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246A -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246A
KR20240056246A KR1020220136638A KR20220136638A KR20240056246A KR 20240056246 A KR20240056246 A KR 20240056246A KR 1020220136638 A KR1020220136638 A KR 1020220136638A KR 20220136638 A KR20220136638 A KR 20220136638A KR 20240056246 A KR20240056246 A KR 20240056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air dryer
rotating member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심원
Original Assignee
이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심원 filed Critical 이심원
Priority to KR102022013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246A/ko
Priority to PCT/KR2022/016288 priority patent/WO2024085294A1/ko
Publication of KR2024005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 A45D2020/128Stand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of the hand-held hair drye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케이스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회전 및 고정을 가이드하는 회전부재;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내부 공기를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동력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내부 공기의 세기와 면적을 조절하고, 상기 동력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키는 조절부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각 유입홀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하여 두 손이 자유롭게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치 상태에서도 헤어 드라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시 소음을 저하시키면서도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와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어 헤어 드라이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부분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흡입시 발생되는 마찰음이 감소되어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that can be mounted and angle-adjustable}
본 발명은 무선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가 회전되면서 거치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머리를 감고 나서는 탈모예방, 감기예방 및 스타일링을 위하여 바람이 토출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곤 한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에게 바람을 공급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에 연결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몸체를 흔들면서 머리를 말리게 되는데, 장시간 머리를 말리거나 빗 등을 이용하여 헤어 스타일링을 진행하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의 무게로 인하여 손목과 어깨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손으로는 헤어 드라이어를 잡고 남은 한손으로만 헤어 스타일링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 혼자서는 헤어 스타일링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헤어 드라이어는 손잡이 부분에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구조로써, 전선으로 인하여 헤어 드라이어를 활용하는데 제약이 많았고, 손잡이 부분에 연결된 전선에 의해 헤어 드라이어를 세워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는 단순히 헤어 드라이어를 세울 수 있도록 공간만 마련된 것으로써,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대에 거치한 각도에 맞추어 머리를 가져다 대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는 단순히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한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0795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스가 회전되면서 거치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음을 저하시키면서도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풍량과 토출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케이스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회전 및 고정을 가이드하는 회전부재;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내부 공기를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동력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내부 공기의 세기와 면적을 조절하고, 상기 동력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키는 조절부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각 유입홀에는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노즐부;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공간과, 상기 노즐부가 탈부착 되는 부착공간이 마련되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구현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중앙 부분으로 하향 경사지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중앙 부분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일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공기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관통홀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각의 관통홀은, 10 내지 1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케이스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 내부공간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 내부공간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에 의하면, 헤어 드라이어를 거치하여 두 손이 자유롭게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치 상태에서도 헤어 드라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출시 소음을 저하시키면서도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와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어 헤어 드라이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부분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흡입시 발생되는 마찰음이 감소되어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거치된 모습을 다양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회전된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회전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조절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조절부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부와 제2케이스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거치된 모습을 다양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가 회전된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회전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조절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조절부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부와 제2케이스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1000)는 케이스부(100), 회전부재(200) 및/또는 동력부재(300) 및 조절부재(400)를 포함하고, 노즐부(500) 및/또는 크래들(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1000)는 동력부재(300)에 의해 케이스부(100)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케이스부(100)의 내부공간으로 흡인한 후 이를 다시 케이스부(100) 외부로 토출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송풍 또는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부(100) 내부에는 원적외선이 코팅된 니크롬선이 배치될 수 있고, 니크롬선이 가열됨으로써 케이스부(100)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높은 온도의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내부 공기의 온도 상승 및 유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부(100)에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니크롬선이 가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니크롬선이 가열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온풍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 매우 기초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부(100)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케이스(110)는 길이를 가지는 원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는 원통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일 수 있고,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는 원통의 두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경사면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의 형상은 후술하는 회전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응되어 회전부재(200)의 외측이 공간 없이 개구부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10)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1케이스(110)와 동일하게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2케이스(120)는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는 원통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일 수 있고,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는 원통의 두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단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는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가 가지는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는 제1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면은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면과 마주하여 각 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서로 마주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케이스(110)의 내부공간과 제2케이스(120)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와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회전부재(200)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120)가 회전됨에 따라 케이스부(100)의 전체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공기의 토출 높이 및 위치도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h)이 복수개 마련되고, 각 유입홀(h)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면과 제1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유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면에는 복수개의 직사각형상의 유입홀(h1)과 복수개의 원형의 유입홀(h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유입홀(h3)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유입홀(h3)은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 인근 즉, 사용자가 제1케이스(110)를 파지하여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때에 파지하기 어려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케이스(12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유입홀(h4)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입홀(h4)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길이가 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개의 유입홀(h)은 케이스부(100)의 다양한 곳에 형성되어, 다양한 위치 및 방향에서 외부 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입홀(h)은 각각의 흡기 면적은 줄이면서 흡기 위치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흡기하는 공기의 양(전체 흡기 면적)은 유지하되 흡기 방향 및 위치를 다양화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 유입홀(h)이 각각 흡기하는 공기의 양은 적고 개별 흡기 면적 또한 적으므로, 흡기시 공기의 마찰로 발생되는 마찰음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기를 유입하는 홀이 한곳에 크게 설치되는 경우보다 마찰음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입홀(h)이 형성된 곳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유입홀(h)을 통해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케이스부(1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는 유리섬유, 내열성섬유, 탄소계섬유를 포함하는 내열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고, 케이스부(100)의 내부공간 즉, 복수개의 유입홀(h)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케이스부(100)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재(200)는 제1케이스(11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제2케이스(12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제2케이스(120)의 회전 및 고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회전부재(200)는 제1회전부재(210) 및/또는 제2회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는 제1케이스(110) 일단부의 개구부에 고정되고, 제2케이스(12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회전부재(210)는 두께를 가지는 환형 형상으로 구현되며, 외측면에는 제1케이스(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날개부(211)가 복수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제1회전부재(210)의 제1날개부(2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두개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제1날개부(211)가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1회전부재(210)가 제1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서 제1회전부재(210)가 제1케이스(110)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에는 제2회전부재(2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의 돌출높이는 제2회전부재(220)의 내측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공간에는 제2회전부재(220)가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에는 제2회전부재(220)의 돌출부(221)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212)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2)에는 후술하는 제2회전부재(220)의 돌출부(221)가 선택적으로 삽입, 이탈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회전부재(220)는 환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재(220)의 외측 크기(직경)는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 크기(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부재(220)의 외측 크기가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 크기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이 어렵기 때문이다.
제2회전부재(220)의 일단부면에는 제2케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는 제2날개부(22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날개부(222)는 제2회전부재(220)의 일단부면에서 두께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회전부재(22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날개부(222)는 제2회전부재(22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날개부(222)는 제1회전부재(210)의 일단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날개부(222)의 하측면은 제1회전부재(210)의 일단부면에 얹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제2회전부재(220)는 제2날개부(222)가 제1회전부재(210)의 일단부면에 접촉되고, 제2회전부재(220)의 타단부면이 제1회전부재(210)의 안착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제1회전부재(210)의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220)의 외측면의 크기가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 크기보다 작게 구현되므로,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 내측면을 따라 제2회전부재(220)의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날개부(222)는 제2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케이스(120)의 내측면에는 제2날개부(2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날개부(222)가 삽입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제2회전부재(220)가 제2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삽입공간의 형성 개수는 제2날개부(222)의 형성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220)는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제2케이스(120)에 외력이 인가되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케이스(120)를 잡고 일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제2회전부재(220)가 외력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케이스(120)는 제2회전부재(220)가 회전됨으로써 일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회전부재(220)의 외측면에는 제2날개부(222)의 형성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221)는 제2회전부재(220)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반원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현되나, 상술한 돌출부(221)에 의해 최외곽 직경이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회전부재(220)는 돌출부(221)에 의해 제1회전부재(210) 내측면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돌출부(221)가 형성된 제2회전부재(220)는 돌출부(221)가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1)가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억지끼움 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때에는 제2회전부재(22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제2케이스(12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케이스(120)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케이스(120)를 잡고 일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면 제2케이스(120)와 결합된 제2회전부재(220)가 외력이 인가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케이스(12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재(220)는 제1회전부재(210)의 내측면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하지 않으면 어느 각도라도 관계없이 회전된 각도 그대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면, 제2케이스(120)가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만큼 회전되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기 토출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0)를 후술하는 크래들(600)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알맞게 공기 토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2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10)를 기준으로 0 내지 90도 회전될 수 있다. 제2케이스(120)가 제1케이스(110)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가 서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1'자 형상이 될 수 있고, 제2케이스(120)가 제1케이스(110)를 기준으로 90도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가 서로 수직한 방향을 가지도록 회전되어 'ㄱ'자형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부재(210)에는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s)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회전부재(210)에는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토퍼(s)가 두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s)는 제2날개부(222)가 삽입되는 제2케이스(120)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돌출구성의 일부분과 접촉되어 제2케이스(120) 및 제2회전부재(220)의 회전 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각 스토퍼(s)의 배치 위치(각도)에 따라 제2케이스(120)의 회전 가능 각도 및 회전가능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s)는 제2케이스(120)가 360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케이스(120) 내부에 존재하는 케이블 등이 꼬이거나 절단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동력부재(300)는, 제2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유입홀(h)을 통해 케이스부(100)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케이스부(100)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부재(300)가 작동되면 케이스부(100) 외부에 존재하던 공기는 복수개의 유입홀(h)을 관통하여 케이스부(1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동력부재(300)는 BLDC 디지털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BLDC 디지털 모터는 반영구적이고, 낮은 전력에서도 고속회전이 가능하여 무선 헤어드라이어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BLDC 디지털 모터는, 헤어드라이어의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기하여 헤어드라이어 내부로 이동시키고, 헤어드라이어 내부의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헤어드라이어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러한 BLDC 디지털 모터를 이용한 헤어드라이어 동작은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인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부재(400)는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제2케이스(120)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내부 공기의 세기와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400)는 동력부재(30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부재(400)는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절부재(400)는 타단부가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2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재(400)는 제2케이스(120)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400)는 제2케이스(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제2케이스(120)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어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를 완전히 마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내부공기가 제2케이스(120) 내측면과 조절부재(400) 사이로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어 공기 토출 효율이 향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절부재(400)에는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중앙 부분으로 하향 경사지는 함몰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10)는 조절부재(400)가 제2케이스(120)에 배치되었을 때,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기는 함몰부(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내부공기가 조절부재(4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손실되거나, 제2케이스(120) 내측면에 부딪혀 손실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즉, 함몰부(410)는 내부공기가 토출 방향으로 응집되도록 내부공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조절부재(400)의 함몰부(410) 중앙 부분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20)가 조절부재(400)의 일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b) 및 (c)를 참조하면 조절부재(400)의 함몰부(410)에는 공기가 관통되어 이동되는 복수개의 관통홀(410h)이 가이드부(4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관통홀(410h)은 가이드부(420)에서 함몰부(410)의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관통홀(410h)은 가이드부(420)에서 함몰부(410)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각 관통홀(410h)의 일단부 너비는 각 관통홀(410h)의 타단부 너비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에서 이동되던 공기는 각 관통홀(410h)을 통과하면서 응집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케이스(120) 타단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 즉, 풍량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각 관통홀(410h)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이드부(420)에서 함몰부(410)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각 관통홀(410h)의 형상을 따라 토출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 관통홀(410h)을 통과하는 공기는 각 관통홀(410h)의 너비를 따라 함몰부(410)의 외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많은 양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 공기의 양의 차이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면적이 외측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각 관통홀(410h)의 일단부 너비는 각 관통홀(410h)의 타단부 너비의 1/2 내지 2/3 너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관통홀(410h)의 일단부 너비가 각 관통홀(410h)의 타단부 너비의 1/2 미만인 경우 공기가 토출될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각 관통홀(410h)의 일단부 너비가 각 관통홀(410h)의 타단부 너비의 2/3를 초과하는 경우, 토출 공기의 양의 차이가 없어 토출되는 공기의 면적의 증대가 미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복수개의 관통홀(410h)은 10 내지 1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관통홀(410h)이 10개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관통홀(410h)을 통해 토출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감소되어 풍량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복수개의 관통홀(410h)이 12개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동력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관통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는 것이므로 소음방지의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즐부(500)는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노즐부(500)는 제2케이스(1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사용자의 머리카락에 집중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500)의 일단부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력부재(51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에는 자력부재(510)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자력결합부재(121)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제1자력결합부재(121)는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와 서로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노즐부(500)가 제2케이스(120)에 접촉될 때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자력결합부재(121)는 자석에 달라붙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가 자석에 달라붙는 소재로 구현되면, 제1자력결합부재(121)가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자력부재(510)와 제1자력결합부재(121)는 모두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때 자력부재(510)와 제1자력결합부재(121)는 서로 상이한 전극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자력부재(510)와 제1자력결합부재(121)는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요철과 함몰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력부재(510)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요철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자력결합부재(121)에는 돌출요철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자력부재(510)의 돌출요철은 제1자력결합부재(121)의 함몰요철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노즐부(500)와 제2케이스(120)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노즐부(500)와 제2케이스(12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돌출요철과 함몰요철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돌출, 함몰 형상으로 구현되어 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더라도 무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크래들(600)은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공간과, 노즐부(500)가 탈부착되는 부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크래들(60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는 본체(610)를 포함하고, 본체(610)에는 제1케이스(11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600)의 본체(610)에는 노즐부(5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부착공간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부착공간에는 노즐부(5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2자력결합부재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는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2자력결합부재는 자석에 달라붙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노즐부(500)의 자력부재(510)가 자석에 달라붙는 소재로 구현되면, 제2자력결합부재가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자력부재(510)와 제2자력결합부재는 모두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때 자력부재(510)와 제2자력결합부재는 서로 상이한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제2자력결합부재는 노즐부(500)가 부착공간(610s)에 배치될 때 자력부재(5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자력부재(51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노즐부(500)가 부착공간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부착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노즐부(500)를 거치 혹은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크래들(600)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를 상술한 크래들(600)의 거치공간에 삽입함으로서 케이스부(100)를 크래들(600)에 거치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일부분은 거치공간에 삽입되어 직립될 수 있다. 여기서 직립은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가 서로 회전되지 않아 일자형태일 때,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크래들(600)의 외측면 하측부분에는 공기가 연통되는 복수개의 유입홀(h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입홀(h5)은 크래들(600)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크래들(600)의 내부공간 즉, 거치공간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크래들(600) 외부와 거치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유입홀(h5)에 의하면, 케이스부(100)가 거치공간에 거치되어 작동될 때, 크래들(600) 외부에 있는 공기가 복수개의 유입홀(h5)을 통해 거치공간에 유입될 수 있고, 거치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홀(h1,h2)을 통해 케이스부(1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케이스(110)가 거치공간에 거치되어 복수개의 유입홀(h1,h2)이 가려질지라도, 크래들(6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홀(h5)을 통해 케이스부(10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스부(100)가 거치되어 사용되더라도 공기 유입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크래들(600)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b)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크래들(600)의 거치공간에는 케이블과 연결된 제1충전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충전단자는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와 접촉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케이스(110)의 타단부에는 제1충전단자와 접촉됨으로써 배터리(b)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충전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충전단자는 제1충전단자와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b)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스부(100)가 크래들(600)에 거치되는 것만으로도 배터리(b)가 충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1000)는 초음파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는 제2케이스(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발생부는 조절부재(40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케이스(120) 내측면과 조절부재(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된 초음파 진동은 제2케이스(120)의 내측면과 조절부재(400)에 부착된 먼지 및 이물질의 점착도를 떨어트릴 수 있다. 점착도가 저하된 먼지 및 이물질은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따라 제2케이스(120) 내부공간에서 제2케이스(120)의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초음파발생부는 서로 다른 진동 크기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발생부는 제2케이스(120)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2케이스(120) 타단부로 향할수록 더 큰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케이스(120) 내측면에 부착된 먼지 및 이물질이 진동의 크기를 따라 타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공기가 토출되지 않아도 초음파 진동 크기를 따라 먼지 및 이물질이 제2케이스(120)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초음파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부(100)에는 초음파발생부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손가락으로 가압함으로써 초음파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헤어 관리를 목적으로 헤어 드라이어(10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음파발생부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1000)를 사용할 때마다 초음파발생부가 동작된다면, 케이스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가 사용자에게 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 제거를 위한 목적으로 헤어 드라이어(1000)를 사용할 때에만 한하여 초음파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스부(100)를 분해하거나 청소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케이스부(100) 내부공간에 부착되어 쌓이는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케이스(120) 내부공간에는 정전기 방지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으로 인해 점착도가 저하된 먼지 및 이물질이 제2케이스(120) 내측면에 재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1000)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거리감지센서 및 기울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는 제2케이스(12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와 제2케이스(1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는 동력부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는 사용자와 제2케이스(120) 사이의 거리가 기 지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동력부재(3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지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헤어드라이어(1000)를 사용할 때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지정된 거리는 50cm 일 수 있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에 의하면,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1000)를 사용하다가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전원을 끄는 것을 잊은 경우 자동적으로 동력부재(300)의 동작이 중단되므로 전력이 절약될 수 있고 화재 등의 위험이 예방될 수 있다.
기울기감지센서는 크래들(600)에 배치되어, 크래들(6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감지센서는 동력부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울기감지센서는 크래들(60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크래들(600)이 기 설정된 기울기 값 이상인 경우, 크래들(600)이 외력에 의하여 전복되었다고 판단하고 동력부재(3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때, 크래들(600)에는 케이스부(100)가 삽입되어 거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 설정된 기울기 값은 최소 감지된 기울기 값과 50% 이상 차이나는 값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케이스부(100)가 크래들(600)에 삽입되어 사용될 때에 기타 외력에 의하여 크래들(600)이 전복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동력부재(300)의 동작이 중단되므로 전력이 절약될 수 있고 화재 등의 위험이 예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000: 분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100: 케이스부
200: 회전부재
300: 동력부재
400: 조절부재
500: 노즐부
600: 크래들

Claims (6)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제1케이스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으로 구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회전 및 고정을 가이드하는 회전부재;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흡입된 내부 공기를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동력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 타단부 방향으로 토출되는 내부 공기의 세기와 면적을 조절하고, 상기 동력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하시키는 조절부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각 유입홀에는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노즐부;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공간과, 상기 노즐부가 탈부착 되는 부착공간이 마련되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구현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향할수록 중앙 부분으로 하향 경사지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중앙 부분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일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공기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관통홀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각의 관통홀은,
    10 내지 1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 내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2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케이스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 내부공간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가 배치되어 상기 제2케이스 내부공간의 먼지를 제거하는 특징으로 하는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KR1020220136638A 2022-10-21 2022-10-21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KR20240056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638A KR20240056246A (ko) 2022-10-21 2022-10-21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PCT/KR2022/016288 WO2024085294A1 (ko) 2022-10-21 2022-10-24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638A KR20240056246A (ko) 2022-10-21 2022-10-21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246A true KR20240056246A (ko) 2024-04-30

Family

ID=9073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638A KR20240056246A (ko) 2022-10-21 2022-10-21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6246A (ko)
WO (1) WO20240852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146B1 (ko) * 2006-01-06 2006-02-1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도로용 신호등의 초음파 먼지제거장치
KR101576601B1 (ko) * 2013-12-04 2015-12-10 씨에스텍 주식회사 교체형 향기 필터 헤어드라이기
KR102326703B1 (ko) * 2019-10-08 202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KR102420364B1 (ko) * 2020-09-29 2022-07-13 (주)샤플 수직으로 기립 고정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KR102466033B1 (ko) * 2021-04-12 2022-11-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스팀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294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9960B2 (en) Portable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US7428785B2 (en) Hair dryer
EP2547229B1 (en) Accessory for hair treatment device
AU2018441457B2 (en) Digitally controlled hair dryer
EP1570760A2 (en) Air pulsing attachment for handheld dryer
US11622611B2 (en) Hair dryer apparatus
US10143284B2 (en) Hair dryer apparatus
US20080216339A1 (en) Wireless Blow Dryer
KR101007631B1 (ko) 헤어 드라이어
US11363871B2 (en) Hair styling device
KR101932061B1 (ko) 헤어 드라이어
US20040006885A1 (en) Hand held drying device
CN207693144U (zh) 一种多风道吹风机
US20170095050A1 (en) Multiple Purpose Hair Dryer
JP7424382B2 (ja) 送風機
US20160262520A1 (en) Hair Dryer Apparatus
US20180035779A1 (en) Air vibration apparatus and hair dryer comprising the same
KR20240056246A (ko) 거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선 헤어 드라이어
CN111134435A (zh) 手持式吹风机
JP7190708B2 (ja) ヘアドライヤー
CN212036419U (zh) 手持式吹风机
KR100406213B1 (ko) 브러시가 부착된 드라이어
CN208540858U (zh) 吹风机的配件和吹风机
KR102581690B1 (ko) 모발 건조기용 노즐
KR102325414B1 (ko) 헤어 드라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