에서 스마트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동기화 서버를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방식과 동기화 서버 없이 스마트 단말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의료장비와 의료기기의 저용량 환자데이터를 비식별화 처리하여 환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서버를 통해 정보 전송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실제 환자 데이터 값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지 않고, 영상매체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고유 식별자를 갖는 기기의 경우, QR코드 등 인증 코드 생성 시 해당 기기의 고유 값을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대용량의 정보전송 보다는 폼지, 결과값 등 소량의 의료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고, 파일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공간에 있어, 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100)은 환자 검사 정보 수집 모듈(110), 비식별화 모듈(120), 인증모듈(130) 및 검사정보 전송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환자 검사 정보 수집 모듈(110)은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결과 및 X-선, CT, MRI촬영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사 정보를 환자 개개인 별로 저장한다.
비식별화 모듈(120)은 수집된 환자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하는 비식별화를 수행한 한다.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식별화(de-identification)는 누군가의 정체성이 공개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이다. 이를테면 인체 실험 중에 생성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식별에 관한 메타데이터나 일반 데이터에 적용할 경우 이러한 과정은 데이터 익명화라고도 한다. 실시예에서 비식별화 모듈(120)은 인명 등 개인 식별자를 삭제하거나 마스킹하는 과정, 그리고 출생일 등의 준식별자를 누락시키거나 일반화하여 환자의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 또는 대체하거나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지 못하도록 처리함으로써,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일련의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침해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빅데이터로 활용 시 정보 누출이 없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비식별화 모듈(120)은 카메라 센서 또는 휴리스틱 가명화(Heuristic Pseudonymization), 암호화(Encryption)교환 방법(Swapping)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연산으로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휴리스틱 가명화는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들을 몇 가지 정해진 규칙으로 대체하거나 사람의 판단에 따라 가공하여 자세한 개인정보를 숨기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암호화된 이미지의 파일명칭, 일련번호, 이미지 제공자 개인 정보 등을 숨길 수 있도록 한다. 암호화(Encryption)는 정보 가공 시 일정한 규칙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개인정보를 대체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제공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의료보험번호, 외국인등록번호, 사용자 ID, 신용카드번호, 생체 정보 등을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비식별화 모듈(120)은 교환 방법(Swapping)을 통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정보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교환 방법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사전에 정해진 외부의 변수(항목)값과 연계하여 교환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ID, 요양기관번호, 기관번호, 나이, 성별, 신체정보(신장, 혈액형 등), 소득,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외부의 변수(항목)값과 연계하여 교환할 수 있다.
인증모듈(130)은 의료장비에서 일정 거리내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한다.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 또는 기기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증모듈(130)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 코드에 포함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된 환자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된 인증 코드를 의료장비에서 인식하여, 인식된 인증코드에 포함된 환자 정보와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인증 코드에 포함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정보가 동일한 경우, 인증을 정상 완료한다.
검사정보 전송 모듈(140)은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검사 정보 전송 모듈(14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 초 근접거리에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Zing 기술 등 근거리 통신과 단말간 직접 통신방식(D2D, Device-to-Device)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한다. D2D 통신은 기지국이나 AP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환망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실시예에서 검사정보 전송 모듈(140)은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스마트 단말을 소유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검사 정보 전송 모듈(140)은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스마트 단말을 소유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검자 정보를 재생 장치인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직접 전송 방식으로 환자 검진 정보를 저장한 매체인 의료장비와 연결하고, 스마트 단말이 환자 정보를 의료장비로부터 스트리밍 받기 시작한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이 환자 검진 정보를 스트리밍 받는 시점 또는 기준 시점부터 기준 시간 동안 일정 횟수로 의료장비가 전달하는 신호의 세기 또는 의료장비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에러율을 측정하여 신호 세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또는 매체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에러율이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스마트 단말은 의료장비와 ACK 메시지를 교환하지 않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200)은 통신모듈(210), 동기화 모듈(220) 및 생성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의료 장비로부터 비식별화 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의 동기화 정보를 인증완료 된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동기화 모듈(220)은 의료 장비와 인증완료 된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 동일성을 확인한다.
생성모듈(230)은 동기화 모듈(220)에서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값은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정보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300)은 인증코드 생성 모듈(310), 동기화 정보 수집 모듈(320) 및 검사 정보 출력 모듈(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증코드 생성 모듈(310)은 환자 검사 결과 정보 및 동기화 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 수신을 위한 QR 코드, 바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코드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 코드는 환자의 주민번호, 생년월일, 아이디, 검사 일시 등 사용자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암호화 모듈(320)은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동기화 정보 수집 모듈(320)은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로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정상 완료되는 경우,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정보는 데이터 출력 비밀 코드, 최종 데이터 업데이트 시점 등 스마트 단말에서 출력될 환자 정보가 의료 장치에 출력되는 환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정보는 최종 업데이트 시점 및 환자 주민번호, 환자 번호 등을 암호화한 비밀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 정보 출력 모듈(330)은 스마트 단말이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기기간 직접 통신으로 전달받아 전달 완료된 환자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검사 정보 출력 모듈(33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방식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환자 검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단말은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면, 전송 완료된 환자 검진 정보에 동기화 값이 자동 입력되고, 입력된 동기화 값이 환자 검진 정보의 설정된 동기화 값과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에서 환자 정보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의 작용(기능)은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는 의료장비에서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생성한다. S20 단계에서는 환자 검진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S 30 단계에서는 의료 장비에서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한다. S4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환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S50 단계에서 인증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거나, 동기화 서버에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S60 단계에서는 인식하거나 수신한 인증정보를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단말인증을 수행하고, 스마트 단말이 정상 인증된 경우, S70 단계에서 동기화 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S80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동기화 정보 수신 후 환자 검진 정보를 출력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비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는 환자 검사 정보 수집 모듈에서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결과 및 X-선, CT, MRI촬영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사 정보를 환자 개개인 별로 저장한다.
S120 단계에서는 비식별화 모듈에서 수집된 환자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하는 비식별화 한다.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식별화(de-identification)는 누군가의 정체성이 공개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이다. 이를테면 인체 실험 중에 생성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식별에 관한 메타데이터나 일반 데이터에 적용할 경우 이러한 과정은 데이터 익명화라고도 한다. 실시예에서 S120 단계에서는 인명 등 개인 식별자를 삭제하거나 마스킹하는 과정, 그리고 출생일 등의 준식별자를 누락시키거나 일반화하여 환자의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 또는 대체하거나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지 못하도록 처리함으로써,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일련의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침해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빅데이터로 활용 시 정보 누출이 없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센서 또는 휴리스틱 가명화(Heuristic Pseudonymization), 암호화(Encryption)교환 방법(Swapping)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연산으로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휴리스틱 가명화는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들을 몇 가지 정해진 규칙으로 대체하거나 사람의 판단에 따라 가공하여 자세한 개인정보를 숨기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암호화된 이미지의 파일명칭, 일련번호, 이미지 제공자 개인 정보 등을 숨길 수 있도록 한다. 암호화(Encryption)는 정보 가공 시 일정한 규칙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개인정보를 대체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제공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의료보험번호, 외국인등록번호, 사용자 ID, 신용카드번호, 생체 정보 등을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비식별화 모듈(120)은 교환 방법(Swapping)을 통해, 이미지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정보를 비식별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교환 방법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사전에 정해진 외부의 변수(항목)값과 연계하여 교환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ID, 요양기관번호, 기관번호, 나이, 성별, 신체정보(신장, 혈액형 등), 소득,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사전에 정해진 외부의 변수(항목)값과 연계하여 교환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는 인증 모듈에서 의료장비에서 일정 거리내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한다. 실시예에서 S13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증 코드에 포함된 환자의 개인정보를 저장된 환자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된 인증 코드를 의료장비에서 인식하여, 인식된 인증코드에 포함된 환자 정보와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단말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는 검사정보 전송 모듈에서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검사 정보 전송 모듈(14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 초 근접거리에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Zing 기술 등 근거리 통신과 단말간 직접 통신방식(D2D, Device-to-Device)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한다. D2D 통신은 기지국이나 AP를 거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환망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실시예에서 S140 단계에서는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스마트 단말을 소유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140 단계에서는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스마트 단말을 소유한 환자의 검사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검자 정보를 재생 장치인 스마트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직접 전송 방식으로 환자 검진 정보를 저장한 매체인 의료장비와 연결하고, 스마트 단말이 환자 정보를 의료장비로부터 스트리밍 받기 시작한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이 환자 검진 정보를 스트리밍 받는 시점 또는 기준 시점부터 기준 시간 동안 일정 횟수로 의료장비가 전달하는 신호의 세기 또는 의료장비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에러율을 측정하여 신호 세기가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또는 매체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에러율이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스마트 단말은 의료장비와 ACK 메시지를 교환하지 않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는 통신모듈에서 의료 장비로부터 비식별화 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의 동기화 정보를 인증완료 된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S220 단계에서는 동기화 모듈에서 의료 장비와 인증완료 된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 동일성을 확인한다.
S230 단계에서는 생성모듈에서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는 인증코드 생성 모듈(310)에서 환자 검사 결과 정보 및 동기화 정보 수신을 위한 QR 코드, 바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코드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 코드는 환자의 주민번호, 생년월일, 아이디, 검사 일시 등 사용자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암호화 모듈(320)은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S320 단계에서는 동기화 정보 수집 모듈(3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로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정상 완료되는 경우,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동기화 정보는 데이터 출력 비밀 코드, 최종 데이터 업데이트 시점 등 스마트 단말에서 출력될 환자 정보가 의료 장치에 출력되는 환자 정보와 동일한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S330 단계에서는 검사 정보 출력 모듈(330)에서 스마트 단말이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기기간 직접 통신으로 전달받아 전달 완료된 환자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예에서 S330단계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방식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환자 검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상황에 데이터 노출이 없도록 하여 환자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동기화서버는 전송내역에 대한 프로필만 저장할 뿐이어서, 실제 전송파일이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의료 장비;
    상기 의료장비에서 생성된 환자 검진 정보를 전송받는 스마트 단말;
    환자 검진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동기화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동기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 은
    상기 동기화 서버와 인증 완료 후,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정보를 직접 전송받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 는
    의료 장비로부터 비식별화 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의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의료 장비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동기화 모듈;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비; 는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결과 및 X-선, CT, MRI촬영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검사 정보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환자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하는 비식별화 모듈;
    의료장비와 근거리 통신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 모듈;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하는 검사정보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은
    환자 검사 결과 정보 및 동기화 정보 수신을 위한 QR 코드, 바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인증 코드 생성 모듈;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로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동기화 서버에서 정상 완료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동기화 정보 수집 모듈;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직접 전달받아 출력하는 검사 정보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보 출력 모듈; 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환자 검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의료장비에서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환자 검진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스마트 단말에서 상기 의료장비에서 생성된 환자 검진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C) 동기화 서버에서 환자 검진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동기화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스마트 단말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 인증 완료 후,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정보를 직접 전송 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의료 장비로부터 비식별화 된 환자 검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자 검진 정보의 동기화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 장비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모듈에서 의료 장비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와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환자 검진 정보의 동일성이 확인되는 경우, 환자 검진 정보 확인을 위한 동기화 값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단계; 는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결과 및 X-선, CT, MRI촬영결과를 포함하는 환자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검사 정보 수집모듈;
    상기 수집된 환자 검사 정보를 비식별화 하는 단계;
    의료장비와 근거리 통신 및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로 환자 검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 는
    환자 검사 결과 정보 및 동기화 정보 수신을 위한 QR 코드, 바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를 스마트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증 코드로 스마트 단말의 인증이 동기화 서버에서 정상 완료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동기화 값을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직접 전달받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일정거리 미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의료장비로부터 환자 검사 정보를 직접 전달받아 출력하는 단계; 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환자 검사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220162018A 2022-11-28 2022-11-28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79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018A KR20240079074A (ko) 2022-11-28 2022-11-28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018A KR20240079074A (ko) 2022-11-28 2022-11-28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074A true KR20240079074A (ko) 2024-06-04

Family

ID=9146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018A KR20240079074A (ko) 2022-11-28 2022-11-28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90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87B1 (ko) 2009-02-26 201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KR101391773B1 (ko) 2012-11-12 2014-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87B1 (ko) 2009-02-26 201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및 의료기관 식별정보를 이용한 환자 정보 접근방법 및 장치
KR101391773B1 (ko) 2012-11-12 2014-05-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식별태그 및 이를 이용한 환자정보와 체온 체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9021A1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180137936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11106818B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068785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CN105339949B (zh) 用于管理对医学数据的访问的系统
US20210336956A1 (en) Electronic Health Data Access Control
US11836242B2 (en) Controlled identity credential release
US20160314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quick response code
US20070043594A1 (en) National healthcare information/transaction network for interoperability: standardizing delivery of healthcare through biometric smart cards & biometric smart chip-based devices
US20080177569A1 (en) Mobile Phone Bas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System and Process to Manage Sensitive Individual Records
US11521720B2 (en) User medical record transport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US11580559B2 (en) Official vetting using composite trust value of multiple confidence levels based on linked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s
US20110123027A1 (en) Us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s an electronic health insurance card
US9210165B2 (en) Confidential information access via social networking web site
US20210243185A1 (en) Tap and Go PHI System
US20230215524A1 (en)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immunity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30362156A1 (en) Secure transfer of health information
KR20240079074A (ko) 환자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203108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henticated Access to Secure Information
Quincozes et al. A secure architecture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for medical records retrieval
JP2023524478A (ja) 短距離トランシーバを使用した個人ユーザデータのデータ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066929A (ja) サーバシステム、電子機器、通信端末及び認証方法
JP2023041390A (ja) 情報処理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患者認証システム
JP2022046328A (ja) 救急活動支援サーバ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救急活動支援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
KR20140147489A (ko) 모바일 처방전을 갖는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