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4943A -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4943A
KR20240074943A KR1020220151695A KR20220151695A KR20240074943A KR 20240074943 A KR20240074943 A KR 20240074943A KR 1020220151695 A KR1020220151695 A KR 1020220151695A KR 20220151695 A KR20220151695 A KR 20220151695A KR 20240074943 A KR20240074943 A KR 2024007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utomobile interior
resin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재
Original Assignee
정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재 filed Critical 정성재
Priority to KR102022015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4943A/ko
Publication of KR2024007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4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주성분으로 하고, 경량이면서 강성, 내열 변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더우기 외관이나 성형성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b) 특정의 수첨 블록 공중합체, (c) 상기 (b)와는 다른 특정의 수첨 블록 공중합체, (d) 특정의 탈크로 이루어진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Omitted}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성형 안정성 및 우수한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및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무기계 화학발포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발포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발포체로 구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장재는 경량성 및 고강성, 치수안정성, 성형성, 저가성 등이 요구되며, 최근 자동차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와 석유 자원의 고갈 등으로 인해 차량용 부품의 경량성과 재활용성이 더 중요한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통상 자동차 내장재로는 도어트림, 필러, 도어스코프, 패키지트레이 등이 있으며 이들 내장재는 차종에 따라 그 재질과 구성을 달리하고 있으나 그 구성 중 경질 기재는 주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사출성형공법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기재는 고강성 및 우수한 재활용성의 특징을갖지만 경량화에 한계가 있으며 성형품 표면에 싱크마크 등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다른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와 우수한 기계적 물성, 재활용성을 갖는 범용 플라스틱이며, 이러한 특성은 폴리프로필렌 분자의 결정성과 고분자 사슬의 분자구조에 기인한다. 더욱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온에서의 변형에 우수한 저항성을 보이고 높은 인장강도와 표면강성을 가지며,용도에 따라 충격보강제나 무기충진제를 보강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물성의 리프로필렌 복합수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선형 사슬구조에 기인한 약한 용융장력으로 인하여 다른 수지에 비해 발포성이 떨어져서 발포체 생산에 한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용융장력이 약하면 가스를 분리하는 셀 벽들이 장력을 극복할 만큼 강하지 못하여 쉽게 붕괴되고 파열된다. 따라서 발포된 제품은 붕괴된 셀의 비율이 높고 셀 구조의 조절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며 또한 성형성도 확보하기 어렵다.
일본특허-공개번호 특1996-0004439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를 위해 폴리프로필렌계 블록공중합체를 약 90 내지 60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약 10 내지 40중량부 함유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을 약 99 내지 90중량% 및 비정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약 1내지 10중량% 함유하고 약 2 내지 15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MFR)의 용융 특성을 가지며 세관 레오미터(rheometer)로 측정한 다이스웰(die swell)비가 약 1.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이 조성물을 이용해서 사출성형으로 발포체를 제조하면 낮은 용융장력에 의해 붕괴된 셀의 비율이 높으며 낮은 용융 유동 속도로 인해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대물을 사출 성형시 성형성을확보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특2003-0046084는 발포성이 우수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00g/mol 이상이고 용융지수가0.1~10g/분(230℃)인 폴리프로필렌 80~99중량부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0g/mol 이상이고 용융지수가0.1~0.5g/10분(230℃)인 고점도 저밀도 폴리에틸렌 1~20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프로필렌비가 50/50~90/10 (w/w)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0.5~10중량부, 다관능성 모노머0.05~10중량부 및 유기과산화물 0.005~5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상기 수지 조성물을 압출 발포시켜 제조된 발포체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는 충분한 가교도를 갖지 못하여 공업화하기 힘들며 또 생산된 발포체를 다시 압착 성형하여 자동차 내장재로 만들어야 하므로 상업적으로도 장점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가볍고 고강성이며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성이 확보된 저가의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기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3-00460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와 무기계 화학발포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발포 사출 공정을 통해 자동차내장재용으로 적합한 경질 발포 기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은 성형 안정성 및 우수한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및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무기계 화학발포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발포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발포체로 구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융지수가 30~40g/10분(230
Figure pat00001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a1) 90~95중량부 및 Z-평균 분자량이2,000,000 이상 또는 Mz/Mw가 3.0 이상인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a2) 5~10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10~13㎛의 평균 입경을 갖는 탈크(a3) 5~1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a4) 0.1 내지 0.4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A) 100중량부에 대해서무기계 화학발포제 마스터배치(B) 1.5~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발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시 셀의 붕괴를 막아서 고배율의 발포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치수안정성이 높으며 별도의 가교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및 무기계 화학발포제를 펠렛 형태로 취급하므로 취급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별도의 가공공정 없이 사출성형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므로 원가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발포 기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프로필렌 수지(a1)는 30~40g/10분의 용융지수를 가진다. 용융지수가 30g/10분미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제조 후 성형성이 저하되어 대물의 제품을성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용융지수가 40g/10분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제조 후 용융장력이 저하되어 붕괴된 셀의 비율이 많아지므로 물성의 저하가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a2)는 사슬의 선형구조에 긴 가지(long chainbranch)가 도입되어 용융시 높은 용융장력을 가지고 연신시 연신 후화 현상이 일어나며 Z-평균 분자량이2,000,000 이상 또는 Mz/Mw가 3.0 이상인 특성을 가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B)를 5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면 셀 붕괴 현상으로 원하는 셀을 얻을 수 없으며 10중량부 이상 사용하면 첨가량에 비해 그 효과가미비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 조핵제 및 무기충진제로 사용되는 탈크(a3)는 평균 입경이 10~13㎛이며 파우더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A)는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수지([0017] a1) 및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a2), 탈크(a3), 산화방지제(a4)(바람직하게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상기의 비율에 따라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기계 화학발포제 마스터배치(B)는, 예를 들어, 케리어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49.5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평균 입자 크기가 2~4㎛인 파우더 형태의 탄산수소나트륨 25중량부, 발포개시제 또는셀 안정제로서 평균 입자 크기가 2~4㎛인 파우더 형태의 구연산 25중량부, 혼련성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
해 점도가 30CPS(25℃) 이하이고 비중이 0.82~0,88인 파라핀 오일 0.5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비율에 따라믹서에서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계 화학발포제(B) 0.5~3.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사출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용융 혼화한 후 특정 형상의 금형에 용융된 혼합물을 발포사출하여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적합한 경질 발포 기재를 제조한 것이다. 상기 무기계 화학발포제(B)를 0.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하는 만큼의 발포배율을 얻을 수 없으며, 3.0중량부 이상을 사용하면 사용량에 비해서 효과가 적으며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실시예]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포제와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사출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용융혼화한 후 특정 형상의 금형에 용융된 혼합물을 사출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수지와 제품에 대한 기계적특성을 측정하여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물성은 미국표준규격(ASTM) 측정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 1]
[표 2]

Claims (3)

  1. 용융지수가 30~40g/10분(230
    Figure pat00004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a1) 90~95중량부 및 Z-평균 분자량이2,000,000 이상 또는 Mz/Mw가 3.0 이상인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a2) 5~10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10~13㎛의 평균 입경을 갖는 탈크(a3) 5~1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a4) 0.1 내지 0.4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A) 100중량부에 대해서무기계 화학발포제 마스터배치(B) 1.5~3.0중량부를 혼합한 후 발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화학발포제 마스터배치(B)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b1) 49.5중량부 및탄산수소나트륨(b2) 25중량부, 구연산(b3) 25중량부, 및 파라핀 오일(b4) 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a4)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이하 1차 산화방지제) 0.1중량부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이하 2차 산화방지제) 0.1중량부로 이루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KR1020220151695A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KR20240074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95A KR20240074943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95A KR20240074943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4943A true KR20240074943A (ko) 2024-05-29

Family

ID=9127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695A KR20240074943A (ko) 2022-11-14 2022-11-14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49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84A (ko)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효성 발포성이 우수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84A (ko)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효성 발포성이 우수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7214A1 (en) Foamable masterbatch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and direct metallizing property
KR101761083B1 (ko) 발포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품
US9499689B2 (e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molding property
KR102166536B1 (ko)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 성형품
CN112574515B (zh) 一种聚丙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4269583A (ja) 発泡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WO2017179754A1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조성물
CN107200899B (zh) 用于车辆风道的聚烯烃复合材料组合物
KR101200679B1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발포 기재
KR20170130356A (ko) 반결정성 폴리올레핀 및 설포닐-아지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생성된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70334104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oam Film Laminate and Use Thereof
KR10081192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26334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040013846A1 (en) Polypropylene resin foam-molded article
KR20240074943A (ko)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경질 발포 기재
JP594042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353844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2002249635A (ja) 自動車外装材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自動車用サイドモール
CN114605694A (zh) 一种增强型聚丁烯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JP4577859B2 (ja) 発泡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CN113402815A (zh) 一种无填充高发泡倍率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36102A (ko) 폴리프로필렌계 고함량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조성물
EP4127053A1 (en) Recycled resin composition
KR20110101434A (ko) 난연성 경량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JP4126491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