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960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960A
KR20240066960A KR1020230087582A KR20230087582A KR20240066960A KR 20240066960 A KR20240066960 A KR 20240066960A KR 1020230087582 A KR1020230087582 A KR 1020230087582A KR 20230087582 A KR20230087582 A KR 20230087582A KR 20240066960 A KR20240066960 A KR 2024006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 down
connector
wall
unidirection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은, 상면 보호부, 장방향 외벽 보호부, 장방향 내벽 보호부, 단방향 외벽 보호부, 장방향 실장 형성부, 단방향 내벽 보호부 및, 탄성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절연 몸체와, 컨택트 부재 및,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Hold down for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including it}
본 발명은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도 강화 및 안정성을 높인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텍터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컨택트 부재(contac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때, 상호 간 얼라인먼트(정렬, alignment)가 잘 맞지 않으면 물리적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결합 작업 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커넥터용 홀드다운(Hold Down structure)을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한다. 이러한 홀드 다운은 커넥터 간 결합 시 커넥터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종래의 커넥터용 홀드 다운은 절연 몸체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판 형의 상면 보호부 및 절연 몸체의 외측 및 내측면을 보호하도록 상면 보호부의 둘레를 따라 장방향 또는 단방향 보호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통상 리셉터클 커넥터의 홀드 다운에 탄성을 갖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플러그 커넥터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안정적인 접촉을 위한 탄성 구조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발생되고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에 탄성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 다운에 탄성 구조가 적용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되는 과정에서 인가될 수 있는 외력에 대해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절연 몸체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그와 강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확보하고 접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플러그 커넥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1351호 (2019.06.0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해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 오정렬(misalignment) 결합 시 파손 가능성을 줄여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 다운이 전원용 단자나 고전류용 단자로 사용될 경우 탄성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촉 안정성을 높임으로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플러그 커넥터(1)의 측벽(13)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상판(111)과, 제1 지지벽(12a)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2 상판(112) 및, 제2 지지벽(12b)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3 상판(113)을 포함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상면 보호부(110); 상기 제1 상판(111)에서 제1 방향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의 외측 일부를 덮는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 상기 제1 상판(111)에서 제1 방향의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의 내측 일부를 덮는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 상기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벽(12a)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a)와, 상기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벽(12b)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b)를 구비한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 상기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을 감싸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 상기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벽(12a)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상기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벽(12b)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를 구비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 및, 상기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의 제1 탄성 접촉부(170a)와, 상기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의 제2 탄성 접촉부(170b)를 구비한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로부터 돌출되되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벽(12a) 및 제2 지지벽(12b)을 갖는 지지벽(12)과, 상기 지지벽(12)의 제1 방향 양 측부에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 놓일 수 있는 절연 몸체(10);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벽(12)에 구비되는 복수의 컨택트 부재(20); 및 상기 절연 몸체(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몸체(10)의 상기 제1 방향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이 상면 보호부와 이의 둘레를 감싸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외력에 대해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물리적 안정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넥터용 홀드 다운의 일부분이 절연 몸체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몰딩되어 절연 몸체와 홀드 다운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금속 재질의 커넥터용 홀드 다운이 커넥터의 양측 단부를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오정렬(misalignment) 결합 시 파손 가능성을 줄여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홀드 다운에 탄성 구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 다운에 탄성 접촉부를 형성함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고 보다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홀드 다운이 전원용 단자나 고전류용 단자로 사용될 경우 탄성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촉 안정성을 높임으로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 접촉부는 홀드 다운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가져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탄성 접촉부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 접촉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변위공간 안에서 탄성 변형을 가지는 구조로 결합 과정 중 외력에 의한 부러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장방향 외벽 보호부와 장방향 실장부의 사이 간극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절연 몸체와 일체화되고, 인서트 몰딩 성형된 사이 간극은 충진된 수지층이 납오름 차단부를 형성하여, 솔더링된 납땜이 상부로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방향 실장부는 상부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수지에 둘러쌓인 형태로 납오름 차단부를 형성하여, 솔더링된 납땜이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탄성 접촉부는 고정 연장부와 탄성 암부 및 탄성부가 'L'자 형상으로 변위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제2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한 탄성 변형이 가능해 결합 과정 중 외력에 의한 부러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더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서 홀드 다운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다양한 각도의 평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Ⅰ-Ⅰ', Ⅱ-Ⅱ' 및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각각 도면에 도시된 X축과 나란한 방향, Y축과 나란한 방향, 및 Z축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설명이 없는 한, X축 방향이라고 하면 X축의 양의 방향 및 X축의 음의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는 Y축 방향이나 Z축 방향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설명에서 X축 방향을 제1 방향으로, Y축 방향을 제2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지칭하나 이는 상대적 관점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 및 좌표축(X,Y,Z축)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일 뿐이고, 각 구성 요소들의 절대적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서 홀드 다운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다양한 각도의 평면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Ⅰ-Ⅰ', Ⅱ-Ⅱ' 및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탄성 접촉부(170)를 형성하여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의 물리적인 결합 시 외력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줄여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크게 절연 몸체(10)와 컨택트 부재(20) 및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포함한다.
절연 몸체(10)는 플라스틱(plastic)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텍트 부재(20)와 홀드 다운(100) 등이 포함된다.
일 예로, 절연 몸체(10)는 컨텍트 부재(20)와 홀드 다운(100)을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 절연 몸체(10)를 사출성형 등으로 먼저 제조한 다음, 컨텍트 부재(20)와 홀드 다운(100)을 절연 몸체(10)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별도의 설명이 없다면 인서트 몰딩을 통해 절연 몸체(10)가 제작되었음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의 절연 몸체(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설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기판의 상면에 놓일 수 있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11)를 가지는데, 바닥부(11)는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의 돌출부 등 상대물이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절연 몸체(10)는 후술할 컨택트 부재(20) 및 홀드 다운(100) 사이의 절연 성능을 확보하고 컨택트 부재(20) 및 홀드 다운(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절연 몸체(10)는 바닥부(11)로부터 상부 방향(Z축의 양의 방향)으로 설정의 높이를 가지며 돌출된 지지벽(12) 및 측벽(13)을 포함한다.
지지벽(12)은 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배열된 막대 형상으로 제1 지지벽(12a)과 제2 지지벽(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측벽(13) 또한 한 쌍으로 절연 몸체(10)의 X축의 양의 방향과 X축의 음의 방향 단부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에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측벽(13)은 접근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한 쌍의 지지벽(12) 사이로 가이드하고,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포함하여 절연 몸체(1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에서 이러한 절연 몸체(10)의 형상은 설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지나, 커넥터(1)의 용도 및 설치 장소, 컨택트 부재(20)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컨텍트 부재(20)는 금속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가 제1 지지벽(12a)과 제2 지지벽(12b)의 폭방향 내벽을 따라 벤딩(Bending)하여 노출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텍트 부재(20)들은 각각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는, 절연 몸체(10)의 제1 방향(X축 방향) 양 측부에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구비한다.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상술한 바와 절연 몸체(10)를 보호하고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절연 몸체(10)의 X축 방향 양측 단부를 커버한다.
즉, 홀드 다운(100)은 절연 몸체(10)의 강도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 시 상대 커넥터에 대한 가이딩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후술하겠지만 장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절연 몸체(10)의 저면 측에 실장부(144, 152)를 형성하여, 플러그 커넥터(1)를 기판(미도시)에 표면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 하기 보다 용이하게 한다(도 4 참조).
한편,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외력에 대한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결합 시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크게 상면 보호부(110),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 및,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플러그 커넥터(1)의 제1 방향(길이 방향, X축 방향) 양 단부를 보호하면서, 탄성 접촉부(170)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홀드 다운(100)의 내측에 안정적인 위치로 배치되어,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 및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설정의 두께를 가지며 두께의 일부는 절연 몸체(10)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몰딩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외부를 보호할 수 있다.
먼저, 상면 보호부(11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면 보호부(110)는 플러그 커넥터(1)를 구성하는 절연 몸체(10)의 일측 측벽(13)과 제1 지지벽(12a) 및 제2 지지벽(12b)의 길이 방향(제1 방향, X축 방향) 단부측 상면 일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이를 위한 일 예로, 상면 보호부(110)는,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의 측벽(13)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상판(111)과, 제1 지지벽(12a)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상판(112)과, 제2 지지벽(12b)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2 상판(1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상판(111)과 제2 상판(112) 및 제3 상판(113)은 단절없이 연장된 하나의 판 형상일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된 별개의 판 형상일 수도 있다.
도시에서 제1 상판(111)과 제2 상판(112) 및 제3 상판(113)은 각각 분리된 판 형상으로 상면 보호부(110)를 구성함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술한 상면 보호부(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인서트 몰딩(또는 조립 결합)을 통해 절연 몸체(10)의 상부측 외부에 노출된 배치를 갖는다.
이어서,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1 상판(111)의 일단부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측벽(13)의 외측 일부를 덮는 판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1 상판(111)의 제1 방향 단부(X축 양의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1 굴곡부(121)와, 제1 굴곡부(121)의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기립 연장부(122)와, 기립 연장부(122)의 단부가 하방 및 제2 방향(Y 축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 연장부(123)를 포함하여,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 판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는, 측벽(13)의 외측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진다.
그리고, 제1 굴곡부(121)는 절연 몸체(10)의 측벽(13) 형상에 따라 라운드진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짧거나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립 연장부(122)와 확장 연장부(123)는 제1 굴곡부(121)에서 하방(Z축의 음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1 굴곡부(121)와 함께 측벽(13)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도 3 참조).
한편, 확장 연장부(123)는 하단부에 절개부(123a)를 더 형성한다.
상술의 절개부(123a)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인서트 몰딩 성형에 따라 수지물이 보다 강하게 홀드 다운(100)과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절연 몸체(10)는 금형에 컨택트 부재(20) 및 홀드 다운(100)을 배치한 다음, 소정의 수지를 주입하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데, 사출되는 수지는 절개부(123a)가 형성하는 턱을 통해 홀드 다운(100)과 보다 강하게 일체화됨으로 플러그 커넥터(1)는 외력에 대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그리고, 후술에서 설명할 장방향 실장부(153)와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의 절개부(123a)가 형성하는 사이 간극(d1)에는 인서트 몰딩 성형에 따라 수지물이 충진되면서 절연 몸체(10)의 측벽(13)을 형성한다.
이때, 사이 간극(d1)에 충진된 수지층은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하게 되고, 솔더링된 납땜이 상부로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12 참조).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1 상판(111)에서 제1 방향의 내측 하방(Z축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13)의 내측 일부를 덮는 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는 절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배치를 갖는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시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1 상판(111)의 제1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굴곡부(131)와, 굴곡부(131)의 단부가 하방(Z축 음의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1 기립 연장부(132)를 포함하여, 단절없이 연장된 단일 판 형상을 갖는다.
한편, 필요에 따라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폭은 절연 몸체(10)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를 포함한다.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측벽(13)과 연결되는 제1 지지벽(12a)과 제2 지지벽(12b)의 외측면을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a)와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b)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a)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벽(12a)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절곡된 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b)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 지지벽(12b)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절곡된 판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일 실시예로,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a)와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b)를 포함하는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2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 굴곡부(141)와, 제1 굴곡부(141)의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기립 연장부(142)와, 기립 연장부(142)의 단부가 제1 굴곡부(1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하방으로 절곡된 제2 굴곡부(143)와, 제2 굴곡부(143)의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단방향 실장부(144)를 포함하여, 단절없이 연속된 절곡된 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1 굴곡부(141)는 절연 몸체(10)의 지지벽(12) 형상에 따라 라운드진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짧거나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립 연장부(142)는 제1 굴곡부(141)에서 하방(Z축의 음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1 굴곡부(141)와 함께 지지벽(12)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도 3 참조).
한편, 제2 굴곡부(143)는 절연 몸체(10)의 지지벽(12) 내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굴곡부(143)가 절연 몸체(10)의 지지벽(12)과 일체로 인서트 몰딩 성형됨으로 홀드 다운(100)과 절연 몸체(10)의 결합력은 더 강해질 수 밖에 없으며 외력에 대해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인서트 몰딩 되는 제2 굴곡부(14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수지에 의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절연 몸체(10)의 지지벽(12)이 강하게 일체화됨으로 플러그 커넥터(1)는 외력에 대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제2 굴곡부(143)와 단방향 실장부(144)를 설정의 절개폭(r1, 도 11)을 가지도록 절개한 이격부(102)를 더 형성한다.
이때, 절개폭(r1)은 바람직하게 후술될 탄성 접촉부(170)의 폭(a1)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170)는 절개폭(r1)의 범위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에 절개폭(r1)을 가지는 이격부(102)를 형성함에 따라 제2 굴곡부(143)는 이격부(102)를 사이에 두고 X축 양의 방향의 제2-1 굴곡부(143a)와 X축 음의 방향의 제2-2 굴곡부(143b)로 이격되어 구분된다.
그리고, 단방향 실장부(144)는 이격부(102)를 사이에 두고 X축 양의 방향의 제1 단방향 실장부(144a)와 X축 음의 방향의 제2 단방향 실장부(144b)로 이격되어 구분된다.
다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에 형성된 이격부(102)는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탄성 접촉부(170) 사이에 사출 수지 흐름성을 좋게 하며, 제2 굴곡부(143)가 지지벽(12)의 내부에 빠르게 실장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격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수지에 의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절연 몸체(10)의 지지벽(12: 12a, 12b)이 강하게 일체화됨으로 플러그 커넥터(1)는 외력에 대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에 이격부(102)가 없다면 인서트 몰딩 성형 시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변위공간(S)과의 사이는 사출 수지 흐름 공간이 작기 때문에 수지 흐름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에 상술의 이격부(102)를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수지 흐름성을 개선하게 되고, 이는 곧 인서트 몰딩 성형 시 수지가 채워지지 않는 불량을 방지하여 홀드 다운(100)과 절연 몸체(10)가 강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홀드 다운(100)과 절연 몸체(10)의 강한 결합력에 따른 일체화는 결국 플러그 커넥터(1)의 외력에 대한 강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도시에서 이격부(102)는 관통홀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의 단방향 실장부(144)는 제2 굴곡부(143)에서 다시 절연 몸체(10)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단방향 실장부(144) 또한 장방향 실장부(124)와 마찬가지로, 도 4에서와 같이, 절연 몸체(10)의 바닥 외부로 노출되어 납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단방향 실장부(144)와 연결된 제2 굴곡부(143)는 지지벽(12)을 형성하는 수지에 둘러쌓인 형태로, 단방향 실장부(144)에 솔더링된 납땜이 제2 굴곡부(143)를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굴곡부(143)를 둘러싼 수지는 납오름 차단부(D, 도 13)를 형성하여 납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단부에서 제1 방향(X축 양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13)을 감싸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를 포함한다.
다시 도 4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는,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하단부에서 제1 방향(X축 양의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굴곡부(151)와, 굴곡부(151)의 단부가 다시 제1 방향(X축 양의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장방향 실장부(152)를 포함하여, 단절없이 연속되는 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장방향 실장부(152)는 측벽(13)의 폭 방향(Y축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도 4에서와 같이 절연 몸체(10)의 바닥 외부로 노출되어 납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를 구비한다.
다시 도 3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지지벽(12)의 내측 일부를 덮어 보호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상면 보호부(110)의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벽(12a)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상면 보호부(110)의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지지벽(12b)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는 상술한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와 연결되어 일체화된 판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술한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를 구비하는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상면 보호부(110)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 굴곡부(161)와, 제1 굴곡부(161)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고 지지벽(12)의 일부를 덮는 연장부(162)와,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162)와 연결되도록 제1 방향(X축 음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굴곡부(163)를 포함하여, 단절없이 연속되는 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연장부(162)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돌출 연장된 확장바(164)를 포함한다.
확장바(164)는 후술할 탄성 접촉부(170)와 연결되어 탄성 접촉부(17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벽(12)의 내측에 표면이 노출되는 배치를 갖는다.
이러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절연 몸체(10)에 노출된 상태로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함께 절연 몸체(10)의 외부를 보다 더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 시,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탄성 접촉부(170)는,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를 형성하는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측에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1 탄성 접촉부(170a)는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의 단부가 제1 방향(X축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Z축 양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 탄성 접촉부(170b)는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40b)의 단부가 제1 방향(X축 음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Z축 양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시에서는 한 쌍의 탄성 접촉부(170)로 형성됨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 접촉부(170)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탄성 접촉부(170)는 가동 단자로써 플러그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의 결합 시 탄성적인 접촉을 통해 전기적인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탄성 접촉부(170)를 통한 단자 접촉을 통해 B2B 커넥터는 고전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170)는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와 간격(h3)을 가지고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와의 간격은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의 절연 몸체(10)와의 인서트 몰딩 시, 탄성 접촉부(170)의 탄성 변형 가능한 변위공간(S)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도 3 및 도 10 참조).
한편,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탄성 접촉부(170)는,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의 일 단부인 확장바(164)에서 제1 방향(X축 음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고정 연장부(171)와, 고정 연장부(171)의 단부가 제3 방향(Z축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탄성 암부(172)와, 탄성 암부(172)의 단부가 제3 방향(Z축 양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라운드지게 절곡되되 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탄성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및 도 14 참조).
한편, 탄성 암부(172)는 폭이 좁아지는 어깨턱(172a)을 형성하며 상부의 탄성부(173)가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 접촉부(170)는 고정 연장부(171)와 탄성 암부(172) 및 탄성부(173)가 'L'자 형상으로 변위공간(S)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탄성이 없는 고정된 부분이 탄성 접촉부(170)의 탄성부(173)와 접촉하면서 정위치로 진입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연장부(171)의 일부분과 탄성 암부(172)는 후술의 변위공간(S)을 통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탄성 접촉부(170)는 변위공간(S)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제2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커넥터 간 결합 과정 중 외력에 의한 탄성 접촉부(170)의 부러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더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에 적용되는 탄성 접촉부(170)는 홀드 다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탄성 접촉부(170)는 홀드 다운(100) 구조체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과도한 외부 압력에 의해 탄성 접촉부(17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파손 발생 및 외형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홀드 다운(100)이 전원 단자나 고전류용 단자로 사용될 경우, 탄성 접촉부(170)는 탄성을 이용한 확실한 접촉으로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신호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탄성 접촉부(170)는 탄성부(173)의 상단부가 상면 보호부(110)의 상단부와 간격(h1)을 가지며 Z축 방향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도 12 및 도 14 참조).
즉, 탄성 접촉부(170)는 홀드 다운(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탄성 접촉부(170)의 탄성부(173)는,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 160a, 160b)와 간격(h2)을 가지며 제2 방향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탄성 접촉부(170)는 커네터용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홀드 다운(100)의 내부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 접촉부(170)는 결합 과정 시 외력이 인가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에 구비된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의 탄성 접촉부(170)는 탄성 변형되어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추가적인 구조없이 전기적 연결을 이루면서 체결 강도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커넥용 홀드 다운(100)과 절연 몸체(10)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는, 절연 몸체(10)와, 컨택트 부재(20) 및 커넥터 홀드 다운(100)을 포함한다.
이때, 절연 몸체(10)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11), 바닥부(11)로부터 돌출되되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벽(12a) 및 제2 지지벽(12b)을 갖는 지지벽(12)과, 지지벽(12)의 제1 방향 양 측부에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 놓여진다.
그리고, 컨택트 부재(20)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지지벽(12)에 구비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 보호부(110),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 및,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의 굴곡부(15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벽(13)에 인서트 몰딩된다.
그리고,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의 제2 굴곡부(143)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벽(12)에 인서트 몰딩된다.
이와 같이, 절연 몸체(10)의 측벽(13) 또는 지지벽(12)과 일체형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은 절연 몸체(10)와 보다 공고히 결합되어 외력에 대한 강성을 높인다.
더불어,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의 절개부(123a)를 형성하는 부분의 단부와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의 장방향 실장부(153)는 설정의 사이 간극(d1)을 형성하면서, 절연 몸체(10)의 내부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어 사이 간극(d1)에는 납타오름 현상을 방지하는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한다(도 4 및 도 12 참조).
또한,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의 제2 굴곡부(143)는 절연 몸체(10)의 내부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면서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한다(도 13 참조).
한편,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탄성 접촉부(170)는, 지지벽(12) 사이에 변위공간(S)을 형성하며 배치됨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접촉 안정성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홀드 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이 상면 보호부(110)와 이의 둘레를 감싸는 보호부(120, 130, 140, 160) 및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와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하는 구조로 외력에 대해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하고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의 일부분이 절연 몸체(10)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몰딩되어 절연 몸체(10)와 홀드 다운(100)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노출된 금속 재질의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이 커넥터(1)의 양 측 단부를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오정렬(misalignment) 결합 시 파손 가능성을 줄여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홀드 다운에 탄성 구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플러그 커넥터(1)의 홀드 다운(100)에 탄성 접촉부(170)를 형성함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고 보다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170)는 홀드 다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탄성 접촉부(170)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170)는 플러그 커넥터(1)의 변위공간(S) 안에서 탄성 변형을 가지는 구조로 결합 과정 중 외력에 의한 부러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와 장방향 실장부(152)의 사이 간극(d1)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절연 몸체와 일체화되고, 인서트 몰딩 성형된 사이 간극(d1)은 충진된 수지층이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하여, 솔더링된 납땜이 상부로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단방향 실장부(144)는 상부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수지에 둘러쌓인 형태로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하여, 솔더링된 납땜이 타고 올라가 불량을 발생시키는 납 타오름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탄성 접촉부(170)는 고정 연장부(171)와 탄성 암부(172) 및 탄성부(173)가 'L'자 형상으로 변위공간(S)에 배치됨에 따라 제2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한 탄성 변형이 가능해 결합 과정 중 외력에 의한 부러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더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 절연 몸체
11 : 바닥부 12 : 지지벽
13 : 측벽 20 : 컨택트 부재
100 : 커넥터용 홀드 다운
110 : 상면 보호부 111 : 제1 상판
112 : 제2 상판 113 : 제3 상판
120 : 장방향 외벽 보호부 121 : 제1 굴곡부
122 : 기립 연장부 123 : 확장 연장부
130 : 장방향 내벽 보호부 131 : 굴곡부
132 : 기립 연장부
140 : 단방향 외벽 보호부 140a :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
140b :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 141 : 제1 굴곡부
142 : 기립 연장부 143 : 제2 굴곡부
144 : 단방향 실장부
150 : 장방향 실장 형성부 151 : 굴곡부
152 : 장방향 실장부
160 : 단방향 내벽 보호부 160a :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
160b :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 161 : 제1 굴곡부
162 : 연장부 163 : 제2 굴곡부
164 : 확장바 170 : 탄성 접촉부
170a : 제1 탄성 접촉부 170b : 제2 탄성 접촉부
171 : 고정 연장부 172 : 탄성 암부
173 : 탄성부 S : 변위공간

Claims (16)

  1. 플러그 커넥터(1)의 측벽(13)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상판(111)과, 제1 지지벽(12a)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2 상판(112) 및, 제2 지지벽(12b)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3 상판(113)을 포함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상면 보호부(110);
    상기 제1 상판(111)에서 제1 방향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의 외측 일부를 덮는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
    상기 제1 상판(111)에서 제1 방향의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의 내측 일부를 덮는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
    상기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벽(12a)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제1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a)와, 상기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벽(12b)의 외측 일부를 덮는 제2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b)를 구비한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
    상기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13)을 감싸면서 외측으로 연장된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
    상기 제2 상판(112)에서 제2 방향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벽(12a)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와, 상기 제3 상판(113)에서 제2 방향 타측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벽(12b)의 내측 일부를 덮는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를 구비한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 및,
    상기 제1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a)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의 제1 탄성 접촉부(170a)와, 상기 제2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b)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제3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장된 바 형상의 제2 탄성 접촉부(170b)를 구비한 탄성 접촉부(170);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는,
    상기 상면 보호부(110)의 제1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1 굴곡부(121)와,
    상기 제1 굴곡부(121)의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기립 연장부(122)와,
    상기 기립 연장부(122)의 단부가 하방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확장 연장부(123)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는,
    상기 제1 상판(111)의 제1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굴곡부(131)와,
    상기 굴곡부(131)의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기립 연장부(132)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상기 상면 보호부(110)의 제2 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 굴곡부(141)와,
    상기 제1 굴곡부(141)의 단부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기립 연장부(142)와,
    상기 기립 연장부(142)의 단부가 상기 제1 굴곡부(1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하방으로 절곡된 제2 굴곡부(143)와,
    상기 제2 굴곡부(143)의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단방향 실장부(144)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는,
    상기 제2 굴곡부(143)와 상기 단방향 실장부(144)를 설정의 절개폭(r1)을 가지도록 절개한 이격부(102)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 굴곡부(143)는 상기 이격부(102)를 사이에 두고 제2-1 굴곡부(143a)와 제2-2 굴곡부(143b)로 이격되어 구분되며,
    상기 단방향 실장부(144)는 상기 이격부(102)를 사이에 두고 제1 단방향 실장부(144a)와 제2 단방향 실장부(144b)로 이격되어 구분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폭(r1)은 상기 탄성 접촉부(170)의 폭(a1) 보다 크고,
    상기 탄성 접촉부(170)는, 상기 절개폭(r1)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는,
    상기 장방향 내벽 보호부(130)의 하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굴곡부(151)와,
    상기 굴곡부(151)의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장방향 실장부(152)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상기 상면 보호부(110)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 굴곡부(161)와,
    상기 제1 굴곡부(161)가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고 지지벽(12)의 일부를 덮는 연장부(162)와,
    상기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162)와 연결되도록 제1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굴곡부(163)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는,
    상기 연장부(162)의 일단부가 하방으로 돌출 연장된 확장바(164)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170)는,
    상기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의 일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고정 연장부(171)와,
    상기 고정 연장부(171)의 단부가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탄성 암부(172)와,
    상기 탄성 암부(172)의 단부가 제3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라운드지게 절곡되되, 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탄성부(173)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73)의 상단부는,
    상기 상면 보호부(110)의 상단부와 간격(h1)을 가지며 Z축 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170)의 탄성부(173)는,
    상기 단방향 내벽 보호부(160)와 간격(h2)을 가지며 제2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
  13. 평판 형상의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로부터 돌출되되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지지벽(12a) 및 제2 지지벽(12b)을 갖는 지지벽(12)과, 상기 지지벽(12)의 제1 방향 양 측부에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을 포함하며, 기판 상에 놓일 수 있는 절연 몸체(10);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벽(12)에 구비되는 복수의 컨택트 부재(20); 및
    상기 절연 몸체(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몸체(10)의 상기 제1 방향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커넥터용 홀드 다운(100)을 포함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탄성 접촉부(170)는,
    상기 지지벽(12) 사이에 변위공간(S)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향 외벽 보호부(120)의 절개부(123a)를 형성하는 부분의 단부와 상기 장방향 실장 형성부(150)의 장방향 실장부(152)는 설정의 사이 간극(d1)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몸체(10)의 내부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어 사이 간극(d1)에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다운(100)을 구성하는 단방향 외벽 보호부(140)의 제2 굴곡부(143)는,
    상기 절연 몸체(10)의 내부에 인서트 몰딩 성형되면서 납오름 차단부(D)를 형성하는, 커넥터용 홀드 다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30087582A 2022-11-08 2023-07-06 플러그 커넥터 KR20240066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859 2022-11-08
KR20220147859 2022-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960A true KR20240066960A (ko) 2024-05-16

Family

ID=9127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582A KR20240066960A (ko) 2022-11-08 2023-07-06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9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51A (ko)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51A (ko)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019456B1 (en) Electric connector
US10498056B2 (en)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KR10122351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666891B2 (ja) 射出成形基板と実装部品との取付構造
JP7507567B2 (ja) プラグコネクター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JP2011119152A (ja) 電気コネクタ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CN103151628A (zh) 连接端子
WO2008042656A1 (en) Connector assembly
KR20240066960A (ko) 플러그 커넥터
KR20240066967A (ko) 플러그 커넥터
JP7561499B2 (ja) プラグコネクター
KR20240066966A (ko) 플러그 커넥터
JP201903303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240066968A (ko) 커넥터
KR20240070396A (ko) 커넥터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JP5568974B2 (ja) 回路構成体
KR20240112194A (ko) 커넥터
US20230246375A1 (en) Electric connector
KR102718405B1 (ko) 플러그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