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272A -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272A
KR20240068272A KR1020220149491A KR20220149491A KR20240068272A KR 20240068272 A KR20240068272 A KR 20240068272A KR 1020220149491 A KR1020220149491 A KR 1020220149491A KR 20220149491 A KR20220149491 A KR 20220149491A KR 20240068272 A KR20240068272 A KR 2024006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profile
account
terminal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기
박지회
김윤진
고남희
김혜선
장보영
지승용
황재익
방선제
추지온
이혜미
이신영
정승욱
손은호
서상민
최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US18/505,00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63234A1/en
Priority to JP2023192222A priority patent/JP2024070260A/ja
Publication of KR2024006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Abstract

단말의 동작 방법은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 및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단말의 화면에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좌표에 기초하여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METHOD OF DISPLAYING PROFILE VIEW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아래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등장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복수의 사용자가 채팅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채팅방 내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채팅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진화되고 있다. 특히,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단순히 프로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 이상으로 각 사용자를 표현하는 프로필 뷰의 활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프로필 뷰의 활용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및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단말의 화면에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좌표에 기초하여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은 다른 계정이 제1 아이템이 터치(또는 클릭)된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 또는 프로필의 조회수를 지시하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은 감정을 지시하는 이모티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을 터치한 개수를 증가시키고,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는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이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제1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미리 결정된 제2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제1 좌표에서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좌표는 제2 좌표보다 수직 방향으로 위에 위치하고, 제1 좌표와 제2 좌표의 x축 좌표는 동일하며, 제2 좌표는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좌표에서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이모티콘을 변화시켜가면서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은 텍스트, 슬라이더 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슬라이더 포인터,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2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서 슬라이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슬라이더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는 이모티콘이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좌표는 프로필 뷰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의 x축 중간 및 화면의 y축 중간에 표시되도록 결정된 좌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슬라이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가 이동할수록 슬라이더 바의 가로폭은 유지하고 세로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슬라이더 포인터의 이동 정도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슬라이더 입력이 종료된 경우, 슬라이더 포인터에 다른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들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프로필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필 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필 뷰들마다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친구 목록 화면에서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프로필 뷰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 터치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프로필 뷰에 표시된 제2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뷰에 제2 아이템 선택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과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인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과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인 이모티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내지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업데이트가 친구 목록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에서 제1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들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에서 제2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들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을 위한 계정을 생성하고,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계정은 예를 들어, 공식 계정 및 개인 계정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계정은 일반적인 개인 사용자들을 위한 계정이다. 공식 계정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연계된 추가적인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한 계정으로, 예를 들어 기업 사용자를 위한 기업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기업 사용자 및 개인 사용자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client)를 대상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해당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텍스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기능, 멀티미디어 컨텐츠(음성, 사진 동영상 등)를 전송하는 기능, 메시지 알림 기능, 및 일정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컴퓨터, 데이터 베이스, 모듈 또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또는 제1 계정) 및 제2 사용자(또는 제2 계정)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개인 계정을 갖는 개인 사용자일 수도 있고, 또는 공식 계정을 갖는 기업 사용자일 수도 있다.
제1 사용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은 예를 들어,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 박스(black box)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서비스 서버(100)와 관련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과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PC(Personal Computer) 환경은 물론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프로필 뷰(profile view)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필 뷰'는 사용자의 프로필을 표현하는 서비스 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아래 도 2a의 프로필 뷰(200)와 같이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필 뷰는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프로필 이미지 및 프로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는 단순히 프로필 이미지와 프로필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해당 사용자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프로필 배경이나 프로필 아이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 뷰는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필 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필 아이템(들)을 일괄적으로 자신의 프로필 뷰에 적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편집 뷰를 통하여 사용자는 프로필 뷰에 적용된 프로필 아이템(들)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복수의 프로필 아이템들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은 예를 들어, 프로필 뷰를 통해 표시되는 음악 아이템, 로고 아이템, 스티커 아이템, 텍스트 아이템, 링크 아이템, 배경 효과 아이템, 디데이 아이템, 배경 이미지 아이템, 배경 동영상 아이템 및 피드백 아이템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아이템은 예를 들어, 프로필 뷰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의 플레이리스트(playlist) 및 플레이리스트의 표시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다른 계정이 제1 아이템을 터치한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 또는 프로필의 조회수를 지시하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프로필 뷰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편집하는 편집 뷰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뷰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프로필 뷰에 적용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계정과 제2 계정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계정은 프로필 뷰의 주인이 되는 계정이고, 제2 계정은 제1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제1 계정과 상호 작용하는 모든 계정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계정은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제1 계정과 제2 계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은 서버 또는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동작들은 하나의 동작 주체에 한정되어 수행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 및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11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 및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은 xy 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가로축은 x축이고 화면의 세로축은 y축일 수 있다. 단말은 화면의 좌표계에 기초하여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좌표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필 아이템이 화면에서 표시될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은 선택된 위치를 화면 좌표계의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좌표를 서버로 전송하여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서버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아이템이 표시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계정에 대응하는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프로필 아이템 선택 결과 및 프로필 아이템이 표시될 위치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필 아이템 및 프로필 아이템이 프로필 뷰에서 표시될 위치(예,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단말은 프로필 아이템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입력은 클릭, 더블 클릭, 롱 클릭, 연속 클릭, 터치, 더블 터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터치, 일정시간 동안 프로필 아이템을 터치하고 있는 경우, 스와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작용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은 아이템의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계정이 공감의 표시를 할 수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화면에서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감정에 공감하기 위하여 제1 아이템을 터치(또는 클릭)할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공감의 정도가 클수록 제1 아이템을 복수회 터치(또는 클릭)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이템 터치(또는 클릭)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공감의 정도가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은 감정을 지시하는 이모티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은 제1 아이템이 터치(또는 클릭)된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아이템(210)에 포함된 이모티콘(211)은 제3 아이템(212)과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도 2a에서 제3 아이템(212)은 제1 아이템(210)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아이템(310)에 이모티콘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이템(310)과 나란히 제3 아이템(3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이템(310)과 제3 아이템(320)은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은 슬라이더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계정이 공감의 표시를 할 수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슬라이더는 사용자로 하여금 슬라이더 포인터 조작을 통해 미리 정해진 범위의 숫자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제2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화면에서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제2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감정에 공감하기 위하여 제2 아이템을 이용하여 공감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공감의 정도가 클수록 제2 아이템에 포함된 슬라이더 포인터를 이동시켜 큰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아이템에 포함된 슬라이더 포인터가 우측에 위치할수록 공감의 정도가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포인터의 초기 위치는 슬라이더 바의 좌측 끝단일 수 있다.) 공감의 정도를 표현하기 위한 방향(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은 텍스트, 슬라이더 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슬라이더 포인터,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아이템(410)에는 프로필 뷰(400)에서 텍스트(420), 슬라이더 포인터(430) 및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431)이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420)는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텍스트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텍스트를 통해 표현한 감정 상태는 " 매일 매일 행복해"일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표시된 텍스트(420)를 보고 공감을 할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공감을 제1 계정에게 전달하기 위해, 슬라이더 포인터(430)를 좌측에서 우측(예,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포인터(430)의 이동 정도는 공감의 정도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430)를 많이 이동시킬수록 더 큰 공감의 표시를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에게 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다른 계정에 대응하는 단말의 화면에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좌표에 기초하여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12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단말의 화면에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좌표에 기초하여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가 편집 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이 표시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정의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서버(또는 해당 계정의 단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또는 다른 계정의 단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를 조회하는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단말의 화면에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120)는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이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를 조회하여, 다른 계정의 단말의 화면에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가 표시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은 다른 계정이 제1 아이템이 터치(또는 클릭)된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 또는 프로필의 조회수를 지시하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아이템은 제1 아이템이 다른 계정에 의하여 터치(또는 클릭)된 개수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제4 아이템은 다른 계정이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계정의 프로필을 조회한 개수를 표시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아이템은 하루 동안 다른 계정이 해당 계정의 프로필을 조회한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다른 계정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130)할 수 있다. 서버는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필 아이템 선택 개수(예, 다른 계정들에 의해 제1 아이템에 선택된 개수), 프로필 아이템 선택 시간(예, 제1 아이템이 선택된 시간),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 정보(제1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에 표시된 프로필 아이템을 통하여 공감을 제1 계정에게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한 다른 계정의 사용자의 행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을 적어도 한 번 이상 터치(또는 클릭)함으로써 공감 및 공감의 정도를 해당 계정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다른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에 표시된 제2 아이템의 슬라이더 포인터를 이동시켜 공감 및 공감의 정도를 해당 계정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시각 효과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시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에 시각 효과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서버와의 통신 없이,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는 단말에서 시각 효과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시각 효과는 프로필 아이템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서버는 프로필 아이템 및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시각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시각 효과는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이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에게 공감을 전달했을 때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고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에서 나타나는 시각 효과일 수 있다.
시각 효과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프로필 뷰에 제공되는 프로필 아이템을 이용하여 계정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공감 표시를 전송할 수 있고, 공감 표시를 수신한 계정의 사용자는 공감을 전송한 계정 목록을 볼 수 있다. 공감 표시를 수신한 계정의 사용자는 해당 계정 목록에서 선택한 계정에게 공감을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필 뷰에 제공되는 프로필 아이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프로필 뷰에 표시된 각자의 감정 상태에 공감을 함으로써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공감에 기반한 상호 작용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은 더욱 더 큰 내적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계정에 복수개의 프로필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프로필들은 멀티 프로필이라 명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프로필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필 뷰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들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프로필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필 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필 뷰들마다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필 뷰들마다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필 아이템은 제1 아이템, 제2 아이템, 제3 아이템 또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들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프로필들 각각에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또는 단말)는 계정A에 대응하는 프로필A, 프로필B 및 프로필 C 각각에 대하여 프로필 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필A, 프로필B 및 프로필 C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등록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로필A에는 제1 아이템을 등록하고, 프로필 B에는 제2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과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인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는 제1 아이템(210)이 프로필 뷰에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제1 아이템(210)에는 이모티콘(211) 및 제3 아이템(212)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모티콘(211)은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에 따라 이모티콘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필 뷰(200)에 표시된 이모티콘(211)은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프로필 뷰(200)에는 프로필 이미지(220), 계정 이름(221) 및 상태 메시지(222)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필 뷰(200)는 예시일 뿐이며,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210)이 제공된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을 터치(또는 클릭)한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단말은 다른 계정의 사용자로부터 제1 아이템(210)이 제공된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제1 아이템(210)에 제공된 좌표에 200ms 내외 간격으로 복수회 입력된 경우, 단말은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가 사용자에게 복수의 연속된 터치 입력을 허용함으로써, 공감을 표시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격하게 공감하고 싶을 경우, 해당 공감의 표현을 연속된 터치 입력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연속된 터치 입력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제1 아이템을 터치(또는 클릭)해야 하기 때문에 공감을 표시하는데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예, 프로필 뷰(200))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각 효과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이 프로필 뷰에 표시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 효과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이 프로필 뷰에서 깜빡이거나, 움직이거나, 크기가 변화하거나 또는 이모티콘의 투명도가 변화하는 시각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는 제1 아이템(210)에 포함된 이모티콘이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제1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제1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크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거나 일부 이모티콘의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미리 결정된 제2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제2 기준은 서버가 임의로 결정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또는 단말)는 임의로 이모티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이 프로필 뷰에서 표시될 좌표를 미리 결정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시각 효과를 표시하는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미리 결정된 좌표에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각 효과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은 제1 아이템(210)에 포함된 이모티콘(211)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시각 효과는 도 2b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시각 효과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이 프로필 뷰의 특정 위치에서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가 하는 효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2b의 프로필 뷰(201)에서 3개의 이모티콘들(230, 231, 232)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들의 크기, 위치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는 모두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도2c의 프로필 뷰(202)는 도2b의 프로필 뷰(201)의 다음 프레임(예, 다음 시간)에 표시되는 프로필 뷰일 수 있다. 도2c의 프로필 뷰(202)에서는 이모티콘(230)은 해당 좌표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모티콘(231)의 투명도는 높아지면서 점차 프로필 뷰(202)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모티콘(232)은 프로필 뷰(202)에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이모티콘(233, 234)는 미리 결정된 좌표에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서버(또는 단말)는 프로필 뷰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이모티콘들이 표시되었다가 사라지는 시각 효과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에 제공된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 횟수가 증가할수록 프로필 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이 30회 이상 50회 이하인 경우 프로필 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개수는 4개이고,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이 51회 이상 70회 이하인 경우, 프로필 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계정(예, 제2 계정) 사용자의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에 대한 공감의 정도가 커질수록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개수가 늘어나서 공감의 극적 효과를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아이템과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인 이모티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는 제1 아이템(310)이 프로필 뷰에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제1 아이템(310)에는 이모티콘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이템(310)의 터치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320)이 제1 아이템(310) 옆에 표시될 수 있다. 제3 아이템(320)이 표시되는 위치는 예시일 뿐이며, 제1 아이템(310)과 함께 표시되거나 따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프로필 뷰(300)는 예시일 뿐이며,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31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뷰의 제1 좌표에서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모티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310)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310)에 포함된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제1 좌표에서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제1 아이템(310)이 제공된 좌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좌표는 제2 좌표보다 수직 방향으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해당 좌표에 기초하여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 효과는 이모티콘이 상단에서 아래로 떨어지면서 프로필 이미지 뒤로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프로필 뷰(301)에 표시된 제1 좌표(330)는 도 3c의 프로필 뷰(302)에 표시된 제2 좌표(340)보다 위에 있을 수 있다. 화면의 가로축이 x축이고, 세로축이 y축인 경우, 제1 좌표(330)의 x축 좌표와 제2 좌표(340)의 x축 좌표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좌표(330)의 y축 좌표는 제2 좌표(340)의 y축 좌표보다 클 수 있다. 제2 좌표는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이미지(220)가 표시되는 영역에 제2 좌표가 포함될 경우, 이모티콘은 프로필 이미지 뒤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220)가 표시되는 영역에 제2 좌표가 포함됨으로써, 서버(또는 단말)는 이모티콘이 프로필 이미지 뒤로 사라지게 하는 시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좌표는 제2 좌표보다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해당 좌표에 기초하여 이모티콘을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 효과는 프로필 이미지에서 이모티콘이 나와 위로 올라가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이모티콘을 변화시켜가면서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좌표(330)에 표시된 이모티콘과 제2 좌표(340)에 표시된 이모티콘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좌표(330)에 표시된 이모티콘은 위를 바라보며 웃는 이모티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좌표(340)에 표시된 이모티콘은 정면을 바라보며 웃는 이모티콘일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이모티콘을 이동시키면서, 이모티콘이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이모티콘을 변경시킴으로써 이모티콘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또는 단말)는 더욱 동적인 시각 효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의 제2 아이템(410)과 관련된 설명은 도 1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하였으므로 본 도면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2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서 슬라이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슬라이더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각 효과는 이모티콘이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좌표는 서버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한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좌표는 프로필 뷰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의 x축 중간 및 화면의 y축 중간에 표시되도록 결정된 좌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모티콘은 화면의 중간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슬라이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슬라이더 포인터(430)를 좌에서 우로 이동시키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의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430)가 이동할 경우, 이모티콘이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이모티콘과 다른 이모티콘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가 이동할수록 슬라이더 바의 가로폭은 유지하고 세로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슬라이더 포인터(430)는 좌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더 바(440)의 세로폭은 슬라이더 포인터(4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b에서 슬라이더 포인터(4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슬라이더 바(441)의 세로폭이 증가되어 슬라이더 포인터(430)의 직경과 동일해질 수 있다. 슬라이더 포인터(43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슬라이더 바의 세로폭은 유지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숫자 값의 범위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각 효과를 통해 공감을 표시하는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공감의 정도가 커짐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2 아이템을 통한 슬라이더 입력을 마친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미리 결정된 좌표에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또는 단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좌표(460)에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아이템을 통한 슬라이더 입력을 마친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슬라이더 바의 세로폭을 원래의 세로폭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더 포인터를 제1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세로폭을 증가시키고, 슬라이더 포인터의 움직임이 종료된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세로폭을 원래의 길이로 복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슬라이더 입력이 종료된 경우, 슬라이더 포인터에 다른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화면에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402)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필 뷰(402)에는 제2 아이템(410)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사용자는 슬라이더 입력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슬라이더 포인터(430)에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4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제1 아이템(520, 540), 제2 아이템(550) 및 제4 아이템(510, 53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프로필 아이템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 뷰에 표시될 프로필 아이템을 화면(500)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아이템(521, 541)은 제1 아이템과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프로필 아이템을 프로필 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최대 3개의 프로필 아이템만 프로필 뷰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아이템 3개를 프로필 뷰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아이템 1개, 제2 아이템 1개 및 제4 아이템 1개를 프로필 뷰에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을 초과하여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오류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 a내지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업데이트가 친구 목록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친구 목록 화면(600)에서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 근처에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는 친구 목록 화면에서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또는 단말)는는 프로필 이미지로부터 좌측 상단에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친구 목록 화면(600)은 제1 계정의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이미지(610) 근처에 식별자(611)가 표시될 수 있다.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 근처에 표시된 식별자는 해당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아이템 또는 제2 아이템을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이 선택한 경우, 선택 사실을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프로필 이미지(610)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식별자를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는 프로필 이미지(610)가 선택된 경우, 화면을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프로필 뷰는 도 7a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일정 기간(예, 7일) 동안 제1 아이템 또는 제2 아이템의 선택이 없는 경우, 식별자를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다른 계정이 제1 아이템 또는 제2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취소한 경우, 식별자를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의 터치(또는 클릭)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는 제2 아이템의 슬라이더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아이템의 선택 입력 취소는 해당 아이템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 입력 취소 팝업창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에는 확인 버튼과 취소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확인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계정이 해당 계정의 프로필 뷰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예, 터치 입력, 클릭 입력, 슬라이더 입력 등)한 개수가 전체 선택 개수에서 차감될 수 있다. 취소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팝업창이 사라질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식별자가 제거된 후에, 제1 아이템 또는 제2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식별자를 화면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친구 목록 화면(601)에서 해당 계정(예, 제1 계정)과 친구 관계인 다른 계정(예, 제2 계정)들이 표시될 수 있다. 친구 목록 화면(601)에는 친구 관계인 다른 계정들 중 프로필을 업데이트한 다른 계정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이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 제2 아이템, 제3 아이템 또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한 경우, 등록한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 근처에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A, 계정B 및 계정 C가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 제2 아이템, 제3 아이템 또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또는 단말)는 계정A의 프로필 이미지(620) 근처에 식별자(621)를 표시하고, 계정B의 프로필 이미지(630) 근처에 식별자(631)를 표시하고, 그리고 계정C의 프로필 이미지(640) 근처에 식별자(641)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필 뷰에서 제1 아이템, 제2 아이템, 제3 아이템 또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한 계정과 업데이트 되지 않은 계정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식별자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에서 제1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들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는 자신이 프로필 뷰에 등록한 제1 아이템을 터치(또는 클릭)한 다른 계정들의 목록을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화면(700)에서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프로필 뷰에는 제1 아이템(710) 및 식별자(711)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700)은 도 6a에서 프로필 이미지(610)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전환되는 프로필 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템(710)은 제1 아이템이 터치(또는 클릭)된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개수가 215개인 경우, 215가 제1 아이템(71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711)는 계정(예, 제1 계정)이 자신의 프로필 뷰를 열람하거나 제1 아이템 터치 기록을 확인한 후, 제1 아이템이 다른 계정에 의하여 새롭게 터치(또는 클릭)된 기록이 존재할 경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의 예시인 화면(700)에는 프로필 이미지, 프로필 이름, 상태 메시지, 나와의 채팅 오브젝트, 프로필 편집 오브젝트 또는 스토리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나와의 채팅 오브젝트는 채팅방의 참여자가 프로필 뷰의 주인 계정인 채팅방으로 전환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사용자는 나와의 채팅 기능을 통해 채팅방에 자신만이 볼 수 있는 기록을 남길 수 있다. 프로필 편집 오브젝트가 선택된 경우, 화면은 편집 뷰로 전환될 수 있다. 스토리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인스턴스 메시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스토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제1 아이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 터치 기록(72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702)에서는 제1 아이템 터치 기록(720)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아이템 터치 기록(720)은 제1 아이템을 터치한 다른 계정 목록과 각각의 계정이 제1 아이템을 터치한 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A(730)가 제1 아이템(710)을 터치한 횟수(740)는 73일 수 있다. 제1 아이템을 새롭게 터치한 계정이 존재할 경우, 서버는 식별자(741)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B가 새롭게 제1 아이템(710)을 터치한 경우, 서버는 식별자(741)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또는 단말)는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 또는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계정의 프로필뷰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은 해당 계정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는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은 해당 계정의 친구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 계정일 수 있다.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 또는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은 해당 계정에게 공감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 또는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은 제1 아이템 또는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감을 전달할 수 있다. 서버(또는 단말)가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 또는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해당 계정의 프로필뷰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 터치선 기록(720)에 해당 계정이 차단한 계정 또는 해당 계정이 숨김 처리한 계정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뷰에서 제2 아이템을 선택한 계정들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사용자는 자신이 프로필 뷰에 등록한 제2 아이템을 선택한 다른 계정들의 목록을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다. 화면(702)에서는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의 프로필 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프로필 뷰에는 제2 아이템(750) 및 식별자(751)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702)은 도 6a에서 프로필 이미지(610)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전환되는 프로필 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751)는 계정(예, 제1 계정)이 자신의 프로필 뷰를 열람하거나 제2 아이템 선택 기록을 확인한 후, 제2 아이템이 다른 계정(예, 제2 계정)에 의하여 새롭게 선택 받은 기록이 존재할 경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2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필 뷰에 제2 아이템 선택 기록(78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703)에서는 제2 아이템 선택 기록(780)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아이템 선택 기록(780)은 제2 아이템을 선택한 다른 계정 목록과 각각의 계정에 대응하는 제2 아이템의 슬라이더 기반 입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A가 슬라이더를 통해 입력한 값이 슬라이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해당 계정(예, 제1 계정)이 프로필 뷰를 열람하거나 제2 아이템 선택 기록을 확인한 후, 다른 계정(예, 계정A)이 새롭게 제2 아이템을 통한 입력을 한 경우, 식별자(771)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2 아이템 선택 기록(780)에 포함된 슬라이더 기반 입력 값의 전체 평균(76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평균(760)은 슬라이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단말의 화면에 프로필 뷰를 표시(910)할 수 있다.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에 특정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 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프로필 뷰를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920)할 수 있다. 단말의 화면에 프로필 뷰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프로필 뷰를 통해 프로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프로필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좌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프로필 아이템-상기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여부를 판단(930)할 수 있다. 단말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좌표를 획득하면,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가 프로필 아이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오브젝트가 제1 아이템인지 또는 제2 아이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은 오브젝트가 제1 아이템인지, 제2 아이템인지, 제3 아이템인지 또는 제4 아이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인 경우 및 사용자 입력이 슬라이더 입력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940)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단말은 서버로부터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면에 시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단말은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 단말은 슬라이더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을 터치한 개수를 증가시키고,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효과는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이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모티콘을 프로필 뷰의 제1 좌표에서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좌표는 제2 좌표보다 수직 방향으로 위에 위치하고, 제1 좌표와 제2 좌표의 x축 좌표는 동일하며, 제2 좌표는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이모티콘을 변화시켜가면서 제1 좌표에서 제2 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2 아이템이 제공된 좌표에서 슬라이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슬라이더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슬라이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인 경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제1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가 이동할수록 슬라이더 바의 가로폭은 유지하고 세로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슬라이더 포인터의 이동 정도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슬라이더 입력이 종료된 경우, 슬라이더 포인터에 단말에 대응하는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800)는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및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800)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단말들(예: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의 단계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한 데이터를 메모리(820) 또는 전자 장치에서 접근 가능한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상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10)의 동작 실행에 따라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단말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4)

  1.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을 위한 상기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상기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및 상기 프로필 뷰에서 상기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상기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아이템은
    다른 계정이 상기 제1 아이템이 터치된 개수를 지시하는 제3 아이템 또는 상기 프로필의 조회수를 지시하는 제4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감정을 지시하는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상기 좌표에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템을 터치된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연속된 복수의 터치 입력들에 대응하는 상기 시각 효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효과는
    상기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이 상기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이 제공된 상기 좌표에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아이템에 포함된 이모티콘을 상기 프로필 뷰의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표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제1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미리 결정된 제2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모티콘을 상기 프로필 뷰의 제1 좌표에서 상기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는 상기 제2 좌표보다 수직 방향으로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제2 좌표의 x축 좌표는 동일하며,
    상기 제2 좌표는 상기 프로필 뷰에서 프로필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에서 상기 제1 좌표와 다른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을 변화시켜가면서 상기 제1 좌표에서 상기 제2 좌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텍스트, 슬라이더 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슬라이더 포인터, 상기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상기 슬라이더 포인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이 제공된 상기 좌표에서 슬라이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시각 효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효과는
    이모티콘이 상기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되는 효과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좌표는
    상기 프로필 뷰가 표시된 화면에서 화면의 x축 중간 및 화면의 y축 중간에 표시되도록 결정된 좌표인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상기 화면에서 미리 결정된 좌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더 포인터가 이동할수록 슬라이더 바의 가로폭은 유지하고 세로폭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포인터의 이동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말의 동작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입력이 종료된 경우, 슬라이더 포인터에 상기 다른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들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필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필 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뷰들마다 표시할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아이템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친구 목록 화면에서 상기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 이내에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뷰에 표시된 상기 제1 아이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 뷰에 제1 아이템 터치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뷰에 표시된 상기 제2 아이템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 뷰에 제2 아이템 선택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2. 계정의 프로필 뷰를 통해 다른 계정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상기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및 상기 프로필 뷰에서 상기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다른 계정에 대응하는 단말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상기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계정에 대응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2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4. 단말에 있어서,
    단말이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계정을 위한 프로필 뷰에 적용 가능한 프로필 아이템-상기 프로필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1 아이템 또는 슬라이더 입력 기반 상호 작용을 위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및 상기 프로필 뷰에서 상기 프로필 아이템이 제공될 위치를 지시하는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에 상기 결정된 프로필 아이템 및 상기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필 아이템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시각 효과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KR1020220149491A 2022-11-10 2022-11-10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 KR20240068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05,001 US20240163234A1 (en) 2022-11-10 2023-11-08 Method of displaying profile view on instant messaging service
JP2023192222A JP2024070260A (ja) 2022-11-10 2023-11-10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でプロフィールビューを表示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272A true KR20240068272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339B2 (en) System and method of embedding rich media into text messages
US20200204506A1 (en) Systems and methods implemen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21012836A1 (zh) 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10019111A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대화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7241A (ko) 가상 미팅 참여자 응답 표시 방법 및 시스템
TWI728419B (zh) 交互方法、裝置及設備
KR20140094282A (ko) 다자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6527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versation thread
CN111314204B (zh) 一种互动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8984256A (zh) 界面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667118A (zh) 显示历史聊天消息的方法、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750923B1 (ko) 대화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20220002850A (ko) 익명 기반 프로필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20259395A1 (zh) 在线协作文档的处理方法及设备
CN112528608A (zh) 页面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7757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ini-map in chatroom
KR20240068272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프로필 뷰를 표시하는 방법
CN113126863B (zh) 对象选择实现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40163234A1 (en) Method of displaying profile view on instant messaging service
CN112073302B (zh) 用户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979600B1 (ko) 텍스트 메시지에 감정을 표시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9764B1 (ko) 게임 파티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113773B (zh) 信息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10230210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활동의 정보를 채팅방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729407A (zh) 消息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