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771A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6771A KR20160016771A KR1020157031079A KR20157031079A KR20160016771A KR 20160016771 A KR20160016771 A KR 20160016771A KR 1020157031079 A KR1020157031079 A KR 1020157031079A KR 20157031079 A KR20157031079 A KR 20157031079A KR 20160016771 A KR20160016771 A KR 201600167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digital device
- time
- information
- display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저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HMD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광 투과를 조절하는 광 셔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하고, 상기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HMD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광 투과를 조절하는 광 셔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하고, 상기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저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HMD,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란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MD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N 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 되어 유저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HMD를 착용한 유저는 다양한 상황에서 HMD와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HMD가 유저에게 더 나은 상황 인식 서비스(Context Aware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HMD를 착용한 복수의 유저가 함께 협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하는 단계; 상기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HMD와 커넥팅 하는 단계; 상기 HMD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유저를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간의 간섭 현상을 해소하고, 각 유저가 HMD를 통해 특정 디스플레이 콘텐츠만 선택해서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를 착용한 유저만 해당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 및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MD 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MD 및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100) 및 디지털 디바이스(200)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HMD(100)는 EMD(Eye Mounted Display), eyeglass, eyepiece, eyewear, HWD(Head Worn Display) 등 유저에게 착용되어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100)의 각 구성 및 동작은 일반적인 셔터 글래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TV,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포터블 디바이스,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월 디스플레이(Wall Display),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전광판, 광고판 등,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HMD(100)는 프로세서(110), 광 셔터부(12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광 셔터부(12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광 투과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셔터부(120)는 HMD(100)의 글라스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글라스의 광 투과량을 조절한다. 광 셔터부(120)가 개방되면 HMD(100)의 글라스를 통해 광이 투과될 수 있으며, 광 셔터부(1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글라스의 광 투과가 차단된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수단으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와이파이, 셀룰러 네트워크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HMD(100)와 디지털 디바이스(200)간의 통신은 상기 열거된 통신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들 간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로세서(110)는 HMD(100)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각종 어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부터 획득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1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HMD(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 유닛(22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프로세서(21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를 출력하거나, 프로세서(2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전술한 HMD(100)의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HMD(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로세서(210)는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각종 어플리케이션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디지털 디바이스(200) 커넥팅 된 HMD(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출력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시점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210)는 생성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2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HMD(100) 및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2의 각 단계는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210)가 도 2의 각 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한다(S210).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통해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구비된 스토리지 유닛으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서버 또는 스토리지 유닛으로부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HMD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보안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노이즈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HMD와 커넥팅 한다(S220).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HMD 간의 커넥팅을 위해 별도의 페어링 또는 통신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 또는 통신 접속 작업은 HMD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이 수행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HMD의 커넥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HMD의 커넥팅 정보는 해당 HMD의 디바이스 정보, 커넥팅 시작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HMD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S2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각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인터벌 및 순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와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 각각의 디스플레이 인터벌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단일의 HMD와 커넥팅 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HMD를 착용한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한 노이즈 콘텐츠인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복수의 HMD와 커넥팅 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커넥팅 된 HMD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HMD가 2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2개 이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HMD가 3개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3개 이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제공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서로 다른 시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HMD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복수의 HMD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HMD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HMD에 대응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각각 디스플레이 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240).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특정 시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 각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3의 각 단계는 본 발명의 HMD(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HMD(100)의 프로세서(110)가 도 3의 각 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HMD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한다(S310). HMD와 디지털 디바이스 간의 커넥팅 방법은 도 2의 S22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HMD는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한다(S320).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의 S23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HMD는 획득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한다(S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노이즈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HMD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 중 어느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개방할지는 해당 HMD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100) 및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단일의 HMD(100)와 커넥팅 되어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HMD(100)와 커넥팅 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HMD(100)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220)으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에서 프레임 A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프레임 B는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B는 프레임 A의 보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노이즈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B의 디스플레이 빈도는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빈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HMD(100)의 흰색 프레임은 HMD(100)의 광 셔터부(120)가 개방된 상태를, 회색 프레임은 광 셔터부(12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부터 획득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시점에는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프레임 B의 디스플레이 시점에는 광 셔터부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HMD(100)를 착용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하는 프레임 A만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HMD(100)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바라보게 되면 프레임 A와 프레임 B가 뒤섞여 보이게 되므로,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프레임 B의 디스플레이 빈도가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빈도보다 현격하게 높을 경우, 프레임 B의 잔상으로 인해 프레임 A의 인식률을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HMD(100)를 착용한 유저는 프레임 A와 프레임 B중 프레임 A만을 선별적으로 볼 수 있게 되므로,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HMD(100a, 100b) 및 디지털 디바이스(2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2개의 HMD(100a, 100b)와 커넥팅 되어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HMD 100a 및 100b와 커넥팅 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HMD 100a 및 100b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를 디스플레이 유닛(220)으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는 HMD 100a를 착용한 유저에게 제공되기 위한 것이고,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는 HMD 100b를 착용한 유저에게 제공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서 프레임 A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를, 프레임 B는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를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의 디스플레이 인터벌과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의 디스플레이 인터벌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 HMD 100a 및 100b의 흰색 프레임은 각 HMD 100a 및 100b의 광 셔터부(120a, 120b)가 개방된 상태를, 회색 프레임은 광 셔터부(120a, 120b)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HMD 100a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부터 획득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시점에는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프레임 B의 디스플레이 시점에는 광 셔터부를 닫을 수 있다. 또한, HMD 100b는 디지털 디바이스(200)로부터 획득한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B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프레임 A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광 셔터부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HMD 100a를 착용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하는 프레임 A만 볼 수 있으며, HMD 100b를 착용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하는 프레임 B만 볼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200) 제공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와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는 서로 오버랩 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HMD 100a와 100b를 각각 착용한 유저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50a)와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50b)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만을 볼 수 있게 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간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200)가 2개의 HMD(100a, 100b)와 커넥팅 되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200)는 3개 이상의 HMD와도 동시에 커넥팅 되어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관련 사항을 기술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MD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으로써,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하는 단계;
상기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상기 광 셔터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상기 광 셔터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단일의 HMD와 커넥팅 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노이즈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복수의 HMD와 커넥팅 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HMD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복수의 HMD와 커넥팅 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된 복수의 HMD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인터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인터벌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인터벌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로써,
상기 HMD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광 투과를 조절하는 광 셔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와 커넥팅 하고,
상기 커넥팅 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광 셔터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으로써,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HMD와 커넥팅 하는 단계;
상기 HMD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디지털 디바이스로써,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HMD와 커넥팅 하고,
상기 HMD의 커넥팅 정보에 기초하여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콘텐츠 및 제 2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8914 | 2013-04-30 | ||
KR1020130048914 | 2013-04-30 | ||
PCT/KR2013/004989 WO2014178478A1 (ko) | 2013-04-30 | 2013-06-05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6771A true KR20160016771A (ko) | 2016-02-15 |
Family
ID=5184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1079A KR20160016771A (ko) | 2013-04-30 | 2013-06-05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70106A1 (ko) |
KR (1) | KR20160016771A (ko) |
WO (1) | WO201417847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72025B2 (en) * | 2015-01-21 | 2016-10-18 | Oculus Vr, Llc | Compressible eyecup assemblies in a virtual reality headset |
US10742964B2 (en) | 2017-04-04 | 2020-08-11 | Nextvr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69822B2 (en) * | 2007-04-03 | 2012-09-18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 Display viewing system and methods for optimizing display view based on active tracking |
EP2385706A1 (en) * | 2010-05-03 | 2011-11-09 | LG Electronics | Image display device, view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10128099A (ko) * | 2010-05-20 | 2011-1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US20120190439A1 (en) * | 2010-08-03 | 2012-07-26 | Bby Solutions, Inc. | Multiple simultaneous programs on a display |
EP2625845B1 (en) * | 2010-10-04 | 2021-03-03 | Gerard Dirk Smits | System and method for 3-d projection and enhancements for interactivity |
KR101078768B1 (ko) * | 2011-01-17 | 2011-11-02 | (주)쓰리디랩스 | 다종영상물 동시 시청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
KR20130007824A (ko) * | 2011-07-11 | 2013-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US9734633B2 (en) * | 2012-01-27 | 2017-08-1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Virtual environment generating system |
-
2013
- 2013-06-05 KR KR1020157031079A patent/KR201600167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6-05 WO PCT/KR2013/004989 patent/WO201417847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05 US US14/888,218 patent/US2016007010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78478A1 (ko) | 2014-11-06 |
US20160070106A1 (en) | 201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0919B1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176783B2 (en) | Interactive wearable and portable smart devices | |
KR102182161B1 (ko) | Hmd 및 그 제어 방법 | |
US9720083B2 (en) | Using sounds for determining a worn state of a wearable computing device | |
US9122321B2 (en) | Collaboration environment using see through displays | |
KR101989893B1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 |
KR20150037254A (ko) | 착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레이어 제어 방법 | |
KR20160145976A (ko) |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EP2789159A1 (en) | Guided image capture | |
KR20140010715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 |
CN103970258B (zh) | 穿戴式电子设备以及显示方法 | |
WO2021103990A1 (zh) | 显示方法、电子设备及系统 | |
CN109496293A (zh) | 扩展内容显示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 |
US20230324711A1 (en) | Intelligent actuated and adjustable glasses nose pad arms | |
US949512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 |
US989803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 |
KR20160016771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
EP31129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 |
WO2018047202A1 (en) | A wearable virtual reality device with wireless display | |
CN104239877A (zh) | 图像处理的方法和图像采集设备 | |
KR2015003199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40129937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
KR20160008918A (ko)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
KR20160008917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
US20140267231A1 (en) | Techniques to improve viewing comfort for three-dimensional con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