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407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407A
KR20240069407A KR1020220150880A KR20220150880A KR20240069407A KR 20240069407 A KR20240069407 A KR 20240069407A KR 1020220150880 A KR1020220150880 A KR 1020220150880A KR 20220150880 A KR20220150880 A KR 20220150880A KR 20240069407 A KR20240069407 A KR 2024006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driving
moving hanger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구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9407A/ko
Priority to PCT/KR2023/018138 priority patent/WO2024101971A1/ko
Publication of KR2024006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의류를 흔들 수 있는 무빙행어를 구동하면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팀과 열풍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의 살균, 구김제거, 탈취, 건조 등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근자에는 의류를 물에 담궈 세제로 세탁하지 않아도,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의류관리기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에 고온의 공기(열풍)와 스팀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상기 의류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상기 의류의 구김도 제거하는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상단을 거치하여 상기 의류를 수용한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높이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복수의 의류도 너비방향을 따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내부에 거치하는 구성(이하, 무빙행어)이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할 때 상기 의류를 무빙행어로 흔들 수 있어, 의류의 먼지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무빙행어는 의류처리장치의 수용공간 상단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 및 구동속도에 따라 상기 의류가 흔들리는 정도 및 흔들리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각 시점에 따라 최적의 형태로 흔들어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다양한 무빙행어의 구동방식을 고안하였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흔드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1-016611A호 참조)
상기 의류가 많이 흔들리면 흔들릴수록 상기 의류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나 함유된 수분이 더 빨리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무빙행어는 항상 최고 출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도1(a)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가 과도하게 빨리 움직이는 경우 상기 무빙행어에서 발생하는 가진력은 상기 의류의 상단에만 전달되고, 상기 의류의 하부는 상기 무빙행어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여 충분한 진폭으로 진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의 하부는 털리는 효과가 경미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상부와 하부의 변위차가 커 옷감이 늘어나거나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도1(a)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는 상기 의류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상기 무빙행어에서 발생한 진동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최적속도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된 의류는 초기에는 물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 가장 무거운 상태일 수 있다. 무거운 의류는 관성력이 크므로 무빙행어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열풍이 공급되면서 상기 의류에서 수분이 증발해 감에 따라 상기 의류의 무게는 점점 가벼워질 수 있다. 가벼워진 의류는 관성력도 그만큼 약해지기 때문에 무빙행어에 상대적으로 쉽게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의 관성력 변화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를 흔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가장 무거운 상태로 추정되는 초기에는 무빙행어의 구동속도를 최대속도(V1-1)로 구동하고, 상기 열풍으로 수분이 건조되거나 무빙행어에 의한 진동으로 수분이 이탈함으로써 의류가 가벼워지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구동할 수 있다.(V1-2,3, V2)
이로써, 무빙행어를 무조건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는 것보다 의류의 손상도 막으면서 의류 전체에 털이력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와 길이, 종류 및 재질 등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도록 구비되지 않는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 및 길이, 재질 등을 직접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류의 상태에 맞추어 무빙행어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지 못하고,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획일화된 무빙행어 구동방식을 취한다.
다시말해,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와 길이, 재질 등에 따라 무빙행어에 의해 움직이는 형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빙행어를 의류의 상태에 맞게 구동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도2는 무빙행어를 구비한 다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무빙행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거치된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를 리프레쉬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기를 예열하는 예열단계(C1)과,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C2), 상기 공급된 스팀이 의류에 투입되도록 상기 스팀 공급을 중단하는 대기단계(C3), 상기 의류의 표면온도를 낮추고 수용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냉각단계(C4), 히터 또는 압축기를 구동하여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C5)로 구동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에 물을 투입하여 의류를 세탁하지 않는 이상, 상기 무빙행어는 스팀단계(C2)까지는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는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면서 의류가 상기 무빙행어에서 이탈할 경우, 상기 의류가 스팀공급구를 막아 상기 의류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열풍 공급 전 뿐만 아니라 스팀 공급 전에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의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와 길이, 재질을 직접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류의 상태에 적합한 스팀의 공급방식, 분사량을 조절하지 못하고, 상기 열풍의 공급량, 공급시간을 조절하지도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무빙행어는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움직이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의 하중센서 등이 설치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무빙행어의 구동부하를 통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무빙행어의 속도에 따라 의류가 회절하는 형태가 변하거나, 정상파 등이 발생할 때 마다 진동력이 가변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정확하게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길이 및 재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어, 거치된 의류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으로 리프레쉬 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의류를 흔드는 무빙행어를 통하여 연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감지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으로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감지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스팀공급, 열풍 공급의 방식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선밀도, 친수성의 정도, 재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선밀도, 친수성의 정도,재질,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무빙행어의 구동속도, 스팀분사, 열풍공급의 방식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의류는 무빙 행어의 움직임에 따라 회절 또는 휨이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무빙 행어의 속도에 따라 의류의 진동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의류가 진동하게 되면 진동 부위의 관성에 의해서 무빙 행어에 반작용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무빙 행어 구동 모터의 부하 토크로 작용하게 된다.
즉, 의류의 진동 특성을 결정하는 변수 (속도, 의류 길이 등)에 따라 모터에서 측정되는 부하 토크의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포량만을 감지하고 싶다면, 의류의 무게를 제외한 진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최대한 배제해야 한다.
의류는 특정 속도에서 정상파가 발생하고, 그 외의 속도에서는 비정상파로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 특성은 의류의 길이에 의해 달라지므로 포량 감지를 위해서는 이러한 길이에 의한 진동 특성을 배제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무빙행어를 저속으로 구동하여, 의류에 회절 또는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길이에 의한 변수가 진동 특성에 반영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가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본주파수(주기) 보다 낮게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기본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정지상태에서 주파수를 상승시켜 구동하며 상기 기본주파수를 감지하고, 상기 기본주파수 이하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과 상기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때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더 높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과 상기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때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의류에 상기 스팀 또는 상기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기계실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스팀의 분사량이 많거나 또는 상기 스팀의 분사시간이 더 길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열풍의 공급량 또는 상기 열풍의 공급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감지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스팀 또는 열풍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팀발생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본주파수(주기) 보다 낮게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무빙행어를 더 빠르게 구동하여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낮게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낮게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최적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와 가까운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와,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로 일정시간 구동하고,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로 일정시간 구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되,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2개 이상의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시간 동안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1공진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시간 동안 의류가 다른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2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에 기준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에 거치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되,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이 차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속도는 상기 구동단계에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속도 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구동단계의 지속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스팀발생기의 구동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간 또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길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의류를 흔드는 무빙행어를 통하여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지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최적으로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감지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스팀공급, 열풍 공급의 방식을 최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선밀도, 친수성의 정도, 재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치된 의류의 선밀도, 친수성의 정도,재질,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무빙행어의 구동속도, 스팀분사, 열풍공급의 방식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무빙행어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상기 무빙행어가 이너케이스에서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상기 무빙행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상기 무빙행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무빙행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상기 무빙행어가 의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가 의류의 부하정보를 감지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무빙행어가 구동할 때 의류가 진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무빙행어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때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공진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의류를 흔드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의류의 길이가 달라질때 진동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코스를 수행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코스를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을 감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을 감지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을 감지하는 다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과 동일한 높이와 너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외부에 시각적, 소리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전방에 의류가 인출입하는 개구부(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도어(1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옷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안착되어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무빙행어(10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측 상부면에 노출되어 상기 옷걸이부가 거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빙행어(100)의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무빙행어(100)에 상기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는 수용공간(21) 내부에서 공중에 부유된 상태에서 높이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공간(21)에 거치된 의류는 고르게 열풍과 스팀에 노출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11)의 내면에 결합되어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도어(11)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11) 내면에 고정된 의류를 도어(11)의 내면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의류의 양측면에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1)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이너케이스(2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여 응축하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이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50)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생성된 열풍과 스팀공급부(50)에서 생성된 스팀에 노출되어 탈취 및 살균, 구김제거,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의 전방에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31)와, 상기 순환덕트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배수탱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1)와 배수탱크(32)는 상기 기계실(3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급수원이나 하수구 근처에 배치되지 않아도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31)와 배수탱크(32)를 필요할 때마다 착탈하여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1)와 배수탱크(32)는 상기 기계실(30)의 너비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의류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물품 등을 수용하는 드로워(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3)는 상기 기계실(30)에서 인출 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다리미 등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부에 별도의 선반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6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양측면에 같은 높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6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내측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기계실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계실(30)은 이너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80)과, 스팀공급부(5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90)는 이너케이스(20)의 유입구와 토출구에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의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90) 내부에는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수용공간(2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부가 일부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별도의 커버가 결합되어 내부 유로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9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와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91)와, 상기 유입덕트(91)와 이격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와 연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92), 상기 유입덕트(91)와 상기 배출덕트(92)를 연결하고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이동덕트(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80)은 상기 덕트(9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81)와, 상기 증발기(8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응축기(82)와, 상기 증발기(81)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함으로써 가열하여 상기 응축기(82)로 공급하는 압축기(8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응축기(82)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증발기(81)로 전달하는 팽창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81)와 상기 응축기(82)는 상기 이동덕트(93)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압축기(82)와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덕트(9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81)와 상기 응축기(83)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증발기(81)는 상기 응축기(83) 보다 상기 유입덕트(9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응축기(83)는 상기 증발기(81) 보다 배출덕트(9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상기 덕트(9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상기 덕트(90)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9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내부에 히터 등으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1)와, 상기 스팀발생기(51)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하는 스팀노즐(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52)은 상기 이너케이스(2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덕트(9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51)는 상기 덕트(9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스팀노즐(52)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상기 스팀노즐(52)과 상기 스팀발생기(51)를 연통하는 회수관(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관(54)은 상기 스팀노즐(52)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응축된 물을 다시 스팀발생기(51)로 회수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52)은 상기 스팀발생기(51)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스팀은 밀도 차에 의해 저절로 상기 이너케이스(20)로 공급되고,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기(51)로 회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52)은 단순한 호스가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스팀.공기, 물 중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50)는 상기 스팀발생기(51)와 상기 스팀노즐(52)을 연결하는 스팀관(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51)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관(53)을 따라 상기 스팀노즐(52)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스팀공급부(5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상기 기계실(30) 전방에 안착되는 물탱크(31)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공급부(5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상기 물탱크(31)에서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61)과, 상기 급수관(61)의 물을 상기 스팀공급부(50)로 공급하는 공급관(63)과, 상기 급수관(61)에 물을 상기 공급관(63)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1)는 상기 덕트(9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급수펌프(62)는 상기 덕트(9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63)은 상기 스팀발생기(51)에 연통되어 상기 스팀발생기(51)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급관(63)은 상기 스팀노즐(52)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팀노즐(52)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급수부(60)는 상기 스팀노즐(52)에 물을 직접 공급하여 회수관(54)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51)에 간접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이로써, 유로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은 상기 증발기(81)에서 응축된 물을 상기 배수탱크(32)에 수집하는 배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70)는 상기 덕트(90)의 하부면과 연통하여 상기 덕트(90) 하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덕트(9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71)과, 상기 배출관(71)으로 배출되는 물을 배수탱크(32)에 공급하는 배수펌프(72)와, 상기 배수펌프(72)에 공급된 물을 상기 배수탱크(32)로 공급하는 배수관(7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부(70)는 상기 덕트(90)와 상기 배수탱크(32)를 연통하여 상기 배수탱크(32)의 물을 상기 덕트(90) 내부로 재안내는 회수덕트(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수탱크(32)가 만수위라도 상기 배수탱크(32)에 수집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살균, 탈취, 구김제거, 건조 등을 수행하는 의류의 리프레쉬 행정이 수행되면 상기 기계실(30)을 통해 열풍과 스팀을 적절한 시기에 상기 이너케이스(20)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0)에서 배출된 수분을 응축하여 배수탱크(32)로 수집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의류 또는 옷걸이부(900)가 거치되는 걸이부(700)와, 상기 걸이부(700)와 결합되어 상기 의류의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동력전달부(400)와,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연결하는 연결부(600)와, 상기 연결부(600)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는 의류가 수용공간(21)에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40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 상기 구동부(2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연결부(600)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바(6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바(630)는 상기 구동부(600)와 스카치 요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600)까 회전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연결바(630)는 길이방향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연결바(630)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210)와, 상기 모터부(210)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축(240)과, 상기 동력축(24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230)와, 상기 전달부(230)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축(240)의 회전운동을 일정 궤적을 따라 운동하는 것으로 변형하는 변위생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전달부(230)는 일단이 상기 동력축(2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2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동력축(240)과 함께 회전하는 전달막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300)는 상기 전달막대(236)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바(630)에 결합되는 편심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동력축(240) 보다 더 긴 궤적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바(630)은 상기 편심축(310)이 삽입되는 슬릿(63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슬릿(631)은 상기 연결바(630)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슬릿(631)은 상기 연결바(63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631)의 길이는 상기 편심축(310)의 회전반경(R) 보다 2배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슬릿(631)의 폭은 상기 편심축(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무빙행어의 동작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축(240)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동력축(240)을 기준으로 회전반경(R)을 따라 궤적을 그리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한다.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동력축(240)을 회전하면서 상기 동력축(240)의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바(630)에 구비된 슬릿(631)이 상기 편심축(310)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되고, 상기 연결바(630)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축(310)은 더 연속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동력축(240)의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바(630)에 구비된 슬릿(631)이 상기 편심축(310)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되고, 상기 연결바(630)는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10)이 더 회전하면 상기 도6(a)의 위치와 도6(b)의 위치를 반복하게 되고, 상기 연결바(630)는 좌우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결바(630)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도 좌우로 왕복이동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결합된 걸이부(700) 및 상기 걸이부(700)에 거치된 의류도 흔들릴 수 있다.
상기 편심축(310)이 1회전하면 상기 연결바(630)는 좌우로 1회 왕복이동할 수 있고, 이동방향이 2번 변경될 수 있다.
도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새로운 실시예의 무빙행어(100)도 상기 이너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옷걸이(900)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 하부에는 상기 옷걸이(900)가 안착되거나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움직이면 상기 걸이부(70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걸이부(700)에 거치된 옷걸이(900)가 흔들리면서 상기 의류가 털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결합되는 걸이부(700)도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대응되는 개수 만큼 다량의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거치되어 리프레쉬 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20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스팀이나 열풍에 노출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0)는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1)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200)에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21)에 하단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길이가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 관 형상 또는 판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을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상기 구동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부(400)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움직이며, 상기 구동부(200)의 하중도 상대적으로 무겁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지지부(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형상이 가변되기 어려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지부(800)에 안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는 동력으로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충분한 변위로 흔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변위를 생성하는 변위생성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300)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300)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더 큰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편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은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일정범위를 왕복하여 움직이게 하는 변위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200)가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에서 생성되는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전달되어 상기 동력전달부가 일정 범위를 왕복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동력전달부(400)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왕복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직선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범위에서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정위치에서 좌우로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거치된 의류도 좌우로 왕복회전할 뿐, 좌우로는 왕복이동 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0)로 인해 의류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무게 중심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작동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급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음발생도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변위생성부(300)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인 회전 에너지를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왕복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왕복회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변위생성부(300)와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변위생성부(300)와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상기 이너케이스(20) 보다 상부에서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상기 무빙행어(1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400) 중 어느 하나만 왕복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동력전달부(400)만 회전하게 되면,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에 거치된 의류는 다른 동력전달부(400)에 거치된 의류에 충돌하여 의류가 손상되거나, 상기 무빙행어(1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모두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동일한 각도로 일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400)끼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100)에서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은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모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이 모든 동력전달부(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20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동력전달부(40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동부(200)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빙행어(100)는 하나의 구동부(200)가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구동부(2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변위생성부(300)와 상기 왕복회전부(400)가 모든 동력전달부(400)에게 각각 전달하도록 연결되면, 상기 변위생성부(300) 및 상기 왕복회전부(400)의 배치 및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무빙행어(100)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400) 중 일부에만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변위생성부(3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일부의 동력전달부(400)에만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왕복회전부(500)에 구성은 간단해지므로 동력을 전달하는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100)는 특정 동력전달부(400)에 전달된 동력을 다른 동력전달부(400)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부(6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동력전달부(400)가 회전하면 그와 인접하거나 이격된 동력전달부(400)가 모두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을 복수의 동력전달부(400) 중 어느 하나에만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600)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된 동력을 나머지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300) 또는 상기 왕복회전부(400)는 하나의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하나의 동력전달부(400)에 집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00)는 특정 동력전달부(400)에 전달된 동력을 모든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강체로 구비되어 모든 동력전달부(4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모든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연결부(600)로 인해 같은 방향, 같은각도로 일시에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무빙행어(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나의 구동부(200)로 복수의 동력전달부(400)를 동시에 또는 일시에 같은 각도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도8은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와,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방향이 반복적으로 바뀌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왕복회전부(500)와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500)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500)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단수링크(singular lin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왕복전달부(500)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연결부(600)를 상기 지지부(800) 보다 상부에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이너케이스(20) 내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가 단수링크로 구비되면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연결부(600)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수링크는 상기 왕복회전부(5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변위생성부(300) 또는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왕복회전부(500)의 후방 또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5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모터(210)와,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동력축(240)과, 상기 동력축(240)과 상기 회전축(210)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축(240)에 전달하는 전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2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모터(210)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왕복 회전시키는 적정주기 보다 너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의 RPM을 낮추면 상기 모터(210)의 출력을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전달부(230)는 상기 회전축(220)의 출력을 그대로 동력전달부(400)에 전달하되, 상기 회전축(220)의 RPM을 낮추어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230)는 상기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22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달부(230)는 상기 회전축(220)의 RPM 보다는 느리게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220)의 토크는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240)은 상기 전달부(23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30)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회전시키는 왕복레버(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회전중심이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되는 리브 또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일부의 왕복레버(510)는 상기 전달부(23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상기 전달부(230)가 상기 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면 일정각도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왕복레버(510)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레버(5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왕복레버(510)는 연결부(600)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복수의 왕복레버(51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왕복레버(510) 중 어느 하나의 왕복레버(510)라도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600)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왕복레버(510)가 동시 및 일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 및 왕복레버(510)는 상기 지지부(8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10) 및 전달부(230)도 상기 지지부(8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무빙행어(100)가 이너케이스(20)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걸이부(7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 마다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4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 및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60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400) 또는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5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60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400) 또는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500) 전체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왕복레버(510)에 결합되는 지지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410)은 상기 지지부(8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800)의 상부 또는 이너케이스(20)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보조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걸이부(70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상기 지지축(41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축(410)이 상기 왕복레버(51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된 보조지지부(420)도 회전하여 상기 걸이부(700)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왕복회전하는 메인레버(511)와 상기 메인레버(511)에서 연결부(60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보조레버(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레버(511)는 단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00)에서 동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모터(210)는 상기 지지부(800)에 결합되는 수직모터(211)와, 상기 수직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회전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230)는 상기 수직회전축(22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축(221)과 함께 회전하는 동력풀리(231)과, 상기 동력축(24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축(240)을 회전시키는 전달풀리(232)와, 상기 동력풀리(231)와 상기 전달풀리(232)의 외주면 중 일부를 연결하는 벨트(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230)는 상기 동력축(240)과 상기 전달풀리(2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지지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지지부(224)는 상기 전달풀리(232)가 상기 동력풀리(231)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800)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잇다.
상기 동력축(240)은 상기 메인레버(511)의 양단 중 일단에 상기 회전축(220)에서 전달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240)은 후술하는 변위생성부(300)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레버(511)를 상기 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메인레버(511)의 양단 중 상기 동력축(240)과 연결되지 않은 단부와, 상기 보조레버(512)의 일단을 연결하는 링크바(610,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레버(512)는 상기 지지축(4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410)과 결합된 부분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바(6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상기 메인레버(511)의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512)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직선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레버(511)의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512)의 일단은 상기 링크바(610) 또는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단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레버(511)와 상기 보조레버(512)를 각각의 지지축(410)을 중심으로 동시 및 일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는 상기 지지부(800) 중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수용공간(22)에 노출시키는 관통홀(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면(22)에 상기 관통홀(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23)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3)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 또는 이너케이스(2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유지시키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면(22)에 불필요한 충격이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무빙행어(1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왕복레버(510)에 결합되는 지지축(410)과,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21)에 노출되는 보조지지부(420)와, 상기 보조지지부(420)에 결합되어 상기 옷걸이부(900) 또는 의류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걸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410)은 길이가 직경 보다 더 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왕복레버(510)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410)은 상기 보조지지부(420) 보다 직경이 훨씬 작게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지지부(800)를 더 작은 면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의 상부로 수용공간에 공급된 열풍이나 스팀이 누출되는 가능성을 더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상기 지지축(410) 보다 단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410) 보다 더 길이가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보조지지부(420)는 상기 걸이부(700) 및 옷걸이부(900)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강성과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지지축(410)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200)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810)는 금속판으로 구비되어 강성 및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40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구동부(200) 및 왕복회전부(5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와 상기 캐비닛(10)의 상부 사이에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방바디(812)와, 상기 연장바디(821)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안착되도록 연장되는 안착바디(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지지축(410)이 관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결합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82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플레이트(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880)는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외주면을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88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홀(882)과, 상기 수용홀(882)에서 너비가 더 크게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단차(883)와, 상기 연장단차(883)에서 연장되어 지지플레이트(810)와 마주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8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882)은 상기 지지축(410) 또는 상기 보조지지부(4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열풍 또는 공기가 상기 축결합부(82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차(883)는 상기 보조플레이트(880)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홀(882)과 상기 옷걸이부(900)의 충돌이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820)는 상기 축결합부(820)에 안착되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왕복레버(510)와 연결부(60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에 충돌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8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8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861)과, 상기 안착판(861)을 관통하여 상기 축결합부(8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안착홀(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은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메인레버(511)와, 상기 메인레버(511)에서 상기 연결부(600)를 통해 상기 동력을 전달받는 보조레버(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레버(511)와 상기 보조레버(512)는 각각의 지지축(41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41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상기 메인레버(511)와 상기 보조레버(512)에 안착되어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바디(611)과, 상기 링크바디(611)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레버(511)와 상기 보조레버(5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후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상기 메인레버(511)의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512)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후크(6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베어링(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가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레버(511) 또는 보조레버(512)는 좌우로 왕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500)는 상기 지지축(410) 또는 상기 왕복레버(5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베어링(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베어링(530)은 상기 지지축(41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축결합부(6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510)는 상기 지지베어링(5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베어링(530)은 복수개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볼베어링 또는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860)는 상기 지지베어링(53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베어링(530)의 외주면에서 열풍이나 수분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플레이트(880)도 상기 지지베어링(5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베어링(530)의 외주면에서 열풍이나 수분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무빙행어(100)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레버(511)는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바(610)와 결합되는 메인바디(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1)은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4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메인 중심홀(511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1)는 일단에 구동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수신홀(5112)이 구비될 수 있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바(61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메인전달홀(5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1)은 상기 중심홀에서 상기 메인수신홀(5112)으로 연장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5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5111)는 상기 단착부(51140로인해 상기 메인바디(5111)의 일단 또는 상기 메인전달홀(5113)이 상기 메인중심홀(5115) 보다 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중심홀(5115)의 상부에 배치된 동력축(240) 또는 후술하는 편심축(310)이 상기 전달부(230)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레버(512)는 상기 지지축(410)에 결합되는 보조중심홀(5125)과, 상기 보조중심홀(5125)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바(610)와 결합하는 보조전달홀(5123)을 구비하는 보조바디(5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디(5121)는 상기 메인바디(5111) 보다 길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서 상기 메인전달홀(5113)까지의 거리는 상기 보조종심홀(5125)에서 상기 보조전달홀(5123)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상기 보조전달홀(5123)과 상기 메인전달홀(5113)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조레버(512)와 상기 메인레버(5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동력축(240)이 상기 메인수신홀(5112)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축(240)을 직접 회전시켜 상기 메인수신홀(5112)을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동력축(240)이 회전만으로는 상기 메인수신홀(5112)을 상기 메인중심홀(5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기에는 충분한 변위가 생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무빙행어(100)는 상기 동력축(24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축(240)의 회전반경 보다 큰 변위를 생성할 수 있는 변위생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300)는 상기 동력축(240)의 제자리 회전운동을 일정 범위를 왕복하여 움직이는 변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운동이 상기 왕복회전부(500)에 전달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왕복회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변위생성부(300)는 상기 동력축(240)에 연장되어 일정반경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편심축(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10)의 직경은 상기 메인수신홀(5112)의 직경 또는 너비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메인수신홀(5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편심축(310)이 회전하는 일정반경은 상기 메인수신홀(5112)의 너비 또는 직경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편심축(3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수신홀(5112)은 상기 편심축(310)에 밀려 상기 메인중심홀(5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편심축(310)이 특정방향(x)으로 회전하면 상기 메인바디(511)의 메인수신홀(5112)도 일정방향(y)를 따라 왕복회전하고, 그 결과,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홀(5115)도 메인수신홀(5112)과 같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메인전달홀(5113)은 상기 일정방향과 반대방향(z)으로 왕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중심홀(5115)과 함께 상기 지지축(410)이 왕복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왕복회전할 수 있고, 상기 메인전달홀(5113)도 왕복회전하여 상기 링크바(610)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조레버(521)도 보조중심홀(5125) 및 상기 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레버(521)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도 왕복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지지축(410)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전달홀(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5125)은 상기 지지축(410)에 나사선 등을 이용하여 직접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지지축(410)은 상기 메인전달홀(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5125)을 그대로 관통한 뒤, 상기 지지축(410)을 상기 메인전달홀(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5125)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축(410)의 나사선에 결합되는 전달결합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결합부(415)로 인해 상기 지지축(410)과 상기 왕복레버(51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410)과 왕복레버(51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 무빙행어(100)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레버(511)에서 상기 메인수신홀(5112)이 편심축(310)에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중심홀(5115)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1번)
상기 메인수신홀(5112)이 왼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메인중심홀(511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2번) 이 과정에서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수신홀(5113)은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링크바(610)는 상기 메인수신홀(5113)이 이동함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3번)
상기 링크바(61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보조레버(512)에서 보조수신홀(5123)이 상기 보조중심홀(512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크바(610)가 상기 복수의 보 조레버(51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모든 보조레버(5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4번)
상기 보조레버(5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보조중심홀(5125)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5번)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레버(511)에서 상기 메인수신홀(5112)이 편심축(310)에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중심홀(5115)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1번)
상기 메인수신홀(5112)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메인중심홀(511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2번) 이 과정에서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수신홀(5113)은 상기 메인중심홀(511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링크바(610)는 상기 메인수신홀(5113)이 이동함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3번)
상기 링크바(61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보조레버(512)에서 보조수신홀(5123)이 상기 보조중심홀(51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크바(610)가 상기 복수의 보 조레버(51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든 보조레버(5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4번)
상기 보조레버(5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보조중심홀(5125)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5번)
이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메인레버(511)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회전하여 상기 메인레버(511)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을 왕복회전하고, 상기 링크바(610)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좌우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보조레버(512)를 왕복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보조레버(512)에 결합된 동력전달부(400)를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바(610)는 강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레버(512)와 상기 메인레버(511)는 상기 지지축(410)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이격된 곳에서 상기 링크바(6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바(610)로 인해 상기 보조레버(512)와 상기 메인레버(511)는 같은 각도만큼 왕복회전할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동력전달부(400)는 같은 각도로 동시 및 일시에 회전할 수 있고, 왕복회전하는 각도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메인레버(511)는 상기 보조레버(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레버(512)는 상기 메인레버(511)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레버(511)에 연결된 연결바(610)의 양쪽에 부하가 고르게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인레버(511)의 동력을 상기 보조레버(512)에 전달할 수 있다면, 메인레버(511)와 보조레버(512)는 어떤 배열 또는 순서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13은 본 발명 무빙행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구동부(200)가 작동하면 상기 왕복회전부(500)에 의해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60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400)들도 다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구동부(200)가 더 작동하면 상기 왕복회전부(500)에 의해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60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400)들도 다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대,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회전할 때 전후 좌우로는 위치변화가 없도록 상기 지지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너비방향을 기준으로는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연장되는 상하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면, 상기 걸이부(7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왕복회전되고, 위치이동은 없을 수 있다.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부(900)는 상기 걸이부(700)에 거치되는 고리부(910)와 상기 고리부(910)에 결합되는 안착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950)의 표면에는 의류가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표면부(9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950)는 상기 고리부(91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부(900)는 상기 안착부(950)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걸이부(70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옷걸이부(900)는 상기 고리부(910)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950)의 좌측은 왼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안착부(950)의 우측은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950)의 좌측이 회전하는 각도(I)는 상기 안착부(950)의 우측이 회전하는 각도(세타)와 동일하게 되고, 상기 안착부(950)의 좌측이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안착부(950)의 우측이 이동하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90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동일하여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더라도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90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동일하여 서로 상쇄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옷걸이부(900)에 가해지는 힘들은 서로 상쇄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900)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력 또는 가진력, 관성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동력전달부(400)에서 발생하는 관성력 등이 최소화되어 상기 무빙행어(100)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 전체에서 진동이나 소음 발생이 급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200)가 최대출력으로 구동하더라도, 상기 무빙행어(100)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상기 옷걸이부(900)에 거치된 옷의 표면들의 각각은 좌우로 회전하며 털어지므로, 털이력은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수용공간(21)의 상부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상하 좌우로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도 상하 좌우로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회전중심이 고정된 상태에서 1회전 미만으로 일정각도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아무리 빨리 회전하더라도,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이너케이스(20)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발생시키는 진동 및 소음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14는 상기 무빙행어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 상기 스팀발생부(50), 상기 히트펌프시스템(80)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를 건조, 탈취, 살균, 구김제거 등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으로 구성된 다양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에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I)와, 상기 제어부(C)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I)와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캐비닛(10) 또는 도어(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 등에서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무빙행어(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무빙행어(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어부(C)에서 명령을 공급받아 상기 전달부(300)를 작동시켜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직접 구동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200)의 정보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전류, 전압과 같은 전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전달하는 전류검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 또는 상기 연결부(6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전달하는 위치감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270)는 상기 회전축(210) 및 상기 동력축(240)의 회전각도 또는 상기 편심축(31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는 제어시스템을 바탕으로 의류의 무게와 길이, 재질, 성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류정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정보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는 리프레쉬(refresh) 코스의 강도, 종류, 시간, 옵션 값 중 하나 이상을 최적화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속도, 스팀발생부(50)의 구동시간과 구동출력, 히트펌프(80)의 구동시간과 구동rpm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속도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rpm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동하는 속도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속도는 상기 의류가 흔들리는 속도 또는 상기 의류의 상단이 흔들리는 속도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된 의류정보에 따라, 의류에 가해지는 기계력, 의류에 공급되는 스팀량과 스팀 노출 시간, 의류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와 열풍의 노출시간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정보와 무관하게 획일화된 코스를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의류를 맞춤형으로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무빙행어(100)에 하중센서 등을 두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고, 이너케이스 내부에 빛, 전파 등을 이용한 레이더센서 또는 상기 위치감지부(270) 등으로 의류의 길이 및 재질, 종류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의류처리장치에 상기 의류정보를 직접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를 설치하면, 생산 및 수리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열풍 및 스팀이 의류 내부에 공급되는 특성상 감지부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면서, 무빙행어(100)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기정보를 상기 제어부(C)가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정보는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면서, 상기 모터부(210)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값, 전력값, 전류 또는 전력의 파형, 진폭, 주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세탁기 및 건조기 등에서는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분석하여 의류의 무게를 연산한다. 이는 세탁기 및 건조기는 수용된 의류가 의류의 종류 및 재질, 길이에 상관없이 드럼 내부에서 덩어리처럼 뭉쳐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시말해, 세탁기 및 건조기는 의류의 상태와 상관없이 상기 의류의 무게 따라 상기 구동부를 회전할 때 필요한 전류값이나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결정되며, 상기 전류값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거의 없다.
그러나, 의류관리기와 같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상기 무빙행어(100)에 상부만 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용공간(21)에 늘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면, 상기 의류는 높이방향을 따라 진동하면서 다양한 파형을 형성하며 진동한다.
다시말해, 의류는 무빙행어(100)의 진동과 독립적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렇게 의류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무빙행어(100)의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폭이나, 진동형태는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값, 전력값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면서 상기 전기정보 만으로 단순하게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게 되면, 신뢰성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는 어떤 길이로 구비되는지에 따라 같은 주파수로 진동하더라도 진동하는 파형이나 진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의류의 무게가 서로 동일하더라도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각 의류가 동일한 주파수로 흔들리더라도 각 의류가 진동하는 파형이나 진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 결과, 구동부(200)의 모터(210)가 같은 속도로 구동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거치된 의류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서로 다르다고 연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느리게 구동하면 상기 의류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체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빙행어(100)가 빠르게 구동하면 상기 의류의 상부는 큰 진폭과 주기로 흔들리기 시작하지만, 상기 의류의 하부는 관성력에 의해 상기 의류의 상부의 진동을 미쳐 따라가지 못하거나 늦게 따라가 상기 의류가 휘어지는 회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무빙행어(1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주파수가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와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영역과 고정되는 영역이 고정되는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지 않을 때와 다른 관성력을 상기 무빙행어(100)에 전달하게 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에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가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속도에 따라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정상파의 배수(n)가 달라지며 진동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의류가 같은 정상파로 진동하더라도 상기 무빙행어(100)에 다른 관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가 달라지게 하는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상기 무빙행어(100)에 구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는 전기정보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정보는 상기 의류의 무게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의 진동특성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의류의 진동특성은 상기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속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200)에서 감지할 수 있는 전기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속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 뿐만 아니라, 상기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속도에 따른 의류의 진동특성 모두 고려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류정보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가 무빙행어로 의류정보를 정확하게 연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상기 무빙행어(100)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동력축(240)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달부(300)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의류를 흔들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왕복 이동한다는 것은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직선 왕복이동하는 것과, 일정각도 왕복 회전운동하는 것과, 진자 운동을 한다는 것과 주기적으로 운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말해, 상기 무빙행어(100)가 어떠한 실시예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무빙행어(100)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전달부(300)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더라도,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걸이부(700)의 이동방향을 1주기마다 2번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부(700)와 상기 걸이부(700)에 옷걸이부(900)를 통해 거치된 의류가 이동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상당한 관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상기 걸이부(7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1회 왕복 주기 동안 2회 상기 관성력을 전달한다.
상기 걸이부(700)가 왕복 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움직이게 하는 부하가 걸리는 것과 별도로, 상기 관성력도 함께 전달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관성력을 주기적으로 전달받을 때 마다, 추가적인 부하가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는 일정주기에 따라 상기 관성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거나 상기 구동부(200)를 통해 수신하는 전기정보에는 상기 걸이부(700)의 운동상태를 알 수 있는 그래프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C)는 상기 전기정보 자체와, 상기 전기정보에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의 관성력을 분석하여 의류의 진동특성을 포함한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에 가해지는 관성력을 감지하여, 상기 걸이부(700)가 왕복이동하는 주기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걸이부(700)가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시점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관성력의 크기와 상기 관성력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의 운동상태도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구동부(200)에서 상기 전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전기정보에서 DC성분과 AC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DC 성분은 일정량의 절대값을 갖는 전기신호로써 상기 구동부(200)를 특정 RPM으로 구동할 때 필요한 부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가 무거울수록 상기 구동부(200)에 더 큰 부하가 필요할 것이므로, 상기 DC 성분은 상기 의류의 무게를 반영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DC 성분을 분석하여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AC 성분은 일정 주기를 갖는 전기신호로써 상기 의류의 진동특성이 반영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과정이나, 상기 걸이부(700)가 운동방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성력을 상기 구동부(200)에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관성력은 상기 AC 성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AC 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진동특성과, 의류의 진동주기 등을 연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AC 성분과 같이 일정 주기를 갖는 경우, 주기적인 그래프에서 2고조파가 신호가 가장 선명하면서, 주기 정보에 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보유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감지된 상기 AC 성분 중에서 2고조파를 우선하여 추출하거나 선별하고, 상기 2고조파를 통해 의류의 진동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길이와 재질에 따라서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특성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특성에서는 상기 의류의 길이 및 상기 의류의 재질과 관련된 의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AC 성분 분석을 통해 분석한 진동특성을 통해 상기 의류의 길이와 재질과 같은 의류 정보까지 연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구동속도를 변경하여 다시 구동부(200)의 전기정보의 변화를 추가적으로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전에 감지된 의류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의류정보를 재연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때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정보의 절대값과, 상기 전기정보의 진동특성을 모두 분석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20) 내부에 긴 의류(L)가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왕복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상기 걸이부(700)가 결합되고, 상기 걸이부(700)에는 옷걸이부(900)가 거치되므로, 상기 옷걸이부(900)에 거치된 의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함께 왕복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에 지지되는 의류를 흔들도록 특 정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특정 주파수로 구동한다는 것은 상기 무빙행어(100)가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무빙행어(100)가 특정 주파수로 구동한다는 것은 실제 의류를 왕복이동시키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주기적으로 특정 주파수로 구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특정주파수로 구동하기 위해 특정속도로 구동할 것이다. 즉, 상기 모터부(210)는 특정 RPM으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특정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무빙행어(100)가 특정 주파수로 구동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낮은 주파수로 구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긴 의류(L)는 상기 동력전달부(400)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의류(L)의 상단은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함께 이동하지만, 상기 동력전달부(400)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의류(L)에는 관성력이 작용하여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의류의 상단보다 뒤쳐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의류(L)의 하단은 상기 의류(L) 중 가장 뒤쳐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동방향을 바꾸기 위해 정지할 때, 상기 의류(L)의 상단은 상기 동력전달부(400)와 함께 정지하지만, 상기 의류 중 하단은 관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기 동력전달부(400) 보다 더 멀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의류의 하단은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빙행어(100) 또는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주파수가 낮아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의 하단이 왕복 이동하는 진폭은 상기 의류의 상단이 왕복 이동하는 진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무빙행어(100) 또는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전 보다 더 빠르게 왕복이동하게 되고, 상기 의류(L)이 발생하는 관성력의 크기는 더 크게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의류의 하단과 상기 의류의 상단의 변위차는 더 커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 전체에서 변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이 상기 무빙행어(100)가 담당해야 하는 추가적인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가 의류에서 받는 부하는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이동방향을 바꿀 때 가장 크게 발생한다.
도16(c)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 또는 상기 구동부(200)가 더 빠른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왕복이동하는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의류의 상부와 하부의 변위차는 의류의 상부와 하부가 이동하는 방향까지 달라지게 한다.
또한, 상기 의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변위차가 점점 더 커지게 되고,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왕복이동하는 변위와 맞물리게 되면, 상기 의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각의 구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의류는 파형을 형성하며 진동하게 된다.
상기 의류가 진동하게 되면, 진동에너지는 상기 무빙행어(100)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부하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가 더 빠른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는 더 많은 파형을 형성하며 진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의류(L)는 전체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의류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구동부(200)가 저속에서 가속되어 구동하면서, 특정속도 이상으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는 전체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달라지게 되어, 의류가 휘어지며 파형을 형성하며 회절할 수 있다.
상기 의류(L)에 회절이 발생한다는 의미는 상기 의류(L) 상에 이동방향 또는 진폭방향이 서로 다른 지점이 발생한다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의류(L)에 회절을 발생시키는 이상의 속도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기준으로 적어도 순간적으로 진동하지 않는 마디(n) 영역과, 상기 무빙행어(100)를 기준으로 이동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가장 크게 진동하는 배(a)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400)가 더 빨리 왕복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에는 더 많은 마디(n)와 배(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가 의류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는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 또는 회절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한다는 것은 의류가 진동할 때 의류 상에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마디(n)의 위치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의류 상에 가장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배(a)의 위치도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도록,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정상파는 상기 무빙행어(100)가 공진주파수의 n배수로 구동할 때 마다 발생한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200)가 특정 속도 구간에 도달할 때 마다 상기 의류는 정상파로 진동하게 되어 의류에서 상기 마디(n)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기 배(a)가 형성되는 영역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서로 진폭 방향이 다를 경우 서로 상쇄되어 상기 무빙행어(100)로 전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 형태가 의류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대부분 상쇄될 수 있고, 상기 무빙행어(100)로 전달되는 진동은 가장 작을 수 있다.
도17은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에 따라 의류의 진동 형태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가 기본주파수 이하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의류(L)는 전체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기본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의류(L)는 영역에 따라 진폭만 상이할 뿐, 이동하는 방향은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기본주파수는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주파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상기 기본주파수 이하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에는 파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의류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속도로서, 상기 제1속도는 상기 무빙행어(100)가 기본주파수로 구동하는 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정지상태에서부터 상기 의류(L)에 회절을 발생시키기 시작할 수 있는 제1속도까지 구동할 때는 상기 의류(L) 전체의 이동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의류의 상단의 진폭과 상기 의류의 하단의 진폭은 다를 수 있지만,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이동방향과 상기 의류 전체의 이동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가 기본주파수 이상으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L)에 회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가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빠른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L)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다.
최소 공진주파수의 n배수에 해당할 때마다 상기 의류는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상기 의류를 정상파로 최초 진동시킬 수 있는 최소 주파수를 최소공진주파수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로 구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제2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는 상기 제1속도 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는 최소공진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제1속도 이상으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L)에 회절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의류(L)는 높이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방향이 달라지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2속도를 구동하면, 상기 무빙행어(100)의 왕복주기가 상기 의류(L)의 공진주파수의 역수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의류(L)는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L)가 정상파로 진동하면, 상기 의류(L)에서 진동이 없는 영역인 마디(n)의 위치는 고정되고, 진폭이 최대 영역인 배(a)의 위치도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200)가 제2속도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L)에서 첫번째 정상파가 발생하면 마디(n)는 하나 형성되며, 배는(a)는 의류의 상단을 포함하여 마디(n) 보다 하나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구동부(200)가 제2속도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는 첫번째 공진주파수(f1)로 흔들리게 되고, 첫번째(n=1)의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L)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는 의류 마다 고유의 특성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 식 (1)
상기 식(1)은 상기 의류(L)가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시킬 수 있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공진주파수를 나타낸다.
상기 공진주파수(f)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진동주기(T) 또는 상기 왕복주기(T)의 역수에 해당한다.
식(1)에서 v는 의류의 장력과 선밀도에 관련된 것으로서 각 의류의 섬유 특성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l은 의류의 길이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 의류(L)에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공진주파수 f는 상기 의류의 길이(l)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의류의 길이(l)가 길어질수록 작아진다.
도17(c)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는 최소공진주파수 보다 2배 더 빠른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가 2배 빨라지게 되어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진동주기가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의류는 첫번째 공진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f2로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2배(n=2)로 구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제3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L)는 상기 의류(L)에서 마디(n)는 2개 존재하며, 상기 배(a)는 3개 존재하는 두번째 정상파(n=2)의 형태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L)가 두번째 정상파(n=2)로 진동할 때 상기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는, 상기 의류(L)가 첫번째 정상파(n=1)로 진동할 때의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의 배수로 결정되면, 상기 의류에 최대진폭이 발생하는 영역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상기 의류의 특정영역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는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의류의 특정영역을 바꿔가며 집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더 강하게 털어낼 수 있다.
도17(d)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3배 빠른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3배로 구동할대,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제4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속도가 첫번째 정상파로 의류가 진동할 때의 속도인 제2속도 보다 3배 빠르게 구동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주기는 1/3로 짧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의류는 공진주파수가 f3으로 진동하면서, 3번째 정상파(n=3)를 형성하며 진동하게 되어, 상기 의류(L)에서 상기 마디(n)는 3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a)는 4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L)가 세번째 정상파(n=3)로 진동할 때 상기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는, 상기 의류(L)가 첫번째 정상파(n=1)로 진동할 때 및 상기 의류(L)가 두번째 정상파(n=2)로 진동할때의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와 모두 달라진다. 또한, 상기 마디(n)와 상기 마디(n)의 간격은 이전보다 좁아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a)의 진폭은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 또는 최소공진주파수 보다 2배 빠른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때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영역을 더 많게 설정하여 고르게 진동시키거나,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영역을 더 적게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도17(e)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 보다 4배 빠른 속도로 구동하게 되어, 상기 구동부(200)가 첫번째 정상파로 의류가 진동할 때 의 제2속도 보다 4배 빠르게 구동하면,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왕복주기가 1/4로 짧아지게 된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4배로 구동할대,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제5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k배(n=k)로 구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k+1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의류는 공진주파수가 f4인 상태로 진동하며, 상기 의류(L)는 4번째 정상파(n=4)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의류(L)는 상기 마디(n)가 4개 형성되며, 상기 배(a)가 5개 형성되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L)가 네번째 정상파(n=4)로 진동할 때 상기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는, 상기 의류(L)가 첫번째 정상파(n=1)로 진동할 때 및 상기 의류(L)가 두번째 정상파(n=2)로 진동할때, 상기 의류(L)가 세번째 정상파(n=3)로 진동할 때의 마디(n)와 상기 배(a)가 발생하는 위치와 모두 달라진다.
또한, 상기 마디(n)와 상기 마디(n)의 간격은 이전보다 더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진폭이 동일하다면 상기 배(a)의 진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더 빠르게 구동하면, 상기 의류에서 형성되는 마디(n)들의 간격은 더 좁아질 수 있고, 상기 마디(n)들이 형성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소공진주파수의 n배수로 진동하거나, 상기 구동부(200)가 최소공진속도에 해당하는 제2속도의 n배수로 진동하게 되면, 상기 의류(L)에는 상기 n 배수와 비례한 정상파의 형태로 진동할 수 있다.
식(1)에 따라, 상기 의류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는 서로 다르게 결정된다. 또한,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 또는 구동RPM도 상기 의류마다 고유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무작위로 진동하는지,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하는 지를 구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는 구동주파수를 상승하는 도중, 해당 구동주파수가 거치된 의류의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면,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특성이 정상파로 진동하지 않을 때와 달라지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지 않을때는 진동변화가 선형적이거나 진동의 변화량이 예측가능하다가,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경우에는 그 이전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와 및 이후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와 달리 급격히 진동특성이 가변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모터부(210)에서 출력되거나 인가되는 전류값 또는 전력값의 급격한 변화를 통해 해당 무빙행어(100)의 주파수가 거치된 의류의 공진주파수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에서 감지되는 전류값 또는 전력값은 순간적으로 피크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할 때, 정상파로 진동하지 않을 때 보다 진동이 더 많이 감쇠될 수 있고, 더 적은 진동량이 상기 무빙행어(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에 가해지는 부하가 급격히 감소함을 통해 해당 주파수가 거치된 의류의 공진주파수 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C)는 도15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상기 무빙행어(100)의 주파수가 의류의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전류값 또는 전력값을 포함하는 전기정보에서 2고조파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2고조파의 파형, 진폭,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급격히 달라지는 특이점이 발생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제어부(C)는 해당 무빙행어(100)의 주파수가 거치된 의류의 공진주파수 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 변화를 파악하여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할 때와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진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의 일시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공진주파수로 진동할 때 상기 무빙행어(100)에 전해지는 관성력이 일시적으로 가변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실제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해당 의류가 진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상기 2고조파를 미리저 저장된 테이블 또는 데이터와 매칭하여, 해당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즉각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감지된 공진주파수가 실제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공진주파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할 때, 전술한 방법으로 감지된 변화가 주기적으로 나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부(C)는 무빙행어(100)를 통해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와, 상기 의류를 공진주파수로 진동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 상기 구동부(200)의 RPM, 상기 동력전달부(400)의 왕복주기 중 하나 이상을 연산 및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의류의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한편, 상기 의류(L)가 진동하여 상기 의류 상에 마디(n)가 형성되면 상기 마디(n) 보다 하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무빙행어(100)까지 온전히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L)가 정상파로 진동하면, 상기 마디(n)의 위치는 항상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의류(L)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마디(n)에 차단되어 상기 무빙행어(100)까지 온전히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L)가 더 큰 배수의 정상파(L)로 진동할수록, 상기 마디(n)와 상기 마디(n)의 간격이 짧아지므로, 각 마디 사이에 잔류하는 의류의 진동에너지의 총량은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무빙행어(100)와 가장 인접한 마디의 위치도 상기 의류가 더 큰 정상파로 진동할수록 상기 무빙행어(100)와 더 가까워지므로, 상기 무빙행어(100)에 더 적은 진동 또는 관성력이 전달된다.
이를 종합하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동일하더라도, 상기 의류(l)에서 상기 마디(n)가 발생하는 위치, 상기 무빙행어(100)와 인접한 상기 마디(n)와의 간격, 상기 의류(l)가 정상파로 진동하는지 임의의 파형으로 진동하는 지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의류(L)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로 전달되는 진동에너지 또는 관성력은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의류의 무게를 정확하고 일관적으로 연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하거나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의류에서 정상파가 발생하는 공진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본주파수(주기) 보다 낮게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때,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속도 이하의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200)를 최소 공진속도인 제2속도 이하의 속도구간에서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가 정지한 속도에서부터 제2속도의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주파수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기정보를 통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진동이 상기 구동부(20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고 상기 의류가 회절을 일으키며 진동할 때 발생하는 마디(n)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200)를 제1속도 이하의 구간에서 구동시키며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기 직전의 속도 이하의 속도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진동이 상기 구동부(2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하여,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는 부하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은 종래 세탁기 및 건조기 등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차용할 수 있으며, 도 15에 설명한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의류에 상기 스팀 또는 상기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기계실을 구동할 수 있다. 즉, 감지한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의류에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 중 하나 이상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주파수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때, 상기 무빙행어(100)를 기본주파수 이하로 구동하지만,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할 때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기본 주파수 보다 더 큰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처리할 때 더 많은 물리력을 상기 의류에 전달하여, 상기 의류에서 이물질을 더 많이 털어내거나, 공급된 스팀과 열풍에 더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에 상기 스팀과 상기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때,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는 최대주파수가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무빙행어(100)가 같은 주파수로 구동하더라도,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 많은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가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상기 의류에 더 많은 열풍 또는 스팀이 공급되어야 상기 의류의 건조, 탈취, 살균, 제습 등의 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상기 스팀의 분사량이 많거나 또는 상기 스팀의 분사시간이 더 길도록 상기 스팀발생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열풍의 공급량 또는 상기 열풍의 공급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압축기(83)와 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도1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무게와 공진주파수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무빙행어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100)를 최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최적주파수(Optimum Hz)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최적주파수(Optimum Hz)는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가장 작게 발생하는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적주파수(Optimum Hz)는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케비닛(10)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허용하는 한계진동 이하에서 최대로 진동할 수 있는 주파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최적주파수(Optimum Hz)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의류에 충분한 물리력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배와 마디가 고정되어 진동하여 의류의 특정영역을 집중시킬 수 있고, 상기 의류에서 전달되는 진동 또는 관성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 수행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로 구동 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무게와 대응되는 최적주파수(Optimum Hz)로 구동하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행어(100)를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면서도 의류의 특정영역에 집중적인 물리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2개 이상의 정상파 형태로 진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빙행어(100)를 2개 이상의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집중적으로 진동하는 영역을 변경하여, 의류 전체에 집중적인 물리력을 순차적으로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이물질 제거 효과 및 스팀과 열풍 노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최적주파수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의 특정영역을 집중적으로 흔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제1시간 동안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1공진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시간 동안 의류가 다른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2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최적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완전히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시간과 제2시간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과 다를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제1시간 동안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1공진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시간 동안 의류가 다른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2공진주파수로 구동하고, 제3시간 동안 최적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공진주파수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는 주파수로서 최소공진주파수의 n배수에 해당하는 임의의 주파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진주파수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는 다른 주파수로서 최소공진주파수의 n+1배수에 해당하는 임의의 주파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감지된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최적주파수를 결정하고,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최적주파수와 가까운 공진주파수로로도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무빙행어(100)를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더라도, 최적주파수와 가까운 공진주파수로 구동하여, 의류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며 상기 의류를 안정적으로 흔들 수 있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주파수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의류(L)에서 형성되는 상기 마디(n)와 배(a)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최적주파수(Optimum Hz)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High Hz)와,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Low Hz)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최적주파수(Optimum Hz)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High Hz)로 일정시간 구동하고,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Low Hz)로 일정시간 구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높은공진주파수(High Hz)로 구동하고, 최적주파수로 구동한 다음 낮은 공진주파수(Low Hz)로 구동할 수 있고, 이를 반복할 수도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적주파수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Hihg Hz) 속도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는 오른쪽 그림처럼 진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Low Hz)로 구동하면 상기 의류는 왼쪽 그림처럼 진동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를 왼쪽 형태로 일정시간 진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다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가속하여 상기 의류를 오른쪽 형태로 일정시간 진동시키고, 다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의류를 왼쪽 형태로 진동시키는 것 등을 반복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속도 또는 구동주기를 가변시켜 의류에 형성되는 배(a)의 위치를 변화시켜 의류에 털이력을 적절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L)에 형성되는 마디(n)와 배(a)의 위치를 변화시킨 뒤, 다시 마디(n)와 배(a)의 위치를 다시 고정시켜 다른 영역의 이물질을 다시 집중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가 제2속도의 다양한 배수로 구동하는 시간은 상기 상기 구동부(200)가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도18(b)는 상기 제어부(c)가 두가지 공진주파수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가속하고 감속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실예일뿐, 상기 제어부(c)는 세가지, 네가지 또는 그 이상의 공진주파수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단계적으로 가속하며 감속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의류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하는 것을 적극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의류를 공진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로 진동하다가, 상기 의류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할 때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L)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의류를 최적주파수로 구동하다가, 상기 의류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할 때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L)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무빙행어를 통해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상기 제어부(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제어부(C)가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수행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도어(12)가 상기 수용공간(21)을 개폐하였다가 폐쇄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A)와, 상기 기계실(30)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구동단계(S)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단계(A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게감지단계(A1)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면서 상기 무빙행어(100)에 인가되거나 상기 무빙행어(1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정보를 통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단계(A1)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1속도(V1)로 제1시간(t1) 동안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 중 제1속도(V1)는 상기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지 않는 속도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속도(V2)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최소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속도(V1)는 의류에 회절이 절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최소 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구동부(200)를 제1속도(V1)로 정속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정보에는 상기 의류(L)의 진동에 관련된 오차가 최대한 배제되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만으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는 가속단계(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A2)에서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무빙행어(100)의 속도를 제2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최초의 속도이므로, 상기 가속단계(A2)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제2속도를 감지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으며,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200)의 최소속도를 감지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A2)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제2속도의 배수만큼 가속하면서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상기 제1속도와 상기 제2속도 보다 빠른 처리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구동단계(B) 보다 상기 무빙행어(100)를 낮은 속도로 일정시간 구동하는 단계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수행되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한 의류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단계(S)에서 구동되는 무빙행어(100)이 구동속도, 구동주기, 구동주파수, 구동 RPM 중 하나 이상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단계(B)에서는 상기 구동부(200)의 속도가 상기 공진주파수(f)의 배수에 해당되는 영역에 단계적으로 가속되거나 감속될 수 있고, 가속과 감속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최고속도로 구동하다가, 의류에 K번째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제K+1속도로 감속하여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k는 임의의 자연수 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k 값을 임의로 변경하여 상기 의류(L)를 여러 형태의 공진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제어부(C)는 다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가속하여 최고속도로 구동하다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2번째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제3속도로 감속하여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고, 상기 의류에 첫번째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제2속도로 감속하여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무빙행어를 통해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속도는 상기 의류가 회절이 발생하지 않는 속도이나, 이는 의류의 재질이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무게감지단계(A1)에서 설정된 속도가 해당 의류의 제1속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가 수행되면 상기 구동부(200)를 정지한 상태에서 서서히 가속하여 상기 제1속도에 해당하는 구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정지상태에서 상기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는 속도 또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하는 속도까지 가속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가속하다가 상기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거나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그 이하의 속도를 제1속도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가속하다가 상기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거나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속도를 저장한 뒤, 다시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감속한 뒤에 다시 가속하여 저장한 해당속도가 상기 의류에 회절이 발생하거나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속도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속도 뿐만 아니라 제2속도까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제1속도까지 가속할 때의 구동부(200)의 전기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속도(V1) 이하의 속도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재 구동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가속단계(A2)에서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제2속도(V2) 이상으로 가속하여, 상기 제2속도(V2)가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만드는 최소공진속도 인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가속단계(A2)에서 상기 제2속도(V2) 및 상기 제2속도의 k배수에 해당하는 속도(Vk)에서 상기 의류(L)가 k-1 번째 정상파로 진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도 감지할 수 있다. k는 임의의 자연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이후 상기 구동단계(S)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를 최고속도(Vmax)까지 가속하여 상기 의류를 흔든 다음 상기 제2속도에 배수에 해당하는 속도구간으로 감속하거나 가속하여 상기 의류의 특정영역을 단계적으로 집중하여 흔들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단계(S)에서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제2속도의 배수에 해당하는 제3속도, 제4속도, 제n속 도등의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감속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도21(a)은 긴 의류(L)가 상기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00)가 제2속도(V2) 보다 큰 특정속도로 구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21(b)는 상기 긴 의류(L) 보다 짧은 의류(l)가 상기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행어(100)에 긴 의류(L)가 거치되었을 때와 동일한 특정속도로 구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식(1)에 의해, 상기 공진주파수는 의류의 길이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짧은 의류(l)는 상기 긴 의류(L) 보다 더 큰 공진주파수를 갖게 되고, 무빙행어(100)가 더 빠른 속도로 구동해야만 상기 짧은 의류(l)에 동일한 차수의 정상파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21(a)를 참조하면, 상기 특정속도는 상기 긴 의류(L)를 기준으로 상기 제2속도 또는 최소 공진속도의 4배 빠른 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긴 의류(L)는 상기 4번째 정상파를 형성하며 진동할 수 있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짧은 의류(l)가 거치되었을 때도 상기 구동부(200)는 동일한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도21(b)에서도 상기 구동부(200)는 긴의류(L)에 4번째 정상파를 형성시킬 수 있는 구동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짧은 의류(l)의 경우에는 상기 구동속도는 상기 짧은 의류에 2번째 정상파를 형성시키는 구동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짧은 의류(l)의 경우, 긴 의류(L) 보다 의류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긴 의류(L)와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게 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길이에 따라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도 감지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무게 뿐만 아니라 길이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의 길이도 감지하는 길이감지단계(A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단계(A2)는 상기 길이감지단계(A2)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잇다.
-- (1)
전술한 상기 식(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게 되는 공진주파수(fn)는 상기 의류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그런데, 상기 공진주파수(fn)를 알 수 있다로 하더라도 상기 식(1)의 v 값을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상기 의류의 길이(l)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2)
상기 식(2)를 참조하면, 상기 v는 의류의 장력(T)를 선밀도(m)으로 나눈 값의 루트 값이며, 상기 의류의 장력은 의류의 무게에 해당한다.
상기 선밀도(m)는 의류가 동일한 경우 상수값에 해당하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공진주파수(fn)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의류의 길이(l)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에서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를 통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직접 연산하고, 상기 길이감지단계(A2)에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변경하면서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1개 이상 감지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공진주파수로 상기 의류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선밀도(m)를 구체적으로 감지하거나 연산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2개 이상 감지하여 이를 통해 상기 의류의 길이(l)를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상기 무빙행어(100)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주파수를 변경할 때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정보를 통해 상기 의류의 길이(l)을 연산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최초로 진동할 수 있는 제2속도(v2) 보다 낮은 속도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할 수 있고,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최초로 진동할 수 있는 제2속도 이상의 속도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도 보다 낮은 속도구간은 상기 제1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구간(s)에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2속도 보다 더 빠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도2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A)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제1속도(v1)로 제1시간(t1) 동안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거나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포함하는 전기정보를 통해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무게감지단계(A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가 종료되면,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 보다 더 빠른 속도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최초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속도 또는 공진속도(V2)를 포함하는 속도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감지단계(A2)는 제2시간(t2)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공진속도(v2) 및 상기 공진속도(v2)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길이를 연산하기 때문에, 상기 제2시간(t2)은 상기 제1시간(t1)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200)의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의류의 길이(l)를 연산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최소 구동속도인 제2속도 또는 공진속도로 상기 제2-1시간(t21) 동안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최소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할 때까지 추가로 상기 구동부(200)를 가속할 수 있고,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다시 진동하는 경우 제2-2시간(t22) 동안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다른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시간(t22) 동안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제2속도의 2배수의 속도로 구동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c)는 의류가 정상파로 다시 진동할 때까지 추가로 상기 구동부(200)를 가속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k 번째 반복할 수 있고,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다시 진동하는 경우 제2-k시간 동안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제2속도의 k배수의 속도로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구간 까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가속하고,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다양한 공진속도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200)의 전기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전기정보와 상기 의류의 무게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길이와 상기 의류의 무게 중 하나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단계(S)를 최적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제3시간(t3) 동안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시간은 상기 제1시간(t1)과 상기 제2시간(t2)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했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무빙행어(100)는 최대속도(Vmax)로 구동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속도를 포함하되 제2속도 보다 빠른 속도 구간에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속도가 제2속도 보다 빠른 속도 구간에서 선형적 또는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도 있다.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의 제어방법은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A)와,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구동단계(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와 상기 구동단계(S)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상기 구동단계(S)의 수행 중에 상기 감지단계(A)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항상 구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기 전이라면 상기 감지단계(A)가 언제든지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단계(S)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여 상기 스팀발생기(5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1)와, 상기 스팀발생기(51)에서 물이 끓어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수용공간(21)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S2)와, 상기 스팀이 설정된 양 또는 설정시간 만큼 분사되면 상기 스팀발생기(51)의 구동을 중단하는 대기단계(S3)와, 상기 송풍팬 만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식히면서 상기 수용공간(21)의 공기를 냉각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COP)를 향상시키는 냉각단계(S4)와, 상기 압축기(83)와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수용공간(21)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된 의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100)의 최적구동속도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된 의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축기의 rpm 및 구동시간, 상기 송풍팬의 구동시간 및 rpm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건조단계(S5) 보다는 먼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할 때 의류가 걸이부(700)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면, 상기 스팀이 의류의 특정 영역에만 집중 분사되어 의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는 대기 단계부터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팀단계(S2) 이후에는, 상기 의류의 붙은 이물질 및 먼지와 수분 까지 털어버릴 수 있도록,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면서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포함하는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이므로, 상기 스팀단계(S2) 이후와 상기 건조단계(s5)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부(200)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보다 구동단계(S)에서 더 빨리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건조단계(S5)에서 상기 감지단계(A) 보다 더 빨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 의류를 처리하는 구동부(200)의 속도를 처리속도라고 하면, 상기 처리속도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상기 제1속도와 상기 제2속도 중 하나 이상 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처리속도는 제2속도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대기단계(S3)와 상기 냉각단계(S4) 진행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0)는 대기단계(S3) 또는 상기 냉각단계(S4) 부터 상기 제1속도로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가 먼저 수행되고, 상기 길이감지단계(A2)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감지단계(A1)에서 상기 구동부(200) 또는 상기 의류가 진동하는 속도는 상기 길이감지단계(A2)에서 상기 구동부(200) 또는 의류가 진동하는 속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단계(A1)는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제1속도 이하의 영역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 보다 빠른 제2속도 이상의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를 2가지 이상의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하는 것은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전의 속도구간과,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상의 속도구간으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A)에서 길이감지단계(A2)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속도 보다 빠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속도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단계(A1)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속도 이하의 속도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속도 이상의 속도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정상파 또는 공진주파수가 변하도록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로 흔들리는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단계(A)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공진속도 또는 제2속도, 또는 제2속도의 배수에 해당하는 속도구간으로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에 상기 구동부(200)를 2가지 이상의 속도 구간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단계(A) 이후의 구동단계에서 상기 압축기(53)와 송풍팬,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를 상기 의류정보에 맞추어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속도는 상기 구동단계(B)에서 상기 구동부(200)가 구동하는 속도 보다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단계(A)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이 달라지면 상기 처리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처리속도를 공진속도의 배수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 정상파를 발생시켜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처리속도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의류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의류의 길이가 짧을 때 보다, 상기 처리속도를 공진속도의 배수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 전체에 털이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길이가 길면 상기 의류의 길이가 짧을 때 보다 상기 처리속도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열풍의 공급량 또는 상기 열풍의 공급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무겁더라도 살균, 탈취, 건조, 구김제거 되는 리프레쉬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길이가 길면 상기 의류의 길이가 짧을 때 보다 상기 열풍의 공급량 또는 상기 열풍의 공급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긴 의류에 고르게 열풍이 공급되어 살균, 탈취, 건조, 구김제거 되는 리프레쉬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구동단계의 지속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운 의류 전체에 더 고르게 열풍과 스팀이 공급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리프레쉬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간 또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무거운 의류 전체에 열풍이 더 충분히 공급되어 리프레쉬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길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짧게 감지될 때 보다, 많은 속도 영역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 압축기(83)의 구동은 상기 감지단계(A) 이후에 수행되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스팀과 열풍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될 때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는 속도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속도가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된 공진주파수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스팀과 열풍 중 하나 이상이 공급될 때,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의 n 배수 또는 정상파의 n 배수로 가변하여 흔들리도록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 압축기(83)의 구동은 상기 감지단계(A) 이후에 수행되므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되, 상기 스팀발생기(51)와 상기 압축기(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이 차단된다고 볼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23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한다.
상기 의류의 길이와 무게에 따라 상기 의류에 공급되는 스팀의 양과 스팀의 지속시간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스팀단계(S2)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가열단계(S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1)는 스팀발생기(51) 내부의 히터가 구동하여 물은 가열되지만, 아직 스팀발생기(51)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지는 않는 단계로서, 상기 구동단계(S)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가열단계(S1)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중첩되도록 수행되어, 건조행정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단계(S2)가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된 의류의 무게, 길이, 재질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단계(S2)는 거치된 의류에 적정량의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스팀의 분사량 또는 상기 스팀의 분사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팀발생기(51)에서 히터의 구동시간이나 구동출력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무거운 의류 전체에 고르게 스팀이 공급되어 리프레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길이가 길면 상기 의류의 길이가 짧을 때 보다 상기 스팀의 분사량 또는 상기 스팀의 분사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팀발생기(51)에서 히터의 구동시간이나 구동출력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공급되어 리프레쉬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스팀발생기(51)의 구동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길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짧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스팀발생기(51)의 구동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스팀단계(S2)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이 중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단계(S2)에서 스팀이 의류에 고르게 분사되기 위해, 상기 무빙행어(100)는 구동될 수도 있다.
도25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재질과 함습성능 까지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하기 전과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한 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합습성능을 감지하는 재질감지단계(A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재질은 상기 의류의 선밀도(m)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연질인지 경질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함습성능은 상기 의류가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와 상기 기계실(30) 및 상기 무빙행어(100)는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어부(C)와 상기 기계실(30) 및 상기 무빙행어(100)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상기 스팀발생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할 때 상기 의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을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팀을 상기 의류에 공급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상태와, 스팀을 상기 의류에 공급한 이후에 상기 의류의 상태를 감지한 뒤, 상기 의류의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연산할 수 있다.
도25(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재질잠지단계(A3)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25(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단계(A)에 상기 스팀공급부(5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에 스팀을 일정시간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스팀공급부(50)를 구동하는 것은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상기 의류의 상태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스팀공급부(50)를 구동하는 시간은 상기 구동단계(S)에서 상기 스팀공급부(50)를 구동하는 시간 보다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도25(c)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공급부(50)의 구동을 중단한 뒤,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 중 하나 이상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의 공급에 따라 상기 의류의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무게변화가 크면 클수록 상기 의류가 친수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무게 변화가 작을수록 상기 의류가 소수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재질에 따라 상기 의류가 스팀을 흡습하는 정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스팀공급부(50)로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은 정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재질에 따라 상기 의류의 무게가 변화하는 것은 데이터화 되어 상기 제어부(C)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의류의 재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소수성인지 친수성인지, 상기 의류가 경질인지 연질인지 등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스팀발생부(50)의 구동전과 구동후의 길이감지단계(A2)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을 감지할 수 있다.
-- (1)
----(2)
상기 길이감지단계(A2)에서 상기 제어부(C)는 식(1)을 통해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에는 상기 의류의 무게(mg)와 상기 의류의 선밀도(m) 값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의류의 무게(mg)와 상기 의류의 선밀도(m)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팀의 공급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의 길이는 스팀공급 전후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스팀 공급 전 후에서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의 변화, 상기 의류의 무게 변화, 상기 의류의 선밀도 변화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과 함습성능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의 재질은 통상 선밀도(m)를 통해 추정 가능하므로, 상기 스팀 공급 전후에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의 변화와 상기 의류의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의류의 선밀도(m)를 연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선밀도를 분석하여 상기 의류가 경질인지 연질인지, 상기 의류가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의 무게,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고, 스팀을 공급한 다음 다시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의류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을 감지할 수 있다.
도26은 상기 감지단계를 통해 의류의 재질을 포함한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단계(A)가 수행되면, 상기 구동부(200)를 상기 제1속도(V1)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구동부(200)를 상기 제2속도(V2) 이상에서 단계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는 상기 구동부(200)가 최소 공진속도(V21)와, 상기 최소공진속도의 2배가 되는 두번째 공진속도(V22)와, 상기 최소공진속도의 K배가 되는 K번째 공진속도(V2K) 중 2개 이상의 속도 구간에서 구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감지한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저장한 후에,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의 공급량은 기준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단계(A2)의 지속시간은 상기 무게감지단계(A1)의 지속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가 여러 구간에서 가변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스팀이 공급되는 시간은 상기 길이감지단계(A2)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공급부(50)에서 스팀이 발생하고 상기 의류가 상기 스팀에 노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재질감지단계(A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스팀공급 후에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를 재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에서 상기 의류의 무게 변화를 통해 상기 의류가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길이감지단계(A2)에서 상기 의류의 선밀도(m)를 판단하여 상기 의류가 경질인지 연질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스팀공급 후에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를 재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도 상기 재질감지에 필수적이므로,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스팀공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스팀발생부(50)가 작동할 때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은 중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와 재질감지단계(A3)에서 획득한 의류정보를 통해 의류의 종류도 연산해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에 상기 의류정보에 대응되는 의류 종류가 데이터화 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 및 길이와 재질을 통해 상기 의류가 "면 재질로 구성된 된 원피스" 또는 상기 의류가 "캐시미어 재질로 구성된 목도리" 등과 같이 재질 및 의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 후에 상기 스팀을 상기 의류에 재공급하는 재공급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공급단계는 상기 스팀공급부(50)를 구동하는 것으로, 이때는 이전에 스팀을 공급할때와 달리 스팀의 양을 가변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가 친수성 인지 소수성인지 등을 상기 제어부(C)가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재질에 따라 상기 재공급단계에서 스팀의 공급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가 친수성이라고 감지되면, 상기 재공급단계에서 스팀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가 소수성이라고 감지되면, 오히려 상기 재공급단계에서 스팀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재질감지단계(A3)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의 재류가 이전 재질감지단계(A3)에서 수행한 것과 동일한지를 점검해볼 수 있다.
예를들어, 1차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가 친수성이라고 감지하였는데, 상기 재공급단계에서 스팀의 공급량을 증가시킨 경우, 2차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의 무게가 대폭 증가되었다면, 상기 의류가 친수성인 것이 맞다고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차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가 소수성이라고 감지하였는데, 상기 재공급단계에서 스팀의 공급량을 증가시킨 경우, 2차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의류의 무게가 증가되었다면, 상기 의류가 소수성이 아닐수도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재질감지단계(A3)를 복수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재질감지단계(A3) 사이 마다 상기 의류에 스팀을 가변하여 분사함으로써, 감지된 의류의 재질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시키고, 다시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 상기 무빙행어(100)를 다시 구동시켜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하고, 다시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연산된 의류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50)를 처음 구동할 때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되는 스팀양과, 상기 스팀발생부(50)를 다음 구동할 때 상기 수용공간(21)에 공급되는 스팀양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할 때에는 상기 스팀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반대로,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할 때는 상기 무빙행어(10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상기 무빙행어(100)에서 분리되어 상기 스팀발생부(50)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의류에 스팀이 합습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것도 차단될 수 있다.
도27은 의류의 재질을 감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지단계(A)는 전술한 것처럼, 무게감지단계(A1)와 길이감지단계(A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상기 스팀발생부(50)와 상기 무빙행어(100)를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면서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 상기 의류의 길이, 상기 의류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의류의 재질을 연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스팀발생부(50)와 상기 무빙행어(100)가 동시에 구동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할 때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는 가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속도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획득함을 통해, 상기 의류의 재질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복수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스팀이 공급될 때마다 상기 스팀이 공급되는 양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무빙행어(100)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여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추가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감지단계(A)와 구동단계(S)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여 상기 스팀발생기(5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1)와, 상기 스팀발생기(51)에서 물이 끓어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수용공간(21)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S2)와, 상기 스팀이 설정된 양 또는 설정시간 만큼 분사되면 상기 스팀발생기(51)의 구동을 중단하는 대기단계(S3)와, 상기 송풍팬 만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식히면서 상기 수용공간(21)의 공기를 냉각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COP)를 향상시키는 냉각단계(S4)와, 상기 압축기(83)와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수용공간(21)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무빙행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포함하는 성질, 상기 의류의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류정보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단계(S2)에서 의류에 분사되는 스팀량도 상기 의류의 무게, 길이 및 재질, 성질,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스팀 공급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단계(A)를 상기 스팀단계(S2) 전 또는 상기 스팀단계(S2)의 초반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A)는 상기 가열단계(S1)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1)는 상기 스팀발생기(50)에서 물이 스팀이 되기 위해 가열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수용공간(21)에 스팀이 공급되지 못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가열단계(S1)에서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단계(S2)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C)는 재질감지단계(A3)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질감지단계(A3)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한 뒤에,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s2)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기 전 또는 상기 스팀발생기를 구동한 후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시켜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기 전에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시킬 때의 전류값과,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에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시킬 때의 전류값을 감지한 다음, 이를 통해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는 상기 무게감지단계(A1)와 상기 길이감지단계(A2)로 인해, 상기 구동부(200)가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하기 전에 2가지 이상의 속도구간에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전의 속도구간과,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상의 속도구간으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재질감지단계(A3)로 인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한 후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2 가지 이상의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재질감지단계(A3)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전의 속도구간과, 상기 의류가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로 흔들리기 시작하는 이상의 속도구간으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감지단계(A)를 수행함을 통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기부(50) 구동하기 전과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한 후에 각각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도 있고, 상기 구동부(200)에서 출력된 전류값 차이를 통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하기 전과 상기 스팀발생부(50)가 구동한 후에 상기 의류에 공진주파수 또는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부(50)의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식(1)과 식(2)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재질감지단계(A3)가 완료되면,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한 의류정보를 바탕으로 스팀단계(S2)에서 상기 의류에 공급되는 스팀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친수성으로 감지되거나 상기 친수성에 더 가까워질수록 상기 의류가 소수성일 때보다, 스팀단계(S2)가 수행될 때 상기 스팀발생부(50)에서 발생하는 스팀이 더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 수분이 더 많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의류의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의류가 소수성일때는 스팀량을 적게 하여, 의류를 보호함과 동시에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감지단계(A)에서 감지한 의류정보를 통하여 상기 대기단계(S3) 이후에서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하는 구동속도 및 상기 압축기(83)와 상기 송풍팬의 구동속도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가 친수성으로 감지되면 소수성일 때보다 건조단계(S5)에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간 또는 구동 rpm을 더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충분히 건조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의류가 소수성일때는 상기 의류가 열풍에 의해 과건조 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친수성으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단계(S)의 지속시간은 상기 의류가 소수성으로 감지될 때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친수성 의류에 더 많은 수분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건조한 뒤에 먼지도 충분히 털어내기 위함이다.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의류가 친수성으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의류가 소수성으로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스팀발생부(50)의 구동시간이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친수성 의류에 더 많은 수분을 공급하여, 리프레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감지구간(A)에서 상기 의류의 재질이 경질로 감지되면, 상기 구동단계(S)는 상기 의류가 연질로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의류가 더 빨리 흔들리도록 상기 무빙행어(100)가 제어될 수 있다. 이는 경질의 의류는 상대적으로 회절이 덜 발생하므로 상기 의류에 충분한 털이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A)는 건조단계(S5) 전에 수행되고, 상기 스팀단계(S2) 전부터 수행되므로, 상기 감지단계(A)에서 상기 무빙행어(100)와 상기 스팀발생부(50) 중 하나 이상은 구동하되, 상기 압축기(83)의 구동은 차단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에서 무빙행어(100)는 상기 스팀단계(S2)가 종료되면 처리속도로 구동하므로, 상기 스팀발생부(50)가 작동한 후에 상기 무빙행어(100)가 구동한다고 볼 수 있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확인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9(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11)에 상기 표시부(D)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도어(11)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표시부(D)가 상기 도어(11)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쉽게 상기 표시부(D)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제어부(C)에서 수신한 정보를 시각정보와 소리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의류정보도 외부에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제어부(C)가 수행하고 있는 코스정보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등의 화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D)는 적어도 일부가 터치패널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I)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29(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의류의 무게(D1)와, 상기 의류의 길이(D2)와, 상기 의류의 재질(D3) 중 하나 이상을 숫자와 문자, 픽토그램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29(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의류의 재질 또는 성질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의류가 친수성/ 소수성 인지 에 관한 물성정보(D4)와, 상기 의류의 종류(D5), 상기 재질의 선밀도 정보(D6) 중 하나 이상을 숫자와 문자, 픽토그램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는 이러한 의류정보(D1~D6)를 전부 표시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교번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제어부(C)가 특정 의류정보를 감지할 때 마다 즉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의류정보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의류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기계실(30)이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상기 기계실(30)이 구동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전원공급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도어(11)가 상기 수용공간(21)을 폐쇄하면,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바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상기 도어(12)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발생기(51) 또는 상기 압축기(83)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스팀발생기(51) 또는 상기 압축기(83)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와 스팀발생부(5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재질, 성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재질, 성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감지단계(A)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전원이 입력되거나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의류의 재질, 성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가 입력되어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게 되고, 그 결과 감지단계(A)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D)는 상기 입력부(I)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상기 의류의 재질, 성질, 종류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이너케이스
40 구동부
100 무빙행어
400 동력전달부
700 걸이부
900 옷걸이부

Claims (2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과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동되는 무빙행어;
    상기 기계실과 상기 무빙행어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본주파수 보다 낮게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기본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정지상태에서 주파수를 상승시켜 구동하며 상기 기본주파수를 감지하고,
    상기 기본주파수 이하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과 상기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때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더 높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케이스에 상기 스팀과 상기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때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는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는 최대주파수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의류에 상기 스팀 또는 상기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기계실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스팀의 분사량이 많거나 또는 상기 스팀의 분사시간이 더 길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의류의 무게가 가벼울 때 보다 상기 열풍의 공급량 또는 상기 열풍의 공급시간이 더 크도록 상기 기계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감지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스팀 또는 열풍이 공급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재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 상기 의류의 무게와 길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팀발생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의류의 무게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과 열풍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동되는 무빙행어;
    상기 기계실과 상기 무빙행어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와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 상에 파형 또는 진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기본주파수(주기) 보다 낮게 구동하면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무빙행어를 더 빠르게 구동하여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낮게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주파수 보다 낮게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면,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감지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의류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최적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와 가까운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와,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높은 공진주파수로 일정시간 구동하고, 상기 최적주파수 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로 일정시간 구동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되,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2개 이상의 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시간 동안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1공진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시간 동안 의류가 다른 정상파로 진동하는 제2공진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에 기준값 이상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의류가 정상파로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로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의류가 거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및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과, 상기 이너케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되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무빙행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거치된 의류의 무게와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되,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이 차단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행어는
    상기 의류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속도는
    상기 구동단계에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속도 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구동단계의 지속시간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스팀발생기의 구동시간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의류가 무겁게 감지되면 상기 의류가 가볍게 감지될 때 보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간 또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rpm이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스팀이 공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150880A 2022-11-11 2022-11-1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69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880A KR20240069407A (ko) 2022-11-11 2022-11-1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3/018138 WO2024101971A1 (ko) 2022-11-11 2023-11-13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880A KR20240069407A (ko) 2022-11-11 2022-11-1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407A true KR20240069407A (ko) 2024-05-20

Family

ID=9103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880A KR20240069407A (ko) 2022-11-11 2022-11-1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9407A (ko)
WO (1) WO20241019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32B1 (ko) *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102627707B1 (ko) * 2018-11-3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2920A (ko) * 2019-11-01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빙 행거를 이용한 의류 관리
KR20220004258A (ko) * 2020-07-03 2022-01-11 코웨이 주식회사 먼지 제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청정기
KR102641643B1 (ko) * 2020-12-30 2024-02-28 광동 갈란즈 엔터프라이지즈 컴퍼니 리미티드 의류 셰이킹 장치 및 그의 의류 무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971A1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94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19511B1 (ko) 다중 의류처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EP2329073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US1197641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10099914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279226B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20130326825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controlled oscillating movement
US12031265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7001087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69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6940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39471B1 (ko) 의류 처리 장치
US1195922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30126032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031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6033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9316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11836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93161A (ko) 의류처리장치
EP3333303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n acoustic barrier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931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931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9316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93162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