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634A -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634A
KR20240055634A KR1020230110571A KR20230110571A KR20240055634A KR 20240055634 A KR20240055634 A KR 20240055634A KR 1020230110571 A KR1020230110571 A KR 1020230110571A KR 20230110571 A KR20230110571 A KR 20230110571A KR 20240055634 A KR20240055634 A KR 2024005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terminal
connection
clause
connecto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기
김기범
이제희
배종엽
노진민
박찬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두원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두원중공업(주)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ublication of KR2024005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존의 단자는 일 측에는 접속체가 포함되고 타 측에는 전선과 압착부가 포함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 측에 접속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자(Complex terminal)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는 복합 단자 몸체;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 단자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 1 접속체; 및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타 측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의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와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상기 타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 2 접속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Complex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여러 개의 전기 장치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BC)과 전원 또는 다른 전기 부품의 단자(terminal)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에는 커넥터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에 의하여 다른 전기 부품과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주요한 성능은 커넥터의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전기 부품을 물리적 측면 및 전기적 측면에서 모두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커넥터는 제조 비용이 낮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 및 다른 전기 부품과 쉽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커넥터의 안정적인 연결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많은 부가적인 구성 요소가 요구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조립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제조 비용 및 조립성의 개선을 위하여 커넥터의 연결 성능이 완전하게 달성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조 비용이 낮고 조립성이 개선된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낮은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개선된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합 단자 몸체;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 단자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 1 접속체; 및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타 측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의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와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상기 타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 2 접속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자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체의 단면은 제 1 폭 및 상기 제 1 폭에 수직한 제 2 폭을 가지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2 폭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체의 연장 방향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접속체에는 접속홀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홀은 내면이 상기 접속핀의 외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홀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핀의 일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몰된 접속핀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2 접속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접속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접속체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일 측부가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접속체의 상기 일 측부는 연장 방향 일 단에서 타 단까지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접속체와 상기 제 2 접속체는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양 측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체는 연장 방향 단부가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단자 몸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복합 단자 몸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체는 상기 제 1 접속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합 단자 몸체,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 단자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 1 접속체 및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타 측에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의 제 2 접속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자; 및 상기 복합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복합 단자 홀이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체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 단자 홀의 내면에는 상기 복합 단자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체가 걸리는 걸림체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체 고정부는 상기 복합 단자 홀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단자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합 단자 홀은 상기 복수의 복합 단자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복합 단자의 제 1 접속체가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에 구비된 상대측 단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제 1 접속체와 상대측 단자가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제 2 접속체의 접속부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으로 제공되어, 접속부와 접속핀이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제 2 접속체의 접속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으므로, 접속부와 접속핀이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제 2 접속체의 접속부에 접속핀의 일 부분에 걸릴 수 있는 접속핀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속부와 접속핀이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복합 단자에 걸림체가 구비되고, 커넥터 하우징에 걸림체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걸림체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양 구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복합 단자를 구성하는 복합 단자 몸체, 제 1 및 제 2 접속체가 일체로 제공되므로, 제조 비용이 낮으면서도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는 인쇄회로기판과 상대측 단자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복합 단자의 제 1 접속체와 제 2 접속체가 복합 단자 몸체의 양 측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므로, 조립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인쇄회로기판,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인쇄회로기판,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2)과 다른 전기 부품의 커넥터 조립체 또는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를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조립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와 인쇄회로기판(2)을 연결시킴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에는 부도체(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부에 보호되는 상대측 단자(terminal)(4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인쇄회로기판(2)의 접속핀(3)과 상대측 단자(4a)를 연결하는 복합 단자(complex terminal)(10) 및 복합 단자(10)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20)에는 Y축 방향으로 복합 단자 홀(21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단자(10)는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부재로 제공되어, 커넥터 하우징(20)의 복합 단자 홀(21a)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단자(10)는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는 제 1 접속체(13) 및 제 2 접속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접속체(13)의 일부 및 제 2 접속체(14)의 일부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접속체(13)는 커넥터 하우징(20)의 Y축의 양의 방향 측부로 노출되고, 제 2 접속체(14)는 커넥터 하우징(20)의 Y축의 음의 방향 측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복합 단자(10)의 제 1 접속체(13)는 상대측 단자(4a)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합 단자(10)의 제 2 접속체(14)가 인쇄회로기판(2)에 구비된 접속핀(3)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과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가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는 복합 단자 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단자 몸체(11)는 후술하는 제 1 접속체(13) 및 제 2 접속체(14)가 형성되기 위한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합 단자 몸체(11)는 소정의 길이만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복합 단자 몸체(1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복합 단자 몸체(11)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체(1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걸림체(12)는 복합 단자 몸체(1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체(12)는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20)(도 1에 도시됨)의 복합 단자 홀(21a)에 복합 단자(10)가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20)의 일 부분에 걸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보다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걸림체(12)는 복합 단자 몸체(11)가 연장된 방향과 다소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체(12)는 후술하는 제 1 접속체(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복합 단자(10)가 커넥터 하우징(20)(도 1에 도시됨)의 복합 단자 홀(21a)에 삽입되는 방향 및 본 복합 단자(10)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이나 상대측 단자(4a)와 결합될 때 힘을 받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체(12)는 복합 단자 몸체(11)에 대하여 약 30도의 경사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체(12)가 경사진 각도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걸림체(12)는 연장 방향 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체(12)는 커넥터 하우징(20)(도 1에 도시됨)의 일 부분에 보다 효과적으로 걸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는 제 1 접속체(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접속체(13)는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 1 접속체(13)는 전술한 단자(4a)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의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접속체(13)는 복합 단자 몸체(1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접속체(13)는 상대측 단자(4a)(도 2에 도시됨)에 형상 맞춤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측 단자(4a)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홀이 구비될 수 있고, 제 1 접속체(13)는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폭(w1) 및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폭(w1)이 제 2 폭(w2)보다 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접속체(13)의 단면은 직 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 1 접속체(1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속체(13)는 상대측 단자(4a)(도 2에 도시됨)와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하며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적으로 연결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접속체(13)의 형상은 대응되는 홀의 형태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속체(13)는 원기둥 형상의 바(bar)로 제공되거나, 단부가 뾰족한 바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접속체(13)의 연장 방향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접속체(13)의 단부는 뾰족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속체(13)는 삽입되는 홀에 보다 쉽게 들어갈 수 있고, 이를 통해, 복합 단자(10)와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 사이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는 제 2 접속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접속체(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의 접속핀(3)(도 1에 도시됨)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제 2 접속체(14)와 제 1 접속체(13)는 복합 단자 몸체(11)의 양 측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접속체(13)가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와 연결되는 과정 및 제 2 접속체(14)가 접속핀(3)(도 1에 도시됨)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양 구성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단자(10)의 제 2 접속체(14)는 중공형의 접속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접속부(1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15)의 내부에는 접속부(15)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원기둥 형태의 접속홀(15a)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홀(15a)의 형태가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의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형상에 대응되기 위함일 수 있다.
이처럼, 접속홀(15a)과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형상이 대응되면, 접속홀(15a)의 내주면과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외주면이 서로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본 복합 단자(10)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보다 안정적이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부(15) 및 접속홀(15a)의 형상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의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이 가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접속부(15)에는 절개부(15b)가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15b)는 접속부(15)의 측부에 구비된 갈라진 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5b)는 접속부(15)의 연장 방향 일 단부터 타 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부(15)는 절개부(15b)에 의하여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이처럼, 접속부(15)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으면, 접속부(15)의 접속홀(15a)이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형태에 맞추어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부(15)와 접속핀(3)(도 1에 도시됨) 사이의 접촉 면적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단면이 가지는 면적이 접속홀(15a)의 단면이 가지는 면적보다 클 경우에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핀(3)(도 1에 도시됨)과 접속홀(15a)이 원기둥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직경이 접속홀(15a)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 상술한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절개부(15b)는 접속부(15)의 일 단에서 타 단까지 연장되어 접속부(15)의 측부가 완전하게 두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절개부(15b)는 접속부(15)가 어느정도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면, 일 단부터 접속부(15)의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접속부(15)에는 접속핀 걸림부(15c)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핀 걸림부(15c)는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의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일 부분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복합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이 서로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홀(15a)의 내면(또는, 내주면)의 일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홀(15a)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접속홀(15a)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핀 걸림부(15c)의 형상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의 접속핀(3)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홀(15a)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부(1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구비된 소정의 홈(3a)(도 1에 도시됨)에 대응되며 들어가기 위함이다. 만일,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외주면에 소정의 돌기가 구비되면,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홀(15a)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물론, 접속핀 걸림부(15c)의 형상은 접속핀(3)(도 1에 도시됨)의 일 부분에 걸릴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접속핀 걸림부(15c)는 접속부(15)의 둘레의 일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의 제 2 접속체(14)는 연결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6)는 접속부(15)와 복합 단자 몸체(11)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의 길이 및 형상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과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 사이의 거리,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20)(도 1에 도시됨)의 복합 단자 홀(21a)(도 1에 도시됨)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자(10)는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과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 1 접속체(13) 및 제 2 접속체(14)가 복합 단자 몸체(11)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제공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때, 일체로 제공된다는 것은 물리적 및 공간적으로 분리된 부분이 없이 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단자(10)의 각 구성 요소가 일체로 제공되어 복합 단자(1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 및 상대측 단자(4a)(도 1에 도시됨)와 삽입 등의 공정으로 쉽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조립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20)은 커넥터 하우징 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합 단자 홀(2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20)은 복합 단자(10)를 수용하여 외부 오염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 몸체(21)는 몸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2)는 블록 형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2)의 내부에는 복합 단자 홀(21a)의 일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몸체부(22)에 구비된 복합 단자 홀(21a)의 일 부분을 제 1 부분(22a)이라 한다.
이때,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2)의 제 1 부분(22a)에는 복합 단자(10)의 복합 단자 몸체(11)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분(22a)의 내면(또는, 내주면)에는 전술한 복합 단자(10)의 걸림체(12)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걸림체 고정부(2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단자(10)는 복합 단자 홀(21a)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체 고정부(22b)는 제 1 부분(22a)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체 고정부(22b)의 단차진 부분의 측부에 복합 단자(10)의 걸림체(12)의 단부가 걸림으로써, 복합 단자(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체 고정부(22b)가 단차진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걸림체 고정부(22b)의 형상은 걸림체(12)가 걸려서 복합 단자(10)가 복합 단자 홀(21a)에 고정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걸림체 고정부(22b)는 복합 단자(10)의 걸림체(12)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나 고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20)의 커넥터 하우징 몸체(21)는 제 1 돌출부(23) 및 제 2 돌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출부(23)는 몸체부(22)로부터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블록 형태의 부재로 제공되고, 제 2 돌출부(24)는 몸체부(22)로부터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블록 형태의 부재로 제공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출부(23)와 제 2 돌출부(24)의 내부에는 복합 단자 홀(21a)의 일 부분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돌출부(23)에 구비된 복합 단자 홀(21a)의 일 부분을 제 2 부분(23a)이라 하고, 제 2 돌출부(24)에 구비된 복합 단자 홀(21a)의 일 부분을 제 3 부분(24a)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부분(23a)에는 복합 단자(10)의 제 1 접속체(13)가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고, 제 3 부분(24a)에는 복합 단자(10)의 제 2 접속체(14)가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접속체(14)의 접속부(15)는 일 측부가 제 3 부분(24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20)에 결합된 복합 단자(10)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 사이의 조립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외주부에는 결합체(25)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체(25)는 본 커넥터 조립체(1)가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이나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도 1에 도시됨) 외의 다른 부재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본 커넥터 조립체(1)는 보다 안정적으로 인쇄회로기판(2)(도 1에 도시됨)과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4)(도 1에 도시됨)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체(25)는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렌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체(25)는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체(25)에는 나사 등의 결합 부재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홀(25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결합홀(25a)은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구성을 통하여, 커넥터 조립체(1)는 다른 부재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20)은 커버체(2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체(26)는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일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체(26)는 커넥터 하우징 몸체(21)의 제 1 돌출부(23)를 보호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26)는 결합체(25)의 일 면으로부터 Y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 1 돌출부(23)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체(26)의 Y축 방향 길이는 제 1 돌출부(23)의 Y축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체(26)에 의하여 제 1 돌출부(23)가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 조립체 2: 인쇄회로기판
3: 접속핀 4: 상대측 커넥터 조립체
10: 복합 단자 11: 복합 단자 몸체
12: 걸림체 13: 제 1 접속체
14: 제 2 접속체 20: 커넥터 하우징
21: 커넥터 하우징 몸체 25: 결합체
26: 커버체

Claims (18)

  1. 복합 단자 몸체;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 단자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 1 접속체; 및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타 측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의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와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상기 타 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 2 접속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체의 단면은 제 1 폭 및 상기 제 1 폭에 수직한 제 2 폭을 가지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2 폭보다 길도록 구성되는, 복합 단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체의 연장 방향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복합 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체에는 접속홀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홀은 내면이 상기 접속핀의 외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합 단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홀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핀의 일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몰된 접속핀 걸림부가 구비되는, 복합 단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2 접속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복합 단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복합 단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체는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일 측부가 절개된, 복합 단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체의 상기 일 측부는 연장 방향 일 단에서 타 단까지 절개된, 복합 단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체와 상기 제 2 접속체는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양 측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복합 단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체가 구비되는, 복합 단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는 연장 방향 단부가 절곡된, 복합 단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자 몸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체는 상기 복합 단자 몸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합 단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는 상기 제 1 접속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합 단자.
  15. 복합 단자 몸체,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 단자에 형상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 1 접속체 및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타 측에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접속핀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형의 제 2 접속체를 포함하는 복합 단자; 및
    상기 복합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복합 단자 홀이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자 몸체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체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 단차 홀의 내면에는 상기 복합 단자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체가 걸리는 걸림체 고정부가 구비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 고정부는 상기 복합 단자 홀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구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자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합 단자 홀은 상기 복수의 복합 단자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30110571A 2022-10-19 2023-08-23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40055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4947 2022-10-19
KR1020220134947 2022-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634A true KR20240055634A (ko) 2024-04-29

Family

ID=9088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571A KR20240055634A (ko) 2022-10-19 2023-08-23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6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5740B1 (en) Electrical connector
TWI648917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JP2622940B2 (ja) シールド式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6227904B1 (en) Compound type connector
TWI548158B (zh) 電連接器組合
US9972950B2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812823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case and a body
US1156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frame surrounding plurality of terminals and connector housing
JP5044476B2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基板アッセンブリ
WO2016125668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9185858A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131288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89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90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20120031115A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20220416457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power supply function
TWI654803B (zh) 高速連接器及其傳輸模組
KR20240055634A (ko) 복합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20230006392A1 (en) Connection str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ion strip
JP2021068579A (ja) 分岐用コネクタ
WO2020255648A1 (ja) コネクタ
US10978817B2 (en) Connector for mounting to a substrate
US20240120687A1 (en) Connector
US20220294151A1 (en) Connector for fitting with a docking connector comprising an electrical module plug and additional module plugs
CN220585654U (zh) Usb连接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