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381A -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 - Google Patents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381A
KR20240070381A KR1020230072133A KR20230072133A KR20240070381A KR 20240070381 A KR20240070381 A KR 20240070381A KR 1020230072133 A KR1020230072133 A KR 1020230072133A KR 20230072133 A KR20230072133 A KR 20230072133A KR 20240070381 A KR20240070381 A KR 2024007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pass filter
mim
band
upp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형
강동민
김정길
민병규
박종율
이종민
장우진
장유진
장이산
조규준
지홍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4007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대역 통과 여파기는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 MIM 커패시터 및 제1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MIM 커패시터 및 제2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접지 노드와 MIM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인덕터로 구성되고, MIM 커패시터는: 절연체; 하부 금속; 절연체 및 하부 금속과 제1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1 상부 금속; 및 절연체 및 하부 금속과 제2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2 상부 금속을 포함하되, 제1 상부 금속 및 제2 상부 금속은 제1 병렬 커패시터 및 제2 병렬 커패시터 사이의 직렬 커패시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BANDPASS FILTER WITH HARMONIC SPURIOUS SUPPRESSION CHARACTERISTICS}
본 개시는 대역 통과 여파기와 관계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와 관계된다.
대역 통과 여파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는 송신기의 경우, 허용되는 주파수 이외의 신호가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는 수신기의 경우 허용되는 주파수만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에 사용되는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의 경우 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공정에서 집적할 수 없으며, 큰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가 MMIC 회로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평면형 또는 3D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종래의 MIM 커패시터의 구조적 변경을 기반으로, 형 CCC 회로를 소형화 하고 이를 이용한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특성을 갖는 대역통과 여파기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대역 통과 여파기는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 상기 MIM 커패시터 및 제1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MIM 커패시터 및 제2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접지 노드와 상기 MIM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인덕터로 구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는: 절연체; 하부 금속;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하부 금속과 제1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1 상부 금속; 및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하부 금속과 제2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2 상부 금속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금속 및 상기 제2 상부 금속은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사이의 직렬 커패시터를 생성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회로 배선의 기생 성분이 제거되고, 종래의 대역 통과 여파기에 비해 회로에서 더 적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는 형 CCC MIM 커패시터 구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고조파 및 고주파 대역에서 스퓨리어스(spurious) 억제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여파기 단수가 증가하는 경우 집적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으며, MMIC 공정을 통해 제작 가능하여 다른 통신 회로들과 웨이퍼 레벨에서 집적화 및 패키징이 가능한 형 CCC MIM 커패시터 구조를 이용한 대역통과 여파기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MIM(metal insulator metal)구조를 갖는 커패시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CCC 구조를 기반으로, 대역 통과 여파기의 회로 및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구현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회로의 구조를 갖는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대역 통과 여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28GHz의 통과 대역을 갖도록 설계된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 특성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28GHz의 통과 대역을 갖도록 설계된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직렬 커패시터 성분의 크기 변화를 기반으로 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 특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28GHz의 통과 대역을 갖도록 설계된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병렬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 에를 기반으로 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 특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28GHz의 통과 대역을 갖도록 설계된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의 단수의 변화를 기반으로 한 대역 통과 여파기의 주파수에 따른 응답 특성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MIM(Metal Insulator Metal)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이 언급된다. 제1 방향(D1)은 하부 금속(120)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수직하면서, 하부 금속(120)을 포함하는 평면에 포함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도 1a는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를 제1 방향(D1)을 따라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b는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를 제2 방향(D2)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통해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는 상부 금속(110), 하부 금속(120), 및 절연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속(110)은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일단이 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부 금속(110)은 절연체(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부 금속(110)은 철(凸) 모양일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체(130)의 제1 방향(D1)으로 상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하부 금속(120)은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타단이 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하부 금속(120)은 절연체(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하부 금속(110)은 철(凸) 모양일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제1 방향(D1)으로 상단에 절연체(130)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금속(110) 및 하부 금속(120)이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을 기반으로, MIM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전기 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금속(110) 및 하부 금속(120)의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전기 용량이 더 커질 수 있다.
절연체(130)는 상부 금속(110) 및 하부 금속(120) 제1 방향(D1)으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체(130)는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가 상부 금속(110) 및 하부 금속(120)으로만 구성된 커패시터보다 더 큰 전기 용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체(130)는 다양한 유전율을 갖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체(130)는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N3) 등과 같은 절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절연체(130)의 유전율, 및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전기 용량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체(130)의 유전율이 높아지는 경우,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100)의 전기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형 CCC 회로(20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MIM 커패시터(100)를 포함하는 형 CCC 회로(200)를 제1 방향(D1)을 따라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형 CCC 회로(200)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통해, 형 CCC 회로(200)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형 CCC 회로(200)는 직렬 MIM 커패시터(210),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 및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직렬 MIM 커패시터(210)는 제1 커패시터(211)에 대응하고,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는 제2 커패시터(221)에 대응하며,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는 제3 커패시터(231)에 대응할 수 있다.
직렬 MIM 커패시터(210)의 하부 금속은 제1 포트(P1)와 연결될 수 있다. 직렬 MIM 커패시터(210)의 상부 금속은 제2 포트(P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직렬 MIM 커패시터(210)에 대응하는 제1 커패시터(211)의 일단은 제1 포트(P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커패시터(211)의 타단은 제2 포트(P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의 하부 금속은 제1 포트(P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의 상부 금속은 접지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에 대응하는 제2 커패시터(221)의 일단은 제1 포트(P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의 하부 금속은 제2 포트(P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의 상부 금속은 접지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에 대응하는 제3 커패시터(231)의 일단은 제1 포트(P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직렬 MIM 커패시터(210), 제1 병렬 MIM 커패시터(220), 또는 제2 병렬 MIM 커패시터(230)의 상부 금속 및 하부 금속이 연결되는 포트 또는 노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3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300)를 제1 방향(D1)을 따라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b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300)를 제2 방향(D2)을 따라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통해 도 2b에 도시된 형 CCC 회로(200)를 단일 소자로 구현한 구조가 설명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300)는 제1 상부 금속(311), 제2 상부 금속(312), 하부 금속(320), 및 절연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상부 금속(310)은 제1 상부 금속(311) 부분, 및 제2 상부 금속(31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금속(311)은 제1 방향(D1)으로 절연체(330)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상부 금속(311)은 제1 포트(P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금속(311)은 포크(fork) 형상일 수 있다. 제1 상부 금속(311)은 하부 금속(320), 및 절연체(330)와 함께, 도 2b에 도시된 제2 커패시터(221)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금속(311)은 하부 금속(320) 및 절연체(330)와 공통되는 부분의 면적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커패시터의 전기 용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상부 금속(311)의 몸체 부분의 제3 방향(D3)으로 평행한 길이(d1)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대응하는 도 2b에 도시된 제2 커패시터(221)의 전기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상부 금속(312)은 제1 방향(D1)으로 절연체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상부 금속(312)은 제2 포트(P2)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상부 금속(312)은 포크(fork) 형상일 수 있다. 제2 상부 금속(312)은 하부 금속(320), 및 절연체(330)와 함께 하여, 도 2b에 도시된 제3 커패시터(231)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상부 금속(312)은 하부 금속(320) 및 절연체(330)와 공통되는 부분의 면적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커패시터의 전기 용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2 상부 금속(312)의 몸체 부분의 제3 방향(D3)으로 평행한 길이(d2)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대응하는 도 2b에 도시된 제3 커패시터(231)의 전기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금속(311)과 제2 상부 금속(312)은 각각의 돌기와 홈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상부 금속(311)의 돌기는 제2 상부 금속(312)의 홈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됨은 아니며, 제2 상부 금속(312)의 돌기가 제1 상부 금속(311)의 홈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맞물리는 형상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상부 금속(311)과 제2 상부 금속(312)의 교차된 부분은 인터디지털 커패시터(340)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디지털 커패시터(340)는 도 2b에 도시된 제1 커패시터(211)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디지털 커패시터(340)의 전기 용량은 제1 상부 금속(311) 및 제2 상부 금속(31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인터디지털 커패시터(340)의 전기 용량은 제1 상부 금속(311) 및 제2 상부 금속(312)이 맞물리는 부분의 폭(W), 및 길이(L), 및 제1 상부 금속(311)과 제2 상부 금속(312) 사이의 간격(S)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300)는 도 2a에 도시된 CCC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도 2b에 도시된 3개의 단일 MIM 커패시터로 구현된 회로보다 더 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사이의 연결을 위한 배선이 제거될 수 있어 배선으로 인한 기생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C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를 제1 방향(D1)을 따라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에 대응하는 등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제1 직렬 인덕터(420), 제2 직렬 인덕터(430), 및 공통 병렬 인덕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도 4b에 도시된 커패시터들 각각의 전기 용량들, 및 인덕터들 각각의 인덕턴스들을 기반으로 통과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조가 상세히 설명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는 도 4b에 도시된 제4 커패시터(414), 제5 커패시터(415), 및 제6 커패시터(416)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커패시터(414)의 전기 용량을 기반으로,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 사이의 커플링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제4 커패시터(414)의 전기 용량은, 도 3a를 참조하여 상술된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내부에 생성되는 인터디지털 커패시터(340)의 전기용량을 조절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4 커패시터(414)는 전기 용량 조절에 따른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 사이의 커플링 양 조절을 기반으로,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대역폭(bandwidth)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직렬 인덕터(420)는 제1 포트(P1)와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렬 인덕터(420)의 일단은 MIM 커패시터(410)의 제1 상부 금속(4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함께 참고하면, 제1 직렬 인덕터(420)는 제1 포트(P1) 및 제4 커패시터(414) 사이에 위치한 제1 인덕터(421)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직렬 인덕터(430)는 제2 포트(P2)와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직렬 인덕터(430)의 일단은 MIM 커패시터(410)의 제2 상부 금속(41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함께 참고하면, 제2 직렬 인덕터(430)는 제2 포트(P2) 및 제5 커패시터(415) 사이에 위치한 제2 인덕터(431)에 대응할 수 있다.
병렬 인덕터(440)는 접지 노드 및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렬 인덕터(440)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의 하부 금속(413)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병렬 인덕터(440)는 제3 인덕터(441), 및 제4 인덕터(442)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인덕터(441)와 제4 인덕터(442)는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병렬 인덕터(440)의 인덕턴스는 제3 인덕터(441) 및 제4 인덕터(442)가 병렬 연결된 인덕터와 대응하는 만큼, 제3 인덕터(441) 및 제4 인덕터(442)의 인덕턴스의 1/2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5 커패시터(415) 및 제3 인덕터(441)는 직렬로 연결되어, 제1 공진회로(451)를 형성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제6 커패시터(416) 및 제4 인덕터(442)는 제2 공진회로(452)를 형성할 수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병렬로 연결된 제1 공진회로(451), 및 제2 공진회로(452)의 공진을 기반으로 생성된 전송 영점(transmission zero)를 가질 수 있다. 즉,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 및 병렬 인덕터(440)를 기반으로, 전송 영점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410)를 이용함으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MIM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형 CCC구조를 생성하는 구조에 비해 더 적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병렬 인덕터(440)는 제3 인덕터(441) 또는 제4 인덕터(442)의 인덕턴스의 1/2이기 때문에, 인덕터에 의해 사용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집적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가 28GHz의 통과 대역을 갖도록 설계된 경우, 주파수별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응답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5a는 주파수에 따른 제1 응답(R10)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응답(R10)을 대역폭을 중심의 주파수로 확대하여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제1 포트(P1)에 입력된 전압의 제2 포트(P2)에서의 제1 응답(R10)이 주파수 별로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응답(R10)은 산란 계수(scatter paramet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R10)은 제2 포트(P2)의 출력 전압을 제1 포트(P1)의 입력 전압으로 나눈 산란 계수(S(2,1))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5b에 도시된 제1 응답(R10)을 참조하면,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28GHz 주파수를 중심으로 26GHz 내지 30GHz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0dB로 통과 시킬 수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26GHz 내지 30GHz 대역에서 입력 신호의 감쇠 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50GHz보다 큰 지점(예를 들어, 56.3GHz)에서 전송 영점을 가질 수 있다. 제1 응답(R10)은 전송 영점의 이상의 범위에서 -40dB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 경우,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통과 대역의 정수 배에 해당하는 고조파(예를 들어, 56GHz, 84GHz파 등)를 억제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스퓨리어스(spurious) 억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직렬 커패시터의 성분의 변화에 따른,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응답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응답(R21), 및 제3 응답(R22)이 도시된다. 도 6을 통해 도 4b에 도시된 제4 커패시터(414)의 성분의 변화에 따른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응답 특성 변화가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커패시터(414)의 전기 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대역폭은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 사이의 커플링 증가로 인해, 넓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응답(R21)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제4 커패시터(414)의 전기 용량은, 제3 응답(R21)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제4 커패시터(414)의 전기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응답(R21)이 제3 응답(R22)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4a에 도시된, 병렬 인덕터(440)의 인덕턴스에 따른, 도 4a에 도시된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주파수별 응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제4 응답(R31), 제5 응답(R32), 및 제6 응답(R33)이 도시된다. 도 4a, 도 4b, 및 도 7을 통해 병렬 인덕터(440)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따른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응답의 변화가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병렬 인덕터(440)의 인덕턴스가 감소하는 경우,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전송 영점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 제1 공진회로(451), 및 제2 공진회로(452)의 공진 주파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4 응답(R31)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제5 응답(R32)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보다 더 높은 인덕턴스의 병렬 인덕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응답(R32)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제6 응답(R33)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400)보다 더 높은 인덕턴스의 병렬 인덕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응답(R31)의 전송 영점(Z1) 주파수가 가장 작고, 다음으로, 제5 응답(R32)의 전송 영점(Z2) 주파수가 작고, 제6 응답(R33) 전송 영점(Z3) 주파수가 가장 클 수 있다.
도 8은 도 4a의 대역 통과 여파기의 단수에 따른 응답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7 응답(R41), 및 제8 응답(R42)이 도시된다. 도 8을 통해 도 4a의 대역 통과 여파기(400)의 단수가 증가함에 따른, 응답 특성의 변화가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대역 통과 여파기의 단수가 증가하는 경우, 대역 통과 여파기는 향상된 스커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응답(R41)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는 1단 대역 통과 여파기(400)일 수 있고, 제8 응답(R42)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는 3단 대역 통과 여파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8을 참조하면, 제8 응답(R42)은 제7 응답(R41)보다 통과 대역 주파수 이외 범위에서 향상된 차단 특성을 보여줄 수 있다.
상술된 본 개시의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410)를 기반으로, 종래의 커패시터를 연결하기 위한 기생 배선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집적된 구조를 기반으로 MMIC 공정을 통해 더 작은 면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대역 통과 여파기(400)는 작은 면적을 차지함에 따라, 여파기의 단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과정에서도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특성에 기반하여, 향상된 집적도를 보일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개시는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MIM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
200: 형 CCC
300: 형 CCC 특성을 갖는 MIM 커패시터
400: 대역 통과 여파기

Claims (1)

  1. 형 CCC구조를 갖는 MIM 커패시터;
    상기 MIM 커패시터 및 제1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
    상기 MIM 커패시터 및 제2 포트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 및
    접지 노드와 상기 MIM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인덕터로 구성되고,
    상기 MIM 커패시터는:
    절연체;
    하부 금속;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하부 금속과 제1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1 상부 금속; 및
    상기 절연체 및 상기 하부 금속과 제2 병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제2 상부 금속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금속 및 상기 제2 상부 금속은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사이의 직렬 커패시터를 생성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
KR1020230072133A 2022-11-14 2023-06-05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 KR20240070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027 2022-11-14
KR20220152027 202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381A true KR20240070381A (ko) 2024-05-21

Family

ID=9132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133A KR20240070381A (ko) 2022-11-14 2023-06-05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03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202A (en) Dielectric fil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axial resonators of different lengths all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U708019B2 (en) Elliptic fil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90199323A1 (en) Band-pass filter and branching filter
JP4468185B2 (ja) 等しい共振周波数を有する共振器フィルタ構造体
JP3348101B2 (ja) 誘電フィルタ構造
US20020196101A1 (en) Lumped filter, shared antenna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3344428B2 (ja) 誘電体共振器および誘電体共振部品
JP2006513662A5 (ko)
US7432786B2 (en) High frequency filter
JP4197032B2 (ja) 2ポート型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装置
US5499002A (en) Resonator filter utilizing cascaded impedance inverters
KR100942489B1 (ko) 지연선
US8018305B2 (en) Electronic component
US4313097A (en) Image frequency reflection mode filter for use in a high-frequency receiver
KR20240070381A (ko) 고조파 스퓨리어스 억제 특성을 갖는 대역 통과 여파기
US10454148B2 (en) Compact band pass filter
JP2001044708A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20040183626A1 (en) Electronically tunable block filter with tunable transmission zeros
JP4251974B2 (ja) 高周波フィルタ
KR101977832B1 (ko) 비대칭 구조의 집중소자 기반 방향성 결합기
TWI803091B (zh) 雙工器
US11923827B2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stacked onto an integrated passive device
KR100456004B1 (ko) 듀플렉서의 송신대역 통과필터
CN115603690B (zh) 基于ipd工艺的n77频段小型化滤波器
JPS62217701A (ja) 分波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