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57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573A
KR20240067573A KR1020220148748A KR20220148748A KR20240067573A KR 20240067573 A KR20240067573 A KR 20240067573A KR 1020220148748 A KR1020220148748 A KR 1020220148748A KR 20220148748 A KR20220148748 A KR 20220148748A KR 20240067573 A KR20240067573 A KR 2024006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frame
cover window
display device
fix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501,31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55918A1/en
Priority to CN202311454830.7A priority patent/CN118015929A/zh
Publication of KR2024006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와 결합하는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백 프레임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고, 백 프레임의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슬라이딩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홈 및 고정 홈을 포함하는 백 플레이트와 커버 윈도우의 고정력을 강화하고 베젤 영역을 축소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시청하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근래의 표시 장치는 다양한 크기,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기능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모니터, 텔레비전, 모바일 핸드폰 및 차량용 표시 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상면을 보호하고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가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이러한 표시 패널 및 커버 윈도우가 결합되고,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외부 충격을 저감하는 백 프레임을 포함한다.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백 프레임에 커버 윈도우를 부착할 수 있다.
접착제 및 양면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 백 플레이트와 커버 윈도우의 고정력 확보를 위해 일정 넓이 이상의 접착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 영역만큼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인 베젤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베젤의 크기를 저감하면서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지 않아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백 프레임에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커버 윈도우와 백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고정 영역을 최소화하여 베젤의 크기를 저감하고 커버 윈도우와 백 프레임의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와 결합하는 백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백 프레임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백 프레임의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 윈도우의 복수의 돌기는 백 프레임의 제1 측면의 복수의 고정 홈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백 프레임의 제1 측면과 수직으로 위치한 백 프레임의 제2 측면 및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과 수직으로 위치한 커버 윈도우의 제2 측면과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이 백 프레임의 슬라이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접착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백 프레임과 커버 윈도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홈 및 슬라이딩 홈을 이용하여 백 프레임과 커버 윈도우를 결합함으로써 고정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어 베젤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의 하부에 배치된 고정 바는 백 프레임의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4측면의 하부에 배치된 하단 고정부와 결합하여 커버윈도우와 백 프레임의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모두 고정하여, 표시 장치의 진동 및 충격에도 커버윈도우와 백 프레임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2의 일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 부분을 반투과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b의 일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과 커버 윈도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4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아래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차량용 또는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표시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PCB를 포함할 수 있다. 세트장치는 소스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구동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액정표시 패널,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백 프레임(100), 표시 패널(200), 구동 어셈블리(210) 및 커버 윈도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00)은 화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인 하나 이상의 표시 영역(AA)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AA) 내부에 픽셀 어레이가 형성된다. 화상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비표시 영역(NA)들은 구동 회로부 및 댐부를 포함하며, 표시 영역(AA)의 일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인접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A)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표시 영역(AA)을 둘러 싸며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AA)의 형상들 및 표시 영역(A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A)의 배열은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표시 패널(200)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패널(200)의 임의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 및 배열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의 형상들의 예들은 오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영역(AA)의 픽셀 각각은,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며 서브픽셀들은 적색(R), 녹색(G), 청색(B), 백색(W) 등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픽셀 각각은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제조된 하나 이상의 TFT들을 포함하는, 픽셀 회로와 연관될 수도 있다. 픽셀 회로 각각은 하나 이상의 구동 회로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와 통신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구동 회로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표시 영역(NA) 내에 구성된 TFT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는 표시 패널(200)의 기판 상의 복수의 TFT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기판의 TFT들로 구현될 수 있는 회로들의 비 제한적인 예들은 인버터 회로, 멀티플렉서, 및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동 회로들은 IC (integrated circuit) 칩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칩 온 글래스(chip-on-glass; COG) 또는 다른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시 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A)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 회로들은 플렉서블 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 칩 온 필름(chip-on-film; COF)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carrier-package; TCP)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구동 어셈블리(210)라고 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210)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및 칩 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210)는 표시 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된 연결 인터페이스 (패드들/범프들, 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200) 상부에서 표시 패널(200)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200)을 보호하고 시야각 조절 및 외부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투명 기판 또는 투명 필름과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 반사 방지 필름(AR 필름) 또는 눈부심 방지 필름(AG 필름)일 수 있고, 투명 기판(510)의 전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백 프레임(100)은 표시 패널(200)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200)이 부착된 커버 윈도우(300)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어셈블리(210)는 백 프레임(100)과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백 프레임(100)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에는 커버 윈도우(300)의 하부에 부착된 고정 바(3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10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백 프레임(10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도시 되었지만,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백 프레임(100)으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백 프레임(100)은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의 형상들의 예들은 오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백 프레임(100)은 플라스틱 계열의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 프레임(100)은 폴리카보나이트(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 하나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백 프레임(100)은 금형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백 프레임(100)의 상부는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윈도우(300)와 결합되어 백 프레임(100) 내부에 표시 패널(200) 및 구동 어셈블리(210)가 수납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백 프레임(100)은 Z축 방향의 제1 측면(A)과 제1 측면과 수직인 Y축 방향의 제2 측면(B), 제2 측면(B)과 마주보는 제3 측면(B') 및 제1 측면(A)과 마주보는 제4 측면(C)을 가질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일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 부분을 반투과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백 프레임(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제1 측면(A)에서 상부로 연장된 제1 측벽부(111)가 있고, 제1 측면(A)의 제1 측벽부(111)에는 복수의 고정 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홈(140)은 사다리꼴 형태로 제1 측면(A)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홈(140)의 각각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의 제2 측벽부들(112)에는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을 따라 슬라이딩 홈(1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백 프레임(100)의 제1 측벽부(111) 및 제2 측벽부(112)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고정 홈(140) 및 슬라이딩 홈(120)을 덮는 상면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30)는 복수의 고정 홈(140) 및 슬라이딩 홈(120)에 커버 윈도우(3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면부(130)는 복수의 고정 홈(140) 및 슬라이딩 홈(120)보다 넓게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복수의 고정 홈(140) 및 슬라이딩 홈(120)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130)는 커버 윈도우(300)가 X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는 일부분(20)의 확대도이다.
커버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200)이 부착되는 패널 영역(PA)과 패널 영역(PA) 외곽의 베젤 영역(BA)을 포함하며,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a)은 복수의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10)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돌기(310)는 백 프레임(100)의 고정 홈(14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a)과 수직인 제2 측면(b)과, 제2 측면(b)과 마주보는 제3 측면(b')은 백 프레임(100)의 슬라이딩 홈(120)에 끼워져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윈도우(30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a)과 마주보는 제4 측면(c)의 하면에는 고정 바(32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바(320)는 폴리카보나이트(PC: Poly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바(320)는 커버 윈도우(300)의 하면에 양면 테이프 혹은 열 융착 방법으로 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바(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0)은 2단 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을 제 4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일 부분(30)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의 일부분에 하단 고정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51)는 백 프레임(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제3 측벽부(113) 외측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51)는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에 커버 윈도우(300)의 고정 바(320)의 넓이와 두께만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 윈도우(300)의 고정 바(320)와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이 결합하였을 때 커버 윈도우(300)의 고정 바(320)가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과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51)의 두께는 하단 고정부(151)가 형성되지 않은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하단 고정부(1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50)가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50)는 원형 후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50)는 고정 바(3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0)과 결합하여 커버 윈도우(3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과 커버 윈도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4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의 방향에서 커버 윈도우(300)가 백 프레임(100)의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의 슬라이딩 홈(120)에 끼워져 들어갈 수 있다.
도 7b와 도 7c를 참고하면 백 프레임(100)의 하단 고정부(15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50)가 커버 윈도우(300) 하면에 부착된 고정 바(3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0)에 결합되며, 고정 바(320)는 하단 고정부(151)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백 프레임(100)과 커버 윈도우(300)가 결합되면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a),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의 상부는 백 프레임(100)의 상면부(130)와 일부 오버랩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 하부에 부착되는 표시 패널(200)은 백 프레임(100)의 상면부(130)와 중첩되지 않고 백 프레임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1 측면(a)의 복수의 돌기(310)와 백 프레임(100)의 제1 측면(A)의 복수의 고정 홈(140)이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은 백 프레임(100)의 제2 측면(B) 및 제3 측면(B')의 슬라이딩 홈(120)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의 제4 측면(c)의 하면에 부착된 고정 바(3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330)과 백 프레임(100)의 제4 측면(C)의 하단 고정부(15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4측면이 모두 백 프레임(100)의 4측면과 결합되어 외부의 진동 및 충격에도 커버 윈도우(300)과 백 프레임(100)의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커버 윈도우와 결합하는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백 프레임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고, 백 프레임의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슬라이딩 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백 프레임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의 슬라이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백 프레임의 복수의 고정 홈 및 슬라이딩 홈은 백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에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백 프레임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복수의 고정 홈 및 슬라이딩 홈을 덮는 상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의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의 하면에 고정 바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백 프레임의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구성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 고정부는 제4 측면의 일부분에 있으며, 하단 고정부의 두께는 제4 측면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은 2단 원형 홀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는 원형 후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바는 커버 윈도우의 제4 측면의 하부면에 접착제, 양면 테이프, 및 열 융착 중 하나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인쇄 회로 기판 및 칩 온 필름을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는 백 프레임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제1 측면
B : 제2 측면
B’ : 제3 측면
C : 제4 측면
100 : 백 프레임
110 : 바닥면
111 : 제1 측벽부
112 : 제2 측벽부
120 : 슬라이딩 홈
130 : 상면부
140 : 고정 홈
150 : 후크
151 : 하단 고정부
200 : 표시 패널
300 : 커버 윈도우
310 : 돌기
320 : 고정 바
330 : 고정 홀

Claims (12)

  1.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결합하는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윈도우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 프레임의 제1 측면은 상기 복수의 돌기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기 제1 측면과 수직인 제2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마주보는 제3 측면은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고정 홈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백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부에 있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홈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을 덮는 상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의 하면에 고정 바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구성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부는 상기 제4 측면의 일부분에 있으며, 상기 하단 고정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제4 측면의 단면 두께보다 얇은,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에 결합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은 2단 원형 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는 원형 후크인, 표시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기 제4 측면의 하부면에 접착제, 양면 테이프, 및 열융착 중 하나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인쇄 회로 기판 및 칩 온 필름을 포함하는 구동 어셈블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백 프레임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220148748A 2022-11-09 2022-11-09 표시 장치 KR20240067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01,315 US20240155918A1 (en) 2022-11-09 2023-11-03 Display apparatus
CN202311454830.7A CN118015929A (zh) 2022-11-09 2023-11-03 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573A true KR20240067573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7174B2 (en) Display device
US1047384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0426498C (zh) 用于封装驱动集成电路的显示器件的基板
US10324346B2 (en) Display device
US20160197134A1 (en) Display module and multi-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6677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70098796A1 (en)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9959824B2 (en) Narrow bezel flat panel display
US11181762B2 (en) Display device
US20120062815A1 (en) Display device
CN107851405B (zh) 显示装置
US11231630B2 (en) Display device
US20190146267A1 (en) Display device
JP4760571B2 (ja) 液晶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00301193A1 (en) Display device
CN114898668B (zh) 拼接显示面板和拼接显示装置
KR20240067573A (ko) 표시 장치
US20150173233A1 (en) Display Modules
CN107112351B (zh) 显示模块和包括其的多显示设备
US20240155918A1 (en) Display apparatus
KR20060079694A (ko)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보호용 필름 부재 및 이를 이용한평판표시장치
KR20080052903A (ko) 표시 장치
KR20150022150A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N113823185B (zh) 电子装置
KR102671247B1 (ko) 가이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