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62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621A
KR20240072621A KR1020220154418A KR20220154418A KR20240072621A KR 20240072621 A KR20240072621 A KR 20240072621A KR 1020220154418 A KR1020220154418 A KR 1020220154418A KR 20220154418 A KR20220154418 A KR 20220154418A KR 20240072621 A KR20240072621 A KR 20240072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unit
drai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상
한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2621A/ko
Priority to PCT/KR2023/013746 priority patent/WO2024106717A1/ko
Publication of KR2024007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수납챔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챔버와, 전장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납챔버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및 전장챔버에 설치되며 수납챔버로 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한 후 스팀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탱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ING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회수된 배수용 물을 급수용 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이 의류 내지는 침구 등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구김을 생성하기 위한 다리미 또는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팀을 발생시키는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기에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탱크가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배수탱크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급수탱크와 배수탱크가 각각 구비되며, 급수탱크와 배수탱크를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 분리한 후 급수탱크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버리는 작업이 수시로 요구되어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4109호(2022.08.16 등록, 발명의 명칭: 의류 처리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탱크에 저장된 배수용 물을 급수탱크로 전달하여 배수용 물을 급수용 물로 재사용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탱크와 급수탱크를 일체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탱크와 급수탱크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탱크에 저장된 배수용 물을 급수탱크로 전달하여 배수용 물을 급수용 물로 재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탱크의 내측에 장착된 배수탱크의 내측으로 배수용 물이 공급되면,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급수탱크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스팀유닛의 급수용 물로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탱크와 급수탱크를 일체로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탱크의 상측에 구비된 급수입구를 통해 배수탱크가 이동되어 급수탱크의 내측에 배수탱크가 걸리므로 배수탱크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탱크와 급수탱크의 설치 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탱크의 내측에 배수탱크가 설치되므로, 배수탱크와 급수탱크가 각각 설치된 탱크 대비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수납챔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챔버와, 전장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납챔버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및 전장챔버에 설치되며 수납챔버로 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한 후 스팀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탱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탱크부는, 스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및 급수탱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챔버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한 후 상기 급수탱크로 공급하는 배수탱크를 포함한다.
또한 배수탱크는, 상측이 개구되어 배수입구를 형성하며 급수탱크의 내측에 걸리고 배수입구를 통해 낙하된 물이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의 바닥인 제2베이스와 연결되며 저장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챔버와, 수납챔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챔버와, 전장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납챔버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과, 스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와, 급수탱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챔버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한 후 급수탱크로 공급하는 배수탱크 및 배수탱크에 설치되며 배수탱크에서 급수탱크로 이동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배수탱크에 저장된 배수용 물을 급수탱크로 전달하여 급수용 물로 재사용하므로, 급수용 물을 보충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탱크의 내측에 배수탱크가 설치되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탱크의 상측에 구비된 급수입구를 통해 배수탱크가 이동되어 급수탱크의 내측에 배수탱크가 걸리므로 배수탱크의 결합과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탱크가 급수탱크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배수탱크와 급수탱크의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탱크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급수탱크가 설치되므로 배수탱크에서 발생되는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가 설치된 전장챔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와 스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가 급수탱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에 물이 저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에 물이 입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를 통해 급수탱크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막히므로 배수탱크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가 설치된 전장챔버(2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와 스팀유닛(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며, 의류가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의류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수납챔버(10)와, 수납챔버(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전장챔버(20) 및 수납챔버(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부(40)를 포함한다.
수납챔버(10)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해 전장챔버(20)의 내측에 스팀유닛(30)이 설치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1)에는 스팀유닛(3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담겨 있는 탱크와, 수납챔버(10)에서 회수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별도로 구비된 2개의 탱크의 물을 보충하거나 비워주는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배수탱크(140)가 설치되며, 배수탱크(140)로 공급된 물이 필터부(180)에서 여과된 후 급수탱크(120)로 전달되어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탱크(140)에서 자연적으로 증발되는 물 등에 의해서 부족한 물을 재공급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탱크부(100)는 수납챔버(10)로 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한 후 스팀유닛(3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배수탱크(140)와 급수탱크(120)를 별도로 만들지 않고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 탱크부(100)의 중간 부분에 필터부(180)만 설치하므로 물을 여과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배수탱크(140)와 급수탱크(120)가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배수탱크(140)와 급수탱크(120)를 연결하는 관로에 필터부(180)를 설치하여 물을 재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한 탱크부(100)는 배수탱크(140)와 급수탱크(120)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급수탱크(120)의 공간 일부가 배수탱크(140)로 사용된다.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배수탱크(140)가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배수탱크(140)는 급수탱크(12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필터부(180)를 통과해 하측의 배수탱크(140)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수탱크(140)로 공급된 물을 정화하여 배수탱크(140)로 공급하므로 물의 순환구조를 이룰 수 있다.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설치된 배수탱크(140)는 급수탱크(120)의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배수탱크(140)의 내측에 설치된 필터부(180)도 배수탱크(140)의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급수탱크(120)로 외부의 물을 급수 할 경우, 배수탱크(140)를 급수탱크(120)에서 분리한 후 급수탱크(120)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급수탱크(120)의 내측공간을 분할하여 배수탱크(14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한다. 급수탱크(120)의 내측공간은 가로의 구역으로 분할하거나 세로의 구역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120)의 내측공간은 가로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상측에는 배수탱크(140)가 설치되며 하측에는 배수탱크(140)에서 낙하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수납챔버(10)와 전장챔버(20)와 스팀유닛(30)과 도어부(40)와 집수탱크(50)와 탱크부(100)를 포함한다.
수납챔버(10)는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스팀유닛(30)에서 발생된 스팀은 수납챔버(1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수납챔버(10)는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이며, 전면은 개방된 상태이다.
수납챔버(10)의 하측에는 수납챔버(10)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배출부(12)가 설치된다. 스팀배출부(12)는 스팀유닛(30)을 통해 공급받은 스팀을 상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수납챔버(10)의 내측에 의류나 신발이나 모자 등이 수납되며, 수납챔버(10)의 내측으로 공급된 스팀에 의해 의류 등의 구김이 제거되며, 의류에서 나는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전장챔버(20)는 수납챔버(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장챔버(20)의 내측에는 스팀유닛(30)과 집수탱크(50)와 탱크부(100)가 설치된다. 전장챔버(20)는 수납챔버(10)와 같이 육면체의 상자 형상이며, 탱크부(100)가 착탈되기 위한 전방은 개구된 상태이다.
수납챔버(10)와 전장챔버(20)는 일체의 케이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납챔버(10)와 전장챔버(20)의 전방은 도어부(4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스팀유닛(30)은 전장챔버(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수납챔버(10)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탱크부(100)에서 출수된 물은 이송펌프(34)를 통과한 후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제너레이터(32)로 이송된다.
스팀제너레이터(32)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배출부(12)를 통해 수납챔버(1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수납챔버(10)로 공급된 스팀은 수납챔버(10) 내측의 먼지입자나 냄새입자 등의 대상물과 흡착된 후 하측으로 낙하되며 집수탱크(50)의 내측에 저장된다.
집수탱크(50)는 전장챔버(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탱크 형상이다. 집수탱크(50)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집수탱크(50)의 입구는 수납챔버(10)의 바닥에 위치한다.
배수펌프(52)는 집수탱크(50)에서 연장된 관로에 설치되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배수펌프(52)는 배수탱크(14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인 경우에 배수탱크(140)로 물을 공급한다.
배수펌프(52)에 연결된 배수파이프(미도시)의 단부는 탱크부(10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따라서 탱크부(100)가 전장챔버(20)에 설치되는 동작에 의해 배수파이프가 탱크부(100)에 연결된다.
한편 수납챔버(10)와 전장챔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40)에 의해 수납챔버(10)의 전면이 개페된다. 도어부(40)는 단일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부(40)가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도어부(40)의 내측에 의류의 다림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탱크부(100)는 전장챔버(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챔버(10)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한 후 스팀유닛(3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는 내측에 복수의 탱크 구조를 구비하며, 수납챔버(10)에서 회수된 물을 저장하는 탱크와 스팀유닛(30)으로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는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배수탱크(14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탱크부(1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탱크부(100)의 내부 세척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부(100)의 내측에 설치된 필터부(180)를 기준으로, 필터부(180)의 상측에는 회수된 물이 저장되며, 필터부(180)의 하측에는 정수된 물이 저장된다. 탱크부(100)의 내측은 세로 기준으로 분활되며, 상측에는 배수탱크(140)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급수탱크(120)의 주요 구성이 위치한다.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배수탱크(140)의 하측에 설치된 필터부(180)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후 급수탱크(120)로 이동한다.
탱크부(100)는 배수로 입수된 물을 재활용하여 스팀유닛(30)으로 보내므로, 종래 대비 급수와 배수의 시기를 늦추므로 고객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2개의 탱크를 전장챔버(20)에 각각 설치하고, 전장챔버(20)에서 2개의 탱크를 분리 및 장착함에 따른 누수 위험성이 커지는 현상을, 1개의 탱크부(100)만 전장챔버(20)에 설치하면 되므로 누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는, 급수탱크(120)와 배수탱크(140)와 필터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는, 전면커버(110)와 배수밸브(190)와 제1수위감지부(200)와 제2수위감지부(230)와 탱크커버(240)와 배수커넥터(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140)가 급수탱크(12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는 급수탱크(120)의 전면에 결합되어 급수탱크(1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전면커버(110)가 급수탱크(120)의 전면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급수탱크(120)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서 급수탱크(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110)는 커버몸체(112)와 손잡이부(114)와 수위확인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112)는 탱크부(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판 형상이며, 탱크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몸체(112)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기 위해 오목한 홈 형상의 손잡이부(114)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4)는 커버몸체(112)의 상부에 형성되며, 탱크부(100)를 향한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또한 손잡이부(114)와 마주하는 급수탱크(120)도 손잡이부(114)에 대응하는 홈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14)를 포함한 전면커버(110)의 일부가 급수탱크(120)의 오목함 홈 부분에 걸리므로 전면커버(110)와 급수탱크(12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전면커버(110)의 커버몸체(112)에는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창 형상의 수위확인부(116)가 구비된다. 급수탱크(120)의 전면에는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내측수위창(128)이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수위창(128)과 마주하는 커버몸체(112)에도 수위확인부(116)가 구비된다. 수위확인부(116)는 장공의 구멍일 수 있으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창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위확인부(116)와 내측수위창(128)을 통해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급수탱크(120)는 스팀유닛(30)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120)는, 탱크몸체(122)와 급수입구(126)와 내측수위창(128)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탱크(1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급수탱크(120)가 설치되므로 배수탱크(140)에서 발생되는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탱크몸체(122)는 내측이 비어있으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탱크몸체(122)는 세워진 형상이며, 탱크몸체(122)의 내측에 배수탱크(140)가 설치된다. 탱크몸체(122)는 배수탱크(1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필터부(180)를 통해 배수탱크(140)에서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구비된다.
배수탱크(140)와 필터부(180) 없이 탱크몸체(122)를 포함한 급수탱크(120)만 설치할 수 있으나, 회수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스팀유닛(30)이 고장날 수 있으므로 탱크몸체(122)의 내측에 배수탱크(140)와 필터부(180)를 설치한다.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몸체(122)의 상측은 개구되어 급수입구(126)를 형성한다. 탱크몸체(122)에 설치된 배수탱크(140)는 급수입구(126)를 통해 상하방향(H)으로 이동되므로 배수탱크(14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탱크(120)의 상측에 구비된 급수입구(126)를 통해 배수탱크(140)가 이동되어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배수탱크(140)가 걸리므로 배수탱크(140)의 결합과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배수탱크(140)가 급수탱크(1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배수탱크(140)와 급수탱크(120)의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내측수위창(128)은 탱크몸체(122)의 표면을 따라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탱크몸체(122)에 담긴 물의 높이를 관찰하기 위한 창이다.
탱크몸체(122)의 하측의 배출구에는 배수밸브(190)가 설치된다. 배수밸브(190)는 체크밸브이며, 탱크부(100)가 전장챔버(20)에 설치될 때 전장챔버(20)에 구비된 돌기 형상의 구조물에 접하며 배수밸브(190)가 개방된다. 또는 배수밸브(190)가 전자식으로 작동되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밸브(190)는, 급수탱크(120)의 하부에 연결되며, 급수탱크(120)가 전장챔버(20)에 결합될 때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밸브(190)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며, 탱크부(100)가 전장챔버(20)에 결합될 때 전장챔버(20)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유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이다.
급수탱크(12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130)는 배수밸브(19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밸브(190)는 탱크몸체(122)의 폭방향(W) 중앙에 위치하며, 제1베이스(130)는 탱크몸체(122)의 폭방향(W)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배수탱크(140)는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배수탱크(140)는 수납챔버(10)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배수탱크(140)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물은 필터부(180)를 통과하며 여과된 후 급수탱크(120)로 이동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140)는, 저장부(150)와 필터장착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배수탱크(140)는 가이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배수용 물이 급수탱크(120)로 전달하여 급수용 물로 재사용하므로, 급수용 물을 보충하는 주기가 길어져 사용자의 물 보충 수고를 줄여줄 수 있다.
저장부(150)는 급수탱크(120)의 내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고정되며, 내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저장부(150)는 상측이 개구되어 배수입구(158)를 형성하며, 배수입구(158)를 통해 낙하된 물이 내측에 저장된 후 하측에 설치된 필터부(180)를 통해 급수탱크(120)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상측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저장부(15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154)는 필터장착부(16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필터장착부(160)는 저장부(150)의 바닥인 제2베이스(154)와 연결되며, 저장부(15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부(18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착부(160)는 저장부(150)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사각관 형상이다.
필터장착부(160)의 상측은 저장부(150)의 하부와 연결되며, 필터장착부(160)의 하측은 급수탱크(120)의 내측과 연결된다. 필터장착부(160)의 내측에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물은 필터장착부(160)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며, 필터부(18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80)는 배수탱크(140)에 구비된 필터장착부(160)에 설치되며, 배수탱크(140)에서 급수탱크(120)로 이동하는 물을 정화한다.
필터부(180)는 필터장착부(16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필터장착부(16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8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필터장착부(160)의 내측에 위치한다.
배수탱크(14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154)와 급수탱크(12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130) 사이의 거리는, 제1베이스(130)와 필터장착부(160) 하단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의 하측에 필터부(180)가 위치하며, 필터부(180)의 하측에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이 위치한다. 배수탱크(140)의 물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필터부(180)를 통과하며, 필터부(180)를 통과한 물은 하측으로 이동되어 급수탱크(120)에 저장된다.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저장부(150)와 필터장착부(160)와 급수탱크(120)의 제1베이스(130)가 차례로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물을 이동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7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위감지부(200)는 배수탱크(140)의 내측에 설치되며, 배수탱크(140)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1수위감지부(200)는 전자식으로 동작되거나 부력을 이용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제1수위감지부(200)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50)의 폭방향(W) 일측에는 제1수위감지부(2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170)는 저장부(150)의 내측과 연결된 통로가 측면에 구비되므로, 저장부(150)에 저장된 물이 가이드부(170)의 내측으로도 이동된다.
따라서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저장된 경우, 가이드부(170)의 내측으로도 물이 공급되어 제1수위감지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수위감지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필터부(180)가 막혀서 배수탱크(140)에 물이 차오르는 경우에 제1수위감지부(200)가 동작된다.
제2수위감지부(230)는 급수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저수위인 경우에 작동되어 제어부(3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2수위감지부(230)는 전자식으로 동작되거나 부력식으로 동작되며, 제1베이스(130)의 상측에 설치된다.
탱크커버(240)는 급수탱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급수탱크(120)에 구비된 급수입구(126)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커버(240)는 급수탱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배수탱크(1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 구비된다.
탱크커버(240)의 하측에 배수탱크(140)가 위치하며, 수납챔버(10)에서 회수된 물은 탱크커버(240)를 통해 배수탱크(140)로 낙하되어 배수탱크(140)로 물이 공급된다.
탱크커버(240)의 상측으로 돌출된 배수커넥터(250)는 배수파이프와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제1수위감지부(200)와 제2수위감지부(230)의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알림부(310)와 배수펌프(52)와 이송펌프(3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알림부(310)는 화상이나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탱크부(100)의 상태를 알린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120)에 물이 저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탱크(140)에는 배수커넥터(250)를 통해 공급받은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급수탱크(120)에도 필터부(180)의 일부를 잠기는 깊이 까지 물이 저장되거나 필터부(180)가 잠기지 않는 깊이까지 물이 저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140)에 물이 입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80)를 통해 물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양 보다 많은 양이 배수밸브(190)를 통해 스팀유닛(30)으로 이동되면, 급수탱크(120)의 수위는 저수위가 된다.
제2수위감지부(230)는 급수탱크(120)의 저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측정값을 보내면, 제어부(300)는 이송펌프(34)의 동작을 제어하여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의 유출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탱크(140)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180)를 통해 급수탱크(120)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80)를 통해 배수탱크(140)의 하측으로 낙하된 물에 의해 급수탱크(120)의 수위가 올라가면, 제2수위감지부(230)는 급수탱크(120)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측정값을 보낸다. 제어부(300)는 이송펌프(34)를 동작시켜 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스팀유닛(30)으로 이송시킨다.
스팀유닛(30)으로 보내진 물은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된 후 수납챔버(10)에 거치된 의류에 공급되며, 이물질을 포함하며 수납챔버(10)의 하측으로 이동된 물은 집수탱크(50)에 저장된다.
집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은 배수펌프(52)의 동작에 의해 배수파이프를 따라 이동된 후 배수탱크(14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배수탱크(140)에 모여진 물은 필터부(180)를 통해 다시 급수탱크(120)로 공급되어 모인 후 스팀유닛(30)으로 공급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80)가 막히므로 배수탱크(140)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80)가 막히는 경우에는 배수탱크(140)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배수탱크(140)의 수위 상승은 제1수위감지부(20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300)로 측정값을 보낸다.
제어부(300)는 배수탱크(1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수펌프(52)의 동작을 정지한 후 알림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부(180)의 막힘을 알린다.
제어부(300)의 동작으로 배수탱크(140)로 물이 추가로 공급됨을 차단하며, 사용자에게는 필터부(180)의 교체나 청소를 권고하는 알림을 발송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급수탱크(120)의 저수위가 지속되는 경우나 급수탱크(120)의 만수위가 계속되는 경우에도 알림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의류처리장치
10: 수납챔버 12: 스팀배출부
20: 전장챔버
30: 스팀유닛 32: 스팀제너레이터 34: 이송펌프
40: 도어부
50: 집수탱크 52: 배수펌프
100: 탱크부
110: 전면커버 112: 커버몸체 114: 손잡이부 116: 수위확인부
120: 급수탱크 122: 탱크몸체 126: 급수입구 128: 내측수위창 130: 제1베이스
140: 배수탱크
150: 저장부 154: 제2베이스 158: 배수입구
160: 필터장착부 170: 가이드부
180: 필터부
190: 배수밸브
200: 제1수위감지부 230: 제2수위감지부
240: 탱크커버 250: 배수커넥터
300: 제어부 310: 알림부
W: 폭방향 H: 상하방향

Claims (20)

  1.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챔버;
    상기 수납챔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챔버;
    상기 전장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챔버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및
    상기 전장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챔버로 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한 후 상기 스팀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탱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스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납챔버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한 후 상기 급수탱크로 공급하는 배수탱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배수탱크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탱크몸체; 및
    상기 탱크몸체의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배수탱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급수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는, 상측이 개구되어 배수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에 걸리고, 상기 배수입구를 통해 낙하된 물이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바닥인 제2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는 상기 필터장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부가 내측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저장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하측은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와 상기 급수탱크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필터장착부의 하단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급수탱크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기 위해 오목한 홈 형상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급수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수탱크에 구비된 급수입구를 개폐하는 탱크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커버의 하측에 상기 배수탱크가 위치하며, 상기 수납챔버에서 회수된 물은 상기 탱크커버를 통해 상기 배수탱크로 낙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챔버;
    상기 수납챔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장챔버;
    상기 전장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챔버의 내측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스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납챔버에서 배수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한 후 상기 급수탱크로 공급하는 배수탱크;
    상기 배수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탱크에서 상기 급수탱크로 이동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수탱크에 구비된 급수입구를 개폐하는 탱크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기 위해 오목한 홈 형상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배수탱크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배수탱크에서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탱크몸체; 및
    상기 탱크몸체의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배수탱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급수입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탱크몸체의 표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탱크몸체에 담긴 물의 높이를 관찰하기 위한 내측수위창;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탱크가 상기 전장챔버에 결합될 때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탱크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는 상기 배수밸브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는, 상측이 개구되어 배수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에 걸리며,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으로 급수된 물이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바닥인 제2베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필터부가 내측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저장부의 하부와 연결되며 하측은 상기 급수탱크의 내측과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탱크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제1수위감지부;를 더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위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배수탱크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배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54418A 2022-11-17 2022-11-17 의류처리장치 KR20240072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18A KR20240072621A (ko) 2022-11-17 2022-11-17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13746 WO2024106717A1 (ko) 2022-11-17 2023-09-1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418A KR20240072621A (ko) 2022-11-17 2022-11-1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621A true KR20240072621A (ko) 2024-05-24

Family

ID=910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418A KR20240072621A (ko) 2022-11-17 2022-11-1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2621A (ko)
WO (1) WO20241067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27B1 (ko) * 2008-04-0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209907070U (zh) * 2019-01-14 2020-01-07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自清洁水装置
KR102138538B1 (ko) * 2019-11-05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06315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25465B1 (ko) * 2021-04-26 2023-04-2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717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9283B2 (ja) 衣類処理装置
EP1862584B1 (en) Domestic appliance with a water reservoir
US20100095716A1 (en) Laundry machine
JP424676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20574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40072621A (ko) 의류처리장치
CN112912560B (zh) 洗干一体机
EP2501849B1 (en) Steam generator for use in a laundry care appliance, and laundry care appliance
CN112912553B (zh) 洗干一体机
KR20240099650A (ko) 의류처리장치
JP200809980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4009964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020418B1 (ko)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1265611B1 (ko) 건조기
KR20080056500A (ko) 스팀 건조기
CN112912561B (zh) 洗干一体机
KR101241897B1 (ko) 건조기
KR101083106B1 (ko) 의류 처리장치용 스팀 제너레이터
JP4532581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925434B1 (ko) 스팀발생장치
KR101265610B1 (ko) 건조기
CN112912552B (zh) 洗干一体机
KR101342364B1 (ko) 스팀건조기
EP4389957A1 (en) Clothing care apparatus
KR10144361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스팀발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