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938B1 -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938B1
KR102559938B1 KR1020220050480A KR20220050480A KR102559938B1 KR 102559938 B1 KR102559938 B1 KR 102559938B1 KR 1020220050480 A KR1020220050480 A KR 1020220050480A KR 20220050480 A KR20220050480 A KR 20220050480A KR 102559938 B1 KR102559938 B1 KR 10255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texture
cursor
writing instrument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원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5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938B1/ko
Priority to PCT/KR2023/003631 priority patent/WO20232109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으로서, (1)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AR 글래스 장치에서 생성한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 (2)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는 단계; (3)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4)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따르면,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며,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한 후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착용 중 원격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해 AR 글래스 착용자 간의 원격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AR 글래스 장치의 착용자 간의 음성 전달은 물론, 드로잉 콘텐츠를 통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증강현실 콘텐츠의 드로잉을 화면으로 공유하면서 함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AUGMENTED REALITY TEXTURE DISPLAY METHOD USING WRITING TOOL DEDICATED TO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착용 중 원격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마치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안경처럼 착용하는 형태도 있으나 헤드셋이나 고글처럼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도 있다. 이러한 헤드셋 또는 고글 형태의 AR 또는 VR용 HMD는 머리에 잘 맞게 착용하여야 움직임이 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AR 글래스 이용 시 같은 화면을 눈앞에 띄우고,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기능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AR 글래스를 착용하고, 화상 통화 중 할 수 있는 의사전달 방식은 크게 두 가지(1. 음성, 2. 그림을 통한 시각정보 전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말로 설명이 되지 않을 경우 손으로 그림을 그리게 되는데, AR 글래스에서 보이는 화면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제스쳐를 통한 방법이 일반적이나, 제스쳐로 눈앞에서 그림을 그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첫 번째로 제스쳐를 위해 손을 들어 그림을 그릴 경우 화면이 가려져 정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두 번째로 입력 시작과 끝 역시 제스쳐로 표현해 주어야 하는데 오인식이 빈번하여 제대로 된 그림을 그리기 힘들며, 세 번째로는 제스쳐 인식의 특성상 어떤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로서는 동작하기 용이하지만, 그림을 그려 의사표현을 하기에는 세밀한 인식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일례로, 스마트폰용 펜(ex: 삼성 s펜)을 사용하는 경우는 펜과 디스플레이가 인터렉션 해야 하기 때문에 AR 글래스에 사용하기에는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601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00569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며,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한 후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착용 중 원격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해 AR 글래스 착용자 간의 원격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AR 글래스 장치의 착용자 간의 음성 전달은 물론, 드로잉 콘텐츠를 통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증강현실 콘텐츠의 드로잉을 화면으로 공유하면서 함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은,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으로서,
(1)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AR 글래스 장치에서 생성한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
(2)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는 단계;
(3)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4)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압력 센서의 눌림 감지를 통해 사용자 시야 중앙에 커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기 위해 조작되는 볼펜 커서;
상기 볼펜 커서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는 입력 버튼; 및
상기 볼펜 커서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펜 커서는,
압력센서를 통해 눌림 감지가 가능한 원통형 압력센서와 볼베어링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버튼은,
상기 볼펜 커서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되,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텍스쳐 생성이 시작되고, 텍스쳐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떼면 텍스쳐 입력이 종료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볼펜 커서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상기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AR 글래스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되, 착용자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입력 버튼을 허공에서 두 번 클릭하면 생성된 텍스쳐가 전송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통해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를 전송받아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대상 디바이스에 더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따르면,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며,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한 후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착용 중 원격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해 AR 글래스 착용자 간의 원격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AR 글래스 장치의 착용자 간의 음성 전달은 물론, 드로잉 콘텐츠를 통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증강현실 콘텐츠의 드로잉을 화면으로 공유하면서 함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AR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사용되는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의 텍스쳐 드로잉 및 텍스쳐 전송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의 AR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100)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 및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와 연동하여 생성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가 다른 착용자와 의사소통 시에 그림으로 그려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전용 필기도구의 구성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 및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는 도 2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기 위해 조작되는 볼펜 커서(111)와,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는 입력 버튼(112)과,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볼펜 커서(111)는 압력센서를 통해 눌림 감지가 가능한 원통형 압력센서와 볼베어링의 구조로 구성되고, 입력 버튼(112)은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되,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텍스쳐 생성이 시작되고, 텍스쳐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떼면 텍스쳐 입력이 종료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3)은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AR 글래스 장치(120)는,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와 연동하며,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를 통해 생성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전달받아 다른 사용자들과 의사소통을 위해 전달하는 증강현실 장치이다. 이러한 AR 글래스 장치(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21),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텍스쳐를 생성하기 위한 커서 생성, 텍스쳐 생성 입력, 텍스쳐 생성 종료를 표시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와 연동하는 필기도구 연동부(122),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3),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와 필기도구 연동부(122)와 카메라부(123)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125), 및 통신부(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부(121)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디스플레이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하되, 광학계에 결합해 광학계에 의해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 광을 출력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OLED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디스플레이부(121)의 광학계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되, 착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을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하여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계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착용자가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움직임 감지 센서, 음성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6)는 AR 글래스 장치(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AR 글래스 장치(120)나 다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HMD)나 서버 등과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6)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4/5G(3/4/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은,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S110),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는 단계(S120),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S130), 및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에 사용되는 증강현실용 필기도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의 텍스쳐 드로잉 및 텍스쳐 전송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11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생성한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한다. 이러한 단계 S110에서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의 압력 센서의 눌림 감지를 통해 사용자 시야 중앙에 커서가 생성되도록 한다. 즉, 볼펜 커서(111)를 책상 등 평면에 꾹 누르면 압력센서를 통해 눌림을 감지하여 사용자 시야 중앙에 커서가 생성된다.
또한, 단계 (1)에서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는 도 2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기 위해 조작되는 볼펜 커서(111)와,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는 입력 버튼(112)과,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볼펜 커서(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를 통해 눌림 감지가 가능한 원통형 압력센서와 볼베어링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버튼(112)은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되,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텍스쳐 생성이 시작되고, 텍스쳐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떼면 텍스쳐 입력이 종료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움직이면, 커서가 그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볼펜 커서(111) 내부의 압력 센서를 통해 움직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모듈(113)은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단계 S110을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된다. 즉,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입력 버튼(112)을 눌러 텍스쳐 생성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한다. 즉, 텍스쳐가 생성된 상태에서 입력 버튼(112)을 떼면 입력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된다. 이러한 단계 S14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하되, 착용자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의 입력 버튼(112)을 허공에서 두 번 클릭하면 생성된 텍스쳐가 전송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0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를 통해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를 전송받아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대상 디바이스에 더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대상 다비이스는 AR 글래스 장치, 모니터, 사용자 디바이스(스마트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은,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며,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한 후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AR 글래스 착용 중 원격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증강현실용 필기도구를 이용해 AR 글래스 착용자 간의 원격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AR 글래스 장치의 착용자 간의 음성 전달은 물론, 드로잉 콘텐츠를 통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증강현실 콘텐츠의 드로잉을 화면으로 공유하면서 함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의 사용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장치
110: 증강현실용 필기도구
111: 볼펜 커서
112: 입력 버튼
130: 통신 모듈(블루투스)
120: AR 글래스 장치
121: 광학 디스플레이부
122: 필기도구 연동부
123: 카메라부
124: 제어부
125: 센서부
126: 통신부
S110: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
S120: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는 단계
S130: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S140: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Claims (8)

  1.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으로서,
    (1)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AR 글래스 장치(120)에서 생성한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는 단계;
    (2)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상기 단계 (1)을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는 단계;
    (3)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텍스쳐 생성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4)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를 통해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를 전송받아 통신 중인 다른 통신 대상 디바이스에 더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의 압력 센서의 눌림 감지를 통해 사용자 시야 중앙에 커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는,
    AR 화면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그릴 수 있는 커서를 생성하기 위해 조작되는 볼펜 커서(111);
    상기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는 입력 버튼(112); 및
    상기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커서(111)는,
    압력센서를 통해 눌림 감지가 가능한 원통형 압력센서와 볼베어링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112)은,
    상기 볼펜 커서(111)를 통해 생성된 커서로부터 시작된 움직임으로 텍스쳐가 생성되도록 조작되되, 커서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텍스쳐 생성이 시작되고, 텍스쳐가 생성된 상태에서 버튼을 떼면 텍스쳐 입력이 종료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113)은,
    상기 볼펜 커서(111)로부터 커서가 생성되고, 입력 버튼(112)을 통해 생성된 텍스쳐를 상기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AR 글래스 장치(120)를 착용한 사용자에 의해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가 생성한 증강현실 텍스쳐가 AR 글래스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하되, 착용자가 증강현실용 필기도구(110)의 입력 버튼(112)을 허공에서 두 번 클릭하면 생성된 텍스쳐가 전송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8. 삭제
KR1020220050480A 2022-04-24 2022-04-24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KR10255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480A KR102559938B1 (ko) 2022-04-24 2022-04-24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PCT/KR2023/003631 WO2023210970A1 (ko) 2022-04-24 2023-03-19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480A KR102559938B1 (ko) 2022-04-24 2022-04-24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938B1 true KR102559938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480A KR102559938B1 (ko) 2022-04-24 2022-04-24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9938B1 (ko)
WO (1) WO20232109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456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100957A (ko) * 2016-12-29 2019-08-29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외부 조건들에 기초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동 제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3686B2 (en) * 2007-11-26 2012-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in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haptic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4910B1 (ko) * 2013-02-28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유닛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방법
KR102268797B1 (ko) * 2017-12-28 2021-06-23 엘에스일렉트릭(주)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456A (ko) * 2015-12-01 2017-06-09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100957A (ko) * 2016-12-29 2019-08-29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외부 조건들에 기초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동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70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835B2 (en)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for head-mountable display
EP3533025B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sharing
KR101650919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N104469464B (zh) 图像显示装置、控制图像显示装置的方法、计算机程序以及图像显示系统
EP297255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a head mounted display
CN110830811A (zh) 直播互动方法及装置、系统、终端、存储介质
CN205620608U (zh) 头戴式电子设备
CN109496293B (zh) 扩展内容显示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WO2021147465A1 (zh) 一种图像渲染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2835445B (zh) 虚拟现实场景中的交互方法、装置及系统
US201700038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JP201518817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00283711A1 (en) An integrated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 framed interface theref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20220172440A1 (en) Extended field of view generation for split-rendering for virtual reality streaming
WO2016208881A1 (en)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for head-mountable display
KR2014014141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59938B1 (ko) 증강현실 전용 필기도구를 이용한 증강현실 텍스쳐 전시 방법
JP622938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CN106325378B (zh) 用于虚拟现实中的基于上下文的应用分组的方法和装置
WO2023001113A1 (zh) 一种显示方法与电子设备
CN111178306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82823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表示を共有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11258482B (zh) 信息分享方法、头戴式设备及介质
JP2015064476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を制御する方法
CN209859042U (zh) 可穿戴式控制设备和虚拟/增强现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