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141A - 격자형 수납 상자 - Google Patents

격자형 수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141A
KR20240056141A KR1020220136372A KR20220136372A KR20240056141A KR 20240056141 A KR20240056141 A KR 20240056141A KR 1020220136372 A KR1020220136372 A KR 1020220136372A KR 20220136372 A KR20220136372 A KR 20220136372A KR 20240056141 A KR20240056141 A KR 2024005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rid
guide
storage box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기상
Original Assignee
(주) 장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장성산업 filed Critical (주) 장성산업
Priority to KR102022013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141A/ko
Publication of KR2024005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1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vertical separation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2088/976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with separat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제1 프로파일로 제작된 격자 내부를 제2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서브 격자로 구획하되, 서브 격자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격자 크기를 원하는 넓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제1 및 제2 프로파일에 형성된 가이드를 통해 격자의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폭 조절된 제2 프로파일을 직각으로 돌림에 따라 더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제2 프로파일을 회전시킨 다음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켜 다시 원래 형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넓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파일에 "T"자 형상의 스토퍼를 구성하고, 스토퍼가 가이드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림에 따라 가이드에 강제로 끼게 구성함으로, 원하는 크기로 조절된 격자 크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격자형 수납 상자{GRID-TYPE STORAGE BOX}
본 발명은 격자형 수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프로파일로 제작된 격자 안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프로파일 사이에 제2 프로파일을 장착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 격자의 넓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서브 격자를 구획하는 제2서브 격자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납하려고 하는 물품의 크기와 넓이에 맞춰 사용자가 내부 격자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내부 격자의 크기는 프로파일을 수직으로 돌려서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다음 프로파일을 원래 위치로 돌려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내부 격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수저와 젓가락과 같이 크기가 작은 주방 용품이나 사무실에서 작은 사무용품은 여러 개의 수납공간으로 나눠진 수납 서랍에 보관하게 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이러한 수납 서랍(수납판)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3639호
수저 수납용 서랍에 관한 것으로, 수저 수납용 서랍의 전면판에 수납 서랍의 인출도 쉽고, 수저 수납용 서랍이 식탁 하부에 설치됨을 고객들이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면판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주문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개선한 수저 수납용 서랍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손잡이가 전면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객이 수저 수납용 서랍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서랍의 전면판에는 주문판을 넣어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편의성이 더 높다. 다른 예로, 손잡이에 주문판을 삽입하여 늘어뜨릴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판에 별도의 주문판 삽입공을 만들 필요도 없고, 수납서랍 하부에 별도의 주문판 수납통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성이 높고, 고객이 식사를 마치고 점포를 나가려고 할 때, 주문판이 더 쉽게 눈에 띌 수 있으므로 주문판을 가지러 가기 위해서 다시 식탁으로 돌아오지 않아도 된다는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고실용 제20-1982-0000383호
다종류의 물품들을 품목별로 나누어 서랍 내부에 가지런히 정돈되게 수용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사용자로 하여금 명쾌감을 주고 필요한 물건을 즉시 선별하여 사용하게 하므로 신속한 사무능률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서랍을 여닫을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해 줌으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한 조의 격판으로서 서랍의 규격에 구애 없이 조립 사용이 가능하며, 형태의 변형, 수용실 개수 등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고, 격판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 일률적이므로 양산 보급이 수월하고 제작단가도 저렴한 경제적이고도 실용가치가 높은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16014호
수납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 등의 수납물품의 수납을 위해 서랍에 일체로 조립될 수 있는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각각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복수 개가 서랍 내부에 수납되어 상호 상측부는 연접되고 하측부는 사이를 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박스; 상기 박스와 박스의 하측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박스에 각각 밀착될 수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3639호 (공개일: 2017.10.20) 한국공고실용 제20-1982-0000383호 (공고일: 1982.03.27) 한국등록특허 제10-1316014호 (등록일: 2013.10.01)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수납판(수납 서랍)은 다음과 같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1) 격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수납판은 각 격자 크기가 정해짐에 따라, 격자 크기에 맞는 물품만 보관할 수 있다.
(2) 즉, 격자로 구획된 공간에 그 공간과 같거나 작은 물품을 보관해야 한다. 이에,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보다 큰 물건을 보관하려면 격자 크기가 넓은 다른 수납판을 사용해야 한다.
(3) 이에, 크기가 다른 여러 물품을 한 번에 보관하거나, 때에 따라 보관하는 물건의 크기가 달라질 때는 기존의 수납판으로는 보관하려고 하는 물품 전체를 담아서 보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4) 또한, 이처럼 격자보다 넓거나 긴 물품을 기존 수납판의 격자에 걸쳐지게 보관할 때는, 수납판을 개방하거나 움직일 때 수납판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는, 물품의 파손으로 이어지거나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할 우려가 있다.
(5) 한편, 이처럼 물품의 크기가 다양함에 따라, 하나의 수납판에 모두 수납할 수 없어 격자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수납판을 구비해야 하므로, 관리에도 비용과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제1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된 내부에 제2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프로파일 사이나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 사이에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납 상자 내부에 구성되는 격자 크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넓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격자형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형성된 가이드를 통해 격자의 폭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폭 조절된 프로파일을 직각으로 돌림에 따라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 곳에서 더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구성함으로써, 내부 격자 크기의 넓이조절이 필요할 때는 사용자가 쉽게 프로파일을 회전시킨 다음 이동하여 다시 원래 형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넓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격자형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이 조절을 위해 이동하게 하는 프로파일에 "T"자 형상의 스토퍼를 구성하고, 이 스토퍼가 가이드에 끼워진 상태에서 직각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에 강제로 끼여 고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크기로 조절된 격자 크기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한 격자형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100); 상기 판(100)의 각 가장자리에 끼워지도록 압출 성형이 된 4개의 제1 프로파일(200);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의 양단에 강제로 끼워져서 마감하고 상기 판(10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모서리 부재(300); 및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제1 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상기 제1 서브 격자 안에 설치되어 더 작은 크기의 제2서브 격자(400") 형태로 구획하도록 압출 성형이 된 적어도 2개의 제2 프로파일(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파일(200)은, 단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체임버(210), 한쪽 면에 폭 중간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 폭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220), 그리고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판(100)을 받쳐주도록 돌출 형성된 받침 돌기(230)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기둥(310), 상기 기둥(310)을 기준으로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임버(210)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장착 돌기(320), 그리고 상기 기둥(310)의 한쪽 끝에 형성된 받침 턱(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은, 폭 단면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임버(410), 양쪽 면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가이드(22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가이드(420), 및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한쪽에 폭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가이드(220)에 끼워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직각으로 돌림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220)에 강제로 끼는 스토퍼(431)를 갖춘 조절 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프로파일(200)은, 폭 단면에서 한 변이 직각인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 돌기(230)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로파일(200)과 제2 프로파일(400)은, 각각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부재(430)에는, 상기 스토퍼(431)가 가이드에 낄 때 강제로 낄 수 있도록 압착 돌기(43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토퍼(431)는, "T"자 형상에서 가로 부분에서 대각선 부분의 모서리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한 다음, 그 안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프로파일에 제2 프로파일의 양단이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수납 상자 내부에 구성되는 제1서브 격자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2) 이에, 하나의 한정된 넓이를 가진 격자형 수납 상자를 사용하여,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넓이로 서브 격자의 넓이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
(3) 이때,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 사이에 다른 제1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하나의 제1서브 격자에 대해 다시 적어도 두 개의 제2서브 격자로 구획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관 물품을 더욱 다양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 중인 물품이 달라져서 그 크기가 변하더라도 격자 크기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한편, 프로파일에는 양면 또는 한쪽 면에 "T"자 형상으로 가이드를 형성하고, 여기에 끼워지도록 "T"자 형상의 스토퍼를 구성하여 프로파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스토퍼를 가이드에 끼워서 원하는 서브 격자의 넓이를 결정한 다음, 이 스토퍼를 직각으로 회전함에 따라 쉽게 스토퍼를 고정하여 원하는 크기의 구획된 격자형 수납 상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스토퍼에는 압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스토퍼가 회전하여 프로파일을 고정할 때 이 압착 돌기가 중간에 강제로 끼게 해서 프로파일이 쉽게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정해진 넓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6) 그리고 프로파일의 표면에는 미끄러짐 방지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를 손으로 잡아서 사용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잡아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는 바깥쪽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안으로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부재 양쪽에 직교하게 두 개의 제1 프로파일이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로파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부재와 제1 프로파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로, (a)는 결합 전 상태를, (b)는 결합 후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프로파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조절 부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프로파일로 형성된 격자에 제2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구획된 제1서브 격자를 다른 제2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제2서브 격자로 구획하려고 제1 프로파일과 제2 프로파일 사이에 다른 제2 프로파일을 강제로 끼우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과 같이 제1 프로파일에 제2 프로파일을 끼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과 같이 제1 프로파일에 끼운 제2 프로파일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제2 프로파일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고정된 제2 프로파일의 고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격자형 수납 상자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에는, [도 1] 내지 [도 11]과 같이, 판(100), 4개의 제1 프로파일(200), 모서리 부재(300), 적어도 2개의 제2 프로파일(4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제1 프로파일(200)로 이루어진 내부 격자를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을 사용하여 적어도 2개의 제1 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이 제1 서브 격자(400')를 다른 제2 프로파일(400)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제2서브 격자(400")로 구획하되, 이들 서브 격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관하려고 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춰 쉽고 편리하게 격자 크기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은 양단을 제1 프로파일(200)이나 다른 제2 프로파일(400)에 강제로 끼운 다음, 이들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원하는 넓이로 조절한 다음, 이 제2 프로파일(400)을 직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서브 격자 넓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프로파일(400)에는 양단에 각각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431)를 갖춘 조절 부재(430)가 장착됨에 따라, 이 스토퍼(431)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는 제2 프로파일(400)이 제1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1 및 제2서브 격자(400', 400")의 넓이를 조절하게 하고, 상기 스토퍼(431)를 직각으로 돌리면 제1 프로파일(200)에 걸려 더는 움직이지 않도록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 부재(430)에는 압착 돌기(432)를 형성함으로써, 이처럼 제2 프로파일(400)을 회전시킬 때 제1 프로파일(200)에 강제로 끼게 해서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400"과 "400a"는 같은 구성의 제2 프로파일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가. 판
판(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판(100)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판(100)에 후술하는 제1 프로파일(200)이 가장자리에 장착하게 되는데, 서로 마주하게 설치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 사이에서 후술하는 제2 프로파일(400)을 사용하여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상기 판(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나. 제1 프로파일
제1 프로파일(200)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판(100)의 각 가장자리에 하나씩 강제로 끼워져서 전체적으로 용기 형상을 이루도록 조립된다. 이때,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은 후술하는 모서리 부재(300)로 마감 처리된다.
한편, 상기 제1 프로파일(2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압출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적어도 두 개의 체임버(210), 제1 가이드(220), 그리고 받침 돌기(230)가 포함되게 성형된다.
1. 체임버
체임버(2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프로파일(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임버(210)는 일종의 공간으로 제1 프로파일(2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전체 중량을 줄이기 위해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체임버(210)는 제1 프로파일(200)의 폭 방향을 따라 3개가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강성 보강을 위해서는 3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2. 제1 가이드
제1 가이드(22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제1 프로파일(200)의 한쪽 면 중간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220)는 후술할 제2 프로파일(400)의 스토퍼(431)가 끼워져서 제1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또한 움직인 위치에서 더는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가이드(220)는 폭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431)가 제1 프로파일(200)의 길이 방향으로 누운 상태에서는 이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스토퍼(431)가 수직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가이드(220)에 걸려 더는 움직이지 않게 한다.
3. 받침 돌기
받침 돌기(23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프로파일(200)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 돌기(230)는 제1 프로파일(200)을 상술한 판(100)의 가장자리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이 판(100)을 지지하여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돌기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로파일(200)은, [도 4]와 같이, 폭 단면을 기준으로, 한 변이 직각인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받침 돌기(230) 쪽(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를 손으로 잡을 때 쉽게 잡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면적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로파일(200)은, [도 4]와 같이, 표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여러 개의 미끄러짐 방지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수납 상자를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모서리 부재
모서리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판(100)의 각 가장자리에 받침 돌기(230)의 지지를 받게 설치된 4개의 제1 프로파일(200)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모서리 부재(300)는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의 단부에 강제로 끼워지게 해서 일체로 조립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모서리 부재(300)에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기둥(310), 장착 돌기(320), 그리고 받침 턱(330)이 포함된다.
1. 기둥
기둥(310)은, [도 3]과 같이, 상술한 판(100)에 장착되어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310)은 이들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 사이의 틈새와 같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모서리 부재(300)에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을 조립함에 따라 하나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다.
2. 장착 돌기
장착 돌기(32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기둥(310)에 직교하게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 돌기(320)는 상술한 체임버(320)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이 상기 모서리 부재(300)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조립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2쌍의 장착 돌기(320)가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3. 받침 턱
받침 턱(330)은, [도 3]·[도 5] 및 [도 9]와 같이, 상술한 기둥(310)의 한쪽 끝(도면에서는 아래쪽 끝)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 턱(330)은 상술한 판(10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게 하는 턱을 말한다.
라. 제2 프로파일
제2 프로파일(400)은, [도 1]·[도 2]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4개의 제1 프로파일(200)로 이루어진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격자를 적어도 2개의 제1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이 제1서브 격자(400')를 더 작은 제2서브 격자(400")로 구획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제2 프로파일(400)에는, [도 6] 내지 [도 11]과 같이, 압출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폭 단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체임버(410), 제2 가이드(420), 그리고 조절 부재(430)가 포함된다.
1. 체임버
체임버(410)는, [도 6]과 같이, 제2 프로파일(400)의 폭 단면에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임버(410)는 일종의 공간으로 제2 프로파일(4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체임버(410)가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준다.
2. 제2 가이드
제2 가이드(420)는, [도 6]과 같이, 제2 프로파일(400)의 양쪽 면의 폭 중간 부분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420)는 "T"자 홈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특히 상술한 제1 가이드(220)와 같은 크기로 형성한다.
이는, 상기 제2 프로파일(400)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양단에 각각 조절 부재(430)가 장착되는데, 이 조절 부재(430)에 구성된 스토퍼(431)가 상술한 제1 가이드(220)에 끼워져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위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제2 가이드(420)도 제1 가이드(220)와 같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431)를 사용해서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조절 부재(430)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3. 조절 부재
조절 부재(430)는, [도 6] 내지 [도 11]과 같이, 상술한 제2 프로파일(40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강제로 끼워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부재(430)에는 한쪽 면에 스토퍼(431)가 형성되어 제1 프로파일(200)로 이루어진 내부 격자를 적어도 두 개의 제1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이 제1서브 격자(400')를 적어도 두 개의 제2서브 격자(400")로 구획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31)는, [도 7]과 같이, "T"자 형상,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1 및 제2 가이드(220, 420)에 끼워졌을 때 길이 조절과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4개의 제1 프로파일(200)로 이루어진 하나의 격자 안에 하나의 제2 프로파일(400)을 사용하여 두 개의 제1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하나의 제1서브 격자(400')에 대해 두 개의 제2서브 격자(400")로 구획하는 방법은 같다. 이에, 여기서는 제2서브 격자(400")를 구획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도 8]과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1 프로파일(200)과 제2 프로파일(400) 사이에 다른 제2 프로파일(400a)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제2 프로파일(400a)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스토퍼(431)의 가로 부분이 제1 및 제2 가이드(220, 420)와 나란하게 한 상태가 되게 해서 강제로 회전시켜서 제1 프로파일(200)과 제2 프로파일(400) 사이에 끼우게 된다. 이에, 상기 제2 프로파일(400a)의 양단에 구성된 두 개의 스토퍼(421)는 서로 마주하는 제1 프로파일(200)과 제2 프로파일(400)의 가이드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2 프로파일(400a)을 가이드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서브 격자(400')를 구획하게 되는 서브 격자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제2 프로파일(400a)을 수직으로 돌리면 스토퍼(431)가 제1 가이드(200)에 끼여 더는 제2 프로파일(400a)이 회전하거나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31)는, [도 7]과 같이, "T"자 형상에서 가로 부분에서 대각선 부분의 모서리를 둥글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31)를 가이드 안에 끼운 다음 돌릴 때 모서리 부분이 가이드 안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수직 상태로 쉽게 돌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31)는,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넓이 조절을 위해 손으로 잡거나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조절 부재(430)에는, [도 7]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을 수직으로 회전시킬 때 스토퍼(431)와 프로파일 사이에 강제로 끼도록 압착 돌기(432)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제2 프로파일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때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내부에 서브 격자의 넓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관하려고 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춰 보관 면적을 쉽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판
200, 400: 제1, 제2 프로파일
210, 410: 체임버
220, 420: 제1, 제2 가이드
230: 받침 돌기
300: 모서리 부재
310: 기둥
320: 장착 돌기
330: 받침 턱
400', 400": 제1, 제2서브 격자
430: 조절 부재

Claims (5)

  1.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100); 상기 판(100)의 각 가장자리에 끼워지도록 압출 성형이 되는 4개의 제1 프로파일(200); 이웃한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의 양단에 강제로 끼워져서 마감하고 상기 판(10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모서리 부재(300); 및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프로파일(200) 사이에 설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제1 서브 격자(400')로 구획하거나, 상기 제1 서브 격자 안에 설치되어 더 작은 크기의 제2서브 격자(400") 형태로 구획하도록 압출 성형이 된 적어도 2개의 제2 프로파일(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파일(200)은, 단면의 폭 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체임버(210), 한쪽 면에 폭 중간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 폭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220), 그리고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판(100)을 받쳐주도록 돌출 형성된 받침 돌기(230)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기둥(310), 상기 기둥(310)을 기준으로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임버(210)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장착 돌기(320), 그리고 상기 기둥(310)의 한쪽 끝에 형성된 받침 턱(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은, 폭 단면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임버(410), 양쪽 면의 중간 부분에 상기 제1 가이드(22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된 제2 가이드(420), 및 상기 제2 프로파일(4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한쪽에 폭 단면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가이드(220)에 끼워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직각으로 돌림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220)에 강제로 끼는 스토퍼(431)를 갖춘 조절 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수납 상자.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200)은,
    폭 단면에서 한 변이 직각인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 돌기(230)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수납 상자.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200)과 제2 프로파일(400)은,
    각각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수납 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조절 부재(430)에는,
    상기 스토퍼(431)가 가이드에 낄 때 강제로 낄 수 있도록 압착 돌기(43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수납 상자.
  5. 제4항에서,
    상기 스토퍼(431)는,
    "T"자 형상에서 가로 부분에서 대각선 부분의 모서리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수납 상자.
KR1020220136372A 2022-10-21 2022-10-21 격자형 수납 상자 KR2024005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372A KR20240056141A (ko) 2022-10-21 2022-10-21 격자형 수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372A KR20240056141A (ko) 2022-10-21 2022-10-21 격자형 수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141A true KR20240056141A (ko) 2024-04-30

Family

ID=9088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372A KR20240056141A (ko) 2022-10-21 2022-10-21 격자형 수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1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383Y1 (ko) 1981-03-10 1982-03-27 윤인규 책상 서랍용 물품 수납판 셋(set)
KR101316014B1 (ko) 2011-11-10 2013-10-18 주식회사 일광산업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170003639U (ko) 2016-04-12 2017-10-20 박승현 수저 수납용 서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383Y1 (ko) 1981-03-10 1982-03-27 윤인규 책상 서랍용 물품 수납판 셋(set)
KR101316014B1 (ko) 2011-11-10 2013-10-18 주식회사 일광산업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170003639U (ko) 2016-04-12 2017-10-20 박승현 수저 수납용 서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513B2 (en) Adjustable shelf and method of use
CA1291201C (en) Modular furniture
US6929147B2 (en) Modular dispenser
US11503910B1 (en) Modular organizer system
EP3181009A1 (en) A furniture article with an area for allocation of objects
KR20110096737A (ko) 조립식 신발정리선반
EP4167800B1 (en) Improved cutlery tray comprising inclined cavities for kitchen utensils
KR20240056141A (ko) 격자형 수납 상자
KR200493288Y1 (ko) 주방용품 보관함
KR100910065B1 (ko) 슬라이드식 신발 정리대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CN217565302U (zh) 可调节搁架系统
CN105266412B (zh) 可调节架搁板和使用方法
KR200493868Y1 (ko) 수납용기
KR20110000759U (ko) 가구용 디바이더
KR20210041891A (ko) 서랍용 칸막이
KR102645668B1 (ko) 서랍의 수납부 구획구조
JPH0747328Y2 (ja) 収納容器
CN210249131U (zh) 一种可调节抽屉分隔架及含有其的抽屉
KR102203358B1 (ko)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서랍 분리함
KR20190123598A (ko) 주방용 서랍식 수납함
CN213962417U (zh) 一种化妆柜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