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430A - Swing using pulley - Google Patents

Swing using pull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430A
KR20240064430A KR1020220146448A KR20220146448A KR20240064430A KR 20240064430 A KR20240064430 A KR 20240064430A KR 1020220146448 A KR1020220146448 A KR 1020220146448A KR 20220146448 A KR20220146448 A KR 20220146448A KR 20240064430 A KR20240064430 A KR 2024006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swing
vertical
suppor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곤
Original Assignee
김윤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곤 filed Critical 김윤곤
Priority to KR102022014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430A/en
Publication of KR2024006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43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 A63G9/18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moved by rocking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8Looping-the-loop swing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는 사용자가 앉는 좌대(110); 그네가 매달리는 가로대(120); 지면으로부터 상기 가로대(120)를 지탱하는 지지대(130); 상기 좌대(110)를 상기 가로대(120)에 연결하는 세로대(140); 상기 좌대(110)의 전단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발로 밀수 있는 발판(150); 상기 발판(150)이 고정되고 상기 좌대(110)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전후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상기 발판(150)에 고정되는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140)에 위치하는 세로대 활차(174a, 174b); 상기 지지대(130)에 위치하는 지지대 활차(176); 및 양단이 상기 세로대(140)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 활차(174a, 174b) 및 상기 지지대 활차(17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로프(180)를 포함한다.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is disclosed.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110 on which the user sits; A crossbar (120) from which the swing hangs; A support bar 130 supporting the cross bar 120 from the ground; A vertical bar 140 connecting the pedestal 110 to the cross bar 120; A footrest 15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seat 110 and capable of being pushed by the user with his or her foot; A slide on which the footrest 150 is fixed a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being slide-coupled with the seat 110; A scaffold pulley (172) fixed to the scaffold (150); Vertical pulleys (174a, 174b) located on the vertical column (140); A support sheave 176 located on the support 130; And a rope 180 that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vertical pole 140 and sequentially connects the scaffold sheave 172, the vertical sheave 174a, 174b, and the support sheave 176.

Description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SWING USING PULLEY}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SWING USING PULLE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에 관한 발명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기존의 그네는 한 명이 그네에 앉으면 다른 사람이 밀어 주어서 타거나 혼자서 발로 바닥을 차면서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사람이 밀어주면서 타면 힘을 들이지 않고 편하게 탈 수 있지만 주위에 사람이 없을 경우도 있고, 혼자서 타는 것은 노약자들에게는 힘들 수 있다.In existing swings, it is common for one person to sit on the swing and have another person push the swing or ride alone by kicking the floor with their feet. If you ride with someone else pushing you, you can ride comfortably without putting in any effort, but there are times when there is no one around, and riding alone can be difficult for the elderly.

그렇기에 이 발명은 혼자서도 힘을 적게 들여서 노약자들도 편하게 탈 수 있는 그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that even the elderly and infirm can ride comfortably by themselves and with little eff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그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that can be moved using a pulle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는 사용자가 앉는 좌대(110); 그네가 매달리는 가로대(120); 지면으로부터 상기 가로대(120)를 지탱하는 지지대(130); 상기 좌대(110)를 상기 가로대(120)에 연결하는 세로대(140); 사용자가 밀수 있는 발판(150); 상기 발판(150)이 고정되고 상기 좌대(110)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전후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상기 발판(150)에 고정되는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140)에 위치하는 세로대 활차(174a, 174b); 상기 지지대(130)에 위치하는 지지대 활차(176); 및 양단이 상기 세로대(140)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 활차(174a, 174b) 및 상기 지지대 활차(17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로프(180)를 포함한다.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eat 110 on which the user sits; A crossbar (120) from which the swing hangs; A support bar 130 supporting the cross bar 120 from the ground; A vertical bar 140 connecting the pedestal 110 to the cross bar 120; A footrest 150 that can be pushed by the user; A slide on which the footrest 150 is fixed a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being slide-coupled with the seat 110; A scaffold pulley (172) fixed to the scaffold (150); Vertical pulleys (174a, 174b) located on the vertical column (140); A support sheave 176 located on the support 130; And a rope 180 that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vertical pole 140 and sequentially connects the scaffold sheave 172, the vertical sheave 174a, 174b, and the support sheave 176.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150)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 및 'ㄷ' 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좌대(110)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210)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홈(222)이 패여진 유도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protrusion 210 protrudes from the footrest 150 to the sid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220 having a 'ㄷ' shape, fixed to the seat 110, and having a groove 222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10 can m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는 발판과 활차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여서 쉽게 그네를 움직일 수 있다.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ootrest and a pulle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wing with little effor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작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b is a side view.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100)는 좌대(110), 가로대(120), 지지대(130), 세로대(140), 발판(150), 슬라이드(160), 발판 활차(172), 세로대 활차(174a, 174b), 지지대 활차(176) 및 로프(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a, the swing 100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110, a crossbar 120, a support 130, a vertical bar 140, a footrest 150, and a slide ( 160), a foot sheave 172, a longitudinal sheave 174a, 174b, a support sheave 176, and a rope 180.

좌대(110)는 사용자가 앉는 곳으로서 상부에 별도의 의자(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al 110 is a place where the user sits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hair 112 at the top.

가로대(120)는 그네가 매달리는 구성으로서, 좌대(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crossbar 120 is a component on which the swing hangs, and is generally extende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pedestal 110.

지지대(130)는 지면에 세로로 세워져서 가로대(120)를 받쳐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bar 130 is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cross bar 120.

세로대(140)는 좌대(110)와 연결되고 축결합 등의 구조로 가로대(120)에 매달려서 앞뒤로 흔들릴 수 있다.The vertical bar 140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110 and can swing back and forth while hanging on the crossbar 120 through a structure such as an axial coupling.

발판(150)은 사용자가 밀 수 있는데, 좌대(110)의 전단에 위치하여 발로 밀거나 사용자의 가슴 정도 높이에 위치시켜서 손으로 밀 수도 있다.The footrest 150 can be pushed by the user. It can be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 110 and pushed with the foot, or it can be positioned at a height similar to the user's chest and pushed with the hand.

슬라이드(160)는 발판(150)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좌대(110)와 슬라이드 결합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발판(150)을 앞으로 밀면 슬라이드가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slide 160 is fix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ootrest 150 and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being slide-combined with the seat 110. When the user pushes the footrest 150 forward, the slide moves forward.

활차는 발판(150)에 고정되는 발판 활차(172), 세로대(140)에 위치하는 세로대 활차(174a, 174b) 및 지지대(130)에 위치하는 지지대 활차(176)로 구성될 수 있고, 발판 활차(172) → 세로대 활차(174a, 174b) → 지지대 활차(176) 순서로 로프(18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그네를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세로대 활차는 하나만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로대 활차를 상부 세로대 활차(174b) 및 하부 세로대 활차(174a)로 두 개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eave may be composed of a scaffold sheave 172 fixed to the scaffold 150, a vertical sheave 174a, 174b located on the stile 140, and a support sheave 176 located on the support 130. The rope 180 is sequentially connected in the following order: (172) → vertical sheave (174a, 174b) → support sheave (176) to move the swing. However, it is possible to operate only one vertical pulley, but as shown in Figure 1a,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wo vertical pulleys as an upper vertical pulley (174b) and a lower vertical pulley (174a).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의 작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1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method of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좌대(110)에 앉아 발판(150)을 밀면 발판과 결합된 발판 활차(172)와 슬라이드(160)도 같이 이동하면서 로프(180)를 당기게 되고, 세로대(140)와 가로대(120)의 축결합으로 인하여 그네가 전체적으로 전면 상부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판(150)에서 발을 떼면 그네는 위치에너지에 의하여 다시 뒤로 움직이고 발판(150)과 슬라이드(160)도 다시 뒤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사용자는 혼자서 그네를 움직일 수 있다.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10 and pushes the footrest 150, the footpeg pulley 172 and slide 160 coupled with the footrest also move and pull the rope 180, and the vertical bar 140 and the crossbar 120 Due to the axial connection, the swing moves overall to the upper front. And when the user takes his or her foot off the footrest 150, the swing moves back again due to potential energy, and the footrest 150 and the slide 160 also move backward again.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move the swing by himself.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b is a side view.

도 2a 및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100)는 좌대(110), 가로대(120), 지지대(130), 세로대(140), 발판(150), 슬라이드(160), 발판 활차(172), 세로대 활차(174a, 174b), 지지대 활차(176), 로프(180), 돌출부(210) 및 유도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돌출부(210) 및 유도부(2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도 1a에서 설명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판(150)은 일부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160)에 결합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swing 100 that moves using a pull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110, a crossbar 120, a support 130, a vertical bar 140, a footrest 150, It includes a slide 160, a foot sheave 172, a stile sheave 174a, 174b, a support sheave 176, a rope 180, a protrusion 210, and a guide portion 220. Here, only the protrusion 210 and the guide portion 220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the remaining components described in FIG. 1A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ootrest 150 is coupled to the slide 160 so that it can rotate partially.

돌출부(210)는 발판(150)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구성이다.The protrusion 210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ootrest 150 to the side.

유도부(220)는 'ㄷ' 자의 넓은 판 형상을 가지면서 좌대(11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홈(222)이 패여져 있어서 돌출부(210)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210)가 홈(222)을 따라 이동하면 홈(222)의 모양에 따라 발판(150)도 움직이는데 이때 사용자의 발목 운동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발판(150)을 움직이면서 특정한 동작의 발목 운동을 하도록 홈(222)의 모양을 제작자가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난 홈(222)의 형상대로 발판이 전후로 움직이면, 돌출부(21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발을 얹는 부분은 일부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발목 운동을 도울 것이다.The guide part 220 has a wide 'ㄷ' shaped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seat 110. The groove 222 is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 210 can move through it. When the protrusion 210 moves along the groove 222, the footrest 150 also mov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222, and at this time, the user's ankle exercises. The manufacturer may arbitrarily form the shape of the groove 222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the ankle in a specific motion while moving the footrest 150. For example, when the footrest moves back and forth in the shape of the groove 222 shown in Figure 2b, the protrusion 210 moves up and down and the part on which the user's foot rests partially rotates to help the user's ankle movement.

Claims (2)

사용자가 앉는 좌대(110);
그네가 매달리는 가로대(120);
지면으로부터 상기 가로대(120)를 지탱하는 지지대(130);
상기 좌대(110)를 상기 가로대(120)에 연결하는 세로대(140);
사용자가 밀수 있는 발판(150);
상기 발판(150)이 고정되고 상기 좌대(110)와 슬라이드 결합하여 전후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상기 발판(150)에 고정되는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140)에 위치하는 세로대 활차(174a, 174b);
상기 지지대(130)에 위치하는 지지대 활차(176); 및
양단이 상기 세로대(140)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 활차(172), 상기 세로대 활차(174a, 174b) 및 상기 지지대 활차(176)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로프(180)를 포함하는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
A seat on which the user sits (110);
A crossbar (120) from which the swing hangs;
A support bar 130 supporting the cross bar 120 from the ground;
A vertical bar 140 connecting the pedestal 110 to the cross bar 120;
A footrest 150 that can be pushed by the user;
A slide on which the footrest 150 is fixed and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slidingly coupled with the seat 110;
A scaffold pulley (172) fixed to the scaffold (150);
Vertical pulleys (174a, 174b) located on the vertical column (140);
A support sheave 176 located on the support 130;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vertical sheave 140, and move using a sheave including a rope 180 sequentially connecting the scaffold sheave 172, the vertical sheave 174a, 174b, and the support sheave 176. S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50)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 및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좌대(110)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210)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홈(222)이 패여진 유도부(220)를 더 포함하는 활차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그네.
According to paragraph 1,
A protrusion 210 protruding from the footrest 150 to the side; and
A swing that moves using a pulley,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220 having a plate shape, fixed to the seat 110, and having a groove 222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10 can move.
KR1020220146448A 2022-11-04 2022-11-04 Swing using pulley KR202400644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48A KR20240064430A (en) 2022-11-04 2022-11-04 Swing using pull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48A KR20240064430A (en) 2022-11-04 2022-11-04 Swing using pull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430A true KR20240064430A (en) 2024-05-13

Family

ID=910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448A KR20240064430A (en) 2022-11-04 2022-11-04 Swing using pull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44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095A (en) Mechanical uplift apparatus
US5419749A (en) Leg and arm exerciser
TW201716113A (en) Stair climber comprising a base, a first ascending seat, a second ascending seat, a pedal unit, and a sensor
US2456017A (en) Polio exercising machine
TWI681799B (en) Climbing trainer
KR101260642B1 (en) Ankle exercise device
KR20180089337A (en) Exercise machine with boating and riding exercise effects
KR102150353B1 (en) Multi-convertible bicycle exercise apparatus
KR20240064430A (en) Swing using pulley
KR101380237B1 (en) 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KR200437422Y1 (en) A stepper with auto twist function
KR100758764B1 (en) A apparatus for walking
KR200322633Y1 (en) Body training apparatus
KR200342369Y1 (en) Leg press training equipment
CN211752249U (en) Old man's body-building equipment
KR20100001873U (en) Walking Machine
KR200489544Y1 (en) Walking and Waist Exercise Equipment
KR101044734B1 (en) an ankle sporting goods for a sporting field
CN214232587U (en) Sliding machine
KR20100006535U (en) 4 health stepper which has four footboards
CN211434926U (en) Walking machine
KR102434911B1 (en) Barbell down exercise apparatus
CN220918033U (en) Rowing training device
CN220877653U (en) Sitting type pedaling force trainer
CN220090369U (en) Body-building bicycle with adjustable st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