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056A -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 Google Patents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056A
KR20240057056A KR1020220137311A KR20220137311A KR20240057056A KR 20240057056 A KR20240057056 A KR 20240057056A KR 1020220137311 A KR1020220137311 A KR 1020220137311A KR 20220137311 A KR20220137311 A KR 20220137311A KR 20240057056 A KR20240057056 A KR 2024005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ving
road surface
guided vehicle
drivin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남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플러스 filed Critical (주)디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13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056A/ko
Publication of KR2024005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more than fou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26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꼭지점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노면과 접지되면서 하중을 지탱하는 복수의 전방 캐스터 및 후방 캐스터와; 상기 본체의 중앙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주행노면과 접지되어 구동력을 형성하는 구동휠과; 주행중에 상기 주행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상기 구동휠이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접지력이 약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을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하는 접지강화부와; 상기 본체가 고르지 못한 상기 주행노면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좌우가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유동 방지부를; 포함한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제공함으로써, 운반물의 하중과 무인 운반차의 하중과는 관계없이 항상 총중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평탄도가 좋지 않은 바닥에서의 접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AUTOMATED GUIDE VEHICLE ABLE TO TRANSFER FOR HIGH WEIGHT LORD}
본 발명은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물의 하중과 무인 운반차의 하중과는 관계없이 항상 총중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평탄도가 좋지 않은 바닥에서의 접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무인운반차량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인 운반차량은 무인운반 차량의 본체(11) 하부의 중앙에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12)이 장착되고, 이 구동휠(12)의 전후로 캐스터(13, 14)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12)을 구동 모터를 매개로 회전시켜 주행노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휠(12)에 전후에 설치된 상기 캐스터(13, 14)는 구동휠(12)이 회전되어 본체(1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 주행노면과 접지되어 본체(11)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회전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휠(12)와 캐스터(13, 14)로 무인운반차량의 주행노면을 따라 주행될 때에 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본체(11)가 충격을 받게 될 경우가 있을 때, 이 충격을 적절히 흡수해서 주행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해 서스펜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무인운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2)의 전후에 배치된 캐스터(13, 14)에 충격흡수스프링(15, 16)이 각각 끼워져, 주행중에 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받게되는 충격을 상기 스프링(15,16)이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주행중이나 혹은 정치후에 재출발할 때에 본체(11)의 앞쪽이나 뒷쪽이 들어올려지는 이른바 피칭(Pitching)현상이 발생되어 주행 안정성이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스펜션 장치도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충격흡수스프링(15)이 구동휠(12)측에 장착되어 도 1에 도시된 서스펜션 장치와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휠(12)의 전후로 장착된 캐스터(13, 14)에 항상 일정한 분배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주행중에 피칭현상이 발생될 염려는 없기는 하지만, 이 서스펜션 장치에서는 물품 직재 하중을 상기 캐스터(13, 14)가 거의 담당해서 지탱하고 구동휠(12)에는 단지 충격흡수스프링(15)의 복원력만이 가해지기 때문에 구동휠(12)의 접지력이 약해서 주행중 구동휠(12)이 쉽게 미끄러질 뿐만 아니라 적재 한도 중량도 작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물의 하중과 무인 운반차의 하중과는 관계없이 항상 총중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평탄도가 좋지 않은 바닥에서의 접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꼭지점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노면과 접지되면서 하중을 지탱하는 복수의 전방 캐스터 및 후방 캐스터와; 상기 본체의 중앙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주행노면과 접지되어 구동력을 형성하는 구동휠과; 주행중에 상기 주행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상기 구동휠이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접지력이 약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을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하는 접지강화부와; 상기 본체가 고르지 못한 상기 주행노면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좌우가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유동 방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캐스터와 상기 구동휠은 제1서스펜션 바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서스펜션 바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제1서스펜션 브라켓에 제1힌지축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강화부는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전방 캐스터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서스펜션 바의 일측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서스펜션 바를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휠이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으로 구성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유동 방지부는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후방 캐스터를 상호 연결하는 제2서스펜션 바와, 상기 제2서스펜션 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방 하면 중앙에 설치된 제2서스펜션 브라켓과, 상기 제2서스펜션 브라켓에 상기 제2서스펜션 바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전, 후방 하부에는 상기 본체가 이동하다가 외부의 구조물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충격흡수범퍼가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는 운반물의 하중과 무인 운반차의 하중과는 관계없이 항상 총중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평탄도가 좋지 않은 바닥에서의 접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무인운반차량의 서스펜션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Ⅳ-Ⅳ'선에 따라 절개한 구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Ⅴ-Ⅴ'선에 따라 절개한 구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Ⅳ-Ⅳ'선에 따라 절개한 구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Ⅴ-Ⅴ'선에 따라 절개한 구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꼭지점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노면과 접지되면서 하중을 지탱하는 복수의 전방 캐스터(210) 및 후방 캐스터(220)와; 상기 본체(100)의 중앙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310)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주행노면과 접지되어 구동력을 형성하는 구동휠(300)과; 주행중에 상기 주행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상기 구동휠(300)이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접지력이 약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300)을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하는 접지강화부(400)와; 상기 본체(100)가 고르지 못한 상기 주행노면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좌우가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유동 방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100)는 평탄한 상면을 구비하여 상면에 고중량 운송물이 적재되어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고중량의 운송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하면에는 복수의 전방 캐스터(210)와 후방 캐스터(220) 및 구동휠(300)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캐스터(210)는 본체(100) 전방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 캐스터(220)는 본체(100) 후방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00)가 이동시에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본체(100)에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브라켓(211, 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방 캐스터(210)와 후방 캐스터(220)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스스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휠(300)의 구동력이 본체(100)로 전달되어 본체(100)가 이동시에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부재로서, 고중량 운송물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방 캐스터(210)와 후술할 구동휠(300)은 제1서스펜션 바(3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제1서스펜션 바(320)는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된 제1서스펜션 브라켓(330)에 제1힌지축(34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전방 캐스터(210)가 본체(100)의 중앙 영역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휠(300)과 제1서스펜션 바(3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됨으로써 주행노면과 항시 3점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체 중량과 관계없이 구동 접지력이 33% 이상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무인 운반차 자체의 중량을 임의로 높이지 않아도 구동휠(300)이 주행노면과 일정 정도 이상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운반물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무인 운반차 차체 또한 무거워지고 구동휠(30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10)의 동력이 커져야하는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휠(300)은 본체(100)의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구동휠(300) 일측의 본체(100) 하부에는 별도의 구동모터(310)가 설치되어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구동휠(30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동휠(30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본체(100)가 이동하면서 운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휠(300)은 전방 캐스터(210)와 제1서스펜션 바(3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제1서스펜션 바(320)가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된 제1서스펜션 브라켓(330)에 제1힌지축(34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본체(10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휠(300)과 한 쌍의 전방 캐스터(210)가 주행노면과 3점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동휠(300)의 구동 접지력이 33% 이상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무인 운반차 자체의 중량을 임의로 높이지 않아도 구동휠(300)이 주행노면과 일정 정도 이상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접지강화부(400)는 주행중에 상기 주행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상기 구동휠(300)이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접지력이 약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300)을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지강화부(400)는 제1힌지축(340)과 전방 캐스터(21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이 제1서스펜션 바(320)의 일측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타단이 본체(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제1서스펜션 바(320)를 탄성지지함으로써 구동휠(200)이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41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탄성스프링(410)은 본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타단이 본체(100)의 일측과 접촉되어 있으며, 일단은 제1서스펜션 바(320)의 일측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프링(410)은 압축시에 탄성이 발생하여 구동휠(300)이 주행노면을 향하여 가압될 수 있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탄성스프링(410)의 길이는 전방 캐스터(210)의 위치보다 다소 하측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탄성스프링(410)의 중앙 영역에는 별도의 지지축(411)이 설치되도록 하여 탄성스프링(410)이 수축시에 일측으로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지지축(411)의 길이는 탄성스프링(410)의 길이보다는 다소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유동 방지부(500)는 본체(100)가 고르지 못한 상기 주행노면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좌우가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좌우유동 방지부(500)는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후방 캐스터(220)를 상호 연결하는 제2서스펜션 바(510)와, 상기 제2서스펜션 바(5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방 하면 중앙에 설치된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과, 상기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에 상기 제2서스펜션 바(5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힌지축(5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서스펜션 바(510)는 본체(1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힌지축(530)에 의하여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에 좌우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후방 캐스터(220)는 별도의 브라켓(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라켓(221)은 제2서스펜션 바(510)의 양측 하부에 자전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제2서스펜션 바(510)와 후방 캐스터(220)를 이용하여 고르지 못한 주행노면을 주행시에도 본체(10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록 함과 동시에 일정 정도 주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체(100)의 전, 후방 하부에는 본체(100)가 이동하다가 외부의 구조물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충격흡수범퍼(110)가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충격흡수범퍼(110)가 본체(100)의 전, 후방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본체(100)가 고중량의 운송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하다가 외부의 구조물과 가벼운 충돌을 하더라도 고중량의 운송물이 적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운송물을 운송하는 과정을 도 4a와 도 4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운송물을 본체(100)의 상면에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하다가 주행노면의 일측에 움푹 패인 곳을 지나가다가 구동휠(300)이 움푹 패인 곳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스프링(410)의 탄성에 의하여 제1서스펜션 바(320)가 회전 구동하면서 구동휠(300)이 주행노면의 움푹 패인 곳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구동휠(300)의 구동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무인 운반차의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서스펜션 바(320)가 회전 구동하여 구동휠(300)이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되므로 본체(100)가 수평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운송물을 본체(100)의 상면에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하다가 주행노면의 일측에 움푹 패인 곳을 지나가다가 좌측이나 우측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방 캐스터(220)가 움푹 패인 곳에 빠지게 되면, 제2서스펜션 바(510)가 회전 구동하면서 후방 캐스터(220)가 주행노면의 움푹 패인 곳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체(100)에 구비된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서스펜션 바(510)의 회전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후방 캐스터(220)가 움푹 패인 곳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는 운반물의 하중과 무인 운반차의 하중과는 관계없이 항상 총중량의 일정 비율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평탄도가 좋지 않은 바닥에서의 접지력을 강화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충격흡수범퍼
210 : 전방 캐스터 220 : 후방 캐스터
300 : 구동휠 310 : 구동모터
320 : 제1서스펜션 바 330 : 제1서스펜션 브라켓
340 : 제1구동축 400 : 접지강화부
410 : 탄성스프링 500 : 좌우유동 방지부
510 : 제2서스펜션 바 520 : 제2서스펜션 브라켓
530 : 제2구동축

Claims (5)

  1. 평탄한 상면을 구비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꼭지점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행노면과 접지되면서 하중을 지탱하는 복수의 전방 캐스터(210) 및 후방 캐스터(220)와;
    상기 본체(100)의 중앙 영역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310)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주행노면과 접지되어 구동력을 형성하는 구동휠(300)과;
    주행중에 상기 주행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상기 구동휠(300)이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접지력이 약화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휠(300)을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하는 접지강화부(400)와;
    상기 본체(100)가 고르지 못한 상기 주행노면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좌우가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유동 방지부(5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캐스터(210)와 상기 구동휠(300)은 제1서스펜션 바(32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서스펜션 바(320)는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된 제1서스펜션 브라켓(330)에 제1힌지축(34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강화부(400)는 상기 제1힌지축(340)과 상기 전방 캐스터(210)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서스펜션 바(320)의 일측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제1서스펜션 바(320)를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구동휠(200)이 상기 주행노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4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유동 방지부(500)는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후방 캐스터(220)를 상호 연결하는 제2서스펜션 바(510)와, 상기 제2서스펜션 바(5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후방 하면 중앙에 설치된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과, 상기 제2서스펜션 브라켓(520)에 상기 제2서스펜션 바(5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힌지축(5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 후방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가 이동하다가 외부의 구조물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충격흡수범퍼(110)가 상기 주행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KR1020220137311A 2022-10-24 2022-10-24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KR20240057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11A KR20240057056A (ko) 2022-10-24 2022-10-24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11A KR20240057056A (ko) 2022-10-24 2022-10-24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056A true KR20240057056A (ko) 2024-05-02

Family

ID=9107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311A KR20240057056A (ko) 2022-10-24 2022-10-24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0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176A (en) Collapsible trailer
US20170341465A1 (en) Mecanum-wheeled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JP4339394B2 (ja) 台車
RU2131363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контейнера или аналогичного груза на погрузочную платформу и снятия их с нее
US20080196374A1 (en) Mower with cushioned suspension for operator support platform having stowed and deployed positions
JPH0445386B2 (ko)
CN1874924A (zh) 站板
JP2022542911A (ja) 無人運転輸送システム
US6142496A (en) Low load floor trailer and suspension system
WO2007036234A1 (en) Arrangement for the suspension of a number of wheels
CN206201888U (zh) 一种用于重载agv的多连杆独立悬挂底盘
KR20240057056A (ko) 고중량 운송이 가능한 무인 운반차
JP4840013B2 (ja) 無人搬送台車
KR0120786Y1 (ko) 무인운반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170133993A (ko) 무인운반차량용 캐스터
CN214296039U (zh) 一种仓储搬运车
SE1551067A1 (en) Roll container
JPS6337307Y2 (ko)
US2782051A (en) Spring suspension for a tandem trailer device
US4640528A (en) Torsion-absorbing highway semitrailer
US20120032492A1 (en) Tow Trailer
JP3383780B2 (ja) 運搬台車
EP3459814B1 (en) Stabilizing support wheel device and an industrial truck with such a support wheel device
JP2012056444A (ja) 歩行型運搬車
NL2006643C2 (nl) Oplegger voorzien van kantelbare laadvloer met luchtbal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