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402A -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402A
KR20240063402A KR1020220144990A KR20220144990A KR20240063402A KR 20240063402 A KR20240063402 A KR 20240063402A KR 1020220144990 A KR1020220144990 A KR 1020220144990A KR 20220144990 A KR20220144990 A KR 20220144990A KR 20240063402 A KR20240063402 A KR 2024006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s
pressure
load
equ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스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스마트
Priority to KR102022014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402A/ko
Publication of KR2024006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 구비된 공압기의 개별 부하 및 이 개별 부하에 따른 통합 부하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 대수를 조정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number of air compressors}
본 발명은 공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 구비된 공압기의 개별 부하 및 이 개별 부하에 따른 통합 부하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 대수를 조정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s)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높은 공압으로 저장하였다가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각 공압 공구에 공급해주는 설비이다. 이러한 공기압축기는 각종 산업현장에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압축기를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복수의 공기압축기를 자동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정 방법으로서, 압축 공기탱크에 설치한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한 압력의 압력저하에 따라 각 공기압축기가 순차적으로 기동하도록 하고,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이와 같은 공기압축기의 대수 조정은 자동 정지압력(상한압력)과 재기동압력(하한압력)을 8.0 bar ∼ 6.5 bar 범위에서 압축기별로 0.2 bar 간격으로 차등 설정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가동을 순차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대수 조정 방식을 이용할 경우, 압력이 높게 설정된 공기압축기는 압축비가 높기 때문에, 발생압력에 비례하는 동력 사용으로, 전력소비가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압축기의 대수 조정 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Circle 대수 조정 방식, 공기유량 제어형 스텝 대수 조정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대수 조정 방식이 제안되었다. Circle 대수 조정 방식은 비슷한 용량의 공기압축기 군을 조정하는데 적합한 방식으로, 운전시간이 긴 것부터 정지시키고, 정지시간이 긴 것부터 가동하면, 각 압축기 운전시간의 균일화를 얻을 수 있다. Circle 대수 조정 방식으로서, 용량조정기와 전부하 고정운전방식을 이용하는 조정방법은 부하변동 대응에 선발기만이 용량조정을 수행하고, 나머지 후발기는 전부하(100%)로 운전하기 때문에 효율이 비교적 좋으나, 용량조정기와 무부하 고정운전과 전부하 고정운전방식을 이용하는 조정방법은, 급격한 소비 공기량이 필요한 곳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무부하 고정기를 기동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공기유량 제어형 스텝 대수 조정 방식은 각 압축기의 토출 공기량을 연산하여 변동하는 총 소비 공기량을 기초로 Step 조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이 방법은 압축기의 조합에 의한 공기공급 가능량 패턴을 단계(Step)화하여 소비 공기량에 따라 최적의 대수 제어를 수행하는 조정방식이다. 압축공기량 연산은 각 압축기에 흡입유량 센서를 설치하여 컨트롤러에서 총 소비 공기량을 연산하는 방식으로, 공기량 연산이 유량계 측정치보다 정확성이 많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고, 각 압축기의 성능을 알 수 없으므로 압축공기 유량계를 설치, 정확한 유량 측정과 성능을 관리할 필요가 요구된다.
도 8의 용량제어형 Step 대수 조정 방법은 운전하는 압축기의 조합에 의한 공기공급 가능량 패턴을 미리 Step 화하여 소비 공기량에 따라 Step을 자동 선택하는 방식이다. 스크류 공기압축기에서는 흡입 압력센서 신호와 Unload 신호를 사용하여 각 압축기의 공기량을 연산하다 보니 정확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으며, 정지 대수가 많아지는 저부하 운전이 될수록 성 전력의 효과가 증대된다.
대수 제어 방식과 성 전력 성능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기 대수 제어 운전방식은, 대수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복수의 압축기를 단독 운전하는 경우, 서클 대수 제어로 운전하는 경우, 인버터 회전속도 제어압축기와 서클 대수 제어로 운전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소비전력 특성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에너지 공단에서 제공한 EG-TIPS와 홍릉과학출판사의 성 에너지형 공기압축기 시스템의 대수 제어 방식에 따른 소비전력 저감특성을 보면, 대수 제어의 서클 제어 + 인버터 회전속도 제어기가 이상적인 소비전력 특성에 가깝게 되고, 대수제어반이 없는 단독운전이 현저한 전력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래에는 ICT 및 전자사업의 발전에 따라 인버터의 보급이 확산되어 공기압축기 용량제어 방식의 일종인 정압ㆍ인버터 회전속도제어 공기압축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정압용량 제어방식의 인버터 회전수 제어 공기압축기는 부분 부하 시 성 전력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토출압이 정압으로 회전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퍼지 방식이나, Load/Unload 방식에 비하여 압력변동 폭만큼 전부하시의 토출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전부하시의 소비전력이 저감되는 특성이 있지만, 다른 기기는 압력차 순차 제어를 할 수밖에 없어 최저압력 설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은 한국 에너지 공단에서 제공한 EG-TIPS의 공기압축기 대수 제어 에너지절감 기술자료를 보면, 공기압축기 단독운전 시 소비전력은 상단으로 저부하 시 소비전력이 크며, 대수 제어 시 소비전력은 중앙부분으로 단독운전에 비하여 동력절감이 많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값의 차가 전력절감 효과임을 나타내고 있어 대수 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R 10-2020-0114221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공압기 형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공압기의 대수 조정을 통하여 소비전력 절감을 도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 방법으로서,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의 설정 압력은 하한값인 것이다.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복수의 공압기 중 마지막 우선순위의 공압기 1대가 정지시 예측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정 압력은 상한값인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 결과가 설정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결과가 설정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청구항 9에 기재된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 서로 다른 형식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공압기; 및 상기 복수의 공압기에 따른 개별 부하를 측정하는 개별 부하 측정계를 포함하는 공압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 구비된 압축기의 대수가 조정됨으로 압축 공기의 사용 부하에 신속하게 추종시켜 압축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산업 현장의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를 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의 통신연계에 따른 개별부하 산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운전 로직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운전 로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반적인 유량신호 스텝 방식을 이용한 공압기의 대수 조정하는 개념도.
도 9은 대수 조정 방식에 따른 소비전력 저감 특성 그래프.
도 10은 복수의 공압기를 단독 조정할 경우와 대수 조정할 경우의 소비전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를 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의 통신연계에 따른 개별부하 산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압기는 스크류 고정형과 스크류 가변형 그리고 터보형으로 구분한다. 이때 스크류 고정형은 통신 불가형과 통신 가능형으로 분류된다. 스크류 고정형은 부하(Load)/무부하(Unload) 판별을 해야 하는데 통신 가능형의 스크류 고정형은 부하(Load)/무부하(Unload) 상태를 통신으로 받아서 판별하며 통신 1초 단위로 측정한다. 그리고 통신 불가형의 스크류 고정형은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류를 1초 단위로 측정하여 부하(Load)/무부하(Unload) 상태를 판단한다. 이렇게 부하(Load)/무부하(Unload) 상태를 판단한 후 개별 부하를 산출하게 되는데 통신 불가형 및 통신 가능형인 스크류 고정형은 개별 부하를 1분 단위로 산출하며, 이때 개별 부하 = 부하회수 / 전체 회수 이다. 그리고 스크류 가변형의 개별 부하는 인버터 부하율이 되며, 터보형의 개별 부하율은 유량 밸브 개도율이 개별 부하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먼저 조건 기반 시간 산출로 부하(Load)에서 무부하(Unload) 또는 무부하(Unload)에서 부하(Load)의 이벤트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T(PL)은 업 펄스에서 다음 업 펄스 시간을 의미하며, T(LD)는 T(PL) 시간에서 부하(Load) 신호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시 개별 부하율은 다음의 [식 1]과 같다.
[식 1]
이후 시간 기반 산출이 이루어지는데 부하(Load)/무부하(Unload) 상태 변화가 1분간 없는 경우 현재 상태 부하율을 표시하며, 1분 이상 유지시 부하(Load)이면, 순시 개별 부하율은 100%이며, 무부하(Unload)이면 순시 개별 부하율은 0%가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공압기 형식에 따른 개별 부하가 데이터베이스에 종합되어 저장된다(S10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를 이용하여 공압기의 대수 조정(S200)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다음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부(120),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130), 다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40), 이들 장치 사이의 내부 통신 통로인 버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으로서는 장치 드라이버,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산출 어플리케이션(230)과 대수 조정 어플리케이션(220)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제공부를 포함한다.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100)는 공압기 형식에 따른 다양한 공압기로부터 개별 부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20)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200)에 존재하거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20)에는 공압계의 형식에 따른 장비 공칭 용량 및 장비들의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있다.
산출 어플리케이션(230)은 기 저장된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고, 마지막 우선 순위가 1대 정지시 예측 부하율을 산출하며, 대수 조정 어플리케이션(220)은 통합 부하율 및 예측 부하율을 이용하여 공압기의 대수를 조정하게 된다. 물론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10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 등에서 이를 받아 산출 어플리케이션(230) 및 대수 조정 어플리케이션(220)으로 적절히 전달해 줄 수 있다.
도 4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운전 로직중 다음번 순위 장비 1대 기동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고(S210), 마지막 우선 순위 1대 정지시 예측 부하율을 산출한다(S220). 통합 부하율은 복수의 공압기가 단일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합 부하율로 산출하게 되고, 배관 통합이 아닌 경우 별도로 적용한다. 다음의 [식 2]는 통합 부하율 산출 표준식이다.
[식 2]
여기서, 는 개별 공압기 부하율, 는 개별 장비 용량, 는 운전이면 1이고 정지면 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다음의 [식 3]은 예측 부하율 산출 표준식이다.
[식 3]
여기서, 는 개별 공압기 예측 부하율(0% 또는 100%)이며, 는 우선 순위에 의한 설정(0 또는 1)이다.
이후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한다(S230). 이때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설정 압력인 하한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설정 압력인 하한 설정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한다(S231).
그리고 단계 S231에서 비교한 결과,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여,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한다(S232).
그리고, 적산 시간을 설정시간과 비교한다(S233). 이때는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기 위함으로, 판단결과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게 된다(S23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는 도 6에 따른 공압기의 대수 조정 운전 로직 중 다음번 순위 장비 1대 정지 로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고(S210), 마지막 우선 순위 1대 정지시 예측 부하율을 산출한다(S220). 통합 부하율은 복수의 공압기가 단일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합 부하율로 산출하게 되고, 배관 통합이 아닌 경우 별도로 적용한다.
이후,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한다(S240). 이때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설정 압력인 상한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설정 압력인 상한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한다(S241).
그리고 단계 S241에서 비교한 결과,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여,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예측 부하율을 현재 부하율과 비교한다(S242).
그리고 단계 S242에서 비교한 결과,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여,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으면, 경과 시간을 적산한다(S243).
그리고, 적산 시간을 설정시간과 비교한다(S244). 이때는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기 위함으로, 판단결과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정지하게 된다(S24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저장부
130: 메모리
140: 통신부
220: 대수 조정 어플리케이션
230: 산출 어플리케이션

Claims (11)

  1.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 방법으로서,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설정 압력은 하한값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복수의 공압기 중 마지막 우선순위의 공압기 1대가 정지시 예측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정 압력은 상한값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예측 부하율이 현재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 결과가 설정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결과가 설정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정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9.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
  10.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한 대수 조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하여
    (a) 기 저장된 복수의 공압기의 개별 부하율을 이용하여 통합 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을 설정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압력이 상기 설정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을 설정 부하율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복수의 공압기의 통합 부하율이 상기 설정 부하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경과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경과 시간을 설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적산 시간이 설정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적산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보다 큰 경우, 다음번 순위 장비 1대를 기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 조정 프로그램.
  11. 청구항 9에 기재된 공압기의 대수 조정 장치;
    서로 다른 형식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공압기; 및
    상기 복수의 공압기에 따른 개별 부하를 측정하는 개별 부하 측정계를
    포함하는 공압기의 대수를 조정하는 공압 시스템.
KR1020220144990A 2022-11-03 2022-11-03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240063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90A KR20240063402A (ko) 2022-11-03 2022-11-03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90A KR20240063402A (ko) 2022-11-03 2022-11-03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402A true KR20240063402A (ko) 2024-05-10

Family

ID=9107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990A KR20240063402A (ko) 2022-11-03 2022-11-03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4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221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아텍에너지 공기압축기의 성능분석과 대수 제어를 위한 유량연산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221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아텍에너지 공기압축기의 성능분석과 대수 제어를 위한 유량연산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4801B2 (en) Load management algorithm for optimizing engine efficiency
US6394120B1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ressors
US8401760B2 (en) Gas turbine engine oil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652240B2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throttled inlet rotary screw compressors
US7536577B2 (en) Calibration technique for power measurement and management over multiple time frames
CN107544304B (zh) 压裂车控制方法及装置
KR102174479B1 (ko) 공기압축기의 성능분석과 대수 제어를 위한 유량연산제어장치 및 방법
JPH0512730B2 (ko)
JP2001152875A (ja) 測定誤差を補償する方法とシステム
CN114645841B (zh) 压缩空气系统的供需匹配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2012067626A (ja) コンプレッサ運転制御システム
CN104457069A (zh) 制冷系统的能量调节方法
WO2021012510A1 (zh) Cpu使用率自适应调整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285043B (zh) 一种空压机组的配载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7102790A (ja) 情報処理装置、演算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240063402A (ko) 공압기의 대수 조정 방법 및 장치
CN102052734A (zh) 一种空调机组能量控制装置及方法
CN113091234A (zh) 一种制冷主机开关机选择方法及系统
CN116591265B (zh) 一种无负压二次供水设备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08917090B (zh) 一种空调机组性能测试方法
WO2021012511A1 (zh) 基于pid控制器调整cpu使用率的方法、装置、终端及介质
EP4144564A2 (en) In-vehicle battery management device
CN104343492A (zh) 飞机及其发动机滑油监控方法及系统
CN113932376B (zh) 温度调节机组控制方法、装置及温度调节机组设备
CN108228414B (zh) 基于Linux的处理器进程参数监测方法和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