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330A -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330A
KR20240078330A KR1020230156335A KR20230156335A KR20240078330A KR 20240078330 A KR20240078330 A KR 20240078330A KR 1020230156335 A KR1020230156335 A KR 1020230156335A KR 20230156335 A KR20230156335 A KR 20230156335A KR 20240078330 A KR20240078330 A KR 20240078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etec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multiple frequen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현
이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Publication of KR2024007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4Measuring peak values or amplitude or envelope of ac or of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급전선로 상의 금속성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함에 있어서, 신호 발생 회로는 하나 또는 2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검출 코일 역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코일 2가지만 구현하므로 구현이 용이한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using multiple frequencies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급전선로 상의 금속성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이 검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무선 충전 중인 급전선로에 금속성 물질이 노출된다면 금속성 물질은 무선 전력 전송 자기장과 커플링이 발생하여 여러 가지 안전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이란 급전선로 상의 금속성 물질을 검출하여 궁극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금속성 이물질이 놓여진 상황을 나타낸다. 금속성 이물질은 송신코일과 자기결합 (Magnetic Coupling)이 발생한다. 이물질에 의해 자기결합이 발생하면 다음 두 가지 장해가 발생한다.
1) 금속성 물질에 와전류 (Eddy Current)가 발생하여 열이 발생한다. 이때 발열량이 방열량보다 크면 온도가 계속 상승하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2) 송신코일에서 발생한 자속이 온전히 수신코일에 도달해야 최대 효율이 발생한다. 하지만 금속성 물질로 인해 누설자속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력 전달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장해로 인해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2개의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이하에 기술한 특허문헌 1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발생 회로는 다중 주파수를 갖는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소스코일은 1개가 구비되어, 신호 발생 회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검출코일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를 검출한다. 검출센서는 검출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된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특허문헌 1은 신호 발생 회로의 구현상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다중 주파수 신호 발생이 어렵기 때문이다. 다중 주파수 신호란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이다. 또한 특허문헌 1은 검출 코일의 구현상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검출 코일 각각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이하에 기술한 비특허문헌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해당 비특허문헌의 발명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FOD와 Detection of Position(DoP)을 동시에 수행하는 Dual Purpose 코일을 제안한 것이다. FOD 검출 방법은 도 3에서 를 이용하여 유도전압의 차이를 검출하여 판별한다. 만약 검출코일 상에 이물질이 없다면 이 된다.
DoP 검출은, 도 3에서 Q-coil은 DoP 검출용 코일로서 유도전압의 크기를 검출하여 판별한다. pick-up 코일이 검출코일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을 시 유도전압의 크기는 최소값이 되며, pick-up 코일이 가까울수록 유도전압의 크기는 증가한다(). 실제로는 도 3의 코일셋 여러개를 도 4와 같이 수평, 수직으로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위 비특허문헌에서는 송신코일에서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나,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특히 특허문헌 1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발명이다.
KR 10-1909087 B1
S. Y. Jeong, H. G. Kwak, G. C. Jang, S. Y. Choi, and C. T. Rim, "Dual-purpose nonoverlapping coil sets as metal object and vehicle position detections for wireless stationary EV charger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3, no. 9, pp. 7387-7397, Sep. 2018.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함에 있어서, 신호 발생 회로는 하나 또는 2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검출 코일 역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코일 2가지만 구현하므로 구현이 용이한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는,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1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소스 코일;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2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각각,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모두를 루프 내에 포괄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코일은,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을 1개의 루프로 포괄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루프로 나누어 포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을 1개의 루프로 포괄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루프로 나누어 포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는,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중첩하여 발생시키는 1개의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개의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코일은,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모두를 루프 내에 포괄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는,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1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소스 코일;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2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1개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 각각은, 트위스트된 형태로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서로 교대로 행이 나열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코일은,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 모두를 포괄하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함에 있어서, 신호 발생 회로는 하나 또는 2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검출 코일 역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코일 2가지만 구현하므로 구현이 용이한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이 검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특허문헌 1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비특허문헌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비특허문헌의 발명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의 제1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의 제2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2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3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3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1 실시예(100)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의 제1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의 제2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발생 회로(120)는 다중 주파수를 갖는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며, 소스 코일(130)은 신호 발생 회로(120)로부터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다중 주파수 신호란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경우, 1개의 신호 발생 회로에서 다중 주파수 신호 발생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호 발생 회로(120)는 2개(121,122)가 구비되며, 소스 코일(130)도 2개(131,132)가 구비된다. 각 신호 발생 회로(121,122)는 각각, 서로 다른 1개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소스 코일(130)도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다른 2개(131,132)가 구비된다. 즉, 신호 발생 회로 #1(121)은 주파수 f1, 신호 발생 회로 #2(122)는 f2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며, 소스 코일 #1(131)은 주파수 f1의 자기장, 소스 코일 #2(132)는 주파수 f2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각 소스 코일(131,1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코일들(140) 모두를 포괄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신호 발생 회로(121,122)에는, 공진 주파수가 틀어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검출 코일(140)은 발생된 소스 코일(13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150)는 검출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110)는 이와 같이 감지된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코일 #1, #3, #6, #8, #9, #11, #14, #16은 f1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검출 코일 #2, #4, #5, #7, #10, #12, #13, #15은 f2의 공진주파수를 갖는다.
도 7은 도 5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코일 형상을 다르게 구현한 것으로서, 신호 발생 회로 #1(121)에는 f1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소스 코일 루프가 2개 연결되어 있고(131), 이 2개의 루프 내부에는 f1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검출 코일들이 포함되어 있다.
역시 신호 발생 회로 #2(122)에도 f2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소스 코일 루프가 2개 연결되어 있고(132), 이 2개의 루프 내부에는 f2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검출 코일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2 실시예(200)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발생 회로(220)와 소스 코일(230)은 각각 1개이다. 신호 발생 회로(220)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중첩하여 발생한다. 즉, 신호 발생 회로(220)는 주파수 f1과 f2의 검출용 신호를 중첩하여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소스 코일(230)은 주파수 f1과 f2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도 8의 경우에도, 신호 발생 회로(220)에는 공진 주파수가 틀어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코일(230)은 모든 검출 코일(240)을 포괄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검출 코일 #1, #3, #6, #8, #9, #11, #14, #16은 f1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검출 코일 #2, #4, #5, #7, #10, #12, #13, #15은 f2의 공진주파수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물질 검출 장치의 제3 실시예(300)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3 실시예로서의 구성에서 코일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 발생 회로(320)는 2개(321,322)이고 검출 코일(340)은 1개이다. 각 신호 발생 회로(321,322)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인 f1과 f2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10의 경우에도, 신호 발생 회로(321,322))에는 공진 주파수가 틀어지는 경우에 대비하여,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스 코일(331,332)은 각각 f1, f2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별개의 신호 발생 회로(321,3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파수 f1과 f2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검출 코일(340)은 f1과 f2의 공진주파수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스 코일(331,332) 각각은, 트위스트된 형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소스 코일(331,332)은 검출 코일(340) 루프 영역에서 서로 교대로 행이 나열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2,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에서는, 신호 발생기는 하나 또는 2개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므로 구현이 용이하며, 검출 코일 역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코일 2가지만 구현하므로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0: 이물질 검출 장치(제1 실시예)
200: 이물질 검출 장치(제2 실시예)
300: 이물질 검출 장치(제3 실시예)
110, 210, 310: 제어부
120, 220, 320: 신호 발생 회로
130, 230, 330: 소스 코일
140, 240, 340: 검출 코일
150, 250, 350: 검출 센서

Claims (12)

  1.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1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소스 코일;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2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각각,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모두를 루프 내에 포괄하는 형태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코일은,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을 1개의 루프로 포괄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루프로 나누어 포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을 1개의 루프로 포괄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루프로 나누어 포괄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5.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중첩하여 발생시키는 1개의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개의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스 코일은,
    상기 제1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검출 코일 모두를 루프 내에 포괄하는 형태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8.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1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 소스 코일;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2 신호 발생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의 검출용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 소스 코일;
    상기 자기장에 의한 유도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1개의 검출 코일;
    상기 복수의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 센서; 및,
    상기 유도신호의 진폭 변화를 이용해 이물질의 존재를 판단하고, 무선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 각각은,
    트위스트된 형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은,
    서로 교대로 행이 나열된 방식으로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출 코일은,
    상기 제1 소스 코일 및 상기 제2 소스 코일 모두를 포괄하는 루프 형태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 발생 회로에는,
    공진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조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이물질 검출 장치.
KR1020230156335A 2022-11-23 2023-11-13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 KR20240078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58090 2022-11-23
KR1020220158090 2022-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330A true KR20240078330A (ko) 2024-06-03

Family

ID=9119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6335A KR20240078330A (ko) 2022-11-23 2023-11-13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8330A (ko)
WO (1) WO20241120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87B1 (ko) 2017-02-23 2018-10-17 한국과학기술원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6510B2 (ja) * 2010-09-27 2014-02-26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装置
JP2014187795A (ja) * 2013-03-22 2014-10-02 Dexerials Corp 送電装置、送受電装置、受電装置検出方法、受電装置検出プログラム、及び半導体装置
KR20200073834A (ko) * 2018-12-14 2020-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의 이물질 검출 방법
KR102625272B1 (ko) * 2019-01-14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87B1 (ko) 2017-02-23 2018-10-17 한국과학기술원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Y. Jeong, H. G. Kwak, G. C. Jang, S. Y. Choi, and C. T. Rim, "Dual-purpose nonoverlapping coil sets as metal object and vehicle position detections for wireless stationary EV charger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3, no. 9, pp. 7387-7397, Sep. 20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2014A1 (ko)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5654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multiple coil arrays
JP6585104B2 (ja) 誘導電力伝達システム
JP5488760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EP3093958B1 (en) Foreign object detecting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416252B2 (en) MR receive coil with detune circuit and energy harvesting circuit
US20170012478A1 (e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fer foreign object detection
US11251661B2 (en) Inductive power transmitter
EP3031128A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il alignment error in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JP5577886B2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50280446A1 (en) Multiplex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tting-side multiplex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X2021011111A (es) Bobinas de campo de gradiente de formacion de imagenes por resonancia magnetica (mri) de un solo lado y sus aplicaciones.
JP2018521612A5 (ko)
JP4313775B2 (ja) 誘導加熱方法および装置
JP2015159690A (ja) 異物検出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WO2005000391A1 (en) Inductive link for a medical implant
US101998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utilizing multi-filar alignment assistance in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JP5523540B2 (ja) 無線電力伝送による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側伝送装置
KR20240078330A (ko)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장치
US10933757B2 (en) Meshwork and device for detecting an object in a magnetic field, method for producing the meshwork, and inductive charging unit
JP2019507461A5 (ko)
KR102523627B1 (ko) 가변인덕터를 갖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JP2013158196A (ja) 伝送システム及び受電装置
JP2013251956A (ja) 電力搬送方法
JP6564005B2 (ja) 異物検出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3208726U7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