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32A - 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 Google Patents

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32A
KR20240067632A KR1020220148861A KR20220148861A KR20240067632A KR 20240067632 A KR20240067632 A KR 20240067632A KR 1020220148861 A KR1020220148861 A KR 1020220148861A KR 20220148861 A KR20220148861 A KR 20220148861A KR 20240067632 A KR20240067632 A KR 2024006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ater separator
recovered
recov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혁진
조맹익
민천홍
오재원
이승국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4006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5Separating means for recovering oil floating on a surface of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의 스키머로부터 이어지는 유입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몸체 내에 배치되는 인입모듈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거쳐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을 억제하여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을 통해 상기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연결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통해 상기 연결관을 거쳐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잔여 기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및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유출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수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의 스키머로부터 유입되는 회수 기름이 유수분리기의 몸체 내부로 투입되며 인입모듈을 거침으로써 유동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난류유동이 억제되어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에 의해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조에 투입함에 따라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let pipe leading from the skimmer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nd suppresses the turbulent flow of the recovered oil flowing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pipe through the inlet module disposed in the body, thereby reducing the density difference. an oil-water separator that separates oil and water from the recovered oil through buoyancy action; A cyclon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eparates the remaining oil from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ipe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rotation; And a storage tank installe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flow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toring oil from which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oil-water separator is separated through an internal space. It's about oil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ncludes an oil-water separator, the recovered oil flowing from the skimmer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is injected into the body of the oil-water separator, and as the flow speed decreases by passing through the inlet module, turbulent flow is suppressed. Thus, oil and wa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oil by the buoyancy effect caused by the density difference, and stora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putting the oil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separated into the storage tank.

Description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본 발명은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을 통해 회수된 회수 기름으로부터 물을 분리 배출하여 물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한된 용량의 저장조를 통한 회수 기름의 저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minimize water content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recovered oil recovered through an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thereby efficiently storing recovered oil through a storage tank of limited capacity. This relates to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device for an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발생되는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하여 해상 생태계는 물론 유출 사고 인접 지역의 해변, 해안 또는 연안 등의 자연 생태계를 훼손시키게 된다. In general, oil spill accidents that occur at sea damage not only the marine ecosystem but also the natural ecosystem such as beaches, coasts, or coastal areas adjacent to the spill.

이때, 해상으로 유출된 기름은 해수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주변 해역을 오염을 시킬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장시간 부유하다가 바람이나 조류의 영향으로 해안에 밀려가 해안 전체를 오염시키게 되고, 특히, 썰물 시에는 모래사장이나 자갈밭에 잔존하게 되어 결국 광범위한 해안에 심각한 환경 및 생태계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il leaked into the sea not only forms an oil slick on the sea surface and contaminates the surrounding sea area, but also floats in the sea for a long time and is washed ashore under the influence of wind or currents, contaminating the entire coast. In particular, during low tide, the sand It remains on the beach or gravel beds and eventually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amage to the extensive coast.

따라서 해상으로 기름이 유출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유출된 기름을 신속히 회수하는 한편 해안에 부착된 기름을 신속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ddi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oil is spilled into the sea,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cover the spilled oil and quickly remove the oil attached to the coast.

한편,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기 위하여 방제선, 오일펜스, 흡착제 및 뜰채 등의 다양한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Meanwhile, various means such as control ships, oil fences, adsorbents, and landing nets are used to recover oil spilled at sea.

그러나 종래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회수하는 수단은 해상에서 주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천해역(수심 1m 미만) 또는 해안 근처에서는 예컨대 방제선의 좌초 또는 전복과 같은 2차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 이용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means of recovering oil spilled at sea can only be used mainly at sea, and in relatively shallow waters (less than 1m depth) or near the coa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econdary accidents such as stranding or capsizing of a response vessel. There was a problem that made it difficult to use.

이러한 이유로 해안으로 유입되는 대량의 기름 회수가 요구되는 경우 또는 해안에 유입되어 모래나 자갈 등에 부착된 기름의 제거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지점으로 인력을 투입하여 기름을 퍼 담거나 유흡착재를 이용한 갯닦기를 실시하여 기름을 회수 또는 제거하였던바, 상당한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For this reason, when a large amount of oil flowing into the coast is required to be recovered or when oil flowing into the coast and adhering to sand or gravel is required to be removed, manpower is deployed to the relevant point to scoop up the oil or clean the beach using oil absorbents. was carried out to recover or remove oil,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work efficiency was reduced as a considerable amount of manpower and time were requir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6578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장치)'이 제안된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marine oil spill recovery system (device)' as disclosed in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65782 has been proposed.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은 해상에서는 방제선에 의해 기름 회수 또는 제거가 이루어지고, 해안에서는 캐터필러에 의해 해안선 주행이 가능한 수륙양용 회수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스키머가 적용되어 천해역 또는 해안 근처에서의 기름 회수 또는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recovers or removes oil by a response vessel at sea, and on the coast, various types of skimmers are applied to an amphibious recovery device that can drive along the coastline using a caterpillar to recover oil in shallow waters or near the coast. Removal can be easily accomplished.

그러나 종래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은 저장조를 통한 회수 기름 저장 효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storing recovered oil through a storage tank does not meet expectations.

즉, 스키머에 의해 회수된 회수 기름에는 대략 80~90% 이상의 해수(물)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그대로 저장하게 되면 회수 기름이 수용되는 저장조 내부 공간의 상당 부분을 물이 차지하게 되므로 실제 기름의 저장이 소량에 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recovered oil recovered by the skimmer contains approximately 80 to 90% or more of seawater (water). If it is stored as is, water will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pace inside the storage tank where the recovered oil is stor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actual oil. There was a problem that storage was limited to a small amount.

이때, 저장조가 만충된 상태에서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을 통한 더 이상의 기름 회수 및 제거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저장조가 만충될 때마다 회수 기름을 인근의 다른 저장조 또는 탱크로리로 옮겨야만 했으므로 번거로움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기름 회수 또는 제거 작업의 지연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tank is full, no further oil recovery and remova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so each time the storage tank is full, the recovered oil has to be moved to another nearby storage tank or tanker, which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re were problems leading to delays in oil recovery or removal operations.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을 통해 회수된 회수 기름으로부터 물을 분리 배출하여 물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한된 용량의 저장조를 통한 회수 기름의 저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the field is seeking ways to minimize the water content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recovered oil recovered through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s so that the recovered oil can be stored efficiently in storage tanks of limited capacity. , To date,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65782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6578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을 통해 회수된 회수 기름으로부터 물을 분리 배출하여 물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한된 용량의 저장조를 통한 회수 기름의 저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ter from recovered oil recovered through an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the water content is minimized and the recovered oil is stored through a storage tank of limited capac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device for an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that can efficiently achieve th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의 스키머로부터 이어지는 유입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몸체 내에 배치되는 인입모듈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거쳐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을 억제하여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을 통해 상기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연결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통해 상기 연결관을 거쳐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잔여 기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및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유출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를 제안한다.I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let pipe leading from the skimmer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nd suppresses the turbulent flow of recovered oil flowing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pipe through the inlet module disposed within the body, thereby acting as buoyancy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an oil-water separator that separates oil and water from the recovered oil; A cyclon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eparates the remaining oil from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ipe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rotation; And a storage tank installe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flow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toring oil from which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oil-water separator is separated through an internal space. An oil storage device is proposed.

상기 유수분리기의 상기 인입모듈은, 상기 유입관 선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 일 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한다.The inlet module of the oil-water separator includes a plate member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vanes arranged exten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one surface of the plate member.

상기 판부재는 상기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점차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member may be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ed oil travels.

상기 베인은, 상기 판부재의 복수 개 구간 각각에 좌우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vanes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and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facing each other narrows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ed oil travels.

상기 베인은 상기 판부재 일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과 상기 판부재 일 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사이가 구부러진 'L' 형태일 수 있다.The vane may be in an 'L' shape with one end located on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and one end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 member.

상기 유수분리기는 상기 유출관 입구에 배치되는 배플을 포함한다.The oil-water separator includes a baffle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outlet pipe.

상기 유수분리기는 상기 몸체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사이클론으로 투입하는 펌프를 포함한다.The oil-water separator includes a pump that injects water stored in the body into the cyclone.

상기 사이클론은,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관; 및 상단으로부터 상기 유수분리기로 이어지는 투입관;을 포함한다.The cyclone includes a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outside; And an input pipe leading from the top to the oil-water separator.

상기 저장조는 내부에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한다.The storage tank includes a pump that discharges the oil contained therein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의 스키머로부터 유입되는 회수 기름이 유수분리기의 몸체 내부로 투입되며 인입모듈을 거침으로써 유동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난류유동이 억제되어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에 의해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조에 투입함에 따라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the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il-water separator, so the recovered oil flowing from the skimmer of the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is injected into the body of the oil-water separator and the inlet module is used. As the flow speed decreases due to roughing, turbulent flow is suppressed, and oil and wa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oil by the buoyancy effec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Stora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putting the oil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separated into the storage tank. .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는, 사이클론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유수분리기로부터 유입되는 기름과 분리된 물이 사이클론을 거침으로써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에 의해 물로부터 잔여 기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조에 투입함에 따라 저장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device for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clone, so that the oil flowing in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the separated water pass through the cyclone and are separated from the water by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Since the remaining oil can be separated, stora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putting the oil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separated into the storage tan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서 유수분리기의 인입모듈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서 유수분리기를 통한 물과 기름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서 사이클론을 통한 물로부터 잔여 기름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에서 유수분리기로부터 기름 유출을 보인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let module of the oil-water separator in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f water and oil through an oil-water separator in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f residual oil from water through a cyclone in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oil leakage from the oil-water separator in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that is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obscuring it by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dditional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its actual size. In each drawing,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창치의 전체 구조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tructure of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unit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A)는, 유수분리기(100), 사이클론(200) 및 저장조(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A) for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water separator 100, a cyclone 200, and a storage tank 300.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100)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10)의 스키머(11)로부터 이어지는 유입관(110) 일단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유수분리기(100)는 몸체(120) 내에 배치되는 인입모듈(130)을 통해 유입관(110)을 거쳐 몸체(120)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을 억제하여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을 통해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한다.The oil-water sepa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let pipe 110 leading from the skimmer 11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10. 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or 100 suppresses the turbulent flow of recovered oil flowing into the body 120 through the inlet pipe 110 through the inlet module 130 disposed within the body 120, thereby creating buoyancy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This action separates oil and water from the recovered oil.

이때, 유수분리기(100)의 인입모듈(130)은, 유입관(110) 선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판부재(131) 및 판부재(131) 일 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인(132)을 포함함으로써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회수 기름이 판부재(131) 상에서 진행하면서 복수 개 베인(132)을 순차적으로 거침에 따라 유동 속도가 저하되므로 유동 속도 저하에 의해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이 억제될 수 있어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에 의해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let module 13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cludes a plate member 131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inlet pipe 110 and a plurality of plate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By including two vanes 132, the flow speed decreases as the recovered oil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 11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vanes 132 sequentially while proceeding on the plate member 131, resulting in a decrease in flow speed. The turbulent flow of the recovered oil can be suppressed, so that oil and wa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oil by the buoyancy effec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여기서, 유수분리기(100)의 판부재(131)는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점차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판부재(131)의 복수 개 구간 각각에 좌우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인(132)이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판부재(131)를 따라 유동하는 회수 기름이 판부재(131) 복수 개 구간 각각에 배치되는 베인(132)을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게 되어 회수 기름의 유동 속도 저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plate member 131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ed oil travels and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so that vanes 13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131. As the recovered oil moves in the direction of travel, the gap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so the recovered oil flowing along the plate member 131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vanes 132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131, thereby allowing recovery. A decrease in the oil flow speed can be achieved stably.

그리고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분리기(100)의 베인(132)은 판부재(131) 일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과 판부재(131) 일 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사이가 구부러진 'L'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베인(132)과 접촉하는 회수 기름이 베인(132)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향하며 진행 방향이 전환되면서 유동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And as well shown in Figure 2, the vane 132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has one end located on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and one end located on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By being formed in a curved 'L' shape, the flow speed may decrease as the recovered oil in contact with the vane 132 changes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vane 132 to the other end.

한편, 유수분리기(100)는 유출관(310) 입구에 배치되는 배플(140)을 포함함으로써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측 상단부에 위치하는 기름이 배플(140)을 넘어설 때에만 유출관(310)을 통해 외부, 더욱 구체적으로 저장조(300)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몸체(120) 내의 액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몸체(120) 내에서 액위 변동으로 인한 난류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cludes a baffle 140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outflow pipe 310, so that only when the oil located at the upper inner part of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exceeds the baffle 140. Since it can flow out through the outflow pipe 310 to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o the storage tank 300, the liquid level within the body 1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and turbulent flow due to changes in the liquid level within the body 120 can be suppressed. there is.

그리고 유수분리기(100)는 몸체(120) 하단부에 배치되는 펌프(150)를 포함함으로써 펌프(150) 작동에 의해 몸체(120) 내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물이 사이클론(200)으로 투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cludes a pump 15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20, so that water locat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body 120 can be injected into the cyclone 200 by operating the pump 150.

본 발명에서, 사이클론(200)은,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이어지는 연결관(210) 일단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사이클론(200)은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통해 연결관(210)을 거쳐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잔여 기름을 분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one 2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10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 addition, the cyclone 200 separates the remaining oil from the water flowing inside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10 through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이때, 사이클론(200)은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관(220)을 포함함으로써 원심력 작용에 의해 사이클론(200) 하단부로 유동하는 물이 배출관(220)을 통해 외부, 예컨대 해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yclone 200 includes a discharge pipe 220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outside, so that water flowing to the bottom of the cyclone 200 due to centrifugal for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o the sea, through the discharge pipe 220.

그리고 사이클론(200)은 상단으로부터 유수분리기(100)로 이어지는 투입관(230)을 포함함으로써 원심력 작용에 의해 사이클론(200) 상단부로 유동하는 기름이 투입관(230)을 통해 유수분리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clone 200 includes an input pipe 230 leading from the top to the oil-water separator 100, so that oil flowing to the upper part of the cyclone 200 due to centrifugal force flows into the oil-water separator 100 through the input pipe 230. may be introduced.

한편, 사이클론(200)은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사이클론(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cyclone 200 may have any conventional structure and method as long as it can exert centrifugal force through rot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yclone 200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저장조(300)는,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이어지는 유출관(310) 일단에 연결 설치된다. 저장조(300)는 내부 공간을 통해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한다.The storage tank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flow pipe 310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The storage tank 300 stores oil separated from water flow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through the internal space.

이때, 저장조(300)는 펌프(320)를 포함함으로써 펌프(320)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기름이 외부, 예컨대 수거함(미도시)으로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tank 300 includes a pump 320, so that the oil contained therei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o a collection box (not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320.

여기서, 펌프(320)에는 외부로 이어지는 관체(321)가 연결됨으로써 펌프(320) 작동에 의해 펌핑되는 기름이 관체(32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Here, the pump 320 is connected to the pipe body 321 lead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oil pump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3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pipe body 321.

본 발명에 의한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A)를 통한 회수 기름 저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orage of recovered oil through the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A) for the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유수분리기(100)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10)의 스키머(11)로부터 이어지는 유입관(110) 일단에 연결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water separator 1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let pipe 110 leading from the skimmer 11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10.

따라서 스키머(11)에 의해 회수된 회수 기름이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refore, the recovered oil recovered by the skimmer 11 may flow into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그리고 유수분리기(100)는 몸체(120) 내에 배치되는 인입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몸체(120)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 기름이 인입모듈(130)을 거치게 된다.Since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cludes an inlet module 130 disposed within the body 120, the recovered oil flowing into the body 120 passes through the inlet module 130.

여기서, 인입모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 선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판부재(131) 및 판부재(131) 일 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인(132)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let module 130 is a plate member 131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inlet pipe 110, as shown in FIG. 2, and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nes 132.

이때,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회수 기름이 판부재(131) 상에서 진행하면서 복수 개 베인(132)을 순차적으로 거침에 따라 유동 속도가 저하되므로 유동 속도 저하에 의해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이 억제될 수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에 의해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의 분리가 이루어져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에서 기름층(L1)이 물층(L2)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recovered oil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pipe 110 progresses on the plate member 131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vanes 132, the flow speed decreases, so the turbulent flow of the recovered oil occurs due to the decrease in flow speed. As shown in FIG. 3, the oil and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oil by the buoyancy effec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so that the oil layer (L1) is separated from the water layer (L2) within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 is located at the top.

따라서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부 물을 외부, 예컨대 해상으로 배출하고 기름만 저장조(300)로 투입함으로써 저장조(300) 내에 기름(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미량이므로 '기름'이라 기재하였음)만 저장될 수 있게 되므로 저장조(300)를 통한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by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to the outside, for example, to the sea, and putting only the oil into the storage tank 300, oil (water may be included in the storage tank 300, but it is written as 'oil' because it is a trace amount) Since only) can be stored, storage efficiency through the storage tank 300 can be increased.

이때, 인입모듈(130)을 거치는 회수 기름이 일부 베인(132)에만 미칠 경우 유동 속도 저하가 미흡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recovered oil passing through the inlet module 130 reaches only some of the vanes 132, the decrease in flow speed may be insufficient.

그러나 유수분리기(100)의 판부재(131)는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점차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판부재(131)의 복수 개 구간 각각에 좌우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베인(132)이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판부재(131)를 따라 유동하는 회수 기름이 판부재(131) 복수 개 구간 각각에 배치되는 베인(132)을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게 되어 회수 기름의 유동 속도 저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plate member 131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ed oil travels, and the vanes 13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131. As the recovered oil moves in the direction of travel, the gap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so the recovered oil flowing along the plate member 131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vanes 132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131, thereby allowing recovery. A decrease in the oil flow speed can be achieved stably.

또한, 유수분리기(100)의 베인(132)은 판부재(131) 일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과 판부재(131) 일 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사이가 구부러진 'L'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베인(132)과 접촉하는 회수 기름이 베인(132)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향하며 진행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이에 의해 회수 기름의 유동 속도 저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vane 132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is formed in an 'L' shape with one end located on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and one end located on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31. , the recovered oil in contact with the vanes 132 changes direction from each end of the vanes 132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flow speed of the recovered oil can be reduced more stably.

다만,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에 수용된 물에는 일부 기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를 외부, 예컨대 해상으로 배출하는 경우 2차 오염이 따를 수 있다.However, since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may contain some oil, secondary pollution may occur w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o the sea.

그러나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이어지는 연결관(210)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사이클론(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유수분리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사이클론(200)을 거치는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잔여 기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외부로의 물 배출에 의한 2차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clone 20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10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passes through the cyclone 200. Since the residual oil contained in can be separated, secondary pollution caused by water discharge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즉, 사이클론(200) 내에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포함된 잔여 기름은 사이클론(200) 상단부를 향해 유동하여 투입관(230)을 통해 유수분리기(100)로 유입될 수 있고, 잔여 기름이 분리된 물은 사이클론(200) 하단부를 향해 유동하여 배출관(220)을 통해 외부, 예컨대 해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유수분리기(100)로부터의 물 배출에 의한 2차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since centrifugal force due to rotation acts within the cyclone 200, as shown in FIG. 4, the remaining oil contained in the water flow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cyclone 200 and enters the oil-water separator 100 through the input pipe 230. ), and the water from which the remaining oil is separated flows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cyclone 20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o the sea, through the discharge pipe 220, thereby causing water discharge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Secondary pollution can be prevented.

여기서,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사이클론(200) 내부로의 물 유입은 유수분리기(100)에 마련되는 펌프(150)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wate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into the cyclone 200 by operating the pump 150 provided in the oil-water separator 100.

한편, 본 발명에서 저장조(300)는 유수분리기(100)로부터 이어지는 유출관(310) 일단에 연결 설치되므로, 유수분리기(100) 내부에서 물과 분리가 이루어진 기름이 유출관(310)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저장조(300)에 수용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3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flow pipe 310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100, so the oil separated from water inside the oil-water separator 100 flows along the outflow pipe 310. By doing so,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tank 300.

이때, 유출관(310)은 유수분리기(100) 상단부로부터 이어지므로,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측 상단부에 위치하는 기름만 유출관(310)을 따라 유동하게 되므로 저장조(300) 내에 기름만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utflow pipe 310 is conn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only the oil located in the upper inner part of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flows along the outflow pipe 310, so it is not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300. Only oil can be accommodated.

여기서, 유수분리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310) 입구에 배치되는 배플(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측 상단부에 위치하는 기름이 배플(140)을 넘어설 때에만 유출관(310)을 통해 외부, 더욱 구체적으로 저장조(300)로 유출될 수 있다.Here, the oil-water separator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ffle 140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outflow pipe 310 as shown in FIG. 5, so the oil located at the upper inner part of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Only when it exceeds the baffle 140 can it flow out through the outflow pipe 310 to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into the storage tank 300.

따라서 배플(140)에 의해 몸체(120) 내의 액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몸체(120) 내에서 액위 변동으로 인한 기름 및 물의 난류유동이 억제될 수 있어 유수분리기(100)의 몸체(120) 내측에서 기름과 물의 혼합이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iquid level in the body 1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by the baffle 140, the turbulent flow of oil and water due to changes in the liquid level within the body 120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body 120 of the oil-water separator 100 Mixing of oil and water on the inside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저장조(300)는 펌프(320)를 포함하고, 펌프(320)에는 외부로 이어지는 관체(321)가 연결되므로, 펌프(320) 작동에 의해 펌핑되는 기름이 관체(321)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 예컨대 수거함 등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기름의 수거가 용이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300 includes a pump 320, and a pipe body 321 leading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pump 320, so the oil pump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320 flows along the pipe body 321. Since it can flow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uch as a collection box, oil can be easily collected.

또한, 본 발명에서 유수분리기(100) 내 기름을 외부로 토출하는 시간 간격을 늘릴 수 있으므로, 유출 기름 회수장치의 비가동 시간(Down time) 줄이고 가동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interval for discharging the oil in the oil-water separator 100 to the outside can be increased, so the down time of the spilled oil recovery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 :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 11 : 스키머
100 : 유수분리기 110 : 유입관
120 : 몸체 130 : 인입모듈
131 : 판부재 132 : 베인
140 : 배플 150 : 펌프
200 : 사이클론 210 : 연결관
220 : 배출관 230 : 투입관
300 : 저장조 310 : 유출관
320 : 펌프 321 : 관체
A : 회수 기름 저장장치 L1 : 기름층
L2 : 물층
10: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11: Skimmer
100: Oil-water separator 110: Inlet pipe
120: Body 130: Inlet module
131: plate member 132: vane
140: Baffle 150: Pump
200: Cyclone 210: Connector
220: discharge pipe 230: input pipe
300: storage tank 310: outflow pipe
320: pump 321: pipe body
A: Recovery oil storage device L1: Oil layer
L2: water layer

Claims (9)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의 스키머로부터 이어지는 유입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몸체 내에 배치되는 인입모듈을 통해 상기 유입관을 거쳐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 기름의 난류유동을 억제하여 밀도 차이에 의한 부력 작용을 통해 상기 회수 기름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연결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통해 상기 연결관을 거쳐 내부로 유입되는 물로부터 잔여 기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및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이어지는 유출관 일단에 연결 설치되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유수분리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분리된 기름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I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let pipe leading from the skimmer of the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and suppresses the turbulent flow of recovered oil flowing into the body through the inlet pipe through the inlet module disposed within the body, thereby acting as buoyancy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an oil-water separator that separates oil and water from the recovered oil;
A cyclon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eparates the remaining oil from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ipe through centrifugal force caused by rotation; and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comprising a storage tank installed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flow pipe leading from the oil-water separator, and storing oil from which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oil-water separator is separated through an internal space. Stor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기의 상기 인입모듈은, 상기 유입관 선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 일 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let module of the oil-water separator includes a plate member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vanes arrang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점차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late member is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memb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recovered oil and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판부재의 복수 개 구간 각각에 좌우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되, 상기 회수 기름 진행 방향으로 나아가며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좁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ane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late member, and the vanes are arrang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m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ed oil travels.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for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Oil storag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판부재 일 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과 상기 판부재 일 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사이가 구부러진 'L'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ane is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n offshore oil spill reco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ane has an 'L' shape bent between one end located on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and one end located on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기는 상기 유출관 입구에 배치되는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il-water separator is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affle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outle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기는 상기 몸체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사이클론으로 투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il-water separator is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ump that injects water stored in the body into the cycl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관; 및 상단으로부터 상기 유수분리기로 이어지는 투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yclone includes a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outside; And an input pipe leading from the top to the oil-water separator.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ed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내부에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il-water separation type recovery oil storage device for a marine spill oil recovery system, wherein the storage tank includes a pump that discharges the oil contained therein to the outside.
KR1020220148861A 2022-11-09 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KR20240067632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32A true KR20240067632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349B1 (en) Floating water collection vessel
US4554070A (en) Weir-type skimmer employing a wave diffuser
US4120793A (en) Polluting oil recovery apparatus
CN102127906B (en) System for recovering water body floating oil
US9169610B2 (en) Collector apparatus
KR20110121743A (en) Surface oil and suspended solids removal device
KR102328587B1 (en) Oil recovery apparatus
US4588501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 immiscible liquid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higher density liquid
CN103649416B (en) Suction float and gathering-device and collecting ship
EP0917516A1 (en) Irrigation type oil skimmer and method for skimming oil
JP2001009204A (en) Oil separating device
IE47914B1 (en) Anti-pollution boom
KR10041733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ater and oil with nature circulation type
KR20240067632A (en) Oil-water separation type spilled oil storage apparatus for marine spilled oil recovery system
KR100279939B1 (en) Oil collection vessels and collection methods
CN1041695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 floatable liquid
KR20240081948A (en) Amphibious caterpillar vehicle equipped with shore inflow oil recovery device
CN105239546A (en) Backflow stop type water surface thin oil film recovery and separation device
KR101728209B1 (en) Oil spill prevention vessel and oil recovery vessel
CN219671275U (en) Shipborne water spilled oil collecting device
SU1754484A1 (en) Vessel for collecting petroleum from water surface
EP4019700A1 (en) High viscosity oil recovery device for sea spill and method thereof
KR102464417B1 (en) Water surface floating layer removal apparatus
KR102105133B1 (en) Marine oil-spill response system
KR200179410Y1 (en) Recovery apparatus of outflow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