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795A -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795A
KR20240068795A KR1020247015282A KR20247015282A KR20240068795A KR 20240068795 A KR20240068795 A KR 20240068795A KR 1020247015282 A KR1020247015282 A KR 1020247015282A KR 20247015282 A KR20247015282 A KR 20247015282A KR 20240068795 A KR20240068795 A KR 2024006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modular frame
basic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슈바르츠
이리나 뢰트케만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4006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접지 개념을 최대한 빠르고 유연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모듈의 절연체(1, 1')의 협폭측에 클립 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는 접촉 스프링들(3)을 통해 커넥터 모듈의 차폐 하우징(20, 20')의 접지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카테고리에 따른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금속 소재로 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소재로 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및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모듈을 갖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하우징 및 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청구항 제9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9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모듈들은, 예컨대 2개의 전기 장치 간의 신호 및 전력 전송과 관련한 특정 요건에 커넥터, 특히 중공업 커넥터를 유연하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매우 다양한, 예컨대 광학 및/또는 전기,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신호 및/또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압축 공기("공압")는 각각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립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들을 사용함으로써 플러그 연결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하나의 절연체(insulating body)를 갖는다. 이들 절연체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면(end face) 및 이들에 수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side face)을 가질 수 있고, 단부면들은 각각 두 측면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의 고정을 위해, 각각의 커넥터 모듈은 바람직하게 그의 두 단부면에 각각 하나의 돌출부, 예컨대 고정 러그(securing lug)를 포함하고, 이 고정 러그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러그는 정합측에 이른바 "챔퍼(chamfer)"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고정 러그의 정합측 모서리들이 약간 경사져 있다.
모듈의 두 돌출부, 특히 고정 러그는, 결과적으로 파지 프레임(retention frame) 내에서의 각각의 모듈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예컨대 그 형상 및/또는 크기의 측면에서, 특히 그 폭에 의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 러그들은 그 파지 기능에 추가로, 그 형상 및/또는 크기에 의해 코딩 수단으로서, 특히 분극 수단(polarization means)으로서도, 다시 말해 파지 프레임 내에서의 모듈들의 배향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의 절연체는 특정 구성들에서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콘택 캐리어와 파지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절연체는 콘택 캐리어의 콘택 챔버 내에 정합 콘택을 수용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삽입 및 당김력을 흡수하기 위해 콘택 캐리어 상에 파지 플레이트를 클립 방식으로 고정하여 정합 콘택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절연체는 단일 부재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연속 콘택 챔버들 내에 배치된 정합 콘택들을, 예컨대 콘택 챔버들 안쪽으로 돌출하는 잠금 아암(locking arms)에 의해 콘택 챔버들 내에 잠금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잠금 아암으로부터 콘택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절연체로부터 콘택을 제거하는 데 특수 공구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상이한 커넥터 모듈의 정합 콘택은 각각의 커넥터 모듈의 이미 명시한 상이한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한 유형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의 기능도 마찬가지로 매우 유연하다. 예를 들어, 공압 모듈, 광학 모듈,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기 아날로그 신호 및/또는 전기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모듈이 개별 절연체 또는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고, 그렇게 해서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은 측정 및 데이터 기술 관련 작업도 수행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교란, 특히 전기 및/또는 자기 간섭장 및 간섭에 특히 민감하다.
예컨대 금속 커넥터 하우징, 즉, 예컨대 중부하(heavy-duty) 커넥터 하우징 내에 복수의 모듈을 파지하기 위해, 특히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도되는 커넥터 모듈들은, 때때로 파지 프레임, 관절형 프레임(articulated frame), 모듈 프레임(module frame) 또는 모듈러 프레임(modular frame)으로서도 지칭되는 적합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로 삽입된다. 그에 따라,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들은, 서로 동일한 유형의 그리고/또는 상이한 복수의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고 이들을 면(surface) 및/또는 장치 벽부에 그리고/또는 커넥터 하우징 내부 등에 안전하게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커넥터 모듈의 수용 및 파지에 이용되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다양한 구조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적용 분야에 따라서 다양한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특히 아연 합금 및/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컨대 가압 다이캐스팅(pressure diecasting)으로 제조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구조적 형상은 다양하다.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예컨대 관절형 프레임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호 선회 가능한 2개의 프레임 반부(frame half)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프레임 반부의 측면부에, 각각 모든 면이 닫힌 개구로서 형성된 리세스, 요컨대 이른바 "윈도우"가 제공되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로 커넥터 모듈의 삽입 시 고정 러그가 상기 리세스 내에 형상 결합식으로 끼워 넣어진다. 커넥터 모듈의 삽입을 위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펼쳐지게 젖혀지고, 즉, 개방되고, 이때 프레임 반부들은 적어도 커넥터 모듈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조인트 주위로 펼쳐지게 젖혀진다. 그런 다음 프레임 반부들이 접히고, 다시 말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닫히며, 파지 수단이 리세스 내에 도달하고,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의 안전한 형상 결합식 파지가 구현된다. 커넥터 모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프레임 반부 사이에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측면부에 윈도우를 갖지 않고 케이블 연결측 에지부에 웨브만 갖는 강성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웨브들 사이에는 케이블 연결측에서 커넥터 모듈의 고정 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된다. 분극(polarization)을 위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양 측면부에서 상기 리세스들의 상이한 폭은 각각의 모듈의 고정 러그의 상이한 폭에 대응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모듈들은, 각각의 측면부의 웨브들 사이에서 고정 러그에 의해 올바른 배향으로만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가압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예컨대 아연 가압 다이캐스팅 공정 또는 알루미늄 가압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더 구형의(older) 구조적 형상의 경우, 커넥터 모듈은 그의 고정 러그에 추가로 그의 협폭 측면들에, 단부측에 일체로 성형된 잠금 후크를 구비하고 정합측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잠금 아암도 가질 수 있으며, 잠금 후크는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측 에지부에 대향하여 놓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정합측 에지부에 추가로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의 일반적인 추가 개선예에서, 베이스 프레임은 그의 종방향 측면들에 복수의 가요성 측면 부재, 예컨대 탄성 판금(resilient sheet metal) 소재의 스탬핑 굽힘 부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측면 부재는 특히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측면 부재들은 예컨대 잠금 윈도우 또는 잠금 후크 등과 같은 잠금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커넥터 모듈은 삽입된 상태에서 예컨대 이들의 고정 러그에 의해 상기 잠금 수단 상에 잠금 고정된다. 따라서 그러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커넥터 모듈의 전술한 잠금 아암은 대체로 중복되는데, 왜냐하면 실질적인 파지 기능을 위해 상기 잠금 아암은 더 이상 불필요할뿐더러, 최선의 경우에는 추가로 안정화하는 방식으로 계속 작용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적어도 일부 구조적 형상에서 커넥터 모듈의 제거에 방해가 되는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커넥터 모듈을 위해 2개의 측벽 부재, 즉, 베이스 프레임의 각각의 종방향 측면에 각각 하나씩 제공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측면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측면 부재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플랩(flap)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플랩들은 각각의 측면 부재 내로 연장되는 슬롯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부재 및/또는 각각의 플랩에는 예컨대 커넥터 모듈의 고정 러그의 잠금 고정을 위한 각각 하나의 잠금 수단, 예컨대 잠금 윈도우 및/또는 잠금 성형부(locking formation)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커넥터 모듈이 수월하게, 예컨대 자동화 방식으로도, 예컨대 로봇을 통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로부터 개별적으로, 간단히 일측에서, 간단히 표현하면 "탄창 내로 들어가듯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밀어 넣어짐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속인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이러한 모든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접지 연결부, 즉, 예컨대 PE("Protective Earth") 연결부로서 제공될 수 있는 별도의 접지 케이블을 위한 접지 연결부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필연적으로 기존 접지 개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접지 연결부(earth/earthing connection)는 한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특히 신뢰성 있게 고정하는 접지 나사(earthing screw)로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특히 편리하게 작동될 수 있는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로서,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또 다른 케이블 연결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는, 파지 프레임, 모듈 프레임, 관절형 프레임 또는 모듈러 프레임으로도 알려진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사용하는 상기 유형의 커넥터 모듈을 가진 전술한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이 다수의 공보 및 간행물에 많은 다양한 변형예로서 개시되어 있고, 박람회에 소개되었으며, 주로 산업 환경에서 중부하(heavy load) 커넥터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공보 DE 10 2013 106 279 A1호, DE 10 2012 110 907 A1호, DE 10 2012 107 270 A1호, DE 20 2013 103 611 U1호, EP 2 510 590 A1호, EP 2 510 589 A1호, DE 20 2011 050 643 U1호, DE 296 01 998 U1호, EP 1 353 412 A2호, DE 10 2015 104 562 A1호, EP 3 067 993 A1호, EP 1 026 788 A1호, EP 2 979 326 A1호, EP 2 917 974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공보 EP 0 860 906 B1호로부터는, 커넥터 모듈을 파지하고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하거나 벽면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관절형 프레임 형태의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커넥터 모듈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삽입된다. 커넥터 모듈에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들에 제공된 윈도우와 상호 작용하는 파지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윈도우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측면부에서 모든 면이 닫힌 관통 개구로서 형성된 직사각형 리세스로 구성된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된 2개의 프레임 반부로 구성된 관절형 프레임으로서 구성되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분리는 프레임의 측면부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고정면에 나사로 고정될 때 측면부들이 상기 고정면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도록,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고정 단부에 조인트가 배치되며, 그 결과 커넥터 모듈은 파지 수단을 통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형상 결합식 연결된다. 실제로 이러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가압 다이캐스팅 방법, 특히 아연 가압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된다.
공보 DE 10 2015 114 703 A1호는 관절형 프레임으로 구성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한 개선안을 개시한다. 여기에 개시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을 가지며, 이 고정 수단을 통해 프레임 반부들이 2개의 위치, 즉,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취급을 상당히 간소화한다.
공보 DE 20 2013 103 611 U1호는, 매우 안정적으로 서로 나사 조임이 가능하고 스탬핑 굽힘 기술로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특히 공압 모듈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2개의 프레임 반부를 보여준다. 이렇게 조립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높은 기계적 장기 응력하에서도 매우 작은 크리프 특성(creep property)만을 갖는다. 그러나 커넥터 모듈을 추가하거나 교체하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이러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조립 시 복잡한 조작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단 하나의 모듈만 교체해야 하는 경우라도 그 즉시,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나사 연결을 풀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잠금 해제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전혀 제거할 필요가 없었던 다른 커넥터 모듈도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프레임 반부들의 나사 결합 및/또는 잠금 전에 다시 삽입되어야 할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미 프레임 반부들의 조립 전에 모든 커넥터 모듈이 동시에 의도된 위치에 있어야 프레임 반부들의 조립 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최종적으로 고정되므로, 조립이 더 어려워진다.
공보 EP 1 801 927 B1호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단일 부재형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개시한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주연방향 칼라(circumferential collar)로서 형성되고, 그 정합측에 슬롯들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벽 세그먼트를 갖는다. 서로 대향하여 놓인 2개의 벽 세그먼트가 각각 하나의 커넥터 모듈을 위한 삽입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 벽 세그먼트는 커넥터 모듈의 협폭 측면들에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윈도우형 개구를 갖는다. 또한, 벽 세그먼트들에는 각각 하나의 가이드 홈이 제공된다. 가이드 홈은 개구부 상부에, 바깥쪽으로 오프셋되고 내측에 삽입 경사를 가진 윈도우 웨브에 의해 형성된다. 추가로 커넥터 모듈은, 협폭 측면들에 케이블 접속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일체로 성형되고 측면 칼라 벽부 아래에 잠금되는 잠금 아암을 가지며, 이로써 2개의 독립 잠금 수단이 커넥터 모듈을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고정한다. 상기 플라스틱 프레임은 전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서 PE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ing)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공보 DE 10 2013 113 975 B4호는 동일 유형의 그리고/또는 상이한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중형 커넥터(heavy plug connector)를 위한, 특히 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여 놓인 2개의 측면부를 가지며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측면부에는 유연한 재료, 특히 스프링 탄성 판금으로 형성된 측면 부재가 부착된다. 프레임 평면에 대해 수직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커넥터 모듈을 삽입할 때, 상기 측면 부재가 먼저 측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특히, 측면 부재들은, 커넥터 모듈의 고정 러그를 개별적으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잠금 고정하기에 적합한 잠금 윈도우를 구비한 플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모듈은 개별적으로 케이블 접속 방향으로부터 약간의 노력으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삽입된 커넥터 모듈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평면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상기 커넥터 모듈들은 이들의 삽입 방향으로 프레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들의 고정 러그에 의해 각각 서로 대향하여 놓인 측면 부재들 사이에 잠금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은 기본적으로, 다른 커넥터 모듈의 고정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커넥터 모듈을 개별적으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조적 형상은 또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PE 콘택을 갖거나 PE 콘택이 장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럼으로써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이 나사 결합되는 금속 커넥터 하우징의 보호 접지를 가능케 하고, 커넥터 모듈의 전기적 및/또는 자기적 차폐 기능도 어느 정도 가능케 한다.
기본적으로 선행 기술은,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사용 시에도, 개별 커넥터 모듈의 전기 차폐, 특히 전기 신호 전송, 특히 고주파 디지털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해 제공된 커넥터 모듈을 위한 전기 차폐가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불충분한 차폐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특히 커넥터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 신호는 개별 커넥터 모듈 외부이면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에 의해 교란될 수 있다. 이러한 교란은 예를 들어 교류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도 전술한 커넥터 모듈 내 전기 신호를 교란시킬 수 있다.
간섭 방사 없는 신호 전송을 위해 공보 EP 1 398 853 B1호는 커넥터 모듈이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보유체 내에 플러그 인서트를 가진 전기 전도성 쉘 하우징을 구비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커넥터 모듈은 잠금 수단에 의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파지되며, 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다시 커넥터 하우징 내에 통합된다. 쉘 하우징 내에 신호 전달 케이블의 차폐물에 대한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제공됨에 따라, 서로 독립적인 접지 전위를 가진 복수의 커넥터 모듈 및 공급 전력, 압축 공기 등을 전달하는 커넥터 모듈들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모듈 캐리어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에서는 많은 용례에서, 차폐 전달이 없음으로써 커넥터 모듈과 이에 플러그인된 정합 커넥터의 커넥터 모듈 사이에 차폐의 직접적인 등전위화(potential equalization)도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 불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특히 고주파 신호의 경우에 불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보 DE 10 2018 108 968 A1호는, 서로 정합된 또는 서로 정합될 두 커넥터 모듈이 각각 하나의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를 갖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를 사용하여 케이블 접속측에서 각각의 커넥터 모듈에 접속된 케이블이 예컨대 차폐 브레이드(shielding braid)에 연결된다.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는 각각 넓은 영역에 걸쳐 커넥터 모듈의 측면을 덮으며, 정합측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양측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는 특히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에 의해 파동 임피던스(wave impedance)라고도 일컫는 파동 저항이 상당히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형상의 조작 시, 접속된 케이블의 접지 연결 단면이 종종 너무 작은 것이 불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그로 인해,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 간의 직접적인 등전위화가 여전히 보장되지 않는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차폐물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커넥터 모듈의 협폭 측면들에서 중단된다. 그에 따라,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커넥터 모듈에는 공지된 차폐 장치를 새로 장착할 수 없다.
공보 DE 10 2020 107 725 B3호는 상기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의 차폐를 개선하여 커넥터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전기 신호의 특히 높은 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특히 고주파 전기 간섭장 및/또는 자기 간섭장이 상기 신호의 신호 품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문헌은, 커넥터 모듈의 광폭 측면과 협폭 측면이 그 둘레를 에워싸는 차폐 요소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차폐 요소는 각각 광폭 측면과 협폭 측면의 면적의 50% 이상을 덮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차폐 부재는 그와 동시에, 커넥터 모듈의 차폐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접지 연결 및 그에 따라 정합 커넥터에 대한 접지 연결도 보장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차폐 요소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대한 추가 전기 전도성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협폭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외향 접촉 플랩(contact flap)을 가지며, 이들 외향 접촉 플랩을 통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 개시된다. 그에 따라, 차폐 요소는 자체적으로도 그 둘레가 여러 번 접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고주파 외부 전기 간섭장 및/또는 고주파 외부 자기 간섭장의 영향을 특히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현재의 선행 기술의 중요한 단점은, 여전히 커넥터 모듈에 차폐 연결부를 새로 장착할 수 없거나, 적어도 합당한 노력으로는 새로 장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종, 각각의 차폐 개념에 따라,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대한 커넥터 모듈의 차폐 연결은 차후에, 다시 말해 복잡한 전기 설비의 설치 후에만 필요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와 반대로, 선행 기술에서는 마찬가지로 불리한 경우, 즉, 고객이 특정 용도로, 예컨대 이른바 접지 루프(ground loop)의 방지를 위해, 이미 구성 시에 또는 추후 더 자세한 분석 후에 비로소, 예컨대 발생하는 문제들로 인해 그리고/또는 전기 설비의 확장 후에, 상기 차폐 연결을 분리하고자 하나,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플러그인 연결에서 상기 차폐 연결을 제거하는 것과 결부된 복잡성을 꺼리거나 지적하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차폐 개념은 전기 설비의 설치 또는 확장의 진행 중에 변경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금속 파지 프레임으로의 개별 커넥터 모듈의 전술한 차폐 연결은 필요에 따라 상응하게 개장되거나 제거되어야 한다. 언급한 전기 설비는 예컨대 제조 설비/생산 라인 등일 수 있다. 관련된 커넥터 모듈은,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에서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예컨대 제어-, 측정- 및/또는 상태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 간섭에 특히 취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최대한 간섭이 없는 차폐- 및 접지 개념에 상당히 의존적일 수 있다.
독일 특허 상표청은 본 출원과 관련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의 선행 기술을 조사하였다: DE 10 2013 113 975 B4호; DE 10 2015 106 416 B3호; DE 10 2020 107 725 B3호; DE 10 2012 107 270 A1호; DE 10 2012 110 907 A1호; DE 10 2013 106 279 A1호; DE 10 2013 108 383 A1호; DE 10 2015 104 562 A1호; DE 10 2015 114 703 A1호; DE 10 2016 116 926 A1호; DE 10 2018 108 968 A1호; DE 10 2018 122 848 A1호; DE 10 2019 101 822 A1호; DE 296 01 998 U1호; DE 20 2011 050 643 U1호; DE 20 2013 103 611 U1호; EP 0 860 906 B1호; EP 1 398 853 B1호; EP 1 801 927 B1호; EP 1 026 788 A1호; EP 1 353 412 A2호; EP 2 510 589 A1호; EP 2 510 590 A1호; EP 2 979 326 A1호; EP 3 067 993 A1호; CN 1 07 910 680 A호 및 CN 2 07 559 193 U호.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되고 취급 중에 복잡한 전기 설비의 변경 가능한 접지 개념에 대해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동시에 유연한 적응(adaptation)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커넥터 모듈은, 금속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수용되어 그 안에 파지되도록, 다시 말해 그 안에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커넥터 모듈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절연체를 갖는다. 이러한 절연체는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2개의 단부면을 갖고, 이들 단부면은 길이와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태를 갖고, 단부면들의 길이는 각각 그 폭을 초과하며, 길이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폭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기본적으로 직각으로 측정된다. 단부면들에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각각 하나의 고정 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고정 러그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의 올바른 정렬("분극")을 보장하기 위해, 그 크기 및/또는 형태가 서로 상이하다.
절연체는, 단부면들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갖고, 이들 측면은 마찬가지로 길이와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태를 가지며, 측면들의 길이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들의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되는- 폭은 두 단부면의 폭보다 더 크다. 간단히 말하면, 측면들도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긴 하나 두 단부면보다 더 넓다.
단부면들 및 측면들의 단부들에서, 절연체는 제1 단부에 연결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여 놓인 제2 단부에 정합 영역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 모듈은, 정합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 영역을 정합 영역과 연결하는 2개의 연속 수용 개구를 가지며, 이들 수용 개구 중 각각 하나는 두 단부면 중 각각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개구들 내에 커넥터 모듈의 각각 하나의 기본 커넥터가 수용되어 파지되어 있거나, 적어도 수용될 수 있고 그 안에 파지될 수 있다.
특히 절연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커넥터들이 수용 개구들 내에서, 예컨대 그 내에 형성된 잠금 아암을 통해 잠금 고정되어 있을 수 있거나, 적어도 잠금 고정될 수 있다.
두 기본 커넥터 각각은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형성된 자체 차폐 하우징; 및 이 차폐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 콘택;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기본 커넥터는, 차폐 하우징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파지된,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 리셉터클을 가진 콘택 캐리어를 가질 수 있으며, 콘택 리셉터클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합 콘택이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모듈은, 바깥쪽으로부터 절연체의 단부면에 잠금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접촉 스프링을 갖고, 이들 접촉 스프링은 각각 개별 차폐 하우징의 접촉을 위한 내부 접촉 설부(contact tongue)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전기 접촉을 위한 외부 접촉 설부를 갖는다.
또한, 절연체는, 두 접촉 스프링의 잠금 고정을 위한 잠금 수단, 특히 잠금 리세스를 갖는다. 또한, 절연체는 두 접촉 스프링 각각을 위해 각각의 단부면 내에 각각 하나의 접촉 윈도우를 가지며, 커넥터 모듈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파지되어 있을 때, 각각 상기 단부면에 배치된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그리고 차폐 하우징을 금속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접촉 스프링이 이들의 접촉 설부로써 상기 접촉 윈도우를 통과하여 맞물린다.
전술한 유형의 커넥터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케이블 연결측에서 커넥터 모듈의 두 수용 개구 내로 두 기본 커넥터를 삽입하는 단계;
B. 절연체 상으로 단부면에 하나 또는 두 접촉 스프링을 잠금 고정하되, 각각의 접촉 스프링이 그 내부 접촉 설부로써 절연체의 각각의 접촉 윈도우를 통과하여 맞물리는 단계;
C. 각각의 접촉 스프링을 통해 이들의 내부 접촉 설부와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본 커넥터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제조 방법 및 특히 상기 제조 단계들의 순서는, 커넥터 모듈이, 기본 커넥터를 분해할 필요 없이, 하나 또는 2개의 접촉 스프링을 통한 접지 연결 없이,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접지 연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 스프링은 필요한 경우 기본 커넥터를 분해할 필요 없이 추후 다시 제거될 수도 있다.
한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방법 단계 A와 방법 단계 B의 순서도 뒤바뀔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방법 단계 B가 방법 단계 A 전에 수행된다. 이는, 하기에 계속 설명되는 것처럼, 특히 접촉 스프링들 및 특히 이들의 접촉 설부의 형상을 통해 가능해진다. 이러한 수정된 순서(B, A, C)의 장점은, 절연체가 이미 자신에 잠금 고정된 접촉 스프링들과 함께 공급되거나 보관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조립된(즉, 전기 케이블에 연결된) 기본 커넥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 바람직한 구성에서, 기본 커넥터는 독립적으로도, 다시 말해 절연체 없이 그리고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본 커넥터의 사용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은 금속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및 이 모듈러 프레임에 의해 파지된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모듈;을 가지며, 두 접촉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면에서 절연체에 잠금 고정되며, 한편으로 그의 내부 접촉 설부로써 각각의 단부면의 접촉 윈도우를 통해 맞물리고, 상기 단부면에 배치된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접촉 스프링은 다른 한편으로 그의 외부 접촉 설부로써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특히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추가로 별도의 접지 케이블을 위한 자체 접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지 연결부는 한 예시적인 구성에서 바람직하게 특히 신뢰성 있게 고정하는 접지 나사일 수 있거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에서는 바람직하게 특히 편리하게 작동될 수 있는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일 수 있거나,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케이블 연결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유형의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케이블 연결측에서 커넥터 모듈의 두 수용 개구 내로 두 기본 커넥터를 삽입하는 단계;
B. 절연체 상으로 단부면에 하나 또는 두 접촉 스프링을 잠금 고정하되, 각각의 접촉 스프링이 그 내부 접촉 설부로써 절연체의 각각의 접촉 윈도우를 통과하여 맞물리는 단계;
C. 각각의 접촉 스프링을 통해 이 접촉 스프링의 내부 접촉 설부와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본 커넥터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D.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는 단계; 및
E.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통해 커넥터 모듈을 파지하는 단계, 이때
F. 각각의 접촉 스프링을 통해 이 접촉 스프링의 외부 접촉 설부를 이용하여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그렇게 하여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커넥터 모듈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 간의 전기 접지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또한, 커넥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하우징; 및 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그와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 전술한 유형의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다.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상에서 커넥터 모듈의 차폐 연결부를 형성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하는 복잡성이 본 발명을 통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는 무엇보다, 복잡한 전기 설비의 접지 개념을 변경하기 위해 다수의 상기 차폐 연결 및/또는 분리가 수행되어야 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큰 장점은, 커넥터 모듈들과 심지어는 개별 기본 커넥터가 하나의 커넥터 모듈의 내부에서 목표한 대로 그리고 큰 복잡성 없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접지에 연결될 수 있고, 역으로 그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상기 전기 설비, 예컨대 생산 설비/생산 라인의 각각의 접지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큰 유연성이 제공된다.
그렇게 하여, 특히 복잡한 개별 사례에서도, 예컨대 다양한 접지 개념하에 이미 설치된 설비의 복잡한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실제로 비교적 적은 복잡성으로 다양한 접지 개념을 검사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사례에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접지 개념들 및 혼합 형태들이 비교적 적은 복잡성으로 개별 기본 커넥터에 대해서도 검사 목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의 거동이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이는, 기본 커넥터 및 그에 따른 관련 커넥터 모듈이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해, 즉, 예컨대 제어, 측정 및/또는 상태 데이터의 전기 전송을 위해 제공되고 그로 인해 전기 간섭에 대해 특히 민감할 때 특히 중요하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차폐 연결 요소들은, 차폐 개념을 변경하기 위해, 추후 약간의 복잡성만으로 각각의 절연체에 잠금 고정될 수 있고 그와 동일하게 간단히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커넥터 모듈은 두 단부면 에 각각 하나의 고정 러그를 포함하고, 이들 고정 러그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정합측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부("챔퍼")를 가질 수 있다. 모듈의 두 고정 러그는, 결과적으로 파지 프레임 내에서 각각의 커넥터 모듈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예컨대 그 형태 및/또는 그 크기의 측면에서, 특히 그 길이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 러그들은 그 형태 및/또는 크기에 의해, 파지 프레임 내 모듈들의 배향을 위한 코딩 수단으로서, 요컨대 분극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확한 분극은 접지 개념의 정확한 구현을 위해서도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2개의 상이한 고정 러그를 통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의 분극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예컨대 커넥터 모듈의 두 기본 커넥터 중 일측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이 각각의 접촉 스프링을 통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동일한 커넥터 모듈의 타측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은 목표한 대로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접지 개념도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잘못된 배향으로 파지된(즉, "잘못 분극된") 커넥터 모듈에 의해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러그들의 언급한 분극 작용이 없으면, 의도한 차폐 개념은, 그 접지가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공된 접지 개념에 따르는 정합 커넥터와 정합될 때, 상황에 따라 심지어 상당히 손상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최종적으로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과 그 상대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 간에도 통상적으로 차폐 전달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한 바람직한 구성에서, 기본 커넥터들은, 본 적용을 위해 비록 본 발명에 따라 쌍을 이루어 언급한 커넥터 모듈의 구성요소로서 그의 절연체 내에 파지되어 있기는 하나, 원칙적으로 개별적으로, 다시 말해 절연체 없이도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의 바깥쪽에서 독립적인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별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개별 커넥터들이다. 그렇게 하여, 상기 기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 비용 효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배치 개수(batch number)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전술한 커넥터 모듈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접촉 스프링이 이를 위해 잠금 해제되어 제거될 필요 없이, 기본 커넥터들이 큰 복잡성 없이 절연체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접촉 스프링의 접촉 설부는 바람직하게 정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로써 각각의 기본 커넥터를 당겨 빼낼 때 불리한 방식으로 기울어짐 없이 접촉 스프링의 탄성 특성을 기반으로 반동할 수 있다.
기본 커넥터는 특히 원형 커넥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은 이른바 "M12" 원형 커넥터일 수 있으나, 또 다른 원형 커넥터, 다시 말해 나사산 크기가 다른 원형 커넥터, 예컨대 이른바 "M8" 원형 커넥터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M"이란 용어는, 필요한 경우 상기 원형 커넥터의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이 이른바 "미터법(metric)" 나사산임을 의미하며, 각각의 나사산의 지름은 정수 미터법 단위(이 경우 밀리미터)로 표시될 수 있다. M12 나사산은 통상적으로 그 지름이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M8 나사산은 일반적으로 그 지름이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예컨대 인치 단위로 표시될 수 있는 다른 지름의 원형 커넥터도 기본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원형 커넥터로서 형성된 기본 커넥터는 예컨대 X자형(즉, "십자형") 또는 Y자형 차폐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X자형 형태의 경우, 차폐 요소는 이른바 "차폐 크로스(shield cross)"이다.
상기 두 유형의 차폐 요소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X자형 차폐 요소의 경우, 차폐 크로스는 통상적으로 상호 대칭으로 배치된 4개의 차폐 벽부를 가지며, 이들 차폐 벽부는 단면으로 볼 때 그의 인접한 차폐 벽부에 대해 각각 직각을 형성하고, 통상 정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공통 단면 축(section axis)을 갖는다. 그에 반해, Y자형 차폐 요소의 경우, 2개의 차폐 벽부가 바람직하게 예각을 형성하고, 제3 차폐 벽부는 상기 2개의 차폐 벽부 각각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며, 다시 말해 이들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차폐 요소는 통상적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콘택 캐리어의 상응하는 X자형, 즉 십자형, 또는 Y자형 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예컨대 가압 다이캐스팅 방법, 예컨대 아연 가압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X-코딩된 차폐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상기 십자형 수용부를 가진 콘택 캐리어들은 그에 상응하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의 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이들 세그먼트 각각은 특히, 예컨대 바람직하게 함께 차동 신호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는 각각 2개의 정합 콘택의 수용을 위한 각각 2개의 접촉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차폐 요소, 예컨대 언급한 차폐 크로스는 특히 차폐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차폐 하우징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경우에 따라 차폐 요소가 연결될 수 있는 차폐 하우징은, 자체적으로 차폐물, 예컨대 기본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의 차폐물에 대한 직접적인 전기 접지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차폐 하우징은, 커넥터와 정합된 정합 커넥터의 추가 차폐 하우징에 대한 자체의 전기 전도성 연결부를 통해서도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도 그 고유의 접지 연결부를 통해, 또 다른 커넥터 모듈, 특히 이들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고 특히 큰 PE 라인 단면을 갖는 PE 모듈을 통해, 그리고/또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한 대안적인 구성에서, 기본 커넥터들은 접지에 연결되어야 할 수도 있는 차폐 크로스를 갖지 않는다.
그에 상응하게, 기본 커넥터의 콘택 캐리어도 십자형 수용부를 갖지 않는다. 이 콘택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정합 콘택을 수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복수개, 예컨대 5개의 정합 콘택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 및 변형 완화를 위해, 기본 커넥터들은, 기본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이 나사 결합되거나 압착 결합(crimping)될 수 있는 각각 하나의 케이블 콘센트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도, 예컨대 케이블의 차폐 브레이드와 각각의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 사이에 접지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예시는, 개별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기 유형의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구비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더 큰 전기 설비들의 전기 접지가 얼마나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에 상응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각각의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으로부터 기본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의 별도의 전기적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능성을 통해 특히 사용자 친화적으로 복잡하지 않게 가능한 것처럼, 상기 설비의 개별 접지된 요소들 상호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유연하면서 복잡하지 않은 가능성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1b는 비조립 상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2b는 제1 또는 제2 커넥터 모듈의 각각 하나의 절연체 및 2개의 접촉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3b는 접촉 스프링의 두 가지 다른 도면이다.
도 4a, 4b는 각각 조립된 상태의 두 커넥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정합되지 않은 상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5b는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단순화된 개략적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는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요소의 상이한 도해는 상이한 비율로 도시되었을 수 있다.
"좌측", "우측", "위쪽" 및 "아래쪽"과 같은 방향 지시어는 개별 도면과 관련해서 이해되어야 하며, 도시된 대상과 비교하여 개별 도해에서 다를 수 있다.
도 1a 및 1b에는, 비조립 상태의 제1 또는 제2 커넥터 모듈의 일부 기본 구조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면(15) 및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18)을 가진,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절연체(1, 1')가 속하며, 도면에서는 항상 상기 단부면들 및 측면들 중 하나의 단부면(15) 및 측면(18)만 확인되는데, 그 이유는 맞은편의 단부면(15) 또는 측면(18)은 각각 절연체(1) 자체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후속하여 도시되는 2개의 독립 기본 커넥터(2, 2')의 구성 요소인, 커넥터 모듈의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인 2개의 차폐 하우징(20, 20'); 및 절연체(1, 1') 상에 협폭측에 잠금 고정될 수 있는, 요컨대 잠금 리세스(13, 13')에 잠금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접촉 스프링(3);이 도시되어 있다. 접촉 스프링들(3) 각각은 내부 접촉 설부(315)를 가지며, 이 내부 접촉 설부로써 접촉 스프링은, 절연체(1, 1')의 수용 개구(120, 120') 내에 배치된 차폐 하우징(2, 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단부면(15, 15')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린다.
그 외에도, 각각의 절연체(1, 1')는 서로 대향하는 두 협폭측(15, 15')에 각각 하나의 고정 러그(14, 14')를 가지며, 상기 두 고정 러그(14, 14')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미도시) 내에 커넥터 모듈을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각각의 절연체(1, 1')의 두 고정 러그(14, 14')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1, 1')의 올바른 분극, 즉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이를 통해, 두 차폐 하우징(2, 2') 각각이 궁극적으로 커넥터 내의 올바른 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에 접촉 스프링(3)이 잠금 고정될 때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대한 전기 접지 연결이 올바르게 수행되는 점이 보장된다. 그에 따라, 정합된 상태에서 계획된 접지 개념도 유지되는 점이 보장된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차폐 하우징(20, 20')이 이미 수용 개구(120, 120')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도, 접촉 스프링(3)은 수동으로 매우 용이하게 절연체(1, 1') 상에 잠금 고정 및 그로부터 잠금 해제(즉, 클립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렇게, 커넥터는 약간의 복잡성만으로 접지 개념에 맞춰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지 개념은 약간의 복잡성만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특히 정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설부(315)를 통해, 접촉 스프링(3)이 이미 잠금 고정되었을 때, 차폐 하우징(2, 2')도 절연체(1, 1')의 수용 개구(12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는 점도 명백해진다.
따라서 조립 복잡도가 매우 낮고 조립이 매우 유연하다. 절연체(1, 1')는 바람직하게 이미 클립 방식으로 결합된 접촉 스프링(3)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접촉 스프링(3)은 최종적으로 복잡하지 않게 제거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이는 추후에, 즉, 예컨대 접지 개념이 변경되어야 하고 특정 차폐 하우징(2, 2')이 더 이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미도시)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할 때 비로소 수행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는, 각각의 절연체(1, 1')가 두 잠금 스프링(3)과 함께 도시되어 있고 상세하게 식별되어 있다. 절연체(1, 1')는 정합측에, 다시 말해 여기서는 좌측에 도시된 측에 각각 하나의 정합 영역(11, 11')을 갖고; 연결측에, 다시 말해 케이블 연결측에 연결 영역(12, 12')을 갖는다.
잠금 스프링(3)은 언급한 내부 접촉 설부(315)를 갖고, 이 접촉 설부로써 잠금 스프링은 잠금 고정된("클립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린다.
내부 접촉 설부(315)의 맞은편에서, 접촉 스프링(3)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각각의 차폐 하우징(2, 2')을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외부 접촉 설부(316)를 갖는다.
이제 두 접촉 스프링(3) 중 하나가 클립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절연체(1, 1') 상에 전혀 잠금 고정("클립 결합")되지 않으면, 각각의 협폭측(15, 15')에 배치된 각각의 차폐 하우징(2, 2')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대한 직접적인 전기 접지 연결을 거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언급한 분극 보호도, 이미 언급한 것처럼, 각각의 차폐 개념의 올바른 구현의 보장을 위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연체(1, 1')의 잠금 리세스(13, 13')는 단부면(15, 15')의 표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측면(18, 18')의 표면 내부로도 연장된다는 것도 명백해진다. 이 영역에서 절연체(1, 1')는 각각 하나의 잠금 에지(131)를 가지며, 이 잠금 에지의 뒤로 접촉 스프링(3)이 그의 잠금 아암(31)으로써 잠금 고정된다.
도 3a 및 3b에는 상기 접촉 스프링(3)이 두 가지 상이한 도면으로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접촉 스프링(3)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처럼, 비용 효과적으로 복잡하지 않게 탄성 판금으로 형성된 스탬핑 굽힘 부품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재료 및 제조 방법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절연체(1, 1')에 대한 특히 우수한 형상 결합식 파지 및/또는 차폐 하우징(20, 20')에 대한 특히 큰 전기 접촉면 및 그에 따른 특히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사출 성형 중에 두께 및 형상의 측면에서 절연체(1, 1') 및/또는 차폐 하우징(20, 20')의 기설정된 형상에 맞게 특히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는 탄성 및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접촉 스프링(3)은 평평한 본체(35)를 갖는다. 이러한 본체(35)로부터 내부 접촉 설부(315) 및 외부 접촉 설부(316)가 천공되고 본체(35)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러진다. 또한, 접촉 스프링(3)은 먼저 본체(35)의 평면에서 연장되고 본체(35)로부터 직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잠금 아암(31)을 가지며, 이들 잠금 아암의 단부들은 잠금 굽힘에 의해 만곡되어 잠금 후크(313)를 형성한다.
도 4a, 4b 및 4c에는, 완전히 조립된 커넥터 모듈(1, 1')이 도시되어 있고, 이들 커넥터 모듈 상에는 협폭측에서 접촉 스프링(3)이, 이 접촉 스프링의 잠금 후크(313)가 커넥터 모듈의 잠금 에지(131)에 잠금 고정됨으로써, 잠금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 모듈(1, 1')은, 각각의 절연체(1, 1')의 수용 개구(120, 1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각각 2개의 기본 커넥터(2, 2')를 갖는다.
그 외에도 도면에는, 두 커넥터 모듈의 길이(L, L') 및 그 단부면(15)의 폭(B15)과 그 측면(18)의 폭(B18)이 표시되어 있다. 측면(18)의 폭(B18)이 단부면(15)의 폭(B15)보다 더 큰 것은 명백하다. 또한, 각각 동시에 단부면(15, 15') 및 측면(18, 18')의 길이를 나타내는 모듈의 길이(L, L')가 단부면(15, 15')의 폭(B15)보다 더 큰 것도 잘 확인할 수 있다. 두 커넥터 모듈(1, 1')의 폭(B15 및 B18)은 호환성을 이유로 서로 일치한다. 상기 길이(L, L')는 서로 다를 수 있지만,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에는, 명시적으로 방향이지만 배향은 아닌 정합 방향(S)도 표시되어 있다. 이 정합 방향(S)으로, 도시된 두 커넥터 모듈(1, 1')이 서로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1, 1')의 길이(L, L')는 각각 정합 방향(S)으로 측정되고, 단부면 및 측면의 각각의 폭(B15, B18)은 정합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다.
두 절연체(1, 1') 각각은 2개의 고정 러그(14, 14'), 요컨대 광폭 고정 러그(14)와 협폭 고정 러그(14')를 가지며, 다시 말해 이들 고정 러그는 그 폭이 서로 상이하다.
그렇게 하여, 예컨대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1, 1'); 및 고정 러그에 정합되는 수용부, 예컨대 윈도우 또는 리세스;의 올바른 배향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유연한 접지 개념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다중 접지가 방지되어야 한다면, 예컨대 도시된 두 커넥터 모듈(1, 1')의 경우, 각각, 협폭 고정 러그(14')를 가진 협폭측(15, 15')에 위치하는 접촉 스프링(3)은 제거될 수 있는 반면, 광폭 고정 러그(14)를 가진 협폭측(15, 15')에는 접촉 스프링(3)이 잠금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적어도 커넥터 모듈(1, 1')에 의해, 정합된 상태에서도 다중 접지가 발생하지 않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도 5a 및 5b에는 두 커넥터 모듈이 각각의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하고 설명한 구성요소(1, 1', 14, 14', 3, 20, 20') 외에, 여기서는 특히 기본 커넥터의 추가 구성요소, 요컨대 차폐 하우징(20, 20')에 추가로 각각, 미도시된 복수의 정합 콘택이 수용되는 콘택 리셉터클을 구비한, 상기 차폐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콘택 캐리어(24, 24')가 설명된다. 또한, 기본 커넥터(2) 각각은 굽힘 방지부(270)와 케이블 글랜드(276)로 구성된 케이블 콘센트(27)를 갖는다.
1, 1': 절연체
11, 11': 정합 영역
12, 12': 연결 영역
120, 120': 수용 개구
13, 13': 잠금 수단, 잠금 리세스
131: 잠금 에지
14, 14': 고정 러그
15: 단부면
150: 접촉 윈도우
18: 측면
B15: 단부면의 폭
B18: 측면의 폭
L, L': 각각의 절연체/단부면 및 측면의 길이
S: 정합 방향
2, 2': 기본 커넥터
20, 20': 차폐 하우징
24, 24': 콘택 캐리어
27: 케이블 콘센트
270: 굽힘 방지부
276: 케이블 글랜드
3: 접촉 스프링
31: 잠금 아암
313: 잠금 후크
315: 내부 접촉 설부
316: 외부 접촉 설부
35: 본체

Claims (15)

  1.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의 수용 및 고정을 위한 커넥터 모듈이며, 이 커넥터 모듈은:
    a. 실질적으로 직육면체형인 절연체(1, 1')를 포함하며, 이 절연체는:
    ◈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놓인 2개의 단부면(15, 15')으로서,
    Figure pct00001
    길이(L, L') 및 폭(B15, B15')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본 형상을 가지고, 정합 방향(S)으로 연장되는 그 길이(L, L')는 그 폭(B15, B15')을 초과하며,
    두 단부면(15, 15') 상에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각각 하나의 고정 러그(14, 1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두 고정 러그(14, 14')는,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서 커넥터 모듈(1, 1')의 올바른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그 크기 및/또는 형상이 서로 상이한, 2개의 단부면(15, 15');
    ◈ 상기 단부면(15, 1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여 놓인 2개의 측면(18, 18')으로서,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두 단부면(15, 15')보다 더 넓은, 2개의 측면(18, 18'); 및
    ◈ 상기 절연체(1, 1')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연결 영역(12, 12');
    ◈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여 놓인, 절연체(1, 1')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정합 영역(11, 11');
    ◈ 상기 정합 영역(11, 11')과 상기 연결 영역(12, 12')을 연결하는 2개의 연속 수용 개구(120, 120')로서,
    이들 중 각각 하나의 수용 개구(120, 120')는 두 단부면(15, 15') 중 각각 하나에서 정합 방향(S)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2개의 연속 수용 개구(120, 120'),
    ◈ 절연체(1, 1') 상에 바깥쪽으로부터 단부면에 잠금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접촉 스프링(3)의 잠금 고정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잠금 수단(13, 13'); 및
    ◈ 두 단부면(15, 15') 중 각각 하나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2개의 접촉 윈도우(150);를 포함하며,
    b. 2개의 기본 커넥터(2, 2')를 포함하며, 이들 중 각각 하나는 절연체(1, 1')의 각각 하나의 수용 개구(120, 120') 내에 수용되어 파지되어 있거나, 적어도 수용되어 그 안에 파지될 수 있고, 상기 두 기본 커넥터(2, 2') 각각은 적어도:
    ◈ 자체의 차폐 하우징(20, 20'), 및
    ◈ 상기 차폐 하우징(20, 2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 콘택을 가지며,
    그리고
    c. 상기 절연체(1, 1') 상으로 바깥쪽으로부터 단부면에 잠금 고정될 수 있는 상기 두 접촉 스프링(3, 3')을 포함하며, 이들 접촉 스프링은 각각 적어도:
    ◈ 접촉 스프링(3)이 그의 잠금 고정 상태에서, 각각의 기본 커넥터(2, 2')의 차폐 하우징(20, 20')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각각의 단부면(15, 15')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리는 데 사용하는 내부 접촉 설부(315) 및
    ◈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의 전기 접촉을 위한 외부 접촉 설부(316)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절연체(1, 1')의 표면 내에 잠금 리세스(13, 13')로서 형성되고, 이들 잠금 리세스(13, 13')는 절연체(1, 1')의 측면(18, 18') 내부로 연장되는, 커넥터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연체(1, 1')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체(1, 1')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접촉 스프링(3)은 스탬핑 굽힘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탄성 판금으로 구성되며, 차폐 하우징(20, 20')은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인 기본 형상을 가지고 금속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커넥터(2, 2')는 절연체(1, 1')의 수용 개구(120, 120') 내에 잠금 고정되어 있거나, 적어도 잠금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커넥터(2, 2')는 원형 커넥터인, 커넥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기본 커넥터(2, 2')는 각각 M12 커넥터이고, 이들 M12 커넥터 각각은 8개의 정합 콘택을 포함하며, 이들 정합 콘택에 의해 차동 신호 전송을 위해 제공되는 4개의 콘택 쌍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콘택 쌍은 서로에 대해 차폐 크로스에 의해 차폐되며, 이 차폐 크로스는 접지 연결을 위해 M12 커넥터의 차폐 하우징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며,
    A. 연결 영역측에서 상기 커넥터 모듈의 두 수용 개구(120, 120') 내로 두 기본 커넥터(2, 2')를 삽입하는 단계;
    B. 절연체(1, 1') 상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접촉 스프링(3)을 단부면에 잠금 고정하되, 상기 각각의 접촉 스프링(3)이 그의 내부 접촉 설부(315)로써 절연체(1, 1')의 각각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리는 단계;
    C. 각각의 접촉 스프링(3)의 내부 접촉 설부(315)에 의해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본 커넥터(2, 2')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20, 20')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의 제조 방법.
  9.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및 이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에 의해 파지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이며, 두 접촉 스프링(3)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체(1, 1')의 단부면에 잠금 고정되며, 한편으로는 그의 내부 접촉 설부(315)로써 각각의 단부면(15)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리고, 상기 단부면(15, 15') 상에 배치된 기본 커넥터(2, 2')의 차폐 하우징(20, 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접촉 스프링(3)은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외부 접촉 설부(316)로써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은 추가로 별도의 접지 케이블을 위한 별도의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
  11.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하우징; 및 이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12. 제9항에 따른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며,
    A. 연결 영역측에서 절연체(1, 1')의 두 수용 개구(120, 120') 내로 두 기본 커넥터(2, 2')를 삽입하는 단계;
    B. 절연체(1, 1') 상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접촉 스프링(3)을 단부면에 잠금 고정하되, 상기 각각의 접촉 스프링(3)이 그의 내부 접촉 설부(315)로써 절연체(1, 1')의 각각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리는 단계;
    C. 각각의 접촉 스프링(3)의 내부 접촉 설부(315)에 의해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본 커넥터(2, 2')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20, 20')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
    D.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 내에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는 단계; 및
    E.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을 통해 상기 커넥터 모듈을 파지하는 단계; 그리고 이때
    F. 각각의 접촉 스프링(3)을 통해 이 접촉 스프링의 외부 접촉 설부(316)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그렇게 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상기 커넥터 모듈의 각각의 차폐 하우징/차폐 하우징들(20, 20') 간의 전기 접지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러 시스템의 제조 방법.
  13.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인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커넥터 모듈의 절연체(1, 1') 내에 배치된 기본 커넥터(2, 2')의 차폐 하우징(22, 22')의; 전기 접지 연결을 위한 접촉 스프링(3)이며, 이 접촉 스프링(3)은 적어도:
    ◈ 절연체(1, 1')의 접촉 윈도우(150)를 통과하여 맞물리고 차폐 하우징(22, 2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내부 접촉 설부(315);
    ◈ 상기 커넥터 모듈러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외부 접촉 설부(316);
    ◈ 평평한 본체(35)로서, 이 본체로부터 내부 접촉 설부(315) 및 외부 접촉 설부(316)가 펀칭되고, 상기 본체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설부들이 구부러지는, 평평한 본체(35); 및
    ◈ 처음에 본체(35)의 평면 내에서 연장되다가 본체(35)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으로 돌출되는 2개의 잠금 아암(31)으로서, 이들 잠금 아암의 단부들은, 절연체(1, 1') 상에 접촉 스프링(3)을 클립 방식으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 굽힘에 의해 만곡되어 잠금 후크들(313)을 형성하는, 2개의 잠금 아암(31);을 포함하는, 접촉 스프링(3).
  14. 제13항에 있어서, 접촉 스프링(3)은 스탬핑 굽힘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탄성 판금으로 구성되는, 접촉 스프링(3).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접촉 설부(315)는 조립된 상태에서 정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스프링(3).
KR1020247015282A 2021-10-12 2022-09-28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687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6400.6A DE102021126400A1 (de) 2021-10-12 2021-10-12 Steckverbinder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21126400.6 2021-10-12
PCT/DE2022/100722 WO2023061530A1 (de) 2021-10-12 2022-09-28 Steckverbinder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795A true KR20240068795A (ko) 2024-05-17

Family

ID=836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5282A KR20240068795A (ko) 2021-10-12 2022-09-28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291193A1 (ko)
EP (1) EP4416801A1 (ko)
KR (1) KR20240068795A (ko)
CN (1) CN118077107A (ko)
DE (1) DE102021126400A1 (ko)
WO (1) WO2023061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12694A (zh) * 2024-07-01 2024-07-30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型汽车线束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1998U1 (de) 1996-02-06 1996-04-04 Harting Elektronik Gmbh, 32339 Espelkamp Modularer Steckverbinder
DE19707120C1 (de) 1997-02-22 1998-06-25 Harting Kgaa Halterahmen
EP1026788A1 (en) 1999-02-04 2000-08-09 Raychem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DE20205787U1 (de) 2002-04-13 2002-07-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32339 Espelkamp Modularer Steckverbinder
DE20214132U1 (de) 2002-09-12 2002-12-0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32339 Espelkamp Steckverbindermodul
DE202005020026U1 (de) 2005-12-22 2006-03-1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ermodule
US8668530B2 (en) 2009-12-09 2014-03-1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ystem plug connector
KR101119713B1 (ko) 2009-12-09 2012-03-22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어댑터 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DE202011050643U1 (de) 2011-07-06 2011-08-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modul
DE102012107270A1 (de) 2012-08-08 2014-02-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Gehäuse mit einem RFID-Transponder
DE202012010735U1 (de) 2012-11-12 2012-12-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DE102012110907B4 (de) 2012-11-13 2019-06-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zur Halterung von Steckverbindermodulen
ITMI20130462A1 (it) 2013-03-27 2014-09-28 Westec S R L Struttura di telaio di supporto per connettori modulari.
DE102013106279A1 (de) 2013-06-17 2014-12-1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module
DE102013108383C5 (de) 2013-08-05 2023-04-27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modul
DE202013103611U1 (de) 2013-08-12 2013-09-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
DE102013113975B4 (de) 2013-12-12 2018-09-2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5103563B4 (de) * 2015-03-11 2020-08-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Halterahmen zum Aufnehmen von modularen Kontakteinsätzen
EP3067993B1 (de) 2015-03-11 2019-0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Halterahmen zum aufnehmen von modularen kontakteinsätzen
DE102015104562B4 (de) 2015-03-26 2018-12-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Halterahmen und Steckverbinder mit Halterahmen für ein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DE102015106416B3 (de) 2015-04-27 2016-06-0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arer Steckverbinder
DE102015114703B4 (de) 2015-09-03 2020-03-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module
DE102016116926A1 (de) 2016-09-09 2018-03-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Überspannungsschutzmodul für einen modularen Steckverbinder
CN107910680B (zh) 2017-11-30 2023-09-01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一种多针结构的电磁屏蔽连接器模块
CN207559193U (zh) 2017-12-25 2018-06-29 资阳中车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机车通信总线连接器的屏蔽结构
DE102018108968A1 (de) 2018-04-16 2019-10-1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Geschirmtes Steckverbindermodul für einen modularen Industriesteckverbinder
DE102018122848A1 (de) 2018-09-18 2020-03-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element zur Aufnahme in einem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9101822B4 (de) 2019-01-25 2022-03-31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Schutzkontaktstecker
DE102020107725B3 (de) 2020-03-20 2021-05-2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Geschirmtes Steckverbindermodu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12694A (zh) * 2024-07-01 2024-07-30 长春市博明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改进型汽车线束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77107A (zh) 2024-05-24
DE102021126400A1 (de) 2023-04-13
US20240291193A1 (en) 2024-08-29
WO2023061530A1 (de) 2023-04-20
EP4416801A1 (de) 202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365B1 (en) Electrical plug and jack assembly
US7025636B2 (en) Adapto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CN100440638C (zh) 连接装置
US20050064752A1 (en) Ruggedized ethernet connector assembly
US7632142B2 (en)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US6450834B1 (en) Panel mount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074080B1 (en)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CA2965885C (en) Twist-lock electrical connector
CN110651401B (zh) 插接连接器模块
US5993266A (en) Key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68795A (ko) 커넥터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13841302A (zh) 用于屏蔽混合触头组件的触头载体及插接连接器
US6305961B1 (en) EMI gasket for connector assemblies
CN114731015A (zh) 用于插接连接的安装壳体
CN101971434B (zh) 连接器护盖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JPH0652921A (ja) ロック自在の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004795B2 (en) Powerpo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thereof
US20230114787A1 (en) Shielded Plug Connector Module
CN112514173B (zh) 模块化的插接连接器系统
WO2007097746A1 (en) Adapte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EP3451460A1 (en) Modular plug provided with metal shielding cover, and communication cable
KR20230031934A (ko) 데이터 전송 모듈
US20240235091A1 (en) Insulating body for screw and crimp contacts
US20240186748A1 (en)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