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293A -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0293A
KR20240070293A KR1020220151985A KR20220151985A KR20240070293A KR 20240070293 A KR20240070293 A KR 20240070293A KR 1020220151985 A KR1020220151985 A KR 1020220151985A KR 20220151985 A KR20220151985 A KR 20220151985A KR 20240070293 A KR20240070293 A KR 2024007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leaning device
unit
suction part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우진
김현철
권기환
김경웅
김현수
윤민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0293A/ko
Priority to PCT/KR2023/017999 priority patent/WO2024106852A1/ko
Priority to US18/507,813 priority patent/US20240156314A1/en
Publication of KR2024007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0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일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흡입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 상기 제1 흡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브러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는 제1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제1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 장치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으로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브러시를 구비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청소 장치는 사용자가 청소를 직접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 작동 모드 및 작동 시간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동 청소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자동 청소 장치는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실내를 주행하며,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나 소형 쓰레기 등을 흡입한다. 이를 위해, 자동 청소 장치는 홉입력을 형성하는 모터, 흡입된 먼지나 소형 쓰레기를 저장하는 먼지통 및 먼지통에 함께 흡입된 공기를 정화 및 배출하는 필터 등을 포함한다.
자동 청소 장치가 수집하는 쓰레기는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쓰레기에는 다양한 크기를 구비하는 오염 물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서 탈락된 머리카락, 옷 등에서 분리된 섬유 가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동 청소 장치가 수집하는 쓰레기의 유형에 따라 흡입구 및 흡입 압력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한 머리카락, 섬유 가닥 또는 반려 동물의 털 등의 쓰레기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표면이 거친 물체에 쉽게 점착되는 성질이 있다. 동시에, 상기 쓰레기들은 점착된 물체의 표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반면, 다양한 크기를 구비하는 오염 물질은 오염 물질이 배치된 피청소면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흡입 압력이 요구될 수 있으나, 오염 물질의 크기에 대응하는 흡입구의 흡입 면적이 확보되어야 한다.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일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흡입부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는, 상기 제1 흡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브러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는,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는 제1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제1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분리사사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 브러시 및 구획부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일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예시에 따라 본체부에 탈착 가능한 지지 프레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에 따른 오염 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에 따른 오염 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지 않고,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독자적으로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 장치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른 임의의 청소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본체부(10), 본체부(10)를 일 평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주행부(20), 피청소면(H; 도 9 참조)에 배치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30) 및 피청소면(H)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집진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본체부(10)는 청소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된 공간에 청소 장치(1)가 청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집진통(미도시)이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장치(1)가 주행됨에 따라 흡입부(30)를 통해 포집된 공기 또는 소형 쓰레기는 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지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통(미도시)에 포집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체부(10)는 청소 장치(1)가 주행되는 영역, 예를 들어 실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애물과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는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고강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경량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장치(1)의 주행에 요구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외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청소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청소 장치(1) 및 청소 장치(1)가 주행되는 영역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장치(1)가 주행될 때 다양한 장애물과 충돌되는 경우, 본체부(1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및 주행될 수 있다.
주행부(20)는 일 평면, 예를 들어 XY평면을 따라 본체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주행부(20)는 하나 이상의 구동 휠(wheel) 및 구동 휠에 전달되는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주행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주행부(20)는 본체부(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부(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주행부(20) 각각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는 일 평면(XY평면) 상에서 전진, 후진, 좌회전 또는 우회전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청소 장치(1)가 주행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주행 센서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주행 센서부(25)는 청소 장치(1)가 주행할 예정인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센서부(25)는 본체부(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청소 장치(1)의 전방 측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주행 센서부(25)는 청소 장치(1)가 주행되는, 또는 주행될 경로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센서부(25)는 장애물과의 거리 등을 감지하기 위한 라이다 센서 또는 이미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미도시)은 청소 장치(1)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통(미도시)에는 피청소면(H)에 배치된 오염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집진통(미도시)은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집진통(미도시)을 본체부(10)에서 탈거하여 집진통(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된 오염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집진통(미도시)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예를 들어 이동 통로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30)를 통해 수집된 오염 물질은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 통로를 통과하여 집진통(미도시)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흡입부(30)는 피청소면(H)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3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오염 물질은 크기, 형상 및 소재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흡입부(3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제1 오염 물질(T1; 도 9 참조)은 피청소면(H)으로부터 점착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않지만, 후술하게 될 제2 오염 물질(T2; 도 10 참조) 보다 작은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염 물질(T1)은 인체에서 탈락된 머리카락, 옷 등에서 분리된 섬유 가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흡입부(30)를 통해 수집된 오염 물질 중 머리카락, 섬유 가닥 또는 반려 동물의 털 등의 오염 물질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표면이 거친 물체에 쉽게 점착되는 성질이 있다. 동시에, 상기 오염 물질은 점착된 물체의 표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 있어서, 상기 오염 물질이 카펫 또는 러그 등의 섬유 소재의 물체의 표면에 점착된 경우, 이를 분리하기 쉽지 않다.
또한, 흡입부(3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제2 오염 물질(T2; 도 10 참조)은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염 물질(T2)은 피청소면(H)과 점착되지 않는 소형 장난감, 음식물 등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라 흡입부(3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오염 물질의 유형에 따라 흡입부(30)의 크기 및 흡입 압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부(30)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흡입부(30)의 흡입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부(30)의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입모터(미도시)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흡입모터(미도시)의 출력이 동일한 경우, 흡입부(30)의 흡입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흡입부(30)의 흡입 압력이 증가되거나, 흡입부(30)의 흡입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흡입부(30)의 흡입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입모터(미도시)의 출력이 동일한 경우, 흡입부(30)를 제1 오염 물질(T1)이 통과하는 제1 흡입부(31)와 제2 오염 물질(T2)이 통과하는 제2 흡입부(32)를 구분하고, 제1 흡입부(31) 및 제2 흡입부(32)의 흡입 면적과 흡입 압력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3은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분리사사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 브러시 및 구획부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의 일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흡입부(30)는 제1 흡입부(31), 제2 흡입부(32) 및 제1 흡입부(31)와 제2 흡입부(32)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추후 서술하게 될 롤러부(100)가 배치되는 제1 흡입부(31)는 제2 흡입부(32)의 흡입 면적 미만의 흡입 면적을 구비하지만, 제2 흡입부(32)의 흡입 압력을 초과하는 흡입 압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H)으로부터 점착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않지만, 제2 오염 물질(T2) 보다 작은 크기를 구비하는 제1 오염 물질(T1: 도 9 참조)이 제1 흡입부(31)를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부(32)는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을 초과하는 흡입 면적을 구비하지만,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 미만의 압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하는 제2 오염 물질(T2: 도 10 참조)이 제2 흡입부(32)를 통과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흡입부(31)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입구로서,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입부(31)는 집진부(미도시)까지 연결되는 이동 통로(34)를 이용하여 집진부(미도시)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부(31)를 통과하여 흡입된 제1 오염 물질(T1)은 이동 통로(34)를 통과하여 집진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흡입부(31)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흡입부(31)는 제1 오염 물질(T1)이 통과할 수 있는 임의의 개구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피청소면(H)으로부터 점착되어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제1 오염 물질(T1)이 제1 흡입부(31)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제1 흡입부(31)는 상대적으로 높은 흡입 압력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흡입부(31) 및 제2 흡입부(32)에 동일한 흡입 모터(미도시)가 사용되는 경우,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이 제2 흡입부(32)의 흡입 면적 보다 작을수록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흡입부(31)에는 브러시(200)가 배치된 롤러부(100)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이 감소하고 흡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100)는 본체부(10)에 대해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 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100)는 일 축(11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양측 단부가 본체부(10)에 구비된 측면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100)가 일 축(110)을 중심으로 500rpm이상 1500rpm이하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구동부(300)는, 롤러부(100)가 일 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생성하여 롤러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롤러부(10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100)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센서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500)는 롤러부(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 등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100)는 일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방향(X 방향)은 청소 장치(1)가 전진하는 방향, 예를 들어 제2 방향(Y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장치(1)가 전진하는 경우, 후술하게 될 롤러부(100)의 외주면에 배치된 브러시(200)가 쓸고 가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장치(1)의 청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롤러부(100)는 측면 프레임(11) 사이에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부(100)는 제1 방향(X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Y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원형 형상(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롤러부(100)의 중심(O)으로부터 측정된 원형 형상(120)의 반경(R)은 6mm이상 18mm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롤러부(100)의 단면 형상이 원형 형상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 따르면 롤러부(100)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롤러부(100)는 후술하게 될 브러시(200)를 지지할 수 있는 고강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부(10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의 외주면(130)은 브러시(200)의 일 단부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 부재이다. 또한,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은 소정의 크기를 구비하는 오염 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브러시(200)는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브러시(200)는 롤러부(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브러시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으로부터 롤러부(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러시(200)의 길이(L)는 2.9mm이상 8.7mm이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 따른 브러시(200)의 일 단부는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200)의 타 단부는 피청소면(H)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브러시(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러시(200)의 길이(L)는, 브러시(200)의 타 단부가 본체부(10)의 하부 프레임(13)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200)의 타 단부는 피청소면(H)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200)의 타 단부는 피청소면(H)과 접촉하는 경우, 브러시(200)는 피청소면(H)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변형된 브러시(200)에, 피청소면(H)상에 위치하는 털 등의 오염 물질이 점착되어 제1 흡입부(31)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입부(31)로 이동된 오염 물질을 본체부(10) 내부에 마련된 이동 통로(34)로 흡입시키기 위해 흡입 모터(미도시)를 통해 흡입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이 감소하는 경우,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구획부(33)와 브러시(200)가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구획부(33)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 흡입부(31)와 제2 흡입부(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흡입부(31)와 제2 흡입부(32) 사이의 경계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구획부(33)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획부(33)는 청소 장치(1)가 이동하는 일 평면(XY 평면), 예를 들어 피청소면(H)과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제1 각도(α)를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각도(α)는 15도 이상 75도 이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구획부(33)가 청소 장치(1)가 이동하는 일 평면(XY 평면), 예를 들어 피청소면(H)과 제1 각도(α)를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1 흡입부(31) 및 제2 흡입부(32)를 향하여 흡입되는 제1 흡입 유로(W1) 및 제2 흡입 유로(W1)의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입 유로(W1)는 피청소면(H)과 제1 각도(α)를 구비하는 구획부(33)의 일 면(331)을 따라 제1 흡입부(3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 유로(W1)는 피청소면(H)과 제1 각도(α)를 구비하는 구획부(33)의 다른 일 면(332)을 따라 제2 흡입부(32)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구획부(33)는 피청소면(H)과 소정의 높이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구획부(33)는 피청소면(H)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피청소면(H)의 상부면에 배치된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청소면(H)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획부(33)의 일 단부(335)는, 제1 방향(X 방향)에 수직한 청소 장치(1)의 두께 방향(Z 방향)을 따라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브러시(200)의 타 단부 보다 청소 장치(1)의 두께 방향(Z 방향)을 따라 0.5mm 이상 3mm 이하의 높이(C)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피청소면(H)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획부(33)의 일 단부(335)는 피청소면(H)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부(33)의 일 단부(335)가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섬유 소재(S)로부터 제1 오염 물질(T1; 도 9 참조)을 추가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부(33)의 일 단부(335)는 섬유 소재(S)와 청소 장치(1)의 두께 방향(Z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구획부(33)는 롤러부(100)와 제1 간격(D)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D)은 1mm 이상 5.2mm 이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획부(33)와 롤러부(100)가 제1 간격(D)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오염 물질(T1)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흡입부(31)의 경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획부(33)의 일 면(331)은 소정의 크기를 구비하는 제1 오염 물질(T1)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은, 롤러부(100)의 중심(O)과 구획부(33)의 일 면(331) 사이 거리에서 원형 형상(120)의 반경(R)을 제거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은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구획부(33)의 일 면(331)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 미만의 길이를 구비하는 제1 오염 물질(T1)은 제1 흡입부(31)를 통과하여 본체부(10)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으로부터 롤러부(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브러시(200)의 길이(L)는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을 초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200)의 일부와 구획부(33)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200)의 일부와 구획부(33)가 중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브러시(200)와 구획부(33)는 소정의 제1 범위(K) 내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200)와 구획부(33)가 중첩되는 제1 범위(K)는 0.3mm이상 2.5mm이하일 수 있다. 브러시(200)와 구획부(33)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감소된 제1 흡입부(31)를 통과하는 제1 오염 물질(T1)은 탄성력을 구비하는 브러시(200)를 변형시키면서 제1 흡입부(31)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 범위 내에서 제1 흡입부(31)의 면적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력이 강한 동물의 털과 같은 제1 오염 물질(T1)이 제1 흡입부(31)로 흡입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2 흡입부(32)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입구로서, 본체부(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입부(32)는 집진부(미도시)까지 연결되는 이동 통로(34)를 이용하여 집진부(미도시)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입부(32)를 통과하여 흡입된 제2 오염 물질(T2)은 이동 통로(34)를 통과하여 집진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흡입부(32)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흡입부(32)는 제2 오염 물질(T2)이 통과할 수 있는 임의의 개구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하는 제2 오염 물질(T2)이 제2 흡입부(32)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제2 흡입부(32)는 제1 흡입부(3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흡입 면적 및 상대적으로 낮은 흡입 압력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흡입부(32)는 제1 방향(X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P), 예를 들어 4mm이상 20mm이하의 폭(P)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 흡입부(32)에서 제2 오염 물질(T2)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는 제2 흡입부(32)의 폭(P)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입부(31)에서 제1 오염 물질(T1)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는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획부(33)의 일 면(331)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1 간격(D)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부(32)의 폭(P)은 롤러부(100)와 구획부(33)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1 간격(D)을 초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입부(32)는 제1 흡입부(3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흡입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반면, 동일한 흡입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1 흡입부(31)와 제2 흡입부(32)에 흡입 압력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흡입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2 흡입부(32)의 흡입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하는 제2 오염 물질(T2; 도 10 참조)이 제2 흡입부(32)를 통과하여 흡입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예시에 따라 본체부에 탈착 가능한 지지 프레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도 5,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 모듈(800)은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 프레임 모듈(800)은 제1 흡입부(31), 제2 흡입부(32), 구획부(33), 롤러부(100) 및 브러시(200) 외에 지지 프레임(810), 베어링부(820) 및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810)은 본체부(10)의 전방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라 주행부(20)에 의해 본체부(10)가 이동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810)의 하측은 피청소면과 접촉되거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본체부(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810)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형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 프레임(810)은 본체부(10)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며, 내부에 롤러부(10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81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중공형 다각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810)의 수용 공간에는 제1 흡입부(31), 제2 흡입부(32) 및 구획부(3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구획부(33)는 지지 프레임(810)의 수용 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부(33)의 양 단부는 지지프레임(810)의 양 측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부(31) 및 제2 흡입부(32)는 구획부(33)와 지지 프레임(810)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810)과 구획부(33)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 따른 지지 프레임(810)에 마련된 제1 흡입부(31)에는 롤러부(1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롤러부(100)는 지지 프레임(810)에 대해 일 축(1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부(100)의 양 단부는 지지 프레임(810)의 측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부(820)는 롤러부(100)의 중심축인 일 축(110)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일 축(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라 롤러부(100)가 지지 프레임(810)에 연결되는 경우, 롤러부(100)가 지지 프레임(810)에 고정되도록 체결부(미도시)가 지지 프레임(810)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체결부(미도시)는 롤러부(100)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810)에 체결되는 캡 커버(cap cove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시에 따른 오염 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에 따른 오염 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b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1)가 이동하는 피청소면(H)은 카펫 또는 러그 등의 섬유 소재(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점착력이 강한 제1 오염 물질(T1), 예를 들어, 머리카락, 섬유 가닥 또는 반려 동물의 털 등의 제1 오염 물질(T1)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표면이 거친 물체, 예를 들어 카펫 또는 러그 등에 포함된 섬유 소재(S)에 쉽게 점착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 오염 물질(T1)은 점착된 섬유 소재(S)의 표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브러시(200)의 일 단부는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200)의 타 단부는 피청소면(H)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브러시(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러시(200)의 길이(L)는, 브러시(200)의 타 단부가 본체부(10)의 하부 프레임(13)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200)의 타 단부는 피청소면(H) 및 피청소면(H)의 상부에 배치된 섬유 소재(S)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200)의 타 단부가 피청소면(H) 및 섬유 소재(S)와 접촉하는 경우, 브러시(200)는 피청소면(H) 및 섬유 소재(S)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변형된 브러시(200)에, 피청소면(H) 및 섬유 소재(S)상에 위치하는 털 등의 제1 오염 물질(T1)이 점착되어 제1 흡입부(31)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부(33)는 피청소면(H)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청소면(H)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획부(33)의 일 단부(335)는 피청소면(H)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부(33)의 일 단부(335)가 섬유 소재(S)의 일부와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섬유 소재(S)로부터 제1 오염 물질(T1)을 추가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부(33)의 일 단부(335)는 섬유 소재(S)와 청소 장치(1)의 두께 방향(Z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롤러부(100)의 외주면(130)에 배치된 브러시(200)의 일부와 구획부(33)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200)의 일부와 구획부(33)가 중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브러시(200)와 구획부(33)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흡입부(31)의 흡입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감소된 제1 흡입부(31)를 통과하는 제1 오염 물질(T1)은 탄성력을 구비하는 브러시(200)를 변형시키면서 제1 흡입부(31)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롤러부(100)와 구획부(33)가 이격된 제1 간격(D) 범위 내에서 제1 흡입부(31)의 면적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력이 강한 동물의 털과 같은 제1 오염 물질(T1)이 제1 흡입부(3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르면,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하는 제2 오염 물질(T2), 예를 들어, 씨리얼, 나노 블록 등의 제2 오염 물질(T2)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표면이 거친 물체, 예를 들어 카펫 또는 러그 등에 포함된 섬유 소재(S)에 쉽게 점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오염 물질(T2)은 점착된 섬유 소재(S)의 표면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흡입부(31)에서 제1 오염 물질(T1) 또는 제2 오염 물질(T2)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는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롤러부(100)의 외주면(13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획부(33)의 일 면(331)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1 간격(D)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오염 물질(T2)의 크기가 제1 간격(D)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오염 물질(T2)은 제1 흡입부(31)에 의해 흡입될 수 없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 흡입부(32)에서 제2 오염 물질(T2)이 통과할 수 있는 경계 범위는 제2 흡입부(32)의 폭(P)일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부(32)의 폭(P)은 롤러부(100)와 구획부(33)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1 간격(D)을 초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입부(32)는 제1 흡입부(3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흡입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반면, 동일한 흡입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1 흡입부(31)와 제2 흡입부(32)에 흡입 압력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흡입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2 흡입부(32)의 흡입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피청소면(H)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만, 제1 오염 물질(T1) 보다 큰 형상을 구비하는 제2 오염 물질(T2)이 제2 흡입부(32)를 통과하여 흡입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일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10),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부(31),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흡입부(32),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33), 상기 제1 흡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롤러부(100),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브러시(200), 상기 롤러부가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는 제1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제1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33)는 상기 일 평면과 제1 각도를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15도 이상 7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획부(33)의 일 단부는, 상기 청소 장치의 두께 방향을 따라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브러시(200)의 타 단부 보다 0.5mm 이상 3mm 이하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상기 제2 흡입부(32)의 흡입 압력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흡입부(32)의 폭은 상기 롤러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33) 사이에 이격된 제1 간격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33) 사이에 이격된 제1 간격은 1mm 이상 5.2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흡입부(32)의 폭은 4mm이상 20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31), 상기 제2 흡입부(32) 및 상기 구획부(33)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한 지지 프레임(8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지지 프레임(810)에 대해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810)과 상기 구획부(33)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지지 프레임(810)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 축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부(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기 롤러부(100)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 형상의 반경은 6mm이상 18mm이하이고, 상기 롤러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브러시의 길이는 2.9mm이상 8.7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500rpm이상 1500rpm이하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500)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일 평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본체부(10);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흡입부(31);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흡입부(32);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흡입부와 상기 제2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33);
    상기 제1 흡입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롤러부(100);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브러시(200);
    상기 롤러부가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는 제1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제1 간격을 초과하는,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33)는 상기 일 평면과 제1 각도를 구비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청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15도 이상 75도 이하인,
    청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33)의 일 단부는, 상기 청소 장치의 두께 방향을 따라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브러시(200)의 타 단부 보다 0.5mm 이상 3mm 이하의 높이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31)의 흡입 압력이 상기 제2 흡입부(32)의 흡입 압력을 초과하는,
    청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흡입부(32)의 폭은 상기 롤러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33) 사이에 이격된 제1 간격을 초과하는,
    청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구획부(33) 사이에 이격된 제1 간격은 1mm 이상 5.2mm 이하인,
    청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흡입부(32)의 폭은 4mm이상 20mm이하인,
    청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31), 상기 제2 흡입부(32) 및 상기 구획부(33)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한 지지 프레임(8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지지 프레임(810)에 대해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810)과 상기 구획부(33)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청소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지지 프레임(810)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축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일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부(820);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기 롤러부(100)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 형상의 반경은 6mm이상 18mm이하이고,
    상기 롤러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브러시의 길이는 2.9mm이상 8.7mm이하인,
    청소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100)는 상기 일 축을 중심으로 500rpm이상 1500rpm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청소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500);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20220151985A 2022-11-14 2022-11-14 청소 장치 KR20240070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985A KR20240070293A (ko) 2022-11-14 2022-11-14 청소 장치
PCT/KR2023/017999 WO2024106852A1 (ko) 2022-11-14 2023-11-09 청소 장치
US18/507,813 US20240156314A1 (en) 2022-11-14 2023-11-13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985A KR20240070293A (ko) 2022-11-14 2022-11-14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0293A true KR20240070293A (ko) 2024-05-21

Family

ID=9108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985A KR20240070293A (ko) 2022-11-14 2022-11-14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0293A (ko)
WO (1) WO20241068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275B1 (ko) * 2005-04-25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에지테이터 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80089B1 (ko) * 2011-09-01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와 그 제어 방법
GB201313707D0 (en) * 2013-07-31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JP6516820B2 (ja) * 2017-07-31 2019-05-2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ユニット
CN211355206U (zh) * 2019-07-24 2020-08-28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吸尘地刷及具有其的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852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905C2 (ru) Робот-пылесос
KR100544480B1 (ko) 로봇 청소기
JP6167316B2 (ja) 自律走行型掃除機
CN102908107B (zh) 自主式清洁装置
EP4272618A1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KR101688292B1 (ko) 자주식 전자 장치
CA3114587C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illumination system
KR20170049532A (ko) 로봇 진공 청소기
EP4292503A1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JP2013000214A (ja) 電気掃除機
RU2668188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JP2013230198A (ja) 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2020048981A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KR102369189B1 (ko) 노즐부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KR20240070293A (ko) 청소 장치
KR101558509B1 (ko) 로봇청소기
JP2021087556A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KR20240012980A (ko) 청소 장치 및 청소 장치의 작동 방법
EP4292504A1 (en) Vibrating mop and automatic cleaning device
US20240156314A1 (en) Cleaning device
KR20140041229A (ko) 로봇청소기
KR20070016420A (ko) 청소기의 흡입 유닛
KR20120112292A (ko) 로봇청소기
US20240023771A1 (en) Clean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20048982A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