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596A - 항-siglec-6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항-siglec-6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596A
KR20240056596A KR1020247012180A KR20247012180A KR20240056596A KR 20240056596 A KR20240056596 A KR 20240056596A KR 1020247012180 A KR1020247012180 A KR 1020247012180A KR 20247012180 A KR20247012180 A KR 20247012180A KR 20240056596 A KR20240056596 A KR 2024005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antibody
seq
acid sequence
hv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래드포드 에이. 영블러드
줄리아 샤닌
존 르엉
우터 코버
투이 루
에밀리 씨. 브록
Original Assignee
알라코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라코스 인크. filed Critical 알라코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5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5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lectin superfamily, e.g. CD23, CD7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1Decreased effector function due to an Fc-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항-Siglec-6 항체, 및 비만 세포-매개 장애를 치료 및 예방하는 데 있어서의 그의 용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SIGLEC-6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9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45,164호, 2022년 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310,012호, 및 2022년 6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352,964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들 가출원 각각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전자 서열 목록에 대한 참조>
전자 서열 목록 (701712001540seqlist.xml; 크기: 143,365 바이트; 및 생성일: 2022년 9월 13일)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항-인간 Siglec-6 항체, 및 Siglec-6을 발현하는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Siglec (시알산-결합 이뮤노글로불린-유사 렉틴)은 백혈구 상에서 우세하게 발견되며 세포-표면 당접합체에 부착된 시알산에 대한 그의 특이성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통과 막횡단 세포 표면 단백질이다. Siglec 패밀리는 포유동물에서 발견되는 적어도 15종의 구성원을 함유한다 (문헌 [Pillai et al., Annu Rev Immunol., 2012, 30:357-392]). 이들 구성원은 시알로어드헤신 (Siglec-1), CD22 (Siglec-2), CD33 (Siglec-3), 미엘린 연관 당단백질 (Siglec-4), Siglec-5, OBBP1 (Siglec-6), AIRM1 (Siglec-7), SAF-2 (Siglec-8), 및 CD329 (Siglec-9)를 포함한다.
Siglec-6 (CD327로도 공지됨)은 비만 세포, 예를 들어 인간 조직 비만 세포, HMC-1 세포, 및 CD34+ 유래된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억제 수용체이다. 비만 세포는 식품 알레르기,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비만세포증, IPF, COPD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수많은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병원성 구동자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문헌 [Yu, Y. et al. (2018) Front. Immunol. 9:2138; Yokoi, H. et al. (2006) Allergy 61:769-76; WO2005124358]; 및 US PG 공개 번호 US20060269556A1 및 US20080267973A1을 참조한다. Siglec-6과 항체의 결속은 IgE-매개 비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인간 Siglec-6과 고친화도로 결합하고 강력한 비만 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항체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Siglec-6 표면 발현 및 비만 세포 활성화/억제를 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이한 특징을 갖는,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가 필요하며, 이는 그의 생체내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허 출원, 특허 공개, 및 과학 문헌을 비롯한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각각의 개별 참고문헌이 구체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이러한 필요 및 다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특히,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조성물, 용도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1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1은 서열식별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2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2는 서열식별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3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3은 서열식별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9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9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9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8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6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하고,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Fc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의 존재 하에 인간 비만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의 이량체화 및 내재화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CD63의 발현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IL-13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IL-8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CCL4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CCL2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활성 트립타제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IL-6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히스타민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에 의한 키마제의 방출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인간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의 존재 하에,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을 발현하는 세포 (예를 들어, 그의 세포 표면 상에)를 표적화하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 및/또는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식세포작용 (ADCP)을 유도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약 250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9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9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9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8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6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0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5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5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0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4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4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3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3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2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2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1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1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0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0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9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9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8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8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7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7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6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6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5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5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4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4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3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3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3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2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2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3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1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1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6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6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7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7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8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8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인간 Fc 영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인간 IgG1, 인간 IgG2 또는 인간 IgG4 Fc 영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따라 넘버링된 아미노산 치환 S228P를 포함하는 인간 IgG4 Fc 영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1 또는 10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a) L234 및/또는 L235; (b) A327, A330 및/또는 P331; (c) E233, L234, L235 및/또는 G236; (d) E233, L234 및/또는 L235; (e) E233, L234, L235, G236, A327, A330 및/또는 P331; (f) E233, L234, L235, A327, A330 및/또는 P331; (g) N297; (h) L242, N297 및/또는 K334; (i) A287, N297 및/또는 L306; (j) R292, N297 및/또는 V302; (k) N297, V323 및/또는 I332; (l) V259, N297 및/또는 L306; (m) L234, L235, K322, M252, S254 및/또는 T256; (n) L234, L235 및/또는 P329; 또는 (o) L234, L235 및/또는 K322.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a) L234A 및/또는 L235A; (b) A327G, A330S 및/또는 P331S; (c) E233P, L234V, L235A 및/또는 G236del; (d) E233P, L234V 및/또는 L235A; (e) E233P, L234V, L235A, G236del, A327G, A330S 및/또는 P331S; (f) E233P, L234V, L235A, A327G, A330S 및/또는 P331S; (g) N297A; (h) N297G; (i) N297Q; (j) L242C, N297C 및/또는 K334C; (k) A287C, N297G 및/또는 L306C; (l) R292C, N297G 및/또는 V302C; (m) N297G, V323C 및/또는 I332C; (n) V259C, N297G 및/또는 L306C; (o) L234F, L235Q, K322Q, M252Y, S254T 및/또는 T256E; (p) L234A, L235A 및/또는 P329G; 또는 (q) L234A, L235Q 및/또는 K322Q.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인간 IgG2 Fc 영역을 포함한다: (a) A330 및/또는 P331; (b) V234, G237, P238, H268, V309, A330 및/또는 P331; 또는 (c) V234, G237, H268, V309, A330, P331, C232, C233, S267, L328, M252, S254 및/또는 T256.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2 Fc 영역을 포함한다: (a) A330S 및/또는 P331S; (b) V234A, G237A, P238S, H268A, V309L, A330S 및/또는 P331S; 또는 (c) V234A, G237A, H268Q, V309L, A330S, P331S, C232S, C233S, S267E, L328F, M252Y, S254T 및/또는 T256E.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인간 IgG4 Fc 영역을 포함한다: (a) E233, F234, L235 및/또는 G236; (b) E233, F234 및/또는 L235; 또는 (c) S228 및/또는 L235.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4 Fc 영역을 포함한다: (a) E233P, F234V, L235A 및/또는 G236del; (b) E233P, F234V 및/또는 L235A; (c) S228P 및/또는 L235E; 또는 (d) S228P 및/또는 L235A.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증진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a) F243, R292, Y300, V305 및/또는 P396; (b) S239 및/또는 I332; (c) S239, I332 및/또는 A330; (d) S298, E333 및/또는 K334; (e) G236, S239 및/또는 I332; (f) K326 및/또는 E333; (g) S267, H268 및/또는 S324; 또는 (h) E345, E430 및/또는 S440.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a) F243L, R292P, Y300L, V305I 및/또는 P396L; (b) S239D 및/또는 I332E; (c) S239D, I332E 및/또는 A330L; (d) S298A, E333A 및/또는 K334A; (e) G236A, S239D 및/또는 I332E; (f) K326W 및/또는 E333S; (g) S267E, H268F 및/또는 S324T; 또는 (h) E345R, E430G 및/또는 S440Y.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중쇄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는 비-푸코실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알파-1,6-푸코실트랜스퍼라제 (Fut8) 녹아웃을 갖는 세포주에서 생산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β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제 III (GnT-III)을 과다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생산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골지 μ-만노시다제 II (ManII)를 추가적으로 과다발현하는 β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제 III (GnT-III)을 과다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생산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Fab, F(ab')2, Fab'-SH, Fv 및 scFv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체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경쇄 불변 (C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L 도메인은 인간 카파 CL 도메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10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다중특이적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작용제에 접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작용제는 세포독성제 또는 표지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Fc 영역 및 Fc 영역에 연결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를 포함하며, 여기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의 50% 미만은 푸코스 잔기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 중 실질적으로 어떠한 것도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를 코딩하는 1종 이상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들) 및/또는 벡터(들)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또는 곤충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숙주 세포는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CHO)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숙주 세포는 Fut8 녹아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숙주 세포는 GnT-III을 과다발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숙주 세포는 GnT-III을 과다발현하고, 추가적으로 ManII를 과다발현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숙주 세포를 항체를 생산하는 조건 하에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숙주 세포에 의해 생산된 항체를 회수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의약을 포함하는 키트 또는 제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 또는 제조 물품은,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의약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의 의약의 투여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하는 패키지 삽입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대상체에게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고갈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예를 들어, 예컨대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고/거나,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거나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측면은, 예를 들어, 예컨대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고/거나,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거나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항체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활성 트립타제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활성 트립타제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CL2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CL2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13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13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8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8의 감소된 수준을 일으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CL4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CL4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6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히스타민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히스타민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키마제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키마제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PA3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PA3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류코트리엔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류코트리엔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D63, CD107a, CD203c, IgE 또는 MRGPRX2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 (예를 들어, 생검 샘플)에서 CD63, CD107a, CD203c, IgE 또는 MRGPRX2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샘플은 생검 샘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샘플은 혈청, 혈장 또는 소변 샘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투여 전 개체에서의 1종 이상의 증상과 비교하여 개체에서 1종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증상은 오심, 경련, 변비, 복통, 복부팽창, 구토, 설사, 피로, 눈 통증, 광 감수성, 발적, 분비물, 콧물, 두통, 어지럼증, 브레인 포그, 가려움증, 홍조, 발한, 심마진, 저혈압, 숨가쁨, 골통, 관절통, 체중 감소, 골다공증, 혈관부종, 흉통, 불안, 우울증, 빠른 심박동, 기관지수축 및 일반적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상태는 비만세포증,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체는 비만세포증,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을 갖거나 또는 이로 진단되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양태의 특성 중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조합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양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측면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실시양태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 의해 추가로 기재된다.
도 1a는 Siglec-6이 인간 1차 조직 비만 세포 상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고, 다른 면역 세포 상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MFI, 중앙 형광 강도; NK, 자연 킬러 세포; DC, 수지상 세포.
도 1b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2는 항-Siglec-6 모노클로날 항체 (mAb)가 인간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활성화 마커 CD63을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도 3a-3c는 항-Siglec-6 mAb가 인간 비만 세포로부터의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프로테아제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IL-8 (도 3a), CCL4 (도 3b), 및 활성 트립타제 (도 3c)의 생산을 나타낸다.
도 4a는 Siglec-6 mAb 억제가 에피토프 위치에 의존적임을 나타내고, 항-Siglec-6 mAb에 대한 비닝 정보를 제공한다.
도 4b는 도 4a에 제시된 각각의 빈을 나타내는 항-Siglec-6 mAb에 의한 인간 비만 세포 활성화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특정 항-Siglec-6 mAb가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Siglec-6의 내재화를 촉진하지만, 모든 항-Siglec-6 mAb가 그렇지는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항-Siglec-6 mAb AK04가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Siglec-6 내재화를 유도하기 위해 Fc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Siglec-6 mAb AK04 및 AK02가 활성화된 인간 비만 세포로부터 IL-13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a-8f는 Siglec-6 mAb가 인간화 마우스에서 생체내 전신 아나필락시스 및 비만 세포 매개체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평균 +/- SD로서 플롯팅된다; n=6-7 마우스/군.
도 9는 Siglec-6 mAb AK04가 인간 조직 비만 세포에 대해 항체-의존성 세포성 식세포작용 (ADCP)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a-10c는 항-Siglec-6 항체 AK05 (도 10a), AK04 (도 10b), 및 MAB2859 (도 10c)에 대한 에피토프 맵핑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10c에서, 표시된 항-Siglec-6 항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미노산의 넘버링은 서열식별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Siglec-6 ECD 서열에 따른다.
도 11a 및 11b는 항-Siglec-6 mAb 치료가 생체내에서 KIT (CD117)-매개 비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복막 비만 세포 상에서의 CD63 발현을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11a, 좌측 패널). IL-6 (도 11a, 중앙 패널), CCL2/MCP-1 (도 11a, 우측 패널), TNF (도 11b, 좌측 패널), 및 CXCL1/GRO-α (도 11b, 우측 패널)를 포함한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수준을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MSD)에 의해 복막 세척으로 측정하였다. * p < 0.01; n=7-8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PBS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이소형 mAb + 마우스 줄기 세포 인자 (SCF)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고, 항-Siglec-6 mAb + SCF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도 11c는 Siglec-6이 비만 세포 (MC)에서 CD117/KIT와 상호작용하고 공동국재화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Siglec-6 및 CD117에 대한 공동-면역침전/웨스턴 블롯팅 (좌측), 뿐만 아니라 1차 MC를 사용한 공초점 현미경에 의한 공동국재화 (우측)에 의해 입증되었다.
도 11d는 항-Siglec-6 및 항-SHP-1 항체를 사용한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비만 세포에서 억제 포스파타제 Shp-1과 Siglec-6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비-수용체 억제 포스파타제 Shp-1은 인산화 시 Siglec-6 면역수용체 티로신-기재 억제 모티프 (ITIM)와 연관되었다. 화살표는 억제 포스파타제 Shp-1과 Siglec-6 사이의 공동국재화를 표시한다.
도 11e는 Siglec-6의 항체-매개 결속을 통한 비만 세포 억제에 대한 모델을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항-Siglec-6 mAb 치료가 합텐-유도된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서 피부 염증을 억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귀 팽윤에서의 퍼센트 변화를 디니트로클로로벤젠 (DNFB) 챌린지 24시간 후에 결정하였다 (도 12a, 좌측 패널).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수준 (도 12a, 중앙 및 우측 패널, 표시된 바와 같음)을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MSD)에 의해 3시간 동안 생체외 배양된 귀에서 측정하였다. 비만 세포 (도 12b, 좌측 패널) 및 CD8+ T 세포 (도 12b, 우측 패널)의 계수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피부 염증을 또한 측정하였다. * p < 0.01; n=6-7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모의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이소형 mAb + DNFB (합텐)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고, 항-Siglec-6 mAb + DNFB (합텐) 치료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도 13은 항-Siglec-6 mAb가 IgE-매개 인간 조직 비만 세포 활성화를 강력하게 억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동 세포측정법을 통해 CD63 발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음).
도 14는 생체내 인간 조직 비만 세포의 감소가 항-Siglec-6 mAb의 Fc 영역에 의존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간화 마우스 (SGM3-BLT)의 복막강 (좌측 패널) 및 폐 (우측 패널)로부터의 비만 세포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n=5-6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이소형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Siglec-6 mAb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고, 항-Siglec-6 F(ab')2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도 15a는 급성, IL-33-구동된 피부 염증의 마우스 모델에서 항-Siglec-6 mAb의 활성을 시험하기 위한 개략적 시간선을 제공한다. ISO, 이소형; S6, 항-Siglec-6 mAb.
도 15b-15d는 귀-침윤 비만 세포, 호중구 및 단핵구 수의 유의한 감소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항-Siglec-6 mAb 치료가 IL-33-매개 염증을 억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만 세포 (도 15b), 호중구 (도 15c), 및 단핵구 (도 15d) 수는 항-Siglec-6 mAb로 치료되고 IL-33의 피내 주사를 받았지만 PBS는 받지 않은 마우스의 귀에서 감소되었다. * p < 0.01; n=6-7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PBS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IL-33-치료된 이소형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고, IL-33-치료된 항-Siglec-6 mAb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도 16a는 항원-유도된 알레르기성 위장 질환의 마우스 모델에서 항-Siglec-6 mAb의 활성을 시험하기 위한 개략적 시간선을 제공한다. OVA, 오브알부민; ISO, 이소형; S6, 항-Siglec-6 mAb.
도 16b는 항-Siglec-6 mAb가 이소형 대조군과 비교하여 오브알부민으로 감작 및 후속적으로 챌린지된 마우스에서 알레르기성 위장 질환을 억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위-침윤 비만 세포 및 호산구는 이소형 대조군을 제공받는 마우스와 비교하여 항-Siglec-6 mAb를 제공받는 항원-자극된 마우스에서 감소되었는데, 활성화의 마커로서 비만 세포 상에서의 CD63 발현 수준도 그러하였다. OVA-치료된 마우스의 위강으로부터의 비만 세포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CD63 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 p < 0.01; n=6-7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PBS 비자극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자극된 이소형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며, 자극된 항-Siglec-6 mAb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MC, 비만 세포; Eos, 호산구.
도 17은 이소형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Siglec-6 mAb로 치료된 알레르기성 마우스의 혈청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수준의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IL-4, IL-13, MIP-2, 및 CCL4)을 나타낸다. * p < 0.01; n=6-7 마우스/군. 모든 패널에 대해, PBS 비자극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좌측에 나타내고, 자극된 이소형 대조군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에 나타내며, 자극된 항-Siglec-6 mAb로부터의 데이터는 우측에 나타낸다.
도 18a-18c는 항-Siglec-6 mAb가 MRGPRX2 효능제 LL37에 의해 구동된 염증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8a는 PBS 단독 ("PBS"), LL37 및 이소형 대조군 항체 ("이소형"), 및 LL37 및 항-Siglec-6 mAb ("Siglec-6")로 치료된 마우스의 피부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피부 염증을 나타낸다. 도 18b는 PBS 단독 (모든 그래프에서 좌측 막대), LL37 및 이소형 대조군 항체 (모든 그래프에서 중간 막대), 또는 LL37 및 항-Siglec-6 mAb (모든 그래프에서 우측 막대)로 치료된 마우스에서의 병변 피부로부터 수득된 호산구 (좌측 상단), 단핵구 (우측 상단), 및 비만 세포 (좌측 하단)의 계수를 나타낸다. 도 18c는 PBS 단독 (좌측 막대), LL37 및 이소형 대조군 항체 (중간 막대), 또는 LL37 및 항-Siglec-6 mAb (우측 막대)로 치료된 마우스에서의 비-병변 피부로부터 수득된 비만 세포의 계수를 나타낸다.
I. 정의
본 개시내용은 특정한 조성물 또는 생물계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물론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양태를 기재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는 내용이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분자"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이러한 분자의 조합 등을 임의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은 이 기술 분야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공지된 각각의 값에 대한 통상의 오차 범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약" 값 또는 파라미터에 대한 언급은 그 값 또는 파라미터 자체에 관한 실시양태를 포함 (및 기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측면 및 실시양태는 측면 및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이뮤노글로불린 Fc 영역을 갖는 전장 항체 포함), 폴리에피토프 특이성을 갖는 항체 조성물, 다중특이적 항체 (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디아바디 및 단일쇄 분자), 뿐만 아니라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 F(ab')2 및 Fv)을 포함한다. 용어 "이뮤노글로불린" (Ig)은 본원에서 "항체"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기본적인 4-쇄 항체 단위는 2개의 동일한 경쇄 (L) 및 2개의 동일한 중쇄 (H)로 구성된 이종사량체 당단백질이다. IgM 항체는 J 쇄로 불리는 추가의 폴리펩티드와 함께 5개의 기본 이종사량체 단위로 이루어지고, 10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반면에, IgA 항체는 중합되어 J 쇄와 조합된 다가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2-5개의 기본 4-쇄 단위를 포함한다. IgG의 경우, 4-쇄 단위는 일반적으로 약 150,000 달톤이다. 각각의 L 쇄는 1개의 공유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H 쇄에 연결되는 한편, 2개의 H 쇄는 H 쇄 이소형에 따라 1개 이상의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H 및 L 쇄는 또한 규칙적으로 이격된 쇄내 디술피드 가교를 갖는다. 각각의 H 쇄는 N-말단에 가변 도메인 (VH)을 갖고, 이어서 α 및 γ 쇄 각각의 경우에는 3개의 불변 도메인 (CH)을 갖고, μ 및 ε 이소형의 경우에는 4개의 CH 도메인을 갖는다. 각각의 L 쇄는 N-말단에 가변 도메인 (VL)을 갖고, 이어서 그의 다른 말단에 불변 도메인을 갖는다. VL은 VH와 정렬되고, CL은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 (CH1)과 정렬된다. 특정한 아미노산 잔기는 경쇄 및 중쇄 가변 도메인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VH 및 VL의 쌍형성은 함께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상이한 부류의 항체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Basic and Clinical Immunology, 8th Edition, Daniel P. Sties, Abba I. Terr and Tristram G. Parsolw (eds), Appleton & Lange, Norwalk, CT, 1994, page 71 and Chapter 6]을 참조한다.
임의의 척추동물 종으로부터의 L 쇄는 그의 불변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에 기초하여 카파 및 람다로 불리는 2개의 명백하게 구분되는 유형 중 하나로 배정될 수 있다. 그의 중쇄의 불변 도메인 (CH)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이뮤노글로불린은 상이한 부류 또는 이소형으로 배정될 수 있다. 각각 α, δ, ε, γ 및 μ로 지정된 중쇄를 갖는 5가지 부류의 이뮤노글로불린: IgA, IgD, IgE, IgG 및 IgM이 존재한다. γ 및 α 부류는 CH 서열 및 기능에서의 비교적 작은 차이에 기초하여 하위부류로 추가로 분류되며, 예를 들어 인간은 하기 하위부류: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를 발현한다. IgG1 항체는 동종이형으로 명명된 다중 다형성 변이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문헌 [Jefferis and Lefranc 2009. mAbs Vol 1 Issue 4 1-7]에서 검토됨), 이들 중 임의의 것은 본 개시내용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인간 집단에서 공통의 동종이형 변이체는 문자 a, f, n, z로 지정된 것이다.
"단리된" 항체는 그의 생산 환경의 성분으로부터 (예를 들어, 자연적으로 또는 재조합적으로) 확인, 분리 및/또는 회수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리된 폴리펩티드는 그의 생산 환경으로부터의 모든 다른 성분과의 회합이 없다. 그의 생산 환경의 오염 성분, 예컨대 재조합 형질감염된 세포로부터 생성된 것은 전형적으로 항체에 대한 연구, 진단 또는 치료 용도를 방해할 물질이고, 효소, 호르몬, 및 다른 단백질성 또는 비-단백질성 용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1) 예를 들어 로우리(Lowry) 방법에 의해 결정 시 95 중량% 초과, 일부 실시양태에서 99 중량% 초과의 항체로 정제되거나; (2) 스피닝 컵 서열분석기를 사용하여 N-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 중 적어도 15개의 잔기를 수득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정제되거나, 또는 (3) 쿠마시 블루 또는 은 염색을 사용하여 비-환원 또는 환원 조건 하에 SDS-PAGE에 의해 균질하게 정제된다. 단리된 항체는 재조합 세포 내의 계내 항체를 포함하는 데, 이는 항체의 자연 환경의 적어도 1종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단리된 폴리펩티드 또는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종인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지칭하며, 즉 집단을 구성하는 개별 항체는 미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 발생 돌연변이 및/또는 번역후 변형 (예를 들어, 이성질체화, 아미드화)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에서 C-말단 절단을 갖는다.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중쇄 및/또는 경쇄의 C-말단에서 절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말단 절단은 중쇄로부터 C-말단 리신을 제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중쇄 및/또는 경쇄에서 N-말단 절단을 갖는다.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중쇄 및/또는 경쇄의 N-말단에서 절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고, 단일 항원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고, 다중 항원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예컨대,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실질적으로 동종인 항체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바와 같은 항체의 특징을 나타내고, 임의의 특정한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되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 방법, 재조합 DNA 방법, 파지-디스플레이 기술, 및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전자좌 또는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동물에서 인간 또는 인간-유사 항체를 생산하는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용어 "네이키드 항체"는 세포독성 모이어티 또는 방사성표지에 접합되지 않은 항체를 지칭한다.
용어 "전장 항체", "무손상 항체" 또는 "전체 항체"는 항체 단편과 대조적으로, 그의 실질적으로 무손상 형태의 항체를 지칭하기 위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체 항체는 Fc 영역을 포함하는 중쇄 및 경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불변 도메인은 천연 서열 불변 도메인 (예를 들어, 인간 천연 서열 불변 도메인) 또는 그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무손상 항체는 하나 이상의 이펙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항체 단편"은 무손상 항체의 한 부분, 무손상 항체의 항원 결합 및/또는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Fab, Fab', F(ab')2 및 Fv 단편; 디아바디; 선형 항체 (미국 특허 번호 5,641,870, 실시예 2; 문헌 [Zapata et al., Protein Eng. 8(10): 1057-1062 [1995]] 참조); 단일-쇄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의 파파인 소화는 "Fab" 단편으로 불리는 2개의 동일한 항원-결합 단편 및 나머지 "Fc" 단편 (이 명칭은 용이하게 결정화되는 능력을 반영함)을 생산하였다. Fab 단편은 H 쇄의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하나의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 (CH1)과 함께 전체 L 쇄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Fab 단편은 항원 결합과 관련하여 1가이고, 즉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다. 항체의 펩신 처리는 상이한 항원-결합 활성을 갖는 2개의 디술피드 연결된 Fab 단편에 대략 상응하고 여전히 항원에 가교될 수 있는 단일의 대형 F(ab')2 단편을 생성한다. Fab' 단편은 항체 힌지 영역으로부터의 1개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한 CH1 도메인의 카르복시 말단에 몇개의 추가의 잔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Fab 단편과 상이하다. Fab'-SH는 불변 도메인의 시스테인 잔기(들)가 유리 티올 기를 보유하는 Fab'에 대한 본원의 명칭이다. F(ab')2 항체 단편은 원래 그들 사이에 힌지 시스테인을 갖는 Fab' 단편의 쌍으로서 생산되었다. 항체 단편의 다른 화학적 커플링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Fc 단편은 디술피드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두 H 쇄의 카르복시-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항체의 이펙터 기능은 특정 유형의 세포 상에서 발견되는 Fc 수용체 (FcR)에 의해 또한 인식되는 영역인 Fc 영역 내의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Fv"는 완전한 항원-인식 및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최소 항체 단편이다. 이 단편은 단단하게 비-공유 회합된 1개의 중쇄 및 1개의 경쇄 가변 영역 도메인의 이량체로 이루어진다. 이들 2개의 도메인의 폴딩으로부터 6개의 초가변 루프 (H 및 L 쇄로부터 각각 3개의 루프)가 발생하고, 이는 항원 결합을 위한 아미노산 잔기를 제공하고 항체에 항원 결합 특이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심지어 단일 가변 도메인 (또는 항원에 특이적인 3개의 HVR만을 포함하는 Fv의 절반)도 전체 결합 부위보다 더 낮은 친화도일지라도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다.
"sFv" 또는 "scFv"로도 약칭되는 "단일-쇄 Fv"는 단일 폴리펩티드 쇄로 연결된 VH 및 VL 항체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Fv 폴리펩티드는 sFv가 항원 결합을 위해 목적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VH 도메인과 VL 도메인 사이의 폴리펩티드 링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sFv의 검토를 위해, 문헌 [Pluckthun in The Pharmacology of Monoclonal Antibodies, vol. 113, Rosenburg and Moore eds., Springer-Verlag, New York, pp. 269-315 (1994)]을 참조한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의 "기능적 단편"은 일반적으로 무손상 항체의 항원 결합 또는 가변 영역 또는 변형된 FcR 결합 능력을 보유하거나 갖는 항체의 Fv 영역을 포함한 무손상 항체의 한 부분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의 예는 선형 항체, 단일-쇄 항체 분자 및 항체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구체적으로 중쇄 및/또는 경쇄의 한 부분이 특정한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특정한 항체 부류 또는 하위부류에 속하는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성이고, 쇄(들)의 나머지는 또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또 다른 항체 부류 또는 하위부류에 속하는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상동성인 "키메라" 항체 (이뮤노글로불린),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이러한 항체의 단편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번호 4,816,567; 문헌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6855 (1984)]). 본원의 관심 키메라 항체는 항체의 항원-결합 영역이, 예를 들어 마카크 원숭이를 관심 항원으로 면역화시킴으로써 생산된 항체로부터 유래된 것인 프리마티즈드(PRIMATIZED)® 항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인간화 항체"는 "키메라 항체"의 하위세트로 사용된다.
비-인간 (예를 들어, 뮤린)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비-인간 이뮤노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체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의 HVR로부터의 잔기가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도 및/또는 능력을 갖는 비-인간 종 (공여자 항체), 예컨대 마우스, 래트,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HVR로부터의 잔기로 대체된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수용자 항체)이다. 일부 경우에, 인간 이뮤노글로불린의 FR 잔기는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로 대체된다. 게다가, 인간화 항체는 수용자 항체 또는 공여자 항체에서 발견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변형은 항체 성능, 예컨대 결합 친화도를 추가로 정밀화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적어도 1개,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초가변 루프는 비-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서열의 것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 영역은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서열의 것이지만, FR 영역은 항체 성능, 예컨대 결합 친화도, 이성질체화, 면역원성 등을 개선시키는 1개 이상의 개별 FR 잔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R에서의 이들 아미노산 치환의 수는 H 쇄에서 6개 이하이고, L 쇄에서는 3개 이하이다. 인간화 항체는 또한 임의로 이뮤노글로불린 불변 영역 (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인간 이뮤노글로불린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9 (1988); and Presta, Curr. Op. Struct. Biol. 2:593-596 (1992)]을 참조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문헌 [Vaswani and Hamilton, Ann. Allergy, Asthma & Immunol. 1:105-115 (1998); Harris, Biochem. Soc. Transactions 23:1035-1038 (1995); Hurle and Gross, Curr. Op. Biotech. 5:428-433 (1994)]; 및 미국 특허 번호 6,982,321 및 7,087,409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화 항체는 단일 항원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화 항체는 다중 항원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대안적 인간화 방법은 미국 특허 번호 7,981,843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6/0134098에 기재되어 있다.
항체의 "가변 영역" 또는 "가변 도메인"은 항체의 중쇄 또는 경쇄의 아미노-말단 도메인을 지칭한다.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각각 "VH" 및 "VL"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부류의 다른 항체에 비해) 항체의 가장 가변적인 부분이고,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초가변 영역", "HVR" 또는 "HV"는 서열이 초가변이고/거나 구조적으로 한정된 루프를 형성하는 항체-가변 도메인의 영역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6개의 HVR; VH에 3개 (H1, H2, H3), 및 VL에 3개 (L1, L2, L3)를 포함한다. 천연 항체에서, H3 및 L3은 6개의 HVR 중 가장 큰 다양성을 나타내고, 특히 H3은 항체에 정밀한 특이성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고유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문헌 [Xu et al. Immunity 13:37-45 (2000); Johnson and Wu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248:1-25 (Lo, ed., Human Press, Totowa, NJ, 2003)]을 참조한다. 실제로, 중쇄만으로 이루어진 자연 발생 낙타류 항체는 경쇄의 부재 하에 기능적이고 안정하다. 예를 들어, 문헌 [Hamers-Casterman et al., Nature 363:446-448 (1993) and Sheriff et al., Nature Struct. Biol. 3:733-736 (1996)]을 참조한다.
다수의 HVR 서술이 사용되고 있고, 본원에 포괄된다. 카바트 상보성-결정 영역 (CDR)인 HVR은 서열 가변성에 기초하며,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문헌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1991)]). 코티아 HVR은 대신 구조적 루프의 위치를 지칭한다 (문헌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901-917 (1987)]). "접촉" HVR은 이용가능한 복합체 결정 구조의 분석에 기초한다. 각각의 이들 HVR로부터의 잔기를 하기에 나타낸다.
루프 카바트 코티아 접촉
L1 L24-L34 L26-L34 L30-L36
L2 L50-L56 L50-L56 L46-L55
L3 L89-L97 L91-L96 L89-L96
H1 H31-H35B H26-H32 H30-H35B (카바트 넘버링)
H1 H31-H35 H26-H32 H30-H35 (코티아 넘버링)
H2 H50-H65 H53-H56 H47-H58
H3 H95-H102 H95-H102 H93-H101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가변-도메인 잔기 (HVR 잔기 및 프레임워크 영역 잔기)는 상기 문헌 [Kabat et al.]에 따라 넘버링된다.
"프레임워크" 또는 "FR" 잔기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HVR 잔기 이외의 가변 도메인 잔기이다.
표현 "카바트에서와 같은 가변-도메인 잔기-넘버링" 또는 "카바트에서와 같은 아미노산-위치 넘버링" 및 그의 변경은 상기 문헌 [Kabat et al.]에서 항체 편집물의 중쇄 가변 도메인 또는 경쇄 가변 도메인에 사용된 넘버링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넘버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 선형 아미노산 서열은 가변 도메인의 FR 또는 HVR의 단축 또는 그 내로의 삽입에 상응하는 보다 적은 또는 추가의 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쇄 가변 도메인은 H2의 잔기 52 뒤에 단일 아미노산 삽입물 (카바트에 따른 잔기 52a) 및 중쇄 FR 잔기 82 뒤에 삽입된 잔기 (예를 들어, 카바트에 따른 잔기 82a, 82b 및 82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잔기의 카바트 넘버링은 항체 서열의 상동성 영역에서 "표준" 카바트 넘버링된 서열과 정렬함으로써 주어진 항체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목적을 위한 "수용자 인간 프레임워크"는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프레임워크 또는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로부터 유래된 VL 또는 VH 프레임워크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프레임워크 또는 인간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로부터 유래된" 수용자 인간 프레임워크는 그의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기존의 아미노산 서열 변화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기존의 아미노산 변화의 수는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이다.
참조 폴리펩티드 서열에 대한 "퍼센트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은 서열을 정렬하고 필요한 경우에 갭을 도입하여 최대 퍼센트 서열 동일성을 달성한 후, 임의의 보존적 치환을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서 고려하지 않으면서 참조 폴리펩티드 서열 내의 아미노산 잔기와 동일한 후보 서열 내의 아미노산 잔기의 백분율로서 정의된다. 퍼센트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의 정렬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 내에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공중 이용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예컨대 BLAST, BLAST-2, ALIGN 또는 메갈라인(Megalign) (DNASTA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비교되는 서열의 전장에 걸쳐 최대 정렬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알고리즘을 포함한,서열을 정렬하기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와, 또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대한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A의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 (대안적으로,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와, 또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에 대해 특정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거나 포함하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A라는 어구로 기재될 수 있음)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100 x X/Y 분율
여기서, X는 A 및 B의 프로그램 정렬에서 서열에 의해 동일한 매치로 점수화된 아미노산 잔기의 수이고, Y는 B 내의 아미노산 잔기의 총수이다. 아미노산 서열 A의 길이가 아미노산 서열 B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B에 대한 A의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은 A에 대한 B의 %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과 동일하지 않을 것임이 인지될 것이다.
특정 폴리펩티드 또는 특정 폴리펩티드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또는 "특이적인" 항체는 임의의 다른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에피토프에 실질적으로 결합하지 않으면서 특정 폴리펩티드 또는 특정 폴리펩티드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관련 비-Siglec-6 폴리펩티드에 대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예를 들어,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의 결합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효소-연결 면역흡착 검정 (ELISA))에 의해 측정 시 Siglec-6에 대한 항체 결합의 약 10%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 (예를 들어,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는 ≤ 1 μM, ≤ 100 nM, ≤ 10 nM, ≤ 2 nM, ≤ 1 nM, ≤ 0.7 nM, ≤ 0.6 nM, ≤ 0.5 nM, ≤ 0.1 nM, ≤ 0.01 nM, 또는 ≤ 0.001 nM (예를 들어, 10-8 M 이하, 예를 들어 10-8 M 내지 10-13 M, 예를 들어 10-9 M 내지 10-13 M), 약 250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해리 상수 (Kd)를 갖는다.
용어 "항-Siglec-6 항체" 또는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는 임의의 다른 폴리펩티드 또는 비관련 비-Siglec-6 폴리펩티드의 에피토프와는 실질적으로 결합하지 않으면서, 인간 Siglec-6의 폴리펩티드 또는 에피토프와 결합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Siglec-6"은 인간 Siglec-6 단백질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스플라이스 변이체 또는 대립유전자 변이체를 포함한, Siglec-6의 자연 발생 변이체를 포함한다. 시알산 결합 Ig-유사 렉틴 6인 Siglec-6은 또한 CD327, CD33L, OBBP1, CD33L1, CD33L2 및 CDW327로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 단백질은 인간 SIGLEC6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임의의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이다. 예시적인 인간 SIGLEC6 유전자는 NCBI 참조 서열 유전자 식별 번호 946에 의해 기재된다. 예시적인 인간 Siglec-6 단백질 및 그의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이 본원에 기재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 단백질은 아미노산 서열 QERRFQLEGPESLTVQEGLCVLVPCRLPTTLPASYYGYGYWFLEGADVPVATNDPDEEVQEETRGRFHLLWDPRRKNCSLSIRDARRRDNAAYFFRLKSKWMKYGYTSSKLSVRVMALTHRPNISIPGTLESGHPSNLTCSVPWVCEQGTPPIFSWMSAAPTSLGPRTTQSSVLTITPRPQDHSTNLTCQVTFPGAGVTMERTIQLNVSYAPQKVAISIFQGNSAAFKILQNTSSLPVLEGQALRLLCDADGNPPAHLSWFQGFPALNATPISNTGVLELPQVGSAEEGDFTCRAQHPLGSLQISLSLFVHWKPEGRAGGV (서열식별번호: 1)를 포함하는 세포외 도메인 (ECD)을 포함한다.
항체 "이펙터 기능"은 항체의 Fc 영역 (천연 서열 Fc 영역 또는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 Fc 영역)에 기인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하고, 항체 이소형에 따라 달라진다. 항체 이펙터 기능의 예는 C1q 결합 및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Fc 수용체 결합;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 식세포작용; 세포 표면 수용체 (예를 들어, B 세포 수용체)의 하향 조절; 및 B 세포 활성화를 포함한다.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또는 "ADCC"는 특정 세포독성 세포 (예를 들어, 자연 킬러 (NK) 세포, 호중구 및 대식세포) 상에 존재하는 Fc 수용체 (FcR)에 결합된 분비된 Ig가, 이들 세포독성 이펙터 세포가 항원-보유 표적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한 후, 표적 세포를 세포독소로 사멸시킬 수 있게 하는 세포독성의 형태를 지칭한다. 항체는 세포독성 세포를 "무장"시키고,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 표적 세포를 사멸시키는 데 요구된다. ADCC를 매개하는 1차 세포인 NK 세포는 FcγRIII만을 발현하는 반면에, 단핵구는 FcγRI, FcγRII 및 FcγRIII을 발현한다. 조혈 세포 상에서의 Fc 발현은 문헌 [Ravetch and Kinet, Annu. Rev. Immunol. 9: 457-92 (1991)]의 464면의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예를 들어,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는 ADCC를 증강시킨다. 관심 분자의 ADCC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관내 ADCC 검정,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5,500,362 또는 5,821,337에 기재된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정에 유용한 이펙터 세포는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및 자연 킬러 (NK) 세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관심 분자의 ADCC 활성은 생체내에서, 예를 들어 문헌 [Clynes et al., PNAS USA 95:652-656 (1998)]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동물 모델에서 평가될 수 있다. ADCC 활성 및 다른 항체 특성을 변경시키는 다른 Fc 변이체는 문헌 [Ghetie et al., Nat Biotech. 15:637-40, 1997; Duncan et al., Nature 332:563-564, 1988; Lund et al., J. Immunol 147:2657-2662, 1991; Lund et al., Mol Immunol 29:53-59, 1992; Alegre et al., Transplantation 57:1537-1543, 1994; Hutchin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2:11980-11984, 1995; Jefferis et al., Immunol Lett. 44:111-117, 1995; Lund et al., FASEB J9:115-119, 1995; Jefferis et al., Immunol Lett 54:101-104, 1996; Lund et al., J Immunol 157:4963-4969, 1996; Armour et al., Eur J Immunol 29:2613-2624, 1999; Idusogie et al., J Immunol 164:4178-4184, 200; Reddy et al., J Immunol 164:1925-1933, 2000; Xu et al., Cell Immunol 200:16-26, 2000; Idusogie et al., J Immunol 166:2571-2575, 2001; Shields et al., J Biol Chem 276:6591-6604, 2001; Jefferis et al., Immunol Lett 82:57-65. 2002; Presta et al., Biochem Soc Trans 30:487-490, 2002; Laza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3:4005-4010, 2006]; 미국 특허 번호 5,624,821; 5,885,573; 5,677,425; 6,165,745; 6,277,375; 5,869,046; 6,121,022; 5,624,821; 5,648,260; 6,194,551; 6,737,056; 6,821,505; 6,277,375; 7,335,742; 및 7,317,091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용어 "Fc 영역"은 천연 서열 Fc 영역 및 변이체 Fc 영역을 포함하는, 이뮤노글로불린 중쇄의 C-말단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뮤노글로불린 중쇄의 Fc 영역의 경계는 달라질 수 있지만, 인간 IgG 중쇄 Fc 영역은 통상적으로 위치 Cys226에서의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또는 Pro230으로부터 그의 카르복실-말단까지의 스트레치로 정의된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천연-서열 Fc 영역은 인간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한다. 단일 아미노산 치환 (카바트 넘버링에 따른 S228P; IgG4Pro로 지정됨)을 도입하여 재조합 IgG4 항체에서 관찰된 불균질성을 없앨 수 있다. 문헌 [Angal, S. et al. (1993) Mol Immunol 30, 105-108]을 참조한다.
"비-푸코실화" 또는 "푸코스-결핍" 항체는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 구조가 감소된 푸코스를 갖거나 또는 푸코스가 결여된 Fc 영역을 포함하는 글리코실화 항체 변이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푸코스가 감소되거나 푸코스가 결여된 항체는 개선된 ADCC 기능을 갖는다. 비-푸코실화 또는 푸코스-결핍 항체는 세포주에서 생산된 동일한 항체 상의 푸코스의 양에 비해 감소된 푸코스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서 고려되는 비-푸코실화 또는 푸코스-결핍 항체 조성물은 조성물 내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N-연결된 글리칸의 약 50% 미만이 푸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용어 "푸코실화" 또는 "푸코실화된"은 항체의 펩티드 백본에 부착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내의 푸코스 잔기의 존재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푸코실화 항체는 항체 Fc 영역에 부착된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중 하나 또는 둘 다 내의 가장 안쪽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GlcNAc) 잔기, 예를 들어 인간 IgG1 Fc 도메인의 위치 Asn 297 (Fc 영역 잔기의 EU 넘버링)에서 α (l,6)-연결된 푸코스를 포함한다. Asn297은 또한 이뮤노글로불린에서의 부차적 서열 변이로 인해 위치 297의 상류 또는 하류의 약 +3개 아미노산, 즉 위치 294 내지 300에 위치할 수 있다.
"푸코실화도"는, 예를 들어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비행 시간 질량 분광측정법 (MALDI-TOF MS)에 의해 평가된 N-글리코시다제 F 처리된 항체 조성물에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확인된 모든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푸코실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백분율이다. "완전히 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에서, 본질적으로 모든 올리고사카라이드는 푸코스 잔기를 포함하며, 즉 푸코실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전히 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은 적어도 약 90%의 푸코실화도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 내 개별 항체는 전형적으로, Fc 영역 내의 2개의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각각에 푸코스 잔기를 포함한다. 반대로, "완전히 비-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에서, 본질적으로 어떠한 올리고사카라이드도 푸코실화되지 않고, 이러한 조성물 내의 개별 항체는 Fc 영역 내의 2개의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중 어느 하나에도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전히 비-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은 약 10% 미만의 푸코실화도를 갖는다. "부분적으로 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에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일부만이 푸코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 내의 개별 항체는 Fc 영역 내의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푸코스 잔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 조성물은 Fc 영역 내의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내에 푸코스 잔기가 결여된 본질적으로 모든 개별 항체도 포함하지 않고, Fc 영역 내의 N-연결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둘 다에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는 본질적으로 모든 개별 항체도 포함하지 않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부분적으로 푸코실화된 항체의 조성물은 약 10% 내지 약 80%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80%, 약 60% 내지 약 80%, 또는 약 70% 내지 약 80%)의 푸코실화도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결합 친화도"는 분자 (예를 들어, 항체)의 단일 결합 부위와 그의 결합 파트너 (예를 들어, 항원) 사이의 비-공유 상호작용의 강도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iglec-6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서브-도메인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ECD, 도메인 1, 도메인 2, 또는 도메인 3)에 대한 항체의 결합 친화도는 일반적으로, 해리 상수 (Kd)로써 나타낼 수 있다. 친화도는 본원에 기재된 것들을 비롯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결합력"은 분자 (예를 들어, 항체) 및 그의 결합 파트너 (예를 들어, 항원)의 다중 결합 부위의 결합 강도를 지칭한다.
본원의 항체를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는 그것이 생산되는 환경에서 그와 통상적으로 회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염 핵산 분자로부터 확인 및 분리된 핵산 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리된 핵산은 생산 환경과 연관된 모든 성분과의 회합이 없다. 본원의 폴리펩티드 및 항체를 코딩하는 단리된 핵산 분자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형태 또는 설정 이외의 형태이다. 따라서, 단리된 핵산 분자는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본원의 폴리펩티드 및 항체를 코딩하는 핵산과 구별된다.
용어 "제약 제제"는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이 효과적이도록 하는 형태로 존재하고, 제제가 투여될 개체에게 허용되지 않는 독성인 추가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제제를 지칭한다. 이러한 제제는 멸균된다.
본원에 사용된 "담체"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그에 노출되는 세포 또는 포유동물에게 비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종종,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는 수성 pH 완충 용액이다.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완충제, 예컨대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 산;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및 다른 탄수화물, 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EDTA; 당 알콜, 예컨대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반대이온, 예컨대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및 플루로닉스(PLURONICS)™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임상 병리상태의 과정 동안 치료될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 과정을 변경시키도록 설계된 임상 개입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치료 효과는 질환 진행 속도의 감소, 질환 상태의 호전 또는 완화, 및 경감 또는 개선된 예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질환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1종 이상의 증상이 완화 또는 제거되면, 개체는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예를 들어, 치료가 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의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거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요구되는 다른 의약의 용량을 감소시키고/거나, 질환의 재발 빈도를 감소시키고/거나, 질환의 중증도를 경감시키고/거나, 질환의 발생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고/거나, 개체의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을 유발하는 경우, 개체는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본원에 사용된 "와 함께" 또는 "와 조합하여"는 하나의 치료 양식에 추가로 또 다른 치료 양식의 투여를 지칭한다. 따라서, "와 함께" 또는 "와 조합하여"는 개체에게 다른 치료 양식을 투여하기 전에, 그 동안 또는 그 후에 하나의 치료 양식을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 또는 "예방하는"은 개체에서 질환의 발생 또는 재발과 관련하여 예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체는 질환에 걸리기 쉽거나, 질환에 걸리기 쉽거나,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있을 수 있지만, 아직 질환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지는 않았다.
"유효량"은 적어도 필요한 투여량에서 및 기간 동안 치료적 또는 예방적 결과를 비롯한 목적하는 또는 지시된 효과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1회 이상의 투여로 제공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은 적어도 특정한 질환의 측정가능한 개선을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 농도이다. 본원에서 치료 유효량은 환자의 질환 상태,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개체에서 목적하는 반응을 도출하는 항체의 능력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은 또한 치료상 유익한 효과가 항체의 임의의 독성 또는 유해한 효과를 능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방 유효량"은 필요한 투여량에서 필요한 기간 동안 목적하는 예방 결과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예방 용량은 질환의 보다 초기 단계 전에 또는 보다 초기 단계에서 개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예방 유효량은 치료 유효량 미만일 수 있다.
"만성" 투여는 연장된 기간 동안 초기 치료 효과 (활성)를 유지하도록 급성 방식과 대조적으로 연속 방식으로 의약(들)을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간헐적" 투여는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는 않지만, 사실상 주기적인 치료이다.
용어 "패키지 삽입물"은 이러한 치료 제품의 사용에 관한 적응증, 용법, 투여량, 투여, 조합 요법, 금기 및/또는 경고에 대한 정보를 함유하는, 치료 제품의 상업용 패키지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지침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개체" 또는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다. 치료 목적을 위한 "포유동물"은 인간, 가축 및 농장 동물, 및 동물원, 스포츠 또는 애완 동물, 예컨대 개, 말, 토끼, 소, 돼지, 햄스터, 저빌, 마우스, 페릿, 래트, 고양이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체 또는 대상체는 인간이다.
II. 항-Siglec-6 항체 및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인간 Siglec-6에 결합하는 항체, 즉 항-Siglec-6 항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 QERRFQLEGPESLTVQEGLCVLVPCRLPTTLPASYYGYGYWFLEGADVPVATNDPDEEVQEETRGRFHLLWDPRRKNCSLSIRDARRRDNAAYFFRLKSKWMKYGYTSSKLSVRVMALTHR (서열식별번호: 2)을 포함하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1에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 PNISIPGTLESGHPSNLTCSVPWVCEQGTPPIFSWMSAAPTSLGPRTTQSSVLTITPRPQDHSTNLTCQVTFPGAGVTMERTIQLNVSYA (서열식별번호: 3)를 포함하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2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서열 PQKVAISIFQGNSAAFKILQNTSSLPVLEGQALRLLCDADGNPPAHLSWFQGFPALNATPISNTGVLELPQVGSAEEGDFTCRAQHPLGSLQISLSLFVHWKPEGRAGGV (서열식별번호: 4)를 포함하는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3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단일 항-Siglec-6 항체의 1, 2, 3, 4, 5, 또는 모든 6개의 HVR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단일 항-Siglec-6 항체의 VH 영역의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단일 항-Siglec-6 항체의 VL 영역의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한다.
표 2. 항-Siglec-6 항체 HVR 서열.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9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9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9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8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6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 또는 그의 서브-도메인)에의 결합에 대해 참조 항체,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 또는 그의 서브-도메인)에의 결합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하기 항-Siglec-6 항체 중 1종 이상과 경쟁한다: AK04, AK05, AK02, AK14, AK11, AK15, AK13, AK12, AK10, AK09, AK08, AK07, AK06, AK03, AK01, AK16, AK17, 및 AK18.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도메인 1에의 결합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하기 항-Siglec-6 항체 중 1종 이상과 경쟁한다: AK04, AK05, AK02, AK07, AK06, AK03 및 AK01.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도메인 2에의 결합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하기 항-Siglec-6 항체 중 1종 이상과 경쟁한다: AK10 및 AK11.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도메인 3에의 결합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하기 항-Siglec-6 항체 중 1종 이상과 경쟁한다: AK09, AK08, AK12, AK13, AK14, 및 AK15.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 (ECD)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iglec-6 ECD는 아미노산 서열 QERRFQLEGPESLTVQEGLCVLVPCRLPTTLPASYYGYGYWFLEGADVPVATNDPDEEVQEETRGRFHLLWDPRRKNCSLSIRDARRRDNAAYFFRLKSKWMKYGYTSSKLSVRVMALTHRPNISIPGTLESGHPSNLTCSVPWVCEQGTPPIFSWMSAAPTSLGPRTTQSSVLTITPRPQDHSTNLTCQVTFPGAGVTMERTIQLNVSYAPQKVAISIFQGNSAAFKILQNTSSLPVLEGQALRLLCDADGNPPAHLSWFQGFPALNATPISNTGVLELPQVGSAEEGDFTCRAQHPLGSLQISLSLFVHWKPEGRAGGV (서열식별번호: 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도메인 1, 도메인 2, 또는 도메인 3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도메인 1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메인 1은 아미노산 서열 QERRFQLEGPESLTVQEGLCVLVPCRLPTTLPASYYGYGYWFLEGADVPVATNDPDEEVQEETRGRFHLLWDPRRKNCSLSIRDARRRDNAAYFFRLKSKWMKYGYTSSKLSVRVMALTHR (서열식별번호: 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도메인 2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메인 2는 아미노산 서열 PNISIPGTLESGHPSNLTCSVPWVCEQGTPPIFSWMSAAPTSLGPRTTQSSVLTITPRPQDHSTNLTCQVTFPGAGVTMERTIQLNVSYA (서열식별번호: 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 단백질의 도메인 3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도메인 3은 아미노산 서열 PQKVAISIFQGNSAAFKILQNTSSLPVLEGQALRLLCDADGNPPAHLSWFQGFPALNATPISNTGVLELPQVGSAEEGDFTCRAQHPLGSLQISLSLFVHWKPEGRAGGV (서열식별번호: 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와 동일한 인간 Siglec-6 상의 에피토프 (예를 들어, 인간 Siglec-6 단백질의 ECD 또는 그의 서브-도메인)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와 동일한 인간 Siglec-6 도메인 1, 2 또는 3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AK05와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도 10a 참조).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Siglec-6 상의 하기 아미노산: 29, 30, 34, 38, 63, 64, 68, 74, 76, 99, 100, 103, 104, 106 및 114 (서열식별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Siglec-6 ECD에 따른 넘버링)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AK04와 동일한 에피토프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도 10b 참조).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Siglec-6 상의 하기 아미노산: 26, 29, 30, 52, 64, 74, 75, 79, 98, 100, 104, 106, 및 107 (서열식별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Siglec-6 ECD에 따른 넘버링)에 결합한다. 에피토프 맵핑에 대한 예시적인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예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피토프 맵핑은 예를 들어 본원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가교 질량 분광측정법 (XL-MS)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검정은 비제한적으로 X선 결정학 및 알라닌 스캐닝 돌연변이유발을 포함한다.
표 5. 가변 도메인 서열.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항체 가변 도메인의 CDR 또는 HVR 서열에 대한 많은 정의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CDR/HVR 서열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항체를 기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CDR/HVR 서열은 카바트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문헌 [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1991)] 참조).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CDR/HVR 서열은 코티아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문헌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901-917 (1987)] 참조).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CDR/HVR 서열은 IMGT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문헌 [Lefranc, M.P. (1999) The Immunologist 7:132-136] 참조).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일 항체의 CDR/HVR 서열은 2개 이상의 정의, 예를 들어 카바트, 코티아 및/또는 IMGT를 혼합함으로써 정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0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5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5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0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4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4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0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3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3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2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2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1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1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0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0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1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9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9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1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8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8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7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7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6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6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5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5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2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4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4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29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0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3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3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31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2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2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2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3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3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1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01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3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4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6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6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5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6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7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7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서열식별번호: 157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및/또는 서열식별번호: 158의 아미노산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8의 VH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H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AK18의 VL 도메인 서열에 존재하는 1, 2개 또는 모든 3개의 CDR 또는 HVR 서열을 포함하는 VL 도메인 (예를 들어, 표 5 참조)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에 따른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인간화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비만 세포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한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예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인간 비만 세포의 CD63 발현을 억제한다. 일부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하나 이상의 비만 세포-매개 활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하기 중 1종 이상의 발현 및/또는 방출 (예를 들어, 인간 비만 세포에 의함)을 억제한다: IL-6, IL-8, IL-13, CCL2, CCL4, 히스타민, 키마제, 및 트립타제 (예를 들어, 활성 트립타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하기 염증 매개체 중 1종 이상의 발현 및/또는 방출 (예를 들어, 인간 비만 세포에 의함)을 억제한다: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범-트립타제, 활성 또는 베타-트립타제, 키마제, CPA3, 헤파린 등), 류코트리엔 (예를 들어, 류코트리엔 C4 또는 B4, 혈소판 활성화 인자, 프로스타글란딘 D2 또는 E2 등), 아민 (예를 들어,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폴리아민 등), 성장 인자 (예를 들어, SCF, GM-CSFG-CSF, FGF, EGF, NGF, VEGF, PDGF 등), 시토카인 (예를 들어, TNF, IL-1b, IL-4, IL-5, IL-6, IL-8, IL-9, IL-10, IL-13, IL-17, IL-18, IL-31, IL-36 등), 케모카인 (예를 들어, CCL2, CCL3, CCL4, CCL5, CCL11, CCL12, CCL13, CCL24, CCL26, CXCL1, CXCL2, CXCL3, CXCL4, CXCL5, CXCL6, CXCL7, CXCL8 등), 엑소솜 및 세포외 트랩. 예를 들어, 전체 및 활성 트립타제 뿐만 아니라 히스타민, N-메틸 히스타민 및 11-베타-프로스타글란딘 F2를 혈액 또는 소변에서 측정하여 비만 세포의 감소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비만 세포 활성 검정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 20110293631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세포 표면 상의 (즉, 인간 비만 세포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Siglec-6 내재화, 세포내이입, 쉐딩, 절단 등을 통해 세포 막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할 수 있다. Siglec-6 표면 발현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예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iglec-6 표면 발현은, 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예를 들어, 형광) 태그를 갖는 항-Siglec-6 항체를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입증된 바와 같이, 비만 세포는 항-Siglec-6 항체와 접촉될 수 있고, 표면 발현은 시험 항체와 상이한 Siglec-6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형광-태그부착된 항-Siglec-6 항체를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시험 항체의 존재 하에 감소된 형광은 Siglec-6 표면 발현의 감소된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 Fc 영역의 존재/부재와 상관없이, 또는 Fc 수용체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 상에 발현됨)와 결합할 수 있는 항체 Fc 영역의 능력과 상관없이, 감소된 수준의 Siglec-6 표면 발현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항체의 부재 하의 또는 Siglec-6에 결합하지 않는 항체의 부재 하의 Siglec-6의 표면 발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90%, 또는 적어도 약 100%만큼 감소된 세포 막 상의 Siglec-6의 발현 수준을 유발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세포 막 (즉, 인간 비만 세포)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 Fc 영역의 존재/부재와 상관없이, 또는 Fc 수용체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 상에 발현됨)와 결합할 수 있는 항체 Fc 영역의 능력과 상관없이, 세포 막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Fc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의 존재 하에 세포 막 상의 (즉, 인간 비만 세포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Fc 영역 (예를 들어, 활성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 Fc 영역 (예를 들어, 활성 Fc 영역)과 Fc 수용체, 또는 예를 들어 Fc 수용체를 발현하는 이펙터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존적인 표면-발현된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Fc 수용체 또는 이펙터 세포 (예를 들어, Fc 수용체를 발현함)의 존재 하에 항체가 Fc 영역 (예를 들어, 활성 Fc 영역)을 포함하는 전장 항체인 경우에만 표면-발현된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가, 예를 들어 Fc 영역이 결여된 항체 단편인 경우에 표면-발현된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가 Fc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는 Fc 영역 (예를 들어, 이펙터 기능이 결여된 불활성 또는 사멸 Fc 영역)을 포함하는 전장 항체인 경우에 표면-발현된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가, 예를 들어 Fc 수용체 또는 이펙터 세포 (예를 들어, Fc 수용체를 발현함)의 존재 하에 Fc 영역 (예를 들어, 활성 Fc 영역)을 포함하는 전장 항체인 경우에는 표면-발현된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지만, 항체가 Fc 영역이 결여되거나 또는 Fc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는 Fc 영역 (예를 들어, 불활성 또는 사멸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단편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항체가 활성 Fc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Fc 영역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활성 Fc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항체를 사용한 Siglec-6의 표면 발현과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90%, 또는 적어도 약 100%만큼 감소된 세포 막 상의 Siglec-6의 발현 수준을 유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의 이량체화 및/또는 내재화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의 이량체화 및 내재화를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의 세포내이입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 (예를 들어, Siglec-6 ECD)의 쉐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Siglec-6 (예를 들어, Siglec-6 ECD)의 절단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의 존재 하에,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에서 인간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예를 들어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 이펙터 세포의 존재 하에 ADCC 및/또는 ADCP 활성을 유도한다. 일부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 ADCC 활성에 의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사멸시킨다. 일부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에서 ADCP 활성에 의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비-푸코실화 (즉, 비-푸코실화)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비-푸코실화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부분적으로 푸코실화된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ADCC 활성을 증강시킨다.
ADCC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예시적인 검정에서, ADCC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펙터 세포 및 표적 세포를, 예를 들어 평가할 항체의 존재 하에 특정 비 (예를 들어, 1:50 표적 세포:이펙터 세포)로 사용한다. 이펙터 세포의 예는 자연 킬러 (NK) 세포, 거대 과립 림프구 (LGL), 림포카인-활성화 킬러 (LAK) 세포 및 NK 및 LGL을 포함하는 PBMC, 또는 세포 표면 상에 Fc 수용체를 갖는 백혈구, 예컨대 호중구, 호산구 및 대식세포를 포함한다. 표적 세포는 평가할 항체가 인식할 수 있는 세포 표면 상에 항원을 발현하는 임의의 세포이다. 이러한 표적 세포의 예는 세포 표면 상에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이다. 표적 세포는 세포용해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시약으로 표지된다. 표지용 시약의 예는 방사성 물질, 예컨대 나트륨 크로메이트 (Na2 51CrO4) 및 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숙신이미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헌 [Immunology, 14, 181 (1968); J. Immunol. Methods, 172, 227 (1994); and J. Immunol. Methods, 184, 29 (1995)]을 참조한다. 이어서, 남아있는 표적 세포의 수를 공동-인큐베이션 후에 평가하고 (예를 들어,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함), (예를 들어, Siglec-6과 결합하지 않는 항체로 치료되거나 또는 항체로 치료되지 않은 이펙터 세포와 공동-인큐베이션된 남아있는 표적 세포의 수에 대해) 정규화할 수 있다.
ADCP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적 세포는 평가할 항체의 존재 하에 대식세포 (예를 들어, 인간 단핵구-유래 대식세포), 단핵구 또는 PBMC와 특정 비 (예를 들어, 1:50 표적 세포:대식세포)로 공동-배양될 수 있다. 이어서, 남아있는 표적 세포의 수를 공동-인큐베이션 후에 평가하고 (예를 들어,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함), (예를 들어, Siglec-6에 결합하지 않는 항체로 치료되거나 또는 항체로 치료되지 않은 대식세포와 공동-인큐베이션된 남아있는 표적 세포의 수에 대해) 정규화할 수 있다.
한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한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항체 단편 (항원-결합 단편 포함), 예를 들어 Fab, Fab'-SH, Fv, scFv, 또는 (Fab')2 단편이다. 한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한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항-Siglec-6 항체는 정제된다.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임의의 적합한 프레임워크 가변 도메인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 상기 항체는 인간 Siglec-6에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본원에 사용된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은 "HC-FR1-FR4"로 지정되고, 경쇄 프레임워크 영역은 "LC-FR1-FR4"로 지정된다.
각각 α, δ, ε, γ 및 μ로 지정된 중쇄를 갖는 5가지 부류의 이뮤노글로불린: IgA, IgD, IgE, IgG 및 IgM이 존재한다. γ 및 α 부류는 하위부류로 추가로 분류되며, 예를 들어 인간은 하기 하위부류: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를 발현한다. IgG1 항체는 동종이형으로 지칭되는 다중 다형성 변이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문헌 [Jefferis and Lefranc 2009. mAbs Vol 1 Issue 4 1-7]에서 검토됨), 이들 중 임의의 것은 본원의 실시양태 중 일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인간 집단에서의 공통의 동종이형 변이체는 문자 a,f,n,z 또는 그의 조합으로 지정된 것이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Fc 영역, 예를 들어 인간 Fc 영역 또는 인간 IgG F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 Fc 영역은 인간 IgG1 또는 IgG4 Fc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4 Fc 영역은 아미노산 치환 S228P를 포함하며, 여기서 아미노산 잔기는 카바트에서와 같은 EU 인덱스에 따라 넘버링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1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1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a) L234 및/또는 L235; (b) A327, A330 및/또는 P331; (c) E233, L234, L235 및/또는 G236; (d) E233, L234 및/또는 L235; (e) E233, L234, L235, G236, A327, A330 및/또는 P331; (f) E233, L234, L235, A327, A330 및/또는 P331; (g) N297; (h) L242, N297 및/또는 K334; (i) A287, N297 및/또는 L306; (j) R292, N297 및/또는 V302; (k) N297, V323 및/또는 I332; (l) V259, N297 및/또는 L306; (m) L234, L235, K322, M252, S254 및/또는 T256; 또는 (n) L234, L235 및/또는 P329.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a) L234A 및/또는 L235A; (b) A327G, A330S 및/또는 P331S; (c) E233P, L234V, L235A 및/또는 G236del; (d) E233P, L234V 및/또는 L235A; (e) E233P, L234V, L235A, G236del, A327G, A330S 및/또는 P331S; (f) E233P, L234V, L235A, A327G, A330S 및/또는 P331S; (g) N297A; (h) N297G; (i) N297Q; (j) L242C, N297C 및/또는 K334C; (k) A287C, N297G 및/또는 L306C; (l) R292C, N297G 및/또는 V302C; (m) N297G, V323C 및/또는 I332C; (n) V259C, N297G 및/또는 L306C; (o) L234F, L235Q, K322Q, M252Y, S254T 및/또는 T256E; (p) L234A, L235A 및/또는 P329G; 또는 (q) L234A, L235Q 및 K322Q. 예를 들어, 문헌 [Schlothauer, T. et al. (2016) Protein Eng. Des. Sel. 29:457-466; Armour, K.L. et al. (2003) Mol. Immunol. 40:585-593; Jacobsen, F.W. et al. (2017) J. Biol. Chem. 292:1865-1875; and Borrok, M.J. et al. (2017) J. Pharm. Sci. 106:1008-1017]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101 또는 10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1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증가 또는 증진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1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a) F243, R292, Y300, V305 및/또는 P396; (b) S239 및/또는 I332; (c) S239, I332 및/또는 A330; (d) S298, E333 및/또는 K334; (e) G236, S239 및/또는 I332; (f) K326 및/또는 E333; (g) S267, H268 및/또는 S324; 또는 (h) E345, E430 및/또는 S440.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1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한 넘버링에 따라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a) F243L, R292P, Y300L, V305I 및/또는 P396L; (b) S239D 및/또는 I332E; (c) S239D, I332E 및/또는 A330L; (d) S298A, E333A 및/또는 K334A; (e) G236A, S239D 및/또는 I332E; (f) K326W 및/또는 E333S; (g) S267E, H268F 및/또는 S324T; 또는 (h) E345R, E430G 및/또는 S440Y. 예를 들어, 문헌 [Stavenhagen, J.B. et al. (2007) Cancer Res. 67:8882-8890; Lazar, G.A. et al. (2006) Proc. Natl. Acad. Sci. USA 103:4005-4010; Shields, R.L. et al. (2001) J. Biol. Chem. 276:6591-6604; Richards, J.O. et al. (2008) Mol. Cancer Ther. 7:2517-2527; Idusogie, E.E. et al. (2001) J. Immunol. 166:2571-2575; Moore, G.L. et al. (2010) MAbs 2:181-189; and Diebolder, C.A. et al. (2014) Science 343:1260-1263]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2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2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a) A330 및/또는 P331; (b) V234, G237, P238, H268, V309, A330 및/또는 P331; 또는 (c) V234, G237, H268, V309, A330, P331, C232, C233, S267, L328, M252, S254 및/또는 T256.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2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한 넘버링에 따라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a) A330S 및/또는 P331S; (b) V234A, G237A, P238S, H268A, V309L, A330S 및/또는 P331S; 또는 (c) V234A, G237A, H268Q, V309L, A330S, P331S, C232S, C233S, S267E, L328F, M252Y, S254T 및/또는 T256E. 예를 들어, 문헌 [Armour, K.L. et al. (2003) Mol. Immunol. 40:585-593 and US PG Pub. Nos. 20170204193 and 20170240631]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4 Fc 영역은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4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한 넘버링된 하기 위치(들) 중 1개 이상에서 치환 또는 결실을 포함한다: (a) E233, F234, L235 및/또는 G236; (b) E233, F234 및/또는 L235; 또는 (c) S228 및/또는 L235.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간 IgG4 Fc 영역은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a) E233P, F234V, L235A 및/또는 G236del; (b) E233P, F234V 및/또는 L235A; (c) S228P 및/또는 L235E; 또는 (d) S228P 및/또는 L235A. 예를 들어, 문헌 [Schlothauer, T. et al. (2016) Protein Eng. Des. Sel. 29:457-466; and Armour, K.L. et al. (2003) Mol. Immunol. 40:585-593]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10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표 3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중쇄를 포함한다.
표 3. 항체 중쇄 불변 영역 서열.
Figure pct00007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Siglec-6 항체는 경쇄 불변 (CL) 도메인, 예를 들어 인간 카파 또는 람다 CL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L 도메인은 인간 카파 CL 도메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L 도메인은 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 (서열식별번호: 10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푸코실화가 감소 또는 제거된 항-Siglec-6 항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중쇄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는 비-푸코실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은 비-푸코실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비-푸코실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한다. 항체 푸코실화를 측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검정, 뿐만 아니라 변경된, 감소된 또는 제거된 푸코실화를 갖는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세포주가 본원에 제공된다.
한 측면에서, 항-Siglec-6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항-Siglec-6 항체 또는 항-Siglec-6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비만 세포-매개 장애, 예컨대 본원에 열거된 것들의 치료를 위한 제약 제제이다.
1. 항체 친화도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ECD에 약 250 pM 이하, 약 225 pM 이하, 약 200 pM 이하, 약 175 pM 이하, 약 150 pM 이하, 약 125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90 pM 이하, 약 80 pM 이하, 약 70 pM 이하, 약 60 pM 이하, 약 50 pM 이하, 약 40 pM 이하, 약 30 pM 이하, 약 2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ECD의 도메인 1에 약 250 pM 이하, 약 225 pM 이하, 약 200 pM 이하, 약 175 pM 이하, 약 150 pM 이하, 약 125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90 pM 이하, 약 80 pM 이하, 약 70 pM 이하, 약 60 pM 이하, 약 50 pM 이하, 약 40 pM 이하, 약 30 pM 이하, 약 2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ECD의 도메인 2에 약 250 pM 이하, 약 225 pM 이하, 약 200 pM 이하, 약 175 pM 이하, 약 150 pM 이하, 약 125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90 pM 이하, 약 80 pM 이하, 약 70 pM 이하, 약 60 pM 이하, 약 50 pM 이하, 약 40 pM 이하, 약 30 pM 이하, 약 2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인간 Siglec-6의 ECD의 도메인 3에 약 250 pM 이하, 약 225 pM 이하, 약 200 pM 이하, 약 175 pM 이하, 약 150 pM 이하, 약 125 pM 이하, 약 100 pM 이하, 약 90 pM 이하, 약 80 pM 이하, 약 70 pM 이하, 약 60 pM 이하, 약 50 pM 이하, 약 40 pM 이하, 약 30 pM 이하, 약 20 pM 이하, 약 10 pM 이하, 또는 약 1 pM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결합한다.
인간 Siglec-6, 그의 ECD, 또는 그의 서브-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 친화도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검정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예시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의 결합 친화도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d 또는 Kd 값은 ~10 반응 단위 (RU)로 고정된 항원 CM5 칩을 사용하여 25℃에서 비아코어(BIAcore)™-2000 또는 비아코어™-3000 (비아코어, 인크.,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간략하게, 카르복시메틸화 덱스트란 바이오센서 칩 (CM5, 비아코어® 인크.)을 공급업체의 지침에 따라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HS)로 활성화시킨다. 포획 항체 (예를 들어, 항-인간-Fc)를 10 mM 아세트산나트륨, pH 4.8로 희석한 후, 30 μl/분의 유량으로 주사하고, 항-Siglec-6 항체로 추가로 고정화시킨다. 동역학적 측정을 위해, 이량체 Siglec-6의 2배 연속 희석물을 대략 25 μl/분의 유량으로 25℃ 하에 0.05% 트윈 20을 함유한 PBS (PBST)에 주입한다. 회합률 (kon) 및 해리율 (koff)은 회합 및 해리 센소그램을 동시에 피팅함으로써 간단한 일-대-일 랭뮤어 결합 모델 (비아코어® 평가 소프트웨어 버전 3.2)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평형 해리 상수 (Kd)는 비 koff/kon으로서 계산된다. 예를 들어, 문헌 [Chen, Y., et al., (1999) J. Mol. Biol. 293:865-881]을 참조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생물층 간섭측정법을 이용하여 Siglec-6에 대한 항-Siglec-6 항체의 친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검정에서, Siglec-6-Fc 태그부착된 단백질을 항-인간 포획 센서 상에 고정화시키고, 증가하는 농도의 마우스, 키메라, 또는 인간화 항-Siglec-6 Fab 단편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예를 들어 옥텟 레드(Octet Red) 384 시스템 (포르테바이오(ForteBio))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친화도 측정을 수득한다.
항-Siglec-6 항체의 결합 친화도는 또한, 예를 들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문헌 [Munson et al., Anal. Biochem., 107:220 (1980)]에 기재된 스캐차드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문헌 [Scatchard, G., Ann. N.Y. Acad. Sci. 51:660 (1947)]을 참조한다.
2. 경쟁 검정
경쟁 검정은 이용하여, 2개의 항체가 동일하거나 입체적으로 중첩되는 에피토프를 인식함으로써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지 또는 1개의 항체가 항원에 대한 또 다른 항체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들 검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항원 또는 항원 발현 세포를 다중-웰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고, 표지된 항체의 결합을 차단하는 비표지된 항체의 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경쟁 검정을 위한 통상의 표지는 방사성 표지 또는 효소 표지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예를 들어 세포 (예를 들어, 비만 세포)의 세포 표면 상에 발현된 Siglec-6 폴리펩티드 또는 ECD 또는 그의 도메인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참조 항체와 경쟁한다.
III. 항체 제조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항체를 생성하기 위해 관련 기술분야에서 이용가능한 기술, 하기 섹션에 보다 상세히 기재된 예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1. 항체 단편
본 발명은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단편은 전통적인 수단, 예컨대 효소적 소화, 또는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전체 항체보다는 항체 단편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정 항체 단편의 검토를 위해, 문헌 [Hudson et al. (2003) Nat. Med. 9:129-134]을 참조한다.
항체 단편의 생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전통적으로, 이들 단편은 무손상 항체의 단백질분해적 소화를 통해 유래되었다 (예를 들어, 문헌 [Morimoto et al., Journal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Methods 24:107-117 (1992); and Brennan et al., Science, 229:81 (1985)] 참조). 그러나, 이들 단편은 이제 재조합 숙주 세포에 의해 직접 생산될 수 있다. Fab, Fv 및 ScFv 항체 단편은 모두 이. 콜라이에서 발현되고 이로부터 분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량의 이들 단편의 용이한 생산을 허용한다. 항체 단편은 상기 논의된 항체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Fab'-SH 단편은 이. 콜라이로부터 직접 회수되고 화학적으로 커플링되어 F(ab')2 단편을 형성할 수 있다 (문헌 [Carter et al., Bio/Technology 10: 163-167 (1992)]). 또 다른 접근법에 따르면, F(ab')2 단편은 재조합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직접 단리될 수 있다. 샐비지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 잔기를 포함하는, 생체내 반감기가 증가된 Fab 및 F(ab')2 단편이 미국 특허 번호 5,869,046에 기재되어 있다. 항체 단편의 생산을 위한 다른 기술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단일 쇄 Fv 단편 (scFv)이다. WO 93/16185; 미국 특허 번호 5,571,894; 및 5,587,458을 참조한다. Fv 및 scFv는 불변 영역이 결여된 무손상 결합 부위를 갖는 유일한 종이고; 따라서, 이들은 생체내 사용 동안 감소된 비특이적 결합에 적합할 수 있다. scFv 융합 단백질은 scFv의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에서 이펙터 단백질의 융합을 생성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문헌 [Antibody Engineering, ed. Borrebaeck]을 참조한다. 항체 단편은 또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5,641,870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형 항체"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항체는 단일특이적 또는 이중특이적일 수 있다.
2. 인간화 항체
본 개시내용은 인간화 항체를 포괄한다.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공급원으로부터 도입된 1개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종종 "유입" 잔기로 지칭되며, 이는 전형적으로 "유입"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취해진다. 인간화는 본질적으로 문헌 [Winter (Jones et al. (1986) Nature 321:522-525; Riechmann et al. (1988) Nature 332:323-327; Verhoeyen et al. (1988) Science 239:1534-1536)]의 방법에 따라 인간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을 초가변 영역 서열로 치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 항체는 무손상 인간 가변 도메인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은 도메인이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서열로 치환된 키메라 항체 (미국 특허 번호 4,816,567)이다. 실제로, 인간화 항체는 전형적으로 일부 초가변 영역 잔기 및 가능하게는 일부 FR 잔기가 설치류 항체 내의 유사한 부위로부터의 잔기로 치환된 인간 항체이다.
인간화 항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경쇄 및 중쇄 둘 다의 인간 가변 도메인의 선택은 항원성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할 수 있다. 소위 "최적-피트" 방법에 따라, 설치류 (예를 들어, 마우스) 항체의 가변 도메인의 서열을 공지된 인간 가변-도메인 서열의 전체 라이브러리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이어서, 설치류의 서열에 가장 근접한 인간 서열이 인간화 항체에 대한 인간 프레임워크로서 허용된다 (문헌 [Sims et al. (1993) J. Immunol. 151:2296; Chothia et al. (1987) J. Mol. Biol. 196:901]). 또 다른 방법은 경쇄 또는 중쇄의 특정한 하위군의 모든 인간 항체의 컨센서스 서열로부터 유래된 특정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동일한 프레임워크가 여러 상이한 인간화 항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문헌 [Carter et al. (1992) Proc. Natl. Acad. Sci. USA, 89:4285; Presta et al. (1993) J. Immunol., 151:2623]).
추가로, 항원에 대한 높은 친화도 및 다른 유리한 생물학적 특성을 보유하면서 항체를 인간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 방법에 따라, 인간화 항체는 모 서열 및 인간화 서열의 3차원 모델을 사용하는 모 서열 및 다양한 개념적 인간화 생성물의 분석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3차원 이뮤노글로불린 모델은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친숙하다. 선택된 후보 이뮤노글로불린 서열의 가능한 3차원 입체형태적 구조를 예시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용가능하다. 이들 디스플레이의 검사는 후보 이뮤노글로불린 서열의 기능화에서 잔기의 가능한 역할의 분석, 즉 그의 항원에 결합하는 후보 이뮤노글로불린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의 분석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FR 잔기는 목적하는 항체 특징, 예컨대 표적 항원(들)에 대한 증가된 친화도가 달성되도록 수용자 및 유입 서열로부터 선택 및 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가변 영역 잔기는 항원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데 직접적으로 및 가장 실질적으로 관여한다.
3. 인간 항체
본 발명의 인간 항-Siglec-6 항체는 인간-유래된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Fv 클론 가변 도메인 서열(들)을 공지된 인간 불변 도메인 서열(들)과 조합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인간 모노클로날 항-Siglec-6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의 생산을 위한 인간 골수종 및 마우스-인간 이종골수종 세포주는 예를 들어 문헌 [Kozbor J. Immunol., 133: 3001 (1984); Brodeur et al.,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51-63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7); and Boerner et al., J. Immunol., 147: 86 (1991)]에 기재되어 있다.
면역화 시, 내인성 이뮤노글로불린 생산의 부재 하에 인간 항체의 전체 레퍼토리를 생산할 수 있는 트랜스제닉 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키메라 및 배선 돌연변이 마우스에서의 항체 중쇄 연결 영역 (JH) 유전자의 동형접합 결실이 내인성 항체 생산의 완전한 억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이러한 배선 돌연변이체 마우스에서의 인간 배선 이뮤노글로불린 유전자 어레이의 전달은 항원 챌린지 시 인간 항체의 생산을 유발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문헌 [Jakobovit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2551 (1993); Jakobovits et al., Nature, 362: 255 (1993); Bruggermann et al., Year in Immunol., 7: 33 (1993)]을 참조한다.
유전자 셔플링은 또한 비-인간 (예를 들어, 설치류) 항체로부터 인간 항체를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인간 항체는 출발 비-인간 항체와 유사한 친화도 및 특이성을 갖는다. "에피토프 각인"으로도 칭해지는 이러한 방법에 따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에 의해 수득된 비-인간 항체 단편의 중쇄 또는 경쇄 가변 영역 중 하나는 인간 V 도메인 유전자의 레퍼토리로 대체되어, 비-인간 쇄/인간 쇄 scFv 또는 Fab 키메라의 집단을 생성한다. 항원을 사용한 선택은 비-인간 쇄/인간 쇄 키메라 scFv 또는 Fab의 단리를 유발하며, 여기서 인간 쇄는 1차 파지 디스플레이 클론 내의 상응하는 비-인간 쇄의 제거 시 파괴된 항원 결합 부위를 복원하고, 즉 에피토프는 인간 쇄 파트너의 선택을 지배한다. 나머지 비-인간 쇄를 대체하기 위해 과정이 반복될 때, 인간 항체가 수득된다 (1993년 4월 1일에 공개된 PCT 공개 번호 WO 93/06213 참조). CDR 그라프팅에 의한 비-인간 항체의 전통적인 인간화와는 달리, 이 기술은 비-인간 기원의 FR 또는 CDR 잔기를 갖지 않는 완전 인간 항체를 제공한다.
4. 다중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항원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2개의 상이한 항원, 또는 동일한 항원 상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인간 또는 인간화 항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결합 특이성 중 하나는 Siglec-6에 대한 것이고, 다른 것은 임의의 다른 항원에 대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Siglec-6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또한 세포독성제를 Siglec-6을 발현하는 세포에 국재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전장 항체 또는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2 이중특이적 항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문헌 [Milstein and Cuello, Nature, 305: 537 (1983),WO 93/08829 published May 13, 1993, and Traunecker et al., EMBO J., 10: 3655 (1991)]을 참조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생산에 대한 추가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Suresh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21:210 (1986)]을 참조한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가교된 또는 "이종접합체" 항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종접합체 내의 항체 중 하나는 아비딘에 커플링되고, 다른 하나는 비오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종접합체 항체는 임의의 편리한 가교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가교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다수의 가교 기술과 함께 미국 특허 번호 4,676,980에 개시되어 있다.
5. 단일-도메인 항체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도메인 항체이다. 단일-도메인 항체는 항체의 중쇄 가변 도메인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경쇄 가변 도메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단일 폴리펩티드 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일-도메인 항체는 인간 단일-도메인 항체이다 (도만티스, 인크.(Domantis, Inc.), 매사추세츠주 월섬;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6,248,516 B1 참조). 한 실시양태에서, 단일-도메인 항체는 항체의 중쇄 가변 도메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진다.
6. 항체 변이체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형(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항체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는 항체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적절한 변화를 도입함으로써, 또는 펩티드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예를 들어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내의 잔기의 결실 및/또는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한다. 결실, 삽입 및 치환의 임의의 조합이 이루어져 최종 구축물에 도달할 수 있으며, 단 최종 구축물은 목적하는 특징을 보유한다. 아미노산 변경은 서열이 제조되는 시점에 대상 항체 아미노산 서열에 도입될 수 있다.
돌연변이유발에 바람직한 위치인 항체의 특정 잔기 또는 영역의 확인에 유용한 방법은 문헌 [Cunningham and Wells (1989) Science, 244:1081-108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라닌 스캐닝 돌연변이유발"로 불린다. 여기서, 잔기 또는 표적 잔기의 군이 확인되고 (예를 들어, 하전된 잔기, 예컨대 arg, asp, his, lys 및 glu), 중성 또는 음으로 하전된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알라닌 또는 폴리알라닌)으로 대체되어 아미노산과 항원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어서, 치환에 대한 기능적 감수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위치는 치환 부위에 또는 치환 부위에 대해 추가의 또는 다른 변이체를 도입함으로써 정밀화된다. 따라서, 아미노산 서열 변이를 도입하기 위한 부위는 미리 결정되지만, 돌연변이 자체의 성질은 미리 결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주어진 부위에서의 돌연변이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표적 코돈 또는 영역에서 ala 스캐닝 또는 무작위 돌연변이유발을 수행하고, 발현된 이뮤노글로불린을 목적 활성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아미노산 서열 삽입은 1개의 잔기 내지 100개 이상의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펩티드 길이 범위의 아미노- 및/또는 카르복실-말단 융합, 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다중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내 삽입을 포함한다. 말단 삽입의 예는 N-말단 메티오닐 잔기를 갖는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다른 삽입 변이체는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효소 또는 폴리펩티드가 항체의 N- 또는 C-말단에 융합된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항체가 글리코실화되는 정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변경된다. 폴리펩티드의 글리코실화는 전형적으로 N-연결 또는 O-연결된다. N-연결은 탄수화물 모이어티가 아스파라긴 잔기의 측쇄에 부착되는 것을 지칭한다. 트리펩티드 서열 아스파라긴-X-세린 및 아스파라긴-X-트레오닌 (여기서, X는 프롤린을 제외한 임의의 아미노산임)은 탄수화물 모이어티를 아스파라긴 측쇄에 효소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인식 서열이다. 따라서, 폴리펩티드 내의 이들 트리펩티드 서열 중 하나의 존재는 잠재적인 글리코실화 부위를 생성한다. O-연결된 글리코실화는 히드록시아미노산, 가장 통상적으로는 세린 또는 트레오닌에 대한 당 N-아세틸갈락토사민, 갈락토스 또는 크실로스 중 하나의 부착을 지칭하지만, 5-히드록시프롤린 또는 5-히드록시리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항체에 대한 글리코실화 부위의 부가 또는 결실은 하나 이상의 상기 기재된 트리펩티드 서열 (N-연결된 글리코실화 부위의 경우)이 생성되거나 제거되도록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함으로써 편리하게 달성된다. 변경은 또한 원래의 항체의 서열에 대한 1개 이상의 세린 또는 트레오닌 잔기의 부가, 결실 또는 치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O-연결된 글리코실화 부위의 경우).
항체가 Fc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그에 부착된 탄수화물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푸코스가 결여된 성숙 탄수화물 구조를 갖는 항체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2003/0157108 (Presta, L.)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US 2004/0093621 (교와 핫코 고교 컴퍼니, 리미티드)을 참조한다.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 내에 양분성 N-아세틸글루코사민 (GlcNAc)을 갖는 항체는 WO 2003/011878 (Jean-Mairet et al.) 및 미국 특허 번호 6,602,684 (Umana et al.)에 언급되어 있다. 항체의 Fc 영역에 부착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내에 적어도 1개의 갈락토스 잔기를 갖는 항체는 WO 1997/30087 (Patel et al.)에 보고되어 있다. 또한, 그의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이 변경된 항체에 관한 WO 1998/58964 (Raju, S.) 및 WO 1999/22764 (Raju, S.)를 참조한다. 변형된 글리코실화를 갖는 항원-결합 분자에 대한 US 2005/0123546 (Umana et al.)을 또한 참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글리코실화 변이체는 Fc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러한 Fc 영역에 부착된 탄수화물 구조는 푸코스가 결여되거나 또는 감소된 푸코스를 갖는다. 이러한 변이체는 개선된 ADCC 기능을 갖는다. 임의로, Fc 영역은 ADCC를 추가로 개선시키는 1개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 예를 들어 Fc 영역의 위치 298, 333 및/또는 334 (잔기의 Eu 넘버링)에서의 치환을 추가로 포함한다. "탈푸코실화" 또는 "푸코스-결핍" 항체와 관련된 간행물의 예는 US 2003/0157108; WO 2000/61739; WO 2001/29246; US 2003/0115614; US 2002/0164328; US 2004/0093621; US 2004/0132140; US 2004/0110704; US 2004/0110282; US 2004/0109865; WO 2003/085119; WO 2003/084570; WO 2005/035586; WO 2005/035778; WO2005/053742; 문헌 [Okazaki et al. J. Mol. Biol. 336:1239-1249 (2004); Yamane-Ohnuki et al. Biotech. Bioeng. 87: 614 (2004)]을 포함한다. 탈푸코실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의 예는 단백질 푸코실화가 결핍된 Lec13 CHO 세포 (문헌 [Ripka et al. Arch. Biochem. Biophys. 249:533-545 (1986)];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2003/0157108 A1 (Presta, L); 및 WO 2004/056312 A1 (Adams et al.), 특히 실시예 11), 및 녹아웃 세포주, 예컨대 알파-1,6-푸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 FUT8, 녹아웃 CHO 세포 (문헌 [Yamane-Ohnuki et al. Biotech. Bioeng. 87: 614 (2004)]), 및 β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제 III (GnT-III) 및 골지 μ-만노시다제 II (ManII)를 과다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한다.
야생형 CHO 세포에서 생산된 동일한 항체 상의 푸코스의 양과 비교하여 감소된 푸코스를 갖는 항체가 본원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항체는 천연 CHO 세포 (예를 들어, 천연 글리코실화 패턴을 생산하는 CHO 세포, 예컨대 천연 FUT8 유전자를 함유하는 CHO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경우에 가질 양보다 더 적은 양의 푸코스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그 상의 N-연결된 글리칸의 약 50%, 40%, 30%, 20%, 10%, 5% 또는 1% 미만이 푸코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항-Siglec-6 항체는 그 상의 N-연결된 글리칸 중 어느 것도 푸코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데, 즉 여기서 상기 항체는 푸코스가 완전히 갖지 않거나, 또는 푸코스를 갖지 않거나 또는 비-푸코실화되거나 또는 비-푸코실화된다. 푸코스의 양은, 예를 들어 WO 2008/077546에 기재된 바와 같이 MALDI-TOF 질량 분광측정법에 의해 측정 시 Asn297에 부착된 모든 당구조물 (예를 들어, 복합체, 하이브리드 및 고 만노스 구조물)의 합계에 대해 Asn297에서 당 쇄 내의 푸코스의 평균 양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Asn297은 Fc 영역 내의 약 위치 297 (Fc 영역 잔기의 Eu 넘버링)에 위치한 아스파라긴 잔기를 지칭하지만; Asn297은 또한 항체에서의 부차적 서열 변이로 인해 위치 297의 약 ± 3개 아미노산 상류 또는 하류, 즉 위치 294와 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중쇄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는 비-푸코실화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그의 혈청 반감기를 개선시키도록 변경된다. 항체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5,739,2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샐비지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를 항체 (특히 항체 단편) 내로 혼입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샐비지 수용체 결합 에피토프"는 IgG 분자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또는 IgG4)의 생체내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담당하는 IgG 분자의 Fc 영역의 에피토프를 지칭한다 (US 2003/0190311, 미국 특허 번호 6,821,505; 미국 특허 번호 6,165,745; 미국 특허 번호 5,624,821; 미국 특허 번호 5,648,260; 미국 특허 번호 6,165,745; 미국 특허 번호 5,834,597).
또 다른 유형의 변이체는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이다. 이들 변이체는 상이한 잔기에 의해 대체된 항체 분자 내의 적어도 1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다. 치환 돌연변이유발을 위한 관심 부위는 초가변 영역을 포함하지만, FR 변경이 또한 고려된다. 보존적 치환은 "바람직한 치환"의 표제 하에 표 1에 제시된다. 이러한 치환이 생물학적 활성의 바람직한 변화를 발생시키는 경우, 표 1에서 "예시적인 치환"으로 명명된 또는 아미노산 부류와 관련하여 하기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은 보다 실질적인 변화가 도입될 수 있고, 생성물이 스크리닝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8
항체의 생물학적 특성의 실질적인 변형은 (a) 예를 들어 시트 또는 나선 입체형태로서 치환 영역 내의 폴리펩티드 백본의 구조, (b) 표적 부위에서의 분자의 전하 또는 소수성, 또는 (c) 측쇄의 벌크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게 상이한 치환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아미노산은 그의 측쇄의 특성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문헌 [A. L. Lehninger, in Biochemistry, second ed., pp. 73-75, Worth Publishers, New York (1975)]):
(1) 비-극성: Ala (A), Val (V), Leu (L), Ile (I), Pro (P), Phe (F), Trp (W), Met (M)
(2) 비하전된 극성: Gly (G), Ser (S), Thr (T), Cys (C), Tyr (Y), Asn (N), Gln (Q)
(3) 산성: Asp (D), Glu (E)
(4) 염기성: Lys (K), Arg (R), His (H)
대안적으로, 자연 발생 잔기는 공통적인 측쇄 특성에 기초하여 하기 군으로 나뉠 수 있다:
(1) 소수성: 노르류신, Met, Ala, Val, Leu, Ile;
(2) 중성 친수성: Cys, Ser, Thr, Asn, Gln;
(3) 산성: Asp, Glu;
(4) 염기성: His, Lys, Arg;
(5) 쇄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 Gly, Pro;
(6) 방향족: Trp, Tyr, Phe.
비보존적 치환은 이들 부류 중 하나의 구성원을 또 다른 부류로 교환하는 것을 수반할 것이다. 이러한 치환된 잔기는 또한 보존적 치환 부위 내로 또는 나머지 (비-보존된) 부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치환 변이체의 한 유형은 모 항체 (예를 들어,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의 1개 이상의 초가변 영역 잔기를 치환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반적으로, 추가의 개발을 위해 선택된 생성된 변이체(들)는 이들이 생성된 모 항체에 비해 변형된 (예를 들어, 개선된) 생물학적 특성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치환 변이체를 생성하는 편리한 방법은 파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친화도 성숙을 수반한다. 간략하게, 여러 초가변 영역 부위 (예를 들어, 6-7개의 부위)가 각각의 부위에서 모든 가능한 아미노산 치환이 생성되도록 돌연변이된다. 이렇게 생성된 항체는 각각의 입자 내에 패키징된 파지 코트 단백질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M13의 유전자 III 생성물)에 대한 융합체로서 사상 파지 입자로부터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파지-디스플레이된 변이체를 그의 생물학적 활성 (예를 들어, 결합 친화도)에 대해 스크리닝한다. 변형을 위한 후보 초가변 영역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스캐닝 돌연변이유발 (예를 들어, 알라닌 스캐닝)을 수행하여 항원 결합에 유의하게 기여하는 초가변 영역 잔기를 확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항체 및 항원 사이의 접촉점을 확인하기 위해 항원-항체 복합체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잔기 및 이웃 잔기가 본원에 상술된 것들을 비롯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른 치환을 위한 후보이다. 일단 이러한 변이체가 생성되면, 변이체의 패널을 본원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스크리닝하고, 하나 이상의 관련 검정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항체를 추가의 개발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들 방법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단리 (자연 발생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의 경우), 또는 항체의 이전에 제조된 변이체 또는 비-변이체 버전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매개 (또는 부위-지정) 돌연변이유발, PCR 돌연변이유발 및 카세트 돌연변이유발에 의한 제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의 Fc 영역에 1개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도입함으로써 Fc 영역 변이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Fc 영역 변이체는 힌지 시스테인의 위치를 포함한 1개 이상의 아미노산 위치에서 아미노산 변형 (예를 들어, 치환)을 포함하는 인간 Fc 영역 서열 (예를 들어, 인간 IgG1, IgG2, IgG3 또는 IgG4 F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 변이체는 인간 IgG1, IgG2 또는 IgG4 Fc 영역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Fc 영역 변이체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 설명 및 관련 기술분야의 교시에 따라,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야생형 대응 항체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Fc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항체는 그의 야생형 대응물과 비교하여 치료 유용성에 요구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보유할 것이다. 예를 들어, WO99/5164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된 (즉, 개선된 또는 감소된) C1q 결합 및/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CDC)을 유발할 특정 변경이 Fc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c 영역 변이체의 다른 예에 관해서는 또한 문헌 [Duncan & Winter Nature 322:738-40 (1988)]; 미국 특허 번호 5,648,260; 미국 특허 번호 5,624,821; 및 WO94/29351을 참조한다. WO00/42072 (Presta) 및 WO 2004/056312 (Lowman)는 FcR에 대한 결합이 개선되거나 감소된 항체 변이체를 기재한다. 이들 특허 공보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문헌 [Shields et al. J. Biol. Chem. 9(2): 6591-6604 (2001)]을 참조한다. 증가된 반감기 및 모체 IgG의 태아로의 전달을 담당하는 신생아 Fc 수용체 (FcRn)에 대한 개선된 결합을 갖는 항체 (문헌 [Guyer et al., J. Immunol. 117:587 (1976) and Kim et al., J. Immunol. 24:249 (1994)])가 US2005/0014934A1 (Hinton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항체는 FcRn에 대한 Fc 영역의 결합을 개선시키는 하나 이상의 치환을 갖는 Fc 영역을 포함한다. 변경된 Fc 영역 아미노산 서열 및 증가 또는 감소된 C1q 결합 능력을 갖는 폴리펩티드 변이체는 미국 특허 번호 6,194,551B1, WO99/51642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 공보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문헌 [Idusogie et al. J. Immunol. 164: 4178-4184 (2000)]을 참조한다.
7. 벡터, 숙주 세포, 및 재조합 방법
본 발명의 항체의 재조합 생산을 위해, 이를 코딩하는 핵산을 단리하고, 추가의 클로닝 (DNA의 증폭) 또는 발현을 위해 복제가능한 벡터 내로 삽입한다. 항체를 코딩하는 DNA는 통상적인 절차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단리되고 서열분석된다. 많은 벡터가 이용가능하다. 벡터의 선택은 부분적으로, 사용될 숙주 세포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숙주 세포는 원핵 또는 진핵 (일반적으로 포유동물) 기원의 것이다. IgG, IgM, IgA, IgD, 및 IgE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임의의 이소형의 불변 영역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불변 영역은 임의의 인간 또는 동물 종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원핵 숙주 세포를 사용한 항체의 생성:
a) 벡터 구축
본 발명의 항체의 폴리펩티드 성분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표준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목적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항체 생산 세포, 예컨대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단리되고 서열분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뉴클레오티드 합성기 또는 PCR 기술을 사용하여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할 수 있다. 수득된 후,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원핵 숙주에서 이종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복제 및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 내로 삽입한다. 이용가능하고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많은 벡터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벡터의 선택은 주로 벡터 내로 삽입될 핵산의 크기 및 벡터로 형질전환될 특정한 숙주 세포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각각의 벡터는 그의 기능 (이종성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증폭 또는 발현, 또는 둘 다) 및 그것이 존재하는 특정한 숙주 세포와의 그의 상용성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함유한다. 벡터 성분은 일반적으로 복제 기점, 선택 마커 유전자, 프로모터, 리보솜 결합 부위 (RBS), 신호 서열, 이종 핵산 삽입물 및 전사 종결 서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숙주 세포와 상용성인 종으로부터 유래된 레플리콘 및 제어 서열을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벡터가 이들 숙주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벡터는 통상적으로 복제 부위, 뿐만 아니라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표현형 선택을 제공할 수 있는 마킹 서열을 보유한다. 예를 들어, 이. 콜라이는 전형적으로 이. 콜라이 종으로부터 유래된 플라스미드인 pBR322를 사용하여 형질전환된다. pBR322는 암피실린 (Amp) 및 테트라시클린 (Tet) 내성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고, 따라서 형질전환된 세포를 확인하기 위한 용이한 수단을 제공한다. pBR322, 그의 유도체, 또는 다른 미생물 플라스미드 또는 박테리오파지는 또한 내인성 단백질의 발현을 위해 미생물 유기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모터를 함유하거나 또는 함유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항체의 발현에 사용되는 pBR322 유도체의 예는 미국 특허 번호 5,648,237 (Carter et al.)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숙주 미생물과 상용성인 레플리콘 및 제어 서열을 함유하는 파지 벡터를 이들 숙주와 관련하여 형질전환 벡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테리오파지, 예컨대 λGEM.TM.-11은 감수성 숙주 세포, 예컨대 이. 콜라이 LE392를 형질전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현 벡터는 각각의 폴리펩티드 성분을 코딩하는 2개 이상의 프로모터-시스트론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모터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시스트론의 상류 (5')에 위치하는 비번역 조절 서열이다. 원핵 프로모터는 전형적으로 2가지 부류, 즉 유도성 및 구성적 프로모터에 속한다. 유도성 프로모터는 배양 조건의 변화, 예를 들어 영양소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여 그의 제어 하에 시스트론의 증가된 수준의 전사를 개시하는 프로모터이다.
다양한 잠재적 숙주 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다수의 프로모터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선택된 프로모터는 제한 효소 소화를 통해 공급원 DNA로부터 프로모터를 제거하고 단리된 프로모터 서열을 본 발명의 벡터 내로 삽입함으로써 경쇄 또는 중쇄를 코딩하는 시스트론 DNA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천연 프로모터 서열 및 많은 이종 프로모터 둘 다는 표적 유전자의 증폭 및/또는 발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종 프로모터는 일반적으로 천연 표적 폴리펩티드 프로모터에 비해 발현된 표적 유전자의 보다 큰 전사 및 보다 높은 수율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용된다.
원핵 숙주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로모터는 PhoA 프로모터, β-갈락타마제 및 락토스 프로모터 시스템, 트립토판 (trp) 프로모터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프로모터, 예컨대 tac 또는 trc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박테리아에서 기능적인 다른 프로모터 (예컨대, 다른 공지된 박테리아 또는 파지 프로모터)가 또한 적합하다. 그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공개되어 있고, 그에 의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요구되는 제한 부위를 공급하도록 링커 또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표적 경쇄 및 중쇄를 코딩하는 시스트론에 이들을 작동가능하게 라이게이션시킬 수 있다 (문헌 [Siebenlist et al. (1980) Cell 20: 269]).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재조합 벡터 내의 각각의 시스트론은 발현된 폴리펩티드의 막을 가로지르는 전위를 지시하는 분비 신호 서열 성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신호 서열은 벡터의 성분일 수 있거나, 또는 벡터 내로 삽입되는 표적 폴리펩티드 DNA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선택된 신호 서열은 숙주 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프로세싱되는 (즉, 신호 펩티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종 폴리펩티드에 천연인 신호 서열을 인식 및 프로세싱하지 않는 원핵 숙주 세포의 경우, 신호 서열은 예를 들어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페니실리나제, Ipp, 또는 열-안정한 장독소 II (STII) 리더, LamB, PhoE, PelB, OmpA 및 MB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핵 신호 서열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발현 시스템의 시스트론 둘 다에 사용된 신호 서열은 STII 신호 서열 또는 그의 변이체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뮤노글로불린의 생산은 숙주 세포의 세포질에서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시스트론 내에 분비 신호 서열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이뮤노글로불린 경쇄 및 중쇄가 발현되고, 폴딩되고, 조립되어 세포질 내에서 기능적 이뮤노글로불린을 형성한다. 특정 숙주 균주 (예를 들어, 이. 콜라이 trxB-균주)는 디술피드 결합 형성에 유리한 세포질 조건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발현된 단백질 서브단위의 적절한 폴딩 및 조립을 허용한다. 문헌 [Proba and Pluckthun Gene, 159:203 (1995)].
본 발명의 항체는 또한, 발현된 폴리펩티드 성분의 정량적 비가 본 발명의 분비되고 적절하게 조립된 항체의 수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발현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폴리펩티드 성분에 대한 번역 강도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번역 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미국 특허 번호 5,840,523 (Simmons et al.)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시스트론 내의 번역 개시 영역 (TIR)의 변이체를 이용한다. 주어진 TIR에 대해, 일련의 아미노산 또는 핵산 서열 변이체가 다양한 번역 강도로 생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특정 쇄의 목적하는 발현 수준에 대해 이 인자를 조정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TIR 변이체는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시킬 수 있는 코돈 변화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돌연변이유발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의 변화는 침묵이다. TIR의 변경은, 예를 들어 신호 서열의 변경과 함께 샤인-달가노 서열의 수 또는 간격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돌연변이체 신호 서열을 생성하는 하나의 방법은 신호 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는 (즉, 변화는 침묵임) 코딩 서열의 시작부에서의 "코돈 뱅크"의 생성이다. 이는 각각의 코돈의 제3 뉴클레오티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일부 아미노산, 예컨대 류신, 세린 및 아르기닌은 뱅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복잡성을 부가할 수 있는 다중 제1 및 제2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돌연변이유발 방법은 문헌 [Yansura et al. (1992) METHODS: A Companion to Methods in Enzymol. 4:151-158]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그 안의 각각의 시스트론에 대한 TIR 강도의 범위를 갖는 벡터의 세트가 생성된다. 이 제한된 세트는 다양한 TIR 강도 조합 하에 각각의 쇄의 발현 수준 뿐만 아니라 목적 항체 생성물의 수율의 비교를 제공한다. TIR 강도는 미국 특허 번호 5,840,523 (Simmons et al.)에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정량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번역 강도 비교에 기초하여, 목적하는 개별 TIR은 본 발명의 발현 벡터 구축물에서 조합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항체의 발현에 적합한 원핵 숙주 세포는 아르카에박테리아 및 유박테리아, 예컨대 그람-음성 또는 그람-양성 유기체를 포함한다. 유용한 박테리아의 예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예를 들어, 이. 콜라이), 바실루스(Bacilli) (예를 들어, 비. 서브틸리스(B. subtilis)), 엔테로박테리아(Enterobacteri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종 (예를 들어, 피. 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 마르세스칸스(Serratia marcescans), 클레브시엘라(Klebsiella), 프로테우스(Proteus), 시겔라(Shigella), 리조비아(Rhizobia), 비트레오실라(Vitreoscilla) 또는 파라코쿠스(Paracoccus)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그람-음성 세포가 사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 콜라이 세포가 본 발명을 위한 숙주로서 사용된다. 이. 콜라이 균주의 예는 유전자형 W3110 ΔfhuA (ΔtonA) ptr3 lac Iq lacL8 ΔompTΔ(nmpc-fepE) degP41 kanR을 갖는 균주 33D3 (미국 특허 번호 5,639,635)을 비롯한 균주 W3110 (문헌 [Bachmann,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vol. 2 (Washington, D.C.: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987), pp. 1190-1219]; ATCC 기탁 번호 27,325) 및 그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다른 균주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이. 콜라이 294 (ATCC 31,446), 이. 콜라이 B, 이. 콜라이λ 1776 (ATCC 31,537) 및 이. 콜라이 RV308 (ATCC 31,608)이 또한 적합하다. 이들 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이다. 규정된 유전자형을 갖는 임의의 상기 언급된 박테리아의 유도체를 구축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Bass et al., Proteins, 8:309-314 (1990)]에 기재되어 있다. 박테리아의 세포에서 레플리콘의 복제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박테리아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 pBR322, pBR325, pACYC177 또는 pKN410과 같은 널리 공지된 플라스미드가 레플리콘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이. 콜라이, 세라티아 또는 살모넬라 종이 숙주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숙주 세포는 최소량의 단백질분해 효소를 분비해야 하고, 추가의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물에 혼입될 수 있다.
b) 항체 생산
숙주 세포를 상기 기재된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시키고, 프로모터를 유도하거나, 형질전환체를 선택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변형된 통상적인 영양 배지에서 배양한다.
형질전환은 DNA가 염색체외 구성요소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체에 의해 복제가능하도록 DNA를 원핵 숙주 내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된 숙주 세포에 따라, 형질전환은 이러한 세포에 적절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염화칼슘을 사용한 칼슘 처리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인 세포벽 장벽을 함유하는 박테리아 세포에 사용된다. 또 다른 형질전환 방법은 폴리에틸렌 글리콜/DMSO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또 다른 기술은 전기천공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원핵 세포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고 선택된 숙주 세포의 배양에 적합한 배지에서 성장된다. 적합한 배지의 예는 루리아 브로쓰 (LB) 및 필요한 영양 보충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배지는 또한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원핵 세포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발현 벡터의 구축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택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암피실린은 암피실린 내성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의 성장을 위해 배지에 첨가된다.
탄소, 질소 및 무기 포스페이트 공급원 이외의 임의의 필요한 보충물이 또한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보충물 또는 배지, 예컨대 복합 질소 공급원과의 혼합물로서 도입되어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임의로, 배양 배지는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타민, 티오글리콜레이트, 디티오에리트리톨 및 디티오트레이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환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원핵 숙주 세포는 적합한 온도에서 배양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 콜라이 성장의 경우, 성장 온도는 약 20℃ 내지 약 39℃; 약 25℃ 내지 약 37℃; 또는 약 30℃의 범위이다. 배지의 pH는 주로 숙주 유기체에 따라 약 5 내지 약 9 범위의 임의의 pH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 콜라이의 경우에 pH는 약 6.8 내지 약 7.4, 또는 약 7.0이다.
유도성 프로모터가 본 발명의 발현 벡터에 사용되는 경우, 단백질 발현은 프로모터의 활성화에 적합한 조건 하에 유도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PhoA 프로모터가 폴리펩티드의 전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는 유도를 위해 포스페이트-제한 배지에서 배양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포스페이트-제한 배지는 C.R.A.P. 배지이다 (예를 들어, 문헌 [Simmons et al., J. Immunol. Methods (2002), 263:133-147] 참조).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벡터 구축물에 따라 다양한 다른 유도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발현된 폴리펩티드는 숙주 세포의 주변세포질 내로 분비되고 그로부터 회수된다. 전형적으로, 단백질 회수는 일반적으로 삼투 쇼크, 초음파처리 또는 용해와 같은 수단에 의해 미생물을 파괴하는 것을 수반한다. 세포가 파괴되면, 세포 파편 또는 전세포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단백질은, 예를 들어 친화성 수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백질은 배양 배지 내로 수송되고, 그 안에서 단리될 수 있다. 세포를 배양물로부터 제거하고, 배양물 상청액을 여과하고, 생산된 단백질의 추가 정제를 위해 농축시킬 수 있다. 발현된 폴리펩티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PAGE) 및 웨스턴 블롯 검정과 같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로 단리 및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항체 생산은 발효 공정에 의해 대량으로 수행된다. 다양한 대규모 유가식 발효 절차가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에 이용가능하다. 대규모 발효는 적어도 1000 리터의 용량을 갖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 1,000 내지 100,000 리터의 용량을 갖는다. 이들 발효기는 산소 및 영양소, 특히 글루코스를 분배하기 위해 교반기 임펠러를 사용한다. 소규모 발효는 일반적으로 부피 용량이 대략 100 리터 이하인 발효기에서의 발효를 지칭하며, 약 1 리터 내지 약 100 리터 범위일 수 있다.
발효 공정에서, 단백질 발현의 유도는 전형적으로 세포를 적합한 조건 하에 목적하는 밀도, 예를 들어 약 180-220의 OD550으로 성장시킨 후에 개시되며, 이 단계에서 세포는 초기 정지기에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벡터 구축물에 따라 다양한 유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세포는 유도 전에 보다 짧은 기간 동안 성장될 수 있다. 세포는 대체로 약 12-50시간 동안 유도되지만, 더 길거나 더 짧은 유도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생산 수율 및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발효 조건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비된 항체 폴리펩티드의 적절한 어셈블리 및 폴딩을 개선하기 위해, 샤페론 단백질, 예컨대 Dsb 단백질 (DsbA, DsbB, DsbC, DsbD 및/또는 DsbG) 또는 FkpA (샤페론 활성을 갖는 펩티딜프롤릴 시스,트랜스-이소머라제)를 과다발현하는 추가의 벡터를 사용하여 숙주 원핵 세포를 공동-형질전환시킬 수 있다. 샤페론 단백질은 박테리아 숙주 세포에서 생산된 이종 단백질의 적절한 폴딩 및 용해도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문헌 [Chen et al. (1999) J. Biol. Chem. 274:19601-19605]; 미국특허번호 6,083,715 (Georgiou et al.); 미국 특허 번호 6,027,888 (Georgiou et al.); 문헌 [Bothmann and Pluckthun (2000) J. Biol. Chem. 275:17100-17105; Ramm and Pluckthun (2000) J. Biol. Chem. 275:17106-17113; Arie et al. (2001) Mol. Microbiol. 39:199-210].
발현된 이종 단백질 (특히 단백질분해에 감수성인 것)의 단백질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백질분해 효소가 결핍된 특정 숙주 균주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주 세포 균주를 변형시켜 공지된 박테리아 프로테아제, 예컨대 프로테아제 III, OmpT, DegP, Tsp, 프로테아제 I, 프로테아제 Mi, 프로테아제 V, 프로테아제 VI 및 그의 조합을 코딩하는 유전자에서 유전자 돌연변이(들)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이. 콜라이 프로테아제-결핍 균주가 이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문헌 [Joly et al. (1998)]; 미국 특허 번호 5,264,365 (Georgiou et al.); 미국 특허 번호 5,508,192 (Georgiou et al.); 문헌 [Hara et al., Microbial Drug Resistance, 2:63-72 (1996)]에 기재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단백질분해 효소가 결핍되고 하나 이상의 샤페론 단백질을 과다발현하는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이. 콜라이 균주가 본 발명의 발현 시스템에서 숙주 세포로서 사용된다.
c) 항체 정제
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서 생산된 항체 단백질은 추가의 검정 및 용도를 위해 실질적으로 균질한 제제를 얻기 위해 추가로 정제된다.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표준 단백질 정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절차는 적합한 정제 절차의 예시이다: 면역친화성 또는 이온-교환 칼럼 상의 분별증류, 에탄올 침전, 역상 HPLC, 실리카 또는 양이온-교환 수지, 예컨대 DEAE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포커싱, SDS-PAGE, 황산암모늄 침전, 및 예를 들어 세파덱스 G-75를 사용한 겔 여과.
한 측면에서, 고체 상에 고정된 단백질 A가 본 발명의 항체 생성물의 면역친화성 정제에 사용된다. 단백질 A는 항체의 Fc 영역에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로부터의 41 kD 세포벽 단백질이다. 문헌 [Lindmark et al. (1983) J. Immunol. Meth. 62:1-13]. 단백질 A가 고정되는 고체 상은 유리 또는 실리카 표면을 포함하는 칼럼, 또는 제어된 세공 유리 칼럼 또는 규산 칼럼일 수 있다. 일부 적용에서, 칼럼은 가능하게는 오염물의 비특이적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글리세롤과 같은 시약으로 코팅된다.
정제의 제1 단계로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세포 배양물로부터 유래된 제제를 단백질 A 고정화된 고체 상에 적용하여 관심 항체가 단백질 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고체 상을 세척하여 고체 상에 비특이적으로 결합된 오염물을 제거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관심 항체를 용리에 의해 고체 상으로부터 회수한다.
진핵 숙주 세포를 사용한 항체의 생성:
진핵 숙주 세포에 사용하기 위한 벡터는 일반적으로 하기 비제한적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신호 서열, 복제 기점, 하나 이상의 마커 유전자, 인핸서 요소, 프로모터 및 전사 종결 서열.
a) 신호 서열 성분
진핵 숙주 세포에 사용하기 위한 벡터는 또한 신호 서열 또는 관심 성숙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N-말단에 특이적 절단 부위를 갖는 다른 폴리펩티드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된 이종 신호 서열은 숙주 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프로세싱되는 (즉, 신호 펩티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것일 수 있다. 포유동물 세포 발현에서, 포유동물 신호 서열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분비 리더, 예를 들어 단순 포진 gD 신호가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전구체 영역에 대한 DNA는 항체를 코딩하는 DNA에 리딩 프레임으로 라이게이션된다.
b) 복제 기점
일반적으로, 복제 기점 성분은 포유동물 발현 벡터에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SV40 기원은 단지 초기 프로모터를 함유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 선택 유전자 성분
발현 및 클로닝 벡터는 선택 마커로도 불리는 선택 유전자를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인 선택 유전자는 (a) 항생제 또는 다른 독소, 예를 들어 암피실린, 네오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또는 테트라시클린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거나, (b) 적절한 경우에 영양요구성 결핍을 보완하거나, 또는 (c) 복합 배지로부터 이용가능하지 않은 중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단백질을 코딩한다.
선택 계획의 한 예는 숙주 세포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약물을 이용한다. 이종 유전자로 성공적으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약물 내성을 부여하는 단백질을 생산하고, 따라서 선택 요법에서 생존한다. 이러한 우성 선택의 예는 약물 네오마이신, 미코페놀산 및 히그로마이신을 사용한다.
포유동물 세포에 적합한 선택 마커의 또 다른 예는 항체 핵산을 흡수하는 세포 성분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것, 예컨대 DHFR, 티미딘 키나제, 메탈로티오네인-I 및 -II, 영장류 메탈로티오네인 유전자,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오르니틴 데카르복실라제 등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DHFR 선택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먼저 DHFR의 경쟁적 길항제인 메토트렉세이트 (Mtx)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에서 모든 형질전환체를 배양함으로써 확인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야생형 DHFR을 사용할 때 적절한 숙주 세포는 DHFR 활성이 결핍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주 (예를 들어, ATCC CRL-9096)이다.
대안적으로, 항체, 야생형 DHFR 단백질 및 또 다른 선택 마커, 예컨대 아미노글리코시드 3'-포스포트랜스퍼라제 (APH)를 코딩하는 DNA 서열로 형질전환되거나 공동-형질전환된 숙주 세포 (특히 내인성 DHFR을 함유하는 야생형 숙주)는 선택 마커에 대한 선택제, 예컨대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예를 들어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또는 G418을 함유하는 배지에서의 세포 성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미국 특허 번호 4,965,199를 참조한다. 숙주 세포는 NS0, CHOK1, CHOK1SV 또는 유도체, 예컨대 글루타민 신테타제 (GS)가 결핍된 세포주를 포함할 수 있다. 포유동물 세포에 대한 선택 마커로서 GS의 사용 방법은 미국 특허 5,122,464 및 미국 특허 5,891,693에 기재되어 있다.
d) 프로모터 성분
발현 및 클로닝 벡터는 통상적으로 숙주 유기체에 의해 인식되고 관심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를 코딩하는 핵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프로모터를 함유한다. 진핵생물에 대한 프로모터 서열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모든 진핵 유전자는 전사가 개시되는 부위로부터 대략 25 내지 30개 염기 상류에 위치하는 AT-풍부 영역을 갖는다. 많은 유전자의 전사 출발점으로부터 70 내지 80개 염기 상류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서열은 CNCAAT 영역이고, 여기서 N은 임의의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코딩 서열의 3' 말단에 폴리 A 꼬리의 부가를 위한 신호일 수 있는 AATAAA 서열이 대부분의 진핵생물 유전자의 3' 말단에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이들 서열은 진핵 발현 벡터 내로 적합하게 삽입될 수 있다.
포유동물 숙주 세포에서 벡터로부터의 전사는, 예를 들어 바이러스, 예컨대 폴리오마 바이러스, 계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예컨대, 아데노바이러스 2), 소 유두종 바이러스, 조류 육종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원숭이 바이러스 40 (SV40)의 게놈으로부터, 이종 포유동물 프로모터, 예를 들어 액틴 프로모터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프로모터로부터, 열-쇼크 프로모터로부터 수득된 프로모터에 의해 제어되며, 단 프로모터는 숙주 세포 시스템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SV40 바이러스의 초기 및 후기 프로모터는 SV40 바이러스 복제 기점을 또한 함유하는 SV40 제한 단편으로서 편리하게 수득된다. 인간 시토메갈로바이러스의 극초기 프로모터는 HindIII E 제한 단편으로서 편리하게 수득된다. 소 유두종 바이러스를 벡터로서 사용하여 포유동물 숙주에서 DNA를 발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미국 특허 번호 4,419,446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의 변형은 미국 특허 번호 4,601,978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단순 포진 바이러스로부터 티미딘 키나제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마우스 세포에서 인간 β-인터페론 cDNA의 발현을 기재한 문헌 [Reyes et al., Nature 297:598-601 (1982)]을 참조한다. 대안적으로,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 긴 말단 반복부가 프로모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e) 인핸서 요소 성분
고등 진핵생물에 의한 본 발명의 항체를 코딩하는 DNA의 전사는 종종 인핸서 서열을 벡터 내로 삽입함으로써 증가된다. 많은 인핸서 서열이 현재 포유동물 유전자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글로빈, 엘라스타제, 알부민, α-태아단백질 및 인슐린). 그러나, 전형적으로 진핵 세포 바이러스로부터의 인핸서를 사용할 것이다. 예는 복제 기점의 후기 측면 (bp 100-270) 상의 SV40 인핸서, 인간 시토메갈로바이러스 초기 프로모터 인핸서, 마우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 초기 프로모터 인핸서, 복제 기점의 후기 측면 상의 폴리오마 인핸서, 및 아데노바이러스 인핸서를 포함한다. 또한, 진핵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위한 인핸서 요소를 기재하는 문헌 [Yaniv, Nature 297:17-18 (1982)]을 참조한다. 인핸서는 항체 폴리펩티드-코딩 서열의 위치 5' 또는 3'에서 벡터 내로 스플라이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프로모터로부터 부위 5'에 위치한다.
f) 전사 종결 성분
진핵 숙주 세포에 사용되는 발현 벡터는 또한 전사의 종결 및 mRNA의 안정화에 필요한 서열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서열은 통상적으로 진핵 또는 바이러스 DNA 또는 cDNA의 5' 및 때때로 3' 비번역 영역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이들 영역은 항체를 코딩하는 mRNA의 비번역 부분에서 폴리아데닐화 단편으로서 전사된 뉴클레오티드 절편을 함유한다. 한 유용한 전사 종결 성분은 소 성장 호르몬 폴리아데닐화 영역이다. WO94/11026 및 그에 개시된 발현 벡터를 참조한다.
g) 숙주 세포의 선택 및 형질전환
본원의 벡터에서 DNA의 클로닝 또는 발현에 적합한 숙주 세포는 곤충 또는 척추동물 숙주 세포를 비롯한 본원에 기재된 고등 진핵 세포를 포함한다. 배양물 (조직 배양물)에서의 곤충 또는 척추동물 세포의 증식은 상용 절차가 되었다. 유용한 곤충 세포주의 예는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podoptera frugiperda)의 Sf-9 및 Sf-2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터(Drosophila melanogaster)의 DS2 세포, 또는 트리코풀시아 니(Trichopulsia ni)의 하이 파이브(High Five) 세포 (BTI-TN-5B1-4)이다. 예를 들어, 문헌 [Frenzel, A. et al. (2013) Front. Immunol. 4:217]을 참조한다. 유용한 포유동물 숙주 세포주의 예는 SV40에 의해 형질전환된 원숭이 신장 CV1 세포주 (COS-7, ATCC CRL 1651); 인간 배아 신장 세포주 (현탁 배양으로 성장을 위해 서브클로닝된 293 또는 293 세포, 문헌 [Graham et al., J. Gen Virol. 36:59 (1977)]); 새끼 햄스터 신장 세포 (BHK, ATCC CCL 10);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DHFR(CHO, 문헌 [Urlaub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4216 (1980)]); 마우스 세르톨리 세포 (TM4, 문헌 [Mather, Biol. Reprod. 23:243-251 (1980)]); 원숭이 신장 세포 (CV1 ATCC CCL 70);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세포 (VERO-76, ATCC CRL-1587); 인간 자궁경부 암종 세포 (HELA, ATCC CCL 2); 개 신장 세포 (MDCK, ATCC CCL 34); 버팔로 래트 간 세포 (BRL 3A, ATCC CRL 1442); 인간 폐 세포 (W138, ATCC CCL 75); 인간 간 세포 (Hep G2, HB 8065); 마우스 유방 종양 (MMT 060562, ATCC CCL51); TRI 세포 (Mather et al., Annals N.Y. Acad. Sci. 383:44-68 (1982)); MRC 5 세포; FS4 세포; CHOK1 세포, CHOK1SV 세포 또는 유도체 및 인간 간세포암 세포주 (Hep G2)이다.
숙주 세포는 항체 생산을 위해 상기 기재된-발현 또는 클로닝 벡터로 형질전환되고, 프로모터를 유도하거나, 형질전환체를 선택하거나, 목적하는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변형된 통상적인 영양 배지에서 배양된다.
h) 숙주 세포의 배양
본 발명의 항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숙주 세포는 다양한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배지, 예컨대 햄(Ham) F10 (시그마(Sigma)), 최소 필수 배지 ((MEM), 시그마), RPMI-1640 (시그마), 및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 ((DMEM), 시그마)가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문헌 [Ham et al., Meth. Enz. 58:44 (1979), Barnes et al., Anal. Biochem. 102:255 (1980)], 미국 특허 번호 4,767,704; 4,657,866; 4,927,762; 4,560,655; 또는 5,122,469; WO 90/03430; WO 87/00195; 또는 미국 특허 Re. 30,985에 기재된 임의의 배지가 숙주 세포를 위한 배양 배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이들 배지는 필요에 따라 호르몬 및/또는 다른 성장 인자 (예컨대, 인슐린, 트랜스페린 또는 표피 성장 인자), 염 (예컨대, 염화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 (예컨대, HEPES), 뉴클레오티드 (예컨대, 아데노신 및 티미딘), 항생제 (예컨대, 겐타마이신(GENTAMYCIN)™ 약물), 미량 원소 (통상적으로 마이크로몰 범위의 최종 농도로 존재하는 무기 화합물로서 정의됨), 및 글루코스 또는 등가의 에너지원으로 보충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보충물이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적절한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배양 조건, 예컨대 온도, pH 등은 발현을 위해 선택된 숙주 세포와 함께 이전에 사용된 것이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 항체의 정제
재조합 기술을 사용할 때, 항체는 세포내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배지 내로 직접 분비될 수 있다. 항체가 세포내에서 생산되는 경우, 제1 단계로서, 숙주 세포 또는 용해된 단편인 미립자 파편이 예를 들어 원심분리 또는 한외여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항체가 배지 내로 분비되는 경우, 이러한 발현 시스템으로부터의 상청액을 먼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단백질 농축 필터, 예를 들어 아미콘(Amicon) 또는 밀리포어 펠리콘(Millipore Pellicon) 한외여과 유닛을 사용하여 농축시킬 수 있다.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컨대 PMSF는 단백질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임의의 상기 단계에 포함될 수 있고, 항생제는 우발적 오염물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세포로부터 제조된 항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히드록실아파타이트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투석 및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으며,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가 편리한 기술이다. 친화성 리간드로서의 단백질 A의 적합성은 항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이뮤노글로불린 Fc 도메인의 종 및 이소형에 따라 달라진다. 단백질 A는 인간 γ1, γ2 또는 γ4 중쇄를 기반으로 하는 항체를 정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문헌 [Lindmark et al., J. Immunol. Methods 62:1-13 (1983)]). 단백질 G는 모든 마우스 이소형 및 인간 γ3에 대해 권장된다 (문헌 [Guss et al., EMBO J. 5:15671575 (1986)]). 친화성 리간드가 부착되는 매트릭스는 아가로스일 수 있지만, 다른 매트릭스도 이용가능하다. 기계적으로 안정한 매트릭스, 예컨대 제어된 세공 유리 또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은 아가로스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유량 및 더 짧은 가공 시간을 허용한다. 항체가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커본드(Bakerbond) ABX™ 수지 (J. T. 베이커, 뉴저지주 필립스버그)가 정제에 유용하다. 단백질 정제를 위한 다른 기술, 예컨대 이온-교환 칼럼 상의 분별증류, 에탄올 침전, 역상 HPLC, 실리카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헤파린 세파로스 (SEPHAROSE)™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음이온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 (예컨대, 폴리아스파르트산 칼럼)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포커싱, SDS-PAGE, 및 황산암모늄 침전이 또한 회수될 항체에 따라 이용가능하다.
임의의 예비 정제 단계(들) 후에, 관심 항체 및 오염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예를 들어 낮은 염 농도 (예를 들어, 약 0-0.25 M 염)에서 수행되는, pH 약 2.5-4.5의 용리 완충제를 사용하는 낮은 pH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추가 정제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구, 시험 및 임상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항체를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확립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기재된 방법론과 일치하고/거나 특정한 관심 항체에 대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바와 같다.
비-푸코실화 항체의 생산
푸코실화 정도가 감소된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고려되는 방법은 단백질 푸코실화가 결핍된 세포주 (예를 들어, Lec13 CHO 세포, 알파-1,6-푸코실트랜스퍼라제 유전자 녹아웃 CHO 세포, β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제 III를 과다발현하고 추가로 골지 μ-만노시다제 II를 과다발현하는 세포 등)의 사용, 및 항체의 생산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의 푸코스 유사체(들)의 첨가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문헌 [Ripka et al. Arch. Biochem. Biophys. 249:533-545 (1986)]; 미국 특허 출원 번호 US 2003/0157108 A1 (Presta, L); WO 2004/056312 A1; 문헌 [Yamane-Ohnuki et al. Biotech. Bioeng. 87: 614 (2004)]; 및 미국 특허 번호 8,574,907을 참조한다. 항체의 푸코스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기술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2/0214975에 기재된 글리맥스 기술을 포함한다. 항체의 푸코스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기술은 또한 항체의 생산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에 1종 이상의 글리코시다제 억제제의 첨가를 포함한다. 글리코시다제 억제제는 α-글루코시다제 I, α-글루코시다제 II 및 α-만노시다제 I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글리코시다제 억제제는 α-만노시다제 I의 억제제 (예를 들어, 키푸넨신)이다.
본원에 사용된 "코어 푸코실화"는 N-연결된 글리칸의 환원 말단에서 N-아세틸글루코사민 ("GlcNAc")에의 푸코스의 첨가 ("푸코실화")를 지칭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 및 그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Fc 영역 (또는 도메인)에 결합된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의 푸코실화가 감소된다. 본원에 사용된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는 전형적으로 아스파라긴 297 (카바트의 번호에 따름)에 결합되지만, 복합 N-글리코시드 연결된 당 쇄는 또한 다른 아스파라긴 잔기에 연결될 수 있다.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는 코어 구조의 비-환원 말단에 만노스만이 혼입된 고 만노스 유형의 당 쇄를 제외하지만, 1) 코어 구조의 비-환원 말단 측이 갈락토스-N-아세틸글루코사민 ("gal-GlcNAc"로도 지칭됨)의 1개 이상의 분지를 갖고 Gal-GlcNAc의 비-환원 말단 측이 임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을 양분하는 시알산을 갖는 복합 유형; 또는 2) 코어 구조의 비-환원 말단 측이 고 만노스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의 분지 및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 둘 다를 갖는 하이브리드 유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는 코어 구조의 비-환원 말단 측이 갈락토스-N-아세틸글루코사민 ("gal-GlcNAc"로도 지칭됨)의 0, 1개 또는 그 초과의 분지를 갖고, Gal-GlcNAc의 비-환원 말단 측이 임의로 시알산, 양분성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과 같은 구조를 추가로 갖는 복합 유형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따라, 전형적으로 단지 미량의 푸코스만이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들)에 혼입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약 60% 미만, 약 50% 미만, 약 40% 미만, 약 30% 미만, 약 20% 미만, 약 15% 미만, 약 10% 미만, 약 5% 미만, 또는 약 1% 미만의 항체가 조성물에서 푸코스에 의한 코어 푸코실화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항체도 (즉, 약 0.5% 미만) 조성물에서 푸코스에 의한 코어 푸코실화를 갖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약 40% 초과, 약 50% 초과, 약 60% 초과, 약 70% 초과, 약 80% 초과, 약 90% 초과, 약 91% 초과, 약 92% 초과, 약 93% 초과, 약 94% 초과, 약 95% 초과, 약 96% 초과, 약 97% 초과, 약 98% 초과, 또는 약 99% 초과가 조성물에서 비푸코실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가 푸코스 잔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즉, 약 0.5% 미만) 항체가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중쇄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가 비-푸코실화된 것인 항체가 본원에 제공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포유동물 숙주-발현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배양 배지는 푸코스로 보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유효량의 푸코스 유사체가 배양 배지에 첨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효량"은 항체의 복합 N-글리코시드-연결된 당 쇄 내로의 푸코스 혼입을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40% 또는 적어도 약 50%만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유사체의 양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는 푸코스 유사체의 부재 하에 배양된 숙주 세포로부터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40% 또는 적어도 약 50%의 비-코어 푸코실화 단백질 (예를 들어, 코어 푸코실화가 결핍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푸코스가 당 쇄의 환원 말단에서 N-아세틸글루코사민에 결합된 당 쇄에 대한 푸코스가 당 쇄의 환원 말단에서 N-아세틸글루코사민에 결합되지 않은 당 쇄의 함량 (예를 들어, 비)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히드라진분해 또는 효소 소화 (예를 들어, 문헌 [Biochemical Experimentation Methods 23: Method for Studying Glycoprotein Sugar Chain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edited by Reiko Takahashi (1989)] 참조), 방출된 당 쇄의 형광 표지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및 이어서 표지된 당 쇄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를 포함한다. 또한, 방출된 당 쇄의 조성은 HPAEC-PAD 방법에 의해 쇄를 분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J. Liq Chromatogr. 6:1557 (1983)] 참조).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4/0110282 참조).
IV. 조성물
일부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이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측면에서, 본원에는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는 Fc 영역; 및 이러한 Fc 영역에 연결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를 포함하고, 여기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의 약 50% 미만이 푸코스 잔기를 함유한다. 일부 측면에서, 본원에는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는 Fc 영역; 및 이러한 Fc 영역에 연결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를 포함하고, 여기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는 실질적으로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목적하는 정도의 순도를 갖는 활성 성분을 임의적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와 혼합함으로써 저장을 위한 치료 제제를 제조한다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Lippincott Williams & Wiklins, Pub., Gennaro Ed., Philadelphia, Pa. 2000)]).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완충제,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메티오닌, 비타민 E,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보존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금속 착물 (예를 들어, Zn-단백질 복합체);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EDTA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완충제는, 특히 안정성이 pH 의존성인 경우, 치료 유효성을 최적화하는 범위로 pH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완충제는 약 50 mM 내지 약 250 mM 범위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완충제는 유기 및 무기 산 둘 다 및 그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추가적으로, 완충제는 히스티딘 및 트리메틸아민 염, 예컨대 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존제는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약 0.2%-1.0% (w/v)의 범위로 존재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보존제는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할라이드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티메로살,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콜; 알킬 파라벤, 예컨대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시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졸을 포함한다.
때때로 "안정화제"로 공지된 장성 작용제는 조성물 중 액체의 등장성을 조정 또는 유지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대형 하전된 생체분자, 예컨대 단백질 및 항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아미노산 측쇄의 하전된 기와 상호작용하여 분자간 및 분자내 상호작용에 대한 잠재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안정화제"로 지칭된다. 장성 작용제는 다른 성분의 상대량을 고려하여 약 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약 1 내지 약 5 중량%의 임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성 작용제는 다가 당 알콜, 3가 이상의 당 알콜, 예컨대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아라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및 만니톨을 포함한다.
추가의 부형제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1) 벌킹제, (2) 용해도 증진제, (3) 안정화제 및 (4) 변성 또는 용기 벽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는 작용제. 이러한 부형제는 하기를 포함한다: 다가 당 알콜 (상기 열거됨); 아미노산, 예컨대 알라닌,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류신, 2-페닐알라닌, 글루탐산, 트레오닌 등; 유기 당 또는 당 알콜, 예컨대 수크로스, 락토스, 락티톨, 트레할로스, 스타키오스, 만노스, 소르보스, 크실로스, 리보스, 리비톨, 미오이니시토스, 미오이니시톨, 갈락토스, 갈락티톨, 글리세롤, 시클리톨 (예를 들어, 이노시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황 함유 환원제, 예컨대 우레아, 글루타티온, 티옥트산,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세롤, α-모노티오글리세롤 및 소듐 티오 술페이트; 저분자량 단백질,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소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다른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크실로스, 만노스, 프룩토스, 글루코스;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락토스, 말토스, 수크로스); 트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라피노스;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덱스트린 또는 덱스트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세제 (또한 "습윤제"로 공지됨)는 치료제를 가용화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뿐만 아니라 치료 단백질을 교반-유도된 응집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제제가 활성 치료 단백질 또는 항체의 변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단 표면 응력에 노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0.05 mg/ml 내지 약 1.0 mg/ml 또는 약 0.07 mg/ml 내지 약 0.2 mg/ml의 범위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0.001% 내지 약 0.1% w/v 또는 약 0.01% 내지 약 0.1% w/v 또는 약 0.01% 내지 약 0.025% w/v의 범위로 존재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40, 60, 65, 80 등), 폴리옥사머 (184, 188 등), 플루로닉(PLURONIC)® 폴리올, 트리톤(TRITON)®,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에테르 (트윈(TWEEN)®-20, 트윈®-80 등), 라우로마크로골 400,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피마자 오일 10, 50 및 6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 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세제는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디옥틸 나트륨 술포숙시네이트 및 디옥틸 소듐 술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세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벤제토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제제가 생체내 투여에 사용되기 위해, 이들은 멸균되어야 한다. 제제는 멸균 여과 막을 통한 여과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본원의 치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멸균 접근 포트를 갖는 용기, 예를 들어 피하 주사 바늘로 뚫을 수 있는 마개를 갖는 정맥내 용액 백 또는 바이알에 넣는다.
투여 경로는 공지되고 허용되는 방법에 따라, 예컨대 단일 또는 다중 볼루스 또는 장기간에 걸친 주입에 의해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피하,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병변내 또는 관절내 경로에 의한 주사 또는 주입, 국소 투여, 흡입에 의해 또는 지속 방출 또는 연장-방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원의 제제는 또한 치료할 특정한 적응증에 필요한 1종 초과의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서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보적 활성을 갖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조성물은 세포독성제, 시토카인 또는 성장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자는 의도된 목적에 유효한 양으로 조합하여 적합하게 존재한다.
V. 치료 방법
대상체에서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또는 그의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예시적인 질환 또는 상태, 즉 비만 세포-매개 장애 또는 상태는 하기 기재된다.
추가로,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또는 그의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예를 들어 치료 전 기준선 수준에서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와 비교하여 적어도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100% 억제한다.
추가로,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고갈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세포를 고갈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또는 그의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치료 전 기준선 수준과 비교하여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적어도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100%를 고갈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세포의 고갈 또는 감소는 항체를 사용한 치료 후 대상체로부터의 샘플 (예를 들어, 조직 샘플 또는 생물학적 유체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집단 수를 항체를 사용한 치료 전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집단 수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세포의 고갈 또는 감소는 항체를 사용한 치료 후 대상체로부터의 샘플 (예를 들어, 조직 샘플 또는 생물학적 유체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집단 수를 참조 번호 또는 샘플, 예를 들어 항체 치료가 없는 또 다른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집단 수, 또는 항체 치료가 없는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의 평균 비만 세포 집단 수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세포의 감소의 고갈은 ADCC 및/또는 ADCP로 인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만 세포의 고갈 또는 감소 및/또는 비만 세포 활성화의 억제는 1종 이상의 비만 세포 생성물, 예를 들어 비만 세포로부터 생산된 사전형성된 또는 새로 형성된 염증 매개체의 감소 또는 방지에 의해 측정된다. 예시적인 염증 매개체는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범-트립타제, 활성 또는 베타-트립타제, 키마제, CPA3, 헤파린 등), 류코트리엔 (예를 들어, 류코트리엔 C4 또는 B4, 혈소판 활성화 인자, 프로스타글란딘 D2 또는 E2 등), 아민 (예를 들어,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폴리아민 등), 성장 인자 (예를 들어, SCF, GM-CSFG-CSF, FGF, EGF, NGF, VEGF, PDGF 등), 시토카인 (예를 들어, TNF, IL-1b, IL-4, IL-5, IL-6, IL-8, IL-9, IL-10, IL-13, IL-17, IL-18, IL-31, IL-36 등), 케모카인 (예를 들어, CCL2, CCL3, CCL4, CCL5, CCL11, CCL12, CCL13, CCL24, CCL26, CXCL1, CXCL2, CXCL3, CXCL4, CXCL5, CXCL6, CXCL7, CXCL8 등), 엑소솜, 및 세포외 트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예를 들어 참조 번호 또는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과 비교하여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조성물로의 치료 후에 수득된 개체로부터의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을 항체 또는 조성물로의 치료 전에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 항체 또는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 항체 또는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들)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평균 수준, 또는 상응하는 유형의 샘플에서의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의 수준에 대한 참조 또는 정상 실험실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염증 매개체는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범-트립타제, 활성 또는 베타-트립타제, 키마제, CPA3, 헤파린 등), 류코트리엔 (예를 들어, 류코트리엔 C4 또는 B4, 혈소판 활성화 인자, 프로스타글란딘 D2 또는 E2 등), 아민 (예를 들어, 히스타민, 세로토닌, 도파민, 폴리아민 등), 성장 인자 (예를 들어, SCF, GM-CSFG-CSF, FGF, EGF, NGF, VEGF, PDGF 등), 시토카인 (예를 들어, TNF, IL-1b, IL-4, IL-5, IL-6, IL-8, IL-9, IL-10, IL-13, IL-17, IL-18, IL-31, IL-36 등), 케모카인 (예를 들어, CCL2, CCL3, CCL4, CCL5, CCL11, CCL12, CCL13, CCL24, CCL26, CXCL1, CXCL2, CXCL3, CXCL4, CXCL5, CXCL6, CXCL7, CXCL8 등), 엑소솜, 및 세포외 트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은 활성 트립타제, CCL2, IL-13, IL-8, CCL4, IL-6, 히스타민, 키마제, CPA3, 프로스타글란딘 (예를 들어, 프로스타글란딘 D2 또는 E2), 류코트리엔 (예를 들어, 류코트리엔 C4 또는 B4), 또는 비만 세포 마커 (예를 들어, CD63, CD107a, CD203c, IgE 또는 MRGPRX2) 중 1종 이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은 비만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물질이고, 샘플은 고체 샘플 (예를 들어, 생검 샘플) 또는 액체 샘플 (예를 들어, 혈청, 혈장 또는 소변 샘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 매개체 또는 비만 세포 생성물은 비만 세포에 의해 발현되지만 분비되지는 않는 물질 또는 마커이고, 샘플은 고체 샘플 (예를 들어, 생검 샘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예를 들어 참조 번호 또는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과 비교하여,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 (예를 들어, 생검 샘플, 예컨대 1종 이상의 비만 세포를 포함하는 생검 샘플)에서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조성물로의 치료 후에 수득된 개체로부터의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은 항체 또는 조성물로의 치료 전에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 항체 또는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 항체 또는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들)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평균 수준, 또는 상응하는 유형의 샘플에서의 비만 세포 마커의 수준에 대한 참조 또는 정상 실험실 값과 비교될 수 있다. 예시적인 비만 세포 마커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비제한적으로 CD63, CD107a, CD203c, IgE 및 MRGPRX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샘플은 조직 샘플 (예를 들어, 생검 샘플, 피부 샘플, 폐 샘플, 골수 샘플, 비강 폴립증 샘플 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샘플은 생물학적 유체 샘플 (예를 들어, 혈액 샘플, 혈청 샘플, 혈장 샘플, 소변 샘플, 기관지폐포 세척 샘플, 비강 세척 샘플 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만 세포-매개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만 세포-매개 장애 또는 상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예시적인 비만 세포-매개 장애 및 상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만 세포-매개 장애 또는 상태는 비만세포증 (예를 들어, 무통성 전신 비만세포증, ISM; 또는 공격성 전신 비만세포증, ASM),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예를 들어, 현미경적 결장염 또는 궤양성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예를 들어,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또는 유도성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예를 들어, 호산구성 또는 비-호산구성 천식), 알레르기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 또는 가성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예를 들어, 비강 폴립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음),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만세포증 (예를 들어, 무통성 전신 비만세포증, ISM; 또는 공격성 전신 비만세포증, ASM),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예를 들어, 현미경적 결장염 또는 궤양성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예를 들어,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또는 유도성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예를 들어, 호산구성 또는 비-호산구성 천식), 알레르기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 또는 가성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예를 들어, 비강 폴립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음),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을 갖거나 또는 그로 진단되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 또는 그의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함)은 상기 개체에서 1종 이상의 증상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치료 후의 개체에서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수준, 양 또는 존재를 기준선, 예를 들어 치료 전의 개체에서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수준, 양 또는 존재와 비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증상은 비제한적으로 오심, 경련, 변비, 복통, 복부팽창, 구토, 설사, 피로, 눈 통증, 광 감수성, 발적, 분비물, 콧물, 두통, 어지럼증, 브레인 포그, 가려움증, 홍조, 발한, 심마진, 저혈압, 숨가쁨, 골통, 관절통, 체중 감소, 골다공증, 혈관부종, 흉통, 불안, 우울증, 빠른 심박동, 기관지수축 및 일반적 통증을 포함할 수 있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활성제의 적절한 투여량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될 질환의 유형, 질환의 중증도 및 경과, 작용제가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투여되는지 여부, 선행 요법, 대상체의 임상 병력 및 작용제에 대한 반응, 및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작용제는 대상체에게 1회 또는 일련의 치료에 걸쳐 적합하게 투여된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기재된 항-Siglec-6 항체의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1개월 또는 그 초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2개월, 약 3개월, 약 4개월, 약 5개월, 약 6개월 또는 그 초과이다. 본원에 사용된 투여 사이의 간격은 항체의 한 투여와 항체의 다음 투여 사이의 기간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약 1개월의 간격은 4주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4주, 약 8주, 약 12주, 약 16주, 약 20주, 약 24주, 또는 그 초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항체의 다중 투여를 포함하며, 여기서 투여 사이의 간격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여와 제2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1개월이고, 후속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3개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투여와 제2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1개월이고, 제2 투여와 제3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2개월이고, 후속 투여 사이의 간격은 약 3개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균일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대상체에게 용량당 약 150 내지 약 45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Siglec-6 항체는 대상체에게 용량당 약 150 mg, 200 mg, 250 mg, 300 mg, 350 mg, 400 mg, 및 450 mg 중 임의의 것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체중-기준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대상체에게 약 0.1 mg/kg 내지 약 10 mg/kg 또는 약 1.0 mg/kg 내지 약 1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는 대상체에게 약 0.1 mg/kg, 0.5 mg/kg, 1.0 mg/kg, 1.5 mg/kg, 2.0 mg/kg, 2.5 mg/kg, 3.0 mg/kg, 3.5 mg/kg, 4.0 mg/kg, 4.5 mg/kg, 5.0 mg/kg, 5.5 mg/kg, 6.0 mg/kg, 6.5 mg/kg, 7.0 mg/kg, 7.5 mg/kg, 8.0 mg/kg, 8.5 mg/kg, 9.0 mg/kg, 9.5 mg/kg, 또는 10.0 mg/kg 중 임의의 것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기재된 투여 빈도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VI. 제조 물품 또는 키트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Siglec-6 항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또는 키트가 제공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항체의 사용에 대한 지침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침서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예를 들어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고/거나,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거나, 비만 세포 (예를 들어,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는 방법에서의 항-Siglec-6 항체의 사용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개체는 인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체는 비만 세포-매개 장애 또는 상태를 갖거나 또는 그의 발생 위험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만세포증 (예를 들어, 무통성 전신 비만세포증, ISM; 또는 공격성 전신 비만세포증, ASM),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예를 들어, 현미경적 결장염 또는 궤양성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예를 들어,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또는 유도성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예를 들어, 호산구성 또는 비-호산구성 천식), 알레르기 (예를 들어, 식품 알레르기 또는 가성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예를 들어, 비강 폴립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음),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을 갖거나 또는 그로 진단되었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용기는, 예를 들어 병, 바이알 (예를 들어, 이중 챔버 바이알), 시린지 (예컨대, 단일 또는 이중 챔버 시린지) 및 시험 튜브를 포함한다. 용기는 다양한 물질, 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제제를 보유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용기 상에 있거나 또는 용기와 연관되어 제제의 재구성 및/또는 사용에 대한 지침을 나타낼 수 있다.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은 제제가 개체에서 비만 세포-매개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피하, 정맥내 또는 다른 투여 방식에 유용하거나 이를 위해 의도된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제제를 보유하는 용기는 단일-사용 바이알 또는 다중-사용 바이알일 수 있으며, 이는 재구성된 제제의 반복 투여를 가능하게 한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적합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2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다른 완충제, 희석제, 필터, 바늘, 시린지, 및 사용에 대한 지침서가 있는 패키지 삽입물을 포함한, 상업적, 치료적 및 사용자 관점에서 바람직한 다른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일 용량-투여 단위를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키트는 단일 또는 다중-챔버의 사전-충전된 시린지 둘 다를 포함한, 치료 항체의 수성 제제의 용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사전-충전 시린지는 베터 게엠베하(Vetter GmbH, 독일 라벤스부르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본원의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임의로, 제2 의약을 포함하는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항-Siglec-6 항체는 제1 의약이고, 상기 제조 물품 또는 키트는 라벨 또는 패키지 삽입물 상에, 제2 의약을 유효량으로 사용하여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지침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자동-주사기 장치에서의 투여를 위한 본원에 기재된 제제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 또는 키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자동-주사기는 활성화 시 환자 또는 투여자로부터 추가의 필요한 작용 없이 그의 내용물을 전달할 주사 장치로서 기재될 수 있다. 이들은 전달 속도가 일정해야 하고 전달 시간이 수 분 초과인 경우에 치료 제제의 자동-투약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그에 비추어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안될 것이며, 본 출원의 취지 및 범위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그에 비추어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안될 것이며, 본 출원의 취지 및 범위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1: 항-Siglec-6 항체의 생성 및 특징화
Siglec-6 (CD327로도 공지됨)은 비만 세포 상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억제성 수용체이다. 비만 세포는 식품 알레르기,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비만세포증, IPF, COPD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수많은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의 병원성 구동자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문헌 [Yu, Y. et al. (2018) Front. Immunol. 9:2138; Yokoi, H. et al. (2006) Allergy 61:769-76]; 및 US PG 공개 번호 US20060269556A1 및 US20080267973A1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는 인간 Siglec-6의 다양한 에피토프와 고친화도로 결합하고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강력한 비만 세포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항체의 생성 및 특징화를 기재한다.
물질 및 방법
항체의 생성
마우스를 Siglec-6 ECD-Fc로 면역화시키고, Siglec-6 ECD (예를 들어, 서열식별번호: 1 참조)로 부스팅하였다. 면역화 후에, 높은 역가 꼬리 출혈을 갖는 마우스를 선택하고, 비장 및 림프절을 수거하고,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켜 하이브리도마를 생성하였다. 하이브리도마 클론으로부터의 상청액을 ELISA를 사용하여 Siglec-6 ECD에 대해 스크리닝하고, 가변 영역 서열분석을 위해 고친화도 클론을 선택하였다. 이어서, 가변 영역을 마우스 IgG1 플라스미드 내로 클로닝하고, 재조합적으로 발현시키고, 생화학적 및 기능적 특징화를 위해 정제하였다.
항체 특징화
Siglec-6 mAb에 대한 IgG의 2가 결합 친화도는 고정화된 Siglec-6 ECD Fc 단백질을 사용하여 포르테바이오 옥텟 레드 384 기기를 사용하는 생물층 간섭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전체 ECD, 도메인 1 및 2, 또는 도메인 1을 함유하는 인간 Fc에 융합된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Siglec-6 세포외 도메인을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도메인 맵핑을 평가하였다. Siglec-6 mAb를 이들 도메인 융합 단백질 각각에 대한 결합에 관하여 시험하였고, 그들의 특이적 결합 특성에 근거하여 도메인을 배정하였다. 모든 3개의 융합 단백질에 결합된 Siglec-6 mAb는 도메인 1 결합인자로 배정되었고, 전체 ECD 및 도메인 1 및 2에 결합된 mAb는 도메인 2 결합인자로 배정되었으며, 전체 ECD 단백질에만 결합된 mAb는 도메인 3 결합인자로 배정되었다.
에피토프 비닝을 고정화된 Siglec-6 ECD Fc 단백질을 사용하는 포르테바이오 옥텟 레드 384 기기를 사용하여 생물층 간섭측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Siglec-6 ECD를 하나의 Siglec-6 mAb로 포화시킨 다음, 제2 Siglec-6 mAb를 결합 평가함으로써 16개의 Siglec-6 mAb의 패널을 쌍별 방식으로 시험하였다. Siglec-6 mAb는 결합이 감소되거나 차단된 경우에 동일한 빈으로 배정되었다. 차단이 발생하지 않으면 mAb를 상이한 빈으로 배정하였다.
Siglec-6 mAb의 에피토프 맵핑을 가교 질량 분광측정법 (XL-MS)에 의해 수행하였다. XL-MS는 고-질량 MALDI 분석을 사용하여 비-공유 상호작용의 직접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간략하게, Siglec-6 mAb를 특수하게 개발된 가교 혼합물을 사용하여 Siglec-6 ECD에 가교시켰다 (문헌 [Bich, C et al. Anal. Chem., 2010, 82(1), pp 172-179]). 가교 후, mAb-항원 상호작용 잔기를 특징화하는 질량 분광측정법을 사용하여 샘플을 분석하였다.
Siglec-6의 발현
신선한 인간 피부, 폐 및 위장 조직을 정상 공여자로부터 입수하고, 효소적 및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단세포로 소화시켰다. 조직 소화 후, 주요 면역 세포를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확인하고, 항-Siglec-6 mAb (알앤디 시스템즈, MAB2859)로 염색하여 발현을 평가하였다.
비만 세포 활성화 검정
인간 비만 세포는 건강한 공여자로부터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비만 세포를 37℃ 하에 20분 동안 항-Siglec-6 mAb 또는 이소형 대조군 (5 μg/mL)의 존재 하에 항-FcεRI (250 ng/mL)로 자극하였다.
활성화 마커 CD63을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상청액 중에서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활성 트립타제를 세포-무함유 상청액에서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IL-13 검정을 위해, 인간 비만 세포는 건강한 공여자로부터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비만 세포를 항-Siglec-6 mAb 또는 이소형 대조군 (5 μg/mL)의 존재 하에 37℃에서 밤새 배양한 다음, 항-FcεRI (250 ng/ml)로 자극하였다. IL-13을 세포-무함유 상청액에서 MSD에 의해 측정하였다.
Siglec-6 내재화
인간 말초 혈액 유래 비만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Siglec-6 mAb MAB2859 (HVR 서열에 대해서는 하기 표 4 참조; 알앤디 시스템즈 클론 #767329), AK04 (HVR 서열에 대해서는 서열식별번호: 5-10 참조), 및 AK02 (HVR 서열에 대해서는 서열식별번호: 17-22 참조) 또는 이소형 대조군과 함께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iglec-6 상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형광-태그부착된 Siglec-6 mAb를 사용하여 FACS에 의해 내재화를 측정하였다.
표 4. MAB2859 HVR 서열.
Figure pct00009
Siglec-6 마우스 검정
효능제 항-FcεRI mAb (CRA-1)를 사용하여 인간 비만 세포 (NSG-SGM3)를 함유하는 인간화 마우스에서 전신 아나필락시스를 유도하였다. 예를 들어, 문헌 [Bryce PJ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6 Sep;138(3):769-779]을 참조한다. 인간화 마우스에게 CRA-1을 투여하기 24시간 전에 이소형 대조군 mAb 또는 항-Siglec-6 mAb (AK04)를 투여하였다. CRA-1 투여 10분 후에 시작된 직장 체온의 변화로서 전신 아나필락시스를 측정하고, 비만 세포 활성 트립타제, CCL2, IL-6, 히스타민 및 키마제의 혈청 수준을 평가하였다.
결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정상 인간 조직으로부터의 Siglec-6 발현을 평가하였다. Siglec-6은 비만 세포 (예를 들어, 인간 1차 조직 비만 세포) 상에서 고도로 및 선택적으로 발현되고, 다른 주요 면역 세포 유형, 예컨대 호산구, 호중구,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B 세포, NK 세포 또는 T 세포 상에서는 그렇지 않은 마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a).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걸친 다양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였다 (도 1b; 또한 도 4 참조). 새로 생성된 항체를 R&D 시스템즈로부터의 이전 항체 MAB2859 (클론 #767329)와 함께 특징화하였다. 각각의 새로운 항-Siglec-6 항체의 에피토프를 인간 Siglec-6 ECD의 도메인 1, 2, 또는 3에 맵핑하고, 빈으로 분류하였다 (표 A). 인간 Siglec-6에 대한 결합의 용융 온도 및 친화도를 또한 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항체에 대해 결정하였다.
표 A. 항-Siglec-6 mAb의 생화학적 특성.
Figure pct00010
다음으로, 비만 세포 활성화에 대한 항체 결합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비만 세포 활성화를 활성화 마커 CD63을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험된 모든 Siglec-6 mAb는 이소형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2). 또한, 항-Siglec-6 mAb는 인간 비만 세포로부터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활성 프로테아제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험된 모든 Siglec-6 mAb는 활성화된 비만 세포로부터 시토카인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IL-8) 및 케모카인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CCL4)을 감소시켰다. 시험된 모든 Siglec-6 mAb는 또한 활성화된 비만 세포로부터 트립타제 방출을 감소시켰다 (도 3c).
Siglec-6 억제는 에피토프 위치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도메인 1, 빈 A에 결합된 항-Siglec-6 mAb는 비만 세포의 가장 강력한 억제를 유도한 반면에, 도메인 3, 빈 D에 결합된 mAb는 CD63 및 CD107a의 발현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이 가장 약한 억제를 나타냈다 (도 4a). FcεRI-매개 비만 세포 억제에 대한 Siglec-6 억제를 각각의 에피토프 빈으로부터의 대표적인 Siglec-6 mAb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인간 비만 세포는 건강한 공여자로부터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비만 세포를 37℃ 하에 20분 동안 항-Siglec-6 mAb 또는 이소형 대조군 (5 μg/mL)의 존재 하에 적정 농도의 항-FcεRI로 자극하였다. 비만 세포 활성화를 표면 마커 CD63을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Siglec-6 mAb 억제는 에피토프 빈에 의존적이었으며, 도메인 1, 빈 A 결합인자가 가장 강건한 비만 세포 억제를 나타냈다 (도 4b).
Siglec-6 내재화에 대한 항체 결합의 효과를 또한 시험하였다. 항-Siglec-6 mAb AK02는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용량-의존성 Siglec-6 내재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에, AK04 및 MAB2859는 그렇지 않았다 (도 5a). 상이한 항-Siglec-6 항체로의 치료는 Siglec-6의 완전 내재화에서부터 내재화가 없는 것까지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도 5b).
Fc 상호작용이 항체-유도된 Siglec-6 내재화에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인간 조직 비만 세포를 5ug/mL Siglec-6 mAb AK04 및 AK02의 IgG 또는 Fab2 단편 또는 이소형 대조군의 존재 하에 37℃에서 18시간 동안 이펙터 세포 (인간 단핵구-유래 대식세포)와 공동-배양하였다.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형광-태그부착된 Siglec-6 mAb를 사용하여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내재화를 측정하였다. AK04 IgG1은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Siglec-6의 내재화를 유도하였지만 Fab2는 그렇지 않았으며, 이는 Fc-상호작용이 AK04에 의해 유도된 수용체 내재화에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6). 대조적으로, AK02의 IgG 및 Fab2 포맷 둘 다는 인간 비만 세포 상에서 Siglec-6 수용체의 내재화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Fc-상호작용이 AK02에 의해 유도된 내재화에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활성화된 인간 비만 세포로부터의 IL-13 생산에 대한 항체 결합의 효과를 또한 검사하였다. IL-13을 세포-무함유 상청액에서 MSD에 의해 측정하고, 절대 농도 (도 7a) 또는 퍼센트 억제 (도 7b)로서 나타내었다. Siglec-6 mAb AK04 및 AK02는 활성화된 비만 세포로부터 IL-13의 생산을 억제하였지만, MAB2859는 그렇지 않았다.
항-Siglec-6 mAb의 활성을 또한 상기 기재된 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도 8a에서, CRA-1을 받은 마우스 (사각형)는 PBS 대조군 마우스 (원형)와 비교하여 중증 아나필락시스를 겪었다. 항-Siglec-6 mAb (다이아몬드)는 체온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이소형 대조군-치료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IgE-매개 전신 아나필락시스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CRA-1이 투여된 마우스는 또한 활성 트립타제 (도 8b), CCL2 (도 8c), IL-6 (도 8d), 히스타민 (도 8e), 및 키마제 (도 8f)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냈으며, 이는 비만 세포 활성화를 나타낸다. 항-Siglec-6 mAb 치료는 이들 매개인자의 전신 수준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비만 세포 억제를 강력하게 시사한다.
항-Siglec-6 mAb AK04를 또한 인간 비만 세포에 대한 항체-의존성 세포성 식세포작용 (ADCP) 활성에 관하여 시험하였다. 인간 조직 비만 세포를 5 ug/mL AK04 또는 이소형 대조군의 존재 하에 37℃에서 18시간 동안 인간 단핵구-유래 대식세포 (각각 1:50 비)와 공동-배양하였다.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비만 세포 수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이소형 대조군-치료된 세포에서의 비만 세포의 수에 대해 정규화하여 남아있는 비만 세포의 백분율을 수득하였다. AK04는 대식세포의 존재 하에서만 조직 비만 세포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ADCP 활성과 일치한다 (도 9).
선택된 항-Siglec-6 항체의 에피토프를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맵핑하였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K05는 Siglec-6 상의 하기 아미노산: 29, 30, 34, 38, 63, 64, 68, 74, 76, 99, 100, 103, 104, 106 및 114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Siglec-6 ECD에 따른 넘버링)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K04는 Siglec-6 상의 하기 아미노산: 26, 29, 30, 52, 64, 74, 75, 79, 98, 100, 104, 106 및 107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Siglec-6 ECD에 따른 넘버링)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B2859는 Siglec-6 상의 하기 아미노산: 100, 103, 104, 106, 107, 109, 110, 및 112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Siglec-6 ECD에 따른 넘버링)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종합하면, 이들 결과는 Siglec-6 상의 고유한 에피토프의 범위 및 Siglec-6 표면 발현 및 비만 세포 활성화/억제를 조정하는 것과 관련된 차별적 특성을 포괄하는, 고친화도 결합을 갖는 새로운 항-Siglec-6 항체의 생성을 입증한다.
실시예 2: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 모델에서의 항-Siglec-6 항체의 특징화
생체내 비만 세포 활성화를 검사하기 위해,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게 PBS 또는 500 ng의 재조합 마우스 줄기 세포 인자 (SCF)를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3시간 후, RPMI로 세척하여 복막강 내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항-Siglec-6 mAb (AK04 클론) 또는 이소형-매칭된 대조군 mAb를 SCF 투여 1시간 전에 5 mg/kg으로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항-Siglec-6 mAb 치료는 이러한 마우스 모델에서 KIT (CD117)-매개 비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iglec-6 항체 치료는 이소형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은 CD63 발현 (도 11a, 좌측), 뿐만 아니라 유의하게 더 낮은 시토카인 및 케모카인 수준 (예를 들어, IL-6, CCL2, TNF, 및 CXCL1; 도 11a, 중앙 및 우측 및 도 11b)을 유도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항-Siglec-6 항체 치료가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KIT- 및 IgE-매개 비만 세포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1차 MC에서 Siglec-6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상호작용 및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고 효능작용 Siglec-6 모노클로날 항체 (mAb)의 억제 폭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Siglec-6과 활성화 수용체 및 신호전달 분자의 상호작용을 생화학적으로 및 1차 MC를 사용한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평가하였다. 효능작용 항-Siglec-6 mAb의 활성을 상기 기재된 마우스 MC 상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SCF-매개 염증의 급성 모델에서 생체내 평가하였다.
Siglec-6은 MC에서 KIT/CD117과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고 공동 국재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1c). 또한, 비-수용체 억제성 포스파타제 Shp-1 및 Shp-2가 인산화 시 Siglec-6 ITIM과 회합되었다 (도 11d, 우측). 근위 및 원위 ITIM 둘 다의 돌연변이는 Shp 포스파타제의 인산화 및 동원을 감소시켰다. 중요하게는, Siglec-6과 효능작용 mAb의 결속은 억제 포스파타제 및 KIT/CD117을 함유하는 마이크로클러스터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면역조절 시냅스를 나타낸다. Siglec-6 mAb로의 치료는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SCF-매개 염증 및 MC-특이적 프로테아제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이들 발견은 Siglec-6을 통한 MC 억제의 이해를 확장시키고, 염증성 질환에서 MC를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매력적인 치료 표적으로서 수용체를 강조한다 (도 11e).
Siglec-6 항체 치료의 효과를 또한 합텐-유도된 접촉성 피부염의 마우스 모델에서 검사하였다.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0.5% DNFB로 6일 동안 감작화시킨 다음, 1.0% DNFB 국소 시험감염시켰다. DNFB 챌린지 24시간 전에, 마우스에게 항-Siglec-6 mAb (AK04 클론) 또는 이소형-매칭된 대조군 mAb를 투여하였다. DNFB 국소 챌린지 24시간 후에 피부 염증을 평가하였다.
항-Siglec-6 mAb 치료는 이러한 마우스 모델에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귀 종창 (도 12a, 좌측), 귀 조직에서의 비만 세포의 계수 (도 12b, 좌측), 및 귀 조직에서의 CD8+ T 세포의 계수 (도 12b, 우측)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Siglec-6 항체 치료는 이소형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은 피부 염증을 유발하였다. 시토카인 수준을 또한 생체외 배양된 귀 조직에서 평가하였다. IL-4 (도 12a, 중앙) 및 TNF (도 12a, 우측)의 수준은 또한 이소형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Siglec-6 치료군에서 상당히 더 낮았다. 이들 결과는 항-Siglec-6 항체 치료가 이러한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서 비만 세포 억제를 통해 피부 염증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3: 인간 폐 조직 및 인간화 마우스에서의 항-Siglec-6 항체의 특징화
인간 폐 조직으로부터의 비만 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Siglec-6 항체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인간 폐 조직 (n=3)을 효소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단세포로 소화시켰다. 단세포 현탁액을 자극하지 않거나 또는 효능작용 항-FcεRI 항체 (CRA-1 클론, 10 μg/mL)와 함께 증가하는 농도의 항-Siglec-6 mAb (클론 AK04)의 존재 하에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비만 세포 활성화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CD63 발현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glec-6 mAb는 인간 조직 비만 세포의 IgE-매개 활성화를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인간 조직 비만 세포의 감소에 대한 항체 Fc 영역의 중요성을 인간화 마우스를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검사하였다. 인간화 마우스 (SGM3-BLT)에게 이소형 대조군 mAb, Siglec-6 mAb (클론 AK04), 또는 등몰 당량의 Siglec-6 F(ab')2 (클론 AK04)를 14일 동안 3일마다 투여하였다 (n=5-6 마우스/군). 제14일에, 마우스를 취하고, 복강 및 폐 내의 비만 세포를 유동 세포측정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14는 Siglec-6 mAb로 치료된 마우스가 이소형 대조군-치료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감소된 비만 세포 수를 나타냈다는 것을 나타낸다. Siglec-6 F(ab')2-치료된 마우스는 Siglec-6 mAb 치료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비만 세포의 정상 수준을 나타냈으며, 이는 Siglec-6 mAb의 Fc 영역이 비만 세포 감소 활성에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4: IL-33-구동된 급성 피부 염증의 뮤린 모델에서 항-Siglec-6 항체의 특징화
급성 피부 염증에 대한 Siglec-6 항체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급성 피부 염증은 IL-33-구동된 모델에서 마우스에서 유도되었다 (도 15a). 마우스에게 10 mg/kg Siglec-6 mAb (클론 AK04) 또는 이소형 대조군을 정맥내 주사를 통해 투여하였다. 다음날, 마우스는 좌측 귀에 250 ng 재조합 마우스 IL-33 및 우측 귀에 PBS (모의)를 피내 주사를 통해 받았다. 귀에서의 국부 염증은 24시간 후에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귀에서의 면역 세포 침윤을 정량화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항-Siglec-6 mAb 치료는 IL-33-매개 염증을 억제하였고, 비만 세포 (MC) 수를 감소시켰다 (도 15b). 항-Siglec-6 mAb를 투여한 마우스는 또한 상당히 감소된 호중구 (도 15c) 및 단핵구 (도 15d)를 나타냈다. 항-Siglec-6 mAb 치료는 IL-33을 받은 귀에서는 MC 수를 특이적으로 감소시켰지만, PBS-주사된 모의 대조군 귀에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이는 항-Siglec-6 mAb 치료가 국부 염증 부위에서만 MC 수를 감소시켰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5: Siglec-6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알레르기성 위장 질환의 뮤린 모델에서의 항-Siglec-6 항체의 특징화
알레르기성 위장 질환에 대한 Siglec-6 항체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알레르기성 위장 질환을 오브알부민 (OVA) 펩티드 투여를 통해 마우스 모델에서 유도하였다 (도 16a). 마우스를 피하 주사에 의해 1 mg의 황산알루미늄칼륨 아주반트의 존재 하에 100 μg의 OVA로 2주 간격으로 2회 감작화시켰다. 제28일에, 마우스를 주 3회 (격일) 앙와위로 유지시키고, 50 mg 이하의 OVA를 함유하는 멸균 염수 250 μL를 경구로 투여하였다. 각각의 위내 챌린지 전에, 위에서의 항원 분해를 제한할 목적으로 3-4시간 동안 마우스에서 음식물을 박탈하였다. 마우스에게 제28일 및 제34일에 10 mg/kg의 항-Siglec-6 mAb (mIgG1 Fc를 함유한 클론 AK04) 또는 이소형-매칭된 대조군 (mIgG1) mAb를 복강내 (IP) 주사하였다. 마우스를 제39일에 취하였다. 면역 세포 수 및 비만 세포 활성화를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결정하고, 매개체를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MSD)를 사용하여 혈청에서 정량화하였다.
OVA-감작 및 챌린지된 마우스는 위에서의 증가된 비만 세포 (MC) 침윤 및 탈과립화, 뿐만 아니라 위에서의 증가된 침윤 호산구 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항-Siglec-6 mAb (AK04)로 치료된 마우스는 OVA-유도된 염증의 이들 측정 기준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도 16b). AK04 치료는 또한 시토카인 IL-4 및 IL-13 및 케모카인 MIP-2 및 CCL4를 포함한, 혈청에서 측정된 염증 매개체의 생산의 감소로 이어졌다 (도 17). 종합하면, 이들 결과는 항-Siglec-6 mAb가 만성 항원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위장 염증의 척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항-Siglec-6 항체 치료는 MRGPRX2 효능제 LL37에 의해 매개되는 피부 염증을 감소시킴
MRGPRX2 효능제 LL37 모델에서 피부 염증에 대한 Siglec-6 항체 (AK04)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MRGPRX2는 비만 세포 탈과립화에 수반되는 MAS 관련 GPR 패밀리 구성원 X2를 코딩하고, LL37은 MRGPRX2의 다관능성 항미생물 펩티드 효능제이다.
이소형 대조군 항체와 조합된 LL37 치료는 피부 염증 및 병변의 출현을 초래한 반면 (도 18a, "이소형"), PBS 단독으로의 치료는 그렇지 않았다 (도 18a, "PBS"). 세포 계수는 병변 피부에서 호산구 및 단핵구의 증가를 나타냈지만 (도 18b), 비-병변 피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도 18c). 그러나, LL37-유도된 피부 병변은 Siglec-6 mAb-치료된 마우스에서 외관상 감소되었고 (도 18a, "Siglec-6"), 동시에 MC, 호산구 및 단핵구 수가 감소되었다 (도 18b).

Claims (109)

  1. 인간 Siglec-6에 결합하며,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1에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1이 서열식별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 인간 Siglec-6에 결합하며,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2에 결합하는 항체.
  4. 제3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2가 서열식별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5. 인간 Siglec-6에 결합하며,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3에 결합하는 항체.
  6. 제5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의 도메인 3이 서열식별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인 항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체.
  9. 제8항에 있어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항체.
  10. 제9항에 있어서, 항체가 Fc 영역을 포함하고,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Fc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의 존재 하에 인간 비만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항체.
  11. 제9항에 있어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Siglec-6의 이량체화 및 내재화를 유도하는 것인 항체.
  12. 제8항에 있어서, 인간 비만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되는 경우에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세포 표면 상의 Siglec-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지 않는 것인 항체.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인 항체.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CD63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IL-13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IL-8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CCL4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18.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CCL2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19. 제8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활성 트립타제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20. 제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IL-6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21.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히스타민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22. 제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비만 세포에 의한 키마제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항체.
  23. 제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한 항체의 결합이 생체내에서 인간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는 것인 항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약 250 pM 이하의 평형 해리 상수 (KD)로 결합하는 항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약 100 pM 이하의 KD로 결합하는 항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약 10 pM 이하의 KD로 결합하는 항체.
  27. 제24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의 세포외 도메인에 약 1 pM의 KD로 결합하는 항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9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9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9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9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29.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0.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8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1.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2.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8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8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8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3.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4.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7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7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5.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6.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7.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39.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0.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1.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5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6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2.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6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6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7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3.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5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4.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5.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가 중쇄 가변 (VH) 영역 및 경쇄 가변 (VL)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VH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고; 여기서 VL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1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4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46.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
  47. 제1항 내지 제27항, 제31항 및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
  48. 제1항 내지 제27항, 제33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1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1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
  49. 제1항 내지 제27항, 제35항 및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
  50. 제1항 내지 제27항 및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 Siglec-6에의 결합에 대해 서열식별번호: 2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1, 서열식별번호: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2, 및 서열식별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H3을 포함하는 VH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1, 서열식별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2, 및 서열식별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VR-L3을 포함하는 VL 영역을 포함하는 참조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52. 제51항에 있어서, Fc 영역이 인간 Fc 영역인 항체.
  53. 제52항에 있어서, Fc 영역이 인간 IgG1 또는 인간 IgG4 Fc 영역인 항체.
  54. 제53항에 있어서, Fc 영역이 EU 인덱스에 따라 넘버링된 아미노산 치환 S228P를 포함하는 인간 IgG4 Fc 영역인 항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서열식별번호: 10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56. 제53항에 있어서, 서열식별번호: 101 또는 10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57.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c 영역이 이펙터 기능을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하는 것인 항체.
  58. 제57항에 있어서,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a) L234A 및/또는 L235A;
    (b) A327G, A330S 및/또는 P331S;
    (c) E233P, L234V, L235A 및/또는 G236del;
    (d) E233P, L234V 및/또는 L235A;
    (e) E233P, L234V, L235A, G236del, A327G, A330S 및/또는 P331S;
    (f) E233P, L234V, L235A, A327G, A330S 및/또는 P331S;
    (g) N297A;
    (h) N297G;
    (i) N297Q;
    (j) L242C, N297C 및/또는 K334C;
    (k) A287C, N297G 및/또는 L306C;
    (l) R292C, N297G 및/또는 V302C;
    (m) N297G, V323C 및/또는 I332C;
    (n) V259C, N297G 및/또는 L306C;
    (o) L234F, L235Q, K322Q, M252Y, S254T 및/또는 T256E;
    (p) L234A, L235A 및/또는 P329G; 또는
    (q) L234A, L235Q 및 K322Q.
  59. 제57항에 있어서,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2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a) A330S 및/또는 P331S;
    (b) V234A, G237A, P238S, H268A, V309L, A330S 및/또는 P331S; 또는
    (c) V234A, G237A, H268Q, V309L, A330S, P331S, C232S, C233S, S267E, L328F, M252Y, S254T 및/또는 T256E.
  60. 제57항에 있어서,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4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a) E233P, F234V, L235A 및/또는 G236del;
    (b) E233P, F234V 및/또는 L235A;
    (c) S228P 및/또는 L235E; 또는
    (d) S228P 및/또는 L235A.
  61.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c 영역이 이펙터 기능을 증진시키는 1종 이상의 돌연변이(들)를 포함하는 것인 항체.
  62. 제61항에 있어서, EU 인덱스에 기초하여 넘버링된 하기 돌연변이(들) 중 1종 이상을 갖는 인간 IgG1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a) F243L, R292P, Y300L, V305I 및/또는 P396L;
    (b) S239D 및/또는 I332E;
    (c) S239D, I332E 및/또는 A330L;
    (d) S298A, E333A 및/또는 K334A;
    (e) G236A, S239D 및/또는 I332E;
    (f) K326W 및/또는 E333S;
    (g) S267E, H268F 및/또는 S324T; 또는
    (h) E345R, E430G 및/또는 S440Y.
  63. 제5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의 중쇄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가 비-푸코실화된 것인 항체.
  64. 제63항에 있어서, 알파-1,6-푸코실트랜스퍼라제 (Fut8) 녹아웃을 갖는 세포주에서 생산되는 항체.
  65. 제63항에 있어서, β1,4-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제 III (GnT-III)을 과다발현하는 세포주에서 생산되는 항체.
  66. 제65항에 있어서, 세포주가 골지 μ-만노시다제 II (ManII)를 추가적으로 과다발현하는 것인 항체.
  67.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ab, F(ab')2, Fab'-SH, Fv 및 scFv 단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체 단편인 항체.
  68. 제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불변 (CL)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
  69. 제68항에 있어서, CL 도메인이 인간 카파 CL 도메인인 항체.
  70. 제68항에 있어서, 경쇄가 서열식별번호: 10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71. 제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인 항체.
  72.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특이적 항체인 항체.
  73. 제1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용제에 접합된 항체.
  74. 제7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세포독성제 또는 표지인 항체.
  75.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76. 제75항에 있어서, 항체가 Fc 영역 및 Fc 영역에 연결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를 포함하며, 여기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의 50% 미만이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77. 제76항에 있어서, N-글리코시드-연결된 탄수화물 쇄 중 실질적으로 어떠한 것도 푸코스 잔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78.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79. 제78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80. 제78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제79항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81. 제80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또는 곤충 세포인 숙주 세포.
  82. 제81항에 있어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CHO) 세포인 숙주 세포.
  83. 제81항 또는 제82항에 있어서, Fut8 녹아웃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
  84. 제81항 또는 제82항에 있어서, GnT-III을 과다발현하는 숙주 세포.
  85. 제84항에 있어서, ManII를 추가적으로 과다발현하는 숙주 세포.
  86. 제80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주 세포를 항체를 생산하는 조건 하에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
  87. 제86항에 있어서, 숙주 세포에 의해 생산된 항체를 회수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8. 제86항 또는 제87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Siglec-6 항체.
  89.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90.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제75항 내지 제77항 및 제8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증가된 활성 및/또는 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91.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제75항 내지 제77항 및 제8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
  92.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의 고갈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제75항 내지 제77항 및 제8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Siglec-6을 발현하는 비만 세포를 고갈시키는 방법.
  93. 제9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활성 트립타제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활성 트립타제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4. 제9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CL2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CL2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5. 제90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13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13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6. 제90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8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8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7. 제90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CL4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CL4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8. 제90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IL-6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IL-6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99. 제90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히스타민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히스타민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0. 제90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키마제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키마제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1. 제90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PA3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PA3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2. 제90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류코트리엔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류코트리엔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3. 제90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에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의 CD63, CD107a, CD203c, IgE 또는 MRGPRX2의 수준과 비교하여 개체로부터 수득된 샘플에서 CD63, CD107a, CD203c, IgE 또는 MRGPRX2의 감소된 수준을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4. 제93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이 생검 샘플인 방법.
  105. 제93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이 혈청, 혈장 또는 소변 샘플인 방법.
  106. 제90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조성물의 투여가 투여 전 개체에서의 1종 이상의 증상과 비교하여 개체에서 1종 이상의 증상의 감소를 유발하는 것인 방법.
  107. 제10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증상이 오심, 경련, 변비, 복통, 복부팽창, 구토, 설사, 피로, 눈 통증, 광 감수성, 발적, 분비물, 콧물, 두통, 어지럼증, 브레인 포그, 가려움증, 홍조, 발한, 심마진, 저혈압, 숨가쁨, 골통, 관절통, 체중 감소, 골다공증, 혈관부종, 흉통, 불안, 우울증, 빠른 심박동, 기관지수축 및 일반적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8. 제90항 및 제93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상태가 비만세포증,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인 방법.
  109. 제90항 내지 제10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체가 비만세포증, 비만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활성화 증후군, 위부전마비, 골다공증, 골감소증, 신장성 골이영양증, 골절, 알츠하이머병,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 통각과민,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이식편 대 숙주 질환 (GVH), 결장염, 유전성 알파 트립타제혈증, 신경섬유종, 쿠니스 증후군,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혈관부종, 결절성 양진, 담관염, 건선, 과민성 장 증후군 (IBS), 기능성 소화불량, 천식, 알레르기, 켈로이드, 만성 비부비동염, 아스피린 악화 호흡기 질환 (AERD),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수포성 유천포창, 특발성 폐 섬유증, 전신 경화증, 간질성 방광염, 화농성 한선염, 원형 탈모증, 백반증, 비만 세포 위장 질환, 크론병,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병, 바이러스 감염, 무이완증, 체위성 빈맥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다발성 경화증 (MS),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또는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을 갖거나 또는 이로 진단된 것인 방법.
KR1020247012180A 2021-09-16 2022-09-15 항-siglec-6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240056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5164P 2021-09-16 2021-09-16
US63/245,164 2021-09-16
US202263310012P 2022-02-14 2022-02-14
US63/310,012 2022-02-14
US202263352964P 2022-06-16 2022-06-16
US63/352,964 2022-06-16
PCT/US2022/076497 WO2023044390A1 (en) 2021-09-16 2022-09-15 Anti-siglec-6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596A true KR20240056596A (ko) 2024-04-30

Family

ID=8560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180A KR20240056596A (ko) 2021-09-16 2022-09-15 항-siglec-6 항체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4005A1 (ko)
KR (1) KR20240056596A (ko)
AU (1) AU2022347172A1 (ko)
CA (1) CA3232225A1 (ko)
IL (1) IL311301A (ko)
WO (1) WO20230443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2368A (ja) * 2004-06-09 2008-01-31 タノ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iglec−6関連疾患の診断および処置
US20060269556A1 (en) * 2005-04-18 2006-11-30 Karl Nocka Mast cell activation using siglec 6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32225A1 (en) 2023-03-23
US20240084005A1 (en) 2024-03-14
IL311301A (en) 2024-05-01
AU2022347172A1 (en) 2024-04-04
WO2023044390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3577B2 (ja) 抗シグレック−8抗体およびその使用の方法
TW202204388A (zh) 經遮蔽之il-2細胞激素及其裂解產物
TW202204386A (zh) 經遮蔽之il-12細胞激素及其裂解產物
JP2017501744A5 (ko)
US2023033185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ystemic mastocytosis
JP2022516881A (ja) 抗ctla4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210126084A (ko) 비만 세포 위염, 비만 세포 식도염, 비만 세포 장염, 비만 세포 십이지장염 및/또는 비만 세포 위장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200015511A (ko) 염증성 위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11203638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erennial allergic conjunctivitis and keratoconjunctivitis
US20220257758A1 (en) Methods of administering anti-siglec-8 antibodies and corticosteroids
US2019033802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JP2024045612A (ja) 慢性蕁麻疹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WO202206103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US20240084005A1 (en) Anti-siglec-6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2038046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dyspepsia
WO2024006820A1 (en) Anti-siglec-10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