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842A -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842A
KR20240062842A KR1020220144825A KR20220144825A KR20240062842A KR 20240062842 A KR20240062842 A KR 20240062842A KR 1020220144825 A KR1020220144825 A KR 1020220144825A KR 20220144825 A KR20220144825 A KR 20220144825A KR 20240062842 A KR20240062842 A KR 2024006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otor
disk
dam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민
최지훈
김승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842A/ko
Priority to PCT/KR2023/014661 priority patent/WO2024096322A1/ko
Publication of KR2024006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세탁기가 포함하는 댐퍼는, 실린더, 적어도 일 부분이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피스톤과 접촉하는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 부재,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 및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탄성 부재로 전달 가능한 전달 장치로서, 회전에 의하여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한 디스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DAMPER AND WASHING MACHN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발명이다.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드럼을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시키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되는 터브, 터브의 내측에서 터브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이 회전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드럼 외부에 위치한 터브를 거쳐 터브를 내측에 수용하는 캐비닛을 통해 세탁기 외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세탁기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터브와 캐비닛 사이에는 세탁기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댐퍼가 항상 기능하는 경우, 탈수 시 큰 소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댐퍼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드럼을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시키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되는 터브, 터브의 내측에서 터브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드럼이 회전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드럼 외부에 위치한 터브를 거쳐 터브를 내측에 수용하는 캐비닛을 통해 세탁기 외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세탁기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터브와 캐비닛 사이에는 세탁기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댐퍼가 항상 기능하는 경우, 탈수 시 큰 소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댐퍼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안에 위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실린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탄성 부재로 전달 가능한 전달 장치로서,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한 디스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스톤이 반경 방향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경을 따라 상기 피스톤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탄성 부재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바디,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의 일 단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의 타 단에 상기 제1 레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가 관통되는 가이드 슬릿이 정의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의하여 가이드 됨으로써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가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 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디스크가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축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회전 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기어에서 전달되는 힘보다 큰 힘으로 상기 탄성 부재를 움직이도록 상기 기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소정 범위의 회전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소정 범위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기어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열되는 디스크 치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가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크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 위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터를 커버하며 구성되는 댐퍼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일 단이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 측에 위치되는 타 단이 상기 디스크에 결합되도록 위치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서브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 및 상기 서브 디스크를 연결하는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와 치합되는 웜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싱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안에 위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일 단이 상기 캐비닛 및 상기 터브 중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캐비닛 및 상기 터브 중 상기 실린더가 결합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 가능한 마찰 부재, 상기 실린더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내경이 줄어듦 가능한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에 동력을 전달 가능한 전달 장치, 상기 드럼의 회전 수가 변화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로서,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토션 스프링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이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경을 따라 상기 피스톤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단이 삽입되는 디스크로서, 회전에 의하여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기 양 단이 멀어짐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실린더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와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댐퍼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 가능한 마찰 부재, 상기 실린더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경이 줄어듦으로써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게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기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위 과제의 해결 원리에 기초한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드럼의 과도 구간에서 피스톤과 실린더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의 정상 구간에서 피스톤과 실린더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허락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과도 구간과 정상 구간에서 댐핑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가압 부재가 토션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생산 비용으로 세탁기의 진동과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가 포함하는 댐퍼는 가압 부재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모터를 포함함으로써, 모터와 가압 부재를 연결하는 전달 장치의 이동 반경을 최소화하여 댐퍼가 댐핑 여부를 전환하는 경우, 세탁기의 캐비닛과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가 포함하는 댐퍼는 댐핑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와 기어와 치합되고 가압 부재를 가압 가능한 디스크를 포함함으로써, 댐퍼의 움직이는 반경을 최소화하여 터브 하측에 마련되는 공간 상의 다른 구성과 댐퍼가 접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 중 댐퍼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댐퍼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댐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댐퍼의 가압 부재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댐퍼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드럼의 회전 각속도와 댐퍼의 작동 여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의 전달 부재와 관련된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달 부재에 의하여 댐퍼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댐퍼의 실린더 내에 위치되는 가압 부재의 변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압 부재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압 부재가 피스톤을 가압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모터를 컨트롤하는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전달 부재 및 모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댐퍼의 전달 부재와 인접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댐퍼의 전달 부재와 인접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세탁 공간이 개방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을 정의하도록 한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A)의 실린더(100)가 피스톤(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방향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측, 좌우측, 전후방을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설명한다.
세탁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드럼(4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1)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21)는 케이스(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20)는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투입구(2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의 일측에는 힌지(23)가 결합되고, 힌지(23)는 도어(20)와 결합한 다른 측에서 케이스(10)와 결합하여,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0)에 결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래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래치(22)에 대응되어 마련되는 래치 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수용부(12) 에 래치(22)가 수용되어 래치(22)가 고정됨으로써, 도어(20)가 닫혀 세탁기(1)가 구동 중 일 때, 도어(20)가 락킹되어 열리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방 상부에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동작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13)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방 상부에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세탁시 필요한 세제를 넣을 수 있도록 세제함(1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1)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를 더 설명한다.
세탁기(1)는 케이스(10) 내측에 마련되는 터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30)의 내측에는 드럼(40)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40)은 후방에서 구동 모터(50)와 결합되고, 구동 모터(50)는 터브(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터브(30)와 드럼(40)은 결합될 수 있다.
드럼(40)은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실(41)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터(50)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드럼(40)은 회전하고 터브(3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세탁실(41) 내측에 위치한 세탁물은 상방으로 올려지고 낙하에 의하여 세척이 될 수 있다. 드럼(40)의 내주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드럼(4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리프터(42)가 세탁물을 상방으로 올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수는 급수 밸브(60)가 열리면, 급수관(61)을 통하여 세제함(14)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세제함(14)으로 이동한 세탁수는 연결관(62)을 통하여 터브(3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드럼(40)에는 통공(63)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터브(30)로 이동한 세탁수는 드럼(4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드럼(40)으로 이동한 물은 터브(30)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터브(30)로 이동한 세탁수는 연결 호스(64)를 통하여 배수 펌프(65)로 이동할 수 있다. 배수 펌프(65)로 이동한 세탁수는 배수 펌프(65)가 가하여 준 압력에 의하여 배수 호스(66)를 통해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30)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터브 스프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 스프링(70)은 터브(30)의 상측과 케이스(1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30)와 케이스(10)를 연결하는 댐퍼(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터브(30)의 하측과 케이스(10)의 내측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터브 스프링(70)과 댐퍼(A)에 의하여 터브(30)는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드럼(40)은 터브(30) 내측에서 구동 모터(5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드럼(40)이 회전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진동과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소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드럼(40)에서 터브(30)로 전달된 진동과 소음은 케이스(10)로 전달될 때, 터브 스프링(70)과 댐퍼(A)를 거칠 수 있다. 이 때, 터브 스프링(70)은 탄성 기능과 댐핑 기능을 할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10)로 전달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터브(30)의 전면에는 무게를 가지는 발란서(80)가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 모터(50)는 세탁기(1)의 후방에 마련된다. 구동 모터(50)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드럼(40)은 후방으로 무게 중심이 쏠려 위치할 수 있다. 무게 중심이 쏠려 있으면, 드럼(40)의 회전 축과 무게 중심이 어긋나 있어 드럼(40)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터브(30)의 전방에 이에 대응하는 발란서(80)를 추가할 수 있다.
터브(30)와 케이스(10)는 하단에 위치한 댐퍼(A)에 의하여도 연결된다. 댐퍼(A)는 댐핑 기능을 하여 드럼(40)으로부터 터브(30)를 거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댐퍼(A)는 드럼(40)에서 발생한 진동 에너지를 소실하는 역할을 하여 진동과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A)에 대하여는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1) 중 댐퍼(A)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를 설명한다.
댐퍼(A)는 터브(30)와 캐비닛(10)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A)는 터브(30)와 케이스(10) 하면 사이에 마련 될 수 있다.
댐퍼(A)는 좌우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 하면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고 하면,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댐퍼(A)는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댐퍼(A)의 개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개가 위치한다고 예시할 뿐, 단일한 댐퍼(A)가 마련되는 실시예도 상정할 수 있으며, 댐퍼(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댐퍼(A)는 실린더(200)와 실린더(200)에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피스톤(3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30) 내측에 수용되는 드럼(40)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은 터브(30)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이라는 것은 결국 어느 대상의 변위가 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터브(30)에서 진동이 발생한다는 것은 터브(30)의 변위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터브(30)는 케이스(10)에 댐퍼(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댐퍼(A)는 실린더(200)와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30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터브(30) 변위의 변화는 곧 실린더(200)와 피스톤(300)의 상대위치의 변화를 야기한다는 의미 일 수 있다.
이 때, 실린더(200)와 피스톤(300) 사이에 마찰 부재(400)와 같이, 실린더(200)와 피스톤(300)의 상대 운동으로 인하여 에너지를 소실시키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면, 이 구성에 의하여 터브(30)로 전달된 진동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진동 에너지를 저감 시킨다는 것을 댐핑이라는 용어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참고적으로, 에너지를 소실시키는 구성이 무엇인지에 따라, 댐퍼(A)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에너지를 소실시키는 구성은 MR유체일 수도 있고, 마찰 부재(400)일 수도 있고 기타 에너지를 소실시키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찰 부재(400)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본 개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댐퍼(A)는 케이스(10) 과 결합되는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320)과 터브(30)와 결합되는 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00)와 피스톤(300)은 어느 하나가 반드시 터브(3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반드시 케이스(1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린더(200)가 터브(30)에 결합될 수 있고, 피스톤(300)이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린더(200)가 터브(3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보고, 피스톤(300)이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다.
위와 같이 본다면, 제1 고정부(320)는 실린더(200)가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부(110)는 피스톤(300)이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제1 고정부(210)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살리기 위하여 피스톤(300)이 위치하지 않은 측 실린더(2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가 실린더(200)의 단부에 마련되지 않는다면, 제1 고정부(210)보다 연장된 부분이 터브(30)와 케이스(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터브(30)와 케이스(1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고정부(110)는 위와 같은 이유로 실린더(200)의 피스톤(300)이 위치하지 않은 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는 케이스(10) 하면에 마련되는 댐퍼 고정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 고정부(11)는 홀이 뚫린 두개의 돌출된 형상과 그 사이를 지나는 막대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는 제1 고정 홀(도 4, 3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210)에 마련된 제1 고정 홀(321)과 댐퍼 고정부(11)의 돌출된 형상에 마련된 홀을 일치시키고, 그 사이를 댐퍼 고정부(11)의 막대기 형상을 지나가게 하여 제1 고정부(210)를 댐퍼 고정부(11)에 결합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하여 댐퍼 고정부(11)의 막대기 형상 부분을 회전 축으로 댐퍼(A)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2 고정부(110)는 터브(30)에 마련되는 댐퍼 결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결합부(31)는 이상에서 설명한 댐퍼 고정부(11)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댐퍼(A)는 댐퍼 고정부(11)의 막대기 형상을 회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댐퍼(A)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댐퍼(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댐퍼(A)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댐퍼(A)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세탁기(1)는 댐퍼(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실린더(100)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 어셈블리는 후술하는 피스톤(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실린더(100) 어셈블리는 피스톤(200)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린더(100) 어셈블리는 실린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피스톤(200)이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실린더(100)의 내측에 피스톤(200)이 삽입될 수 있다. 피스톤(200)이 실린더(100)와 상대적으로 운동하면서, 드럼(40)(도 2)에서 발생한 진동을 캐비닛(10)에 전달할 수 있다.
실린더(100)와 피스톤(200)은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터브(30)(도 2)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일 단에서 터브(30)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상하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바디(120)는 실린더(100)의 외관을 정의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실린더 바디(120)는 중공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100)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실린더(100)는 사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실린더(100)는 모터 장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모터(30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실린더(100)의 외경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300)는 모터 장착부(121)에 삽입되고, 체결 부재에 의하여 모터 장착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댐퍼(A)는 피스톤(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삽입되어 드럼(40)에서 발생한 진동을 캐비닛(10)에 전달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적어도 일 부분이 실린더(10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상하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200)은 내측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피스톤(200)은 인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바디(220)는 피스톤(200)의 외관을 정의하는 구성일 수 있다.
댐퍼(A)는 모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0)는 동력을 발생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모터(300)는 스테이터(미도시)와 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는 스테이터가 포함하는 코일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로터가 회전할 수 있다.
모터(300)는 회전 가능한 모터 샤프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310)는 로터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모터 샤프트(310)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모터(300)의 코일은 전류가 흘러야 자기장을 형성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모터 샤프트(310)가 회전하다. 따라서, 모터(300)는 작동하기 위하여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력을 소모하여 동력을 생산할 수 있다.
모터(300)는 실린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300)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500)와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터(300)와 탄성 부재(500) 사이에 위치되는 후술하는 전달 장치(400)의 이동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모터(300)의 결합 위치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
모터(300)는 서보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 모터(320)는 모터(300)의 제어 방식이 각도를 제어하는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모터(300)일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모터(300)를 통하여 탄성 부재(50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은 모터 샤프트(310)의 속도가 아니라 모터 샤프트(310)의 회전 각도가 중요하다. 모터(300)는 계속하여 회전되는 것이 아닌 이상, 적절한 제어를 위하여 서보 모터(320)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크(410)는 탄성 부재(50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소정 범위의 회전 각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모터(300)는 디스크(410)의 소정 범위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서보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 모터(320)의 샤프트는 회전 각도가 360도 미만일 수 있다. 서보 모터(320)의 샤프트는 회전 각도가 180도일 수 있다. 서보 모터(320)는 샤프트가 완벽히 회전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이상, 360도 전체를 회전할 필요가 없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보 모터(320)의 샤프트가 180도 이하의 회전 반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서보 모터(320)의 사용이 적용되기 가능할 수 있다.
서보 모터(320)는 샤프트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 모터(32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댐퍼(A)는 전달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모터(300)의 동력을 전달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모터(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후술하는 탄성 부재(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모터(300)와 접촉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탄성 부재(500)와 접촉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기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420)는 모터(300)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성일 수 있다.
기어(420)는 모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420)는 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와 결합될 수 있다. 기어(420)는 모터 샤프트(31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420)는 모터(300)가 동력을 생산함에 따라 모터 샤프트(310)가 회전하는 동안, 모터 샤프트(31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기어(420)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기어(420)와 치합되고 탄성 부재(500)의 양 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모터(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42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디스크(410)가 회전됨에 의하여 (피스톤(200)를 가압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기어(420)는 기어 치차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치차는 상대물과 치합되기 위하여 기어(420)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어(420)는 스퍼 기어(420)일 수 있다. 기어 치차는 인볼루트 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치차는 기어(420)의 외측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기어 치차는 기어(4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기어(4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기어(420)는 사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전달 장치(400)는 디스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410)는 모터(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탄성 부재(500)에 전달하는 장치 일 수 있다.
디스크(410)는 탄성 부재(500)와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기어(42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디스크(410)는 모터(300)에 의하여 기어(420)가 회전하는 동안, 기어(4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의 회전 축은 기어(420)의 회전 축과 평행할 수 있다.
기어(420)는 디스크(410)의 회전 축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회전 축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410)는 회전에 의하여 탄성 부재(50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을 가압하여 댐퍼(A)가 댐핑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410)의 회전에 의하여 댐퍼(A)가 댐핑 기능을 할 수 있다.
디스크(410)는 기어(420)에서 전달되는 힘보다 큰 힘으로 탄성 부재(500)를 움직이도록 기어(4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4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디스크(410)는 사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디스크(410)는 디스크 바디(4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바디(411)는 디스크(410)의 외관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크 바디(411)는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 바디(411)는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축은 디스크 바디(411)의 원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크 바디(411)의 직경은 기어(420)의 직경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기어(420)의 토크에 비하여, 디스크 바디(411)의 토크가 더 크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크 바디(411)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토크가 커진다면, 탄성 부재(500)를 변형시키기 더 용이해질 수 있다.
디스크 바디(411)의 직경은 기어(420)의 직경보다 1/4일 수 있다. 따라서, 기어(420)가 180도 움직이는 동안, 디스크 바디(411)는 45도 움직일 수 있다.
디스크(410)는 기어 치합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기어(420)와 치합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410)의 외주의 일부에만 위치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탄성 부재(500)를 변형하는데 필요한 정도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바디(411)가 45도 움직이는 동안, 기어(420)와 치합되는 정도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기어(420)가 정해진 경로보다 더 움직이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바디(411)의 움직이는 각도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바디(411)의 외주에 위치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바디(4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바디(411)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디스크 치차(4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치합부(415)는 디스크 치차(4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치차(412)는 기어(420)와 치합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샤프트 삽입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삽입부(416)는 후술하는 디스크(410) 샤프트가 삽입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샤프트 삽입부(416)는 디스크 바디(411)의 회전 중심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샤프트 삽입부(416)는 디스크 바디(411)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41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탄성 부재(500)의 변형을 가이드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410)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 바디(41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 바디(41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4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 내측에 탄성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 바디(41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관통할 수 있다.
디스크(410)가 회전되는 동안,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가이드 슬릿(414)에 의하여 가이드 됨으로써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이고, 토션 스프링 바디(510)가 피스톤(200)을 가압하도록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댐퍼(A)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세탁기(1)는 댐퍼(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실린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실린더(100)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 바디는 실린더(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실린더(100) 바디는 중공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100) 바디의 내측 공간에 피스톤(200)이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100)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0)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500)를 수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수용부(13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탄성 부재(500)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마찰 부재(700)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엘라스틱 밴드(600)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수용부(130)가 둘러싸는 공간일 수 있다. 수용 공간(130S)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30)는 실질적으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30)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30)의 외측 직경은 실린더(100) 바디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30)와 실린더(100) 바디의 사이에 단차가 정의될 수 있다.
수용부(130)의 내측 직경은 실린더(100) 바디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수용 공간(130S)에 탄성 부재(500)와 엘라스틱 밴드(600) 및 마찰 부재(700)가 모두 수용되는 경우, 마찰 부재(700) 내측에 위치되는 공간의 직경은, 실린더(100) 바디의 내측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수용부(130)는 실린더(100)의 단 부에 위치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실린더(100) 바디의 단부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실린더(100) 바디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피스톤(200)은 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달 장치(400)가 모터(3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탄성 부재(500)에 전달하는 동안, 전달 장치(400)가 캐비닛(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부(130)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모터 장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실린더(100) 바디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실린더(100) 바디와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수용부(130)와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터 장착부(121)는 탄성 부재(500)와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실린더(100) 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댐퍼(A)는 피스톤(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의 하측에서 실린더(100)를 향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댐퍼(A)는 탄성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을 가압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의 반경 방향에서 피스톤(200)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의 원주 방향으로 피스톤(200)을 둘러싸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500)의 내측에 피스톤(200)이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수용부(130)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수용부(130)에 수용됨으로써 실린더(1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을 가압함으로써,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스톤(200)은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강해지는 동안, 실린더(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어려워 질 수 있다. 탄성 부재(500)가 피스톤(200)을 가압함으로써 피스톤(200)이 움직이기 어려워진다는 것은 피스톤(200)과 탄성 부재(5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바뀌기 어려워 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실린더(1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500)가 피스톤(200)에 대하여 움직이기 어렵다는 것은 실린더(100)가 피스톤(200)에 대하여 움직이기 어렵다는 의미일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을 가압함으로써,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에 상대적인 운동이 어려워 질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마찰 부재(700)를 가압하여 마찰 부재(700)가 피스톤(200)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토션 스프링(501)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스프링이 감긴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항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피스톤(200)이 반경 방향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피스톤(200)의 외경을 따라 피스톤(200)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선형의 구성이 일 방향으로 감김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토션 스프링(501)은 금속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토션 스프링(501)은 토션 스프링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일 단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511)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타 단에 제1 레그(51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5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토션 스프링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 바디(510)는 토션 스프링(501)의 외관을 정의하는 구성일 수 있다.
토션 스프링 바디(510)는 일 방향으로 감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 바디(510)는 실린더(100)와 피스톤(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은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단 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501)의 각 단 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에서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토션 스프링(501)의 일 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에서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501)의 타 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제2 레그(512)가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연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제2 레그(512)와 같은 평면 내 위치될 수 있다.
제1 레그(511)는 제2 레그(512)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퍼(A)는 마찰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을 마찰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피스톤(200)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탄성 부재(500)와 피스톤(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과 접촉 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탄성 부재(50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의 외경이 줄어드는 동안,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마찰 시 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댐핑 계수가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탄성 부재(500)의 변형에 의하여 마찰 부재(700)의 내경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마찰 부재(70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공간이 줄어드는 동안, 마찰 부재(700)의 내경이 줄어들어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중공을 가지는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관의 측면에 슬릿이 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수용 공간(130S)에 수용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스펀지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마찰 부재(700)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댐퍼(A)는 엘라스틱 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탄성 부재(500)와 접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탄성 부재(500)가 피스톤(200)에 가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 부재(500)가 토션 스프링(501)일 경우, 엘라스틱 밴드(600)가 없다면,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형상대로 마찰 부재(700)를 가압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균일하게 가압되는 것이 마찰 부재(700)의 수명을 위하거나 댐퍼(A)의 작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므로, 마찰 부재(700) 전체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탄성 부재(500)와 마찰 부재(7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탄성 부재(500)의 변형에 의하여 엘라스틱 밴드(600)의 내경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탄성 부재(500)의 내경이 변함으로써 엘라스틱 밴드(600)의 내경이 변하고, 엘라스틱 밴드(600)의 내경이 변함으로써 마찰 부재(700)의 내경이 변화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공간이 줄어드는 동안, 엘라스틱 밴드(600)의 내경이 줄어들어 마찰 부재(700)를 가압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중공을 가지는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관의 측면에 슬릿이 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토션 스프링(501)이 상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수용 공간(130S)에 수용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댐퍼(A)는 수용부 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실린더(100)의 수용부(130)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수용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수용부(13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수용 공간(130S)을 정의할 수 있다. 수용부 락(140)에 의하여, 수용 공간(130S) 내 수용되는 탄성 부재(500), 마찰 부재(700) 및 엘라스틱 밴드(600)는 수용 공간(130S) 밖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실린더(100)가 관통하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은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 락(140)이 포함하는 후크 형상은 실린더(100)의 대응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수용부 락(140)이 실린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A)는 모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0)는 실린더(100)의 모터 장착부(121)에 장착될 수 있다.
댐퍼(A)는 전달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모터(300)에서 발생된 동력을 탄성 부재(500)로 전달 가능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와 결합되는 기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400)는 기어(420)와 치합되는 디스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410)는 회전에 의하여 탄성 부재(500)를 가압하여 탄성 부재(500)를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크(410)는 회전함에 따라서 탄성 부재(5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 부재(500)는 엘라스틱 밴드(600)를 가압 가능할 수 있다. 디스크(410)가 회전하면, 탄성 부재(500)의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은 디스크(41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슬릿(414)은 각각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가이드 슬릿(414)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크(410)가 회전되는 동안, 가이드 슬릿(414)을 둘러싸는 디스크(410) 부분이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댐퍼(A)는 어댑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800)는 디스크(410)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어댑터(800)는 디스크(410)가 회전하는 동안, 디스크(410)를 지지할 수 있다.
어댑터(800)는 디스크(410)가 지지되도록 디스크(410)와 실린더(1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실린더(100)와 디스크(41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실린더(100)에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어댑터(8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어댑터(800)는 디스크(410) 샤프트에 의하여 디스크(410)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디스크(410)와 어댑터(800)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어댑터(8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어댑터(800)와 디스크(410) 샤프트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댐퍼(A)는 제1 고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10)는 캐비닛(10)과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고정부(210)는 제1 부싱(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싱(211)은 캐비닛(10)과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부싱(211)은 피스톤(20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부싱(211)은 캐비닛(10)에 포함되는 관 형상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중공이 정의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싱(211)은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싱(211)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1 부싱(211)은 인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1 고정부(210)는 제1 아이솔레이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제1 부싱(211)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제1 부싱(211)과 피스톤(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댐퍼(A)는 제2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10)는 캐비닛(10)과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고정부(110)는 제2 부싱(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싱(111)은 캐비닛(10)과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부싱(111)은 실린더(10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부싱(111)은 캐비닛(10)에 포함되는 관 형상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중공이 정의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싱(111)은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싱(111)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2 부싱(111)은 인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2 고정부(110)는 제2 아이솔레이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제2 부싱(111)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제2 부싱(111)과 실린더(1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2 아이솔레이터(112)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댐퍼(A)의 가압 부재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댐퍼(A)는 실린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모터 장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삽입 공간(121S)은 모터 장착부(121)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모터 삽입 공간(121S)은 모터(300)에 대응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모터(300)(도 7)의 적어도 일부는 모터 장착부(121)에 의하여 커버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터(300)는 그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모터 커버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커버부(123)는 모터(300)의 일 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모터 커버부(123)는 모터(300)의 일 측을 지지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지지 리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124)는 모터 커버부(123)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지지 리브(124)는 실린더(100)의 반경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모터 장착부(121)는 모터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지지부(121)는 모터(300)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 쌍의 모터 지지부(121)의 사이에 모터 삽입 공간(121S)이 정의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어댑터 삽입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삽입부(131)는 어댑터(800)가 삽입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어댑터 수용 공간(131S)은 어댑터 삽입부(131)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어댑터 수용 공간(131S)에 삽입될 수 있다.
어댑터 삽입부(131)는 어댑터(800)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 어댑터(800) 벽(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삽입부(131)는 어댑터(800)의 타 측에 마련되는 제2 어댑터(800) 벽(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일 측이 제1 어댑터(800) 벽(132a)과 마주보고 타 측이 제2 어댑터(800) 벽(132b)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어댑터(800) 벽(132a)과 제2 어댑터(800) 벽(132b)은 어댑터 수용 공간(131S)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어댑터(800) 벽(132a)과 제2 어댑터(800) 벽(132b)은 어댑터(80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어댑터(800) 벽(132a)과 제2 어댑터(800) 벽(132b)은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어댑터(800) 벽(132a)과 제2 어댑터(800) 벽(132b)은 후술하는 샤프트 삽입부(416)를 기준으로 회전 대칭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댐퍼(A)는 어댑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어댑터 삽입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어댑터(800)는 샤프트 삽입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삽입부(416)는 디스트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삽입부(416)는 디스크(4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레그 삽입 홀(133H)은 수용부(13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레그 삽입 홀(133H)은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통과 가능한 홀일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이 수용 공간(130S)에 수용되는 동안,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수용부(130)에 걸릴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50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수용 공간(130S)으로 삽입되는 동안, 수용부(130)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그 삽입 홀(133H)이 마련될 수 있다.
레그 삽입 홀(133H)은 수용부(13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레그 삽입 홀(133H)은 수용부(130)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레그 수용 가이드(134)는 수용부(13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레그 수용 가이드(134)는 제1 레그(511) 또는 제2 레그(512)가 움직이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레그 수용 가이드(134)는 슬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 수용 가이드(134)는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움직이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501)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원복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원하는 경로로 이동되기 위하여 레그 수용 가이드(134)가 필요할 수 있다.
레그 수용 가이드(134)는 수용부(13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댐퍼(A)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가 기능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세탁기(1)는 댐퍼(A)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탄성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엘라스틱 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마찰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피스톤(200)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실린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 엘라스틱 밴드(600) 및 마찰 부재(700)는 실린더(100)의 수용부(1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 엘라스틱 밴드(600) 및 마찰 부재(700)는 실린더(1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댐핑이 필요한 상황인 경우, 모터(30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동력이 전달 부재에 의하여 탄성 부재(500)에 전달 될 수 있다. 모터(300)에서 발생된 동력은 탄성 부재(50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내경이 줄어들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내경이 줄어 들면서 엘라스틱 밴드(600)를 가압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는 내경이 줄어들면서 마찰 부재(700)를 가압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는 엘레스틱 밴드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마찰력을 받을 수 있다.
마찰력은 수직 항력과 마찰 계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압 부재에 의하여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지는 것은 마찰력의 입장에서 수직 항력이 강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마찰 부재(700)가 피스톤(200)을 가압하는 경우,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강해질 수 있다.
피스톤(200)과 마찰 부재(700) 사이에 마찰력이 강해지는 경우, 피스톤(200)과 마찰 부재(700)가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이기 어려워 질 수 있다. 마찰 계수는 실린더(1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와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마찰력은 비보존력이다. 마찰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 마찰력과 이동 거리에 의하여 계산되는 에너지는 손실되는 에너지이다. 마찰력에 의하여 손실되는 에너지는 마찰력이 비보존력이기 때문에, 다른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찰력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열에너지로 바뀌기 때문에, 댐퍼(A)의 입장에서 다시 돌려받기 어렵다.
드럼(40)(도 2)의 진동에 의하여 댐퍼(A)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앞서 언급한 마찰력에 의하여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댐퍼(A)가 캐비닛(10)(도 2)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감소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에너지를 손실하는 것을 댐핑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드럼(40)의 회전 각속도와 댐퍼(A)의 작동 여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의 댐핑이 언제 필요한지 설명한다.
세탁기(1)의 에너지 관점에서 댐퍼(A)는 에너지를 손실시키는 구성이므로,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의 관점에서 도움이 되는 구성은 아니다. 드럼(40)이 회전하면서 생긴 회전 에너지를 댐퍼(A)가 손실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댐퍼(A)는 항상 댐핑 기능을 하는 것보다는 더 필요한 구간에서 댐핑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40)의 진동이 캐비닛(10)에 전달되는 경우, 캐비닛(10)의 주변 구성과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주변 구성의 위치를 원하지 않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세탁기(1)에 큰 진동이 있는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강화되어 일어날 수 있다.
세탁기(1)의 진동이 커지는 경우는, 드럼(40)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기(1)에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일 수 있다.
세탁기(1)의 고유 진동수와 드럼(40)의 회전 수가 일치되거나 유사한 경우, 세탁기(1)는 큰 진폭을 가지며 진동할 수 있다.
댐퍼(A)는 이러한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에, 댐핑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A)는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댐핑 기능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공진이 일어나는 경우, 큰 진폭으로 인하여 큰 진동 에너지가 발생하므로, 이를 댐퍼(A)가 상쇄할 필요가 있다. 다만, 공진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세탁기(1)의 진동이 크지 않으므로, 댐퍼(A)가 댐핑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1)가 어떤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드럼(40)은 일정한 각속도를 가질 수 있다. 드럼(40)이 일정한 각속도를 갖는 구간을 정상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세탁기(1)를 설계하는 경우, 정상 구간에서 공진이 일어나지 않게 설계할 수 있다. 세탁기(1)의 행정이 일어나는 동안 진동이 크게 일어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다만, 세탁기(1)가 어떤 행정에서 어떤 행정으로 행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드럼(40)의 각속도가 변화할 수 있다. 드럼(40)의 각속도가 변화하는 구간을 과도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드럼(40)이 과도 구간에 있는 동안에는 세탁기(1)의 공진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거칠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 각속도가 변화하는 동안 세탁기(1)의 공진 주파수와 드럼(40)의 각속도가 일치되면 세탁기(1) 진동의 진폭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댐퍼(A)는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댐퍼(A)는 드럼(40)이 과도 구간에 있는 경우,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을 참고한 그래프는 드럼(40)의 각속도를 도시한다.
드럼(40)은 세탁기(1)가 세탁 행정인 경우 저속도의 각속도로 회전하고, 세탁기(1)가 탈수 행정인 경우 고속도의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세탁기(1)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드럼(40)의 각속도는 세탁기(1)가 탈수 행정인 경우 일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세탁 행정인 경우에 과도 구간에서 댐퍼(A)가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세탁 행정인 경우에 드럼(40)의 과도 구간은 세탁기(1)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각속도를 지나가지 못하므로, 세탁 행정에서의 과도 구간에서 댐퍼(A)는 댐핑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 각속도(또는 Angular velocity)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과도 상태의 경우에는 댐퍼(A)(Damper)가 ON 상태가 될 수 있다. 댐퍼(A)가 ON 상태가 된다면, 댐핑 기능이 활성화되고, 세탁기(1)의 진동을 저감하는 상태가 된다. 드럼(40)의 회전 각속도가 일정한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댐퍼(A)가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댐퍼(A)가 OFF 상태가 된다면, 댐핑 기능이 비활성화 되고, 세탁기(1)의 진동을 저감하지 않고, 세탁기(1)의 진동 에너지를 댐퍼(A)가 감쇠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하단의 축을 시간의 흐름이라고 보았을 때, 0인 상태에서는 Angular velocity가 0이므로, 세탁기(1)의 정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1에서 3.5사이 구간은 세탁 행정이 진행되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0에서 1사이 구간은 세탁 행정으로 진입하면서, 드럼(40)의 회전 수가 증가하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세탁 행정으로 진입하는 구간에서 드럼(40)의 회전 수가 증가하면, 댐퍼(A)가 ON 상태가 될 수 있다.
1에서 3.5 사이 구간에서는 드럼(40)의 회전 수가 일정한 세탁 행정 구간이므로, 댐퍼(A)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세탁 행정이 종료 되고, 5에서 7구간은 탈수 행정이 진행되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탈수 행정에서 요구되는 드럼(40) 회전 수는 세탁 행정 구간에서 요구되는 드럼(40) 회전 수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행정에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면서 드럼(40)의 회전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즉, 3.5에서 5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댐퍼(A)가 다시 ON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5에서 7에 해당하는 구간에서는 드럼(40)의 회전 수가 일정한 탈수 행정 구간이므로, 댐퍼(A)는 OFF 상태가 될 수 있다.
탈수 행정이 끝나면, 8 상태인 정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행정 종료 후 7에서 8에 해당하는 구간에서는 드럼(40)의 회전 수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는 댐퍼(A)는 ON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댐퍼(A)의 ON, OFF 상태가 세탁기(1)의 행정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세탁기(1)의 행정은 일 예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 드럼(40)의 회전 수의 변화는 이보다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에 있어서, 댐퍼(A)의 ON, OFF 상태의 변화는 드럼(40)의 회전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에 대응하여 일어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댐퍼(A)는 댐핑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댐퍼(A)의 전달 부재와 관련된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달 부재에 의하여 댐퍼(A)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댐퍼(A)는 모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A)는 토션 스프링(501)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달 부재가 포함하는 기어(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300)는 서보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420)는 180도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기어(420)는 디스크(410)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420)의 회전에 의하여 디스크(410)는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는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의 직경은 기어(420)보다 4배 클 수 있다. 따라서, 기어(420)가 180도 회전되는 동안, 디스크(410)는 45도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 상에 가이드 슬릿(414)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크(410)가 45도 회전되는 동안 가이드 슬릿(414)이 45도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이 회전되는 동안, 가이드 슬릿(414)에 삽입된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의 이동에 의하여 토션 스프링(501)의 직경이 변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댐퍼(A)의 실린더(100) 내에 위치되는 가압 부재의 변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압 부재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가압 부재가 피스톤(200)을 가압하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501) 및 마찰 부재(700)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토션 스프링(501)의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의 움직임에 의하여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디스크(4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토션 스프링 바디(510)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이동됨으로써 토션 스프링 바디(510)의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토션 스프링 바디(510)는 선이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는 각각 선이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이동되는 경우, 토션 스프링(501)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토션 스프링(501)의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 엘라스틱 밴드(600)를 가압할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가 가압되는 경우, 엘라스틱 밴드(600)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엘라스틱 밴드(600)의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 마찰 부재(700)를 가압할 수 있다.
마찰 부재(700)가 가압되는 경우, 마찰 부재(700)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마찰 부재(700)의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 마찰 부재(700)는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피스톤(200)이 가압되는 경우,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탄성 부재(500)를 컨트롤하는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3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기(1)는 입력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100)는 컨트롤 패널(도 1)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센서(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0)는 드럼(40)의 회전에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센서(1200)는 회전 감지 센서(12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 센서(1210)는 드럼(4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1200)는 소리 센서(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센서(1220)는 세탁기(1)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모터(300)를 제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프로세서(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메모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20)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1320)와,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20)는 프로세서(1310)와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310)와 분리된 반도체 소자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메모리(1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를 처리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싱 코어(예를 들어, 기억 회로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0)는 입력부(1100) 또는 센서(1200)에서 발생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300) 또는 모터 드라이브(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모터 드라이브(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브(1400)는 프로세서(1310)에서 모터(300)를 가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브(1400)는 프로세서(1310)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300)의 모터 샤프트(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를 모터(3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드라이브(1400)는 모터(300)의 위치 명령을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터(300)의 회전 각도가 위치 명령을 추종하도록 모터(30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1)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A)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1)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1)를 설명한다.
댐퍼(A-1)는 댐퍼 케이스(150-1)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를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를 커버 할 수 있다. 모터(300)는 구동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모터(3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로 전달되는 수분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류에 의하여 동작하는 구성일 수 있으므로, 모터(300)에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 고장이 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로 유입되려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00)는 내구성이 상승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는 모터(300)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터(300)를 커버하며 구성될 수 있다.
모터(300)가 탄성 부재(500)와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 전달 부재의 가동 반경이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댐퍼 케이스(150-1)의 부피가 줄어 들 수 있다. 댐퍼 케이스(150-1)의 부피가 줄어드는 경우, 댐퍼(A-1)의 생산 단가가 낮아질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2)의 전달 부재 및 모터(3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2)를 설명한다.
댐퍼(A-2)는 디스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 가이드는 디스크(41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서로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토션 스프링(501)이 마찰 부재(700)를 균일하게 가압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피스톤(200)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가이드 슬릿(414)이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2)은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414-2)은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댐퍼(A-3)의 전달 부재와 인접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3)를 설명한다.
댐퍼(A-3)는 디스크(41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410-3)에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삽입될 수 있다.
댐퍼(A-3)는 서브 디스크(430-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디스크(430-3)는 모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디스크(430-3)는 모터(30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댐퍼(A-3)는 벨트(431-3)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431-3)는 디스크(410-3) 및 서브 디스크(430-3)를 연결 시킬 수 있다. 벨트(431-3)는 디스크(410-3)와 서브 디스크(430-3)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트(431-3)는 디스크(410-3)와 서브 디스크(430-3)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300)에 의하여 서브 디스크(430-3)는 회전 될 수 있다. 서브 디스크(430-3)가 회전되면, 벨트(431-3)가 이동될 수 있다. 벨트(431-3)가 이동되면, 디스크(410)가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가 회전되면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토션 스프링(501)은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댐퍼(A-4)의 전달 부재와 인접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4)를 설명한다.
댐퍼(A)는 디스크(4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디스크(410-4)에 삽입될 수 있다.
디스크(410-4)는 외주에 디스크 치차(4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치차(412)는 기어(420)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열될 수 있다. 기어(420)는 탄성 부재(500)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댐퍼(A)는 웜 기어(440-4)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440-4)는 모터(300-4)에 연결될 수 있다.
웜 기어(440-4)는 모터(300)와 결합되고 디스크(410-4)와 치합될 수 있다.
웜 기어(440-4)는 피스톤(2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웜 기어(440-4)는 디스크 치차(412)와 치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웜 기어(440-4)의 회전 축과 디스크(410-4)의 회전 축은 서로 수직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모터(300)는 웜 기어(440-4)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디스크(410-4)는 웜 기어(44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디스크(410-4)가 회전 되면서,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를 움직일 수 있다. 제1 레그(511)와 제2 레그(512)가 움직이면서, 토션 스프링(501)이 피스톤(200)을 가압할 수 있다.
웜 기어(440-4)가 회전하면, 디스크(410-4)가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디스크(410-4)에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웜 기어(440-4)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하여 댐퍼(A-4)의 댐핑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A-5)를 설명한다.
댐퍼(A-5)는 디스크(4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511) 및 제2 레그(512)는 디스크(410-5)에 삽입될 수 있다.
댐퍼(A-5)는 링크(450-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450-5)는 디스크(410-5)와 연결될 수 있다.
링크(450-5)는 일 단이 모터(300)에 결합되고, 일 단과 반대 측에 위치되는 타 단이 디스크(410-5)에 결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디스크(410-5)는 링크(450-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17-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450-5) 상에 슬릿이 정의될 수 있다. 디스크(410-5)의 돌기(417-5)는 링크(450-5) 상의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모터(300)는 링크(450-5)를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링크(450-5)가 회전 이동하면, 디스크(410-5)의 돌기(417-5)가 링크(450-5) 상의 슬릿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디스크(410-5)의 돌기(417-5)가 움직이면, 디스크(410-5)가 회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30: 터브
40: 드럼
A: 댐퍼
100: 실린더
121: 모터 장착부
130: 수용부
130S: 수용 공간
150: 댐퍼 케이스
200: 피스톤
300: 모터
320: 서보 모터
400: 전달 장치
410: 디스크
411: 디스크 바디
412: 디스크 치차
413: 디스크 샤프트
414: 가이드 슬릿
415: 기어 치합부
416: 샤프트 삽입부
417: 돌기
420: 기어
430: 서브 디스크
431: 벨트
440: 웜 기어
450: 링크
500: 탄성 부재
501: 토션 스프링
510: 토션 스프링 바디
511: 제1 레그
512: 제2 레그
600: 엘라스틱 밴드
700: 마찰 부재
800: 어댑터
1100: 입력부
1110: 센서
1111: 회전 감지 센서
1112: 소리 센서
1200: 센서
1210: 회전 감지 센서
1220: 소리 센서
1300: 제어부
1310: 프로세서
1320: 메모리
1400: 모터 드라이브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안에 위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실린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는 마찰 부재;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탄성 부재로 전달 가능한 전달 장치로서,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 가능한 디스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스톤이 반경 방향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경을 따라 상기 피스톤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탄성 부재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 바디;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의 일 단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 및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의 타 단에 상기 제1 레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가 관통되는 가이드 슬릿이 정의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의하여 가이드 됨으로써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 바디가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내경이 줄어드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 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디스크가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움직이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축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회전 축을 갖는 세탁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기어에서 전달되는 힘보다 큰 힘으로 상기 탄성 부재를 움직이도록 상기 기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탄성 부재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소정 범위의 회전 각도 내에서 움직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소정 범위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탄성 부재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기어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열되는 디스크 치차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크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 위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터를 커버하며 구성되는 댐퍼 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일 단이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일 단과 반대 측에 위치되는 타 단이 상기 디스크에 결합되도록 위치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서브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 및 상기 서브 디스크를 연결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와 치합되는 웜 기어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 안에 위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일 단이 상기 캐비닛 및 상기 터브 중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캐비닛 및 상기 터브 중 상기 실린더가 결합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 가능한 마찰 부재;
    상기 실린더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마찰력을 변경시키도록 내경이 줄어듦 가능한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에 동력을 전달 가능한 전달 장치;
    상기 드럼의 회전 수가 변화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로서,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토션 스프링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캐비닛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이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경을 따라 상기 피스톤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세탁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단이 삽입되는 디스크로서, 회전에 의하여 상기 토션 스프링의 상기 양 단이 멀어짐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실린더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와 치합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세탁기.
  20. 수용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접촉 가능한 마찰 부재;
    상기 실린더와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경이 줄어듦으로써 상기 마찰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게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기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양 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댐퍼.
KR1020220144825A 2022-11-02 2022-11-02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240062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825A KR20240062842A (ko) 2022-11-02 2022-11-02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PCT/KR2023/014661 WO2024096322A1 (ko) 2022-11-02 2023-09-25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825A KR20240062842A (ko) 2022-11-02 2022-11-02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842A true KR20240062842A (ko) 2024-05-09

Family

ID=9093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825A KR20240062842A (ko) 2022-11-02 2022-11-02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2842A (ko)
WO (1) WO20240963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0657T1 (de) * 2004-02-20 2010-09-15 Suspa Holding Gmbh Dämpfer mit elastischer führungs-/dämpfungs- einheit
DE102004047999A1 (de) * 2004-10-01 2006-04-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bungsdämpferein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KR101916438B1 (ko) * 2012-07-30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31601B1 (ko) * 2015-04-01 202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지장치 및 상기 지지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E102016207809A1 (de) * 2016-05-04 2017-11-09 Suspa Gmbh Schaltbarer Dä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322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6049B2 (en) Washing machine
EP229897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40226321A1 (en) Variable damping type damp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692931B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200151035Y1 (ko) 드럼형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 감소장치
US20140060120A1 (en) Washing machine
KR20180003471A (ko) 세탁기
RU2613779C2 (ru) Гаситель колебаний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с вращающимся барабаном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аким гасителем колебаний
EP1842954A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100131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7428954B2 (en) Dampe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40062842A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240062841A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6122942A (en) Washing machine having dual damping structure
KR19990051597A (ko) 세탁기 받침대
KR10192948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4001609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0395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1170389A (ja) ドラム式洗濯機
US1149926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A2711348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KR2023012379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5039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