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144A -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144A
KR20240068144A KR1020220149240A KR20220149240A KR20240068144A KR 20240068144 A KR20240068144 A KR 20240068144A KR 1020220149240 A KR1020220149240 A KR 1020220149240A KR 20220149240 A KR20220149240 A KR 20220149240A KR 20240068144 A KR20240068144 A KR 2024006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combustion
sensor
combustion devic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6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연소가 발생하도록 하며, 외부 챔버와 연결된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외부 챔버와 연결된 연료가스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연소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와 각 AMTEC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벽과 후방면, 전방면 및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구비되는 외부 챔버와 상기 내벽의 내부에는 고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벽의 외부로는 저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1개 이상의 AMTEC로 이루어지는 발전 및 연소장치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로부터 센서부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신호 측정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변환장치의 고장이나 해결 및 부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장치와 상기 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무선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Generation power and combustion system having AMTEC enablimg artificial intelligennce monitoring}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연소열을 생산하는 연소 챔버에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를 장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전 및 연소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중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고, 모니터링 서버를 통한 딥러닝 학습에 의한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알칼리 금속을 작동 유체로 하여 발전하는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 장치(이하, AMTEC)는 터빈이나 모터와 같은 구동부가 없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장치로서, 단위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수 kW에서 수백 MW 규모의 대용량 발전이 가능함에 따라 미래지향적인 신발전 및 연소장치(400)술로 평가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AMTEC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Na 증기가 열원에 의해 고온 고압 영역인 증발부에서 증기 상태로 변하며 Na+ 이온이 베타" 알루미나 고체전해질(Beta"-Alumina Solid Electrolyte: BASE)로 통과한다.
즉, 이온전도성을 갖는 베타" 알루미나 고체전해질(BASE)의 양단에 온도차(ΔT)를 주면 AMTEC 셀 내부에 충전된 액체 Na의 증기압 차가 추진력이 되어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는 격자산소 틈새 층으로 Na+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에서, 자유 전자들은 음극(anode)으로부터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양극(cathode)으로 돌아와, 저온 저압 영역의 베타" 알루미나 고체전해질(BASE)의 표면에서 나오는 Na+ 이온과 재결합하여 중성화(Neutralization)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AMTEC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에너지원 또는 원동력(driving force)은 AMTEC 내부의 Na 증기압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또한 작용유체의 농도 차이, 온도 차이로 인해 Na이 고체전해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유전자들을 전극을 통해 집전함으로써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출력은 저전압, 대전류의 특성이 나타나며, 단위셀들을 모듈화하여 연결하는 경우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AMTEC은 고온(약 600℃ 이상)의 열원에 적용될 수 있어, 고온의 폐열이 발생될 수 있는 산업 시설, 원자력 발전, 태양열 발전, 자동차, 보일러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수집된 전력은 분산형 발전 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AMTEC을 이용한 알칼라 금속 열전 변환장치를 신호를 통하여 원격에서도 모니터링 가능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꾸준히 있어 왔다.
더 나아가, 이러한 모니터링을 하는 기술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딥러닝 또는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면서도 면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3823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3877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600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알칼리 금속 열전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중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상황을 분석할수 있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 뿐만 아닌 머신러닝 학습을 통해서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할수 있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내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연소가 발생하도록 하며, 외부 챔버와 연결된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외부 챔버와 연결된 연료가스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연소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와 각 AMTEC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벽과 후방면, 전방면 및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이 구비되는 외부 챔버와 상기 내벽의 내부에는 고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벽의 외부로는 저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1개 이상의 AMTEC로 이루어지는 발전 및 연소장치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로부터 센서부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신호 측정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알칼리 금속 열전변환장치의 고장이나 부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장치와 상기 신호 측정장치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무선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신호 측정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딥러닝 학습을 통해 얻은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고장을 진단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고장진단서버와 상기 정보장치로부터 고장이력, 고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고장 예측 분석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고장 예측 서버 및 상기 고장진단서버로부터 고장 분석결과와 고장 예측 결과를 수신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모니터링 서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측정 장치의 센서부는 발전 및 연소장치 내부 및 외부에 가해지는 진동을 계측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전압/전류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외벽 두께 및 외부챔버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초음파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소음을 계측하는 소음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분사노즐의 속도를 계측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을 계측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검출하는 매연검출 센서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저온부 및 고온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장치는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가 설치된 시점부터 현재 까지의 과거의 발전 및 연소장치의 운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과거 운전정보 저장부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실시간 운전 정보가 저장된 실시간 운전정보 저장부와 상기 다중 신호 측정장치의 센서부를 통해 계측된 발전 및 연소장치의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포함하여 진동, 전압/전류, 움직임, 소음, 전력, 속도, 아크 및 부분 방전, 매연, 온도의 계측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센서별 계측정보 저장부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운전 중 상시적으로 정전 용량의 변화 트렌드를 비교 분석하는 트렌드 분석정보 저장부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의 A/S 일자 및 종류, 점검 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임의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 받은 데이터의 추이 변화를 실시간 렌더링하고 고장 분석서버를 통해 전달 받은 고장 분석 결과와 상기 정보장치와 연동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한 예측 분석 결과를 상기 고장 예측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알람을 생성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기(AMTEC)이 장착된 발전 및 연소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를 이용하여, 신호 측정장치로부터 측정하여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면밀하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인 딥러닝 등을 이용하여 발전 및 연소장치의 고장 등의 예측 분석을 함으로서, 용이한 관리가 가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장치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
도 4는 신호 측정 장치 구성의 블록도.
도 5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고장 진단 서버의 블록도.
도 6은 정보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데이터를 통한 인공지능 기반 진단 알고리즘을 보여 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이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AMTEC이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장치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신호 측정 장치 구성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고장 진단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6은 정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데이터를 통한 인공지능 기반 진단 알고리즘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이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인 내벽(1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연소가 발생하도록 형성된 연소 챔버(100)와, 상기 내벽(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AMTEC(300), 및 상기 내벽(110)과 상기 AMTEC(300)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 챔버(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소 챔버(100)는 후방에 연료 공급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료 공급부(120)의 단부에는 상기 연소 챔버(100)의 내부 공간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1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벽(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되어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A)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챔버(100)의 후방에서 상기 분사 노즐(121)의 주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소 챔버(100)의 전방에는 연료가스 배출구(1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분사된 연료와 공기(A)가 혼합되어 연소하면서 화염(F)이 발생하게 되고, 고온이 된 내부 공기 및 폐가스 등의 연소열은 상기 연료가스 배출구(140)를 통해서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료가스 배출구(140)에 의해 배출되는 폐가스 등의 연소열은 전기 생산을 위한 터빈 또는 난방설비 등에 연결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챔버(100)의 상기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벽면에 해당하는 상기 내벽(110)에 다수의 AMTEC(30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AMTEC(300)은 작동 또는 운전온도 조건이 충족되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전기는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제어에 사용하거나 배터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AMTEC(300)의 갯수는 최소 1개 이상으로, 1 ~ 20개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AMTEC(3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상기 연소 챔버(100)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단면도에서는 상기 AMTEC(300)이 상기 연소 챔버(100)의 원주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소 챔버(100)의 원주 방향으로 1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 AMTEC(300)의 저온부(310)는 상기 연소 챔버(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각 AMTEC(300)의 고온부(320)는 상기 연소 챔버(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MTEC(300)의 작동원리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온부(320)에서 약 500K 전후의 온도 조건과, 저온부(310)에서 약 600K 전후의 온도 조건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저온부(310)를 작동 온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기(35)를 구성하여 AMTEC 발전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여기서, 내벽(110)의 외부로 노출된 AMTEC(300)의 저온부(310)에서 운전온도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발전 및 연소시스템의 설치 환경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냉각 또는 가열을 위하여 별도 온도조절수단을 추가로 형성할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소챔버(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A)를 이용하여 상기 저온부(3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챔버(200)를 구성하였다.
상기 외부 챔버(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챔버(100)와 각 AMTEC(3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벽(210)과, 후방면, 전방면 및 외부의 공기(A)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220)와, 제1 관통공(221), 및 제2 관통공(222)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외벽(210)과 상기 내벽(110)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A)가 예열되면서 상기 공기 공급부(130)를 통해 상기 연소 챔버(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유입구(220)의 위치는 여러 위치로 형성할 수 있지만, 도 3에서처럼, 상기 공기 공급구(130)가 연소챔버(1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 유입구(220)는 유입되는 공기(A)의 이동 통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130)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전방 부근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연소 챔버(100)의 내벽을 통해 외부로 전달 또는 발산되는 고온의 열은 외부 챔버(200)에 의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챔버(200)와 연소 챔버(100) 사이의 공기 이동통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A)가 이동하도록 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AMTEC(300)의 저온부(310)의 운전온도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공기(A)는 예열이 되어 공기 공급기(130)에 공급되므로, 상기 구성은 공기예열기 기능도 갖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구(220)에는 유입 팬(fan)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관통공(211)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챔버(200)의 후방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연료 공급부(1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공(212)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챔버(200)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연료가스 배출구(140)가 연결되어 있다.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는, 발전 및 연소 작동 및 제어를 위한 연소운전 제어장치(미도시)를 구성하여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가 장착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서는, 유입되는 공기(A)의 이동 통로가 상기 공기 유입구(220)으로부터 공기 공급구(130)까지로 한정되어 있다.
상기 AMTEC(300) 저온부(310)의 온도는 유입되는 공기(A)의 유량 및/또는 상기 연소 챔버(200)의 길이와 상기 내벽(110)과 외벽(2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도 있지만, 상기 유입되는 공기(A)의 이동 통로의 실질적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을 갖는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인 발전및 연소장치(400)에 수신돠는 다중 신호를 측정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지능인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3은 발전 및 연소장치(400)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신호 측정장치(500)와 게이트웨이(800), 그리고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대로, 신호 측정 장치(500)는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로부터 센서부(510)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측정 장치(5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 또는 부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장치(700)와 상기 신호 측정장치(500)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를 무선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800)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요건에 대한 구성과 작동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4는 신호 측정 장치(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측정장치(500)는 센서부(510)와 연결된 센서 제어부(520), 중앙 제어부(5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와 위치측위 수신부(560), 제1 내지 제3 무선 통신부(561 ~ 563), 및 전원부(55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510)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 내부 및 외부에 가해지는 진동을 계측하는 진동센서(511)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전압/전류 센서(512)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외벽(210) 두께 및 외부챔버(200)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초음파 센서(513)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내부 및 외부의 소음을 계측하는 소음 센서(514)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센서(515)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분사노즐(121)의 속도를 계측하는 가속도 센서(516)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을 계측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 센서(517)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검출하는 매연검출 센서(518)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저온부(310) 및 고온부(32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1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센서부(510)를 통해 발전 및 연소장치(400) 내부 및 외부의 환경 정보를 포함하여 대체적인 상태를 계측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습도, 이산화탄소, 산소 농도 등을 계측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진동센서(511)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진동 상태를 감지하는 바이브레이션 어퀴지션 유닛(Vibration acquistition unit)을 구비하여 진동을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진동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진동수가 높은 진동을 감지하기에 용이한 센서로서,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각 부품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낮은 주파수를 감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다.
센서 제어부(5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고장 징후 데이터를 포함한 다중 신호 측정 데이터이다.
중앙 제어부(530)는 신호 처리 및 입출력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타이머(timer),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30)는 다중 신호 측정장치(500)의 전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중앙 제어부(5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한다.
중앙 제어부(530)는 센서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다중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3 무선 통신부(561~ 563)를 통해 게이트웨이(800)를 거쳐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3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를 들어, 신호 측정 주기를 지시하는 제어 명령이나 알림과 같은 메시지 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된 진단 결과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의 데이터 출력부(미도시)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신호의 측정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는 중앙 제어부(530)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는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미도시)와 데이터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는 사용자 데이터 입력부 예를 들어,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출력부는 신호 측정장치(500)의 동작 상태와,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신호 측정값을 실시간 표시하고, 알람 신호나 메시지를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측정값은 미리 설정된 그래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부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진동 발생기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위 수신부(550)는 신호 측정장치(500)의 위치 신호를 수신 한다. 중앙 제어부(530)에서는 위치 측위수신부(560)로부터 신호 측정장치(500)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부(561 ~ 563)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위치 측위 수신부(560)는 실외의 경우에는 GPS를 통해 위치 정보를 GPS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의 경우에는 실내 기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는 좌표 신호를 수신 받아 현재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폰을 게이트웨이(800)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폰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생략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61~563)는 중앙 제어부(530)에 연결되어 중앙 제어부(530)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 측정 신호들을 게이트웨이(800)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전송한다. 제1 무선 통신부(561)는 다중 신호측정장치(500)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거치지 않고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이며, 예를 들어, WiFi나 NB-IoT, 또는 LTE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부(562)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경우이며 통상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제3 무선 통신부(563)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이 해결되었을 경우,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신호 측정 장치(500)를 등록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NFC나 RFID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정보와 측정 주기 설정 데이터가 신호 측정 장치(500)에 전송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신호 측정 장치(500)의 고유 식별코드(ID)가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전송이 이루어진다.
전원부(550)는 내장 센서부(510 ~ 515), 센서 제어부(520), 중앙 제어부(5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 위치 측위 수신부(560), 및 제1 내지 제3 무선 통신부(561 ~ 563)에 연결되어 이러한 구동 요소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550)는 배터리와 배터리 충전 회로, DC 어댑터,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측정장치(500)에서는 후술할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서 설정되어 전송된 생체 신호 측정 프로파일 메시지의 내용에 의해 센서와 측정 주기 및 범위가 설정되는 형태로 동작하며 신호에 대한 측정을 하여 전송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서 사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게 신호 측정장치(500)를 NFC/RFID Reader기(미도시)를 통하여 기기를 등록하며, 이때 각 고장 징후에 따른 신호 측정 프로파일 메시지가 초기화되어 전송되고 아울러 상기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신호 측정장치(500)에 기록된다.
이후,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는 사후변화 또는 요청에 따라 각종 신호의 측정에 따른 사항이 변경이 필요하게 된 경우, 신호 측정 장치(500)로 다중 신호 측정 프로파일 메시지를 업데이트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다중 신호 측정 프로파일 메시지는 각각의 시스템에 대해 측정이 필요한 생체 신호의 종류와 각각의 측정주기 및 격리지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기 등록시 초기값으로 설정되지만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추후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고장 진단 서버(620)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신호 측정 장치(5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는 모니터링 서버(610), 고장 진단 서버(620), 그리고 고장 예측 분석 서버(630)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각 구성의 설명과 작동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서버(610)는 게이트웨이(800)를 통해 전달 받은 데이터의 추이 변화를 실시간으로 렌더링(rendering)하고 고장 분석서버(620)를 통해 전달 받은 고장 분석 결과와 정보장치(7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한 예측 분석 결과를 고장예측 분석 서버(630)로부터 수신하여 알람을 생성하거나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서버(610)에서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정보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기능은 물론, 모니터링이 필요한 발전 및 연소장치(400)를 별도로 등록하거나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해당 부품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로그인 관리 또는 각종 설정 값을 다중 신호 측정장치(500)에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610)는 모니터링/알림 시스템과, 관리자 시스템(도시는 생략)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알림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현재 위치 확인, 메시지 푸시 서비스, 측정 주시 설정, 예측 서버 연동 등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시스템은 기기 등록, 권한 관리, 로그인, 설정 관리, DB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610)에서는 신호 측정 장치(500)로부터의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신호를 고장 진단 서버(620)와 예측 분석 서버(6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610)는 고장진단 서버(620)와 예측 분석 서버(630)로부터 고장의 분석 결과와 예측에 대한 결과를 수신 받고 정상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 각종 알람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610)는 알람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알람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모니터링 서버(610)에서 직접 표출되거나 관리자에게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되어 환자의 위험한 상황을 빠르게 알려 줄 수 있다.
신호 측정장치(500)는 내장 또는 외장 센서(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게이트웨이(800)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전달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모니터링 서버(610)에서는 이러한 신호의 추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예측 분석 서버(630)의 분석 결과를 통해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알람을 발생하며 즉시 관리자에게도 전달이 되어 적절한 조치를 알려주는 것이다.
고장 진단 서버(620)는 신호 측정장치(500)로부터 게이트웨이(800)를 통해 수신된 고장 신호를 모니터링 서버(610)를 통해 수신받아 분석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데이터 파형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이미지 분석의 이중화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분석한 고장의 진단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고장 진단 서버(620)는 신호 측정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파형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와 딥러닝 학습을 통해 얻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종 고장을 진단하여 모니터링 서버(610)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측 요소와 더불어 실시간 운전정보 데이터와 과거운전 변수 데이터를 전달받아 비교하는 비교부(621)와, 상기 비교부(621)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정상운전 구간에서의 신호와 상이한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622)와, 상기 패턴 분석부(622)를 분석된 상이한 패턴 정보를 전달받아 운전 중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623)와, 상기 특징 추출부(623)를 통해 추출된 특징과 더불어 계측 요소를 전달받아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파라미터 최적화부(624)와, 상기 파라미터 최적화부(624)에서 최적화된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정보를 전달받아 딥러닝 고장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발전 및 연소장치(400)를 진단하는 딥러닝 고장 예측 알고리즘부(625)와, 상기 딥러닝 고장예측 알고리즘부(625)에서 진단된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예측을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6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교부(621), 패턴 분석부(622), 특징 추출부(623), 파라미터 최적화부(624)는 각각 두 개씩 구성하여 상기 딥러닝 고장예측 알고리즘부(625)에 두 가지의 결과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딥러닝 고장예측 알고리즘부(625)는 보다 정확하게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진단을 예측할 수가 있다.
예측 분석 서버(630)는 정보장치(700)과 연동하여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 및 A/S 이력을 조회하고 고장 진단 서버(620)에서의 고장 또는 장애 정보와 모니터링 서버(610)로부터의 실시간 정보를 토대로 고장에 대한 예측 분석 기능과 위험도 예측 기능을 수행한다.
예측 분석 서버(630)는 후술할 정보장치(700)으로부터 A/S 이력, 고장해결 및 고장 정보를 딥러닝으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현재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예측 분석 결과를 모니터링 서버(610)로도 전송할수 있다.
참고로, 고장 진단 서버(620)와 예측 분석 서버(63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클라우드 상에서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정보장치(700)를 나타내는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대로 상기 정보장치(700)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등록, 고장 이력이 있는 A/S 이력, 고장난 부품의 종류, 생산 연도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장치(700)는 과거 운전정보 저장부(710), 실시간 운전정보 저장부(720), 센서별 계측정보 저장부(730), 고장이력 저장부(740), 트렌드 분석정보 저장부(750) 및 사용자 임의 저장부(7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과거 운전정보 저장부(710)는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가 설치된 시점부터 현재 전까지의 과거의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운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총 운전시간 등을 파악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를 통해 발전한 전력량, 디젤연료의 사용량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실시간 운전정보 저장부(720)는 현재의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실시간 운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센서별 계측정보 저장부(730)는 신호 측정 장치(500)의 센서부(510)를 통해 계측된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내부 및 외부 환경정보를 포함하여 진동, 전압/전류, 두께 및 움직임, 소음, 전력, 속도, 아크 및 부분 방전, 매연, 온도 등의 계측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트렌드 분석정보 저장부(750)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가동 중 상시적으로 정전 용량의 변화 트렌드를 비교 분석하여, AMTEC(300)의 흡습에 대한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임의 저장부(76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예를 들면, A/S 일자 및 종류, 점검 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게이트웨이(80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800)는 신호 측정장치(500)와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게이트웨이(800)는 신호 측정 장치(500)와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와 유무선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게이트웨이(800)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적절하게 변환할수 있는 상기 게이트웨이(800)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ion reference model) 참조 모델의 전계층을 인식하여 전송 방식의 다른 통신망을 흡수하고, 서로 다른 서버 등도 서로 접속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800)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은 BLE(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게이트웨이(800)는 비콘, WiFi등의 다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800)는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직렬 통신, 이더넷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는 WiFi,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나 와이브로(Wibro),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직교주파수다중접속(FDMA), LTE(long term evolution), LTE-A(LETadvanced), WiMAX2 등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고장 또는 고장 징후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 진단 알고리즘을 통하여 보여 주는 도면이다. 고장 진단 서버(620)는 인공지능 기반 진단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을 예측할 수 있는데, 고장 진단 서버(62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포함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신호와 분석 결과 그리고, 고장 이력을 학습하여 고장에 대한 예측 결과를 알려주는 예측 분석 서버(630)도 역시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에 포함되거나 분리하여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소 챔버 110: 내벽
120: 연료 공급부 121: 분사 노즐
130: 공기 공급구 140: 연료가스 배출구
200: 외부 챔버 210: 외벽
220: 공기 유입구 230: 중간벽
300: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AMTEC)
310: 저온부 320: 고온부
A: 공기 F: 화염
400 : 발전 및 연소장치 500 : 신호 측정 장치
510 : 센서부 511 : 진동센서
512 : 전압전류 센서 513 : 초음파 센서
514 : 소음센서 515 : 전력센서
516 : 가속도 센서 517 : 아크 및 부분 방전센서
518 : 매연검출 센서 519 : 온도 센서
600 : 모니터링 장치 610 : 모니터링 서버
620 : 고장진단 서버 630 : 예측분석 서버
700 : 정보장치 800 : 게이트웨이

Claims (5)

  1.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에 있어서,
    내벽(1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연소가 발생하도록 하며, 외부 챔버(200)와 연결된 연료 공급부(120), 상기 연료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121), 유입되는 공기(A)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30) 및 상기 외부 챔버(200)와 연결된 연료가스 배출구(140)로 이루어지는 연소 챔버(100);와
    상기 연소 챔버(100)와 각 AMTEC(3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벽(210)과 후방면, 전방면 및 외부 공기(A)를 유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220), 제1 관통공(221) 및 제2 관통공(222)이 구비되는 외부 챔버(200);와
    상기 내벽(110)의 내부에는 고온부(320)가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벽(110)의 외부로는 저온부(3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1개 이상의 AMTEC(300);로 이루어지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로부터 센서부(510)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측정장치(500);
    상기 신호 측정 장치(5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등록, 고장 이력이 있는 A/S 이력, 고장난 부품의 종류, 생산 연도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장치(700); 및
    상기 신호 측정장치(500)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를 무선 연결하는 게이트웨이(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 장치(500)의 센서부(510)는
    발전 및 연소장치(400) 내부 및 외부에 가해지는 진동을 계측하는 진동센서(511)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전압/전류 센서(512)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외벽(210) 두께 및 외부챔버(200)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초음파 센서(513)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내부 및 외부의 소음을 계측하는 소음 센서(514)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센서(515)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분사노즐(121)의 속도를 계측하는 가속도 센서(516)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을 계측하는 아크 및 부분방전 센서(517)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검출하는 매연검출 센서(518)와,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저온부(310) 및 고온부(32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600)는 상기 신호 측정 장치(5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딥러닝 학습을 통해 얻은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고장을 진단하여 모니터링 서버(610)로 전송하는 고장 진단 서버(620)와 상기 정보장치(700)로부터 고장이력, 고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고장 예측 분석을 상기 모니터링 서버(610)로 전송하는 고장 예측 서버(630) 및 상기 고장 진단 서버(620)로부터 고장 분석결과와 고장 예측 결과를 수신받아 알람을 발생시키는 모니터링 서버(6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장치(700)는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가 설치된 시점부터 현재 까지의 과거의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 운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과거 운전정보 저장부(710);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실시간 운전 정보가 저장된 실시간 운전정보 저장부(720);
    상기 신호 측정장치(500)의 센서부(510)를 통해 계측된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내부 및 외부의 환경정보를 포함하여 진동, 전압/전류, 움직임, 소음, 전력, 속도, 아크 및 부분 방전, 매연, 온도의 계측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센서별 계측정보 저장부(730);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운전 중 상시적으로 정전 용량의 변화 트렌드를 비교 분석하는 트렌드 분석정보 저장부(750);
    상기 발전 및 연소장치(400)의 A/S 일자 및 종류, 점검 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임의 저장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610)는 상기 게이트웨이(800)를 통해 전달 받은 데이터의 추이 변화를 실시간 렌더링하고 고장 진단서버(620)를 통해 전달 받은 고장 분석 결과와 상기 정보장치(7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한 예측 분석 결과를 상기 고장 예측 서버(630)로부터 수신하여 알람을 생성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KR1020220149240A 2022-11-10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KR2024006814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144A true KR20240068144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9008B2 (en) Appli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648012B1 (ko) 빌딩내 부하기기 센싱용 임베디드형 스마트 iot장치
KR101986838B1 (ko) LoRa망 기반의 원격 센서 제어 및 계측용 딥러닝 안전관리시스템
CN105021223A (zh) 远程喷燃器监测系统和方法
DK2667023T3 (en) Control of a wind energy system
CN115909674B (zh) 基于智慧燃气的报警器与燃气表联动方法和物联网系统
CN112556514B (zh) 一种重型运载火箭发射支持设备远程状态监测系统
KR20240068144A (ko) 인공지능 모니터링이 가능한 알칼리금속 열전기 변환장치를 장착한 발전 및 연소시스템
KR20150080041A (ko) 발전소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N108847004A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非接触燃气监测装置
US20150308965A1 (en) Whisker Manufacturing, Detection, Response, and Compou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53062B1 (ko) 지능형 산업용 보일러의 고장진단 및 예측시스템
CN208969502U (zh) 焦炉车辆故障智能化诊断装置
KR100537048B1 (ko) 보일러 원격 응급조치 및 관리시스템
KR20090050170A (ko) 애자결함 판별 시스템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395120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누전감시장치 셋업방법
KR102521645B1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방법
KR100931021B1 (ko) 애자결함 판별모듈을 구비한 선로 감시진단 장치
KR101152647B1 (ko) 발전장치용 모니터링 방법
KR20190046149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109946546A (zh) 一种光电耦合器的老化试验系统及过热保护方法
KR102618658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WO2020218004A1 (ja) データ解析システム
KR20210084140A (ko) 열전 발전 모듈을 이용한 IoT 배관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