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633A -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633A
KR20240063633A KR1020220145465A KR20220145465A KR20240063633A KR 20240063633 A KR20240063633 A KR 20240063633A KR 1020220145465 A KR1020220145465 A KR 1020220145465A KR 20220145465 A KR20220145465 A KR 20220145465A KR 20240063633 A KR20240063633 A KR 2024006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dust cap
inner housing
optical connec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한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633A/ko
Publication of KR2024006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는,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도록 형성된 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더스트 캡(Dust cap)을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OPTICAL CONNECTOR FOREIGN SUBSTANCES INFLOW PREVENTION STRUCTURE AND OPEN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통신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발광 소자와 통신선으로서의 광 섬유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는 다양한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광 커넥터는 박스 형상의 광 커넥터 박스로 형성될 수 있다. 광 커넥터 박스의 이동 및 보관 시 광 커넥터 박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광 커넥터 박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광소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 커넥터 박스 내부로 외부 먼지나 이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는,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도록 형성된 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더스트 캡(Dust cap)을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이너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더스트 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함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제1 돌출 결합부 및 제2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는, 제1 함몰 결합부 및 제2 함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더스트 캡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 결합부 내에서, 제2-1 함몰 결합부에서 상기 제2-2 함몰 결합부로 결합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경사부 측면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 결합부는 니은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니은자 형상의 양끝단부의 형상은 상기 제2 돌출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더스트 캡은 더스트 캡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더스트 캡 본체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서, 상기 더스트 캡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더스트 캡은 이동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 유입 방지 구조의 개방 방법은, 더스트 캡을 하측 방향으로 푸쉬하여 더스트 캡 결합부의 제1 돌출 결합부 및 이너 하우징의 제1 함몰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더스트 캡을 회전 방향으로 푸쉬하는 단계; 및 상기 더스트 캡을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부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 유입 방지 구조의 개방 방법에서, 상기 더스트 캡을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부로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제2 돌출 결합부를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1 함몰 결합부에서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2 함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은,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에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광 커넥터 내부에서 고해상도의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 또는 신호 입출력 장치와 접속하는 광 커넥터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광 커넥터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외부 먼지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은, 광 커넥터 박스의 이동시에는 더스트 캡을 닫아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폐쇄하고, 광 커넥터 박스의 사용시에는 더스트 캡을 열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가 장착된 광 커넥터 박스에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가 장착된 광 커넥터 박스에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광 커넥터 박스의 측면도로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광 커넥터 박스의 측면도로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된 이너 하우징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사시도, 도 6(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대해 더스트 캡의 이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하측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회전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가 장착된 광 커넥터 박스에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가 장착된 광 커넥터 박스에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광 커넥터 박스의 측면도로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광 커넥터 박스의 측면도로서,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된 이너 하우징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사시도, 도 6(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이 이너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는,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이너 하우징(200), 이너 하우징(200)을 감싸도록 형성된 아웃터 하우징(100) 및 이너 하우징(200)과 결합되고,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더스트 캡(300)을 포함한다. 이때, 더스트 캡(300)은 개방부(O)를 개폐한다.
광 커넥터 박스(1)의 이너 하우징(200)에는 개방부(O)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는 이너 하우징(20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O)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 또는 신호 입출력 장치와 접속되는 접속구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구를 통해 외부 먼지나 이물질이 광 커넥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광 커넥터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통해 광소자가 손상되어 광 커넥터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캡(300)을 통해 개방부(O)를 커버하도록 하여, 외부 먼지나 이물이 광 커넥터(1)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캡(300)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광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접속부의 연결을 위해 더스트 캡(300)을 움직여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광 커넥터를 이동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더스트 캡(300)을 움직여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스트 캡(300)이 움직임 가능하게 형성되고, 더스트 캡(300)을 움직여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사용 상태에 따라 개폐할 수 있어 광 커넥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 하우징(200)은 제1,2 이너 하우징(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하우징(210)은 광 커넥터의 하측부를 수용하고, 제2 이너 하우징(220)은 광 커넥터의 상측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이너 하우징(210)과 제2 이너 하우징(220)은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아웃터 하우징(100)은 제1,2 아웃터 하우징(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웃터 하우징(110)은 제1 이너 하우징(2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이너 하우징(210)을 수용하고, 제2 아웃터 하우징(120)은 제2 이너 하우징(2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 이너 하우징(22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2 아웃터 하우징(110, 120)은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개방부(O)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O)에는 외부 부품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구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접속구를 통해 먼지 및 이물이 유입될 수 있어, 더스트 캡(300)을 통해 개방부(O)를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200)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캡(300)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는,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함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두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후술할 더스트 캡 본체(33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는 두 더스트 캡 결합부가 결합되는 이너 하우징의 양쪽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스트 캡(300)은, 더스트 캡 본체(330)를 포함한다.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더스트 캡 본체(330)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더스트 캡 본체(330)는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커버할 수 있다.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더스트 캡 본체(330)와 결합된 부분, 더스트 캡 본체(330)와 결합된 부분과 수직인 부분, 경사면으로 형성된 부분이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가장자리를 구성할 수 있다.
더스트 캡(300)은 프레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340)는 더스트 캡 본체(330)와 개방부(O)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들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개방부(O)의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들이 더스트 캡으로부터의 물리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제1 돌출 결합부(311, 321) 및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는, 제1 함몰 결합부(231) 및 제2 함몰 결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 결합부(311, 321)는 제1 함몰 결합부(231)와 결합하고,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는 제2 함몰 결합부(232)와 결합할 수 있다.
더스트 캡(300)이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개방할 때, 제1 돌출 결합부(311, 321)는 제1 함몰 결합부(231)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는 제2 함몰 결합부(232) 내에서, 제2-1 함몰 결합부(232a)에서 제2-2 함몰 결합부(232b)로 결합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결합 위치가 이동됨과 동시에 더스트 캡(300)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더스트 캡(300)의 개방부(O)를 향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스트 캡(300)은 돌출부(300a)를 포함하고, 돌출부(300a)에 외력이 작용하면 더스트 캡(300)은 이동되며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더스트 캡 돌출부(300a)는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경사부 측면 가장자리의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결합부(311, 321)는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측면 경사부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더스트 캡(300)의 돌출부(300a)에 외력이 작용하면 제1 돌출 결합부(311, 321)와 제1 함몰 결합부(231) 간의 결합 해제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함몰 결합부(232)는 니은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니은자 형상의 양끝단부의 형상은 제2 돌출 결합부(312, 3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몰 결합부(232)의 니은자 형상 내부에서,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는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스트 캡(300)의 개폐 동작시,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는 제2 함몰 결합부(232)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더스트 캡(300)의 개폐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제2-1 함몰 결합부(232a)에 제2 돌출 결합부(312, 322)가 위치할 경우, 더스트 캡(300)은 개방부(O)를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2 함몰 결합부(232b)에 제2 돌출 결합부(312, 322)가 위치할 경우, 더스트 캡(300)은 개방부(O)를 개방한 위치일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의 개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대해 더스트 캡의 이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하측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회전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캡을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 유입 방지 구조의 개방 방법은, 더스트 캡(300)을 하측 방향으로 푸쉬하여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제1 돌출 결합부(311, 321) 및 이너 하우징(200)의 제1 함몰 결합부(231)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도 9 참조), 더스트 캡(300)을 회전 방향으로 푸쉬하는 단계(도 10 참조) 및 더스트 캡(300)을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안쪽부(230a)로 삽입하는 단계(도 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더스트 캡(300)을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안쪽부(230a)로 삽입하는 단계(도 11 참조)는,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의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를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제2-1 함몰 결합부(232a)에서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2 함몰 결합부(232b)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결합부(312, 322)가 제2-2 함몰 결합부(232b)로 이동될 경우, 더스트 캡 결합부(310, 320)는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함몰 부분에 대부분 삽입됨과 동시에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스트 캡(300)의 돌출부(300a)에 대한 푸쉬 만으로, 더스트 캡(300)이 제2 돌출 결합부(312, 322)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너 하우징 결합부(230)의 함몰 부분으로 삽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더스트 캡(300)을 이너 하우징으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O)를 폐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다시 더스트 캡(300)의 돌출부(300a)를 반대 방향으로 푸쉬할 경우 더스트 캡(300)의 제2 돌출 결합부(312, 322)가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1 함몰 결합부(232a)로 돌아가고, 제1 돌출 결합부(311, 312)가 제1 함몰 결합부(231)에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손쉽게 더스트 캡(300)이 이너 하우징(200)의 개방부(O)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110, 120): 아웃터 하우징
200(210, 220): 이너 하우징
230: 이너 하우징 결합부
230a: 안쪽부
231: 제1 함몰 결합부
232: 제2 함몰 결합부
232a: 제2-1 함몰 결합부
232b: 제2-2 함몰 결합부
300(310, 320): 더스트 캡(Dust cap)
300a: 돌출부
310, 320: 더스트 캡 결합부
311, 321: 제1 돌출 결합부
312, 322: 제2 돌출 결합부
330: 더스트 캡 본체
340: 프레임부
O: 개방부

Claims (11)

  1. 양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을 감싸도록 형성된 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더스트 캡(Dust cap)을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이너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은 그 양측면부에 형성된 더스트 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함몰 부분에 결합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제1 돌출 결합부 및 제2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는, 제1 함몰 결합부 및 제2 함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 결합부와 결합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이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방할 때,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1 함몰 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상기 제2 함몰 결합부 내에서, 제2-1 함몰 결합부에서 제2-2 함몰 결합부로 결합 위치가 이동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경사부 측면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결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 결합부는 니은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니은자 형상의 양끝단부의 형상은 상기 제2 돌출 결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은 더스트 캡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는, 상기 더스트 캡 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더스트 캡 본체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더스트 캡은 이동되며 상기 이너 하우징의 개방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10. 더스트 캡을 하측 방향으로 푸쉬하여 더스트 캡 결합부의 제1 돌출 결합부 및 이너 하우징의 제1 함몰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더스트 캡을 회전 방향으로 푸쉬하는 단계; 및
    상기 더스트 캡을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부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물 유입 방지 구조 개방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을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안쪽부로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더스트 캡 결합부의 제2 돌출 결합부를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1 함몰 결합부에서 상기 이너 하우징 결합부의 제2-2 함몰 결합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물 유입 방지 구조 개방 방법.
KR1020220145465A 2022-11-03 2022-11-03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KR20240063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465A KR20240063633A (ko) 2022-11-03 2022-11-03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465A KR20240063633A (ko) 2022-11-03 2022-11-03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633A true KR20240063633A (ko) 2024-05-10

Family

ID=9107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465A KR20240063633A (ko) 2022-11-03 2022-11-03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6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886B1 (en) Receptacle with shutter for optical connector
JP4028354B2 (ja)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US6108482A (en)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US6932629B2 (en) Device with USB terminal
US8690459B2 (en) Protection cap for optical fiber adapter
EP0613030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0418841B1 (ko) 보호 셔터를 포함한 광섬유 리셉터클
JP3803859B2 (ja) 光コネクタのリセプタクル
US6764222B1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KR860000611B1 (ko) 테이프 카세트
US6302592B1 (en) Connector for optical waveguides
US7556523B2 (en) Wall outlet
US7704085B1 (en) Cover module of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84563B2 (ja) 電子機器の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
US20180123281A1 (en) Protective cap for an attachment housing
JP2015153865A (ja) 止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11031732B2 (en) Lever-type connector
KR20240063633A (ko) 광 커넥터 이물 유입 방지 구조 및 그 개방 방법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KR101051862B1 (ko) 광 리셉터클
US5724654A (en) Housing for pager receiver having battery cover locking piece which exposes terminal for external access
JPH04181666A (ja) コネクタ
CN201173980Y (zh) 光纤接续盒
JP3501712B2 (ja) 光伝送装置
KR20160003008A (ko) 리셉터클 보호 커버 및 전자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