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099A -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099A
KR20240068099A KR1020220149157A KR20220149157A KR20240068099A KR 20240068099 A KR20240068099 A KR 20240068099A KR 1020220149157 A KR1020220149157 A KR 1020220149157A KR 20220149157 A KR20220149157 A KR 20220149157A KR 20240068099 A KR20240068099 A KR 2024006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astening member
manhole cover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미
Original Assignee
이유미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미 filed Critical 이유미
Publication of KR2024006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맨홀덮개가 맨홀프레임에 안착됨과 동시에 체결부재를 통해 간편하게 걸림 고정상태를 유지할 있고, 체결부재를 회동시킴으로 간편하게 맨홀덮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맨홀덮개를 고정 또는 분리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Manhole structure with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통행이나 기타 충격에 의해 맨홀프레임에서 맨홀덮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 구조체는 도로 등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상ㆍ하수도, 전기 통신용 시설물 등의 유지 보수시 출입할 수 있도록 맨홀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맨홀 구조체는 통상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매설되는 맨홀프레임과 맨홀프레임의 개방구을 개폐시키게 되는 맨홀덮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시, 맨홀에 설치된 맨홀 구조체의 맨홀덮개를 개방시켜 위치를 이동시킨 후 맨홀프레임의 개방구를 통해 지하에 매설된 매설물을 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맨홀덮개는 단순히 맨홀프레임에 안착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차량 등이 자주 지나가는 경우, 들뜸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맨홀덮개가 위치를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로 맨홀에 적용되는 경우, 집중호우 등이 발생되면 수압에 의해 위치를 이탈하여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맨홀프레임에 안착되는 맨홀덮개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덮개가 다수 제시되어 출시되고 있다.
즉, 맨홀프레임에 별도의 잠금구를 구비하여, 맨홀덮개를 안착시, 잠금구를 통해 맨홀덮개가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맨홀덮개 잠금장치는 통상 볼트 체결방식으로 잠금구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등 작업자의 작업성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5290호 (2006년 01월 10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맨홀프레임에 맨홀덮개를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잠금이 구현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삽입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프레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맨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맨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삽입홀이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맨홀덮개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맨홀덮개가 상기 맨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맨홀덮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맨홀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상기 맨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맨홀덮개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맨홀프레임은, 상기 삽입홈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맨홀덮개는,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맨홀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상기 삽입홀의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맨홀덮개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맨홀덮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맨홀프레임에 맨홀덮개를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잠금이 구현됨으로써, 맨홀덮개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맨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맨홀프레임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맨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의 맨홀프레임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는 상측면에 안착부(102)가 형성되고, 안착부(102)에 삽입홈(11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프레임(100);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맨홀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300); 체결부재(300)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맨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체결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0); 및 안착부(102)에 안착되며,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삽입홀(210)이 삽입홈(110)과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덮개(200);를 포함하되, 체결부재(300)는 맨홀덮개(200)가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가 맨홀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맨홀덮개(2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는 맨홀프레임(100), 맨홀덮개(200), 체결부재(300) 및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맨홀프레임(100)은 상측면에 안착부(102)가 형성되고, 안착부(102)에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삽입홈(11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맨홀프레임(100)은 상측면에 안착부(102)의 둘레를 따라 맨홀덮개(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06)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탈방지턱(106)의 경방향 외측으로 보강리브(108)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이탈방지턱(106)의 경방향 외측으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104)이 하나 이상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삽입홈(110)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체결부재(300)의 회전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홈(120)이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110)은 탄성부재(400)가 끼워지는 지지홈(160)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300)의 고정부(330)가 끼워지는 수용홈(130)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체결부재(30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안착부(10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끼움홈(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체결부재(300)는, 삽입홀(210)에 끼워지는 몸체부(310); 몸체부(310)의 일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320); 및 맨홀덮개(200)를 지지하도록 몸체부(310)의 타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330);를 포함한다.
몸체부(310)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끼움홈(120)에 끼워지는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삽입홀(210)에 끼워지거나 일부가 안착부(10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회전축(320)은 몸체부(310)의 일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며 맨홀프레임(100)의 끼움홈(120)에 끼워진다.
회전축(3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일측에 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관(322)과 안내관(322)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안내관(32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324) 및 지지체(324)가 안내관(32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체(32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2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300)는 회전축(320)의 지지체(324)가 안내관(322)에 삽입된 상태에서 맨홀프레임(100)의 삽입홈(110)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삽입홈(110)에 끼워진 체결부재(300)는 지지체(324)가 탄성체(326)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관(32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맨홀프레임(100)의 끼움홈(120)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된다.
고정부(330)는 몸체부(310)의 타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맨홀프레임(100)의 수용홈(130)에 삽입되거나 맨홀덮개(200)의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가 맨홀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맨홀덮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탄성부재(400)는 체결부재(300)가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맨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체결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300)는, 맨홀덮개(200)가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삽입홈(110)에 삽입된 후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체결부재(300)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며 맨홀프레임(100)의 안착부(102) 상측으로 돌출되고, 맨홀덮개(200)가 맨홀프레임(100)에 결합시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맨홀덮개(200)는 안착부(102)에 안착되며,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삽입홀(210)이 삽입홈(110)과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맨홀덮개(200)는, 고정부(330)가 슬라이딩되어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삽입홀(210)의 일측면에 경사면(2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300)는 맨홀덮개(200)가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가 맨홀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맨홀덮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체결부재(300)는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홈(110)의 개방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300)는 맨홀덮개(200)를 안착부(102)에 안착시키게 되면 맨홀덮개(200)의 하중에 의해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삽입홀(210)이 삽입홈(110)과 대응되도록 맨홀덮개(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부재(300)가 회전하면서 삽입홀(210)을 통해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맨홀덮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300)는 몸체부(3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350)가 돌출 형성되고, 맨홀프레임(100)은 삽입홈(1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35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50)이 형성되되, 걸림돌기(350)는 가이드홈(150)을 따라 이동하며 체결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즉, 가이드홈(150)은 체결부재(300)가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끼움홈(120)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돌기(350)는 가이드홈(150)에 끼워져 가이드홈(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150)은 체결부재(300)가 0°에서 60°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체결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거나, 체결부재(300)가 0°에서 70°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체결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0)는 몸체부(3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350)가 돌출 형성되고, 맨홀프레임(100)은 체결부재(300)가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시 걸림돌기(350)가 맞닿아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삽입홈(1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끼움홈(12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가이드턱(15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덮개(200)가 맨홀프레임(100)에 안착됨과 동시에 체결부재(300)를 통해 간편하게 걸림 고정상태를 유지할 있고, 체결부재(300)를 회동시킴으로 간편하게 맨홀덮개(2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맨홀덮개(200)를 맨홀프레임(100)에 고정시키거나 맨홀프레임(100)에서 분리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맨홀프레임 102 : 안착부
104 : 체결홀 106 : 이탈방지턱
108 : 보강리브 110 : 삽입홈
120 : 끼움홈 130 : 수용홈
150 : 가이드홈 160 : 지지홈
200 : 맨홀덮개 210 : 삽입홀
212 : 경사면 300 : 체결부재
310 : 몸체부 320 : 회전축
330 : 고정부 340 : 고정홀
350 : 걸림돌기 400 : 탄성부재

Claims (5)

  1. 상측면에 안착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2)에 삽입홈(11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프레임(100);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맨홀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300);
    상기 체결부재(300)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맨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재(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0); 및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삽입홀(210)이 상기 삽입홈(110)과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는 맨홀덮개(20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맨홀덮개(200)가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맨홀덮개(200)가 상기 맨홀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맨홀덮개(2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상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지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가 상기 맨홀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320); 및
    상기 맨홀덮개(200)가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200)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310)의 타측에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몸체부(3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3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맨홀프레임(100)은,
    상기 삽입홈(110)의 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걸림돌기(35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5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350)는 상기 가이드홈(15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체결부재(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덮개(200)는,
    상기 고정부(330)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300)가 끼워지는 상기 삽입홀(210)의 일측면에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맨홀덮개(200)가 상기 안착부(102)에 안착되면,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된 후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지며 상기 맨홀덮개(2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맨홀덮개(2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KR1020220149157A 2022-11-10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KR2024006809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099A true KR20240068099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7824A (en) Locking manhole cover
KR101977528B1 (ko)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KR101448569B1 (ko) 수압조절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KR101580960B1 (ko)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KR20240068099A (ko)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구조체
JP4815393B2 (ja) マンホールの蓋装置
KR20210043333A (ko) 맨홀 및 제수변의 뚜껑 잠금장치
KR100772119B1 (ko) 맨홀용 잠금장치
KR20080000662U (ko) 맨홀 뚜껑
KR102313578B1 (ko) 맨홀 덮개 구조체
KR20120041624A (ko)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580959B1 (ko) 뚜껑 부양장치를 구비한 잠금식 맨홀 조립체
KR20130142672A (ko) 맨홀 잠금장치
KR200465218Y1 (ko) 맨홀 조립체
KR20140033737A (ko) 맨홀
US20160215474A1 (en) Assembly of buffers, roadway device and corresponding usage
JP5065311B2 (ja) 埋設筐
JP6771204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およびその施錠構造を備えた地下構造物用蓋
KR20100100444A (ko) 맨홀 잠금장치
KR20090088582A (ko)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맨홀커버
KR102662141B1 (ko) 맨홀 추락 방지 장치
KR20140002180U (ko)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KR20100049160A (ko) 힌지식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20010001128U (ko) 맨홀용 뚜껑의 록킹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