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19B1 -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 Google Patents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19B1
KR102108119B1 KR1020180164068A KR20180164068A KR102108119B1 KR 102108119 B1 KR102108119 B1 KR 102108119B1 KR 1020180164068 A KR1020180164068 A KR 1020180164068A KR 20180164068 A KR20180164068 A KR 20180164068A KR 102108119 B1 KR102108119 B1 KR 10210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air
transformer
mixed gas
wind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월표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0Cooling by special gases or non-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3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he insulation forming channels for circulation of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 내에 배치되어 이형 변을 갖는 복수의 도체판이 권취된 코어; 코어를 중심으로 권취되며 저압권선부 및 고압권선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권선부; 및 드라이 에어(Dry air)가 유통되도록 권선부의 양 측 단변부에 배치되는 냉각용 덕트를 포함하고, 저압권선부는 고압권선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냉각용 덕트는 저압권선부의 저압권선들의 턴(turn)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층간 절연지 사이에 배치되며 권선부의 단변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간 절연지 및 냉각용 덕트는 코어의 수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방향으로 연장된 냉각용 덕트를 통해 권선부 또는 코어에서 발생한 열 및 드라이 에어가 동시에 상층부로 이동하고, 상층부로 이동한 열 및 드라이 에어는 외함의 내측 벽을 따라 하강하며 냉각되고, 냉각된 드라이 에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순환하고, 드라이 에어는 절연 파괴전압이 향상되도록 질소(a)와 산소(b)가 70:30의 혼합비(a:b)로 혼합된 혼합 기체이다. 이에, 변압기 내에서 절연유 대신 드라이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절연유에 의한 위험성을 개선하여 변압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A Dry Air Transformer Using Mixed Air}
본 발명은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 기체를 냉각용 공기로 사용함으로써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의 신뢰성이 향상된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Electric Transformer)는 변압기 권선부들을 통해 일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변압기는 다양하게 분류되며, 절연물의 종류에 따라서 유입변압기, 건식변압기 및 가스절연변압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건식변압기는 고체 절연 건식변압기(일명 '몰드 변압기')와, 비고체 절연 건식변압기(진공 압축 함침 변압기;VPI)로 분류된다. 이러한 고체 절연 건식변압기는 권선 부분을 에폭시 수지로 일정한 틀 속에서 충진, 진공 성형시킨 것이어서 1차측 권선이 에폭시수지 등으로 몰딩이 되어 있으므로 열 발산이 나쁘고 동선과 에폭시 수지의 열팽창계수가 다르므로 균열이 발생하며, 사용 후 폐기시 산업폐기물로 전환되며 자원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비고체 절연 건식변압기는 산업폐기물 배출 규제와 자원재활용 경향 및 절연기술의 발달과 신소재 개발로 인하 여 최근에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비고체 절연 건식변압기는 내측에 2차의 저압 권선이 배치되고, 외측에 고압이 인가되는 1차측 권선이 배치된다. 그리고, 비고체 절연 변압기는 권선의 외부면에 절연층을 진공 함침법에 의하여 형성하며, 절연층으로는 바니쉬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압기들은 장시간 과부하로 운전하거나 경년변화가 될 경우, 온도상승 및 누설전류 등으로 변압기 내부의 절연층이 파괴될 수 있다. 이때, 절연층의 손상부분을 통하여 누설전류가 증가하므로 열화는 가속되어 결국 권선간 단락으로 진전된다. 따라서, 변압기의 권선 간에는 적절한 절연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고, 아울러 일정 이상의 단락강도도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변압기들은 절연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절연유 분출에 따라 불특정 다수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이 향상된 변압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압기 내에 절연유 대신 드라이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절연유에 의한 위험성을 개선하여 변압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히트 파이프의 사용 및 외함 크기의 증가에 의해 변압기의 부품을 간소화하면서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는 , 외함 내에 배치되어 이형 변을 갖는 복수의 도체판이 권취된 코어; 코어를 중심으로 권취되며 저압권선부 및 고압권선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권선부; 및 드라이 에어(Dry air)가 유통되도록 권선부의 양 측 단변부에 배치되는 냉각용 덕트를 포함하고, 저압권선부는 고압권선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냉각용 덕트는 저압권선부의 저압권선들의 턴(turn)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층간 절연지 사이에 배치되며 권선부의 단변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간 절연지 및 냉각용 덕트는 코어의 수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방향으로 연장된 냉각용 덕트를 통해 권선부 또는 코어에서 발생한 열 및 드라이 에어가 동시에 상층부로 이동하고, 상층부로 이동한 열 및 드라이 에어는 외함의 내측 벽을 따라 하강하며 냉각되고, 냉각된 드라이 에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순환하고, 드라이 에어는 절연 파괴전압이 향상되도록 질소(a)와 산소(b)가 70:30의 혼합비(a:b)로 혼합된 혼합 기체이다. 이에, 변압기 내에서 절연유 대신 드라이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절연유에 의한 위험성을 개선하여 변압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저압권선부 및 고압권선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권취되고 둥근 모서리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어는 판상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권선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조임쇠,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조임쇠 및 양 측을 지지하는 측판 조임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변압기 내에 절연유 대신 드라이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절연유에 의한 위험성을 개선하여 변압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트 파이프의 사용 및 외함 크기 증가에 의해 변압기의 부품을 간소화하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가 외함에 안치된 변압기 외함에 안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의 권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의 본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에어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의 냉각용 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식 표현은 서로 동등하고 독립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순서에 주(main)/부(sub) 또는 주(master)/종(slave)의 의미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가 외함(200)에 안치된 변압기 외함(200)에 안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권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본체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에어의 전기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외함(200) 내에 형성되며, 코어 및 코어에 권취된 한 쌍의 권선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함(200)은 고압권선 붓싱(101) 및 저압권선 붓싱(102)을 포함한다.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철심 및 권선을 대기노출 상태에서 공기 및 냉각 팬에 의해서 냉각하는 건식 자냉식 방식의 주상 변압기이다. 이에, 권선들 사이에는 공기가 유통되기 위한 덕트(duct)가 형성된다. 덕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권선 방식은 레이어 방식이며 저압권선부(220) 및 고압권선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저압권선부(220) 및 고압권선부(230)의 하나의 레이어당 턴(turn) 수는 변압기 크기, 저압권선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중심에는 도전성이 우수한 코어가 배치된다. 코어는 제1 권선부(110) 및 제2 권선부(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하측이 모두 연결된 'ㅁ'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코어는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체판으로 구성되며 얇은 두께의 판들이 절연 적층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 및 수평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코어는 복수의 도체판이 겹쳐져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권선부(110) 및 제2 권선부(120)는 저압권선부(220) 및 고압권선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압권선부(220)는 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전선(또는 코일)이 저압권선을 이루고, 저압권선들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저압권선들이 권취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저압권선관(210)을 따라 중심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저압권선부(220)는 알루미늄 포일(foil) 또는 알루미늄 각선을 사용한다.
또한, 고압권선부(23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코일이 고압권선을 이루고, 고압권선들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저압권선부(220)의 외측을 따라 권선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고압권선부(230)는 에나멜을 피폭으로 하는 알루미늄 선을 사용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압권선부(220) 및 고압권선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은 통상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또는 그들의 조합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압권선부(220) 및 고압권선부(230)는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권취되며, 모서리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압권선부(220) 또는 고압권선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소선을 꼰 형태로 크게 원형(Concentric) 연선, 원형압축(Compact Circular) 연선, 분할압축(Segmental Compact Circular) 연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을 위해 가스 속도를 빠르게 하여야 하므로 권선의 키를 5 내지 6% 이상 키울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단락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압 권선들을 배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선부에 포함된 코일들의 단락을 대응하기 위해 기계적인 힘이 가장 적어지도록 권선을 배치하되 리더선 인출부와 외층(outside layer)을 ladder형이 되도록 배열하여 수평력과 수직력이 최소화되도록 권선을 배열해야 한다. 즉, 단락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압 권선을 배열해야 한다. 이때, 냉각을 위해 사용하는 가스는 질소 및 산소의 혼합가스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건식 변압기는 냉각 공기에 SF6 가스를 포함한다. SF6 가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기도 하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서, 전류 차단 능력, 열 차단 성능 및 열 전달 특성이 현저하게 낮다. 또한, 일반적인 대기 중의 산소 비율은 대략 20.7%, 질소 비율은 77.5%를 차지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에어는 산소가 30%, 질소가 70%를 차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냉각용 공기를 질소 및 산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소보다 절연성이 우수하다.
특히,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드라이 에어로서 SF6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0도에서 33 내지 39V/m/Pa의 절연 강도를 갖고, 전류 차단 능력, 열 차단 특성 및 열 전달 특성이 SF6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압력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파괴전압을 나타낸다. 도 4 (a)와 같이, 질소/산소 혼합가스에서 질소:산소의 혼합비가 60:20 또는 70:30 또는 80:20 인 경우 중 70:30인 경우의 파괴전압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절연파괴전압(V)이 높을수록 절연특성이 강한 것을 의미하므로 질소:산소의 혼합비를 70:30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질소와 산소가 각각 70:3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가스를 드라이 에어로 사용한다. 이때, 도 4 (b)와 같이, 드라이에어/산소 혼합가스에서 드라이에어:산소의 혼합비가 60:40 또는 70:30 또는 79:21인 경우 중 70:30인 경우의 파괴전압기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드라이에어:산소의 혼합비를 70:30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대기 중의 산소보다 산소의 비중이 높은 드라이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변압기 내에서 공기보다 절연성이 우수한 가스를 통해 절연을 할 수 있어 일반적인 변압기 보다 높은 절연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냉각용 덕트(530)를 통한 드라이 에어의 흐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덕트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용 덕트(5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절연지에 의해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절연지는 절연 내력 및 고온에 대비하기 위해 고분자 절연 재료인 노맥스(nomax) 절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내열지(ikp) 및 절연판(pressboard)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저온부에 절연성능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크래프트지(kcraft pap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크래프트지는 절연유 중에서는 건조 후 기름에 함침되기 때문에 흡습이 억제되어 양호한 절연 특성이 나타나지만,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에 사용하는 경우는 흡습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상용주파내전압에 대한 절연내력과 뇌 임펄스 전압에 대한 절연내력의 비, 즉 충격 비는 절연유 절연과 비교하여 낮으므로, 특히 뇌 임펄스 전압에 대해 합리적인 절연구성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불평등 전계에서는 절연내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전계를 평등하게 근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 에어가 고체 절연물과 조합될 경우, 유전율 2.2인 광유에 비해 전계가 집중되기 쉬워서 전계완화를 충분히 고려한 절연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즉, 절연파괴는 압력, V-t특성, 밀도, 전극형상, 금속 이물질 등에 의해 크게 변하므로 절연설계시 임펄스 특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절연물 연면에서 가장 취약한 절연파괴 특성을 갖는 것에 대응한 설계를 하여야 한다.
또한, 냉각용 덕트(530)의 높이는 3.2t 내지 4t인 것이 바람직하며, 폭은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간격은 460mm 내지 466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각용 덕트(530)는 동일 사이즈에서 개수가 많이 설치될수록 냉각에 유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코어에 권선부가 권취되고, 권선부의 양 측 단변부(SS)에 배치되는 냉각용 덕트(530)를 통해 변압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변부는 도 1과 같이 코어에 권취된 권선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경우 단변이 위치한 영역을 단변부라고 지칭하며, 도 1에서는 제1 권선부(110)와 제2 권선부의 일 측에만 단변부(SS)를 표시하였지만, 대칭되는 영역에 단변부(SS)가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변압기 본체(권선과 코어)에서 발생한 내부의 열은 절연과 동시에 냉매인 드라이 에어가 냉각용 덕트(530)를 타고 상층부로 열을 전달한다. 이때, 냉각용 덕트(530)를 통해 방출된 드라이 에어는 외함(200)의 내측 벽을 따라 하강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드라이 에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하여 냉각용 덕트(530)로 상승하고 상술한 과정들을 반복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에어 스페이서(Air spacer)가 없으므로 외함(200)의 높이를 기존 변압기의 외함(200)보다 대략 7% 이상 높게 설계한다.
또한, 드라이 에어 폭발에 따른 외함(200)의 폭발에 대응하여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의 외함(200)은 최대 4kg/cm2의 압력에 견디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100)는 변압기의 권선 대 권선 및 대지 간의 절연과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매체를 기존의 절연유에서 드라이에어로 대체함으로써, 무색, 무취, 무독성의 기체가 상온에서 화학적으로 안정된 불연성의 성질로 지구온난화 및 절연유 분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고 방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동 변압기가 주상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외함(200) 크기가 기존 변압기의 외함(200) 크기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유 대신 드라이 에어를 사용하므로 액체를 기체로 변환시킴으로써 중량이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절연유 분출에 따른 불특정 다수의 위해를 가할 일이 없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변압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트 파이프의 사용 및 외함(200) 크기 증가에 의해 변압기의 부품을 간소화하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권선에서 발생하는 수평힘과 수직힘의 계산과 이에 대응한 프레임(frame)을 상하 및 측면에 설계함으로써 권선을 구성하는 코일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101: 고압권선 붓싱
102: 저압권선 붓싱 110: 제1 권선부
120: 제2 권선부 130: 코어
200: 외함 210: 저압권선관
220: 저압권선부 230: 고압권선부
530: 냉각용 덕트 540: 층간 절연지
SS: 단변부

Claims (4)

  1. 외함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도체판이 권취된 코어;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권취되며 저압권선부 및 고압권선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권선부; 및
    드라이 에어(Dry air)가 유통되도록 상기 권선부의 양 측 단변부에 배치되는 냉각용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권선부는 상기 고압권선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용 덕트는 상기 저압권선부의 저압권선들의 턴(turn)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층간 절연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권선부의 단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층간 절연지 및 상기 냉각용 덕트는 상기 코어의 수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냉각용 덕트를 통해 상기 권선부 또는 상기 코어에서 발생한 열 및 상기 드라이 에어가 동시에 상층부로 이동하고, 상기 상층부로 이동한 상기 열 및 상기 드라이 에어는 상기 외함의 내측 벽을 따라 하강하며 냉각되고, 냉각된 상기 드라이 에어는 공기의 대류에 의해 순환하고,
    상기 드라이 에어는 절연 파괴전압이 향상되도록 질소(a)와 산소(b)가 70:30의 혼합비(a:b)로 혼합된 혼합 기체인,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권선부 및 상기 고압권선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권취되고 둥근 모서리를 갖는,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판상 도체로 형성되는,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조임쇠,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조임쇠 및 양 측을 지지하는 측판 조임쇠를 더 포함하는,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KR1020180164068A 2018-12-18 2018-12-18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KR10210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68A KR102108119B1 (ko) 2018-12-18 2018-12-18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68A KR102108119B1 (ko) 2018-12-18 2018-12-18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119B1 true KR102108119B1 (ko) 2020-05-07

Family

ID=7073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68A KR102108119B1 (ko) 2018-12-18 2018-12-18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106A (ko) * 2003-03-18 2004-09-24 한국전기연구원 옥외용 주상 몰드 변압기
KR100740437B1 (ko) * 2006-10-16 2007-07-19 신성공업주식회사 변압기의 구조 및 변압기용 권선코일의 권선방법
JP2008108802A (ja) * 2006-10-24 2008-05-08 Toshiba Corp ガス絶縁変圧器
KR20140006928A (ko) * 2011-02-08 2014-01-16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건식 변압기 및 건식 변압기 제작 방법
JP2014504806A (ja) * 2011-02-02 2014-02-24 シーメンス リミタダ 乾式配電変圧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106A (ko) * 2003-03-18 2004-09-24 한국전기연구원 옥외용 주상 몰드 변압기
KR100740437B1 (ko) * 2006-10-16 2007-07-19 신성공업주식회사 변압기의 구조 및 변압기용 권선코일의 권선방법
JP2008108802A (ja) * 2006-10-24 2008-05-08 Toshiba Corp ガス絶縁変圧器
JP2014504806A (ja) * 2011-02-02 2014-02-24 シーメンス リミタダ 乾式配電変圧器
KR20140006928A (ko) * 2011-02-08 2014-01-16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건식 변압기 및 건식 변압기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8105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набженный защитным экраном,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экрана
JP6411647B2 (ja) 高電圧発生器の燃料タンクの絶縁方法及び装置
US9478347B2 (en) Dry type transformer with improved cooling
CN110323043B (zh) 一种可系列化的半灌封通透型高压高频变压器结构
US20120139682A1 (en) Amorphous transformer core
JP6893396B2 (ja) 高電圧高周波絶縁トランス
CN107430925B (zh) 流体绝缘式电气设备及其冷却方法
WO2020098750A1 (zh) 高压隔离变压器
Li et al. Insulation design on high-frequency transformer for solid-state transformer
KR102108119B1 (ko) 혼합 기체를 이용한 드라이 에어 절연 변압기
US9208936B2 (en) Gas-insulated delta transformer
CN209087568U (zh) 一种气体绝缘一体化组合互感器
JP4953270B2 (ja) アモルファス鉄心変圧器
JP7123705B2 (ja) 乾式変圧器
KR101651024B1 (ko) 초전도 전력기기용 절연 구조체
CN215770822U (zh) 一种干式绝缘变压器
KR102153359B1 (ko) 이형 모서리를 갖도록 권취된 케이블 변압기
US11594361B1 (en) Transformer having passive cooling topology
KR20220144955A (ko) 유입식 고주파 변압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udo et al. Development of 275 kV gas cooled type gas-insulated power transformer
JP2000260636A (ja) 静止誘導機器
JP2004119927A (ja) 静止誘導電気機器
CN115732201A (zh) 一种干式绝缘变压器
JPH03120804A (ja) ガス絶縁変圧器
CN109509627A (zh) 一种气体绝缘一体化组合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