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563A -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 - Google Patents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563A
KR20240078563A KR1020220161014A KR20220161014A KR20240078563A KR 20240078563 A KR20240078563 A KR 20240078563A KR 1020220161014 A KR1020220161014 A KR 1020220161014A KR 20220161014 A KR20220161014 A KR 20220161014A KR 20240078563 A KR20240078563 A KR 20240078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soft
members
soft pipes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수국
안진구
Original Assignee
(주)미래인더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인더스 filed Critical (주)미래인더스
Publication of KR2024007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56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65G57/186Cylindrical articles, e.g. tubes, rod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시 휘어짐이나 찌그러짐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연질 파이프(예: 알루미늄 파이프)의 적재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로서, 압출 성형되는 공정에서의 장대화(대략 16m 길이로 절단)된 연질 파이프를 적재함으로 이송시켜 적재하는 공정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다양한 제품 공정(예: 열교환기의 머프 부품)의 원소재로서 채용되는 연질 파이프가 적재 공정 과정에서 품질 저하(예: 휨 정밀도, 치수 공차, 스크레치 블량 등)가 발생하지 않도록 압출 성형된 후 적재함까지 이동 적재되는 공정의 자동화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집게 부재가 장대화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한꺼번에 안정적으로 그립함에 따라 연질 파이프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automating the loading process of soft pipes (e.g., aluminum pipes), which are prone to defects such as bending or distortion during loading.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utomated system that allows the transport and loading process to be carried directly into the loading box without the operator's hands. In particular, soft pipes used as raw materials for various product processes (e.g., muff parts of heat exchangers) are extruded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e.g., bending precision, dimensional tolerance, scratch amount, etc.) during the loading process. This is a technology that ensures that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of moving and loading to the loading dock is carried out st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lamp guide frame member,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stably grip a bundle of long soft pipes at once,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soft pipe.

Description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

본 발명은 적재시 휘어짐이나 찌그러짐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연질 파이프(예: 알루미늄 파이프)의 적재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automating the loading process of soft pipes (e.g., aluminum pipes), which are prone to defects such as bending or crushing during loading.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압출 성형되는 공정에서의 장대화(대략 16m 길이로 절단)된 연질 파이프를 적재함으로 이송시켜 적재하는 공정이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system in which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loading a soft pipe that has been lengthened (cut to approximately 16 m in length) into a loading box i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is directly loaded into the loading box without the operator's hands.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특히, 다양한 제품 공정(예: 열교환기의 머프 부품)의 원소재로서 채용되는 연질 파이프가 적재 공정 과정에서 품질 저하(예: 휨 정밀도, 치수 공차, 스크레치 블량 등)가 발생하지 않도록 압출 성형된 후 적재함까지 이동 적재되는 공정의 자동화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이다.In particular, soft pipes used as raw materials for various product processes (e.g., muff parts of heat exchangers) are extruded to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e.g., bending precision, dimensional tolerance, scratch amount, etc.) during the loading process. This is a technology that ensures that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of moving and loading to the loading dock is carried out stably.

최근, 알루미늄 압출 성형 제품은 건축, 전기, 기계, 운송, 내구 소비재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첨단 소재로서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luminum extrusion products have been applied as advanced material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electricity, machinery, transportation, and consumer durables.

그리고, 가변 단면 압출 기술을 적용한 고부가가치의 부품이 생산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변단면 압출공정은 일반적인 압출 공정과 다르게 가변형상에 따른 개구 면적의 변화를 통해 하나의 제품에 여러 형상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용접을 통해 여러 형상의 부품을 연결 제조하는 것과 달리 기계적 특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In addition, high value-added parts are being produced using variable cross-section extrusion technology. Unlike general extrusion processes, this variable cross-section extrusion process implements multiple shapes in one product through changes in the opening area according to the variable shap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xtrusion process. Unlike manufacturing parts of various shapes by connecting them through weld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한편, 알루미늄의 높은 전도성을 활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머프(Muff: Fin tube) 부품으로서 최근에는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 제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10계열의 연성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압연 공정(Finning Process)을 통해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다양한 형상의 Muff 부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the use of aluminum extrusion product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as a muff (fin tube) part of a heat exchanger that utilizes the high conductivity of aluminum. Among them, muff parts of various shapes with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hrough a rolling process using 10 series of ductile aluminum.

[도 1]은 일반적인 연질의 알루미늄 파이프가 피닝(Finning) 공정을 거침에 따라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머프(Muff) 부품으로 제조되는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머프 부품이 구조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방향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general soft aluminum pipe into a muff part used in a heat exchanger as it goes through a peening process, and [Figure 2] is a muff part of [Figure 1].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of structural development.

[도 1]을 참조하면, 압출 성형되는 연성의 알루미늄 튜브(a)를 활용하여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알루미늄 머프(c)를 제작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소위 압연공정(finning process)을 거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 an aluminum muff (c) used in a heat exchanger is manufactured using an extruded flexible aluminum tube (a). For this, so-called rolling is used as shown in (b) of [Figure 1]. It goes through a fining process.

다른 한편, 열교환기는 점점 대면적화 되어가는 것에 맞추어 그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알루미늄 머프의 핀(fin)은 [도 2]에서와 같이 점점 슬림화되고 각 핀(fin)의 간격은 좁아지면서 정밀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heat exchangers become increasingly larger in area, the fins of the aluminum muff used in the heat exchanger are becoming slimmer as shown in [Figure 2], and the spacing between each fin is becoming narrower and more precise.

그에 따라, 머프 부품의 원소재인 [도 1]의 (a)에 대응하는 10계열 알루미늄 튜브는 예컨대 전체 길이 16m 장대화, 치수 공차 ±0.08mm, 휨 정밀도 20mm/10m 이하, 스크레치 불량길이 5mm 이하, 스크레치 불량깊이 0.2mm 이하의 품질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 10-series aluminum tube corresponding to (a) in [Figure 1], which is the raw material for muff parts, has, for example, a total length of 16m, a dimensional tolerance of ±0.08mm, a bending precision of 20mm/10m or less, and a scratch defect length of 5mm or less. , quality conditions of scratch defect depth of 0.2 mm or less are required.

하지만, 현재로서는 머프 부품의 원소재인 [도 1]의 (a)에 대응하는 10계열 알루미늄 튜브를 압출 성형한 후 이동 적재하는 공정이 위의 품질 조건에 미치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at pres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extruding and then moving and loading the 10 series aluminum tube corresponding to (a) in [Figure 1], which is the raw material for muff parts, is exposed to a harsh environment that does not meet the above quality conditions. there is.

즉, [도 3]은 최근 장대화(예: 16m 길이로 절단)되는 연질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복수의 작업자가 그 알루미늄 파이프의 중간중간에 서서 협동으로 적재함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의 예시도를 나타낸다.That is,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oft aluminum pipe, which has recently been lengthened (e.g., cut to a length of 16 m), is moved to a loading dock by a plurality of workers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aluminum pipe in cooperation.

[도 3]에서와 같이, 예컨대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머프 부품의 원소재인 연성 알루미늄 파이프는 소위 압출 성형을 통해 대략 16m의 장대화를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긴 연성 알루미늄 파이프가 압출 성형된 직후 적재함으로 이동 적재하는 공정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함께 들어 옮기는 수준이다.As shown in [Figure 3], for example, the flexible aluminum pipe, which is the raw material for muff parts used in heat exchangers, is made into a length of approximately 16 m through so-called extrusion molding, but this long flexible aluminum pipe is moved to the loading dock immediately after extrusion molding. The loading process involves multiple workers lifting and moving items together.

이러한 수작업 환경에서는 연성 알루미늄 파이프의 휨 정밀도나 스크레치 불량길이, 스크레치 불량깊이 정도가 최근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머프 부품의 품질 조건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In this manual work environment, the bending precision, scratch length, and scratch depth of the flexible aluminum pipe do not meet the quality requirements of muff parts used in recent heat exchangers.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 부품에 채용되는 원소재로서의 연질 파이프를 압출 성형 후 이동 적재시키는 공정을 거치면서도 미리 정한 양호한 품질 조건에 속하도록 하는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ft pipe that falls within predetermined good quality conditions while undergoing a process of extrusion molding and then moving and stacking a soft pipe as a raw material used in precision parts. To provide a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압출 성형되는 연질 파이프를 그 연질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 단위(이하,'한 묶음'이라 함)로 한꺼번에 이송시키는 종방향 이송부재(110); 종방향 이송부재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된 후 종방향 이송부재와 대향하는 횡방향으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는 횡방향 이송부재(120); 종방향 이송부재의 사이사이에 복수 개 배치되며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종방향 이송부재를 따라 이송 중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들어올리고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횡방향 이송부재 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 들어올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횡방향 이송부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이송방향 전환부재(130); 종방향 이송부재와 대향하는 쪽의 횡방향 이송부재에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횡방향 이송부재의 사이사이에 복수 개 배치되며 이송방향 전환부재의 도움으로 횡방향 이송부재의 상면에서 구르는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스톱시키는 스토퍼 부재(140); 스토퍼 부재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스토퍼 부재에 의해 횡방향 이송부재 위에 멈춰있는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고 그 그립한 상태로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인 후 수평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미리 마련된 적재함에 그립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낙하시키는 집게 부재(150); 집게 부재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that transports extrusion-molded soft pipes at once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 bu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ft pipe. Directional transfer member 110; A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nd guiding a bundle of soft pipes to rol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them are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s, and as they move vertically upward, they lift a bundle of soft pipes being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transport members, and while lifting the bundle of soft pipes, they move towards the transverse transport members. A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that seats a bundle of soft pipes lifted after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soft pipes are arranged betwee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undle of soft pipes i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nd ro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with the help of the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A stopper member 140 that stops a bundle of soft pipes; A plurality of soft pipe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topper member, and a bundle of soft pipes stopped on the lateral transfer member by the stopper member are gripped, moved vertically upward in the gripped state, then moved horizontally, and then vertically. A clamp member 150 that moves downward and drops a bundle of soft pipes gripped into a previously prepared loading box;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movement guide gantry members 160 that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and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clamp member.

여기서,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의 상부 크로스바와 횡방향 이송부재 사이에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상부 크로스바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자신 몸체의 하부에 자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집게 부재를 연결시킨 상태로 복수 개의 집게 부재가 한꺼번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a bundle of soft pipes is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crossbar of the moving guide gantry member and the lateral transfer member, and is configured to move using the upper crossbar as a support means,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ong guide frame member 170 that guides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so that they can move at the same time whil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자신 몸체의 하부에 매단 상태로 상부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상부 크로스바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수평이동 부재(181);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각각의 수평이동 부재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연직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수평이동 부재를 기준으로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연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복수 개의 수평이동 부재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연직이동 부재(1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movement members 181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upper crossbars and move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with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suspend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With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and each horizontal movement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based on each horizontal movement member as it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orizontal movement member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movement members 182.

한편, 복수 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추고 복수 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 해제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추는 집게동작 싱크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tong operation sync control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tong members synchronize the action of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and a plurality of tong members synchronize the action of releasing the grip of a bundle of soft pipes. It can be.

본 발명은 종방향 이송부재, 횡방향 이송부재, 이송방향 전환부재, 스토퍼 부재, 집게 부재, 겐트리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압출 성형되는 연질 파이프를 이동 적재시키는 공정을 안정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tably automating the process of moving and loading extrusion-molded soft pipes by providing a longitudinal conveying member, a lateral conveying member, a conveying direction switching member, a stopper member, a clamp member, and a gantry member. indicates.

또한, 본 발명은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집게 부재가 장대화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한꺼번에 안정적으로 그립함에 따라 연질 파이프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장점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soft pipe by stably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with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a clamp guide frame member.

[도 1]은 일반적인 연질의 알루미늄 파이프가 피닝(Finning) 공정을 거침에 따라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머프(Muff) 부품으로 제조되는 과정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머프 부품이 구조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방향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최근 장대화(예: 16m 길이로 절단)되는 연질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복수의 작업자가 그 알루미늄 파이프의 중간중간에 서서 협동으로 적재함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정면도에서 압출 성형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되기 직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된 직후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집게 부재가 연직하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후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상태로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함께 적재함의 연직 상부까지 움직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9]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상태로 적재함에 근접하도록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 해제함과 함께 압출 성형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되기 직전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Figure 1] is an example of the process in which a typical soft aluminum pipe is manufactured into a muff part used in a heat exchanger as it goes through a peening process.
[Figure 2] is an example sho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muff parts of [Figure 1] are structurally developed.
[Figure 3] i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soft aluminum pipe, which has recently been lengthened (e.g., cut to 16 m in length), is moved cooperatively to a loading dock by multiple workers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aluminum pip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us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direction of a bundle of extruded soft pipes is chang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do,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immediately after a bundle of soft pipes is changed to a transvers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Figure 6] is a use state in which the tongs guide frame member and tongs member,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5], are moved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tong member in [Figure 6] is used to grip a bundle of soft pipes,
[FIG. 8] is a use state in which the tong member in [FIG. 7] moves vertically upward after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FIG. 9] is a usage state in which the clamp member in [FIG. 8] grips a bundle of soft pipes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to the vertical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FIG. 10] is a use state in which the clamp member of [FIG. 9] is moved vertically downward to approach the loading box while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FIG. 11] shows that the clamp member of [FIG. 10] releases the grip of a bundle of soft pipes, and a bundle of extruded soft pipes moves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It shows the usage state just before convers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정면도에서 압출 성형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되기 직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된 직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집게 부재가 연직하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후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상태로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함께 적재함의 연직 상부까지 움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한 상태로 적재함에 근접하도록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집게 부재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 해제함과 함께 압출 성형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이송방향 전환부재를 통해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횡방향 이송부재로 방향전환되기 직전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use state just before a bundle of extruded soft pipes is chang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And, [Figure 5] is a usage state diagram immediately after a bundle of soft pipes is changed to a transvers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transport direction changing member,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4],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in [Figure 4]. 5]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the tongs guide frame member and the tongs member,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nd [Figure 7]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the tongs member in [Figure 6] is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And, [Figure 8]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the tong member in [Figure 7] moves vertically upward after gripping a bundle of soft pipes, and [Figure 9] shows the tong member in [Figure 8] in one state. It is a state of use in which a bunch of soft pipes are gripped and moved to the vertical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together with the tong guide frame member. [Figure 10] shows the tong member in [Figure 9] being loaded with a bundle of soft pipes gripped. It is a use state diagram moved vertically downward to approach , and [Figure 11] shows that the clamp member of [Figure 10] releases the grip of a bundle of soft pipes and a bundle of extruded soft pipes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shows the state of use just before the direction is chang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종방향 이송부재(110), 횡방향 이송부재(120), 이송방향 전환부재(130), 스토퍼 부재(140), 집게 부재(150),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 수평이동 부재(181), 연직이동 부재(182), 집게동작 싱크제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FIG. 11], the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a lateral transfer member 120, a transfer direction change member 130, and a stopper member. (140), a clamp member 150, a moving guide gantry member 160, a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a horizontal moving member 181, a vertical moving member 182, and a claw motion sink control member. It can be.

종방향 이송부재(110)는 [도 4]를 참조하면 압출 성형되는 연질 파이프(10)를 그 연질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 단위(이하,'한 묶음'이라 함)로 한꺼번에 이송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transports the extruded soft pipes 10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ft pipes 10. transport.

종방향 이송부재(110)는 예컨대 소위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 컨베이어는 복수 개의 롤러부가 [도 4] 상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그 롤러부의 상면에 [도 4]와 같이 안착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송시킨다.The longitudinal conveying member 110 may be configured as a so-called 'roller conveyor', for example. Here, the roller conveyo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place with a plurality of roller parts arrang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4]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in [FIG. 4]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4]. As a result, a bundle of soft pipes 1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unit as shown in [FIG. 4] are transferr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4].

횡방향 이송부재(12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일측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d [FIG. 5], the lateral transfer member 120 may be disposed close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횡방향 이송부재(120)는 [도 4] 상의 연질 파이프(10)가 [도 5] 상의 위치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한다.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guides the soft pipe 10 in [FIG. 4] to roll to the position in [FIG. 5].

이를 위해, 횡방향 이송부재(120)는 예컨대 복수 개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lateral transfer member 12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belt conveyors'.

여기서,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종방향 이송부재(110)와 적재함(20) 사이에 길게 배치된 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종방향 이송부재(110) 쪽의 연질 파이프(10)가 적재함(20) 쪽으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게 된다.Here, each belt conveyor operates in a state arranged long betwee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and the loading box 20 as shown in [FIG. 4] and [FIG. 5], and thus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soft pipe 10 on the transfer member 110 is guided to roll toward the loading box 20.

그리고, 횡방향 이송부재(120)를 구성하는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는 [도 4] 상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연질 파이프(10)의 장대화된 길이(예: 대략 16m)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영역을 담당하도록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호 간 이격 배치된 상태로 컨베이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belt conveyor constituting the lateral transport member 120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oft pipe 10 (e.g., approximately 16 m) while being arrang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4]. The conveyor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ure 4] to cover a relatively larger area.

한편, 압출 성형기(미도시)로부터 압출 성형되는 연질 파이프(10)가 [도 4]에서와 같이 종방향 이송부재(110)에 안착된 후에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종방향 이송부재(110)로부터 횡방향 이송부재(120)로 옮겨탄 후 그 횡방향 이송부재(120)를 따라 [도 5] 상의 우측으로 굴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방향 이송부재(110) 상의 연질 파이프(10)를 횡방향 이송부재(120) 쪽으로 옮기는 수단으로서 이송방향 전환부재(130)가 필요하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ure 4] after the soft pipe 10, which is extruded from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not shown), is seated o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as shown in [Figure 4], In order to be transferr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and then rolled to the right in [FIG. 5] along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the soft material o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must be removed. A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is required as a means of moving the pipe 10 toward the lateral transfer member 120.

이송방향 전환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사이사이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s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s 110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4].

그 결과, 이송방향 전환부재(130)는 종방향 이송부재(110)와 횡방향 이송부재(12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연직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면서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면을 따라 움직이는 연직 파이프(10)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moves vertically up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s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while 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It may be configured to lift the vertical pipe 10 moving along.

이처럼, 이송방향 전환부재(130)가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종방향 이송부재(110)를 따라 이송 중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도 4]에서와 같이 들어올리고 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횡방향 이송부재(120) 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 그 들어올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횡방향 이송부재(12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moves vertically upward, a bundle of soft pipes 10 being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transport member 110 is lifted as shown in [FIG. 4] and the bundle of soft pipes 10 is moved. After lifting the soft pipe 10 and moving it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the lifted bundle of soft pipes 1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여기서, 이송방향 전환부재(130)는 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횡방향 이송부재(120) 쪽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각 연질 파이프(10)가 자연적으로 횡방향 이송부재(120) 쪽으로 굴러가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is inclined toward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while lifting the bundle of soft pipes 10, so that each soft pipe 10 naturally moves to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 You can also have it roll toward 120).

한편,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면에서 움직이는 상태의 연질 파이프(10)를 이송방향 전환부재(130)가 한 묶음 단위로 들어올리는 구성을 살펴보면, 이송방향 전환부재(130)는 [도 4]에서와 같이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의 기둥 부재(161)를 지지대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력을 활용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면에 위치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lifts the soft pipe 10 in a moving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ransport member 110 as a bundle,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is [FIG. 4 As shown in ], a bundle of soft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utilizing the driving force that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using the pillar member 161 of the moving guide gantry member 160 as a support. It may be configured to lift the pipe 10.

다른 한편,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면에서 움직이는 상태의 연질 파이프(10)를 이송방향 전환부재(130)가 한 묶음 단위로 들어올리는 구성을 살펴보면, 이송방향 전환부재(130)는 지면에 위치하는 소위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상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력을 활용함에 따라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하방향으로 출몰하면서 종방향 이송부재(110)의 상면에 위치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lifts the soft pipe 10 in a moving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ransport member 110 as a bundle,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is placed on the ground. A bundle of soft pipes (1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rise and f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by utilizing the driving force that moves upward by the so-called supporter (not shown) located therein. ) may be configured to lift.

스토퍼 부재(14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횡방향 이송부재(120)의 우측 단부 쪽에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 부재(140)는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횡방향 이송부재(120)의 사이사이마다 복수 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FIG. 5], the stopper member 140 may be placed standing upright at the right end of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Preferably, a plurality of stopper members 140 may be erected and disposed between the lateral transfer members 120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4].

그 결과, 이송방향 전환부재(130)의 도움으로 [도 4] 상의 종방향 이송부재(110)로부터 [도 5]에서와 같이 횡방향 이송부재(120) 상면으로 굴러 움직이는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가 그 스토퍼 부재(140)에 걸려 멈추게 되는데, 그 스토퍼 부재(140)가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횡방향 이송부재(120)의 사이사이마다 복수 개 배치됨에 따라 장대화된 길이(예: 16m)를 갖는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는 자신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서 각 스토퍼 부재(140)에 안정적으로 걸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휨의 외력을 적게 받아 연질 파이프(10)의 엄격한 품질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As a result, with the help of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a bundle of soft pipes ( 10) is caught and stopped by the stopper member 140, and the stopper member 140 is elongated as a plurality of stopper members 140 are arranged between the lateral transport members 120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ure 4]. A bundle of soft pipes 10 having a length (e.g., 16 m) is stably caught on each stopper member 140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its body, and as a result, it receives less external force of bending and the soft pipe ( 10) It satisfies the strict quality conditions.

집게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스토퍼 부재(140)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즉, 집게 부재(150)는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ong members 150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topper members 140. That is,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may be arrang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 4].

집게 부재(150)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토퍼 부재(140)에 의해 횡방향 이송부재(120) 위에 멈춰있는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의 상부까지 이동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에서와 같이 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하고 [도 8]에서와 같이 다시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적재함(20)의 상부까지 수평으로 이동한다.The clamp member 150 moves to the upper part of a bundle of soft pipes 10 stopped o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by the stopper member 140 as shown in [FIG. 5] and then moves as shown in [FIG. 6]. Likewise, it moves vertically downward and grips the bundle of soft pipes (10) as in [Figure 7], moves vertically upward again as in [Figure 8], and then loads it as in [Figure 9] ( Move horizontally to the top of 20).

이어서, 집게 부재(150)는 [도 10]에서와 같이 미리 마련된 적재함(20)에 근접하도록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에 대한 그립을 해제함에 따라 그 적재함(20)의 내부로 연질 파이프(10)가 낙하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clamp member 150 moves vertically downward to approach the previously prepared loading box 20 as shown in [FIG. 10] to release the grip on the bundle of soft pipes 10 as shown in [FIG. 11]. As a result, the soft pipe 10 falls into the loading box 20.

이러한, 집게 부재(150)의 움직임은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의 구비로 가능하게 된다.This movement of the clamp member 150 is made possible by the provision of the movement guide gantry member 160.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는 [도 4] 상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집게 부재(150)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움직임을 지지하고 가이드한다.A plurality of movement guide gantry members 16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Figure 4, and support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clamp member 150 in the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이를 위해,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는 [도 4]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기둥 부재(161, 162)가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moving guide gantry member 160 may be provided with pillar members 161 and 16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which are erected and fix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ground as shown in [FIGS. 4] to [FIG. 11].

그리고,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는 각 기둥 부재(161, 162)의 상단부를 잇는 형태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단 크로스바(163)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guide gantry member 16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crossbar 163 that is horizontally arrang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each pillar member 161 and 162.

여기서,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는 각 상단 크로스바(163)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단 크로스바(163)를 지지대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Here,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can move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upper crossbar 163 and can move up and down using the upper crossbar 163 as a support.

이처럼,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각 상단 크로스바(163)를 통해 수평방향 또는 상하방향 움직임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평이동 부재(181)와 연직이동 부재(182)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move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rough each upper crossbar 163, and for this, the help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1 and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182 is required.

이러한 수평이동 부재(181)와 연직이동 부재(182)에 대해서는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먼저 설명한 후에 살펴 보기로 한다.These horizontal movable members 181 and vertical movable members 182 will be examined after first explaining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의 상부 크로스바(163)와 횡방향 이송부재(120) 사이에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상부 크로스바(163)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FIG. 11],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is a bundle of soft pipes ( 10)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while being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upper crossbar 163 as a support means.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원바디 형태의 자신 몸체 하부에 자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를 연결시킨다.Referring to [FIGS. 4] to [FIG. 11],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connects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circular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여기서,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는 바람직하게는 블록 형태의 원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may preferably be composed of a block-shaped one body.

그 결과,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에 대한 수평방향 움직임이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중심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horizont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around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그리고,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에 대한 연직방향 움직임도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중심으로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vertic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tongs members 15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round the tongs guide frame member 170.

이처럼,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가 블록 형태의 원바디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한 상태로 수평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그 연질 파이프(10)는 예컨대 휨의 외력이나 트위스트 외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is made of a block-shaped one body, a plurality of clamp members 150 grip a bundle of soft pipes 10 as shown in [FIGS. 7] to [FIG. 10].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soft pipe 10 can be free from, for example, external forces of bending or twisting.

수평이동 부재(181)는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자신 몸체의 하부에 매단 상태로 상부 크로스바(1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각 상부 크로스바(163)마다 구비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member 181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163 with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suspended from the lower part of its body as shown in [FIGS. 8] and [FIG. 9]. It may be provided on each upper crossbar 163.

여기서, 수평이동 부재(181)는 상부 크로스바(1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예컨대 소위 '트롤리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181 may be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163,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o-called 'trolley conveyor'.

연직이동 부재(182)는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와 각각의 수평이동 부재(181)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연직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member 182 may be configured to move vertically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5] to [8] in a state in which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and each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연직이동 부재(182)는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각 수평이동 부재(181)를 기준으로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를 연직 상하방향 이동시키며 수평이동 부재(181)와 동일하게 각 수평이동 부재(181)마다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member 182 moves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vertically up and down based on each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1, as shown in [FIGS. 5] to [FIG. 8], and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1. It may be provided for each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1.

한편, 집게동작 싱크제어 부재(미도시)는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추고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 해제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춘다.Meanwhile, the tongs operation sync control member (not shown) synchronizes the motion of the plurality of tongs members 150 to grip a bundle of soft pipes 10 as shown in [FIG. 6] and [FIG. 7]. 11], a plurality of gripping members 150 synchronize the operation of gripping and releasing a bundle of soft pipes 10.

그 결과,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하는 동작에서 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에 대한 휨 외력으로부터 연질 파이프(1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집게 부재(150)가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를 그립 해제하는 동작에서도 그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10)에 대한 휨 외력으로부터도 그 연질 파이프(1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150 grip a bundle of soft pipes 10 as shown in [FIGS. 6] and [FIG. 7], the bending external force on the bundle of soft pipes 1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soft pipe 10, and as shown in [FIG. 11], even in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grip of the bundle of soft pipes 10 by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150, the bundle of soft pipes 10 is maintained.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soft pipe 10 even from external bending forces.

10 : 연질 파이프
20 : 적재함
110 : 종방향 이송부재
120 : 횡방향 이송부재
130 : 이송방향 전환부재
140 : 스토퍼 부재
150 : 집게 부재
160 :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
161, 162 : 기둥 부재
163 : 상부 크로스바
170 :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
181 : 수평이동 부재
182 : 연직이동 부재
10: soft pipe
20: loading box
110: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20: Transverse transfer member
130: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40: Stopper member
150: Absence of tongs
160: Movement guide gantry member
161, 162: Column member
163: upper crossbar
170: Clamp guide frame member
181: Horizontal movement member
182: Absence of vertical movement

Claims (4)

압출 성형되는 연질 파이프를 그 연질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수 단위(이하,'한 묶음'이라 함)로 한꺼번에 이송시키는 종방향 이송부재(110);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가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된 후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와 대향하는 횡방향으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는 횡방향 이송부재(120);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의 사이사이에 복수 개 배치되며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를 따라 이송 중인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들어올리고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 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 상기 들어올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이송방향 전환부재(130);
상기 종방향 이송부재와 대향하는 쪽의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에서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의 사이사이에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이송방향 전환부재의 도움으로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의 상면에서 구르는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스톱시키는 스토퍼 부재(140);
상기 스토퍼 부재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 부재에 의해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 위에 멈춰있는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고 그 그립한 상태로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인 후 수평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미리 마련된 적재함에 상기 그립한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낙하시키는 집게 부재(150);
상기 집게 부재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
A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110 that transports the extruded soft pipes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ft pipes;
A transverse transfer member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nd guiding the bundle of soft pipes to roll in a transverse direction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soft pipes are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s and are being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s they move vertically upward, and the bundle of soft pipes is lifted while the bundle of soft pipes is lifted. A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130 that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lateral transfer member and then seats the lifted bundle of soft pip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transfer member;
I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soft pipes are disposed betwee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ndle of soft pipes, and are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the help of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mber. A stopper member 140 that stops the bundle of soft pipes ro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A plurality of soft pipe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topper member, and the bundle of soft pipes stopped on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by the stopper member are gripped, moved vertically upward in the gripped state, and then horizontally. A tong member 150 that moves and then moves vertically downward to drop the gripped bundle of soft pipes into a previously prepared loading box;
A plurality of movement guide gantry members 160 that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and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clamp member;
A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 겐트리부재의 상부 크로스바와 상기 횡방향 이송부재 사이에서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 크로스바를 지지수단으로 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자신 몸체의 하부에 자신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집게 부재를 연결시킨 상태로 복수 개의 상기 집게 부재가 한꺼번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
In claim 1,
The bundle of soft pipes is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crossbar of the moving guide gantry member and the transverse transfer member, and is configured to move using the upper crossbar as a support means, and is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its body. A clamp guide frame member 170 that guides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to move at the same time whil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lamp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자신 몸체의 하부에 매단 상태로 상기 상부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상기 상부 크로스바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수평이동 부재(181);
상기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와 각각의 상기 수평이동 부재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연직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상기 수평이동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집게가이드 프레임부재를 연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복수 개의 상기 수평이동 부재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연직이동 부재(18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
In claim 2,
A plurality of horizontal movement members 181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upper crossbars and move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rossbar while the clamp guide frame member is suspend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With the tongs guide frame member and each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ongs guide frame member is moved vertically up and down based on each horizontal moving member as it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s are moved vertically. A plurality of vertical movable members 182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members;
A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집게 부재가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추고 복수 개의 상기 집게 부재가 상기 한 묶음의 연질 파이프를 그립 해제하는 동작의 싱크를 맞추는 집게동작 싱크제어 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파이프 적재 공정 자동화 시스템.
In claim 3,
A tong operation sync control member that synchronize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to grip the bundle of soft pipes and synchronizes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tong members to release the grip of the bundle of soft pipes;
A soft pipe loading process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220161014A 2022-11-26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 KR20240078563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563A true KR20240078563A (en) 2024-06-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17202B (en) Pipe section punching machine, pipe section feeding device and pipe section processing equipment
EP1375022B1 (e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metal bars with improved means for transferring the bars, and method provided thereby
KR100623049B1 (en) Aluminum Tube bunch drawing machine
US10799929B2 (en) Centering blanks
CN109051755A (en) Glass carving machine automatic production line
CN110465763B (en) Cell panel and bus bar welding equipment
CN106276203A (en) Connecting rod conveying mechanism
CN204980364U (en) Automatic displacement conveyor hand
JP5554429B2 (en) Sheet material sorting equipment
CN116477329A (en) Annular conveying line for battery cell production
KR20240078563A (en) automation system for a loading process of pipe with soft texture
EP3636383B1 (en) Work centre to process section bars made of aluminium light alloys pvc or the like
KR100647106B1 (en) Aluminum Tube auto drawing discharge equipment
KR100623048B1 (en) Aluminum Tube auto drawing transfer equipment
CZ334596A3 (en) Press with several working stations and method of exchange of tools and gripping means on such a press
ITUD20100027A1 (en) AUTOMATIC BAR LOADER GROUP FOR FOLDING PINS SUITABLE FOR PLANTS FOR THE PRODUCTION OF RETICULAR STRUCTURES OR CAGES DERIVED FROM ELECTROSALDATED METALLIC NETWORKS.
IT202000002182A1 (en) AUTOMATIC CUP MACHINE AND CUP METHOD OF THERMOPLASTIC MATERIAL TUBES
CN201446641U (en) Pipe drawing device
CN214651880U (en) Truss feeding mechanism of chain slope hobbing machine
RU2703037C1 (en) Glass sheets forming system
CN220921426U (en) Be applied to pipeline welding operation platform that is geared to needs of job
CN217478471U (en) A go up unloader and pipe fitting production system for pipe fitting
CN213923181U (en) Multi-material opposite-fork stacking manipulator
TWI809341B (en) Method of processing half-finished metal products
CN217807155U (en) Conveying and material stirring frame for tower crane after forming cold-bending welded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