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579A -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579A
KR20240055579A KR1020220136046A KR20220136046A KR20240055579A KR 20240055579 A KR20240055579 A KR 20240055579A KR 1020220136046 A KR1020220136046 A KR 1020220136046A KR 20220136046 A KR20220136046 A KR 20220136046A KR 20240055579 A KR20240055579 A KR 2024005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input
text
mobile device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원
최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579A/ko
Publication of KR2024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로서,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및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따르면,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의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따르면,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스처 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 자판의 키를 입력하는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TEXT INPUT DEVICE IN AUGMENTED REALITY GLASSES}
본 발명은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마치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안경처럼 착용하는 형태도 있으나 헤드셋이나 고글처럼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도 있다. 이러한 헤드셋 또는 고글 형태의 AR 또는 VR용 HMD는 머리에 잘 맞게 착용하여야 움직임이 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AR 글래스를 제어하거나 공간 좌표를 인식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는 핸드 제스처 인식,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AR 글래스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은 제스처 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 자판의 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는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으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00569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의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스처 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 자판의 키를 입력하는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로서,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및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입력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는,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되, 상기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가 AR 글래스의 입력창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는,
HMD 프레임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AR 글래스 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및 텍스트 입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AR 글래스 장치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인증 및 기기 조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다른 AR 글래스 장치나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하여 전송하는 텍스트가 삽입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텍스트 입력 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AR 글래스 장치가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에서 필요한 텍스트의 키 입력이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AR 글래스 장치의 입력창에 텍스트가 바로 삽입되어 입력되는 방식으로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따르면,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의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에 따르면,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스처 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 자판의 키를 입력하는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AR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모바일 기기와 AR 글래스 장치의 블루투스 페어링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AR 글래스의 입력창과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의 연동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의 AR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100)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110), 및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100)의 모바일 기기(110)와 AR 글래스 장치(120)의 블루투스 페어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100)의 AR 글래스 장치(120)의 입력창과 모바일 기기(110)의 입력앱의 연동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기기(110)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 글래스 장치(120)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110)는 AR 글래스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입력앱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핸드폰,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10)는 AR 글래스 장치(120)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된 상태에서,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입력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10)에서 입력앱이 활성화되면, 햅틱(진동)이나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110)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AR 글래스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AR 글래스 장치(12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AR 글래스 장치(120)는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되, 모바일 기기(110)의 입력앱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가 AR 글래스의 입력창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AR 글래스 장치(120)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증강현실로 제공되는 AR 화면에서 키 입력이 필용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텍스트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때의 키 입력이 필요한 경우로는 로그인 정보 입력, 메시지 입력, 메모 작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R 글래스 장치(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프레임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와, AR 글래스 장치(12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모바일 기기(110)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및 텍스트 입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2)와, AR 글래스 장치(120)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인증 및 기기 조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모바일 기기(110)를 포함한 다른 AR 글래스 장치나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디스플레이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하여 전송하는 텍스트가 삽입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디스플레이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되, 광학계에 결합해 광학계에 의해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 광을 출력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OLED, LCoS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광학계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착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을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하여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계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착용자가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와 미러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학 회절 방식, 빔 스플리터 방식, 핀 미러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3)는, AR 글래스 장치(120)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인증 및 기기 조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부(122)는 착용자에 의해 조정된 IPD 정보를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해 저장하며, 착용자가 AR 글래스 장치(120)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21)를 얼굴에 대고 사용자 인증을 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된 IPD 정보를 사용해 저장된 IPD가 되도록 IPD 조정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은 센서부(123)에 포함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4)는, 모바일 기기(110)를 포함한 다른 AR 글래스 장치나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되, 모바일 기기(110)와 블루투스 페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4)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4/5/6G(3/4/5/6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110)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포함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10)와 AR 글래스 장치(120)가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에서,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필요한 텍스트의 키 입력이 모바일 기기(110)에서 입력되어 전송되면 AR 글래스 장치(120)의 입력창에 텍스트가 바로 삽입되어 입력되는 방식으로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방법은,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110)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포함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하되, AR 글래스 장치(120)와 모바일 기기(110)간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설정되는 단계(S110), 키보드 입력이 필요한 화면에 진입하면,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110)의 입력앱에서 알림이 발생되는 단계(S120), 모바일 기기(110)의 입력앱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전송을 누르는 단계(S130), 및 모바일 기기(110)에서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 장치(120)의 입력창에 삽입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는,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모바일 기기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의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AR 글래스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페어링된 모바일 기기의 입력앱을 통해서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한 텍스트가 AR 글래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스처 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 자판의 키를 입력하는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 장치
110: 모바일 기기
120: AR 글래스 장치
121: 광학 디스플레이부
122: 제어부
123: 센서부
124: 통신부

Claims (8)

  1.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100)로서,
    AR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를 AR 화면상에 구현하고, AR 화면상에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110); 및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으로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입력앱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는,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전송받되, 상기 모바일 기기(110)의 입력앱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가 AR 글래스의 입력창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는,
    HMD 프레임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21);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110)와의 블루투스 페어링 및 텍스트 입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2);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의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인증 및 기기 조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123); 및
    상기 모바일 기기(110)를 포함한 다른 AR 글래스 장치나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21)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에게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되, 키 입력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모바일 기기(110)로부터 입력하여 전송하는 텍스트가 삽입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입력 장치(100)는,
    상기 모바일 기기(110)와 AR 글래스 장치(120)가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필요한 텍스트의 키 입력이 상기 모바일 기기(110)에서 입력되어 전송되면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의 입력창에 텍스트가 바로 삽입되어 입력되는 방식으로 기존의 키 입력의 부정확함과 느린 입력 방식에 비해 텍스트 키 입력의 정확성 및 입력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KR1020220136046A 2022-10-20 2022-10-20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KR20240055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46A KR20240055579A (ko) 2022-10-20 2022-10-20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46A KR20240055579A (ko) 2022-10-20 2022-10-20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579A true KR20240055579A (ko) 2024-04-29

Family

ID=908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46A KR20240055579A (ko) 2022-10-20 2022-10-20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5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EP297255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a head mounted display
EP3847530B1 (en) Display device sharing and interactivity in simulated reality (sr)
US9100732B1 (en) Hertzian dipole headphone speaker
KR102318788B1 (ko) 착용형 전자 장치
US20150130688A1 (en) Utilizing External Devices to Offload Text Entry on a Head Mountable Device
JP2015525491A (ja) フォーカス距離に基づいて表示情報の表現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5525365A (ja) 表示情報のフォーカス補正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WO2019130992A1 (ja) 情報処理装置
US20230324711A1 (en) Intelligent actuated and adjustable glasses nose pad arms
US201301278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display to account for the users' corrective lenses or preferred display settings
JP2015228095A (ja) 頭部装着型情報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情報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240055579A (ko) Ar 글래스에서의 텍스트 입력 장치
US9727716B1 (en) Shared workspace associated with a voice-request account
KR102633495B1 (ko) 손목과 트리거 제스처의 단계적 인식을 통한 앱 라이브러리 동작 방법 및 앱 라이브러리가 동작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9938B1 (ko)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KR102617019B1 (ko)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3493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확인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13391B1 (ko) 제스처를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동공 간 거리 자동 조절 방법
KR102667192B1 (ko) 오프라인에서 멀티모달 데이터를 처리해 결과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633491B1 (ko) 허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KR20160016771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619431B1 (ko)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2506335B (zh) 头戴式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202403109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nging a Display Based on User Input and Ga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