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227A -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227A
KR20240065227A KR1020240057818A KR20240057818A KR20240065227A KR 20240065227 A KR20240065227 A KR 20240065227A KR 1020240057818 A KR1020240057818 A KR 1020240057818A KR 20240057818 A KR20240057818 A KR 20240057818A KR 20240065227 A KR20240065227 A KR 2024006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soft
hard
fold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장세진
원유림
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동종 계열의 물질로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모두 형성함으로써,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간의 굴절률을 매칭시키고, 이들 영역이 동일한 내열성을 가지며, 표면 하드 코팅이 용이한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 및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질부, 상기 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플렉서블한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및 연질부를 덮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부와 비폴딩부를 동종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굴절률을 매칭시키고, 균일한 열 히스테리시스를 확보하면서도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의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초박형 표시 장치의 구형이 가능하므로, 근래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고, 발광 셀 내부에 터치 전극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셀 터치 구조(In-Cell Touch)의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장치 자체가 폴딩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폴딩이 가능한 커버 윈도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폴딩이 가능한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작한다. 이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커버 윈도우는 기존의 유리 재질의 커버 윈도우에 비해 내충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비폴딩 영역과 플렉서블한 폴딩 영역을 구비함과 아울러,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 및 이외 영역인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질부, 상기 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플렉서블한 연질부 및 상기 경질부 및 연질부를 덮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연질부는 제 1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부 및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제 1 실리콘 수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제 2 및 제 3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질부는 폴딩부 및 비폴딩부를 포함한 영역 전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질부 및 하드코팅층은 제 2 및 제 3 실리콘 수지와 UV 경화 개시제 및 열 경화 개시제의 혼합물을 상기 연질부 상에 도포한 후 UV 경화 및 열 경화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연질부, 경질부 및 하드코팅층의 3층을 가지므로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두께를 확보하면서도 연질부에서의 폴딩 특성이 우수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의 연질부는 높은 곡률로 폴딩하더라도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전체가 동종 계열 수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질부와 연질부의 굴절률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종 계열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에서는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동종 계열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경질부, 연질부 및 하드코팅층의 열 특성이 거의 유사하므로, 공정상의 일정한 공정 온도에서는 모두 동일한 내열성을 가지고, 그에 따라 열 팽창 및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는 동종 계열의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그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 윈도우의 연질부와 경질부의 계면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의 "위(on)" 또는 "상(on)" 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에 "접하는" 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3000)를 포함한다.
도 2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백 프레임(1000)과, 상기 백 프레임(1000) 상에 제 1 접착층(110)을 통해 합착된 제 1 기재(120)와, 제 1 기재(120) 상에 위치하는 제 1 버퍼층(130)과, 상기 제 1 버퍼층(130) 상에 매트릭스 상으로 화소가 정의되며 각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와, 상기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유기 발광 어레이(150)와, 패드부를 제외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및 유기 발광 어레이(150)를 덮는 보호층(160)과, 상기 보호층(160)과의 사이에 접착층(400)을 개재하여 접착된 터치 전극 어레이(230)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30) 상에 차례로 형성된 제 2 버퍼층(220)와, 제 2 기재(210) 및 상기 제 2 기재(210)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3000)를 포함한다.
백 프레임(10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버퍼층(130) 및 제 2 버퍼층(220)은 각각 액티브 영역과 데드 영역이 정의되어 있으며, 터치 전극 어레이(230), 유기 발광 어레이(150) 및 패드부를 제외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 내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데드 영역 중 일부에 터치 패드부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패드부가 정의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는 레이저 조사나 식각 공정에서 내부 어레이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가 표시 장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및 제 2 기재(120, 21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포토아크릴(Photoacryl)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버퍼층(130) 및 제 2 버퍼층(220)는 각각 산화막(SiO2) 또는 질화막(SiNx)과 같은 무기막을 동일 종류로 연속 적층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무기막을 교번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버퍼층(130, 210)은 하부 기판상에 상부 기판을 합착하는 이후 공정에서 유기 발광 어레이(150)로 수분이나 외기가 투습됨을 방지하는 배리어로 기능하게 한다.
터치 전극 어레이(230)와 터치 패드부(2350)는 제 2 버퍼층(220)의 동일면에 형성된다. 터치 패드부(2350)는 접착층(400)에 의한 상하 합착 과정에서, 도전성 볼(455)을 포함한 씰(450)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의 패드부(미도시)에 접속된다. 이 때 접착층(400)은 투습 방지 기능을 갖고, 유기 발광 어레이(150)를 덮는 보호층(160)과 적접 접하여 보호층(160)이 갖는 기능에 더하여 유기 발광 어레이(150)로 외기가 들어감을 방지하고 수분 투습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를 포함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40)는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30)보다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유기 발광 어레이를 함께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IC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 IC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구동 패드, 더미 패드들은 복수의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와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IC는, 글래스 제거 후,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와 본딩되어 연결되어, FPCB에 구비된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 및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는 액티브 영역 외곽의 데드 영역 중 상기 터치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을 이루는 금속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또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ACF)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는 COF(Chip On Film)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구동 패드, 더미 패드들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과 배선(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구동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드는 액티브 영역 외곽의 데드 영역 중 상기 터치 패드부(2350)와 대응되는 영역에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을 이루는 금속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 이외의 영역인 비폴딩부를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3000)의 폴딩부(F/A)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연질부(3001)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비폴딩부에는 경질부(3004)가 위치한다. 이 때 경질부(3004)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지는 특징을 가지며, 연질부(3001)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지면서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을 갖는다.
이 때 연질부(3001)는 폴딩부(F/A) 및 비폴딩부(N/A)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30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폴딩부(F/A)의 연질부(3001a)의 두께는 비폴딩부(N/A)의 연질부(3001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폴딩부(F/A)의 연질부(3001a)는 비폴딩부의 연질부(3001b)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폴딩부(F/A)의 연질부(3001a)의 높이는 비폴딩부의 연질부(3001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연질부(3001)가 커버 윈도우(3000)의 전면에 형성될 경우, 비폴딩부(N/A)의 연질부(3001b) 상에는 경질부(3004a, 3004b)가 위치한다. 이 때 경질부(3004a, 3004b)는 상기 비폴딩부(N/A)의 연질부(3001b)와 폴딩부(F/A)의 연질부(3001b)간에 생기는 단차를 메우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비폴딩부(N/A)에 위치하는 연질부(3001b)와 경질부(3004a, 3004b)의 높이를 합한 값은 폴딩부(F/A)의 연질부의 높이와 동일하다.
경질부(3004a, 3004b) 및 폴딩 영역의 연질부(3001a) 상에는 하드코팅층(3003)이 접하여 위치한다. 하드코팅층(3003)은 표시 장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높은 경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경질부(3004a, 3004b)는 연질부(3001a, 3001b)와 하드코팅층(3003)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경질부(3004a, 3004b)는 높은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연질부(3001a, 3001b)는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지면서 폴딩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하드코팅층(3003)은 높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질부(3001a, 3001b), 경질부(3004a, 3004b) 및 하드코팅층(3003)은 각각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서로 다른 내열성을 갖는 이종의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공정상의 열 팽창에 의한 휨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종 물질들간의 굴절률이 서로 다르므로 이종의 물질 간 경계가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연질부(3001a, 3001b) 및 경질부(3004a, 3004b)가 서로 다른 이종의 물질로 형성되면, 각각의 이종의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연질부(3001a, 3001b)와 경질부(3004a, 3004b) 각각의 접착력도 달라지게 되고, 하드코팅층이 상기 물질들 상에 균일하게 접착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질부(3001)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은 모두 동종 물질을 기반으로 한 화합물,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질부(3001)는 플렉서블한 제 1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경질부 및 하드코팅층은 제 1 실리콘 수지보다 높은 강성 및 경도를 갖는 제 2 실리콘 수지와 제 3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들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연질부(3001)와 경질부(3004)는 동종 물질을 기반으로 한 화합물로 형성되므로, 연질부(3001)와 경질부(3004)의 굴절률 차이는 0.01 이내로 조절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리콘 수지는 상기 실리콘 수지 중에서 경화시 0.01 이내의 굴절률 차이를 갖는 물질들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연질부(3001) 제 1 실리콘 수지는, 실록산 계열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3001)는 상기 실록산 계열의 제 1 실리콘 수지와 열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플렉서블한 특징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연질부(3001)는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경화 개시제의 예로는, Peroxide Tin salts, Titanium alkoxides, PT, Rh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은 각각 제 2 실리콘 수지와 제 3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 때 제 2 실리콘 수지는, 폴리실록산 계열의 골격(backbone)에 아크릴 측쇄(acryl side chain) 또는 지방족 측쇄(aliphatic side cha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된 물질을 기반으로 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 3 실리콘 수지는 실록산 계열 골격에 페닐 측쇄가 결합된 물질을 기반으로 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은 이상과 같은 제 2 및 제 3 실리콘 수지와, 열 경화 개시제 및 UV(Ultra Violet)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UV 경화 및 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UV 경화 와 열 경화의 시간 및 경화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상 분리가 일어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의 형성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출 공정에 의해 연질부(3001)를 형성한다. 연질부(3001)의 형성에 관해서는 앞서 상세히 언급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의 제 2 및 제 3 실리콘 수지와 열 경화 개시제 및 UV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3002)을 연질부(3001)상에 도포한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에 UV를 조사하여 상기 혼합물의 외측면을 UV 경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실리콘 수지의 아크릴 측쇄 또는 지방족 측쇄 부분에서 경화가 발생함으로써 높은 경도를 갖는 하드코팅층(3003)이 먼저 형성된다. 이 때 경질부(3004)가 되는 영역, 즉 비폴딩 영역(NA)의 연질부(3001) 상에 위치하는 혼합물은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다음에는, 열 경화 공정을 실시한다. 그러면, 비폴딩 영역(N/A)의 연질부(3001)상에 위치하는 상기의 혼합물 중 상기 제 3 실리콘 수지와 열 경화제가 반응하여 경화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높은 강성을 갖는 경질부(3004)가 형성된다.
이 때 열 경화제는 상기 연질부(3001)를 형성할 때와 동일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UV 경화 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DPMA, PEGDA, Acryloyl chloride, Benzil ketals 계열, α-hydroxy alkyphenone 계열, Thioxanthine 유도체, Acrylphos phineoxide 계열, Bezonin 계열, Sulfonium 유도체, Iodine 계열 물질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연질부(3001)와 경질부(3004)의 계면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경질부(3004)가 폴딩부(F/A)의 연질부(3001a)와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 부분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연질부(3001a)와 경질부(3004)의 경계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실험에 의하면, 이 때의 곡률반경은 경질부(3004) 두께의 절반 정도(half R)인 경우 시인성 방지에 가장 유리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는 전체가 동종 계열,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경질부(3004)와 연질부(3001)의 굴절률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연질부(3001),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 각각의 열 특성도 거의 유사하여 열 히스테리시스 차이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공정상의 일정 공정 온도에서는 모두 동일한 내열성을 가지므로, 열 팽창에 의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의 연질부(3001)는 1R 이상의 높은 곡률로도 폴딩하더라도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는 가능한 우수한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는 연질부(3001)와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의 3층 구조를 통해 연질부(3001)에서의 자유로운 폴딩이 가능하면서도 두꺼운 커버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의 두께가 증가하면서 내충격성이 크게 개선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윈도우(3000)는 경질부(3004) 및 하드코팅층(3003)을 동일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그만큼 감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000: 백 프레임
110: 제 1 접착층 120: 제 1 기재
130: 제 1 버퍼층 14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150: 유기 발광 어레이 160: 보호층
400: 접착층 230: 터치 전극 어레이
220: 제 2 버퍼층 210: 제 2 기재
3000: 커버 윈도우 2350: 터치 패드부
3001a, 3001b: 연질부 3003: 하드코팅층
3004a, 3004b: 경질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 및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 및 상기 비폴딩부 모두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연질부,
    상기 연질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연질부 보다 높은 강성의 물질로 이루어진 경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의 상기 연질부와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는 곡률을 갖는 커버 윈도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연질부의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연질부의 높이보다 낮은 커버 윈도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 상에 위치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에서 상기 연질부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비폴딩부에서 상기 경질부에 직접 접촉되는 커버 윈도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에 위치하는 상기 연질부와 상기 경질부의 높이를 합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부에 위치하는 상기 연질부의 높이와 동일한 커버 윈도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하드코팅층은 모두 동종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 및 상기 하드코팅층은 모두 실리콘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커버 윈도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실록산 계열의 제 1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상기 제 1 실리콘 수지 및 열 경화 개시제를 포함한 물질이 열 경화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커버 윈도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연질부의 실리콘 수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제 2 실리콘 수지 및 제 3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상기 연질부 상에 UV 경화 개시제 및 열 경화 개시제를 포함한 상기 제 2 실리콘 수지 및 제 3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UV 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상기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경질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의 반경은 경질부 두께의 절반인 커버 윈도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와 상기 연질부의 굴절률 차이는 0.01 이내인 커버 윈도우.
  15. 표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40057818A 2024-04-30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240065227A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722A Division KR102664309B1 (ko) 2016-09-30 2016-09-30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227A true KR20240065227A (ko) 2024-05-1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53636B (zh) 覆盖窗和使用该覆盖窗的显示装置
KR1026095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217125B2 (en) Flexible display screens and display devices
CN106257680B (zh) 显示设备
US919666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13905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03044B2 (en) Cover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227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3632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7740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817257B2 (ja) 保護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KR102596946B1 (ko) 표시 장치
KR1025988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79096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WO2022241838A1 (zh) 显示装置
JP5664144B2 (ja) 情報表示端末
KR10261721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64309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240065227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JP2023107249A (ja) 表示装置
US2022027125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2603599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JP6925047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