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084A -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084A
KR20240056084A KR1020220136280A KR20220136280A KR20240056084A KR 20240056084 A KR20240056084 A KR 20240056084A KR 1020220136280 A KR1020220136280 A KR 1020220136280A KR 20220136280 A KR20220136280 A KR 20220136280A KR 20240056084 A KR20240056084 A KR 2024005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inding
central core
transfor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호
백주원
김명호
김호성
유명효
윤혁진
정동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3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084A/ko
Publication of KR2024005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권선이, 순차 형성되는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으로 형성된 중심코어 권선; 상기 중심코어 권선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코어 권선과 같은 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내피층;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몰드 절연층; 상기 몰드 절연층의 외측에 형성되며 접지 또는 저압 선로와 등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외피층;과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 내부에 충진되며 리츠와이어 또는 동선 방향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 전계 평탄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몰드변압기의 설계시 절연 내력 대비 전계 스트레스에 대한 안전마진값을 낮추어 몰드의 절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몰드 절연체 내부의 열을 외부로 순환시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권선의 비저항 증가로 인해 열손이 커지는 문제와 절연 성능의 하락 문제, 지속적인 과열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절연체의 내구성 하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Hybrid type mold transform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권선 내부에 충진되며 리츠와이어 또는 동선 방향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계 평탄화를 이루는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상용 변압기는 대부분이 유입변압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주상용 유입변압기는 변압기 본체를 외함에 넣고 권선 절연 및 냉각을 위해 절연유를 넣어 철심 및 권선이 절연유에 잠기도록 한다.
또한, 외함에는 라디에이터를 설치하여 열에 따른 절연유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방열 면적을 확대시켜 냉각 효율이 증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입변압기의 경우 변압기에 대한 유지 보수를 지속적으로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비도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입변압기는 절연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 분출 사고, 이로 인한 과부하 및 단락 사고에 인한 화재가 많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입변압기의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는 몰드변압기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몰드변압기는 철심 및 권선이 절연유 중에 잠겨있지 않고 권선을 에폭시 등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여 고체 절연화를 시킨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인 구조는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분리하여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고 철심을 중심으로 동심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몰드변압기는 유입변압기에 비해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절연유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몰드변압기는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분리함에 의해 방열 면적이 넓어져 냉각 성능은 좋아졌지만 방열면적을 갖는 덕트층(Duct layer)에 의해 변압기의 부피가 커졌다.
또한 몰드변압기의 고압권선으로부터 발생되는 1000V 이상의 고전압, 외부의 수분 노출 및 자외선 노출에 의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2772호 완전고체절연 몰드 변압기 및 이의 제조 방법'과 같이 옥외용이나 주상용 몰드변압기는 외부에 외함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야 했다.
이와 같은 이유들에 의해 주로 지상 설치형 및 옥내용 변압기로만 적용되고 있으며, 옥외용 및 주상용으로 사용할 경우 변압기의 부피가 커져 변압기 설치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몰드변압기는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각각의 절연체에 몰드하고 거리를 이격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하나의 몰드 절연체 내부에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섹션을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절연을 취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대표적인 고압 절연 고주파 변압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가지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첫 번째는 도 1과 같이 고압권선(200)과 저압권선(100)을 분리하여 각각 얇게 몰드하고 각 몰드부 사이에는 공기 절연층을 갖는 제1 타입이다.
몰드 절연체의 절연 내력은 공기의 절연 내력에 비해 수~수십배이지만 공기의 유전율이 1에 근접한 것에 비해, 몰드 절연체의 유전율은 공기보다 높기 때문에, 유전율이 다소 높은 에폭시나 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전계는 공기 절연층에 몰리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제1 타입의 몰드변압기 설계시에는 대부분의 전계가 공기 중에 집중되기 때문에 몰드 두께를 작게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약 3kV/mm를 갖는 공기의 절연 내력에 초점을 두어 절연 거리를 설계해야 하므로 변압기의 크기가 이에 구속되어 다소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타입과 다른 종래의 대표적인 고압 절연 고주파 변압기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몰드 절연체 하나의 내부에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모두 넣음으로써, 공기 절연층 없이 몰드의 절연 내력에 초점을 맞추어 절연 거리를 설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계가 공기 중에 몰리기 때문에 몰드 두께를 작게 가져갈 수 있는 제1 타입의 몰드변압기와는 달리, 제2 타입의 몰드변압기는 몰드 절연체에 대부분의 전계가 걸린다.
몰드변압기에서 몰드에 인가되는 전계는 저주파 뿐만 아니라 고주파의 스위칭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몰드 절연 거리는 몰드 절연체 물질의 절연 내력 대비 전계 스트레스를 충분히 고려하는 안전마진을 두고 설계해야 하므로, 몰드를 다소 두꺼운 절연 두께로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몰드 절연체의 열 전도율은 도체에 비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몰드 절연체 내부에 함침된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은 몰드 절연체 외부로 잘 전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몰드변압기에서는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권선의 비저항 증가로 인해 열손이 커지는 문제를 유발하고, 몰드 절연체 또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절연 성능이 하락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과열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절연체의 내구성 하락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2772호 완전고체절연 몰드 변압기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몰드변압기의 설계시 절연 내력 대비 전계 스트레스에 대한 안전마진값을 낮추어 몰드의 절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몰드 절연체 내부의 열을 외부로 순환시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권선의 비저항 증가로 인해 열손이 커지는 문제와 절연 성능의 하락 문제, 지속적인 과열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절연체의 내구성 하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심코어에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이 형성된 몰드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권선이, 순차 형성되는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으로 형성된 중심코어 권선; 상기 중심코어 권선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코어 권선과 같은 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내피층;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몰드 절연층; 상기 몰드 절연층의 외측에 형성되며 접지 또는 저압 선로와 등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외피층;과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 내부에 충진되며 리츠와이어 또는 동선 방향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 전계 평탄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절연 피복층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유가 절연 피복층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중심코어 권선 외측에 형성되어 중심코어 권선 형상을 유지시키는 반도전 고정재; 상기 중심코어와 반도전체 내피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코어를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절연유가 절연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 사이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각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에 절연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상기 고압권선과 동일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상기 몰드층에 함침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나도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몰드변압기의 설계시 절연 내력 대비 전계 스트레스에 대한 안전마진값을 낮추어 몰드의 절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몰드 절연체 내부의 열을 외부로 순환시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권선의 비저항 증가로 인해 열손이 커지는 문제와 절연 성능의 하락 문제, 지속적인 과열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절연체의 내구성 하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방식의 제1 타입 몰드변압기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방식의 제2 타입 몰드변압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고압권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평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종래기술방식의 제1 타입 몰드변압기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방식의 제2 타입 몰드변압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평단면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심코어(10)에 저압권선(30)과 고압권선(20)이 형성된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압권선(20)이 크게 중심코어 권선(21); 반도전체 내피층(22); 몰드 절연층(23); 반도전체 외피층(24);과 절연유(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압권선(20)은 도 3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심코어 권선(21), 반도전체 내피층(22),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의 외측에 형성되는 몰드 절연층(23), 반도전체 외피층(24)으로 순차 형성되고,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 내부로 절연유(25)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심코어 권선(21)는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으로 형성된 도체(Conductor) 이다.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은 상기 중심코어 권선(21)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은 권선의 전계를 완화시키고 전계를 균일하게 하며, 도체와 절연체 간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화반응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반도전성 테이프 또는 반도전 열경화성 컴파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의 전계 완화 및 전계 균일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의 전위는 상기 중심코어 권선(21)과 같은 전위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몰드 절연층(23)은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의 외측에서 몰딩 형성되어 절연 거리를 확보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는 몰드 절연층(23) 제작 시, 속이 빈 구조로 몰드 절연층(23)를 몰딩하고 내벽에 반도전 페이스트를 발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반도전체 외피층(24)은 상기 몰드 절연층(23)의 외측에 형성되며, 접지 또는 저압 선로와 등전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도전체 외피층(24)은 몰드 절연층(23) 외측에 몰드 절연층(23) 형성시 이와 동시에 반도전성 컴파운드를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압출하면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 내부에는 절연유(25)가 충진되며, 상기 절연유(25)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츠와이어 또는 동선 방향(25R)을 따라 반도전체 내피층 내부에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연유(25)는 반도전체 내피층(22) 내부에서 중심코어 권선(21)을 이루는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 간 공극에도 충실하게 충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중심코어 권선(21)에서 발생되는 발열이 절연유(25)에 의해 외부로 전달되어 중심코어 권선(21)을 냉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건식 몰드 변압기 내부로 절연유(25)가 흐르는 구조가 도입됨에 따라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기본 구조에 더하여,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이 절연 피복층(26) 내에 형성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한 경우 상기 절연유(25)가 절연 피복층(26) 내측으로 흐르면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고압 리츠 와이어 또는 그에 상응하는 동선을 내부가 빈 얇은 절연 튜브 안에 넣고, 튜브 안을 절연유(25)로 채운 뒤 절연유는 순환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절연 튜브는 절연 피복층(26)이 되며, 상기 절연 튜브 외측을 반도전체로 둘러싸고 그 조립체를 원통 형태로 몰딩하여 몰드 절연층(23)을 형성시킨다.
절연 피복층(26)의 외피에는 반도전체로 둘러싸 반도전체 외피층(24)을 형성시킨다.
절연 피복층(26)의 바깥에 있는 반도전체 외피층(24)은 리츠와이어와 동일한 전극을 가지며, 몰드 절연층(23)의 외피에 해당하는 반도전체 외피층(24)은 접지하거나 저압권선과 동등한 전위를 가진다.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몰드 절연층(23) 또한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을 중심코어 권선(21) 외측에서 반도전 고정재(27)를 이용하여 중심코어 권선(21) 형상을 유지시키고, 상기 중심코어 권선(21)과 반도전체 내피층(22) 사이에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을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8)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되는 반도전 고정재(27)는 반도전성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중심코어 권선(21) 형상을 유지시키는 경우,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와 반도전체 내피층(22) 사이에,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을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22)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8)에 의해 절연유 충진 및 이동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스페이서(28)는 중심코어 권선(21)을 감싸는 반도전 고정재(27)와 접하여 배치되므로 반도전체 내피층(22)과 동등한 전위가 되어 스페이서(28)를 타고 발생할 수 있는 절연 파괴의 가능성이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속이 빈 원통형 구조로 몰드 절연층(23)를 제작한 후 내부는 반도전 페이스트를 바른다.
리츠 와이어 또는 그에 상응하는 동선은 반도전 고정재(27)로 감싸 중심코어 권선의 이탈을 방지해둔 상태에서 몰드 절연층(23) 내부와 스페이서(28)를 통해 거리를 이격시킨다.
상기 몰드 절연층(23) 내부는 전부 절연유(25)로 채워 순환시킨다.
반도전체 내피층(22)과 권선을 감싸는 반도전 고정재(27)는 동등한 전위를 갖도록 하며, 몰드 절연층(23) 외피의 반도전체 외피층(24)은 접지 또는 저압권선과 동등한 전위를 갖는다.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은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몰드 절연층(23) 또한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코어 권선(21)을 형성시키는 각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에 절연피복(26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압권선(20)과 함께 본 발명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몰드 변압기에 관한 일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압권선(30)은 철심코어(10)와 근접하게 배치되고, 고압권선(20)이 그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압권선(30)은 고압권선(20)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거나, 종래기술방식과 같이 얇은 몰드층으로 함침된 구조 또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나도체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철심코어(10)는 전기적으로 접지하거나 플로팅 할 수 있으며, EE-코어를 이용하는 경우,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철심코어의 가운뎃다리에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심코어를 UU-코어로 사용하는 경우, 철심코어의 한쪽 다리에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UU-코어를 사용하는 경우, 철심코어의 좌측과 우측 각각의 다리에 각각 동일 구조의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을 감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권선(20)과 저압권선(3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침전극과 요철 전극을 반도전층을 앞세움으로써 전계 평탄화를 시켜줄 수 있으므로 몰드 절연층(23)에 국부적으로 집중될 수 있는 전계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절연유(25)와 몰드 절연층(23)가 갖는 유전율의 역수 비로 두 절연체가 전계 스트레스를 나누어 갖기 때문에(절연 피복층(26) 또는 절연 피복(260)이 삽입될 경우 세 절연체가 나누어 감), 몰드 절연층(23)와 절연유(25)에 인가되는 전계 스트레스 비를 임의로 조정 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부분 방전과 같은 국부적 절연 파괴를 통해 몰드 절연층(23) 내부에 크랙이 발생할 경우, 절연유(25)가 해당 위치에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절연을 보강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열 측면에서 열전도율이 낮은 고체 타입의 절연체를 통해 방열하는 종래기술방식의 구조와는 달리 e도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절연유(25)를 순환시켜 권선의 방열을 하기 때문에 방열 특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몰드 절연층(23)의 외부를 접지 또는 저압권선(30)과 등전위를 갖는 반도전체 외피층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철심코어(10)와 저압권선(30)의 절연 거리를 아주 짧게 가져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몰드 절연층(23) 내에서는 반도전체 내피층(22)이 외부 전계 평탄화를 위해 사용되므로 고주파의 스위칭에도 와전류가 거의 없이 전계를 평탄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철심코어
20 : 고압권선
21 : 중심코어 권선
22 : 반도전체 내피층
23 : 몰드 절연층
24 : 반도전체 외피층
25 : 절연유
26 : 절연 피복층
27 : 반도전 고정재
28 : 스페이서
260 : 절연피복

Claims (7)

  1. 철심코어에 저압권선과 고압권선이 형성된 몰드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권선이,
    순차 형성되는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으로 형성된 중심코어 권선;
    상기 중심코어 권선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코어 권선과 같은 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내피층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몰드 절연층
    상기 몰드 절연층의 외측에 형성되며 접지 또는 저압 선로와 등전위를 가지는 반도전체 외피층;과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 내부에 충진되며 리츠와이어 또는 동선 방향을 따라 흐르는 절연유;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절연 피복층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유가 절연 피복층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중심코어 권선 외측에 형성되어 중심코어 권선 형상을 유지시키는 반도전 고정재;
    상기 중심코어와 반도전체 내피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코어를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절연유가 절연 상기 반도전체 내피층 사이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코어 권선는
    각 리츠 와이어 또는 동선에 절연피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상기 고압권선과 동일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상기 몰드층에 함침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변압기의 저압권선은
    나도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KR1020220136280A 2022-10-21 2022-10-21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KR20240056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80A KR20240056084A (ko) 2022-10-21 2022-10-21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80A KR20240056084A (ko) 2022-10-21 2022-10-21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084A true KR20240056084A (ko) 2024-04-30

Family

ID=9088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80A KR20240056084A (ko) 2022-10-21 2022-10-21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0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772A (ko) 2009-04-10 2010-10-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전고체절연 몰드 변압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772A (ko) 2009-04-10 2010-10-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전고체절연 몰드 변압기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8347B2 (en) Dry type transformer with improved cooling
KR20130021420A (ko) 와인딩들 내의 실딩 링들을 가진 트랜스포머
US2817066A (en) Electric transformer
KR102530714B1 (ko) 코일 냉각이 개선된 비-액침 변압기들
CN103125003A (zh) 变压器线圈
WO2015193252A1 (en) Inductor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inductor coil thermally coupled to a metallic inductor housing
US3299383A (en) Current transformer having fluid carry passages in high voltage conductor
US10475565B2 (en) Traction transformer
US847166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and a coil
KR20240056084A (ko) 하이브리드형 몰드변압기
US10902993B2 (en) Inductor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inductor coil thermally coupled to a metallic inductor housing
RU2748606C2 (ru) Среднечастот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 сухим сердечником
KR101554990B1 (ko) 몰드변압기
CN2593327Y (zh) 一种导电线芯及由其制造的绕组用电缆
JP6789862B2 (ja) 静止誘導器
JP2001509960A (ja) 変圧器内の水平空冷
CN216450495U (zh) 一种基于硅橡胶绝缘的高压绕组及变压器
KR102108119B1 (ko)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JPH08124756A (ja) 放熱層を有する乾式変圧器
WO1999028927A2 (en) A power transformer/reactor
TW202242922A (zh) 電源變壓器的平面繞組結構
JP2000013982A (ja) 電力ケーブル用油浸絶縁終端箱
JP2001345224A (ja) 変圧器またはリアクトル
JP2001518697A (ja) スペーシング手段が備えられている変圧器/リアクトル
CN115732202A (zh) 一种基于硅橡胶绝缘的高压绕组及变压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