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839A -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839A
KR20240059839A KR1020220140817A KR20220140817A KR20240059839A KR 20240059839 A KR20240059839 A KR 20240059839A KR 1020220140817 A KR1020220140817 A KR 1020220140817A KR 20220140817 A KR20220140817 A KR 20220140817A KR 20240059839 A KR20240059839 A KR 2024005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augmented reality
modeling file
platform
interior mod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동윤
Original Assignee
함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동윤 filed Critical 함동윤
Priority to KR102022014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839A/ko
Publication of KR2024005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ethics (AREA)
  • Geome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증강 현실 공간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플랫폼 상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공간에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PLATFORM FOR TRADING AT LEAST ONE INTERIOR MODELING FILE USED IN AUGMENTED REALITY}
본 개시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방법 및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였다. 기존의 인테리어 용품은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실체가 있는 제품들이였다. 그러나, 실체가 있는 제품들의 경우, 공간을 소모하여 인테리어 용품이 차지하는 공간은 사용할 수 없는 공간이 된다. 또한, 화분이나 난초 등의 식물들은 관리를 필요로 하여, 인테리어 후에도 사용자의 관심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실체가 있는 인테리어 용품의 경우, 사용 후 폐기되는 경우 폐기물이 되어 환경 오염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0178호 (공개일자: 2022년01월25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0828호 (공개일자: 2021년12월13일)
개시된 실시예들은, 증강 현실 공간에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증강 현실 공간의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강 현실 공간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플랫폼 상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플랫폼을 통하여 검색된 인테리어 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제안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안 조건이 상기 교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소유한 상기 플랫폼의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교환 조건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제안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소유한 상기 플랫폼의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안 조건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제2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기기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 내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상기 계산된 위치 및 방향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증강 현실 기기는,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위치 및 방향을 선택하고, 광학 센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위치 및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증강 현실 기기가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상기 광학 센서 및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위치 및 방향이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상기 위치 및 방향이,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상기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의 보관을 요청하는 보관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상에 상기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강 현실 공간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 상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하여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어, 별다른 제작 도구 없이도 플랫폼에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여,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고,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공간에 거래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어 실제 차지하는 공간 없이도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는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을 통하여 구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상에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하는 파일을 보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계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공간 내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위치 및 방향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을 사용하는 사용자(110)는 플랫폼(100)을 통하여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을 사용자(110)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3D 모델링(3D Modeling) 제작 도구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10)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자신만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3D 모델링 모듈(1210)은 현실 세계(Real World)에 실존하는 물체(이하, 인테리어 물품)를 스캔하여, 증강 현실에서 구현될 수 있는 3D 모델링 파일(이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로 변환하는 도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Virtual)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배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홀로그램(Hologram) 기술 등을 통하여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플랫폼을 통하여, 증강 현실뿐만 아니라,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이 거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을 통하여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가상 현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에는 사용자(110)가 생산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이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10)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서버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110)는 플랫폼(100)에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제공할 때, 자신이 소유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소유권 또는 거래 권한을 플랫폼(100)에 양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랫폼(100)에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110) 이외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받은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들이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사용자(110)가 등록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 하는 등의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사용자(110)에게 판매할 수도 있다. 이하, 플랫폼(100)을 통한 거래 중개는 도 4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사용자(110)가 등록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이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된 경우, 사용자(110)에게 판매 대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10)에게, 플랫폼(100)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등록하고, 이를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여 판매 대금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0), 메모리(120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0)는 본 개시에 따른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100, 도 1 참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1100), 예를 들어, 유선 랜,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ances, WiGig) 및 RF 통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서버(1000)와 외부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100)는 서버(1000)가 플랫폼(100)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 외부 서버 등)와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0)는 플랫폼(100)에 등록하기 위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100)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기 위한 거래 대금 정보 및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등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가 판독할 수 있는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가 저장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어들 또는 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200)는 서버(1000)가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0)에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또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3D 모델링 모듈(1210), 검색 모듈(1220) 및 거래 모듈(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서버(10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1000)가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신경망 처리 장치(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된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3D 모델링 모듈(1210)을 실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3D 모델링 모듈(1210)은 광학 센서를 통하여 수집된 인테리어 물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3D 모델링을 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3D 모델링 모듈(1210)을 실행하여 사용자(110)가 자신이 소유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을 광학 센서를 통하여 스캔한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검색 모듈(1220)을 실행하여, 생성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특정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사용자(110)가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획득하고, 검색 모듈(1220)을 실행하여,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검색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110)가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색 정보는 사용자(110)가 원하는 특정 인테리어 물품에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정보는 플랫폼(100)을 사용하는 사용자(110)의 취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사용자(110)의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110)에게 추천되는 인테리어 물품 또는 사용자(110)가 거래하기를 원하는 특정한 인테리어 물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검색 정보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및 플랫폼(100)을 통하여 검색된 인테리어 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정보는 사용자(110)의 취향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유사한 디자인을 갖는 인테리어 물품 또는 사용자(110)의 구매 이력에 기반하여, 사용자(110)가 구매한 인테리어 물품들과 같이 구매된 기록이 많은 인테리어 물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검색 정보는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사용자(110)의 연령대, 성별, 국적, 주소, 구매 이력 또는 검색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110)와 유사하게 플랫폼(100)을 이용한다고 판단되는 추천 사용자의 검색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 사용자의 검색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검색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는 거래 모듈(1230)을 실행하여,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이 거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방법은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에 물품에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방법은 플랫폼(100) 상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단계(S300)에서 플랫폼(100) 상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플랫폼(100)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제어하는 단계(S300)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방법은 증강 현실 기기(140, 도 9a 참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토대로 증강 현실 공간에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단계(S400)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을 통하여 구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구매자(120)는 플랫폼(100) 서버에 업로드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0)은, 플랫폼(100)을 사용하는 구매자(120)의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제안 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안 조건은 특정 액수의 금액, 혹은 플랫폼(100)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안 조건은 특정 액수의 거래 대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거래 대금을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공받은 거래 대금을 확인하고, 거래 대금이 제공된 것을 확인한 경우, 구매자(120)에게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하여 기-설정된 교환 조건과 제안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교환 조건은, 해당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특정 액수의 금액, 또는 일정 횟수 이상의 구매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설정된 교환 조건은, 특정 액수의 금액으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에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업로드 할 때, 업로드 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가격을 같이 업로드 하여 교환 조건을 기-설정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공 받은 거래 대금과 기-업로드 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가격을 비교하여 거래 대금이 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수신한 거래 대금이 기-업로드 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가격과 같거나, 혹은 기-업로드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가격보다 클 경우, 제안 조건이 교환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안 조건이 교환 조건을 충족한 경우, 구매자(120)에게 플랫폼(100) 서버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송신하고, 구매자(120)는 획득한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자(120)는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공간에 자유롭게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설치, 보관하고, 필요 시에는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다시 플랫폼(100)을 이용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판매자(130)는 플랫폼(100)을 통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플랫폼(100)은 판매자(130)로부터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판매한다는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구매를 원한다는 기-요청이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혹은 다른 사용자들의 구매 이력을 참조하여 판매가 될 것이라 예상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하여 구매를 원한다는 알림을 제공하고, 판매자(130)는 상기한 알림을 토대로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판매한다는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판매자(130)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100)에서 검색한 후, 플랫폼(100)에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한다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자신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판매할 수도 있다.
플랫폼(100)은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하여 접근 권한을 갖는 판매자(130)에게 교환 조건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하여 접근 권한을 갖는 판매자(130)에게 기-설정된 교환 조건인 거래 대금을 송신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판매자(130)로부터 거래 대금을 제공받았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알람을 수신한 경우, 판매자(130)가 판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판매자(130)로부터 회수하고, 상기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100)이 저장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130)는 더 이상 판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증강 현실 공간에 설치할 수 없다. 또한, 판매자(130)는 기-판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재 판매하거나, 후술할 플랫폼(100)에 보관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을 이용하여 판매자(130)는 판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플랫폼(100)에 게시할 수 있다.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구매자(120)는 플랫폼(100)에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응되는 거래 대금을 플랫폼(100)에 입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대금을 확인한 후, 판매자(130)가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금액과 일치하는 경우, 판매자(130)에게 거래 대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100)은 거래 대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수수료를 제외한 후 판매자(13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수수료는 플랫폼(100)이 판매자(130)가 판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창에 노출한 빈도, 광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대금을 확인하고, 판매자(130)로부터 판매 대금을 제공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는 요청을 제공받은 경우, 판매자(130)가 플랫폼(100)에 게시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회수하고, 구매자(120)에게 상기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을 제공하는 서버(1000)로부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한 구매자(120)는 AR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R 기기(140)는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기기로,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스마트 안경, 스마트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매자(120)는 서버(1000)로부터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증강 현실 기기(140)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여 배치하기 위한 증강 현실 내의 장소 및 각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증강 현실 기기(140)를 통하여 서버(1000)에 선택한 장소 및 각도 등의 정보를 업로드하면, 서버(1000)는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선택한 장소 및 각도등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증강 현실 기기(14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한 데이터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3D 메쉬 정보, 3D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내의 선택한 장소 및 각도에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매자(120)는 서버(1000)로부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한 후, 증강 현실 기기(140)만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상에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하는 파일을 보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것 외에, 서버(1000)에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보관할 수도 있다.
플랫폼(100)을 포함하는 서버(1000)는 구매자(120)로부터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의 보관을 요청하는 보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0)는 증강 현실 기기(140)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서버(1000) 내에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를 사용하더라도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매자(120)는 필요에 따라 증강 현실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거나, 혹은 서버(1000)에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보관할 수 있따.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계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공간 내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위치 및 방향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9a를 참조하면,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 기기(140)를 통하여 플랫폼(100, 도 1 참조)에서 구매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는 현실 세계에 배치된 단말기(150)로부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50)는 현재 배치된 위치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증강 현실 기기(14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50)는 현실 세계에 포함된 벽이나, 테이블 등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라이더(Lidar)센서, 적외선(IR)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50)는 증강 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현실 세계에 가상으로 합성할 물체나 정보의 위치 및 방향을 증강 현실 기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150)에 포함된 센서는, 단말기(150)가 배치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단말기(150)는 계산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증강 현실 기기(140)에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기(140)는 제공받은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현실 세계에서 구현되어야 할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 도 9c 참조)의 위치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 기기(140)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계산된 현실 세계의 위치 및 방향에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현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은,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스캔된 현실 세계에 실존하는 물체에 대응되는 물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50)가 증강 현실 기기(140)에 제공하는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는, 단말기(150)의 크기 정보 및 단말기(150) 주변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증강 현실 기기(140)는 단말기(150)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고,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이 단말기(150)의 크기보다 크게 구현되어, 구매자(120)가 증강 현실에서 단말기(150)를 시인하지 못하도록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증강 현실 기기(140)는 단말기(150) 주변의 배치를 제공받고, 단말기(150) 주변의 빈 공간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에서 구현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단말기(150)의 위치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는 단말기(150)로부터 변경된 위치 정보 또는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의 배치를 변경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도 9a 내지 도 9d의 과정은, 단말기(150)와 증강 현실 기기(140)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울 때 진행될 수 있다. 단말기(150)기와 증강 현실 기기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보다 멀 경우, 현실 세계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9a 내지 도 9d의 과정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별도의 단말기 없이도, 증강 현실 기기(140)만으로도 증강 현실 공간(170)에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위치 및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매자(120)는 증강 현실 기기(14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증강 현실 공간(170)의 위치 및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증강 현실 기기(140)에 포함된 광학 센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한 위치와 방향를 분석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에 획득한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기(140)가 거리가 분석된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지 여부를 판단(S1000)한 후, 증강 현실 기기(140)가 선택된 위치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지 않은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는 대기 상태(S4000)로 유지된다. 대기 상태(S4000)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는 선택된 위치에 증강 현실 기기(140)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기(140)가 선택된 위치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에 포함된 광학 센서 및 GPS 장치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기기(140)가 존재하는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의 위치 및 방향과, 기-선택되어 분석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위치 및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0).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의 위치 및 방향이,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에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의 위치 및 방향이,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선택된 증강 현실 공간(170)에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구현할 위치 및 방향과 다른 공간이므로, 증강 현실 기기(140)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을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에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이 청각적 효과를 동반하는 경우, 증강 현실 기기(14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기초하여,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170)에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 외에 청각적 효과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기기(140)를 통해 구현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은,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구매한 구매자(120) 외에도, 증강 현실 기기(140)를 착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도 구현될 수 있따. 따라서, 현실 공간에 실제 인테리어 물품이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120)에게 실제 인테리어 물품을 소유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소유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이 텔레비전 등과 같이, 동적인 콘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물건일 경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160)에 표시되는 동적인 콘텐츠는, 같은 공간 내에 위치하고, 같은 서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증강 현실 기기(140)에서 모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같은 공간 내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은 서로 같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같은 공간 내에 위치하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증강 현실 기기(140)마다 서로 다른 콘텐츠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같은 공간 내에서 증강 현실 기기(140)를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콘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통하여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구매자(120)는 플랫폼(100) 서버에 업로드된 복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들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받은 후,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기-설정된 교환 조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특정 액수의 거래 대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구매자(120)로부터 제공한 특정 액수의 거래 대금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자(120)의 입력에 따른 제안 조건(예를 들어 거래 대금 입금)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기-설정된 교환 조건의 정보와 수신한 제안 조건의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한 제안 조건의 정보가 기-설정된 교환 조건의 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구매자(1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00)을 이용하는 구매자(120)는 복수의 구매자들인(120_1, 제1 구매자(120_1), 제2 구매자(120_2), 제3 구매자(120_3) 및 제4 구매자(120_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는 구매자(120)가 네 명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이 플랫폼(100)을 통하여 구매하기를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이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00)은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각각에게 기-설정된 교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각각으로부터 제안 조건의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교환 조건과 수신한 제안 조건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중 기-설정된 교환 조건과 대응되는 제안 조건의 정보를 제공한 적어도 한명의 구매자에게,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각각이 제공한 제안 조건의 정보가 기-설정된 교환 조건과 모두 대응될 경우, 플랫폼(100)은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각각에게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각각에게 제공되는 접근 권한은, 동일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랫폼(100)의 규정 및 플랫폼(100)에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판매한 판매자와 플랫폼(100)과의 계약 관계 등에 따라, 플랫폼(100)은 제1 내지 제4 구매자들(120_1, 120_2, 120_3, 120_4) 중 가장 먼저 기-설정된 교환 조건에 대응되는 제안 조건의 정보를 제공한 구매자에게만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송신하거나, 혹은 가장 높은 조건의 제안 조건의 정보를 제공한 구매자에게만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기록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증강 현실 공간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상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선별된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플랫폼을 통하여 검색된 인테리어 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제안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하여 기-설정된 교환 조건과 상기 제안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 조건이 상기 교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소유한 상기 플랫폼의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교환 조건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제안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소유한 상기 플랫폼의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안 조건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을 사용하는 제2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상기 접근 권한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기기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 내의 위치 및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상기 계산된 위치 및 방향에 구현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기기는,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구현할 위치 및 방향을 선택하고,
    광학 센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기 위치 및 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증강 현실 기기가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상기 광학 센서 및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위치 및 방향이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상기 위치 및 방향이, 상기 분석된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을 상기 현재의 증강 현실 공간의 상기 위치 및 방향에 구현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의 보관을 요청하는 보관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상에 상기 거래된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현실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이 구현되지 않는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증강 현실 공간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3D 모델링 제작 도구를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물품에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 상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원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 중 획득한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며,
    상기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테리어 물품으로 구현되는 서버.
KR1020220140817A 2022-10-28 2022-10-28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40059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817A KR20240059839A (ko) 2022-10-28 2022-10-28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817A KR20240059839A (ko) 2022-10-28 2022-10-28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839A true KR20240059839A (ko) 2024-05-08

Family

ID=9107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817A KR20240059839A (ko) 2022-10-28 2022-10-28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8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28A (ko)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20010178A (ko) 2020-07-17 2022-01-25 (주)고운우리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장치 및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828A (ko) 2020-06-04 2021-12-13 황은기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ar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20010178A (ko) 2020-07-17 2022-01-25 (주)고운우리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장치 및 인테리어 모델링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2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scenes for physical items
CN107003987A (zh) 增强的搜索查询建议
CN110325967A (zh) 速率限制器
CN107534586A (zh) 网站流量控制的系统和方法
KR102403331B1 (ko) 소재/부품 재고관리 및 스마트 거래 시스템, 방법
CN106651491A (zh) 用于使用设备对商品进行支付的方法及服务器
US202303259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2d image
KR20200144823A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834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models corresponding to product bundles
KR102439476B1 (ko)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가상 체험을 지원하기 위한 3d 모델의 사용을 허여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오픈 마켓 서버에서 상품과 3d 모델을 연관시켜 웹 페이지에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Wadhwa et al. Business model of amazon India-A case study
CN107851279A (zh) 智能发布列表引擎
KR102223656B1 (ko) 재고 폰케이스 판매 시스템
KR102501965B1 (ko)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장치 및 그들의 작동 방법
KR20240059839A (ko) 증강 현실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모델링 파일을 거래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Zhu et al. Case xi: Amazon’s DNA: Driving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digital economy
KR102627445B1 (ko) 메타버스를 이용한 꽃 상품 표시 및 주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7495034B2 (ja) 物理的アイテムに関する拡張現実シーンを生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95798B1 (ko) 주얼리 토탈 솔루션 시스템
US20230260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nd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matching objects
KR102352532B1 (ko) 실시간 매물 감정 거래 시스템
US202400463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real-world objects in virtual scenes
US2024016125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uning ai-generated images
US20240078594A1 (en) Dynamic gener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user-specific criteria
US202300702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tems having complementary materi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