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060A -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 Google Patents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060A
KR20240065060A KR1020240059951A KR20240059951A KR20240065060A KR 20240065060 A KR20240065060 A KR 20240065060A KR 1020240059951 A KR1020240059951 A KR 1020240059951A KR 20240059951 A KR20240059951 A KR 20240059951A KR 20240065060 A KR20240065060 A KR 2024006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rame
shaft
elastic
fixed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근
Original Assignee
유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근 filed Critical 유경근
Priority to KR102024005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060A/ko
Publication of KR2024006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0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10Frame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s, other than woo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14Protection devices on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Golf Clubs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구조의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 및 상기 샤프트는 탄소섬유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헤드프레임에는 탄성보강부들이 마련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타격시 셔틀콕을 멀리 보낼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는 한쌍의 조인트유닛과 연결캡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부가 더 형성되어, 한쌍의 조인트유닛이 마련된 조인트부를 헤드프레임과 샤프트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Badminton racket with carbon reinforcement}
본 발명은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드민턴 라켓을 형성하는 헤드프레임과 샤프트가 탄소소재로 성형되며, 헤드프레임에 탄소보강부를 마련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한쌍의 조인트유닛이 마련된 조인트부를 헤드프레임과 샤프트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연결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 간단한 장비로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경기이고, 경기를 위해서 한 쌍의 배드민턴 라켓과 셔틀 콕이 필요로 한다.
상기한 배드민턴 라켓은 주로, 탄성끈이 그물 눈 형태로 형성되어 셔틀 콕을 타격하도록 한 타격부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도록 봉 형태의 한 샤프트와, 사용자가 라켓을 파지하도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고, 상기 타격부로 셔틀 콕을 타격하게 되면, 셔틀 콕은 상기 타격부의 탄성끈과 상기 지지대의 탄성으로 셔틀 콕이 반발하여 튀어 나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드민턴 라켓은 타격부와 샤프트의 연결부위가 셔틀콕의 타격에 따른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지속적인 타격에 의해 균열부위가 점차 커지면서 타격부와 샤프트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균열에 의해 타격부가 흔들려 정교한 타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배드민턴 라켓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작방법이나 소재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20-01998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드민턴 라켓을 구성하는 헤드프레임과 샤프트를 탄소소재로 성형하며, 타격시 힘이 지지되는 부위에 탄성소재의 함량을 보강하는 탄소보강부를 마련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한쌍의 조인트유닛이 마련된 조인트부를 헤드프레임과 샤프트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연결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하여 타격시 셔틀콕을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링구조의 헤드프레임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프레임 및 상기 샤프트는 탄소섬유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헤드프레임에는 탄성보강부들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과 상기 샤프트에는 한쌍의 조인트유닛과 연결캡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파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에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돌기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헤드프레임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중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인트유닛들이 끝단에서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테이퍼보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은 상기 조인유닛들이 연결된 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에는 셔틀콕을 타격시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의해 변형 후 복원력이 향상되도록 탄성형충격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충격완충수단은 상기 조인트부의 조인트유닛들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연결링부와, 상기 연결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지지홈과, 상기 연결캡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지지링부와, 상기 연결링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은 라켓을 구성하는 헤드프레임과 샤프트가 탄소소재로 성형되며, 헤드프레임에 탄소보강부를 마련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한쌍의 조인트유닛이 마련된 조인트부를 헤드프레임과 샤프트의 연결부위에 설치하여,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타격시 셔틀콕을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헤드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배드민턴 라켓이라 명명함)는 셔틀콕을 타격하도록 된 배드민턴 라켓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배드민턴 라켓(10)은 헤드프레임(20)과 샤프트(30)와 손잡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프레임(20)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착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공들을 연결하며 망 형태로 탄성와이어가 체결되어 상기 셔틀콕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0)는 상기 헤드프레임(20)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30)는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샤프트(30)와 상기 헤드프레임(20)을 일체로 형성시켜 일체로 형성시켜 지지력이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프레임(20) 및 상기 샤프트(30)는 탄소섬유로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헤드프레임(20) 및 상기 샤프트(30)는 탄소섬유를 말아 헤드프레임과 샤프트가 연결된 가공전 대상품을 형성시킨 후 상기 대상품을 금형에 투입한 다음 프레스로 금형을 가압함과 아울러 열을 가해 성형가공품인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샤프트(30)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는 탄소섬유 이외에 탄소섬유에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침투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헤드프레임(20)에는 탄성보강부(22)들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보강부(22)는, 상기 헤드프레임(20)의 상부 양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프레임(20) 가장 최상단의 위치를 12시 기준으로 가정할 경우, 헤드프레임(20)의 2시와 10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보강부(22) 이외의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 보다 탄소함량이 15배 ~ 2배가 더 포함된 탄소섬유로 상기 탄성보강부(22)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한 탄소함량범위를 벗어날 시 헤드프레임(20)의 탄력이 저하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발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보강부(22)에 의해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다른 부위에 비해 지지력이 향상되며, 균일한 탄소분포로 헤드프레임(20)을 형성시킨 라켓에 비해 셔틀콕을 멀리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는 단면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샤프트(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일단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상기 샤프트(30)의 타단을 끼운 후 접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40)에 상기 샤프트(20)를 끼움식으로 체결하여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게 되고, 끼움 후 접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천연가죽 또는 합성가죽을 나선형으로 감아 접착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파지홈(41)이 더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의 일부가 걸림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파지홈(41)에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돌기(42)들을 일체로 더 형성시키게된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42)를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0)에 부착하거나 융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성에 의해 이물감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찰돌기(42)는 반원형의 돌기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에는 한 쌍의 조인트유닛(211)과 연결캡(212)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부(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은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상호 융착 또는 부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을 일체로 형성시켜 지지력이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조인트유닛(211)은 상기 헤드프레임(20)에 관통되게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캡(212)은 상기 샤프트(30)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조인트유닛(211)과 상기 연결캡(212)은 상기 헤드프레임(20) 및 상기 샤프트(30)에 끼움된 후 접착고정되거나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의 연결된 부분이 주조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21)에 인서트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유닛(211)과 상기 연결캡(212)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체로 형성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호 융착하거나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부(21)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 이외에 금속재 또는 탄성섬유에 열을 가해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이 끝단에서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테이퍼보강부(21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212)은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이 연결된 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테이퍼보강부(211a)에 의해 중앙으로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이 연결부분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유닛(211)들이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캡(212)이 연결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연결캡(212)과 연결되는 조인트유닛(211)의 연결부분이 외력에 의해 떨어져 나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트부(21)에는 셔틀콕을 타격시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의해 변형 후 복원력이 향상되도록 탄성형충격완충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충격완충수단(50)은 상기 조인트부(21)의 조인트유닛(211)들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51)과, 상기 안착홈(5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연결링부(52)와, 상기 연결캡(212)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지지홈(53)과, 상기 연결캡(212)에 형성된 지지홈(53)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지지링부(54)와, 상기 연결링부(52)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부(54)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된 탄성완충패널(55)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완충패널(55)의 탄성에 의해 셔틀콕을 타격시 상기 조인트부(21)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됨과 아울러 충격에 의해 변형된 조인트부(21) 및 샤프트(30)가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완충패널(55)은 상기 연결링부(52)와 상기 지지링부(54)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완충패널(55)은 탄성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탄성완충패널(55)과 함께 탄성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상기 연결링부(52)와 지지링부(54)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탄성완충패널(55)이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완충패널(55)의 탄성에 의해 셔틀콕의 타격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의 연결부위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며, 충격에 따른 상기 헤드프레임(20)과 상기 샤프트(30)의 연결부위가 변형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배드민턴 라켓
20 : 헤드프레임
21 : 조인트부
211 : 조인트유닛
211a : 테이퍼보강부
212 : 연결캡
22 : 탄성보강부
30 : 샤프트
40 : 손잡이
41 : 파지홈
42 : 마찰돌기
50 : 탄성형충격완충수단
51 : 안착홈
52 : 연결링부
53 : 지지홈
54 : 지지링부
55 : 탄성완충패널

Claims (1)

  1. 링구조의 헤드프레임;
    상기 헤드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프레임 및 샤프트는 탄소섬유를 말아 상기 헤드프레임과 샤프트가 연결된 상태로 금형에 투입한 후 열압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헤드프레임에는 상기 헤드프레임 최상단의 위치를 12시 기준으로 하여 상기 헤드프레임의 2시와 10시 또는 4시와 8시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보강부들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보강부의 탄소함량은 상기 탄성보강부를 제외한 상기 헤드프레임 및 샤프트의 1.5 내지 2배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프레임과 상기 샤프트에는 한 쌍의 조인트유닛과 연결캡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부에는 셔틀콕을 타격시 전달되는 충격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킴과 아울러 충격에 의해 변형 후 복원력이 향상되도록 탄성형충격완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충격완충수단은,
    상기 조인트부의 조인트유닛들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연결링부와,
    상기 연결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지지홈과,
    상기 연결캡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지지링부와,
    상기 연결링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탄성완충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는,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샤프트를 끼움식으로 체결한 후 접착고정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환형의 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홈에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반원형의 돌기형상인 마찰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완충패널은,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부와 상기 지지링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헤드프레임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중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인트유닛들이 끝단에서 상호 연결된 부분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테이퍼보강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유닛들의 연결부분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은 상기 조인트유닛들이 연결된 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KR1020240059951A 2021-05-12 2024-05-07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KR20240065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9951A KR20240065060A (ko) 2021-05-12 2024-05-07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440A KR20220153884A (ko) 2021-05-12 2021-05-12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KR1020240059951A KR20240065060A (ko) 2021-05-12 2024-05-07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40A Division KR20220153884A (ko) 2021-05-12 2021-05-12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060A true KR20240065060A (ko) 2024-05-14

Family

ID=842336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40A KR20220153884A (ko) 2021-05-12 2021-05-12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KR1020240059951A KR20240065060A (ko) 2021-05-12 2024-05-07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440A KR20220153884A (ko) 2021-05-12 2021-05-12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538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74Y1 (ko) 2000-05-23 2000-10-16 김석현 배드민턴 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74Y1 (ko) 2000-05-23 2000-10-16 김석현 배드민턴 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884A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0485B1 (en) Game racquet
US9005056B2 (en) Baseball bat
KR101501584B1 (ko) 진동 감쇠 볼 배트
KR20110066892A (ko) 경량 골프 그립
US9586112B2 (en) Ice hockey goalie stick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20198071A1 (en) Ball bat
JP3826313B2 (ja) グリップエンド底部加重用錘及びグリップエンド底部加重構造
US10478688B1 (en) Knob sleeve for a ball bat handle assembly
KR20140141475A (ko) 골프 클럽
SE513870C2 (sv) Bollslående anordning och förfarande med medel för att ge förbättrad impuls framåt åt bollen
KR20240065060A (ko) 탄소보강부가 형성되는 배드민턴 라켓
US20080274842A1 (en) Sports racket
US6663515B1 (en) Racket with a head and a handle both made of different materials
US20140213394A1 (en) Lacrosse handle
CN110801620B (zh) 动能吸收插件及其杆轴部和台球杆
US6537165B1 (en) Game racquet with separate head and handle portions
KR102225915B1 (ko) 배드민턴 라켓
US20060211525A1 (en) Racket frame
JP4657766B2 (ja) テニスラケット
CN212522925U (zh) 高尔夫球杆柄及高尔夫球杆
US20220331674A1 (en) Bat Having a Vibration Isolation Handle
KR101618196B1 (ko) 당구 큐
JP5103026B2 (ja) ラケット
CN103566546A (zh) 具有改良的连接结构的比赛用球拍
TWM520395U (zh) 球棒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