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849A - 증기 터빈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849A
KR20240055849A KR1020247012147A KR20247012147A KR20240055849A KR 20240055849 A KR20240055849 A KR 20240055849A KR 1020247012147 A KR1020247012147 A KR 1020247012147A KR 20247012147 A KR20247012147 A KR 20247012147A KR 20240055849 A KR20240055849 A KR 2024005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ing
steam
steam turbine
end blad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키 야마시타
다카카즈 요시후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6Double casings; Measures against temperature strain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3Flange connections; 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3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using steam of critical or ov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Abstract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은, 외차실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은, 외차실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부재로서, 로터의 외주면과 상기 부재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장치가 배치되는 시일 영역과, 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과, 시일 영역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을 접속하는 내차실 영역이 형성된 환상 부재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은, 환상 부재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전방단 익환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증기 터빈
본 개시는, 증기 터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12월 1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1-20322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의 증기 터빈에는, 내차실과, 익환(翼環)과, 더미환이 각각 별체로 되어 있는 증기 터빈 외에, 단일의 부재에 내차실에 상당하는 부분과, 익환에 상당하는 부분과, 더미환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증기 터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85903호
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된 증기 터빈과 같이, 모든 정익(靜翼)이 단일의 부재에 지지되어 있으면, 그 부재에 정익을 장착하는 날개 부착 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해버리게 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증기 터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은,
외차실과,
상기 외차실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부재로서, 로터의 외주면과 상기 부재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장치가 배치되는 시일 영역과, 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과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을 접속하는 내차실 영역이 형성된 환상 부재와,
상기 환상 부재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전방단 익환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증기 터빈에 있어서의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을 구비한 증기 터빈 설비의 계통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의 일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A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증기 터빈의 일부에 대한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개시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와 같은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정도의 각도나 거리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동일", "동등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요소를 "설비한다", "갖춘다",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을 구비한 증기 터빈 설비의 계통 개략도이다. 증기 터빈 설비(1)는, 주요 기기로서, 보일러(2), 고압 터빈(4), 중압 터빈(8), 저압 터빈(10), 복수기(複水器)(11), 발전기(12)를 갖는다. 고압 터빈(4), 중압 터빈(8), 저압 터빈(10)은 로터(13)로 연결되고, 로터(13)는 발전기(12)와 연결되어 있다.
보일러(2)에서 발생한 주증기는, 주증기관(3)을 유하(流下)하여 고압 터빈(4)의 입구로 유도된다. 고압 터빈(4)을 구동하여 배출된 배기 증기는, 고압 터빈(4)으로부터 저온 재열관(5)을 유하하여 보일러(2)의 재열기(6)로 유도되어 재가열된다. 재열기(6)로 가열된 증기는, 고온 재열관(7)을 유하하여 중압 터빈(8)으로 유도되고, 중압 터빈(8)을 구동한 후, 주증기관(9)을 유하하여 저압 터빈(10)으로 유도된다. 저압 터빈(10)을 구동하여 배출된 배기 증기는, 복수기(11)에 도입되어 냉각되어, 복수(複水)되고, 그 후 보일러(2)에 급수로서 재도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 터빈(4), 중압 터빈(8), 저압 터빈(10)은 로터(13)로 연결되고, 회전 동력이 로터(13)를 통하여 발전기(12)에 전달되며, 발전기(12)에 의하여 회전 동력이 전력으로 변환된다.
보일러(2)로부터 고압 터빈(4)으로 흐르는 주증기가 통과하는 주증기관(3)에는, 증기의 흐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주증기 정지 밸브(14), 주증기 가감 밸브(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주증기 정지 밸브(14)와 주증기 가감 밸브(15)의 사이에서 바이패스관(16)이 주증기관(3)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어 있다. 주증기관(3)으로부터 분기된 바이패스관(16)은, 고압 터빈(4)의 중간 단락에 접속되어 있고, 주증기관(3)을 흐르는 주증기의 일부가 고압 터빈(4)의 상류 측 단락의 일부를 바이패스하여 중간 단락으로부터 고압 터빈(4)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바이패스관(16)에는 오버로드 밸브(17)가 마련되어 있고, 바이패스관(16)을 흐르는 바이패스 증기량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은, 고압 터빈(4)과 중압 터빈(8)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중고 일체형의 증기 터빈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고압 터빈(4)과 중압 터빈(8) 중, 주로 고압 터빈(4)의 구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은, 외차실(41)과, 환상 부재(43)와,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외차실(41)은, 수평면에서 외차실 상반부(41U)와 외차실 하반부(41L)로 분할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외차실 상반부(41U)와 외차실 하반부(41L)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외차실(41)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은, 외차실(41)의 내주 측에 축방향으로 복수(複數)의 터빈 단락이 마련되어 있고, 주증기가 흐르는 주증기 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터빈 단락은, 로터(13)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고정된 동익(18)과, 동익(18)의 상류 측에 대향하도록,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환상 부재(43) 또는 전방단 익환(45)에 고정된 정익(19)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중압 터빈(8)은, 외차실(41)의 내주 측에 축방향으로 복수의 터빈 단락이 마련되어 있고, 주증기가 흐르는 주증기 유로(81)가 형성되어 있다. 터빈 단락은, 로터(13)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고정된 동익(83)과, 동익(83)의 상류 측에 대향하도록, 익환(87)에 고정된 정익(85)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에는, 복수의 관대(管臺)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관대에는, 예를 들면, 고압 터빈(4)에 주증기관(3)으로부터의 주증기(Sin)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입구 관대(91), 고압 터빈(4)에 바이패스관(16)으로부터의 바이패스 증기(Sby)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입구 관대(92), 고압 터빈(4)으로부터 추기(抽氣)되는 증기(Sbl)를 배출하기 위한 추기 관대(93), 고압 터빈(4)을 구동하여 배출된 배기 증기(Sout)를 저온 재열관(5)으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 관대(94), 중압 터빈(8)에 고온 재열관(7)으로부터의 재열 증기(Sr)를 공급하기 위한 제3 입구 관대(95) 등이 포함된다.
(환상 부재(43))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환상 부재(43)는, 외차실(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부재이며,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내차실 영역(4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시일 영역(431)은, 일체적으로 마련된 고압 터빈(4)과 중압 터빈(8)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시일 영역(431)은, 로터(13)의 외주면(13a)과 환상 부재(43)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장치(51)가 배치된 영역이다. 시일 장치(51)는, 예를 들면 시일 핀을 갖는 래버린스 시일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은, 후방단의 정익(19)을 지지하는 영역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내차실 영역(435)은,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을 접속하는 영역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환상 부재(43)는, 종래의 증기 터빈에 있어서의, 더미환과, 익환과, 내차실을 단일의 부재로 형성한 것에 상당한다.
환상 부재(43)의 내주부(43i)에는,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의 사이에 오목부(437)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437)에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전방단 익환(45)이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437)는,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축방향 상류 측의 영역과 축방향 하류 측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상류 측의 영역은, 후술하는 제1 캐비티(71)를 형성한다.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하류 측의 영역은, 후술하는 제2 캐비티(72)를 형성한다.
또, 환상 부재(43)에는, 제2 캐비티(72)보다 축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 추기를 위한 제3 캐비티(7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캐비티(71)는, 제1 입구 관대(91)와 접속되어 있다. 제2 캐비티(72)는, 제2 입구 관대(92)와 접속되어 있다. 제3 캐비티(73)는, 추기 관대(93)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환상 부재(43)에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맞닿음부(43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맞닿음부(438)는, 오목부(437)의 내주면 중, 직경 방향 외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환상 부재(43)는, 수평면에서 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환상 부재 하반부(43L)로 분할되어 있다. 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환상 부재 하반부(43L)는, 후술하는 제1 결합 볼트(76)와 제2 결합 볼트(77)(후술하는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결합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환상 부재 하반부(43L)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환상 부재(43)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전방단 익환(45))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A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도 4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단 익환(45)은, 환상 부재(43)와는 상이한 부재이며, 환상 부재(43)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19)을 지지하는 익환이다. 전방단 익환(45)은, 축방향으로 뻗어 있어 정익(19)을 지지하는 내측 영역(451)과, 내측 영역(45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영역(452)을 포함하고 있다.
내측 영역(451)은, 최상류 단락의 정익(19)인 제1 정익(19A)을 포함하는, 복수 단락의 정익(19)을 지지하고 있다.
내측 영역(45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배면(451b)은, 환상 부재(43)의 오목부(437)의 내주면(437i)과 직경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다.
외측 영역(452)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는 경사면(453)과,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端面)(454)의 사이의 부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경사면(453)은,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도록 직선적으로 뻗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두께(t)(도 4 참조)는, 외측 영역(452)에 있어서, 경사면(453)과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454)의 사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커진다.
전방단 익환(45)은, 외측 영역(45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인 제2 맞닿음부(45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맞닿음부(455)의 축방향 하류 측의 면(455a)은, 환상 부재(43)의 제1 맞닿음부(438)의 축방향 상류 측의 면(438a)과 맞닿는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의 단면(454)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전방단 익환(45)의 단면(454)은,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되고,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곡선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은, 수평면에서 전방단 익환 상반부(45U)와 전방단 익환 하반부(45L)로 분할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단 익환 상반부(45U)와 전방단 익환 하반부(45L)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전방단 익환(45)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제1 캐비티(71))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제1 캐비티(71)는, 주증기관(3)으로부터의 주증기(Sin)가 공급되는 캐비티이다.
제1 캐비티(71)는,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상류 측의 영역과,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캐비티(71)는,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상류 측의 영역의 내주면과, 전방단 익환(45)의 경사면(453) 및 내측 영역(451)의 배면(451b)에 의하여 획정(劃定)되어 있다.
제1 캐비티(71)에 공급된 주증기(Sin)는, 제1 캐비티(71)로부터 최상류 단락의 정익(19)인 제1 정익(19A)을 향하여 흐르고, 주증기 유로(21)로 유입된다.
(제2 캐비티(72))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제2 캐비티(72)는, 바이패스관(16)으로부터의 바이패스 증기(Sby)가 공급되는 캐비티이다.
제2 캐비티(72)는,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하류 측의 영역과,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캐비티(72)는, 오목부(437) 중, 전방단 익환(45)에 의하여 구획된 축방향 하류 측의 영역의 내주면과,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454)에 의하여 획정되어 있다.
제2 캐비티(72)에 공급된 바이패스 증기(Sby)는, 제2 캐비티(72)로부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장착되어 있는 정익(19) 중, 가장 상류의 단락의 정익(19)을 향하여 흐르고, 주증기 유로(21)로 유입된다.
(제3 캐비티(73))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제3 캐비티(73)는, 제2 캐비티(72)보다 축방향 하류 측에 있어서, 추기를 위하여 마련된 캐비티이다.
주증기 유로(21)로부터 제3 캐비티(73)로 유입된 증기는, 추기 관대(93)를 통하여 고압 터빈(4)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더미환(431X)과, 익환(433X)과, 내차실(435X)이 각각 다른 부재인 종래의 증기 터빈(4X)의 일부에 대한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증기 터빈(4X)에서는, 증기 터빈(4X)에 공급된 주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더미환(431X)에 대하여 축방향 상류 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비교적 큰 스러스트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더미환(431X)에 있어서 내차실(435X)과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부(431Xa)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더미환(431X)의 크기가 비교적 커져 버린다. 그 결과, 내차실(435X) 및 외차실(41X)을 포함하여 터빈 체격이 대형화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내차실 영역(435)이 단일의 부재인 환상 부재(43)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증기 터빈(4X)에 있어서의 더미환(431X)의 끼워 맞춤부(431Xa)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증기 터빈(4X)과 비교하여, 환상 부재(43)를 종래의 증기 터빈(4X)에 있어서의 내차실(435X)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 및 증기 터빈(2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종래의 증기 터빈의 외차실의 체격과 동등한 체격을 유지한 상태로, 보다 고압의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에 장착하는 정익(19)의 정도만큼 환상 부재(43)의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장착하는 정익(1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방단 익환(45)에 정익(19)을 장착하는 날개 부착 작업과, 환상 부재(43)의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정익(19)을 장착하는 날개 부착 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환상 부재(43)에 모든 정익(19)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환상 부재(43)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19)을 지지하는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하므로, 환상 부재(43)와 전방단 익환(45)의 사이에서 제1 캐비티(71)나, 제2 캐비티(7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상 부재(43)를 주조로 형성하는 경우, 전방단 익환(45)을 환상 부재(43)와 별도 부재로 하지 않고 동일한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주조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1 캐비티(71)나 제2 캐비티(72)는 폐쇄 공간과 같이 비교적 폐쇄된 공간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주조성이 나빠져, 예를 들면 주조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 의하면, 환상 부재(43)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이 배치되는 부분이 비교적 크게 개구되게 되므로, 주조성이 양호해지는 것 외에, 주조 후에 제1 캐비티(71)나 제2 캐비티(72)를 획정하는 면을 마무리하는 등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주증기관(3)으로부터의 주증기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71)의 용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캐비티(71)를 형성하는 직경 방향 외측의 벽면, 즉 오목부(437)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한 면의 직경을 어느 정도 이상 확보해야 한다. 그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단일의 부재인 환상 부재(43)에 전방단 익환(45)에 상당하는 부위를 형성했다고 해도, 환상 부재(43)의 외경은 작아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환상 부재(43)의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단일의 부재인 환상 부재(43)에 전방단 익환(45)에 상당하는 부위를 형성하는 메리트는 거의 없다.
반대로, 도 2에 나타내는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을 환상 부재(43)와는 다른 부재로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의 일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로터(13)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은, 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환상 부재 하반부(43L)를 결합하는 결합 볼트이며, 축방향을 따라 시일 영역(431)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된 제1 결합 볼트(76)를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은, 제1 결합 볼트(76)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의 위치가 제1 결합 볼트(76)와 중복되는 제2 결합 볼트(77)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결합 볼트(76)와 제2 결합 볼트(77)는,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증기 터빈(4X)과 비교하여, 환상 부재(43)를 종래의 증기 터빈(4X)에 있어서의 내차실(435X)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외차실(41)을 대형화하지 않고 제1 결합 볼트(76)와 제2 결합 볼트(77)를 직경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차실(41)을 대형화하지 않고,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 영역(431) 및 전방단 익환(45)은, 주증기(Sin)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71)를 시일 영역(431)과 전방단 익환(45)의 사이에서 형성한다.
이로써, 증기 공급용의 챔버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고압 터빈(4)(증기 터빈(20))의 체격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단 익환(45) 및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은, 바이패스관(16)으로부터의 바이패스 증기(Sby)가 공급되는 제2 캐비티(72)를 전방단 익환(45)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의 사이에서 형성한다.
이로써, 고압 터빈(4)에 있어서 정격 출력을 초과한 출력을 얻기 위하여 공급되는 바이패스 증기(Sby)를 제2 캐비티(7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고압 터빈(4)에 있어서 정격 출력을 초과한 출력이 얻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단 익환(45)은, 제2 캐비티(72)보다 직경 방향 내측이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대향하는 단부(端部)(457)에 있어서, 축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58)를 갖는다.
돌출부(458)는, 예를 들면 둘레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돌조(突條)이다.
이로써, 제2 캐비티(72)로부터 전방단 익환(45)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의 사이의 간극을 흐르는 바이패스 증기(Sby)의 흐름을 돌출부(458)로 집속함으로써,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33)에 지지된 정익(19)을 향하여 유입되는 바이패스 증기(Sby)의 유량이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축방향의 가장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정익(19A)에 주증기(Sin)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입구 관대(91)의 중심축(C1)은, 제1 정익(19A)보다 축방향 하류 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과 같이, 2개의 증기 터빈(고압 터빈(4), 중압 터빈(8))이 1개의 외차실(41)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에, 근방의 증기 터빈(중압 터빈(8))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대(제3 입구 관대(95))와 주증기(Sin)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입구 관대(91)의 축방향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증기 터빈(20)의 축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의 경사면(453)은, 주증기(Sin)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71)에 면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453)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도록, 직경 방향 및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로써, 제1 입구 관대(91)로부터 제1 캐비티(71)로 유입되는 주증기(Sin)는, 경사면(453) 및 경사면(453)으로 이어지는 배면(451b)에 안내되어,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여 안내된다. 이로써, 제1 캐비티(71) 내에서의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여 안내된 주증기(Sin)는, 환상 부재(43)의 오목부(437)의 벽면에서 안내되고, 제1 정익(19A)을 향하여 흘러, 주증기 유로(21)로 유입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는 경사면(453)을 가지면 된다.
전방단 익환(45)에는, 주증기(Sin)의 압력에 의하여 환상 부재(43)에 대하여 전방단 익환(45)이 축방향 하류 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스러스트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환상 부재(43)에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맞닿음부(43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방단 익환(45)에는, 제1 맞닿음부(438)와 맞닿는 제2 맞닿음부(455)가 형성되어 있다.
고압 터빈(4)의 운전 중, 공급되는 주증기(Sin)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의 스러스트력이 전방단 익환(45)에 작용하기 때문에, 제2 맞닿음부(455)는, 제1 맞닿음부(438)와 맞닿아 반력을 받는다. 이 반력이 전방단 익환(45)에 응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상기 경사면(453)을 가짐으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의 치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기의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경사면(453)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도록 직선적으로 뻗어 있으면 된다.
이로써, 경사면(453)이 오목면인 경우에 비하여, 오목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정도만큼 전방단 익환(45)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기의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두께(t)(도 4 참조)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454)과 경사면(453)의 사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커지면 된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기의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에서는, 전방단 익환(45)이 지지하는 정익(19)의 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이 지지하는 정익(19)의 수보다 적어도 된다.
전방단 익환(45)에 있어서의 단락 수를 억제함으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증기의 압력차에 의하여 전방단 익환(45)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마련된 부위인 제1 맞닿음부(438)나 제2 맞닿음부(455)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 터빈(4)(증기 터빈(20))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은, 고압부(고압 터빈(4))와 중압부(중압 터빈(8))를 포함하는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20)이어도 된다. 고압부(고압 터빈(4))는, 상술한 환상 부재(43)와,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하면 된다.
이로써,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2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에 의하면,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에서는, 제1 캐비티(71)에 공급되는 주증기(Sin)는, 초임계압의 증기여도 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 터빈(4)은, 초임계압 증기 터빈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에 의하면, 상술한 외차실(41)과, 환상 부재(43)와,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하므로, 초임계압 증기 터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에 의하면, 초임계압 증기 터빈의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더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은, 외차실(41)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은, 외차실(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부재이며, 로터(13)의 외주면(13a)과 그 부재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장치(51)가 배치되는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의 정익(19)을 지지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을 접속하는 내차실 영역(435)이 형성된 환상 부재(43)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은, 환상 부재(43)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19)을 지지하는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한다.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시일 영역(431)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내차실 영역(435)이 단일의 부재인 환상 부재(43)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증기 터빈(4X)과 비교하여, 환상 부재(43)를 종래의 증기 터빈(4X)에 있어서의 내차실(435X)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을 소형화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증기 터빈(4X)의 외차실(41X)의 체격과 동등한 체격을 유지한 상태로, 보다 고압의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전방단 익환(45)에 장착하는 정익(19)의 정도만큼 환상 부재(43)의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장착하는 정익(1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방단 익환(45)에 정익(19)을 장착하는 날개 부착 작업과, 환상 부재(43)의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정익(19)을 장착하는 날개 부착 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환상 부재(43)에 모든 정익(19)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환상 부재(43)는, 수평면으로 결합된 상반부(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하반부(환상 부재 하반부(43L))를 포함하면 된다.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반부(환상 부재 상반부(43U))와 하반부(환상 부재 하반부(43L))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볼트(예를 들면 제1 결합 볼트(76) 및 중복되는 제2 결합 볼트(77))를 구비하면 된다. 복수의 결합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시일 영역(431)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된 제1 결합 볼트(76)와, 제1 결합 볼트(76)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의 위치가 제1 결합 볼트(76)와 중복되는 제2 결합 볼트(77)를 포함하면 된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증기 터빈(4X)과 비교하여, 환상 부재(43)를 종래의 증기 터빈(4X)에 있어서의 내차실(435X)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외차실(41)을 대형화하지 않고 제1 결합 볼트(76)와 제2 결합 볼트(77)를 직경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차실(41)을 대형화하지 않고, 공급하는 증기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3)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시일 영역(431) 및 전방단 익환(45)은, 제1 증기(주증기(Sin))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71)를 시일 영역(431)과 전방단 익환(45)의 사이에서 형성하면 된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증기 공급용의 챔버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의 체격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4)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 및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은, 제2 증기(바이패스 증기(Sby))가 공급되는 제2 캐비티(72)를 전방단 익환(45)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의 사이에서 형성하면 된다.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증기로서, 예를 들면 증기 터빈에 있어서 정격 출력을 초과한 출력을 얻기 위하여 공급되는 외부 증기(바이패스 증기(Sby))를 제2 캐비티(7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에 있어서 정격 출력을 초과한 출력이 얻어진다.
(5)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은, 제2 캐비티(72)보다 직경 방향 내측이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과 대향하는 단부(457)에 있어서, 축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58)를 가지면 된다.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캐비티(72)로부터 전방단 익환(45)과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의 사이의 간극을 흐르는 증기(바이패스 증기(Sby))의 흐름을 상기 돌출부(458)로 집속함으로써,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에 지지된 정익(19)을 향하여 유입되는 증기(바이패스 증기(Sby))의 유량이 둘레 방향으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6)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축방향의 가장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정익(19A)에 제1 증기(주증기(Sin))를 공급하기 위한 관대(제1 입구 관대(91))의 중심축(C1)은, 제1 정익(19A)보다 축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면 된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20)과 같이, 2개의 증기 터빈(고압 터빈(4), 중압 터빈(8))이 1개의 외차실(41)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 같은 경우에, 근방의 증기 터빈(중압 터빈(8))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대(제3 입구 관대(95))와 주증기(Sin)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입구 관대(91)의 축방향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증기 터빈(20)의 축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7)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는 경사면(453)을 가지면 된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453)을 가짐으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의 치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술한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8)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453)은,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도록 직선적으로 뻗어 있으면 된다.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453)이 오목면인 경우에 비하여, 오목면으로 되어 있지 않은 정도만큼 전방단 익환(45)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술한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9)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 또는 (8)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두께(t)는,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454)과 경사면(453)의 사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커지면 된다.
상기 (9)의 구성에 의하면, 전방단 익환(45)에 발생하는 상술한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10)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단 익환(45)이 지지하는 정익(19)의 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433)이 지지하는 정익(19)의 수보다 적어도 된다.
상기 (10)의 구성에 의하면, 전방단 익환(45)에 있어서의 단락 수를 억제함으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증기의 압력차에 의하여 전방단 익환(45)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전방단 익환(45)의 축방향 하류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마련된 부위(제1 맞닿음부(438), 제2 맞닿음부(455))가 커지는 것을 전방단 익환(45) 및 환상 부재(43)의 쌍방에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터빈(20)(고압 터빈(4))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11)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증기 터빈(20)은, 고압부(고압 터빈(4))와 중압부(중압 터빈(8))를 포함하는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20)이어도 된다. 고압부(고압 터빈(4))는, 환상 부재(43)와, 전방단 익환(45)을 구비하면 된다.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2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20)의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2)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시일 영역(431) 및 전방단 익환(45)은, 제1 증기(주증기(Sin))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71)를 시일 영역(431)과 전방단 익환(45)의 사이에서 형성하면 된다. 제1 증기(주증기(Sin))는, 초임계압의 증기여도 된다.
상기 (12)의 구성에 의하면, 초임계압 증기 터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12)의 구성에 의하면, 초임계압 증기 터빈의 날개 부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고압 터빈
19 정익
19A 제1 정익
20 증기 터빈
41 외차실
43 환상 부재
45 전방단 익환
51 시일 장치
71 제1 캐비티
72 제2 캐비티
76 제1 결합 볼트
77 제2 결합 볼트
91 제1 입구 관대
92 제2 입구 관대
431 시일 영역
433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
435 내차실 영역
437 오목부
453 경사면
454 단면
457 단부
458 돌출부

Claims (12)

  1. 외차실과,
    상기 외차실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단일의 부재로서, 로터의 외주면과 상기 부재의 간극을 시일하는 시일 장치가 배치되는 시일 영역과, 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과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을 접속하는 내차실 영역이 형성된 환상 부재와,
    상기 환상 부재에 장착되고, 전방단의 정익을 지지하는 전방단 익환을 구비하는 증기 터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상 부재는, 수평면으로 결합된 상반부와 하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반부와 상기 하반부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시일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 배치된 제1 결합 볼트와, 상기 제1 결합 볼트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축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1 결합 볼트와 중복되는 제2 결합 볼트를 포함하는 증기 터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일 영역 및 상기 전방단 익환은, 제1 증기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를 상기 시일 영역과 상기 전방단 익환의 사이에서 형성하는 증기 터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 익환 및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은, 제2 증기가 공급되는 제2 캐비티를 상기 전방단 익환과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의 사이에서 형성하는 증기 터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 익환은, 상기 제2 캐비티보다 직경 방향 내측이며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과 대향하는 단부에 있어서, 축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증기 터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축방향의 가장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정익에 제1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정익보다 축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는 증기 터빈.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 익환은,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증기 터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축방향 상류 측을 향하도록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증기 터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 익환의 축방향 두께는, 상기 전방단 익환의 축방향 하류 측의 단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증기 터빈.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단 익환이 지지하는 상기 정익의 수는, 상기 후방단 정익 지지 영역이 지지하는 상기 정익의 수보다 적은 증기 터빈.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기 터빈은, 고압부와 중압부를 포함하는 중고압 일체형의 증기 터빈이며,
    상기 고압부는, 상기 환상 부재와, 상기 전방단 익환을 구비하는 증기 터빈.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일 영역 및 상기 전방단 익환은, 제1 증기가 공급되는 제1 캐비티를 상기 시일 영역과 상기 전방단 익환의 사이에서 형성하고,
    상기 제1 증기는, 초임계압의 증기인 증기 터빈.
KR1020247012147A 2021-12-15 2022-11-30 증기 터빈 KR20240055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203224 2021-12-15
JP2021203224 2021-12-15
PCT/JP2022/044097 WO2023112669A1 (ja) 2021-12-15 2022-11-30 蒸気タービ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849A true KR20240055849A (ko) 2024-04-29

Family

ID=8677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147A KR20240055849A (ko) 2021-12-15 2022-11-30 증기 터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5849A (ko)
WO (1) WO202311266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903A (ja) 1982-04-23 1983-10-29 Hitachi Ltd 蒸気タ−ビン車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2464A (en) * 1980-08-22 1982-12-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rbine cylinder-seal system
JPH0621521B2 (ja) * 1983-06-10 1994-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タ−ビンの主蒸気入口構造
JPS62267506A (ja) * 1986-05-15 1987-11-20 Toshiba Corp 蒸気タ−ビンのケ−シング
EP2196628A1 (de) * 2008-12-10 2010-06-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chaufelträger
JP7093238B2 (ja) * 2018-06-18 2022-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設備及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903A (ja) 1982-04-23 1983-10-29 Hitachi Ltd 蒸気タ−ビン車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2669A1 (ja)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2096C (en) Fabricated itd-strut and vane ring for gas turbine engine
US8347500B2 (en) Method of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gas turbine mid turbine frame
JP4662562B2 (ja) 蒸気タービ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7258525B2 (en) Guide blade fixture in a flow channel of an aircraft gas turbine
US8561410B2 (en) Outlet guide vane structure
EP2098686B1 (en) Two-shaft gas turbine
US8133017B2 (en) Compressor diffuser
EP2236754A2 (en) Steam turbine rotor blade and corresponding steam turbine
RU2761506C2 (ru) Диск вентилятора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турбореактивный двигатель
KR20240055849A (ko) 증기 터빈
KR20150050472A (ko) 터빈 노즐 고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467399B1 (ko) 증기 터빈 설비 및 콤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JP2011132958A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ダイアフラムシェル構造体
US9726041B2 (en) Disabling circuit in steam turbines for shutting off saturated steam
JP2022542702A (ja) シールアセンブリ
US10436030B2 (en) Steam turb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turbine
JP4909113B2 (ja) 蒸気タービン車室構造
CN109642476B (zh) 蒸汽轮机的出流壳体
CN110337531B (zh) 涡轮机壳体和用于组装具有涡轮机壳体的涡轮机的方法
CN112135957B (zh) 蒸汽涡轮设备及联合循环设备
US11118479B2 (en) Stress mitigating arrangement for working fluid dam in turbine system
EP3265653A1 (en) Turbine for organic rankine cycles with axial input and output
CN102317582A (zh) 具有阀的三壳式蒸汽轮机
JP4584080B2 (ja) 再生式単缶ガスタービン
US9222370B2 (en) Steam turbine in a three-shelled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