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994A -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9994A KR20240069994A KR1020220151266A KR20220151266A KR20240069994A KR 20240069994 A KR20240069994 A KR 20240069994A KR 1020220151266 A KR1020220151266 A KR 1020220151266A KR 20220151266 A KR20220151266 A KR 20220151266A KR 20240069994 A KR20240069994 A KR 20240069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bar
- upper frame
- medical bed
- side rail
- low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61G7/0509—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sliding or pivoting downwar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의료용 침대의 양측에 설치된 접이식 사이드레일을 접을 때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완충수단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급격하게 접혀지는 현상없이 서서히 접혀지도록 하여 신체의 일부가 사이드레일에 근처에 있는지 재차 확인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의료용 침대의 양측에 설치된 접이식 사이드레일을 접을 때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입원환자 혹은 건강관리가 필요한 사람을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침대로, 침대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또는 머리와 발 방향의 높이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고, 낙상으로부터 환자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침대의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레일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279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1228호와 같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수직봉이 설치된 구성으로, 상부프레임 하측과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다수개의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의 일측단부에 상부프레임이 펼져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가 구성되며, 상?하부프레임 사이의 각 브라켓 상에는 수직봉을 힌지 결합하며, 상부프레임을 접었다가 필요 시 수직봉을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상부프레임이 펼져지도록 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상기 사이드레일은 상기 록킹장치를 누른상태에서 상부프레임을 누르면 하부프레임에 근접하도록 접혀지고, 상부프레임에 순간적으로 많은 힘이 가해지거나 잦은 사용으로 인해 수직봉의 힌지 결합부분이 느슨해진 상태인 상부프레임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져 하부프레임쪽으로 급격하게 접어질 때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있을 경우 피하지 못하고 껴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사이드레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여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펼져진 상부프레임을 접을 때 순간적으로 많은 힘이 가해지거나 오랜사용으로 힌지 결합부분이 느슨해지더라도 급격하게 상부프레임이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의 일부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끼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의료용 침대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록킹장치가 구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또는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회전축결합공이 형성되며, 작동공간의 후방에 받침부가 구성된 브라켓과; 수직으로 기립되거나 아랫쪽으로 기울어져 접혀지게 각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결합공에 핀으로 연결된 수직봉과;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에 슬라이딩되어 접혀지거나 펼져지게 구성된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완충수단은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수직봉을 가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수직봉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부에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게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축핀이 삽입될 수 있게 제1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가이드부는 일측에 상기 제1힌지연결부와 결합되어 축핀을 중심으로 각운동될 수 있게 제2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단부에 수직봉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딩되게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연결부 또는 제2힌지연결부에는 수직봉에 의해 수직봉가이드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각운동될 수 있게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삽입홈이 형성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고정부의 하부에는 수직봉에 의해 접혀진 수직봉가이드부가 면접촉되도록 하여 수직봉과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이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고 서로 간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경사면이 형성된다.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 안내면은 환봉으로 형성된 수직봉에 부합하여 면접촉될 수 있게 호형으로 함몰되게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이드레일에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기존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에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완충수단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급격하게 접혀지는 현상없이 서서히 접혀지도록 하여 신체의 일부가 사이드레일에 근처에 있는지 재차 확인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상부프레임을 잡고 수직봉이 수직으로 기립되는 도중에 멈추더라도 완충수단의 스프링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아랫쪽으로 하강하는 현상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이드레일을 의료용 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는 완충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5는 사이드레일에 완충수단을 결합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는 완충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5는 사이드레일에 완충수단을 결합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이드레일을 의료용 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100)의 좌우 양측에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의료용 침대(100)의 본체(110)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20)과, 수직봉(40)과 연결되어 펼쳐져 낙상을 방지하거나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부에 수직봉(40)이 각운동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브라켓(50)이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수직봉(40)이 상하로 각운동되게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51)이 형성되고, 수직봉(40)이 수직으로 기립되거나 아랫쪽으로 기울어지게 접혀지도록 수직봉(40)과 핀으로 연결되어 각운동되게 양측에 회전축결합공(52)이 형성되며, 작동공간(51)의 후방에 수직봉(40)이 기립된 상태로 유지되고 받쳐줄 있게 받침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0)은 하부에 브라켓(50)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설치홈(31)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기립된 수직봉(40)이 고정되거나 수직봉(40)이 아랫쪽으로 기울어지게 접혀지도록 해제시키는 록킹장치(32)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장치(32)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작동과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완충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로,
상기 하부프레임(20) 또는 상부프레임(30)에 고정설치된 브라켓(50)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록킹장치(32)를 이용하여 수직봉(40)이 각운동될 수 있게 해제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0)을 눌러 아랫쪽으로 하강하면서 접을 때 수직봉(40)을 지속적으로 누르면서 안정적으로 수직봉(40)과 상부프레임(30)이 서서히 하강하도록 도와주고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완충수단(60)이 구성된다.
도 5는 사이드레일에 완충수단을 결합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완충수단(60)은 도 5와 같이 상부프레임(30)에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부프레임(20) 또는 상하부프레임(30)(20)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61)와 수직봉(40)을 가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각운동되는 수직봉가이드부(6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61)는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게 상부에 결합핀(70)이 삽입되도록 핀결합공(61a)이 형성되고, 일측에 축핀(71)이 삽입될 수 있게 제1힌지연결부(61b)가 형성되며, 하부에 수직봉(40)에 의해 접혀진 수직봉가이드부(62)가 면접촉되도록 하여 수직봉(40)과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이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간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경사면(61c)이 삼각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봉가이드부(62)는 일측에 축핀(71)으로 상기 제1힌지연결부(61b)와 결합되어 축핀(71)의 중심에서 각운동될 수 있도록 제2힌지연결부(62a)가 형성되고, 단부에 환봉으로 형성된 수직봉(40)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호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안내면(62b)이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연결부(61b) 또는 제2힌지연결부(62a)에는 수직봉가이드부(62)가 접혀지거나 펼져지게 각운동되고 원 상태로 복원 및 완충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스프링(63)이 설치되는 스프링설치홈(61d)(62c)이 형성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완충수단(60)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100)의 사이드레일(10)은 낙상으로부터 환자를 물리적으로 보호함과 더불어 하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30)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의 작동상태도로,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완충수단(60)을 구비하여 상부프레임(30)의 일측단부에 구성된 록킹장치(32)를 이용해 기립된 수직봉(40)이 아랫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부프레임(30)이 접어질 수 있게 상부프레임(30)을 잡고 아랫쪽으로 누르면,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고정설치된 완충수단(60)의 수직봉가이드부(62)가 수직봉(40)을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므로 상부프레임(30)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현상이 없이 완충수단(60)의 스프링(30)에 의해 완충기능이 제공되면서 서서히 아랫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신체의 일부가 근처에 있을 경우 신체의 일부를 이동시키고 재차 상부프레임(30)을 눌러 접혀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 중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작동시키면, 상부프레임(30)을 잡고 수직봉(400이 수직으로 기립되는 도중에 멈추더라도 완충수단(60)의 스프링(30)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아랫쪽으로 하강하는 현상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약간의 개선점으로 형성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으로,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선점에 대하여 실시한 동등한 변화 또는 등가의 변화,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이드레일
20: 하부프레임
30: 상부프레임
31: 설치홈 32: 록킹장치
40: 수직봉
50: 브라켓 51: 작동공간
52: 회전축결합공 53: 받침부
60: 완충수단
61: 고정부 61a: 핀결합공
61b: 제1힌지연결부 61c: 스토퍼경사면
61d: 스프링설치홈 62: 수직봉가이드부
62a: 제2힌지연결부 62b: 안내면
62c: 스프링설치홈 63: 스프링
70: 결합핀 71: 축핀
100: 의료용 침대 110:본체
20: 하부프레임
30: 상부프레임
31: 설치홈 32: 록킹장치
40: 수직봉
50: 브라켓 51: 작동공간
52: 회전축결합공 53: 받침부
60: 완충수단
61: 고정부 61a: 핀결합공
61b: 제1힌지연결부 61c: 스토퍼경사면
61d: 스프링설치홈 62: 수직봉가이드부
62a: 제2힌지연결부 62b: 안내면
62c: 스프링설치홈 63: 스프링
70: 결합핀 71: 축핀
100: 의료용 침대 110:본체
Claims (4)
- 의료용 침대(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20)과;
하부에 설치홈(31)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록킹장치(32)가 구성된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하부 또는 하부프레임(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며,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51)이 형성되고, 양측에 회전축결합공(52)이 형성되며, 작동공간(51)의 후방에 받침부(53)가 구성된 브라켓(50)과;
수직으로 기립되거나 아랫쪽으로 기울어져 접혀지게 각운동되도록 상기 브라켓(50)의 회전축결합공(52)에 핀으로 연결된 수직봉(40)과;
상기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40)에 슬라이딩되어 접혀지거나 펼져지게 구성된 완충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60)은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61)와 수직봉(40)을 가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수직봉가이드부(6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61)는 상부에 결합핀(70)이 삽입될 수 있게 핀결합공(61a)이 형성되고, 일측에 축핀(71)이 삽입될 수 있게 제1힌지연결부(61b)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가이드부(62)는 일측에 상기 제1힌지연결부(61b)와 결합되어 축핀(71)을 중심으로 각운동될 수 있게 제2힌지연결부(62a)가 형성되고, 단부에 수직봉(40)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딩되게 안내면(62b)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연결부(61b) 또는 제2힌지연결부(62a)에는 수직봉(40)에 의해 수직봉가이드부(62)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각운동될 수 있게 스프링(63)이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삽입홈(61d)(6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1)의 하부에는 수직봉(40)에 의해 접혀진 수직봉가이드부(62)가 면접촉되도록 하여 수직봉(40)과 상부프레임(30) 또는 하부프레임(20)이 근접된 상태로 유지되고 서로 간에 접하지 않도록 이격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경사면(6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62b)은 환봉으로 형성된 수직봉(40)에 부합하여 면접촉될 수 있게 호형으로 함몰되게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1266A KR20240069994A (ko) | 2022-11-14 | 2022-11-14 |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1266A KR20240069994A (ko) | 2022-11-14 | 2022-11-14 |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9994A true KR20240069994A (ko) | 2024-05-21 |
Family
ID=9132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1266A KR20240069994A (ko) | 2022-11-14 | 2022-11-14 |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9994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279Y1 (ko) | 2006-06-09 | 2006-09-19 |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KR20210031228A (ko) | 2019-09-11 | 2021-03-19 | 표박일 |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보강장치 |
-
2022
- 2022-11-14 KR KR1020220151266A patent/KR2024006999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279Y1 (ko) | 2006-06-09 | 2006-09-19 |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KR20210031228A (ko) | 2019-09-11 | 2021-03-19 | 표박일 |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보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04729B2 (en) | Matched footrest rack for folding seat | |
AU2008362048B2 (en) | An extension ladder | |
WO2007088219A1 (es) | Mejoras del montaje de palas de atril en butacas | |
JP3443577B2 (ja) | 折畳み式卓球台 | |
KR940702244A (ko) |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Multi-level folding stage) | |
KR102347327B1 (ko) | 사이드 레일용 댐퍼 및 댐퍼가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 |
US9980583B2 (en) |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 |
ES2972624T3 (es) | Ménsula de soporte articulado | |
WO2014166622A1 (en) | Furniture unit, convertible from writing desk to bed and vice versa | |
US9738116B1 (en) |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 |
KR20240069994A (ko) | 완충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
KR102370475B1 (ko) |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 |
KR101554111B1 (ko) |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 |
KR100840334B1 (ko) | 강의용 책상 | |
US4483027A (en) | Foldable bunk bed assembly | |
US20180177290A1 (en) |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 |
KR101449281B1 (ko) | 침대의 절첩식 사이드레일 | |
KR200367636Y1 (ko) | 페달식 도어스토퍼 | |
JP2007186974A (ja) | 折畳み式脚立 | |
KR101297844B1 (ko) | 접이식 힌지장치 | |
KR200426279Y1 (ko) | 감속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 |
CN210727263U (zh) | 一种电梯内可休息乘坐的挂椅 | |
KR20140120442A (ko) | 이동식 접이 침대 | |
RU128083U1 (ru) | Защита от опрокидывания для складной кушетки | |
KR20240094370A (ko) | 회전기능이 보강된 절첩식 의자 일체형 침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