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06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064A
KR20240065064A KR1020247003569A KR20247003569A KR20240065064A KR 20240065064 A KR20240065064 A KR 20240065064A KR 1020247003569 A KR1020247003569 A KR 1020247003569A KR 20247003569 A KR20247003569 A KR 20247003569A KR 20240065064 A KR20240065064 A KR 2024006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block
channel information
estimated
transmi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금승원
노상미
김당오
이주용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전송 블록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른 장치에게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LTE 목표인 사용자와 사업자의 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커버리지 확장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해 많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3GPP LTE는 상위 레벨 필요조건으로서 비트당 비용 절감, 서비스 유용성 향상, 주파수 밴드의 유연한 사용, 간단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및 3GPP에서 NR(New Radio)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사양을 개발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GPP는 긴급한 시장 요구와 ITU-R(ITU Radio Communication Sector)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20 프로세스가 제시하는 보다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모두 적시에 만족시키는 NR을 성공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NR은 먼 미래에도 무선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임의의 스펙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배치 시나리오, 사용 시나리오, 요구 사항을 다루는 단일 기술 프레임 워크를 대상으로 한다. NR은 본질적으로 순방향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5세대(5G; 5th 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에 해당하는 NR의 상용화와 함께 6세대(6G) 이동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6세대 이동 통신 기술에서는 100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활용 주파수가 5G 대비 10배 이상 증대될 수 있고, 공간 자원의 활용 가능성이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100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서브-테라헤르츠(sub-THz)로 불릴 수 있다.
5G 이후의 6G 에서는, 최대 데이터 율(peak data rata)으로 1 Tbps(Tera bits per second)를 목표로 하고 있다. LDPC(low-density parity-check) 디코더(decoder)의 경우, 기존 5G의 목표인 20 Gbps(Giga bits per second) 달성에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6G에서는 대역폭(bandwidth)이 20 GHz 이상으로 확장되고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이 급격히 증가하며, 그로 인해 슬롯 구간(slot duration)이 매우 작아진다. 또한, URLLC의 목표 역시 100 us(micro second)(=0.1 millisecond)로 매우 작아진다. 이 경우, LDPC 디코더의 속도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6G에서의 많은 데이터 량을 처리하기에는 LDPC 디코더의 성능이 부족하여 URLLC 상황에서 HARQ 동작 횟수가 매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HARQ 전송의 신뢰성(reliability)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존보다 빠른 재전송 기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전송 블록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1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장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1 장치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동작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지시를 저장하는 제1 장치의 CRM(computer readable medium)을 제공한다. 상기 동작은,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2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1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블록을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재전송된 재전송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2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되, 상기 재전송 전송 블록의 수신 시점은 상기 제1 디코더의 상기 전송 블록 디코딩 완료 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2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장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1 장치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1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블록을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재전송된 재전송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2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되, 상기 재전송 전송 블록의 수신 시점은 상기 제1 디코더의 상기 전송 블록 디코딩 완료 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LDPC 디코더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슬롯의 구조를 변경하여 예컨대, 미니 슬롯(mini slot)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처리량(throughput)에서 손해를 보면서 URLLC의 지연 요건(latency requirement)을 만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기존의 슬롯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URLLC의 지연 요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eMBB 사용자와 URLLC 사용자를 모두 지원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구조의 유연성을 크게 개선하며, URLLC로 인한 처리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일반적인 신호 전송을 예시한다.
도 3은 6G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예시한다.
도 5는 종래 HARQ 동작을 예시한다.
도 6은 LDPC 디코더의 조기 종료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은 5GHz 대역에서 부반송파 간격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5nm 공정 13개 디코더들을 이용한 병렬 처리를 예시한다.
도 9는 표 9의 LDPC 디코더 지연을 기반으로 추정된 HARQ RTT이다.
도 10은 AWGN 환경에서 5G LDPC 코드의 SNR에 따른 BLER(block error rate)을 나타낸다.
도 11은 채널 피드백을 이용한 HARQ 재전송 기법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전송 블록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방법을 적용할 때, 기지국과 단말 간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4는 HARQ 재전송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5은 제안된 방법의 HARQ 지연 성능 평가를 나타낸다.
도 16는 제안된 방법의 HARQ 지연 오버헤드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0는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21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다음의 기법, 장치 및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또는 E-UTRA(Evolved 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한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OFDMA를, 상향링크(UL; Uplink)에서 SC-FDMA를 사용한다. 3GPP LTE의 진화는 LTE-A(Advanced), LTE-A Pro, 및/또는 5G NR(New Radio)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구현은 주로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지만,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측면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기술 중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용어와 기술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이전에 발행된 무선 통신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or B)"나 "A 및/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 B 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or C)"나 "A, B 및/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C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는 기기 간 무선 통신 및/또는 연결(예: 5G)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 및/또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을 참조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통신 시스템(예, LTE, NR 등)을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는 3GPP TS 36.xxx Release 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3GPP TS 36.xxx Release 10 이후의 LTE 기술은 LTE-A로 지칭되고, 3GPP TS 36.xxx Release 13 이후의 LTE 기술은 LTE-A pro로 지칭된다. 3GPP NR은 TS 38.xxx Release 15 이후의 기술을 의미한다. 3GPP 6G는 TS Release 17 및/또는 Release 18 이후의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xxx"는 표준 문서 세부 번호를 의미한다. LTE/NR/6G는 3GPP 시스템으로 통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사용된 배경기술, 용어, 약어 등에 관해서는 본 개시 이전에 공개된 표준 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데이터의 예로,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설명하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즉, 데이터는 코드 블록(code block),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 등이 될 수도 있다. 전송 블록에 포함된 내용을 코드워드(codeword)로 칭할 수도 있다.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뉴머럴로지(numerology) 또는 부반송파 간격(SCS; SubCarrier Spacing)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 도시(dense-urban), 저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반송파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대역은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아래 표 2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 자율 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여기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 NR 및 6G뿐만 아니라 저전력 통신을 위한 협대역 IoT(NB-IoT, NarrowBand Io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LTE Cat NB1 및/또는 LTE Cat NB2 등의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M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eMTC(enhanced MTC)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TC, 및/또는 7) LTE M 등의 다양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LPW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기술은 IEEE 802.15.4 등의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소형/저-파워 디지털 통신에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s)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도 2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일반적인 신호 전송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 DL)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Uplink, UL)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송수신하는 정보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이 송수신 하는 정보의 종류/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1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및 부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 이하 랜덤 액세스 과정이라 칭할 수도 있음)을 수행할 수 있다(S13 내지 S1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송신하고(S13 및 S1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RAR(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S16).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송신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1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S1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인덱스),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채널의 구조>
1. 하향링크 채널 구조
기지국은 후술하는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은 후술하는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1)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DSCH는 하향링크 데이터(예, DL-shared channel transport block, DL-SCH TB)를 운반하고,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256 QAM 등의 변조 방법이 적용된다. TB를 인코딩하여 코드워드(codeword)가 생성된다. PDSCH는 다수의 코드워드들을 나를 수 있다. 코드워드(codeword) 별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및 변조 매핑(modulation mapping)이 수행되고, 각 코드워드로부터 생성된 변조 심볼들은 하나 이상의 레이어로 매핑된다(Layer mapping). 각 레이어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과 함께 자원에 매핑되어 OFDM 심볼 신호로 생성되고, 해당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된다.
(2)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DCCH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운반하고 QPSK 변조 방법 등이 적용된다. 하나의 PDCCH는 AL(Aggregation Level)에 따라 1, 2, 4, 8, 16 개 등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하나의 CCE는 6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된다. 하나의 REG는 하나의 OFDM 심볼과 하나의 (P)RB로 정의된다.
단말은 PDCCH 후보들의 세트(set)에 대한 디코딩(일명,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여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를 획득한다. 단말이 디코딩하는 PDCCH 후보들의 세트는 PDCCH 검색 공간(Search Space) 세트라 정의한다. 검색 공간 세트는 공통 검색 공간 (common search space) 또는 단말-특정 검색 공간 (UE-specific search space)일 수 있다. 단말은 MIB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 세트 내 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여 DCI를 획득할 수 있다.
2. 상향링크 채널 구조
단말은 후술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후술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관련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1)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USCH는 상향링크 데이터(예, UL-shared channel transport block, UL-SCH TB) 및/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운반하고, CP-OFDM (Cyclic Prefix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waveform),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 spread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 등에 기초하여 전송된다. PUSCH가 DFT-s-OFDM 파형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변환 프리코딩(transform precoding)을 적용하여 PUSCH를 전송한다. 일 예로, 변환 프리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예, transform precoding is disabled) 단말은 CP-OFDM 파형에 기초하여 PUSCH를 전송하고, 변환 프리코딩이 가능한 경우(예, transform precoding is enabled) 단말은 CP-OFDM 파형 또는 DFT-s-OFDM 파형에 기초하여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PUSCH 전송은 DCI 내 UL 그랜트에 의해 동적으로 스케줄링 되거나, 상위 계층(예, RRC) 시그널링 (및/또는 Layer 1(L1) 시그널링(예, PDCCH))에 기초하여 반-정적(semi-static)으로 스케줄링 될 수 있다(configured grant). PUSCH 전송은 코드북 기반 또는 비-코드북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2)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UCCH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HARQ-ACK 및/또는 스케줄링 요청(SR)을 운반하고, PUCCH 전송 길이에 따라 다수의 PUCCH들로 구분될 수 있다.
<6G 시스템 일반>
6G (무선통신) 시스템은 (i) 디바이스 당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 (ii) 매우 많은 수의 연결된 디바이스들, (iii) 글로벌 연결성(global connectivity), (iv) 매우 낮은 지연, (v) 배터리-프리(battery-free) IoT 디바이스들의 에너지 소비를 낮추고, (vi) 초고신뢰성 연결, (vii) 머신 러닝 능력을 가지는 연결된 지능 등에 목적이 있다. 6G 시스템의 비젼은 intelligent connectivity, deep connectivity, holographic connectivity, ubiquitous connectivity와 같은 4가지 측면일 수 있으며, 6G 시스템은 아래 표 3과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표 3은 6G 시스템의 요구 사항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표 3]
Figure pct00003
6G 시스템은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mMTC), 인공지능 통합 통신(AI integrated communication), 촉각 인터넷(Tactile internet), 높은 처리량(High throughput), 높은 네트워크 능력(High network capacity), 높은 에너지 효율(High energy efficiency), 낮은 백홀 및 액세스 네트워크 혼잡(Low backhaul and access network congestion), 향상된 데이터 보안(Enhanced data security)와 같은 핵심 요소(key factor)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6G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통신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6G 시스템은 5G 무선통신 시스템보다 50배 더 높은 동시 무선통신 연결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5G의 핵심적 특징(key feature)인 URLLC는 6G 통신에서 1ms보다 적은 단-대-단(end-to-end) 지연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주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6G 시스템은 자주 사용되는 영역 스펙트럼 효율과 달리 체적 스펙트럼 효율이 훨씬 우수할 것이다. 6G 시스템은 매우 긴 배터리 수명과 에너지 수확을 위한 고급 배터리 기술을 제공할 수 있어, 6G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별도로 충전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6G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특성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위성 통합 네트워크(Satellites integrated network): 글로벌 모바일 집단을 제공하기 위해 6G는 위성과 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상파, 위성 및 공중 네트워크를 하나의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통합은 6G에 매우 중요하다.
- 연결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 이전 세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6G는 혁신적이며, "연결된 사물"에서 "연결된 지능"으로 무선 진화가 업데이트될 것이다. AI는 통신 절차의 각 단계(또는 후술할 신호 처리의 각 절차)에서 적용될 수 있다.
- 무선 정보 및 에너지 전달의 완벽한 통합(Seamless integration wireless information and energy transfer): 6G 무선 네트워크는 스마트폰들과 센서들과 같이 디바이스들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전달할 것이다. 그러므로, 무선 정보 및 에너지 전송 (WIET)은 통합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 슈퍼 3D 연결(Ubiquitous super 3D connectivity): 드론 및 매우 낮은 지구 궤도 위성의 네트워크 및 핵심 네트워크 기능에 접속은 6G 유비쿼터스에서 슈퍼 3D 연결을 만들 것이다.
위와 같은 6G의 새로운 네트워크 특성들에서 몇 가지 일반적인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스몰 셀 네트워크(small cell networks): 스몰 셀 네트워크의 아이디어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처리량, 에너지 효율 및 스펙트럼 효율 향상의 결과로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결과적으로, 스몰 셀 네트워크는 5G 및 비욘드 5G (5GB)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필수적인 특성이다. 따라서, 6G 통신 시스템 역시 스몰 셀 네트워크의 특성을 채택한다.
- 초 고밀도 이기종 네트워크(Ultra-dense heterogeneous network): 초 고밀도 이기종 네트워크들은 6G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이 될 것이다. 이기종 네트워크로 구성된 멀티-티어 네트워크는 전체 QoS를 개선하고 비용을 줄인다.
- 대용량 백홀(High-capacity backhaul): 백홀 연결은 대용량 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대용량 백홀 네트워크로 특징 지어진다. 고속 광섬유 및 자유 공간 광학 (FSO) 시스템이 이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일 수 있다.
- 모바일 기술과 통합된 레이더 기술: 통신을 통한 고정밀 지역화(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는 6G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레이더 시스템은 6G 네트워크와 통합될 것이다.
- 소프트화 및 가상화(Softwarization and virtualization): 소프트화 및 가상화는 유연성, 재구성성 및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5GB 네트워크에서 설계 프로세스의 기초가 되는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이다. 또한, 공유 물리적 인프라에서 수십억 개의 장치가 공유될 수 있다.
<THz(Terahertz) 통신>
도 4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예시한다.
데이터 전송률은 대역폭을 늘려 높일 수 있다. 이것은 넓은 대역폭으로 sub-THz 통신을 사용하고, 진보된 대규모 MIMO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밀리미터 이하의 방사선으로도 알려진 THz파는 일반적으로 0.03mm-3mm 범위의 해당 파장을 가진 0.1THz와 10T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100GHz-300GHz 대역 범위(Sub THz 대역)는 셀룰러 통신을 위한 THz 대역의 주요 부분으로 간주된다. Sub-THz 대역 mmWave 대역 에 추가하면 6G 셀룰러 통신 용량은 늘어난다. 정의된 THz 대역 중 300GHz-3THz는 원적외선 (IR) 주파수 대역에 있다.
THz 통신의 주요 특성은 (i)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한 대역폭, (ii) 고주파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 손실 (고 지향성 안테나는 필수 불가결)을 포함한다. 높은 지향성 안테나에서 생성된 좁은 빔 폭은 간섭을 줄인다. THz 신호의 작은 파장은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가 이 대역에서 동작하는 장치 및 BS에 통합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범위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고급 적응형 배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본 개시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 5G 이동 통신(이하 5G) 이후의 6G 이동 통신(이하 6G)에서는, 최대 데이터 율(peak data rata)으로 1 Tbps(Tera bits per second)를 목표로 하고 있다. LDPC(low-density parity-check) 디코더(decoder)의 경우, 기존 5G의 목표인 20 Gbps(Giga bits per second) 달성에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6G에서는 대역폭(bandwidth)이 20 GHz 이상으로 확장되고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이 급격히 증가하며, 그로 인해 슬롯 구간(slot duration)이 매우 작아진다. 또한,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목표 역시 100 us(micro second)로 매우 작아진다. 따라서, LDPC 디코더의 속도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6G에서의 많은 데이터 량을 처리하기에는 LDPC 디코더의 성능이 부족하여 URLLC 상황에서 HARQ 동작 횟수가 매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HARQ 전송의 신뢰성(reliability)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존 보다 빠른 재전송 기법이 필요하다.
먼저, 종래 HARQ 기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종래 HARQ 동작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장치(예컨대, 기지국)은 제2 장치(예컨대, 단말)에게 서브프레임 n에서 PDCCH(411) 상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에 의해 지시되는 PDSCH(412) 상으로 하향링크 전송 블록을 전송한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4에서 PUCCH(420) 상으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보낸다. 일 예로, ACK/NACK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PUCCH(420)의 자원은 PDCCH(411)의 자원(예를 들어, PDCCH(411)의 전송에 사용되는 첫번째 CCE의 인덱스)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향링크 HARQ와 달리 반드시 서브프레임 n+8에서 재전송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n+9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DCCH(431) 상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에 의해 지시되는 PDSCH(432) 상으로 재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은 n+13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CCH(440) 상으로 ACK/NACK 신호를 보낸다. 단말의 디코더에서 디코딩이 끝난 후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 FEC(forward error correction)와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결합한 것으로, 물리계층이 수신한 데이터가 복호할 수 없는 오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구함으로써 성능을 높인다.
HARQ에서, 수신기는 수신한 데이터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수신 확인(reception acknowledgement)으로 ACK(acknowledgement)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 성공을 송신기로 알린다. 수신기는 수신한 데이터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수신 확인으로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송신하여 에러 검출을 송신기로 알린다. 송신기는 NACK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HARQ에서는 초기 데이터(PDSCH)의 전송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또는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까지의 라운드 트립(round trip) 시간이 8 ms로 고정되거나 최소 8 ms 이상이 되어야 한다.
NR에서는, 이러한 8 ms 라운드 트립을 유지하지 않고, 적응적(adaptive)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고, 미니 슬롯(mini slot)을 사용하여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피드백까지의 시간을 줄이는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HARQ 동작은 기본적으로 수신단에서 데이터를 디코딩 한 후에 전송한 ACK/NACK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디코더(LDPC 디코더)의 지연을 줄이는 방식이 필요하다. 종래, 디코더를 중간에 멈추는 조기 종료(early termination)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도 6은 LDPC 디코더의 조기 종료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조기 종료 기법은 반복(iteration)에 따른 비용 함수(cost function)를 수립하여, 반복을 계속할지 아니면 NACK으로 판단하고 디코더를 종료할지 결정하여, HARQ 라운드 트립에서 처리 시간(processing time)을 줄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어느 정도 디코더 속도를 높일 수 있으나, 6G의 극단적인 환경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본 개시의 목적은 THz 환경의 6G 이동 통신에 적합한 HARQ 재전송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6G THz 환경의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에 가까운 LoS(line of sight) 환경, 두번째는 1 Tbps 지원을 위한 LDPC 하드웨어(hardware: HW)의 복잡도(complexity) 증가이다.
EPIC(Enabling Practical Wireless Tb/s Communications with Next Generation Channel Coding) 프로젝트에서 분석한 LDPC 디코더의 성능 증가는 5G에서 6G로의 대역폭 증가, URLLC 감소(0.1ms) 등을 지원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개시는, 예측이 가능한 AWGN에 가까운 THz 채널 특성을 기반으로 LDPC 디코딩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채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HARQ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 HARQ 피드백 구조는 그대로 사용하되, 추가적으로 채널 피드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HARQ 피드백 정보(즉, ACK/NACK)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생성되는데 반해, 채널 피드백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예컨대, 슬롯) 내의 물리 채널 신호(예컨대, CSI-RS, DMRS 등과 같은 참조 신호)의 수신 후 이를 측정하여 바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HARQ 피드백 정보에 비해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 입장에서, 데이터 수신 후 HARQ 피드백 정보를 생성/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비해, 상기 데이터 수신 후 채널 피드백 정보를 생성/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6G 채널 환경에서는 채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높은 확률로 추정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점들을 이용한다.
기존 HARQ의 문제점을 기술하기 위해서 6G에서 예측 되는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LDPC 디코더 성능 예측에 대해서 설명한다.
5GHz 대역의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사용하고, 5G와의 호환성(compatibility)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을 15Khz*2n 으로 하였다.
표 4은 n에 따른 5GHz 대역을 위한 OFDM 뉴머롤로지(numerology)이다.
[표 4]
Figure pct00004
도 7은 5GHz 대역에서 부반송파 간격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5G와의 호환성을 위해, 프레임 구조에서 슬롯 당 14 심볼을 유지하였고, 프레임은 10 ms, 서브프레임은 1 ms로 하여, 모두 5G와 같게 유지하였다.
여기서, 6G 에서 사용될 SCS=15.36MHz에서는 슬롯 구간이 약 1 us(0.976 us)로 매우 줄어들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G의 LDPC 디코더의 성능을 현재 예단하기는 어려우나, 공정과 1 Tbps 달성을 위한 LDPC 디코더 성능을 연구한 EPIC 프로젝트 등에 의하여 유추가 가능하다. 공정 변화에 따른 성능 평가는 아래 표 5와 같이 알려져 있다.
[표 5]
Figure pct00005
공정이 작아지면 클락(clock) 주파수 증가, 면적 감소,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며, 에너지 효율 증가 보다, 면적 감소가 큰 비율로 나타난다. 또한 1 Tbps 달성을 위한 LDPC 디코더의 HW 복잡도(complexity)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pct00006
EPIC 프로젝트에서 지금까지 나온 LDPC 디코더 성능을 분석한 것이 표 7이다.
[표 7]
Figure pct00007
표 7을 기반으로 7 nm, 5 nm 공정으로 변환하였을 때 LDPC 디코더 성능을 아래 표 8이 예시한다.
[표 8]
Figure pct00008
EPIC 프로젝트 KPI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5nm 공정 13개 디코더를 병렬 처리하며, 주파수를 1/13 GHz로 해야 할 수 있다.
도 8은 5nm 공정 13개 디코더들을 이용한 병렬 처리를 예시한다.
코드 블록 1~13(CB 1~13)들을 하나씩 각 디코더에서 병렬 처리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HARQ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RTT) 분석>
HARQ RTT 분석을 위해 슬롯에서 전송되는 TB(transport Block)의 비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SCS 15.36 MHz, 슬롯 구간 0.976 us, 슬롯 당 심볼: 14 OFDM 심볼 기준
2) 1 TTI(슬롯)의 데이터 량, 1~4 레이어(layer)에 하나의 TB/5~8 레이어 다른 TB 전송. 즉, 총 8개의 레이어들에서 2개의 TB들을 전송.
3) 4개 레이어들에서 보내는 1 TB인 1 슬롯 데이터 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4(레이어 수)*300(부반송파 수)*14(OFDM 심볼 수)*10(1024 QAM을 의미) = 168,000 비트
4) 8 레이어들에서 보내는 2 TB 데이터 량 = 336,000 비트
상기 표 8에 근거한 LDPC 디코더의 처리 시간은 표 9과 같을 수 있다.
[표 9]
Figure pct00009
도 9는 표 9의 LDPC 디코더 지연을 기반으로 추정된 HARQ RTT이다. 여기서 처리 시간은 인코더 수치를 적용했으며, 5G 기준으로 67% * 디코더 시간을 적용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디코더의 처리 시간, 2개 장치들 간의 전송 시간, 인코딩 시간, 디코딩 시간 등을 고려할 때, 6G URLLC 기준인 0.1ms 안에서 HARQ가 2.83회 정도 동작 가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기존 HARQ 최대 재전송 횟수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신뢰성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새로운 HARQ 기법이 필요하다.
도 10은 AWGN 환경에서 5G LDPC 코드의 SNR에 따른 BLER(block error rate)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보듯이, BLER이 SNR 차이에 매우 민감하다. 예컨대, SNR이 0과 1 사이에서 변경될 때, BLER이 1과 0 사이에서 급격하게 변경된다. 다중 경로(Multi-path) 환경의 5G/4G와 다르게 6G 환경에서는 SNR에 매우 민감하게 BLER이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i) 전송기에서 TB을 만들 때의 MCS 레벨(MCS 레벨은 SNR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음)과 ii) 수신기가 수신 TB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신 SNR(또는 상기 수신 SNR을 알 수 있는 MCS 레벨)을 사용하여, LDPC 디코더의 디코딩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도 높은 확률로 상기 디코딩 결과를 예측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 11은 채널 피드백을 이용한 HARQ 재전송 기법의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단은 다음과 같은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송 블록(예컨대, TB1)을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단기(short term) 채널 정보를 수집/생성/추정하여 피드백 한다(channel info feedback 1, channel info feedback 2, channel info feedback 3으로 표시). 단기 채널 정보는 수신한 전송 블록의 정확한 SNR(또는 SINR) 추정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수신단의 디코더는 채널 정보와 전송 블록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고려해 디코딩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새로 전송되는 전송 블록과의 결합(combine)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신단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TB1을 전송할 때의 SNR(t)와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한 SNR(t+n)의 차이를 문턱치(이를 SNR_offset_threshold로 표시)와 비교하여, 상기 문턱치보다 크면 전송 블록(TB1)을 재전송한다. 재전송 기법은 수신된 채널 정보에 따라 지연(latency) 값 및 오버헤드(overhead)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전송 블록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장치(예컨대, 기지국 또는 단말)는 제2 장치(예컨대, 단말)에게 전송 블록을 전송한다(S1210).
전송 블록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비트들에 CRC를 부가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 정보 비트들의 크기에 따라 코드 블록 분할(code block segment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문턱치보다 상기 CRC를 부가한 정보 비트들의 크기가 크면 코드 블록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드 블록에도 CRC를 부가한다. 그 후, 채널 코딩 예컨대,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딩 또는 폴라 코딩(polar 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분할된 코드 블록은 코드 블록 연접(concatenation)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데이터 채널의 자원들에 맵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제1 MCS가 적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1 MCS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당시의 추정된 채널 상태(SNR, SINR)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전에 제2 장치가 측정하여 피드백한 이전의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추정될 수 있다.
제1 장치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S1220).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전송 블록 내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예컨대, CSI-RS, DMRS)을 측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수신한 전송 블록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또는 SNR(signal-to-noise ratio)에 관련된 정보, MCS 레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S1230). 예를 들어,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보다 크면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고,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 이하이면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지 않고 새로운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방법을 적용할 때, 기지국과 단말 간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측정된 채널 정보 CSI(t0)를 피드백한다(S1310). CSI(t0)는, 시간 t0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였던 전송 블록(TB)을 포함하는 슬롯 내에 있던 참조 신호(예컨대, CSI-RS, DMRS 등, 파일럿 신호라 칭할 수도 있음)를 측정하여 단말이 추정/생성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는 채널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정보로 예컨대, SINR, SNR, MCS 인덱스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시간 t=t1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CSI(t0)에 기반한 전송 블록(이를 편의상 n번째 TB라 하자)을 전송할 수 있다(S1320). 이 전송 블록을 TB(n,t1,CSI(t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 TB(n,t1,CSI(t0))을 수신한 단말은, 상기 전송 블록 TB(n,t1,CSI(t0))이 포함된 수신 단위(예컨대,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내의 참조 신호를 측정하여 CSI(t1)을 생성한다. 또한, 단말에 포함된 복수의 디코더들 중에서 예를 들어, 디코더 #1이 상기 전송 블록 TB(n,t1,CSI(t0))을 디코딩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CSI(t1)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상기 전송 블록 TB(n,t1,CSI(t0))을 디코딩하여 ACK/NACK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짧다.
단말은 측정한 채널 정보 CSI(t1)을 기지국에게 피드백한다(S1330).
기지국은,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이 문턱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340). 여기서,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을 구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SI(t0)에 기반하여 정해진 SNR(t0)과 CSI(t1)에 기반하여 정해진 SNR(t1)의 차이 값도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CSI(t0)에 기반하여 정해진 MCS 인덱스와 CSI(t1)에 기반하여 정해진 MCS 인덱스의 차이 값도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사용한 채널 정보(CSI(t0))와 단말에 의하여 측정/추정되어 피드백된 채널 정보(CSI(t1))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예에서,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이 문턱치보다 크다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기 n번째 TB를 시간 t=t2에 재전송할 수 있다(S1350). 이 전송 블록은 CSI(t1)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블록을 TB(n,t2,CSI(t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단말에 포함된 디코더 #1은 시간 t2 시점에 아직 전송 블록 TB(n,t1,CSI(t0))의 디코딩을 완료하지 못하였으므로, 디코더 #2가 TB(n,t2,CSI(t1))를 디코딩 시작할 수 있다.
전송 블록의 재전송 시점을 보면, 종래 기술에서는 디코더 #1의 TB(n,t1,CSI(t0)) 디코딩 완료 후 단말이 NACK을 전송하고, 이를 기지국이 수신하여야 기지국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한다.
반면, 본 개시에서는, 디코더 #1의 TB(n,t1,CSI(t0)) 디코딩 완료 전에, 단말이 CSI(t1)를 피드백하고, 기지국은 CSI(t0)과 CSI(t1)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n번째 TB를 재전송하므로, n번째 TB의 재전송에 걸리는 시간이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
도 14는 HARQ 재전송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 CSI(t0)를 피드백 받는다(S1410). 전술한 바와 같이, CSI(t0)는, 시간 t0에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였던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슬롯 내에 있던 참조 신호를 측정하여 단말이 추정/생성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은 CSI(t0)에 기반하여(예컨대, CSI(t0)에 포함되어 있는 MCS 인덱스에 기반하여) 시간 t1에서 n번째 TB인 TB(n,t1,CSI(t0))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TB(n,t1,CSI(t0)) 전송에는 HARQ 프로세스 번호#1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은 시간 t1에서 파일럿(pilot) 신호(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단기(short term) CSI를 추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TB(n,t1,CSI(t0))와 같이 전송되는 슬롯 안에 있는 CSI-RS 및 DMRS 등 채널을 추정할 수 있는 파일럿을 사용하여 CSI(t1)를 추정할 수 있다. TB를 포함한 슬롯의 파일럿 구조에 따라 사용되는 파일럿과 단기 채널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은 변경될 수 있다. 피드백되는 상기 CSI(t1)(S1430)에는 단기 채널 추정을 기반으로 한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TB(n,t1,CSI(t0))를 생성시 사용한 CSI(t0) 정보와 TB(n,t1,CSI(t0))에 기반하여 단말에 의하여 측정된 CSI(t1)을 비교하여 특정 문턱치를 넘어가면 TB가 오류(error)가 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시간 t=t2에서, CSI(t1)를 기반으로 TB(n,t2,CSI(t1))을 재전송한다(S1440). TB(n,t2,CSI(t1)) 전송에는 HARQ 프로세스 번호#2를 할당할 수 있다.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메트릭(metric)으로, TB 생성 시 SNR과 단말에 의하여 추정된 SNR의 차이를 메트릭으로 하여, 특정 문턱치를 넘으면 (즉, (SNR(t0) - SNR(t1)) > 문턱치) 재전송을 하는 방식도 당연히 사용 가능하다. CSI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메트릭을 상황에 맞춰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시간 t2에서 디코더#1의 디코딩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TB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디코더#2를 사용하여 TB(n,t2,CSI(t1))의 디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이미 수신된 TB(n,t1,CSI(t0))와 TB(n,t2,CSI(t1))를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디코딩할 수도 있다. 예컨대, TB(n,t1,CSI(t0))를 사용하지 않고 TB(n,t2,CSI(t1))만을 사용하는 방식, 소프트 결합(soft combine)을 사용하여 두 TB 인 TB(n,t1,CSI(t0))와 TB(n,t2,CSI(t1))를 모두 사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디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TB(n,t2,CSI(t1))와 같이 전송되는 슬롯 안에 있는 CSI-RS 및 DMRS 등 채널을 추정할 수 있는 파일럿을 사용하여 CSI(t2)를 추정/생성하여 기지국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S1450).
시간 t3에서, 디코더#1이 디코딩에 실패하여 NACK을 전송(S1460)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단말은 CSI(t3)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CSI(t3)은 시간 t3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에서는 시간 t4에서 TB(n,t4,CSI(t3))를 전송할 수 있다(S1470). 단말은 측정된 채널 정보 CSI(t4)를 피드백한다(S1480).
기지국은 NACK을 받았기(S1460) 때문에, 시간 t4에서 새로운 TB(n,t4,CSI(t3))를 재전송하며, 이 때 단말은 사용하지 않고 있던 디코더(예컨대, 디코더 #1)를 통해 기존에 받았던 모든 n 번째 TB인 TB(n,t1,CSI(t0)), TB(n,t2,CSI(t1))과 TB(n,t4,CSI(t3))를 다양한 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디코딩 방식은 시스템 상황에 맞게 변화 가능하다.
그 후, 만약 디코더 #2에서 TB(n,t2,CSI(t1))의 디코딩에 성공하여 단말이 ACK을 피드백(S1490)하게 되면, 디코더#2는 종료하고, 디코더 #1은 디코딩을 멈추고 스톱(stop)한다.
예컨대, 시간 t5에서 만약 디코더#2가 n 번째 TB(이 시점에서는 TB(n,t2,CSI(t1))를 성공적으로 디코딩을 하면 단말은 ACK을 전송(S1490)하고, n 번째 TB를 디코딩 하기 위해 사용 중인 디코더들을 모두 해제(release)할 수 있다.
<제안된 HARQ 재전송 성능 평가>
도 15은 제안된 방법의 HARQ 지연 성능 평가를 나타내고, 도 16는 제안된 방법의 HARQ 지연 오버헤드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송신시 추정된 SNR과 수신에서 측정된 SNR의 차이를 SNR 문턱치와 비교하여 상기 SNR 문턱치보다 크면 재전송을 하는 방식으로 채널 피드백 기반 HARQ 재전송 기법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5, 16에서, 'Previous scheme'은 디코딩이 끝난 후 ACK/NACK 기반으로 재전송하는 기법을 나타낸다.
도 15에서 보면, SNR 문턱치 =0.3을 잡았을 경우 기존 대비 지연이 75 % 정도 감소하는 것이 확인된다.
도 16에서 보면, SNR 문턱치를 낮게 잡을수록 전송 오버헤드가 증가(대략 10% 가까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연과 오버헤드 사이에 트래이드 오프(tradeoff) 관계가 있다. SNR 문턱치를 시스템 상황에 맞게 추정하여, 최적의 채널 피드백 기반 재전송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유리한 효과>
종래 기술에서는, LDPC 디코더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슬롯의 구조를 변경하여 예컨대, 미니 슬롯(mini slot)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처리량(throughput)에서 손해를 보면서 URLLC의 지연 요건(latency requirement)을 만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기존의 슬롯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URLLC의 지연 요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eMBB 사용자와 URLLC 사용자를 모두 지원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구조의 유연성을 크게 개선하며, URLLC로 인한 처리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컨대,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컨대,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기지국(200)/무선 기기(100a~100f)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는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은 도 2의 전체/일부 과정에 기반하여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17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앞에서 설명/제안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 또는 방법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예컨대, 기지국, 중계국 또는 단말일 수 있다. 제1 장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예컨대, 중계국, 단말일 수 있다. 제2 장치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1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블록을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재전송된 재전송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2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되, 상기 재전송 전송 블록의 수신 시점은 상기 제1 디코더의 상기 전송 블록 디코딩 완료 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따르면, 무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2, 202),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4, 204),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106, 2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18에서 설명한 무선 장치의 예시와, 도 19에서의 무선 장치의 예시의 차이로써, 도 18은 프로세서(102, 202)와 메모리(104, 204)가 분리되어 있으나, 도 19의 예시에서는 프로세서(102, 202)에 메모리(104, 204)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동작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지시를 저장하는 CRM(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하여 전술한 방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은,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도 20는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20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 회로(1000)는 스크램블러(1010), 변조기(1020), 레이어 매퍼(1030), 프리코더(1040), 자원 매퍼(1050), 신호 생성기(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0의 동작/기능은 도 18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의 하드웨어 요소는 도 18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010~1060은 도 18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1010~1050은 도 18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되고, 블록 1060은 도 18의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도 20의 신호 처리 회로(1000)를 거쳐 무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워드는 정보블록의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이다. 정보블록은 전송블록(예, UL-SCH 전송블록, DL-SCH 전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도 2의 다양한 물리 채널(예, PUSCH, PD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러(1010)에 의해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로 변환될 수 있다. 스크램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시퀀스는 초기화 값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초기화 값은 무선 기기의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는 변조기(1020)에 의해 변조 심볼 시퀀스로 변조될 수 있다. 변조 방식은 pi/2-BPSK(pi/2-Binary Phase Shift Keying), m-PSK(m-Phase 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소 변조 심볼 시퀀스는 레이어 매퍼(10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송 레이어로 매핑될 수 있다. 각 전송 레이어의 변조 심볼들은 프리코더(1040)에 의해 해당 안테나 포트(들)로 매핑될 수 있다(프리코딩). 프리코더(1040)의 출력 z는 레이어 매퍼(1030)의 출력 y를 N*M의 프리코딩 행렬 W와 곱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N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 M은 전송 레이어의 개수이다. 여기서, 프리코더(1040)는 복소 변조 심볼들에 대한 트랜스폼(transform) 프리코딩(예, DFT 변환)을 수행한 이후에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더(1040)는 트랜스폼 프리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매퍼(1050)는 각 안테나 포트의 변조 심볼들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예, CP-OFDMA 심볼, DFT-s-O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060)는 매핑된 변조 심볼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무선 신호는 각 안테나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생성기(1060)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및 CP(Cyclic Prefix) 삽입기,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주파수 상향 변환기(frequency uplink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에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은 도 20의 신호 처리 과정(1010~1060)의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예, 도 18의 100, 200)는 안테나 포트/송수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신호 복원기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복원기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frequency downlink converter),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CP 제거기,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밴드 신호는 자원 디-매퍼 과정, 포스트코딩(postcoding) 과정, 복조 과정 및 디-스크램블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복원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복호(decoding)를 거쳐 원래의 정보블록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미도시)는 신호 복원기, 자원 디-매퍼, 포스트코더, 복조기, 디-스크램블러 및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휴대용 컴퓨터(예,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WT(Wireless terminal)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100)는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전원공급부(140a), 인터페이스부(140b) 및 입출력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기지국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휴대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휴대 기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a)는 휴대 기기(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휴대 기기(100)와 다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포트(예, 오디오 입/출력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영상 정보/신호, 오디오 정보/신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받거나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140d),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통신의 경우, 입출력부(140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신호(예, 터치,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다른 무선 기기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래의 정보/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뒤, 입출력부(140c)를 통해 다양한 형태(예,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 헵틱)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은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장치의 전송 블록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 이하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수신한 이전 전송 블록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NR(signal-to-noise ratio)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MCS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한 채널 정보는 상기 전송 블록의 MCS 인덱스, SINR 또는 SNR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전송 블록 내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을 측정하여 생성한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1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치 이하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수신한 이전 전송 블록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NR(signal-to-noise ratio)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MCS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한 채널 정보는 상기 전송 블록의 MCS 인덱스, SINR 또는 SNR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전송 블록 내의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을 측정하여 생성한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1 장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6. 동작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지시를 저장하는 제1 장치의 CRM(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제2 장치에게 상기 전송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측정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블록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M.
  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2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1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블록을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재전송된 재전송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2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되,
    상기 재전송 전송 블록의 수신 시점은 상기 제1 디코더의 상기 전송 블록 디코딩 완료 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2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1 장치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1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블록을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게 전송하고, 및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전송 블록의 전송 시에 추정한 채널 정보와 상기 측정된 채널 정보의 차이값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기반하여 재전송된 재전송 전송 블록을 수신하여 제2 디코더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되,
    상기 재전송 전송 블록의 수신 시점은 상기 제1 디코더의 상기 전송 블록 디코딩 완료 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KR1020247003569A 2021-09-14 2021-09-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20240065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2477 WO2023042925A1 (ko) 2021-09-14 2021-09-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064A true KR20240065064A (ko) 2024-05-14

Family

ID=8560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569A KR20240065064A (ko) 2021-09-14 2021-09-1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5064A (ko)
WO (1) WO20230429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05194A (zh) * 2005-12-29 2016-02-01 內數位科技公司 以哆h-arq方法同時選取多傳輸格式及傳送多傳輸塊組方法及裝置
EP2050214B1 (en) * 2006-08-09 2014-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stimating signal-to-noise ratio and adjusting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US9832673B2 (en) * 2014-07-22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Ultra reliable link design
US11303392B2 (en) * 2017-03-16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HARQ methods and apparatus for codeblock group based transmissions
WO2020204559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전송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2925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2739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通信的方法和装置
US107161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number of MIMO layers
EP37064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source selection window on basis of information related to sidelink harq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907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다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482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낮은 papr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897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다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863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ucch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42117A (ko) 서로 다른 우선순위 값들을 갖는 정보를 다중화
EP4035297A1 (en) Sequence bas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CN116868654A (zh) 用于上行链路传输的小区选择
KR20240023595A (ko) 양자 통신 시스템에서 양자 보안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6868521A (zh) 用于使用可重配置表面进行通信的技术
EP4142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delink transmission on basis of pucch processing time in nr v2x
KR20240049559A (ko) 지능형 반사 표면 배치를 위한 리피터 기반 아키텍처
WO2022265811A1 (en) Techniques for feedback metrics associated with dual-polarized beamforming transmissions
KR2024006506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KR202400444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is 기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WO2022165491A1 (en) Configurable cyclic prefix lengths for single carrier waveforms
KR2024006786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harq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EP437302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shared channel on basis of harq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400878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4036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groupca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6964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on basis of harq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2237707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KR2024007842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장치의 코드 블록 분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