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506A -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506A
KR20240067506A KR1020220148586A KR20220148586A KR20240067506A KR 20240067506 A KR20240067506 A KR 20240067506A KR 1020220148586 A KR1020220148586 A KR 1020220148586A KR 20220148586 A KR20220148586 A KR 20220148586A KR 20240067506 A KR20240067506 A KR 2024006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ver
blade
clean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상헌
공락경
차동은
김경환
최정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7506A/ko
Priority to US18/208,954 priority patent/US20240149837A1/en
Priority to CN202310737212.7A priority patent/CN118004099A/zh
Publication of KR2024006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1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the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being movable with respect to fixed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tooth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60S1/54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using wi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2007/4975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 G01S2007/497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including means to prevent or remove the ob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 및 센서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부, 상기 센서부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SENSOR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펠러의 구조를 적용하여, 센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검출 시스템은 인간이 눈으로 볼 수 있거나, 볼 수 없는 스펙트럼의 광, 특히 적외선의 방출 또는 검출을 기반으로 복수의 카메라, 레이저 센서(통상 LIDAR로 불림) 또는 다른 센서들과 같은 광학 센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시스템에 주어진 명칭이다.
이러한 광학 검출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운전 상황들에서 자동차 운전자를 보조하도록 점점 더 많은 수의 자동차들에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운전 상황들 중 하나는 주차 보조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운전 상황들, 즉 주차 보조 등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광학 검출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는 항상 가능한 최상의 품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라 데이터 취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상태의 광학 검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광학 센서들 주변에는 별도의 클리닝 장치를 위치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클리닝 장치는 검출이 수행되기 직전에 클리닝 유체 또는 에어를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에어의 방사를 통하여 광학 센서의 표면에서 발생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광학 센서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차단은 불가능 하며, 또한 광학 센서의 내부에 습기 등이 발생하게 되면, 이의 제거 역시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에 의해 감지 센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블레이드가 외측 블레이드 및 내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게 하여, 모터의 구동 시, 외측 블레이드의 공기 유로를 따라 배출된 공기에 의해 글라스 커버의 외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게 하고, 내측 블레이드에 의해서는 감지 센서의 내부에 공기가 발생되게 함으로써, 빗물 등에 대한 감지 센서 내부로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라스 커버 외부에서의 오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글라스 커버의 내부에서의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는 구동부 및 센서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부, 상기 센서부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는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내부에 외주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접하게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돌출된 연결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구획된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결합 기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구획된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의 후면으로 유동하게 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결합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향해 유동하게 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기 위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기 위한 상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되, 내주면이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동 경로는 상기 개방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블레이드에서 발생된 공기가 유동하여 상기 개방 영역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워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워셔액 분사부재 및 상기 커버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와이퍼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와이퍼 부재에 대한 배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서 커버 플레이트를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 가이드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블레이드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는 구동부 및 센서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부, 상기 센서부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발생된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각각 유동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부재를 통한 상기 커버부의 전면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감지 센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블레이드가 외측 블레이드 및 내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게 하여, 모터의 구동 시, 외측 블레이드의 공기 유로를 따라 배출된 공기에 의해 글라스 커버의 외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빗물 등에 대한 감지 센서 내부로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라스 커버의 외부에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묻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외측 블레이드와 함께 내측 블레이드에 의해서는 감지 센서의 내부에 공기가 발생되게 함으로써, 글라스 커버의 내부에 발생된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고정 배치된 와이퍼 러버와 접하며 글라스 커버가 회전되는 구조 및 글라스 커버의 외부로 워셔액이 분사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며 구성되기 때문에, 글라스 커버에 대한 오염 발생 시, 회전 및 워셔액 분사를 통해 오염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커버부와, 블레이드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커버부와, 블레이드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구동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공기 유동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커버부와, 블레이드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커버부와, 블레이드부 및 회전 가이드부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구동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에 대한 공기 유동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통상, 차량에는 비나 눈이 오는 양에 따라 와이어의 작동속도를 달리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레인 센서(rain sensor)가 구비되며, 그 이외에도 자율 주행 상황에서 선행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용 센서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일례로 레인 센서의 경우, 센서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전면 유리의 빗방울을 검출하여 우천 상황을 감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구조에서는 센서부를 커버하는 글라스 표면에 빗물 등이 잔류하여 오염이 발생하게 되면, 감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어, 그 측면에 별도의 블로워 등을 장착하여 빗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하였으나, 이와 같은 블로워의 바람만으로는 오염의 완벽한 차단이 어렵고, 블로워의 구성을 장착함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며, 그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크기 또한 증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센서부가 장시간 우천 상황에서 노출되게 되면, 글라스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없으므로, 감지 효과가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는 센서 하우징부(100), 커버부(200) 및 블레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형상에 따라 전방이 차폐되는 한편, 후방은 차폐 커버(30)가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센서 하우징부(100)는 양단부가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의 절곡된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그 후방에 원형의 차폐 커버(30)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될 커버부(200) 및 회전 가이드부(400)가 결합되기 위한 장착 영역(A, B)이 각각 구획되어 형성되고, 이외에도 구동부(1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영역(C) 또한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와 함께, 하부 하우징(110)에는 전면 및 측면에 워셔액 분사부재(130) 및 와이퍼 부재(140)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워셔액 분사부재(130)는 센서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커버부(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커버부(200)의 오염이 발생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워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와이퍼 부재(140)는 장착 영역(A)에 장착된 커버부(200)의 전면과 접하게 배치되어, 커버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그 마찰에 의해 커버부(200)에 전면 측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부재(140)는 상부 하우징(120)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하부 하우징(110)에 체결된 고정부재(15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도 1 참조), 그에 따라 회전하는 커버부(200)의 전면과의 마찰 시, 마찰된 상태를 유지하며 효과적으로 커버부(200)의 전면 측에 대한 세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0)는 센서부(20)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센서 하우징부(100)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100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고(도 1 참조),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커버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부(400) 및 회전 가이드부(40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블레이드부(300)와 함께, 모듈화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모듈화 된 상태에서, 회전 가이드부(400)가 센서 하우징부(100)에 고정됨에 따라, 커버부(200) 및 블레이드부(30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210), 제1고정부재(220) 및 제2고정부재(230)를 구비한다.
고정 가이드(210)는 하부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구획된 장착 영역(A)에 안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커버 플레이트(200a)가 안착되도록 한다.
제1고정부재(220)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를 통해 고정 가이드(210)의 전방에 체결되며, 그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200a)의 안착된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제2고정부재(230)는 일측이 복수의 결합돌기(232)가 고정 가이드(210)의 대응되는 결합 홀(H)에 삽입됨을 통하여 고정 가이드(2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부재(1)를 통해 블레이드부(300)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200)의 구성을 통하여, 센서 하우징부(100)에서의 커버 플레이트(200a)의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센서부(20)가 개방 영역(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플레이트(200a)에 의해 보호되게 함으로써, 빗물, 이물질 등에 의한 감지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레이드부(300)는 빗물 등이 센서 하우징부(10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 (200a)의 후면에서 습기가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결합 기어(320), 제1블레이드(330) 및 제2블레이드(340)를 구비한다.
본체(310)는 커버부(200), 더 구체적으로는 제2고정부재(230)에서 돌출된 연결부재(234)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회전 가이드부(400)의 볼 베어링(미도시)에 대하여 외주면이 접하도록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합 기어(320)는 본체(310)의 내주면에서 구획된 후방에 형성되며, 구동부(10)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그에 따라, 결합 기어(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게 결합된 구동부(10)의 동력 전달 기어(12)가 구동됨에 따라, 본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제1블레이드(330) 및 제2블레이드(340)가 회전하게 되어, 커버부(200)의 전면 및 후면으로 공기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즉, 제1블레이드(330)는 본체(310)의 내주면에 구획된 전방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각각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체(310)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으로 공기를 발생시켜, 발생된 공기가 커버부(200)의 후면, 다시 말해 커버 플레이트(200a)의 후면 측으로 유동하게 한다.
이와 함께, 제2블레이드(340)는 결합 기어(3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블레이드(340)와 동일하게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각각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본체(310)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으로 공기를 발생시켜, 발생된 공기가 커버부(200)의 전면, 다시 말해 개방 영역(100a) 측으로 유동하게 한다.
결국, 센서 하우징부(100)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내부에서는 제1고정부재(220)와의 사이가 이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이격된 상부 하우징(120)의 내주면과 고정 가이드(210) 및 회전 가이드부(400)의 외주면이 이격된 구조와 함께, 공기 유동 경로(P)를 형성함으로써, 본체(310)가 회전됨에 따라 제2블레이드(340)를 통해 발생된 공기가 개방 영역(100a)을 향해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블레이드(330) 또한 본체(31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330)를 통해 발생된 공기가 글라스(100a)의 후면 측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을 바탕으로, 본 실시예서의 센서 하우징(100)이 레인 센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천 상황에서, 빗물에 의한 레인 센서의 오염이 감지되면, 차량의 제어기(미도시)에서는 구동부(1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결합 기어(320)와 맞물리게 결합된 동력 전달 기어(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본체(31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체(310)가 회전하게 되면, 제2블레이드(340)가 함께 회전, 공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공기는 공기 유동 경로(P)을 따라 개방 영역(100a)의 커버 플레이트(200a)의 전면으로 유동하게 되어, 커버 플레이트(200a)의 전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도록 한다.
커버 플레이트(200a)의 전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됨에 따라, 상부 하우징(120)의 절곡된 단부와 제1고정부재(220) 사이의 이격된 부분으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200a)의 전면에 맺힌 빗물의 경우, 본체(31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된 커버부(20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고정된 와이퍼 부재(140)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면, 그 마찰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남아있는 빗물 또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본체(310)의 회전 시에는 제1블레이드(33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1블레이드(330)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글라스(100a)의 후면 측으로 유동하게 되므로(도 7 참조), 우천 상황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글라스(100a)의 후면에 발생된 습기 또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우천 상황 종료가 감지되면, 차량의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구동부(10)의 구동이 정지되게 함으로써,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가 대기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만일 일례로 본 실시예서의 센서 하우징(100)이 자율 주행을 위해 적용되는 거리 감지용 센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차량의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되는 감지 정보가 불안정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흙탕물, 벌레와 같은 이물질, 또는 습기에 의한 거리 감지용 센서의 오염으로 판단하여, 구동부(1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결합 기어(320)와 맞물리게 결합된 동력 전달 기어(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본체(31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체(310)가 회전하게 되면, 연결된 커버부(200) 또한 함께 회전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된 와이퍼 부재(140)와 커버 플레이트(200a)가 접한 상태에서 커버부(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그 마찰에 의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더 효과적인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워셔액 분사부재(140)를 통하여 커버 플레이트(200a)의 전면을 향해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의 회전 시에는 제1블레이드(33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1블레이드(330)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글라스(100a)의 후면 측으로 유동하게 되므로(도 7 참조), 거리 감지용 센서에 대한 오염으로 인식된 글라스(100a)의 후면에 발생된 습기 또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물질 및 습기 제거를 위한 전술된 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의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되는 감지 정보가 안정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10)의 구동이 정지되게 함으로써,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가 대기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센서 하우징(100)이 레인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거리 감지용 센서로 이루어진 것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차량에 적용되는 다양한 센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감지 센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블레이드가 외측 블레이드 및 내측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게 하여, 모터의 구동 시, 외측 블레이드의 공기 유로를 따라 배출된 공기에 의해 글라스 커버의 외부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빗물 등에 대한 감지 센서 내부로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라스 커버의 외부에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묻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외측 블레이드와 함께 내측 블레이드에 의해서는 감지 센서의 내부에 공기가 발생되게 함으로써, 글라스 커버의 내부에 발생된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고정 배치된 와이퍼 러버와 접하며 글라스 커버가 회전되는 구조 및 글라스 커버의 외부로 워셔액이 분사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하며 구성되기 때문에, 글라스 커버에 대한 오염 발생 시, 회전 및 워셔액 분사를 통해 오염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체결부재 10 : 구동부
12 : 동력 전달 기어 20 : 센서부
30 : 차폐 커버 100 : 센서 하우징부
100a : 개방 영역 110 : 하부 하우징
120 : 상부 하우징 130 : 워셔액 분사부재
140 : 와이퍼 부재 150 : 고정부재
200 : 커버부 200a : 커버 플레이트
210 : 고정 가이드 220 : 제1고정부재
230 : 제2고정부재 232 : 결합돌기
234 : 연결부재 300 : 블레이드부
310 : 본체 320 : 결합 기어
330 : 제1블레이드부 340 : 제2블레이드부
400 : 회전 가이드부 P : 공기 유동 경로

Claims (10)

  1. 구동부 및 센서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부;
    상기 센서부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내부에 외주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주면에 접하게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에서 돌출된 연결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구획된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결합 기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구획된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의 후면으로 유동하게 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결합 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향해 유동하게 하는 제2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기 위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기 위한 상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되, 내주면이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경로는,
    상기 개방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블레이드에서 발생된 공기가 유동하여 상기 개방 영역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워셔액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워셔액 분사부재; 및
    상기 커버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와이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부는,
    상기 와이퍼 부재에 대한 배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서 커버 플레이트를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 가이드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블레이드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9. 구동부 및 센서부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부;
    상기 센서부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 영역에 의해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센서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전면을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회전됨에 따라 발생된 공기를 상기 커버부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하여 각각 유동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퍼 부재를 통한 상기 커버부의 전면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KR1020220148586A 2022-11-09 2022-11-09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KR2024006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86A KR20240067506A (ko) 2022-11-09 2022-11-09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US18/208,954 US20240149837A1 (en) 2022-11-09 2023-06-13 Sensor cleaning apparatus for a vehicle
CN202310737212.7A CN118004099A (zh) 2022-11-09 2023-06-21 车辆的传感器清洁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86A KR20240067506A (ko) 2022-11-09 2022-11-09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506A true KR20240067506A (ko) 2024-05-17

Family

ID=9092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586A KR20240067506A (ko) 2022-11-09 2022-11-09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49837A1 (ko)
KR (1) KR20240067506A (ko)
CN (1) CN11800409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9837A1 (en) 2024-05-09
CN118004099A (zh)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668B2 (en) Device for protecting an optical sensor, and associate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US10549726B2 (en) Assembly for cleaning sensor cov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9535580A (ja) 光学センサを保護する装置、並びに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洗浄方法
US11529933B2 (en) Sensing apparatus
JP2019011043A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
JP7173468B2 (ja) 物体表面から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JP6786629B2 (ja) 自動車の光学検出システムを清掃するための装置
CN107454287B (zh) 相机系统和装置
JP2019006376A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組み立て方法
US20180335505A1 (en) Device for protecting an optical sensor and associated driving assistance system
KR102312411B1 (ko) 차량용 무빙 카메라의 렌즈 이물질 세척 장치
KR20230006831A (ko) 자동차용 운전 보조 시스템용 보호 장치의 세정 방법 및 연관된 운전 보조 시스템
JP7423201B2 (ja) 光学素子を洗浄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又は光学素子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
KR20240067506A (ko) 차량용 센서 클리닝 장치
CN218610557U (zh) 一种光学传感器清洗装置
KR102703752B1 (ko) 센싱장치
JP2023533549A (ja) 光学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対応する運転者支援システム
KR102519400B1 (ko) 차량의 자율주행센서 클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149318A (ja) 障害物センサユニット装置
KR20240074208A (ko) 차량의 자율주행센서 클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302114A (zh) 传感器清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