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229A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5229A KR20240065229A KR1020240058002A KR20240058002A KR20240065229A KR 20240065229 A KR20240065229 A KR 20240065229A KR 1020240058002 A KR1020240058002 A KR 1020240058002A KR 20240058002 A KR20240058002 A KR 20240058002A KR 20240065229 A KR20240065229 A KR 202400652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housing
- lens driving
- driving devic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터미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inside which the bobbin is installe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a terminal member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upport member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and connec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terminal member, wherein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support member, and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Description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ens driving device,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a portable devi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이미지 센서 모듈,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obile phones or smartphones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that captures a subject and saves it as an image or video are being developed. Generally, a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module, and a lens driving device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module.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다. 렌즈 구동장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have ultra-small camera modules built into them. The lens driving device can perform auto focusing to align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는데, 사용자의 손떨림에 기인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부가한 렌즈 구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shooting a subject, the camera module may slightly shake due to the user's hand shaking. To correct distortion of images or videos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ing, a lens with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is added. A driving device is being developed.
(특허문헌 1) US 2016-0178925 A1(Patent Document 1) US 2016-0178925 A1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진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n overall slim structure,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a portable devic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하측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터미널부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inside which the bobbin is installe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below the housing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a terminal member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upport member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and connec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terminal member, wherein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support member, and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보다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더 가까이 위치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하면에 제1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have a first terminal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of the terminal member.
상기 베이스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부재가 장착되는 제1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may have a first depression formed on its lower surface into which the terminal member is mounted.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와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have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nd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선형(wire type)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솔더링(soldering) 결합하고, 상기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와 솔더링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wire type, the upper end may be solder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nd may be soldered to the terminal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may hav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회로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circuit member may be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formed with a third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2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제3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ugh hol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면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penetrat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부재의 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회로부재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disposed at a corn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to each other.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C" 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단자; 및 상기 회로부재에 상기 제1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단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un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 “C”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And it may include a third terminal disposed on the circuit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제4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4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제5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base may be formed with a fourth through-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formed with a fifth through-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hrough-hole.
상기 제4관통홀 및 상기 제5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fourth through hole and the fifth through hole may have diameter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4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제5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ourth through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fth through hol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4관통홀과 상기 제5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pass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and the fifth through hole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6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have a sixth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제6관통홀은, 직경이 0.1mm 내지 0.5mm인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ixth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0.1 mm to 0.5 mm.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3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코일은 상기 보빈이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코일과의 상호유도작용에 의한 기전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3코일에 발생하는 상기 기전력의 전압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보빈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third coi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third coil is generated by a mutual induction effect with the first coil as the bobbi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and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sensed by measuring the voltage change of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third coil.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코일과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sensor mounted on the base to face the second coil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housing in a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could be.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하면에 상기 제2센서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단자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o face the second sensor, and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termin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senso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터미널부재의 하면 사이의 제1구간에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first s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코일; 내측에 상기 보빈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 상기 회로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제2코일과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2방향 및 제3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제3코일;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housing inside which the bobbin is installed; A first magnet coupled to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a second coil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a base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a second sensor mounted on the base to face the second coil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a third coi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a support member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housing; And it may include a terminal memb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includes the lens driving device; And it may include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lens driving device.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s change by electrical signals; The camera module converts an image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실시예에서, 지지부재의 탄성변형 가능한 부위의 제1방향 길이 즉, 탄성변형 구간을 늘임으로써, 렌즈 구동장치의 제1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first direction length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hat is,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바꿔말하면,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의 늘어난 탄성변형 구간의 길이만큼 렌즈 구동장치의 제1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 전체를 슬림(slim)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by the length of the extended elastic deformation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refore, the entire lens driv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lim structure.
한편, 상기 탄성변형 구간이 늘어남에 따라, 손떨림 보정기능 수행시, 지지부재(220)가 제1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 즉, 틸트(tilt)각이 줄어들 수 있다.Meanwhile, as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increases,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tilt angle, may decrease when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상기 틸트각이 줄어듦에 따라, 손떨림 보정기능 수행시, 보빈이 제1방향에 대하여 과도하게 틸트되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화질저하을 억제할 수 있다.As the tilt angle decreases,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that may occur due to the bobbin being excessively til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suppressed when performing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1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회로부재, 인쇄회로기판 및 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3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터미널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회로부재, 인쇄회로기판, 베이스 및 터미널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의 A2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4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200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rtion A1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ircuit member,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in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Figure 4.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3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member in FIG. 10 has been removed.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ircuit member, a printed circuit board, a base, and a terminal member in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A2 of Figure 4.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4 of Figure 14.
Figure 1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6.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each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 includes two elem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up” or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top/top/up" and "bottom/bottom/bottom"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Additionally,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In the drawing, the x-axis and y-axis refer to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센서(미도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n autofocusing device applied to a small camera modul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the image of the subject on the image sensor (not shown). Such an auto-focusing devi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in an embodiment, an auto-focu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moving an optical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in a first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art and a fixed part. At this time, the movable part may perform the auto-focusing function of the lens.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a bobbin 110 and a first coil 120, and the fixed part may include a first magnet 130, a housing 140, an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a lower elastic member 160. there is.
보빈(110)은 외주면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bbin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coil 120 disposed inside the first magnet 130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subject to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first coil 120. It can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40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1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o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110, and a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ns barrel can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ing these. there is.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using a method other than screwing, without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110.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one or more lenses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110 without a lens barrel.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 및/또는 전류량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auto-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or amount of current, and the auto-focus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up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down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lternatively, the amount of one-way current can be adjus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oving distance in one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탄성부재(150)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shape, and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by guiding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가이드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shape like the above-described upper support protrusion, and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by guiding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상측 탄성부재(150)는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각각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 및/또는 홈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 및/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 및/또는 홈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11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110, and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respectively. At this time, holes and/or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holes and/or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Each of the supporting protrusions and the holes and/or grooves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heat fusion or epoxy.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가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has the shape of a hollow pilla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13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coupled and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40)의 변 부위에 결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마그네트(13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결합 또는 배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a bobbin 110 that is guid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40. In an embodiment, the first magnet 130 has a rod shape and may be coupled to or plac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40.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magnet 13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and may be coupled to or plac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140.
한편, 상기 제1마그네트(130)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는 다층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provided as one or two or more. Additionally, the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in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elastically support the upward and/or downward motion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provided as leaf springs.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거나 또는 전류 전달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provided as two separate pieces. Through this two-part structure, each divided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receive currents of different polarities or different power sources, or can serve as a current transmission path. Additionally, as a modified example,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configured as a two-part structure,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lower elastic member 160, bobbin 110, and housing 140 may be assembled through heat fusion and/or bonding using an adhesive, etc.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fixation work can be completed by bonding using an adhesive after heat fusion fixation.
베이스(210)는 보빈(110) 및 인쇄회로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210 is disposed below the bobbin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seated. A support groove of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210 facing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is support groove is formed to be concave inward at a certain depth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210,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is formed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ward or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adjusted.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코너부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측 탄성부재(15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또는 회로부재(231) 등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ousing 140,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base 210, printed circuit board 250, or circuit member 231.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may be supported to move in a second and/or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20. can be connected
다만,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00)가 후술하는 터미널부재(211)에 결합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상기 터미널부재(211)를 연결할 수 있다. 지지부재(200)와 터미널부재(211)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owever, in th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connec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terminal member 211.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terminal member 2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모서리 즉,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2개 모서리에 2개씩 나머지 2개 모서리에 1개씩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총 7개 또는 9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Since the support members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corners of the housing 140, that is, at the corners, a total of four support members 220 can be installed symmetrically. Or, in another embodiment, two may be placed at two corners and one may be placed at the other two corners, for a total of six. Or, in some cases, a total of 7 or 9 or more may be placed.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at is,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where a through hole is formed.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솔더링(soldering),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soldering, or welding. You can. According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a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support member 220.
한편,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 선형(wire type)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220)는 판형부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1, a wire type support member 220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member, et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applied to small camera modul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PCs is used to prevent the outline of the captured image from being formed clearly due to vibration caused by the user's hand shaking when shooting still images. It means a configured device.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perform hand shake correction by moving the housing 140 in the second and/or third directions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여기서, 제2, 제3방향은 x축(또는 제1방향), y축(또는 제2방향) 방향뿐만 아니라 x축, y축방향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구동측면에서 본다면, 하우징(140)은 x축,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도 있지만, 또한,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움직일 경우 x축, y축에 약간 경사지게 움직일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may include directions substantially close to the x-axis and y-axis as well as the x-axis (or first direction) and y-axis (or second direction) directions. That is, from the driving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ousing 140 may move parallel to the x-axis and y-axis, but may also move slightly inclined to the x-axis and y-axis when moved whil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20. there is.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first magnet 130 needs to be install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il 230.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14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below the housing 140 to face the first magnet 130 fixed to the housing 14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gnet 130. 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below the first magnet 130 at a certain distance apart.
상기한 제2코일(230)의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230)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oil 230 described above, the lens driving devic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130 and include a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4개의 변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coils 230 may be installed on the four sides of the circuit member 231, but this is not limited, and one for the second direction and one for the third direction. It is possible for only two, etc., to be installed, or four or more can be installed.
또는 제2방향용 제1변에 1개, 제2방향용 제2변에 2개, 제3방향용 제3변에 1개, 제3방향용 제4변에 2개가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이 경우에 제1변과 제4변이 서로 이웃하고, 제2변과 제3변이 서로 이웃할 수 있다.Or, 1 on the first side for the second direction, 2 on the 2nd side for the 2nd direction, 1 on the 3rd side for the 3rd direction, and 2 on the 4th side for the 3rd direction, for a total of 6. It could be. Or, in this cas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직접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on the circuit member 231, or a separate second coil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member 2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ircuit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second coil 230 directly on the member 231.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econd coil 230 by winding a wire in a donut shape, or by forming the second coil 230 in the form of an FP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ing it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The circuit member 231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1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the second coil 230 may b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10, or may b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nd may be formed on a separate board and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Laminated connections are also possible.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회로부재(231)와 상기 베이스(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회로부재(231)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210)의 상측 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0)에는 단자(251)(도 4 참조)가 설치되는 절곡형성되는 단자면(253)(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절곡된 단자면(253)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50)이 도시되었다. A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base 210.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disposed below the circuit member 231 and above the base 210. A bent terminal surface 253 (see FIG. 4) on which the terminal 251 (see FIG. 4) is installed may b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the embodiment, a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shown having two bent terminal surfaces 253 formed thereon.
상기 단자면(253)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 제2코일(2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3)이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erminals 251 are dispos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and external power can be applied to supply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and the second coil 230. The number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types of components that require control. Additionally,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terminal surfaces 253.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제3코일(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코일(260)은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을 위해 제1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il 260. The third coil 260 may serve to detect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bobbin 110 moves up and down in the first direction for auto focusing.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코일(260)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코일(260)은 상기 보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코일(120)과의 상호유도작용에 의한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third coil 26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At this time, the third coil 260 may generate electromotive force due to mutual induction with the first coil 120 as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따라서,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제3코일(260)에 발생하는 상기 기전력의 전압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by measuring the voltage change of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third coil 260.
한편,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제3코일(260) 이외의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빈(110)에 위치감지를 위한 마그네트를 장착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40) 또는 커버부재(300)에 위치감지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a means other than the third coil 260 may be used as a means of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 magnet for position detection is mounted on the bobbin 110, and a position sensor is placed on the housing 140 or the cover member 300 to face the magnet, so that 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By detecting the chang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detected.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보빈(110)과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렌즈 구동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130)의 자기력의 변화를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osition sensor is mounted on a lens driving device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obbin 110, and the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130 disposed opposite to the position sensor is measured as above. The position sensor may sens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는 터미널부재(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부재(211)는 상기 베이스(210)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재(231)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member 211. The terminal member 211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이때,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결합할 수 있다. 터미널부재(211)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nd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The terminal member 2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may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may be coupled to the base 210. The cover member 300 can protect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etc. accommodated therein from damage.
또한, 커버부재(300)는 추가적으로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300 restricts electro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 130, first coil 120, and second coil 230 accommodated therein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focuses the electromagnetic fields. You can do it as well.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등을 참조하여 보빈(110)과 하우징(14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s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etc.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bbin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보빈(110)은 하우징(14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코일(120)과 제1마그네트(130)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bobbin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40 and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120 and the first magnet 130.
보빈(11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장착을 위하여 중공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중공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bbin 110 may have a hollow structure for mounting a lens or lens barrel. The shape of the hollow may be circular, oval, or polygo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빈(110)은 제1상측지지돌기(113) 및 제1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측지지돌기(113)는 상측 탄성부재(150)에 형성되는 통공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상측지지돌기(113)는 원통형상,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탄성부재를 상기 보빈(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first upper support protrusion 113 and a first protrusion 111. The first upper support protrusion 113 is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joined. The first upper suppor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other various shapes, and may guid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o couple the upper elastic member to the bobbin 110.
제1돌출부(111)는 보빈(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는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1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커버부재와 보빈(110)의 몸체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제1돌출부(111)의 상면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과 부딪힘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와 보빈(110)의 몸체가 서로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1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10. The first protrusion 111 may serve to prevent the cover member and the body of the bobbin 11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when the bobbin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perform the auto focusing function. That is,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1 collide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cover member and the body of the bobbin 110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each other.
보빈(110)의 초기위치가 보빈(110)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보빈(110)의 오토 포커싱은 단방향 제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류가 제1코일(120)에 공급될 때 보빈(110)이 상승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될 때 보빈(110)이 하강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110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bobbin 110 can no longer descend, auto-focusing of the bobbin 110 can be implemented as one-way control. In other words, the auto-focus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coil 120, the bobbin 110 rises, and when the supply of current is cut off, the bobbin 110 falls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 is.
그러나, 보빈(110)의 초기위치가 보빈(110)이 하강할 수 있는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경우, 보빈(110)의 오토 포커싱은 양방향 제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110 is set to have a separation distance that allows the bobbin 110 to descend, auto focusing of the bobbin 110 can be implemented through bidirectional control. That is, the auto-focus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moving the bobbin 110 upward or downward in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upward, and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may move downwar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우징(140)은 마그네트(130)를 지지하고,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140 supports the magnet 130 and can accommodate the bobbin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inside.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have an overall hollow pillar shape. For example, the housing 140 may have a polygonal (eg, square or octagonal) or circular hollow shape.
하우징(140)은 제2상측지지돌기(143) 및 제2돌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에 형성되는 통공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상기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원통형상,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탄성부재(150)를 가이드하여 상기 상측탄성부재를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include a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and a second protrusion 144. The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is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joined. The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other various shapes, and may guid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o couple the upper elastic member to the housing 140.
제2돌출부(144)는 하우징(14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144)는 커버부재와 하우징(140)의 몸체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외부충격 발생시 상기 제2돌출부(144)의 상면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과 부딪힘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와 하우징(140)의 몸체가 서로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4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40. The second protrusion 144 may serve to prevent the cover member and the body of the housing 14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144 collide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cover member and the body of the housing 140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each other.
하우징(140)은 보빈(110)의 제1상측지지돌기(113)들 사이의 제1폭(W1)을 갖는 공간과 대응하는 제3돌출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include a third protrusion 148 corresponding to a space having a first width W1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rotrusions 113 of the bobbin 110.
보빈(110)과 대향하는 하우징(140)의 제3돌출부(148)의 면은 보빈(110)의 측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보빈(110)의 제1상측지지돌기(113)들 사이의 제1폭(W1)과 도 3에 도시된 하우징(140)의 제3돌출부(148)의 제2폭(W2)이 일정 공차를 가질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148 of the housing 140 facing the bobbin 11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side shape of the bobbin 110. At this time, the first width W1 between the first upper support protrusions 113 of the bobbin 110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width of the third protrusion 148 of the housing 140 shown in FIG. 3 (W2) may have a certain tolerance.
제3돌출부가 보빈(110)의 제1폭(W1)에 형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빈(110)이 광축 또는 광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더라도, 하우징(140)의 제3돌출부(148)가 보빈(11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By arranging the third protrusion to conform to the first width W1 of the bobbin 110, rotation of the bobbin 11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even if the bobbin 110 receives a force to rotate about the optical axis or an axis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the third protrusion 148 of the housing 140 can suppress the rotation of the bobbin 110.
또한, 하우징(140)의 코너부에는 제1통공(1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1통공(147)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through hole 147 may be formed in a corner of the housing 140. The support member 220 may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47 and be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하우징(140)은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을 위하여 상부면에 제2상측지지돌기(143)를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on the upper surface for coupling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예를 들어, 하우징(140)의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상측지지돌기(143)는 예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원통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of 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housing 140. The second upper support protrusion 143 of the housing 14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illustrated, or alternatively, may have a cylindrical or prismatic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하우징(140)은 하측 탄성부재(160)와 결합을 위하여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하측 지지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housing 14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lower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housing 140 for coupling to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댐핑 역할을 할 수 있는 젤 형태의 실리콘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140)은 모서리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1요홈(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140)의 제1요홈(142a)에는 댐핑 실리콘이 채워질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roove 142a formed on the side of the edge to secure a space to fill with gel-type silicone that can act as a damping. That is, the first groove 142a of the housing 140 may be filled with damping silicon.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1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5에서는 제1솔더링부(SD1)가 제거된 구조를 도시하였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rtion A1 of Figure 5. Meanwhile, for clear explanation, FIG. 5 shows a structure with 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removed.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는 상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재(220)의 하단부가 터미널부재(211)와 결합한 구조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재(220)의 상단부가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한 구조를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nd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First,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지부재(220)는 선형으로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의 결합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T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0)의 상단부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서로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s provided in a linear shape, and its upper e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n order to couple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s shown in FIG. 6, a first through hole TH1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t can be.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solder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관통홀(TH1)은 렌즈 구동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22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관통홀(TH1)도 4개로 구비되었으나, 지지부재(220)의 개수가 변함에 따라 함께 그 개수가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first through holes TH1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support members 220 provided in the lens driving device. In the embodiment, since four support members 220 are provided, the first through hole TH1 is also provided with four, but it is natural that the number may change as the number of support members 220 changes.
상기 제1관통홀(TH1)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20)의 상단부와 상측 탄성부재(150)는 서로 솔더링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솔더링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1관통홀(TH1)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oldering. 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can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by soldering.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상면에 결합하는 제1솔더링부(SD1)가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re coupled to the lens driving device, and a first soldering part SD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20. ) may be provided.
제1솔더링부(SD1)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지지부재(220)가 솔더링된 부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제1솔더링부(SD1)가 원통형의 기둥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is a portion wher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support member 220 are soldered. In FIGS. 4 to 6, 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is shown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lla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natural that it can have various shapes.
한편, 상기 제1관통홀(TH1)의 직경(D1)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제1관통홀(TH1)에 삽입된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through hole TH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220. This is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TH1.
한편, 상기 제1관통홀(TH1)의 직경(D1)은, 손떨림 보정기능 수행시, 상기 지지부재(220)가 방해받지 않고 x-y평면 상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해야 하는 점, 솔더링에 의해 제1솔더링부(SD1)를 형성하는 경우 솔더(solder)가 상기 제1관통홀(TH1)에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아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ameter D1 of the first through hole TH1 must be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on the x-y plane without the support member 220 being disturbed when performing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the first soldering is performed by soldering. When forming the portion SD1,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at solder should not excessively flow into the first through hole TH1.
상기한 구조로 인해, 지지부재(220)는 제1관통홀(TH1)에 삽입된 부분 즉,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면에서 상측 탄성부재(150)의 하면까지의 구간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면에서 상측 탄성부재(150)의 하면까지의 구간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방향으로 측정되는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support member 220 i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the section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TH1, that i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You can. Of course, the s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mean the thickness measur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즉, 지지부재(220)에서 제1솔더링부(SD1)에 의해 솔더링된 부위는 탄성변형이 되지 않거나 탄성변형이 현저히 억제되므로, 렌즈 구동장치가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220)의 탄성변형은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솔더링부(SD1)의 하단부터 가능하다.That is, since th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soldered by 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does not undergo elastic deformation or the elastic deformation is significantly suppressed,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performs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support member 220 )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결국, 상기한 구조로 인해 지지부재(220)의 탄성변형 구간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방향 두께만큼 증가할 수 있다.Ultimately, due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n the first direction.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회로부재(231), 인쇄회로기판(250) 및 베이스(2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member 231,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base 210 i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부재(231)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제2관통홀(TH2)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3관통홀(TH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2관통홀(TH2)과 상기 제3관통홀(TH3)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부재(211)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ircuit member 231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TH2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TH2. ) A third through hole TH3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The support member 22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TH3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또한,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제2관통홀(TH2) 및 제3관통홀(TH3)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4관통홀(TH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210 may be formed with a fourth through hole (TH4)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TH3). .
한편, 지지부재(220)는 그 길이방향이 제1방향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1관통홀(TH1), 제2관통홀(TH2), 제3관통홀(TH3) 및 제4관통홀(TH4)은 제1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support member 220 is provided with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through hole (TH1),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he third through hole (TH3), and the fourth through hole (TH4) )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부재(22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2관통홀(TH2), 제3관통홀(TH3) 및 제4관통홀(TH4)도 4개로 구비되었으나, 지지부재(220)의 개수가 변함에 따라 함께 이들 개수가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embodiment, since four support members 220 are provide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he third through hole (TH3), and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re also provided as four, but the support member 220 It is natural that these numbers can change as the number change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는 제2센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240)는 상기 제2코일(230)과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210)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40)의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or 240. The second sensor 240 is mounted on the base 210 to face the second coil 230 and detects displacement of the housing 140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You can.
제2센서(240)는 홀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2센서(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센서(240)는 베이스(210)에 형성된 안착홈(215)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240 may be a Hall sensor or the like, and any other sensor that can detect changes in magnetic force can be used.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sensor 24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210 dispose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15 formed in the base 210.
한편, 상기 제2센서(2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코일(2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센서(240)는 제2코일(230)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기준으로 상부면에는 제2코일(230)이, 하부면에는 제2센서(24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ensor 240 may b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il 230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between. That is, the second sensor 24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230, and ba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e second coil 23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sensor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 240) can be installed.
도 8은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3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재(21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0에서는 제2솔더링부(SD2)가 제거된 구조를 도시하였다.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Figure 4.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3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member 2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eanwhile, for clear explanation, FIG. 10 shows a structure with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removed.
터미널부재(211)는 상기 베이스(21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210)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부재(211)가 장착되는 제1함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재(211)는 회로부재(231)와 인쇄회로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지지부재(220)와 결합할 수 있다.The terminal member 21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0. To this end, the base 210 may have a first recessed portion 212 formed on its lower surface into which the terminal member 211 is mounted. The terminal member 211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20.
따라서, 상기 터미널부재(211)는 상기 지지부재(220)와 대응되는 위치인 베이스(210)의 코너부 즉, 모서리 부위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함몰부(212)도 베이스(210)의 하면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terminal member 211 can be mounted on a corner portion of the base 210, that is, a corner portion, which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mber 220, and accordingly, the first recessed portion 212 is also formed on the base ( 210) can be formed at the bottom edge.
터미널부재(211)는 상기 베이스(210)의 하면 장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210)와 결합하거나, 베이스(210)를 인서트(insert)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하여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The terminal member 21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0, for example, by combining with the base 210 using an adhesive, or by manufacturing the base 210 using an insert injection method. Can be combined with (210).
지지부재(220)는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솔더링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터미널부재(211)를 결합시키고, 상기 터미널부재(211) 하면에 결합하는 제2솔더링부(SD2)가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by soldering. Accordingly, the lens driv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that couples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terminal member 211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제2솔더링부(SD2)는 터미널부재(211)와 지지부재(220)가 솔더링된 부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상기 제2솔더링부(SD2)가 원통형의 기둥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is a portion where the terminal member 211 and the support member 220 are soldered. 8 to 10,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is shown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lla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natural that it can have various shapes.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재(211)는 도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제1커넥터(211a)와 제2커넥터(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21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커넥터(211b)는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커넥터(211a)"는 "제1커넥터부"라고 하고 "제2커넥터(211b)"는 "제2커넥터부"라 할 수 있다. 터미널부재(21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터(211a)와 제2커넥터(211b)를 연결하는 연결부(21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211b)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부(211c)는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terminal member 211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211a and a second connector 211b. The first connector 211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second connector 211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Hereinafter, the “first connector 211a”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nnector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or 211b”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The terminal member 211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211c that connects the first connector 21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1b, as shown in FIG. 11.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connector 211b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1c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211a)는 상기 제2커넥터(211b)보다 제1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first connector 211a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second connector 211b.
지지부재(220)의 하단부는 상기 터미널부재(211)를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부재(211)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제2커넥터(211b)와 지지부재(22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2커넥터(211b)는 상기 제4관통홀(TH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5관통홀(TH5)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penetrate the terminal member 211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To couple the second connector 211b and the support member 220, the second connector 211b is connected to a fifth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 hole (TH5) may be formed.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5관통홀(TH5)을 관통하여, 솔더링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11b)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에는 상기 지지부재(220)와 상기 제2커넥터(211b)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커넥터(211b)의 하면에 결합하는 제2솔더링부(SD2)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20 can penetrate the fifth through hole TH5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211b by soldering. 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the lens driving device combines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second connector 211b, and includes a second soldering part (22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211b. SD2) may be provided.
제2솔더링부(SD2)는 상기 터미널부재(211)의 제2커넥터(211b)와 지지부재(220)가 솔더링된 부위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상기 제2솔더링부(SD2)가 원통형의 기둥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is a portion where the second connector 211b of the terminal member 211 and the support member 220 are soldered. In FIGS. 8 and 9,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is shown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lla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natural that it can have various shapes.
제1커넥터(211a)는 터미널부재(211)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단자(25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211a)는 상기 제1단자(2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6관통홀(TH6)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211a)는 상기 제1단자(255)와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11a is a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211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a first terminal 255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member 21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211a has a sixth through hole TH6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55, and the first connector 211a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255. can do.
이때, 상기 제6관통홀(TH6)의 직경(D6)과 형상은 상기 제1커넥터(211a)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6관통홀(TH6)은 직경이 0.1mm 내지 0.5mm인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더욱 적절하게는 직경이 0.4mm인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6관통홀(TH6)의 직경(D6)과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diameter (D6) and shape of the sixth through hole (TH6)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irst connector (211a). For example, the sixth through hole (TH6) has a diameter. It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0.1 mm to 0.5 mm, and more appropriately, it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0.4 mm. However, the diameter D6 and shape of the sixth through hole TH6 are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터미널부재(211)가 상기 베이스(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6관통홀(TH6)에 도전성 접착제를 채우거나 솔더링을 통해 솔더(solder)를 채우는 경우,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제1단자(255)는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member 211 is mounted on the base 210 and the sixth through hole TH6 is filled with conductive adhesive or solder through soldering, the terminal member 211 ) and the first terminal 255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도 12는 도 10에서 터미널부재(21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관통홀(TH4) 및 상기 제5관통홀(TH5)의 직경(D5)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제4관통홀(TH4) 및 상기 제5관통홀(TH5)에 삽입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member 211 in FIG. 10 has been removed. 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diameter D5 of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nd the fifth through hole TH5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220. This is to enable easy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at the portion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nd the fifth through hole TH5.
제1단자(255)는 인쇄회로기판(250)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제1단자(255)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을 포함하는 폐곡선형, 다각형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5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FIG. 12, the first terminal 255 is shown as a circ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oval, closed curve, polygon, and other shapes.
상기 제1단자(255)의 표면적은 이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6관통홀(TH6)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255) 중 제6관통홀(TH6)과 대향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제1커넥터(211a)의 상면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제1커넥터(211a)와 제1단자(255)의 접촉면적을 넓혀 제1단자(255)와 제1커넥터(211a)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terminal 255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ixth through hole TH6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terminal 255. The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255 that does not face the sixth through hole TH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211a,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1a and the first terminal 255. This is to mak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255 and the first connector 211a more secure by widening.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는 제1연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4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 및 상기 회로부재(231)의 코너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상기 회로부재(23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2 , the lens 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400. 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circuit member 231, and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circuit member 231 to each other.
상기 제1연결부(400)는 제2단자(410)와 제3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410)는 예를 들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C" 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단자(420)는 예를 들어, 상기 회로부재(231)에 상기 제2단자(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may include a second terminal 410 and a third terminal 420.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410 may b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n a “C”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For example, the third terminal 420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member 23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rminal 410.
상기 제2단자(4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50) 상면에 회로부재(231)가 장착되면 제2단자(410)와 제3단자(42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410 is provid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so that when the circuit member 23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e second terminal 410 ) and the third terminal 4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2단자(410)와 상기 제3단자(420)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상기 회로부재(23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상기 회로부재(231)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terminal 410 and the third terminal 420 contact each oth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circuit member 23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can be connected to the circuit member 231.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circuit member 231.
상기 제2단자(410)와 상기 제3단자(420)을 서로 솔더링하거나 도전성 접착제로 결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상기 회로부재(231)를 더욱 확실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circuit member 231 can be more reli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oldering the second terminal 410 and the third terminal 420 to each other or combining them with a conductive adhesive.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회로부재(231), 인쇄회로기판(250), 베이스(210) 및 터미널부재(211)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50)은 제4단자(256)를 구비할 수 있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member 231,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e base 210, and the terminal member 211 i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include a fourth terminal 256.
제4단자(2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하면에 상기 제2센서(240)와 대향되도록 배치 및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단자(2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상기 제2센서(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단자(256)는 상기 제2센서(240)와 인쇄회로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2센서(240)는 도전성 접착제,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상기 제3단자(420)와 고정될 수도 있다.The fourth terminal 256 may be disposed and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o face the second sensor 240. The fourth terminal 256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second sensor 240. The fourth terminal 256 can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sensor 2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e second sensor 240 may be fixed to the third terminal 420 using a conductive adhesive, soldering, or the like.
베이스(210)에 상기 제2센서(24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이 장착되면, 상기 제2센서(240)는 제4단자(256)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상기 제2센서(240)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ensor 2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re mounted on the base 210, the second sensor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the fourth terminal 256. It is connected, and current can be appli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o the second sensor 240.
한편,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자(410)는 상기 회로부재(231)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3단자(4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a total of four second terminals 410 are provided, one at each corner of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third terminal 420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250),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one at each corne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즉, 상기 제2단자(410)와 상기 제3단자(420)가 서로 대응되고,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면, 상기 제2단자(410)와 상기 제3단자(420)의 개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That is, if the second terminal 410 and the third terminal 42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410 and the third terminal 420 can be selected in various ways. It can be.
도 14는 도 4의 A2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4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A2 of Figure 4.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4 of Figure 14.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220)는 하단부가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의 하단부는 상기 터미널부재(211)와 솔더링되어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22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joined to the terminal member 211 by soldering.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부재(231)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제2관통홀(TH2)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3관통홀(TH3)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3 and 15, the circuit member 231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TH2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 third through hole TH3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TH2.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제3관통홀(TH3)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4관통홀(TH4)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재(211)는 상기 제4관통홀(TH4)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제5관통홀(TH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base 210 is formed with a fourth through hole TH4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through hole TH3, and the The terminal member 211 may be formed with a fifth through hole TH5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hrough hole TH4.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2관통홀(TH2) 내지 상기 제5관통홀(TH5)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부재(211)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솔더링부(SD2)는 상기 터미널부재(211)의 하면에 솔더링되어 상기 지지부재(220)와 터미널부재(211)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o the fifth through hole TH5 and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At this time, the second soldering part SD2 may be sold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to couple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terminal member 211.
상기 제2관통홀(TH2) 및 상기 제3관통홀(TH3)의 직경(D3)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제2관통홀(TH2) 및 상기 제3관통홀(TH3)에 삽입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iameter D3 of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TH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220. This is to enable easy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at the portion where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TH3.
또한, 상기 제2관통홀(TH2)의 직경(D2)은 상기 제3관통홀(TH3)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x-y평면 상에서 탄성변형의 폭이 상기 제3관통홀(TH3)보다 상기 제2관통홀(TH2)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D2 of the second through hole TH2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3 of the third through hole TH3.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on the x-y plane is greater in the second through hole TH2 than in the third through hole TH3.
상기 제4관통홀(TH4) 및 상기 제5관통홀(TH5)의 직경(D5)은 상기 지지부재(2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제4관통홀(TH4) 및 상기 제5관통홀(TH5)에 삽입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iameter D5 of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nd the fifth through hole TH5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mber 220. 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enable easy elastic deforma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nd the fifth through hole TH5.
또한, 상기 제4관통홀(TH4)의 직경(D4)은 상기 제5관통홀(TH5)의 직경(D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부재(220)가 x-y평면 상에서 탄성변형의 폭이 상기 제5관통홀(TH5)보다 상기 제4관통홀(TH4)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D4 of the fourth through hole TH4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5 of the fifth through hole TH5.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on the x-y plane is greater in the fourth through hole TH4 than in the fifth through hole TH5.
또한, 상기 제3관통홀(TH3)의 직경(D3)은 상기 제4관통홀(TH4)의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부재(220)가 x-y평면 상에서 탄성변형의 폭이 상기 제4관통홀(TH4)보다 상기 제3관통홀(TH3)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D3 of the third through hole TH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4 of the fourth through hole TH4.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on the x-y plane is greater in the third through hole TH3 than in the fourth through hole TH4.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통홀들의 직경은 예를 들어, 제5관통홀(TH5)로부터 제2관통홀(TH2)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5, the diameter of each through hole may be gradually decreas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fth through hole TH5 to the second through hole TH2, for example.
지지부재(220)에서 제2솔더링부(SD2)에 의해 솔더링된 부위는 탄성변형이 되지 않거나 탄성변형이 현저히 억제되므로, 렌즈 구동장치가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220)의 탄성변형은 터미널부재(211)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솔더링부(SD2)의 상단부터 가능하다.Since th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soldered by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does not undergo elastic deformation or the elastic deformation is significantly suppressed,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performs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support member 220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from the top of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상기한 구조로 인해 지지부재(220)의 탄성변형 구간은, 지지부재(220)가 회로부재(231) 또는 인쇄회로기판(250)에 솔더링되는 구조에 비해, 제1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increase in the first direction compar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soldered to the circuit member 231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가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탄성변형 구간은 제1솔더링부(SD1)에서 제2솔더링부(SD2) 사이의 구간이 될 수 있다. 즉,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상면에서 상기 터미널부재(211)의 하면 사이의 제1구간(H)에서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in order for the support member 220 to perform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may be a section between the first soldering portion SD1 and the second soldering portion SD2. That is, referring to FIG. 14, the support member 220 is elastic for performing a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in the first section (H)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member 211. Transformation is possible.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의 탄성변형 가능한 부위의 제1방향 길이 즉, 탄성변형 구간을 늘임으로써, 렌즈 구동장치의 제1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veral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바꿔말하면,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늘어난 탄성변형 구간의 길이만큼 렌즈 구동장치의 제1방향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 구동장치 전체를 슬림(slim)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the total length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educed by the length of the extended elastic deformation s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0. Therefore, the entire lens driv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lim structure.
한편, 상기 탄성변형 구간이 늘어남에 따라, 손떨림 보정기능 수행시, 지지부재(220)가 제1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 즉, 틸트(tilt)각이 줄어들 수 있다.Meanwhile, as the elastic deformation section increases,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tilt angle, may decrease when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상기 틸트각이 줄어듦에 따라, 손떨림 보정기능 수행시, 보빈(110)이 제1방향에 대하여 과도하게 틸트되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화질저하을 억제할 수 있다.As the tilt angle decreases,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that may occur when the bobbin 110 is excessively til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suppressed when performing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amera modules. For example, camera modules can be applied t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and an image sensor (not shown) combined with the bobbin 110. At this time, the lens barrel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that transmits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Additionally,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blocking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off filter serves to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ange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이 경우, 도 1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는 베이스(2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1, an infrared cut-off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mbined with a holder member (not shown). Additionally, the holder member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base 210.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ase 21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that protects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base 210. However, this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base 210 to perform its role.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200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다.Figure 1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6.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바이스(200A, 이하 "디바이스"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16 and 17, the portable device 200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ice”) includes a body 85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an A/V input unit 720, a sensing unit 740, and an input/output unit 720.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750, a memory unit 760, an interface unit 770, a control unit 780, and a power supply unit 790.
몸체(850)의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디바이스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device may be built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851 and the rear case 852 of the body 850.
무선 통신부(71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for exampl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7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7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7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7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715. there is.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V (Audio/Video) input unit 720 is for inputting audio or video signals and may include a camera 721 and a microphone 722.
카메라(721)는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를 포함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camera 721 may be a camera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센싱부(740)는 디바이스(200A)의 개폐 상태, 디바이스(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바이스(200A)의 방위, 디바이스(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바이스(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바이스(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740 monitors the current state of the device 200A, such a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evice 200A, the location of the device 200A,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device 200A,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device 200A, etc.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generate a sensing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A.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790 supplies power and whether the interface unit 7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디바이스(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750 is for generating input or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ation. The input/output unit 750 may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200A and may also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evice 200A.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input/output unit 750 may include a key pad unit 730, a display module 751, a sound output module 752, and a touch screen panel 753. The key pad unit 730 can generate input data through key pad input.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7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s change according to electrical signals.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7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10 in call signal reception, call mode,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or broadcast reception mode,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760. Audio data can be output.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753 can convert the change in capacitance that occurs due to the user's touch to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76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80, input/output data,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721, etc.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바이스(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디바이스(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 구동부의 패널 제어부(144)를 포함하거나, 패널 제어부(14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7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device 200A,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device 200A to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78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200A. The control unit 780 may include the panel control unit 144 of the touch screen panel driver shown in FIG. 1 or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anel control unit 144.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80 may be equipped with a multimedia module 7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control unit 780 can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o recognize handwriting or draw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790 can receive external power 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80 and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through this, can be implemented as a new embodiment.
110: 보빈
120: 제1코일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50: 상측 탄성부재
160: 하측 탄성부재
210: 베이스
220: 지지부재
230: 제2코일
231: 회로부재
240: 제2센서
250: 인쇄회로기판
260: 제3코일
400: 제1연결부110: Bobbin
120: first coil
130: First magnet
140: housing
150: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210: base
220: Support member
230: second coil
231: Circuit member
240: Second sensor
250: printed circuit board
260: Third coil
400: first connection part
Claims (17)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터미널부재와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제2커넥터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렌즈구동장치.Bas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housing;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base;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terminal member disposed on the base; and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terminal member,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제2커넥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절곡된 형상이 형성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a bent shap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기 제2커넥터부로부터 광축방향으로 절곡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is b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상기 제1방향은 광축과 수직한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인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상기 터미널부재는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커넥터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portion,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portion is disposed higher than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회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회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회로부재와 결합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clause 5,
Includes a circuit member disposed on the base,
The second coil is formed on the circuit member,
The connection part connects the first connector part and the second connector part,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connector part is coupled to the circuit member.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connector portion is bent at the top of the connection portion,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part is bent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제2커넥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clause 5,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connector par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second connector part.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is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hole or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mber.
상기 베이스의 아래에서 볼 때 상기 터미널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보이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member is visible when viewed from below the base.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통과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면에 솔더링을 통해 결합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passe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through soldering.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통과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2커넥터부의 하면에 솔더링을 통해 결합되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clause 11,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passes,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through soldering.
상기 제2커넥터부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상을 갖는 렌즈구동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connector part is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flat shap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터미널부재와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제2커넥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Bas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housing;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base;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a terminal member disposed on the base; and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terminal member,
The terminal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The terminal member is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bent shape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렌즈구동장치에 결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The lens driv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4;
A lens coupled to the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ensor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5항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A displa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whose colors change by electrical signals;
The camera module of claim 15, which converts the image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ons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2코일;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Bas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first magnet disposed in the housing;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base; and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n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bobb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58002A KR20240065229A (en) | 2016-07-06 | 2024-04-30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5367A KR102663874B1 (en) | 2016-07-06 | 2016-07-06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40058002A KR20240065229A (en) | 2016-07-06 | 2024-04-30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5367A Division KR102663874B1 (en) | 2016-05-10 | 2016-07-06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5229A true KR20240065229A (en) | 2024-05-14 |
Family
ID=610668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5367A KR102663874B1 (en) | 2016-05-10 | 2016-07-06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0240058002A KR20240065229A (en) | 2016-07-06 | 2024-04-30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5367A KR102663874B1 (en) | 2016-05-10 | 2016-07-06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6387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32233B2 (en) * | 2011-10-24 | 2015-12-16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Lens drive device |
JP6444607B2 (en) * | 2014-03-28 | 2018-12-26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Lens drive device |
JP2016051078A (en) * | 2014-08-29 | 2016-04-11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Lens drive device |
EP3035109B1 (en) * | 2014-12-17 | 2018-08-29 | LG Innotek Co., Ltd. | Lens moving apparatus |
-
2016
- 2016-07-06 KR KR1020160085367A patent/KR10266387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4-30 KR KR1020240058002A patent/KR20240065229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381A (en) | 2018-01-16 |
KR102663874B1 (en) | 202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348532A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 |
EP3489749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
CN113985560B (en) | Lens moving devic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apparatus | |
US20230152554A1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330672B1 (en) | Lens moving unit | |
US12013589B2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580306B1 (en) |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
KR102711448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80308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714151B1 (en) | Camera module | |
KR20170092809A (en) |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
KR102708603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52995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15602B1 (en) |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
KR102631963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66537A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39255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663874B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93389B1 (en) |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
KR102391888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