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458A -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458A
KR20240055458A KR1020220135755A KR20220135755A KR20240055458A KR 20240055458 A KR20240055458 A KR 20240055458A KR 1020220135755 A KR1020220135755 A KR 1020220135755A KR 20220135755 A KR20220135755 A KR 20220135755A KR 20240055458 A KR20240055458 A KR 2024005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vator car
elevator
disposed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이예찬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에어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어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458A/ko
Publication of KR2024005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용주택이나 병원 등의 공용구간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탑승객의 탑승 중에 엘리베이터 내의 내부 공기 청정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손이 주로 닿는 부위인 버튼이 마련된 조작판이나 핸드레일측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의 하부측에 흡입팬의 흡입력이 제공되는 공기 흡입구를 마련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동작과 연계동작되어 탑승객의 엘리베이터 내 탑승전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으로 미세먼지 및 감염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AIR PURIFYING AND STERILIZING SYSTEM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용주택이나 병원 등의 공용구간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탑승객의 탑승 중에 엘리베이터 내의 내부 공기 청정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손이 주로 닿는 부위인 버튼이 마련된 조작판이나 핸드레일측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의 하부측에 흡입팬의 흡입력이 제공되는 공기 흡입구를 마련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동작과 연계동작되어 탑승객의 엘리베이터 내 탑승 전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으로 미세먼지 및 감염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주택용 건축물은 고층화 및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이용자와 각종 화물을 간편하게 수직 이동시키기 위해 6층 이상의 건축물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이용목적에 따라 승객용과 화물용으로 구분되며, 아파트에서부터 사무용 빌딩, 백화점, 상업용 건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밀폐된 공간에서 다수의 이용자들이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확산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중소 병원의 경우에는 각종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와 간병인이나 일반인이 분리되지 않고 혼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확산에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car)에 대해 정기적으로 청소와 소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실시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청소나 소독은 층별 버튼 등과 같이 이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방식은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오히려 이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이동통로인 승강로는 운행 안전상 밀폐된 공간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의 유입과 공기 순환이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건축시공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된 먼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쉽게 축적되어 있어 환기시 정화되지 않고 그대로 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오히려 이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감염 확산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7856호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시스템"(공개일자: 2022.05.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기팬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공기를 순화시키면서 필터모듈과 살균모듈을 이용하여 순환되는 내부공기를 살균, 탈취 및 정화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0129호 "엘리베이터 스마트 공기살균기"(등록일자 : 2017.10.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은 유동공간 및 고정공간에 부유 및 부착하고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 오염 물질을 실내에 설치된 살균 시스템을 통해서 플라즈마 이온 및 자외선 살균 및 이산화티탄에 의해 발생하는 Hydroxy Radical에 의해서 오염균을 사멸하고 미세한 입도의 Virus 까지 정화할 수 있도록, 원통형 탑 커버는 엘리베이터 바닥, 벽 또는 천정에 안착 또는 부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결합되는 덮개판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UV 램프; 저온하에서도 휘발성 화합 물질의 분해율이 높고 고효율 항균 기능을 가지고 있는 Photo-caltalyst Filter(광촉매 필터); 부직포, HEPA, 카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복합 Filter; 플라즈마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9596호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등록일자 : 2020.10.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명, 공조 장치가 내장된 UV 살균 천장(UV Sterilizer ceiling); 원하는 목적층까지 안내 및 운전하는 제어 패널(Control Operate Panel): 손잡이 역할 및 벽면을 보호하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UV 살균 천장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살균하고, 접촉-Catalytic 원리를 사용하는 광촉매 기능을 갖고, 자외선 살균 램프와 플라즈마 살균이온모듈을 제어하는 PLC 제어부는 전원이 미리 인가되어 예열되도록, 일정시간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위상 제어 방식으로 자외선과 플라즈마 생성이 완료된 시점 사이에 일정 시간동안 통풍용 인버터 모터를 온 시키며, 살균이 완료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서 전원을 오프시키며, 상기 PLC 제어부는 위상 제어부의 위상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통풍용 인버터 모터를 위상 제어 방식에 따라 살균 시작 또는 완료 시점 보다 일정 시간 전/후에 온/오프 동작시킴으로써 시간적 변화에 따라 통풍용 인버터 모터의 회전수를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LC 제어부는 살균 장치의 통풍용 인버터 모터들의 최대 출력값을 다단계로 제한하고, 전력량을 조정하여, 통풍용 인버터 모터를 일정 단계로 제어하는 TPR(Thyristor Power Regulator)를 사용하고, 상기 통풍용 인버터 모터들은 핸드레일 방향으로 향해 있어 살균체들이 바람을 따라 특정 부위를 집중하여 살균을 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방향 전환 통풍용 인버터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사람을 인식하는 센서를 통해 제어부가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 존재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살균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장치는 특정 시간대에 따라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청정시키거나 살균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탑승객의 신체 또는 의복에 묻어 있는 미세먼지나 병원 감염균을 엘리베이터 내부로 탑승하기 전에 처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핸드레일 및 조작판 버튼 등의 탑승객의 신체 부위가 접하는 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살균 기능이 미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정시간대의 공기 청정 및 살균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탑승객의 탑승 여부에 따라 공기 청정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7856호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시스템"(공개일자: 2022.05.2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0129호 "엘리베이터 스마트 공기살균기"(등록일자 : 2017.10.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9596호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등록일자 : 2020.10.1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파트 등과 같은 공용주택이나 병원 등의 공용구간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탑승객의 탑승 중에 엘리베이터 내의 내부 공기 청정 및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손이 주로 닿는 부위인 버튼이 마련된 조작판이나 핸드레일측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을 제공하고 엘리베이터의 하부측에 흡입팬의 흡입력이 제공되는 공기 흡입구를 마련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을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방동작과 연계동작되어 탑승객의 엘리베이터 내 탑승 전에 자외선 조사 및 공기청정기의 송풍력으로 미세먼지 및 감염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차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외기흡입관이 연결되며 타측에 제1,2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공기살균 교환기와; 상기 승강기 차의 내측 천정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기 공급관을 통해 청정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와; 상기 제1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 및 분배관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와; 상기 승강기 차의 하부에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측으로 공급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승강기 차의 좌,우측 도어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및 상기 좌,우측 도어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램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 차는 상기 제1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승강기 차의 내벽에 마련된 핸드레일의 내부로 연결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압송된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로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과, 상기 핸드레일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램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승강기 차는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기관을 통해 압송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의 조작판측으로 분사하는 제3분사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3자외선램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는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전열교환유니트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 및 상기 전열교환유니트와 프리카본헤파필터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자외선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승강기 차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승강기 차의 내부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승강기 차 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측으로 공급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 차는 상기 좌,우측 도어의 대향면에 배치되고 승강기 차의 내부로 탑승하는 탑승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1센서와,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과 연계되어 상기 승강기 차의 위치가 1층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승강기 차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제2센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차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외기흡입관이 연결되며 타측에 제1,2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공기살균 교환기와; 상기 승강기 차의 내측 천정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기공급관을 통해 청정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와; 상기 승강기 차의 하부에 상기 승강기 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측으로 공급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승강기 차의 좌,우측 도어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및 상기 좌,우측 도어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는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커버에 결합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와,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 및 분배관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 및 내부 양측에 배치되고 자외선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동작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엘리베이터 승강기 차의 외부와 내부를 따라 공기를 정화시키고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제2공기공급관과 공기 디퓨저를 이용하여 승강기 차 내부에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2,3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공기공급관과 에어펌프모터를 이용하여 펌프 압력으로 압송된 청정 공기를 승강기 차의 내부로 좌,우측 도어와 핸드레일 및 조작판측으로 분사하여 탑승객의 신체나 의복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차의 하부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수단의 흡입팬으로 흡입하여 외기흡입관을 통해 공기살균 교환기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기를 살균하고 필터링함으로써, 청정 공기를 다시 승강기 차의 내부로 재공급하여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에게 쾌적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살균 교환기의 내부에 광플라즈마(UV-Plasma)와 UV-C 및 광촉매필터가 구비된 살균모듈이 구비되고 프리카본헤파필터 및 전열교환기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및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및 청정 기능을 제공하고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공기살균 교환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핸드레일과 조작판에 마련된 제2,3분사노즐 및 제2,3자외선 램프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좌,우측 도어의 개방시 탑승하는 탑승객에게 자외선 및 송풍을 제공하는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공기살균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차(10)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외기흡입관(450)이 연결되며 타측에 제1,2공기공급관(310,370)이 연결되는 공기살균 교환기(1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측 천정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기공급관(370)을 통해 청정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200)와;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분기관(320,330)과 제2분기관(340) 및 분배관(350)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3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는 흡입수단(400)과; 상기 승강기 차(10)의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기관(320,33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10)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510); 및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램프(6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기 차(10)는 상부에 마련된 공기살균 교환기(100)에서 필터링된 청정 공기가 승강기 차(10)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1분기관(320,330)을 통해 제공되고, 하부에 마련된 흡입수단(400)을 이용하여 승강기 차(10)의 내부에 있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도록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승강기 차(10)는 좌,우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좌,우측 도어(15)가 마련되고, 내측 벽에 층 선택 버튼이 마련되는 조작판(30)이 배치되며, 내측벽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인 핸드레일(20)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기 차(10)는 내부 천정에 상기 승강기 차(10)의 공기 순환 구조를 위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로부터 전달된 청정 공기를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200)가 마련된다.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로 복수의 제1분사노즐(510)과 제1자외선램프(610)가 번갈아 배치되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청정 공기를 송풍하도록 분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탑승객의 신체나 의복에 묻어있는 먼지를 털어내고 병원 감염균을 살균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기 차(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벽에 마련된 핸드레일(20)의 내부로 연결되는 분배관(350)과, 상기 분배관(350)으로부터 압송된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520)과, 상기 핸드레일(20)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램프(6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분배관(350)은 상기 에어펌프모터(300)로부터 압송된 청정 공기가 공급되며, 복수의 제2분사노즐(520)측으로 상기 압송된 청정 공기를 분배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2분사노즐(520)은 탑승객의 손이 자주 접촉되는 핸드레일(2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상기 압송된 청정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송풍하고, 상기 제2자외선램프(620)는 상기 제2분사노즐(520)과 번갈아 복수개로 배치되어 승강기 차(10)에 탑승한 탑승객의 손을 포함한 신체 부위와 의복에 묻어 있는 전염병 바이러스 등의 병원 감염균을 자외선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승강기 차(10)는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케이스(650)와, 상기 케이스(6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기관(340)을 통해 압송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의 조작판(30)측으로 분사하는 제3분사노즐(530)과, 상기 케이스(6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3자외선램프(6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전열교환유니트(15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5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110), 및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50)와 프리카본헤파필터(110) 사이에 에어포켓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고 자외선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120)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모듈(120)은 광플라즈마(UV-Plasma)와 UV-C 및 광촉매필터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UV-C는 파장에 따라 A,B,C로 구분되는 자외선 중 거의 모든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박멸할 수 있는 가장 살균력이 강한 C 파장의 자외선 살균기를 채택한 것이다.
상기 프리카본헤파필터(110)는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공급되는 외기에 함유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흡입수단(400)은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승강기 차(10)의 내부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흡입구(410)와, 상기 흡입구(410)를 통해 흡입되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는 흡입팬(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 차(10)는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대향면에 배치되고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탑승하는 탑승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제1센서(710)와,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30)과 연계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위치가 1층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승강기 차(10)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제2센서(7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50)는 상기 제1센서(710)로부터 감지된 탑승객의 탑승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2센서(720)로부터 감지된 상기 승강기 차(10)의 위치정보를 제공 받은 후에, 이를 근거로 상기 에어펌프모터(300), 제1,2,3자외선램프(610,620,630), 흡입수단(400) 및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50)는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수단들(에어펌프모터(300), 제1,2,3자외선램프(610,620,630) 등)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위치가 1층에 도달할 경우 공기 청정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각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차(10)의 외부 천정 상부에 마련된 공기살균 교환기(100)에서 필터링된 청정 공기가 에어펌프모터(300)를 통해 압송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1,2분기관(320,330)(340) 및 분배관(350)을 통해 제공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마련된 흡입수단(400)을 이용하여 승강기 차(10)의 내부 바닥에 있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도록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모터(300)는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의 타측에 연결된 제1공기공급관(3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기가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에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에어펌프모터(300)측으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320,330)(340) 및 분배관(350)측으로 압송하게 된다.
상기 제1분기관(320,330)은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제1분사노즐(510)측으로 청정 공기를 압송 및 분배하게 되고, 상기 분배관(350)은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압송 청정 공기를 핸드레일(20)측의 제2분사노즐(520)측으로 청정 공기를 압송 및 분배하게 되며, 상기 제2분기관(340)은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압송 청정 공기를 상기 케이스(650)의 제3분사노즐(530)측으로 청정 공기를 압송 및 분배하게 된다.
상기 제1,2,3분사노즐(510,520,530)은 상기 좌,우측 도어(15)와 핸드레일(20) 및 케이스(650)에 배치되어 탑승객의 신체 및 의복에 묻어 있는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상기 흡입수단(400)은 상기 제1,2,3분사노즐(510,520,530)을 통해 제거되어 승강기 차(10)의 바닥에 잔존하게 되는 미세 먼지등의 이물질을 흡입팬(420)의 흡입력으로 흡입구(410)와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디퓨저(200)는 상기 제2공기공급관(37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승강기 차(10)의 내부 천정에서 하측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기 차(10)의 상,하 승강동작되더라도 승강기 차(10)의 승강동작에 상관없이 청정 공기를 공기 디퓨저(200)를 통해 공급하고, 에어펌프모터(300)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제1,2,3분사노즐(510,520,530)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탑승객의 신체 및 의복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낸 후에, 상기 흡입수단(400)을 통해 승강기 차(1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다시 공급하여 필터링하는 공기 순환방식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3자외선램프(610,620,630)는 좌,우측 도어(15)와 핸드레일(20) 및 케이스(650)에 배치되어 탑승객측으로 자외선으로 조사하거나, 탑승객의 신체가 자주 접하는 핸드레일(20) 및 조작판(30)의 버튼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탑승객 및 승강기 차(10)의 내부 설비에도 살균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공기살균 교환기(100)와 에어펌프모터(300)의 배치구조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요소인 공기 디퓨저(200), 제1공기공급관(310) 제1분기관(320,330),제2분기관(340). 분배관(350), 제2공기공급관(370), 흡입수단(400), 제1,2,3분사노즐(510,520,530), 제1,2,3자외선램프(610,620,630), 제1,2센서(710,720), 및 제어부(750)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는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커버에 결합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110)와,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320,330)(340) 및 분배관(350)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300), 및 내부 양측에 배치되고 자외선 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리카본헤파필터(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의 흡입이 가능한 커버(115)의 하측에 카본필터(112)와 헤파필터(114)가 일체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복수의 에어펌프모터(300)가 공기살균 교환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상측의 커버(115) 하측에 카본 및 헤파필터가 일체형의 프리카본헤파필터(110)로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엘리베이터 승강기 차(10) 내의 공기살균 및 청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동작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엘리베이터 승강기 차(10)의 외부와 내부를 따라 공기를 정화시키고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제2공기공급관(370)과 공기 디퓨저(200)를 이용하여 승강기 차(10) 내부에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2,3자외선램프(610,620,630)를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공기공급관(310)과 에어펌프모터(300)를 이용하여 펌프 압력으로 압송된 청정 공기를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좌,우측 도어(15)와 핸드레일(20) 및 조작판(30)측으로 분사하여 탑승객의 신체나 의복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털어내어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수단(400)의 흡입팬(420)으로 흡입하여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공기를 살균하고 필터링함으로써, 청정 공기를 다시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재공급하여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에게 쾌적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살균 교환기(100)의 내부에 광플라즈마(UV-Plasma)와 UV-C 및 광촉매필터가 구비된 살균모듈(120)이 구비되고 프리카본헤파필터(110) 및 전열교환기(10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및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및 청정 기능을 제공하고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승강기 차 15 : 좌,우측 도어
20 : 핸드레일 30 : 조작판
100 : 공기살균 교환기
110 : 프리카본헤파필터 120 : 살균모듈
150 : 전열교환유니트 200 : 공기 디퓨저
300 : 에어펌프모터 310 : 제1공기공급관
320,330 : 제1분기관 340 : 제2분기관
350 : 분배관 370 : 제2공기공급관
400 : 흡입수단 410 : 흡입구
420 : 흡입팬 450 : 외기흡입관
510,520,530 : 제1,2,3분사노즐
610,620,630 : 제1,2,3자외선램프
710,720 : 제1,2센서 750 : 제어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차(10)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외기흡입관(450)이 연결되며 타측에 제1,2공기공급관(310,370)이 연결되는 공기살균 교환기(1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측 천정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기공급관(370)을 통해 청정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200)와;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320,330)(340) 및 분배관(350)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3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는 흡입수단(400);
    상기 승강기 차(10)의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기관(320,33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10)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510); 및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램프(6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차(10)는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벽에 마련된 핸드레일(20)의 내부로 연결되는 분배관(350)과,
    상기 분배관(350)으로부터 압송된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520)과,
    상기 핸드레일(20)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램프(6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차(10)는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케이스(650)와,
    상기 케이스(6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분기관(340)을 통해 압송 공급되는 공기를 하측의 조작판(30)측으로 분사하는 제3분사노즐(530)과,
    상기 케이스(6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부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3자외선램프(6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는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전열교환유니트(150)와,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5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110), 및
    상기 전열교환유니트(150)와 프리카본헤파필터(11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자외선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400)은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승강기 차(10)의 내부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흡입구(410)와,
    상기 흡입구(410)를 통해 흡입되는 승강기 차(10) 내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는 흡입팬(4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차(10)는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대향면에 배치되고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탑승하는 탑승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제1센서(710)와, 층 선택버튼이 마련된 조작판(30)과 연계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위치가 1층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승강기 차(10)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제2센서(7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7.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차(10)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에 외기흡입관(450)이 연결되며 타측에 제1,2공기공급관(310,370)이 연결되는 공기살균 교환기(1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측 천정에 마련되고 상기 제2공기공급관(370)을 통해 청정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디퓨저(200)와;
    상기 승강기 차(10)의 하부에 상기 승강기 차(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기흡입관(450)을 통해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측으로 공급하는 흡입수단(400);
    상기 승강기 차(10)의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분기관(320,33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상기 승강기 차(10) 내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향해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510); 및
    상기 좌,우측 도어(15)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램프(610);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살균 교환기(100)는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커버에 결합되는 프리카본헤파필터와, 내부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제1,2분기관(320,330)(340) 및 분배관(350)측으로 압송하는 에어펌프모터(300), 및 내부 양측에 배치되고 자외선램프와 광촉매를 구비하여 자외선과 소프트 플라즈마 방출로 살균하는 살균모듈(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KR1020220135755A 2022-10-20 2022-10-20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KR20240055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55A KR20240055458A (ko) 2022-10-20 2022-10-20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55A KR20240055458A (ko) 2022-10-20 2022-10-20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458A true KR20240055458A (ko) 2024-04-29

Family

ID=908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755A KR20240055458A (ko) 2022-10-20 2022-10-20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4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29B1 (ko) 2015-11-05 2017-10-26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엘리베이터 스마트 공기살균기
KR102169596B1 (ko) 2017-11-27 2020-10-23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KR20220067856A (ko) 2020-11-18 2022-05-25 장종철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29B1 (ko) 2015-11-05 2017-10-26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엘리베이터 스마트 공기살균기
KR102169596B1 (ko) 2017-11-27 2020-10-23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KR20220067856A (ko) 2020-11-18 2022-05-25 장종철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HUT74543A (en) Cleaning arrangement including filters and ultraviolet radiation
KR10078995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KR20190134152A (ko) 인체 감지형 공기 제균 시스템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US20220125967A1 (en) Indoor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uv-c led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KR200451416Y1 (ko) 살균 탈취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KR101251421B1 (ko) 차량의 객실 살균장치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102265910B1 (ko) 건식 광촉매 에어샤워 살균 부스
KR101083478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CN211953092U (zh) 公共卫生间的单个隔间空气净化消毒系统
KR100821511B1 (ko) 다기능 출입구용 신발털이장치
KR20240055458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 청정 및 살균시스템
JP2005106296A (ja) 空調システム
KR20190134151A (ko)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KR102277275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KR102205455B1 (ko) 흡기구 겸용 핸드레일 및 층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80073472A (ko)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