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952A -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952A
KR20240054952A KR1020240052866A KR20240052866A KR20240054952A KR 20240054952 A KR20240054952 A KR 20240054952A KR 1020240052866 A KR1020240052866 A KR 1020240052866A KR 20240052866 A KR20240052866 A KR 20240052866A KR 20240054952 A KR20240054952 A KR 2024005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ght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일
최정민
김현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이트
Publication of KR2024005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8Grouping of control procedures or address assignation to light sources
    • H05B47/1985Creation of lighting zones or sc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연연출시스템은 연출장면별로 발광 관련 동작이 정의된 데이터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콘솔장치; 상기 제어콘솔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및 상기 송출되는 발광제어 신호 중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METHOD FOR PERFORMANCE DIRECTING AND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또는 조명장치)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 굴절 및 투과시켜서 조명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발광 장치를 의미한다. 발광장치는 배광에 따라 간접 발광장치, 반간접 발광장치, 전반확산 발광장치, 반직접 발광장치 및 직접 발광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발광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발광장치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ηade)를 연출하는데 사용된다. 미디어 파사드란 건물 외벽 등에 발광장치를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예로, 발광장치는 일정 조도 이하의 환경에서 진행되는 운동 경기나 콘서트 등에서 소형 응원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복수의 조명기구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조명 패턴이나 형상을 생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발광장치에 배치된 광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기대만큼의 응원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또한, 사용 가능한 무선 대역폭의 한계로 많은 수의 발광장치를 통해 체계적인 조명 패턴이나 형상을 생성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운동 경기나 콘서트 등과 같이 공연장의 경우, 매번 새로운 연출을 기대하게 되는데, 공연장의 대부분의 자리는 좌석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다른 공간에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파사드를 연출하기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발광장치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를 통해서 운동 경기나 콘서트 등과 같은 공연장에서 다양한 공연연출을 할 수 있는 방안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93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한된 무선 대역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하나의 발광장치를 비트맵에서의 하나의 픽셀인 것으로 지정하고, 비트맵에서의 픽셀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레이어를 이용한 공연 연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제어콘솔장치에서 발광장치로 데이터패킷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발광장치의 발광 상태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공연연출시스템은, 연출장면별로 발광 관련 동작이 정의된 데이터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콘솔장치; 상기 제어콘솔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 및 상기 송출되는 발광제어 신호 중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무선 대역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가 사용할 무선 대역폭을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는, 특정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 정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장치의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도록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는, 범용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와 관계없이, 수신되는 모든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연산자 및 연산계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는, 상기 연산자 및 상기 연산계수를 기초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 미리 저장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발광장치의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공연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연 식별정보는 소속사, 공연주관사, 공연일자 및 공연회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은, 제어콘솔장치에서, 연출장면별로 발광 관련 동작이 정의된 데이터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서, 상기 제어콘솔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에서, 상기 송출되는 발광제어 신호 중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발광장치의 개별 제어에 비해 효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제어 신호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보다 많은 수의 발광장치를 실시간으로 동시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발광장치의 발광 상태를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연출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연출 장면 및 발광 효과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하나의 발광장치를 비트맵에서의 하나의 픽셀인 것으로 지정하고, 비트맵에서의 픽셀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발광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연출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시에 제어콘솔장치에서 발광장치로 데이터패킷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발광장치의 발광 상태를 실시간으로 변경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연출장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에서의 공연 연출 시에 제어콘솔장치에서 발광장치로 데이터패킷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발광장치의 발광 상태를 실시간으로 변경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연출장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출장면을 제공할 때, 복수의 레이어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의 발광색상값 간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각 발광장치가 최종적으로 발광하는 색상이 보다 다양한 표현으로 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한 공연연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한 공연연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의 관객석 상에 연출되는 공연연출효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콘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설명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공연연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에 저장되는 컬러의 번호정보별 컬러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장치에 저장되는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에 대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의 관객석 상에 연출되는 공연연출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콘솔장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패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에 의한 제1 연출장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에 의한 제2 연출장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를 통해 공연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제어를 통해 공연 장면을 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제어를 위한 데이터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조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에 따른 발광 색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탑 레이어 변경정보가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도 21의 탑 레이어 변경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레이어별 발광색상값, 마스킹값 및 투명도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1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도 24a 내지 도 24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0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도 26a 내지 도 26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1 또는 0으로 각각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도 28a 내지 도 28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엘리먼트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클래스 엘리먼트들 및 태스크 엘리먼트들과 같은 엘리먼트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엘리먼트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엘리먼트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든 “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부”가 수행하는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기능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 또는 '모듈' 등으로 지칭될 수 있는 블록은 논리 게이트,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메모리, 수동 전자 부품, 능동 전자 부품, 광학 컴포넌트,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s) 등과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고, 선택적으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한 공연연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한 시스템(1, 이하 공연연출시스템이라 함)은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a, 20b, …20n, 이하 20) 및 발광장치(300a_a, …300a_n, 300b_a, …300b_n,…300n_a, ..., 300n_n, 이하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연연출시스템(1)은 제어콘솔장치(10)가 발광장치(30)의 발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공연장의 관객석에서의 응원 등과 같은 공연연출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발광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장은 운동경기장이나 콘서트장 등과 같은 공연장을 말하는 것으로, 실제 운동경기나 콘서트 등의 공연이 수행되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연출시스템(1)은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연출시스템(1)은 공연에 대한 연출장면 별로 발광 동작을 위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콘솔장치(10),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패킷을 발광장치(30)로 전송하는 송신기(20) 및 상기 송신기(20)를 통해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발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발광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해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와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MA Lighting grandMA2, grandMA3, ETC EOS, ETC ION, ETC GIO, Chroma Q Vista, High End HOG, High End Fullboar, Avolites Sapphire Avolites Tiger, Chamsys MagicQ, Obsidian control systems Onyx, Martin M6, Martin M1, Nicolaudie Sunlite, ESA, ESA2, Lumidesk, SunSuite, Arcolis, Daslight, LightRider, MADRIX, DJ LIGHT STUDIO, DISCO-DESIGNER VJ STUDIO, Stagecraft, Lightkey 등과 같은 전자 장치 및 PC용 소프트웨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신기(20)는 안테나와 같은 통신 장치로서,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발광제어 신호를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20)가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발광장치(30)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발광장치(30)로 상기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발광장치(30)는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송신기(20)는 제어콘솔장치(10)와 별개의 장치로 개시되어있으나, 제어콘솔장치(10)는 송신기(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콘솔장치(10)는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기(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고, 발광장치(30)는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의 제어를 가능케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나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프로토콜은 DMX512, RDM, Art-Net, sACN, ETC-Net2, Pathport, Shownet 또는 KiN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DMX512, Art-Net, sACN, ETC-Net2, Pathport, Shownet 또는 KiNET 등과 같은 적절한 포맷으로 데이터신호(예를 들어,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해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 발광제어 신호는 발광장치(30)로 전송되어 하나 이상의 발광장치가 발광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발광제어 신호는 발광상태(예컨대, 발광색상, 밝기값, 깜빡임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을 위한 공연연출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에서 생성된 발광 제어 신호는 마스터장치(15)를 통해 송신기(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장치(15)가 발광제어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한 무선신호를 송신기(20)로 전달하고, 송신기(20)는 무선통신(예컨대, RF 통신 등)을 이용하여 공연장 내 발광장치(30)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발광장치(30)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형태로 제어데이터를 변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장치(15)는 생략될 수 있으며, 제어콘솔장치(10)가 직접 송신기(20)로 발광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송신기(20)가 발광제어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발광장치(30)로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복수의 입/출력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특정한 데이터신호 포맷 또는 프로토콜에 대응하거나 관계되는 입/출력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콘솔장치(10)는 DMX512, RDM 데이터 입/출력을 전용으로 하는 제1 포트와 Art-Net 및 sACN, ETC-Net2, Pathport, Shownet, KiNET 데이터 입/출력을 전용으로 하는 제2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DMX512, RDM, Art-Net, sACN, ETC-Net2, Pathport, Shownet 및 KiNET 프로토콜은 무대조명 설비용 제어 프로토콜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DMX512, RDM, Art-Net, sACN, ETC-Net2, Pathport, Shownet 및 KiNET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발광장치(30)에 대한 좀 더 유연한 제어기획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발광장치(30)는 제어콘솔장치(10)에 의해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제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발광 패턴을 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광장치(30)는 LCD, LED 등의 발광 소자/장치를 포함하거나, 발광 소자/장치가 연결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운동 경기장이나 콘서트 등과 같은 공연장에서 관객이 소지하는 소형 응원용 도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발광장치(30)는 핸드폰, 무선 응원봉, 라이팅 스틱(stick), 라이팅 바(bar), 라이팅 볼(ball), 라이팅 패널(panel) 및 무선으로 제어가능한 광원이 부착된 기구물 등이 이에 해당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광장치(30)는 라이팅 디바이스, 수신기, 피제어장치, 슬레이브, 슬레이브 조명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장치(30)는 손목, 가슴 등 신체의 일부에 부착 및/또는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광장치(30)는 미리저장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송신기(20)로부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장치(30)는 미리저장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와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 양자가 동일한 경우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세트(40a)에 포함된 발광장치는 송신기(20a)로부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 세트(40b)에 포함된 발광장치는 송신기(20b)로부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 세트(40n)에 포함된 발광장치는 송신기(20n)로부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세트(40a, 40b, …40n, 이하 40)은 동일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개수는 세트마다 상이할 수 있다. 세트(40)는 발광장치(30)가 좌석에 위치할 것을 가정한 상태로 공연기획자가 의도에 따라 공연장의 좌석정보에 기초하여, 구역별, 영역별로 나눈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세트(40)는 각 좌석에 표시된 좌석 정보 중 가장 큰 단위인 A구역, B구역 등을 나타내는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공연기획자는 하나의 구역 내에서도 제어 영역을 세트로 나누어 서로 다른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를 서로 다른 송신기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기(20)는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질 수 있다. 공연 기획자는 해당 공연에서 사용되는 송신기의 스펙을 고려하여 공연기획단계에서 송신기(2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자신에게 미리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기(20)로부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송신기의 식별정보는 송신기의 ID뿐만 아니라, 특정 발광장치가 수신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정 송신기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예를 들어, 문자, 키워드 및 문장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그룹제어 방식으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 송신기(2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연출 장면들에 대해 각각이 담당하는 제어 그룹들의 범위 정보를 식별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장치(30)는 수신된 장면과 대응되는 자신의 그룹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자신의 그룹 정보가 식별정보로서 전송된 그룹들의 범위내에 포함되는지를 계산함으로써 해당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기는 1번 장면에서 1번 내지 100번 그룹을 제어한다는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송신기는 1번 장면에서 101번 내지 300번 그룹을 제어한다는 정보를 식별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기 및 상기 제2 송신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 특정 발광장치가 그룹 제어 시 1번 장면에서 105번 그룹에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제2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전송되는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산함으로써 어느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룹 제어와 유사하게, 비트맵 제어 방식으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라면, 송신기(2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연출 장면들에 대해 각각이 담당하는 집합들의 범위 정보를 식별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장치(30)는 수신된 장면과 대응되는 자신의 집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자신의 집합 정보가 식별정보로서 전송된 집합들의 범위내에 포함되는지를 계산함으로써 해당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레이어 제어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룹제어, 비트맵 제어, 레이어 제어에 대하여는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D와 같은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의 관객석 상에 연출되는 공연연출효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연연출시스템(1)은 공연장 내의 각 좌석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장치(30)를 이용하여 공연연출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발광제어 신호는 제어콘솔장치(10)에서 생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 마스터장치(15) 또는 외부 서버)에서 생성되어 제어콘솔장치(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어콘솔장치(10)가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연출데이터를 사전에 다른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른 저장 매체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 중에 실시간으로 공연연출데이터를 제공받아 그에 상응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 시간 동안 연출되는 장면별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연연출데이터는 장면별로 아래에 설명할 그룹제어, 픽쳐제어, 비트맵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는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 시간 동안 발광장치(30)를 이용하여 연출할 연출 장면(씬; scene)을 생성하며, 이때 연출 장면에 따라서 공연연출 구간별로 연출 장면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연연출 구간(예: 제1 시간)에서는 제1 연출 장면(예: 제1 씬)을 생성하고, 제2 공연연출 구간(예: 제2 시간)에서는 제2 연출 장면(예: 제2 씬)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장 내 관객석이 구성된 경우, 제1 공연연출 구간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특정 텍스트와 함께 관객석의 좌석별로 상이한 발광색상으로 표시되는 제1 연출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연연출 구간에서는 제1 연출 장면과는 상이한 장면으로 예컨대 특정 도형 및 문양으로 표시되는 등의 제2 연출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생성장치는 발광장치(30)를 그룹제어 하는 경우, 공연연출 구간별로 생성한 각 연출 장면을 바탕으로 공연장의 관객석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한 복수의 그룹에 대한 그룹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연연출 구간에서 연출될 제1 연출 장면에 유사하거나 동일한 발광 형태로 그룹핑될 수 있는 그룹 단위가 복수 개일 경우, 공연장의 관객석을 그룹 단위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영역을 각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공연연출 구간의 제1 연출 장면에는 복수 개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특정한 텍스트로 표시된 관객석의 좌석들을 제1 그룹(210)으로 지정하고, 관객석 내 서로 동일한 발광색상으로 연출되는 좌석들을 구별하여 각각 제2 내지 제5 그룹(220, 230, 240, 250)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특정한 텍스트로 표시된 연출효과는 그룹제어 뿐만이 아닌 비트맵 제어, 픽쳐제어 및/또는 레이어 제어에 의한 효과일 수 있다.
상기 비트맵 제어에 대하여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레이어 제어에 대하여는 도 14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그룹제어는 동일한 발광색으로 발광하는 모든 발광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설명된 그룹제어 방식은 발광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발광제어 신호가 그룹제어를 위한 신호만으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광제어 신호는 발광장치(30)를 픽쳐제어, 비트맵 제어 또는 레이어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쳐제어는 발광장치(30) 각각이 공연연출 장면별로 미리 저장하고 있는 발광색에 기초하여, 발광제어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장면별로 발광하는 제어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발광장치는 제1 연출 장면에서는 빨강색, 제2 연출 장면에서는 초록색으로 발광하도록, 장면별로 미리 각각의 발광 및 제어소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Red, Green, Blue, White, Amber 등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제어에서는 장면별로 발광장치(30) 각각이 자신이 속한 그룹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반면, 픽쳐제어에서는 장면별로 발광장치(30) 각각이 자신의 발광색 자체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비트맵 제어는 그룹제어와 유사하게 발광장치(30) 각각이 자신이 속한 집합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연속된 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제어에서는 연속되지 않은 좌석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가 동일한 색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반면, 비트맵 제어에서는 연속된 좌석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가 동일한 색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콘솔장치(10)는 그룹제어, 비트맵 제어, 레이더 제어 및 픽쳐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발광장치(30)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도 2와 같이 공연장에 텍스트가 표시되거나, 다양한 연출효과가 구현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생성장치의 동작은 제어콘솔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콘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제어콘솔장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제어콘솔장치(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10)는, 송신기(20) 또는 관객이 소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미도시) 또는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콘솔장치(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캐시, 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있고, 프로세서(130) 또는 데이터생성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120)는 데이터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공연연출데이터를 저장할245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공연연출 구간에서 각 장면의 연출 장면과 대응되는 발광제어 신호(데이터패킷)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제어콘솔장치(10)의 모든 동작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 또는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공연장에서 공연연출시스템(1)을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과정 및 발광장치(30)의 구성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장치(3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발광부(330) 및 프로세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발광장치(3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발광장치(3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310)는,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또는 관객이 소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발광장치(3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RF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이동통신 기술에 따르면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무선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USB, IEEE1394, Ethernet,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RS232, RS422, RS485,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 동축케이블통신(Coaxial Cable Communication)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 제어콘솔장치(10), 마스터장치(150) 및 송신기(20)는 유선 통신(예를 들어, 이더넷)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20)는 발광장치(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로컬 저장 매체이다. 메모리(320)는 발광장치(30)에서 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발광장치(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발광장치(3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340)에 의하여 상기 발광장치(3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리(320)는 발광장치(3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메모리(32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메모리(320)에 모든 인스트럭션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장치(30)는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30)는 그룹제어, 픽쳐제어, 레이어 제어 및 비트맵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장치(30)가 제어되도록 제어관련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관련 정보는 그룹제어, 픽쳐제어, 레이어 제어 및 비트맵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장치(30)가 제어되기 위해 메모리(320)에 필수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그룹 제어를 위한 장면별 그룹 정보, 비트맵 제어를 위한 장면별 집합 정보, 장면별 발광정보 및 송신기의 식별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관객이 소지한 티켓의 좌석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수많은 인파가 공연장에 집합함에 따라 특정 발광장치는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하기 위한 제어관련 정보를 올바르게 저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발광장치는 올바른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하기까지 제어콘솔장치(10)에서 개별제어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특정 발광장치만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기(2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가 저장하는 티켓의 좌석정보는 티켓에 표시된 좌석정보(예를 들어, A열 1번 좌석), 공연장 좌석들 중 해당 좌석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해당 좌석의 헨 정보) 및 해당 좌석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공연연출데이터 생성시 5만석의 좌석중 가장 왼쪽 상단에 위치한 좌석은 '1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관련 정보는 발광장치(30)의 생산단계에서 발광장치(30)에 입력되거나, 공연장 입장 전 또는 공연장 입장 후 발광장치(30)를 소지한 관객의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관객은 본인이 소지한 단말기와 발광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연연출을 위한 제어관련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단말기 및 발광장치(3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물리적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관련 정보는 입장 전 티켓 확인 과정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관객은 공연장 입장 전 공연티켓 확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연 스태프는 티켓에 포함된 좌석 정보를 직접 수기로 발광장치(30)에 입력하거나, 정보확인 장치(미도시)를 통해 OCR 기능 또는 전자 코드 리더 기능을 이용하여 티켓에 포함된 좌석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좌석 정보와 대응되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를 발광장치(30)에 제공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공연장 내의 각 좌석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확인 장치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공연장에서 실시간 통신을 통해 발광장치(30)에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연기획 단계에서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공연장에서 발광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확인 장치는 키오스크(kiosk)(미도시)와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객은 키오스크를 통해 직접 공연티켓 확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키오스크는 티켓에 포함된 전자 코드 정보(달리 말해, 바코드, QR코드, RFID, NFC 등을 통해 읽히는 정보)를 전달받고, 전자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를 발광장치(30)에 제공하여 메모리(3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키오스크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통해 또는 공연기획 단계에서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제어관련 정보는 외부 저장장치(USB, microSD, Sdcard등)를 통해 발광장치(30)에 제공되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코드 정보는 관객이 보유한 단말기에서 티켓구매시 받은 알림내용(MMS, e-mail, 애플리케이션의 pushmessage 등)에 포함된 정보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어관련 정보는 상기 공연연출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발광부(330)는 하나 이상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 소자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30)는 광원 소자를 이용하여 RGB 색상 정보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공연연출을 위한 제어콘솔장치(10) 및 프로세서(34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연출장면별로 발광 관련 동작이 정의된 데이터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연출 구간별 각 연출 장면을 구현하도록 설정된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연장에서 공연을 수행함에 따라 해당 공연시간에 상응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그룹제어를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라면, 그룹제어를 위한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는 공연연출 구간(공연연출 장면)별로 각각 생성된 복수의 그룹 정보를 관객석 내 좌석정보와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공연연출 구간별 공연연출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는 아래 표 1과 같이 각 구간별 연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룹 정보를 매핑한 공연연출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정보는 공연연출 구간별 각 연출 장면에 대응하여 발광장치(30)를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한 그룹별 제어 정보를 의미한다. 그룹별 제어 정보는 그룹할당정보(즉, 그룹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여 설정된 발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공연연출 구간별로 동일한 그룹할당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30)는 서로 동일한 발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그룹할당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100)는 각 공연연출 구간별로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연연출 구간(제1 공연연출 장면)에서 A 그룹할당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가 제2 공연연출 구간(제2 공연연출 장면)에서는 B 그룹할당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공연연출 구간(제1 공연연출 장면)에서 A 그룹에 속하는 발광장치와 제2 공연연출 구간(제2 공연연출 장면)에서 A 그룹에 속하는 발광장치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연출 정보 (예: 씬 정보)
    제1 연출 정보 제2 연출 정보
그룹정보 그룹별
발광 상태정보
A (255,255,0) A (0,0,0)    
B (154,112,55) B (255,0,0)    
C (0,0,255) C (0,0,255)    
D (0,255,255)        
E (100,100,100)        
제어콘솔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연연출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연장 내의 각 좌석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장치(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를 위해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실시예에 있어서, 발광장치(30)에는 공연연출 전에 미리 장면별로 각 발광장치(30)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에 대한 그룹 정보만 저장해둘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상태 정보(예: RGB 등을 이용한 색상 정보)는 사전 저장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그룹 정보는 특정한 순간이나 장면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제어되는 발광장치(30)의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장면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함께 제어되는 발광장치(30)들이 같은 그룹 정보를 가지도록 그룹 정보가 할당될 수 있으며, 해당 그룹이 어떤 색상으로 제어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장치(30)에는 상기 할당된 그룹별 발광 상태 정보(예: 색상 정보)를 빈(empty) 데이터로 유지하거나 또는 더미(dummy) 데이터 또는 임시 색상 정보만 기록될 수 있다. 즉, 실제 그룹별 색상 정보는 실제 공연을 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장치(30)는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기 정보확인 장치 또는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그룹제어를 위한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한 발광장치(30)는 통신부(310)를 통해 공연연출 구간별로 자신의 관객석 위치정보에 매핑된 그룹 정보를 수신하여, 아래 표 2와 같은 그룹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연출 정보
(예: 씬정보)
1 2 3 4 5
그룹정보 A C F G {15, 15}
상기 표 2는 하나의 특정한 발광장치(30)에 대한 연출장면별 그룹정보의 예시적인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광장치(30)는 제1 씬에서 A그룹에 속해서, A그룹에 속한 다른 응원용 조명장치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2 씬으로 장면이 전환될 경우, C그룹으로 제어될 수 있다.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장치(30)에 미리 저장되는 그룹할당정보는 공연장의 객석 전체를 대상으로 가상의 좌표계를 도입 및 적용하여 이를 통해 전체 객석이 특정한 좌표 범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1개의 객석 좌석이 특정한 xy 좌표값을 가질 수도 있고, 인접한 복수의 객석 좌석이 동일한 xy 좌표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xy 좌표계 이외에 다른 형태의 좌표계 도입을 통해 관객석 좌석의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개별 발광장치에 저장되는 그룹할당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좌표정보로 기록될 경우, 공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공연연출 매핑데이터는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특정한 좌표값 또는 특정한 좌표범위를 기초로 해당 좌표값 범위에 속한 발광장치가 특정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그룹할당정보와 그룹발광색상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공연연출 매핑데이터를 구성할 때, 그룹할당정보 대신 좌표값 또는 좌표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장치는 공연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공연연출 매핑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신이 속한 좌표값을 기초로 자신이 특정한 그룹할당정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맞는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공연장의 객석 전체를 대상으로 설정된 좌표계에 따른 그룹 정보가 미리 발광장치에 저장될 경우, 소규모의 데이터 전송만으로도 즉흥적인 관객석 조명 연출 장면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좌표 범위의 응원봉만 소정의 색상으로 발광시키기 위해 공연연출 매핑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정하여 송출(브로드캐스팅)할 하여 가변적인 관객석 조명 연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장의 관객석 전체가 xy 좌표계로 정의되고, 미리 각 발광장치에 특정한 공연연출 구간에서 소정의 xy 좌표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실시간 공연연출 과정에서, 해당 공연연출 구간을 구현할 때 특정 좌표 범위(ex. {10, 10}부터 {20, 15})가 적색(255, 0, 0)으로 발광되도록 설정된 공연연출 매핑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복수의 발광장치는 자신에게 부여된 좌표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10, 10}부터 {20, 15}까지 범위에 속하는지를 각자 판단하여 자신이 이에 해당될 경우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맵 제어를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라면, 비트맵 제어를 위한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는 공연연출 구간(공연연출 장면)별로 각각 생성된 복수의 픽셀 정보를 관객석 내 좌석정보와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공연연출 구간별 공연연출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생성장치는 각 장면별 각 픽셀의 발광색상(RGB값)을 지정하는 컬러팔레트 정보를 픽셀과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공연연출 구간별 공연연출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발광장치(30)는 공연연출 전에 미리 장면별로 각 발광장치(30)가 어느 픽셀에 속하는지에 대한 픽셀 정보를 메모리(320)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후, 발광장치(30)는 발광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자신이 속한 픽셀을 확인하여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픽셀과 대응되는 컬러팔레트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상술한 발광장치(30)의 제어방법에 기초하여 연출장면별로 발광 관련 동작이 정의된 데이터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신기(20)는 각각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콘솔장치(10)는 세트(40)별로 제어방식(그룹제어, 비트맵 제어, 픽쳐제어) 및 연출장면에 따라 동일한 또는 상이한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세트(40a)는 그룹제어, 세트(40b)는 픽쳐제어, 세트(40n)는 비트맵 제어방식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 각 제어 방식 및 발광 패턴 정보가 포함된 서로 다른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제어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각 세트에서 서로 다른 연출장면이 구현된다면, 제어콘솔장치(10)는 서로 다른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해당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할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관련 데이터에 따라 발광하도록 발광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20)의 식별정보는 제어콘솔장치(10)에 의해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송신기(20)가 발광장치(30)로 송출할 때 송신기(20)에 의해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발광장치(30)는 자신에게 미리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기(20)로부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20)는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질 수 있고, 공연 기획자는 해당 공연에서 사용되는 송신기의 스펙을 고려하여 공연기획단계에서 송신기(2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기(20)의 물리적, 기술적 한계로 일부 좌석들에 위치한 발광장치들은 서로 다른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발광제어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부 좌석들에 위치한 발광장치들은 둘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서로 다른 발광제어 신호를 중복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발광장치 입장에서는 어느 발광제어 신호와 대응되도록 발광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한된 무선 대역폭 내에서 발광장치는 자신과 대응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송신기(20) 각각에 대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극도로 낮춤으로써 기존 공연과는 다른 공연 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20)는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발광장치(30)로 발광제어 신호를 반복해서 송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기(20)가 송출(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는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공연장은 대역폭이 서로 다른 수많은 신호가 공존하는 곳으로, 발광제어 신호 외의 신호는 모두 공연 연출에서는 노이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발광제어 신호가 올바르게 발광장치(30)로 전송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0)는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예를 들어, 한 발광제어 신호마다 5번) 발광장치(30)로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발광장치(30)가 발광제어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발광장치(30)는 동일한 발광제어 신호를 여러 번 수신하여 중복된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각의 발광제어 신호는 Frame Sequence Number(FS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SN은 전송된 데이터(구체적으로는, 발광 패턴을 지시하는 데이터 패킷)의 순서를 발광장치(30)에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출장면이 달라질 때 마다, 상기 FSN은 예를 들어, 1씩 증가하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발광장치가 기 수신한 발광제어 신호와 동일한 FSN을 가지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를 이미 수신한 발광제어 신호로 결정하여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20) 각각은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대역폭(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신기(20) 각각으로부터 송출되는 발광제어 신호는 서로 다른 무선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분, 시)마다 또는 이벤트 발생(예를 들어, 다음곡이 재생 또는 관객이 자리를 이탈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우 등)때 마다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송신기가 송출하는 무선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20)는 송신기(20)의 식별정보 및 송신기(20)가 사용할 무선 대역폭을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장치(30)는 모두 동일하게 해당 공연에서 사용되는 송신기(20)의 식별정보 및 송신기(20)가 사용할 무선 대역폭을 메모리(320)에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가 적절한 무선신호 레벨이 아닌 경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전체 무선 대역폭(채널)을 스캔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무선 대역폭을 통해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에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40)는 전체 무선 대역폭(채널)을 스캔함으로써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가 송출된 무선 대역폭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리스트를 저장함으로써, 프로세서(340)는 발광장치(30)가 수신할 송신기의 식별정보 및 송신기가 송출하는 무선 대역폭을 상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채널에 대한 부분적(선택적으로)으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340)는 자신이 수신할 무선 대역폭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연장의 상황에 따라 제어콘솔장치(10)는 동일한 발광제어 신호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당수의 발광장치(30)가 제어관련 정보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한 경우, 송신기(20)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발광장치(30)가 공연 기획자의 의도대로 발광할 수 없게 된다. 또는 소규모 공연장의 경우 송신기(20) 각각이 서로 다른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연 기획자는 제어콘솔장치(10)를 통해 동일한 발광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장치(30)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콘솔장치(10)가 범용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를 통해 발광장치(30)로 송출함으로써, 발광장치(30)는 수신되는 모든 발광제어 신호 내의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범용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미리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값과 관계없이, 수신되는 모든 발광제어 신호 내의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용 발광제어 신호는 모든 송신기(20)에 동일하게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용 발광제어 신호는 송신기(20)에 의해 송출되거나 송신기(20)와 별개의 송신기(예를 들어, '0'의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기)에 의해 송출될 수 있다. 이때, 범용 발광제어 신호가 상기 별개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상기 범용 발광제어 신호는, '0'과 같은, 해당 공연에서는 미리 설정되지 않았던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리 설정되지 않았던 송신기의 식별정보는 메모리(320)에 리스트로 저장되지 않은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발광장치(30)는 후술할 공연 식별정보 중 특정 값을 갖는 공연 식별정보가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됨으로써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가 범용 발광제어 신호라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범용 발광제어 신호는 '0'의 값을 갖는 공연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0'의 값을 갖는 공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발광제어 신호가 범용 발광제어 신호라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정정하라는 정정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티켓 확인 단계에서 세트(40) 중 일부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에 올바른 제어관련 정보가 입력되지 못한 경우, 해당 발광장치는 공연 기획자의 의도대로 발광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에는 해당 공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입력되거나 상기 발광장치를 담당하는 송신기가 아닌 다른 세트를 담당하는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정정하라는 정정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잘못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정 명령 신호는 특정 수신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수신기의 식별정보는 공연 기획자의 의도대로 티켓 확인 단계에서 해당 발광장치에 저장되었어야할 송신기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정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발광장치는 상기 특정 송신기의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도록 현재 메모리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송신기의 식별정보로 대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정 명령 신호는 범용 발광제어 신호와 유사하게 송신기(20)에 의해 송출되거나 송신기(20)와 별개의 송신기(예를 들어, '0'의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기)에 의해 송출될 수 있다. 이때, 정정 명령 신호가 상기 별개의 송신기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상기 정정 명령 신호는, '0'과 같은, 해당 공연에서는 미리 설정되지 않았던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미리 설정되지 않았던 송신기의 식별정보는 메모리(320)에 리스트로 저장되지 않은 식별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는 특정 아티스트(가수 또는 아이돌 그룹)와 관련된 아티스트 구별 정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티스트마다 서로 다른 응원봉이 생산되며, 합동 공연과 같이 복수의 아티스트가 함께 공연을 하는 경우, 공연장에 입장하는 관객들은 서로 다른 아티스트를 응원할 수 있다. 따라서, 공연 기획자는 복수의 아티스트가 순차적으로 공연하는 경우, 해당 아티스트를 응원하는 관객이 소지한 발광장치만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공연 기획자는 제어콘솔장치(10)를 통해 현재 공연하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발광장치(30)는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와 메모리(320)에 저장된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현재 공연하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는 공연연출데이터 형태로 연출장면과 매핑되어 제어콘솔장치(10)에 저장되어 있거나, 공연 진행 중 공연 기획자에 의해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티스트가 순차적이 아닌, 동시에 공연(예를 들어, 듀엣처럼 한꺼번에 무대에 등장)하는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동시에 공연하는 아티스트들과 관련된 발광장치 모두의 식별정보를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는 발광장치(30)의 생산 단계, 티켓 확인 단계 또는 공연 시작 전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는 관객이 발광장치를 구입한 이후 사전에 상기 구입한 발광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또는 관객의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에 대한 연산자 및 연산계수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연산자는 and, or, xor 등과 같은 논리 연산자 또는 +, -와 같은 산술 연산자일 수 있다. 따라서, 연산자 및 연산계수를 수신한 발광장치(30)의 프로세서(340)는 계산(연산)을 통해 메모리(320)에 저장된 발광장치(30)의 식별정보가 제어대상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연산의 기준이 되는 기준 식별정보는 송신기(20)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기준 식별정보는 제어콘솔장치(10), 마스터장치(15) 또는 송신기(20)에 의해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송신기(2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6 및 0xE87, B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8 인 경우, 송신기(20)가 '0xE86'인 기준 식별정보, '+' 연산자와 '2' 연산계수를 포함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0xE86, 0xE87, 0xE88 중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0xE87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연산자 및 연산계수에 기초하여 계산을 하며, 0xE86, 0xE87, 0xE88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가 발광대상이 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0xE87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도 발광대상이 됨을 결정하고, 따라서 해당 발광장치는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연 기획자는 서로 다른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들 및/또는 동일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인 경우라도 서로 다른 버전(version)을 갖는 발광장치들을 한정된 무선 대역폭 내에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아티스트가 함께 공연하는 합동 공연의 경우, 공연장에는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들이 공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아티스트를 응원하는 관객이 소지하는 발광장치들이 동일 세트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공연 기획자는 현재 공연중인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들만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기준 식별정보를 변경하라는 기준 식별정보 변경 명령과 함께, 연산자 및 연산계수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6, B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7, C 아티스트와 관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8이며, 현재 송신기(2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기준 식별정보가 0xE86인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 연산자와 '2' 연산계수 및 기준 식별정보를 변경하라는 명령을 포함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발광장치(30)는 수신된 연산자 및 연산계수에 따라 계산을 통해, 연산(계산)의 기초가 되는 기준 식별정보가 0xE88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콘솔장치(10)는 변경된 기준 식별정보 자체(예를 들어, 0xE88)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기준 식별정보 변경 명령을 전송하고 마스터장치(15)가 연산자 및 연산계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기(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 식별정보는 발광장치(30)의 생산 단계, 티켓 확인 단계 또는 공연 시작 전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 식별정보는 관객이 발광장치를 구입한 이후 사전에 상기 구입한 발광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또는 관객의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장치(30)는 연산자 및 연산계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조건의 달성여부를 결정하여 발광 여부 또는 발광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광장치(30)는 발광 동작의 조건과 관련된 동작 요약 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발광 여부 또는 발광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요약 정보는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발광장치(30)로 하여금 결정하도록 하는 일련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은 아래 표 3과 같을 수 있다.
발광 동작 발광 조건 불만족시 발광 동작 연산자
연산계수
제1값 포함시 발광 미리 저장된 발광 패턴으로 발광 연산없음 1
제2값 불포함시 발광 발광하지 않음 더하기 연산 2
제3값 포함시 발광+불포함시 포함시 보다 50%밝기로 발광 빼기 연산 3
제4값 불포함시 발광 +포함시 불포함시 보다 50%밝기로 발광 더하기 및
빼기 연산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동작 요약 정보와 대응되는 일정 범위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마스터장치(15)는 동작 요약 정보 중 상기 일정 범위의 값과 매칭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동작 요약 정보를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에서 0 내지 127 값 중 하나가 생성되어 마스터장치(15)로 전달된 경우, 마스터장치(15)는 전달된 값이 제1값임을 확인하여, 제1값에 해당하는 동작 요약 정보를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20)로 전달할 수 있다.실시예에 따라, 마스터장치(15)는 생략될 수 있으며, 송신기(20)가 직접 동작 요약 정보를 확인하여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시킨 후 발광장치(30)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표 3의 실시예는 일 예시일 뿐이며, 마스터장치(15)는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다양한 조건과 관련된 동작 요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동작 요약 정보는 발광 동작(2bit), 발광 조건 불만족시 발광 동작(1bit), 연산자(2bit), 연산계수(2bit)를 포함하여 총 7bit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동작 요약 정보에 할당되는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조건과 관련된 동작 요약 정보가 생성되고 송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동작 요약 정보에 할당되는 데이터가 감소할수록 기 설정될 수 있는 조건의 수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특정 발광장치가 제1값인 동작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특정 발광장치는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반대로, 양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저장된 발광 패턴은 티켓 확인 단계 또는 공연 시작 전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1값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특정 발광장치가 제2값인 동작 요약 정보, 연산자는 '+', 연산계수는 '2'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계산 결과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일부 발광장치들의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9이고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식별정보가 0xE86인 경우, 계산 결과 일부 발광장치들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의 식별정보는 0xE86, 0xE87, 0xE88이다. 따라서, 상기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는 0xE86, 0xE87, 0xE88에 포함되지 않으므로(즉, 조건을 만족하므로)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2값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특정 발광장치가 제3값인 동작 요약 정보, 연산자는 '-', 연산계수는 '3'을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계산 결과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일부 발광장치들의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발광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0xE89이고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식별정보가 0xE86인 경우, 계산 결과 일부 발광장치들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의 식별정보는 0xE86, 0xE87, 0xE88 및 0xE89이다. 따라서, 상기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는 0xE86, 0xE87, 0xE88 및 0xE89 중에 포함되므로(즉, 조건을 만족하므로)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과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발광장치의 식별정보가 일부 발광장치들의 식별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발광장치는 해당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의 밝기에 비해 50%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 요약 정보는 아래 도 5에서 설명되는 연산자 및 연산계수 부분에 포함되어 송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연 식별정보는 당일에 해당 공연장에서 제공되는 공연에 관한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연 식별정보는 '0', '1' 또는 '2' 등과 같은 자연수의 값으로, 공연마다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연 식별정보는 아티스트의 소속사, 공연주관사, 공연일자 및 공연회차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연회차는 해당 공연의 실제 회차수 또는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공연의 회차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해당 공연이 10번째 공연이고, 발광장치(30)를 제어한 9번째 공연인 경우, 상기 공연회차는 9일 수 있다. 아티스트가 몇일에 걸쳐 공연을 진행하는 경우, 상당수의 관객은 아티스트를 응원하기 위해 복수회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의 관객은 매번 동일한 좌석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것이 아니므로 공연일자 또는 공연회차와 같은 공연을 구별하는 정보 없이 제어콘솔장치(10)가 이전 공연과 동일한 연출장면별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면, 공연 기획자가 의도한 연출효과가 발현될 수 없다.
또한, 해당 공연장 주변에 위치한 다른 공연장에서 공연이 진행중이고, 다른 공연장에서 해당 공연장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어신호가 송수신되고 있는 경우, 일부 발광장치는 다른 공연장에서 전송된 발광제어 신호에 반응할 수도 있다. 이 역시, 공연 기획자가 의도한 연출효과가 아니다.
따라서, 제어콘솔장치(10)는 해당 공연의 공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공연 식별정보와 수신된 공연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관련 데이터에 따라 발광하도록 발광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상기 공연 식별정보는 티켓 확인 단계 또는 공연 시작 전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가 아닌 마스터장치(15)가 상술한 정정 명령 신호, 액세스 코드의 변경 명령 신호 및 무선 대역폭(채널)의 변경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대역폭(채널)의 변경 명령 신호를 수신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시 무선 대역폭(채널)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스터장치(15)는 기준 식별정보의 변경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기(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터장치 기준 식별정보의 변경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기(20)는 송신기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기준 식별정보를 변경된 기준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설명한 일례이다.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공연연출 구간에서 각 장면의 연출 장면과 대응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콘솔장치(10)는 생성된 발광제어 신호를 패킷 단위로 구별된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데이터 패킷은 액세스 코드(access code), 헤더(header) 및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콘솔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510) 부분에 상술한 FSN, 기준 식별정보, 연산자 및 연산계수, 공연 식별정보, 송신기(20)의 식별정보 및 발광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페이로드(510)에 포함된 정보 중 송신기(20)의 식별정보 및 발광 패턴에 관한 정보는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페이로드(510)에 발광장치(30)의 진동값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로드(510)의 발광 패턴은 발광장치(30)의 제어 방식 및 상기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기위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방식이 그룹제어인 경우, 페이로드(510)의 발광 패턴은 현제 제어 방식이 그룹제어임을 표시하는 정보 및 현재의 연출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를 제어하는 공연연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공연연출 방법의 각 단계들은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를 포함하는 공연연출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에 의한 공연연출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공연연출 방법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반대로 공연연출 방법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공연연출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 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콘솔장치(10)는 저장된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출 장면별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1010].
상기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 기획단계에서 데이터생성장치 또는 외부 서버에서 생성되어 제어콘솔장치(10)로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 중에 실시간으로 공연연출데이터를 제공받아 그에 상응하는 발광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20].
제어콘솔장치(10)는 송신기(20)로 각각의 송신기가 송출할 발광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송신기에 전송된 발광제어 신호는 동일 또는 송신기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20].
다음으로, 발광장치(30)는 송신기(20)로부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640].
송신기(20) 각각은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지며, 공연 기획자는 해당 공연에서 사용되는 송신기의 스펙을 고려하여 공연기획단계에서 송신기(2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자신에게 미리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갖는 송신기(20)로부터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된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발광 패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S650].
이상 송신기(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 비트맵 제어를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장치에 저장되는 컬러의 번호정보별 컬러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장치에 저장되는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에 대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연출데이터를 사전에 다른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의 좌석 배치도에 따라 공연 시간 동안 연출되는 장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연의 좌석 배치도는 발광장치(30)의 배치도와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발광장치(30)의 배치도 위에 상기 동영상의 각각의 장면을 오버레이 한 후 재생하여 상기 동영상에서 각 발광장치(30)가 위치하는 부분의 값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각각의 발광장치(30)에 전송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은 컴퓨터모니터 및 제어콘솔장치(10)에서 표시하는 값의 형태인 R, G, B 각 8bit 형태로 저장되지 않고 YUV(흑백 TV도 지원하기 위한 포맷)으로 저장되어 있어서 제어콘솔장치(10)가 발광장치(30)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색의 표시 방식과 색의 표시 가능한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즉, RGB 컬러의 원본 동영상(발광장치(30)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동영상)은 YUV(YCbCr)방식의 형태로 변경(RGB 컬러의 원본영상을 MP4, MPG, MOV, AVI등의 영상포맷으로 인코딩)되면서 유실되는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GB 24bit 색상좌표에 존재하는 값이 YUV 색상좌표에서는 대응(존재)하지 않는 값이 존재하며, 서로간의 표현 색역의 범위도 다를 수 있다. 서로간의 변환 공식(ITU-R BT.601)을 적용하여 보면 색역의 범위가 다른점으로 인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RGB 24bit의 256단계 색상표현을 YUV(비트레이트8bit)로 변환하면 225단계로 변환되어 오차가 발생(양자화 오류)되며 이 오차는 13.78%일 수 있다. YUV(비트레이트8bit) 225단계로 변환된 영상에서 RGB 24bit의 256단계로 복원을 시도하는 경우 다시 서로간의 양자화 단위(양자화 오류)가 맞지 않아 오차가 발생하며 이 오차는 12.11%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간의 왕복변환으로 누적연산되는 오차는 1.67%가량이 될 수 있다. 여기서, 1.67%를 오차가 발생하는 값의 크기로 다시 환산하면 4.28 정도로 정수값으로 올림 처리하면 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원본의 값이 5인 경우 최대오차가 발생하면 YUV변환후 RGB로 복원된 값에서 0(-5값)~10(+5값)의 범위내의 값으로 나타나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는 적용하는 변환 공식(예를 들어, ITU-R BT.601, ITU-R BT.656, ITU-R BT.1120 각 규격내의 변환공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콘솔장치(10)가 연출가의 연출의도에 부합하는 상기 원본 RGB 24bit 동영상에서 YUV 동영상으로 인코딩시 더 높은 압축레벨로 진행하는 경우 인접픽셀과 병합하여 처리하므로 인접픽셀의 색상에 영향받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연출가가 의도한 색상은 오차가 발생한 다른 색상인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의 인코딩포맷, 비트레이트, 해상도 및 인접한 픽셀값에 따라 매번 픽셀의 값이 서로 다르게 해석되어 영상에 손실압축 저장되므로 원본 상태로 복원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빨강색(RGB로 표현시 255, 0, 0)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0번 색상영역이라 지정하고자 하면 YUV로 인코딩 되었다가 다시 RGB로 복원된 값을 살펴보면 복원된 빨강색(RGB로 표현시 250, 4, 5)은 상기 원본 빨강색과 다르게 표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즉, 상기 복원된 빨강색은 원본에서 의도한 정확한 색으로 나타나지 못하고 변화된 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장치(15)는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기반으로 생성한 데이터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패킷에 포함되는 오차가 발생된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기반으로 보정할 수 있다.
먼저, 마스터장치(15)는 상기 동영상에 대해 복수의 이미 정의된 컬러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미 정의된 컬러정보는 예컨데, 4가지의 이미 정의된 컬러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장치(15)는 상기 동영상의 하나의 장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이미 정의된 컬러정보를 기반으로 연출할 수도 있고, 앞서서 연출한 장면과 동일한 장면에 대해 장면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연출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한 컬러를 기반으로 새로운 복수의 컬러정보에 따라 상기 장면을 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의 장면이더라도 컬러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장치(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의 번호정보별 컬러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의 번호정보는 0부터 15까지로 표현될 수 있고, 각 컬러의 번호정보별 컬러정보는 RGB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의 번호정보가 '0'인 경우, 컬러정보는 '255,255,255(흰색)'이고, 컬러의 번호정보가 '1'인 경우, 컬러정보는 '255,0,0(빨강)'일 수 있다.
이후, 마스터장치(15)는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기반으로 생성한 데이터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패킷에 포함되는 오차가 발생된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기반으로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장치(15)는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의 번호정보가 '0'이고, 번역될 기준색상 즉, 오차에 대한 보정할 기준색상이 '250,250,250(흰색)이고, 오차별 보정범위(보정범위 반영시)가 '245,245,245~255,255,255'일 수 있다. 여기서, 보정범위는 상기 오차에 대한 보정할 기준색상에서 -5~+5일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장치(15)는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오차가 발생된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인 '246,247,248'에 대해 기 저장된 기준 컬러 범위정보인 '245,245,245~255,255,255'에 포함되는 경우, '250,250,250(흰색)'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0'의 값으로 번역하고, 이에 따라 발광장치(30)의 해당 집합이 도 2의 컬러팔레트의 '0'의 색상인 255,255,255(흰색)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장치(15)는 컬러의 번호정보가 '2'인 색상이 기준색상 5,250,5(녹색)으로 저장하고 보정오차 범위값이 -5~+5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장치(15)는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컬러팔레트의 컬러정보인 '3,247,7(녹색을 의도하였으나 콘솔에서 재생한 동영상의 RGB변환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값)'이 포함된 데이터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컬러정보 '3,247,7'이 0,245,0~10,255,10 이내로 인정되므로 기준색상 5,250,5(녹색)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의 값으로 번역하고, 발광장치(30)의 해당 집합이 도 7의 컬러팔레트의 '2'의 색상인 255,50,0(주황)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한 효과는, 마스터장치(15)는 제어콘솔장치(10)에서 원본에서 의도한 색상이 아닌 오차가 발생한 값이 수신되더라도, 기 저장된 기준 컬러 범위정보를 기반으로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서 연출자가 원하는 대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집합(2)에 포함된 발광장치(30a_1), 발광장치(30a_2), 발광장치(30a_3), 발광장치(30b_1)은 송신기(20a)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연출장면에 대한 제1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제1 컬러로, 제2 집합(3)에 포함된 발광장치(30b_2), 발광장치(30b_3)을 송신기(20a)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연출장면에 대한 제2 집합정보에 포함된 컬러와 대응되도록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합(2) 내지 제N 집합(N)은 동일한 송신기(20a)의 식별정보를 갖는 발광장치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집합에 포함된 발광장치의 개수는 집합마다 상이할 수 있다. 제1 집합(2) 내지 제N 집합(N)은 발광장치(30)가 좌석에 위치할 것을 가정한 상태로 공연기획자가 의도에 따라 공연장의 좌석정보에 기초하여, 비트맵 형식의 픽셀로 정의하여 나눈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장의 관객석 상에 연출되는 공연연출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연연출시스템(1)은 공연장 내의 각 좌석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장치(30)를 하나의 픽셀인 것으로 정의하고, 상기 발광장치(30)를 이용하여 공연연출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연출데이터를 사전에 다른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른 저장 매체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 중에 실시간으로 공연연출데이터를 제공받아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 시간 동안 연출되는 장면 별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 시간 동안 발광장치(30)를 이용하여 연출할 연출 장면(씬; scene)에 따라서 공연연출 구간별로 연출 장면을 각각 구성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공연연출데이터에 따라 발광장치(30)의 비트맵 제어를 위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제1 공연연출 구간(예: 제1 시간)에서는 제1 연출 장면(예: 제1 씬)에 대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하고, 제n 공연연출 구간(예: 제n 시간)에서는 제n 연출 장면(예: 제n 씬)에 대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장 내 관객석이 구성된 경우, 제1 공연연출 구간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은 특정 텍스트와 함께 관객석의 좌석별로 상이한 발광색상으로 표시되는 제1 연출 장면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n 공연연출 구간에서는 제1 연출 장면과는 상이한 장면으로 예컨대 특정 도형 및 문양으로 표시되는 등의 제n 연출 장면이 생성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를 비트맵 제어하는 경우, 연출 장면 별로 발광장치(30)를 상이하게 묶어서 다양한 집합으로 구성하고, 상기 집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묶인 발광장치(30)를 통해 다양한 연출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하나의 구역(A)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로 데이터패킷을 전송할 때, 구역(A)에 대해 제1 연출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집합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집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제1 집합(901)을 이루는 발광장치(30)는 제1 컬러로 발광하여 제1 텍스트인 '2'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제2 집합(902)을 이루는 발광장치(30)는 제2 컬러로 발광하여 제2 텍스트인 '2'의 배경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콘솔장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패킷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에 의한 제1 연출장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에 의한 제2 연출장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패킷은, 인덱스 정보(1010), 컬러팔레트 정보(1020) 및 일부 집합정보(1030)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인덱스 정보(101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인덱스 정보(101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집합정보 내지 제N 집합정보 각각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제1 연출장면 중 특정 구역에서 연출되는 장면의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일부 집합정보 각각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부 집합정보 각각의 위치정보는 상기 데이터패킷에서 상기 일부 집합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인덱스 정보(1010)는, 상기 제1 연출장면 중 특정 구역에서 연출되는 장면의 부분을 연출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패킷 중 일부 집합정보에서의 제1 집합정보의 위치정보(1011) 내지 상기 데이터패킷 중 일부 집합정보에서의 제N 집합정보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컬러팔레트 정보(102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102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정보를 번호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를 상기 컬러정보를 기반으로 연출장면 별로 적어도 하나의 컬러로 발광하여 공연의 연출 장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는 상기 제1 연출장면 중 특정 구역에서 연출되는 장면의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제1 집합정보에서 발광해야 하는 제1 컬러정보(1021) 내지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제N 집합정보에서 발광해야 하는 제N 컬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부 집합정보(103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일부 집합정보 각각에 대한 컬러의 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부 집합정보는, 상기 제1 연출장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의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에서의 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일부 집합정보는 상기 제1 연출장면 중 특정 구역에서 연출되는 장면의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제1 집합정보에서 발광해야 하는 제1 컬러정보의 번호정보(1031) 내지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제N 집합정보에서 발광해야 하는 제N 컬러정보의 번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보면,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상기 일부 집합정보는,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전체 집합정보 중 하나의 송신기(20)를 통해 송신되는 구역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집합들에 대한 데이터패킷 상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공연장이 A 내지 H 구역으로 나누어진 경우, 상기 제1 연출장면은, A 구역에는 'L', B 구역에는 'O', C 구역에는 'V', D 구역에는 'E'가 나타나고, E 구역과 F 구역 각각에 반쪽 하트모양과 G 구역과 H 구역 각각에 반쪽 하트모양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A 구역에 대해 연결되는 하나의 송신기(20)를 통해 제어콘솔장치(10)가 상기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패킷에는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A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출장면 연출시 상기 A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는, 제1 집합정보(1101), 제2 집합정보(1102) 내지 제N 집합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집합정보는 각각 다르거나 같은 형태로 묶일 수 있고, 각 집합정보에 포함되는 픽셀로 정의되어 발광장치(130)는 겹치지 않게 묶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를 보면, 제2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상기 일부 집합정보는, 상기 제2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전체 집합정보 중 하나의 송신기(20)를 통해 송신되는 구역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집합들에 대한 데이터패킷 상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공연장이 A 내지 H 구역으로 나누어진 경우, 상기 제2 연출장면은, 상기 A 구역 내지 H 구역 전체에 스마일 그림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A 구역에 대해 연결되는 하나의 송신기(20)를 통해 제어콘솔장치(10)가 상기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패킷에는 상기 제1 연출장면과 상이한 상기 제2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A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는, 도 12의 제1 집합정보(1201), 제2 집합정보(1202) 내지 제N 집합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집합정보는 각각 다르거나 같은 형태로 묶일 수 있고, 각 집합정보에 포함되어 픽셀로 정의되는 발광장치(130)는 겹치지 않게 묶일 수 있다.
한편, 제어콘솔장치(10)는 컬러팔레트 정보에 대해 데이터패킷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줄여서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컬러팔레트 정보에 포함되는 색상에 대해 상기 색상의 RGB를 각각 8bit, 8bit, 8bit가 아닌 5bit, 5bit, 5bit로 압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색상의 심도를 낮추어 예를 들어 8bit의 컬러를 6bit로 압축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함으로 장면 표현을 위해 전송할 상기 데이터패킷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가 지원가능한 색상을 제1 메모리(120)에 인덱스 색상(예를 들어 8bit)으로 정의하여 저장해두고 연출하고자 하는 색상을 컬러팔레트에 인덱스 색상의 값으로 포함하여 전송함으로 RGB 총 컬러값 24bit의 데이터가 아닌 8bit또는 그 이하로 전송하여 데이터패킷의 크기를 줄이고 그로 인해 무선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전체 연출장면 각각에 대해 유사색상들을 하나의 색상으로 변경하고, 상기 하나의 색상으로 각각 변경된 전체 연출장면 각각에 대해 디더링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공연연출데이터에 포함되는 고해상도 장면에 대해 각각의 픽셀을 모두 전송하지 않고 기 설정된 범위 내의 4개의 픽셀 또는 6개의 픽셀을 묶어 하나의 색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콘솔장치(1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4개의 픽셀 6개의 픽셀과 매칭되는 발광장치(30)에서 동일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에 대한 상기 인덱스 정보와 상기 일부 집합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패킷 및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패킷을 동기화하여 각각 전송함으로 데이터패킷 별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제1 연출장면에 사용되는 제1 컬러팔레트 정보와 제2 연출장면에 사용되는 제2 컬러팔레트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컬러팔레트 정보와 다른 제2 컬러팔레트 정보만을 데이터패킷에 포함시켜 상기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장치(30)의 메모리(320)는 비트맵 제어에 따라 발광장치(30)가 제어되도록 제어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트맵 제어를 위한 제어관련 정보는 비트맵 제어에 따라 발광장치(30)가 제어되기 위해 메모리(320)에 필수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비트맵 제어를 위한 연출장면 각각에 대한 집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발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상기 발광장치(3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기 저장된 상기 연출장면 각각에 대한 집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연출장면에 대한 제1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제1 컬러로 발광부(330)를 발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340)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패킷에서 상기 제1 집합정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일부 집합정보 중 상기 제1 집합정보에 해당하는 제1 컬러의 번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상기 컬러팔레트 정보 중 상기 제1 컬러의 번호정보에 해당하는 제1 컬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컬러정보에 해당하는 제1 컬러를 상기 발광부(330)를 통해 발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컬러팔레트 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이후에 수신된 데이터패킷 내의 제2 컬러팔레트 정보가 기 저장된 상기 제1 컬러팔레트 정보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2 컬러팔레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컬러팔레트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 제어를 통해 공연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공연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과정의 각 단계들은 제어콘솔장치(10), 송신기(20) 및 발광장치(30)를 포함하는 공연연출시스템(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콘솔장치(10)는 저장된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연에 대한 연출장면 별로 발광 동작을 위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S1310].
상기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 기획단계에서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에서 생성되어 제어콘솔장치(10)로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제어콘솔장치(10)는 공연 중에 실시간으로 공연연출데이터를 제공받아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는 공연연출 구간(공연연출 장면)별로 각각 생성된 복수의 집합정보를 관객석 내 좌석정보와 매핑하고, 매핑된 정보를 공연연출 구간별 공연연출데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생성장치(미도시)는 각 구간별 연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집합을 매핑한 공연연출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연연출데이터는 공연의 좌석 배치도에 따라 공연 시간 동안 연출되는 장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공연연출 구간별로 동일한 집합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30)는 서로 동일한 발광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집합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30)는 각 공연연출 구간별로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연연출 구간(제1 공연연출 장면)에서 제1 집합정보를 가지는 발광장치가 제2 공연연출 구간(제2 공연연출 장면)에서는 제2 집합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공연연출 구간(제1 공연연출 장면)에서 제1 집합에 속하는 발광장치와 제2 공연연출 구간(제2 공연연출 장면)에서 집합에 속하는 발광장치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연연출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연장 내의 각 좌석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장치(30)를 비트맵 형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어를 위해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콘솔장치(10)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송신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S1320].
제어콘솔장치(10)는 송신기(20)로 각각의 송신기가 송출할 데이터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송신기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은 동일 또는 송신기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송신기(20)는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패킷을 상기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S1330].
발광장치(30)는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발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1340].
여기서, 발광장치(30)에는 공연연출 전에 미리 연출장면 각각에 대해 어느 집합에 속하는지에 대한 집합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예로, 발광장치(30)는 상기 정보확인 장치(예컨대, 키오스크) 또는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비트맵제어를 위한 집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발광장치(30)의 상기 집합정보는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거나 관객이 소지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상태 정보(예: RGB 등을 이용한 색상 정보)는 사전 저장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집합정보는 특정한 순간이나 장면에서 동일한 색상으로 제어되는 발광장치(30)의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장치(30)는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비트맵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하기에 앞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발광장치(3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발광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연출장면 별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컬러로 발광할 수 있다.
이상 비트맵 제어를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 레이어 제어를 통해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후술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제어를 통해 공연 장면을 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제어를 위한 데이터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조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상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에 따른 발광 색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데이터패킷에 탑 레이어 변경정보가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도 21의 탑 레이어 변경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레이어별 발광색상값, 마스킹값 및 투명도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1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도 24a 내지 도 24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0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도 26a 내지 도 26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장치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 값이 1 또는 0으로 각각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의 발광 색상을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도 28a 내지 도 28d의 연산 결과에 따라 연출되는 최종연출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콘솔장치(10)의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연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S1410].
다음으로, 발광장치(30)의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을 수신하여,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상기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부(330)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4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장치(30)는 단계 S1420을 수행하기에 앞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발광장치(3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발광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장치(30)는 메모리(340)에 저장된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수신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송신기(2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수신된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레이어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연연출시스템(10)의 제어콘솔장치(10)와 발광장치(30)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할 때, 제어콘솔장치(10)가 하나의 송신기(20)를 통해 하나의 세트(40)에 위치하는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레이어는 하나의 연출장면을 위해 복수의 색상을 편리하게 연산하기 위해 적용되는 가상의 개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는 제1 레이어, 제2 레이어 및 제3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레이어의 개수는 더 많을 수도 있고 더 적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레이어는 상기 그룹제어 또는 상기 비트맵 제어에 대한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레이어는 상기 픽쳐제어에 대한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고, 제3 레이어는 배경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배경 레이어인 제3 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레이어는 상기 그룹제어, 상기 비트맵 제어 및 상기 픽쳐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레이어일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마지막 레이어인 제3 레이어도 배경 레이어가 아닌, 상기 그룹제어, 상기 비트맵 제어 및 상기 픽쳐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레이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그룹제어 또는 상기 비트맵 제어에 대한 레이어인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일 수 있고, 상기 픽쳐제어에 대한 레이어인 제2 레이어가 중간층일 수 있고, 배경 레이어인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일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이고, 제2 레이어가 중간층이고,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인 순서를 기본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어콘솔장치(10)는 경우에 따라 상이한 순서로 기본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사전에 다른 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로부터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공연연출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공연연출 구간에서의 각 연출장면에 대한 연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패킷(15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패킷(1500)은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1510),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1520) 및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패킷(1500)은 제1 레이어에 대한 연출장면과, 제2 레이어에 대한 연출장면이 제어방식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연출 정보도 각각 제1 레이어에 대한 연출 정보와 제2 레이어에 대한 연출 정보로 구분되어 포함되게 된다. 이때, 제3 레이어는 배경 레이어이므로 배경색에 대한 정보가 연출 정보로 포함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1510)는 제1 연출장면에 대응되는 번호 정보, 발광 색상 정보, 제1 마스킹 정보 및 제1 투명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번호 정보는 현재 시점(현재 공연연출 구간)에서 상기 그룹제어 또는 상기 비트맵 제어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제1 연출장면의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발광 색상 정보는 제1 연출장면의 번호에서 각 분류(그룹 또는 픽셀)에 매칭된 색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6에서는 편의상 “빨강”, “노랑”, “파랑” 및 “흰색”으로 도시하였지만, 발광 색상 정보는 각 분류별로 RGB 등에 기반한 색상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강”은 (255, 0,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정보는 제1 연출장면의 번호에서 각 분류에 할당된 마스킹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값은 제1 레이어와, 제1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 간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마스킹값이 0이면 제1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보다 우선되고, 마스킹값이 1이면 제1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보다 우선되지 않는다(즉, 제1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가 제1 레이어보다 우선됨). 이때, 제1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는 제2 레이어일 수도 있고, 제3 레이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투명도 정보는 제1 연출장면의 번호에서 각 분류에 할당된 투명도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투명도값은 제1 레이어에 적용되어 제1 레이어를 알파 블렌딩(Alpha Blending)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투명도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값이 클수록 제1 레이어가 투명해지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와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는 발광장치(30)를 그룹 또는 픽셀을 기반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장치(30) 각각이 제1 연출장면의 해당 번호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형태 또는 패턴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발광장치(30)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와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도 그룹 또는 픽셀 기반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색상 정보에 대한 분류와, 상기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와, 상기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는 발광장치(30) 각각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상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특정 발광장치(30)가 발광 색상 정보에 대해 분류 1에 속한다면, 제1 마스킹 정보 및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해서도 분류 1에 속할 수 있다.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 특정 발광장치(30)가 발광 색상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 1에 속하고,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 2에 속하고,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 3에 속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 색상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는 같아야 하지만,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 색상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1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1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는 같을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1520)는 제2 연출장면에 대응되는 번호 정보, 제2 마스킹 정보 및 제2 투명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번호 정보는 현재 시점(현재 공연연출 구간)에서 상기 픽쳐제어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제2 연출장면의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킹 정보는 제2 연출장면의 번호에서 각 분류에 할당된 마스킹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값은 제2 레이어와, 제2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 간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마스킹값이 0이면 제2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보다 우선되고, 마스킹값이 1이면 제2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보다 우선되지 않는다(즉, 제2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가 제2 레이어보다 우선됨). 이때, 제2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는 제1 레이어일 수도 있고, 제3 레이어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투명도 정보는 제2 연출장면의 번호에서 각 분류에 할당된 투명도값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투명도값은 제2 레이어에 적용되어 제2 레이어를 알파 블렌딩(Alpha Blending)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투명도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값이 클수록 제2 레이어가 투명해지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와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는 발광장치(30) 각각이 제2 연출장면의 해당 번호에서 표현되어야 하는 형태 또는 패턴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발광장치(30)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와, 상기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는 발광장치(30) 각각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상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특정 발광장치(30)가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해 분류 1에 속한다면,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해서도 분류 1에 속할 수 있다.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 특정 발광장치(30)가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 1에 속하고,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해서는 분류 3에 속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는 같아야 하지만, 상이하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마스킹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와, 상기 제2 투명도 정보에 대한 분류의 개수는 같을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1530)는 배경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레이어에 대해서는 발광장치(30)가 전부 동일한 색상(예를 들어, 검정색 또는 흰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편의상 배경색 정보를 “검정”으로 도시하였지만, 배경색 정보는 RGB 등에 기반한 색상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정”은 (0, 0,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발광장치(30)의 제2 프로세서(340)는 제2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1500)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1500)에 포함된 상기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부(33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S1420].
상기 발광장치(30)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발광장치(30)에는 자신의 위치 정보(즉, 해당 발광장치를 소지한 사용자의 좌석 정보)와 관련된 조건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각 좌석 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장치(30)가 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발광장치(30)는 수신된 데이터패킷(1500)에서 자신의 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발광을 위한) 값들을 확인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장치(30) 각각은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연출장면에서의 제1 발광색상값, 제1 마스킹값 및 제1 투명도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연출장면에서의 제2 발광색상값, 제2 마스킹값 및 제2 투명도값을 확인하고, 상기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색상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발광장치 A에는 제1 레이어의 제1 연출장면의 번호별로 발광 색상에 대한 분류 정보,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2 레이어의 제2 연출장면의 번호별로 발광 색상 정보,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레이어에 대한 조건 정보는 별도로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3 레이어에 대한 배경색상값은 연출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어 조건 정보와 비교할 필요 없이 바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19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장치 A는 제1 연출장면 1번일 때는 발광 색상에 대한 분류 정보가 1이고,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가 4이고,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는 1일 수 있다. 발광장치 A는 제2 연출장면 1번일 때는 발광 색상 정보가 “빨강”이고,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는 1이고,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는 1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편의상 “빨강”, “흰색”, “노랑”, “하늘” 및 “초록”으로 도시하였지만, 발광 색상 정보는 각 번호별로 RGB 등에 기반한 색상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강”은 (255, 0,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특정 공연연출 구간에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은 각 레이어의 연출정보가 포함된 데이터패킷(1500)이 수신된 경우, 발광장치 A는 제1 연출장면이 1번일 때 발광 색상에 대한 분류 정보가 1이고,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가 4이고,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가 1이므로, 제1 연출장면에서 발광장치 A의 제1 발광색상값은 “빨강”이고, 제1 마스킹값은 0이고, 제1 투명도값은 25%일 수 있다.
또한, 발광장치 A는 제2 연출장면이 4번일 때 발광 색상 정보가 “하늘”이고, 마스킹에 대한 분류 정보가 3이고, 투명도에 대한 분류 정보가 2이므로, 제2 연출장면에서 발광장치 A의 제2 발광색상값은 “하늘”이고, 제2 마스킹값은 1이고, 제2 투명도값은 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발광장치(30)는 자신의 조건 정보와 수신된 데이터패킷(1500)을 비교하여 자신의 최종 발광 색상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값들을 확인하고, 이들 값들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각 공연연출 구간에서의 각 연출장면(최종 연출장면)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색상(최종 발광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연산을 통해 각각의 발광장치(30)가 자신의 최종 발광 색상을 결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발광장치(30) 각각은,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1510)를 기초로 상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와 상기 중간층인 제2 레이어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발광장치(30) 각각은 상기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1510), 상기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1520) 및 상기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153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결과를 기초로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는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마스킹값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킹값이 0이면 제1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중간층인 제2 레이어)보다 우선되고, 마스킹값이 1이면 제1 레이어가 뒤에 위치한 레이어(중간층인 제2 레이어)보다 우선되지 않는다(즉, 제1 레이어 뒤에 위치한 레이어가 제1 레이어보다 우선됨).
그리고,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상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가 상기 중간층인 제2 레이어보다 우선되는 경우, 상기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1520)와 상기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1530)에 기초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연산된 결과와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산된 결과를 기초로 발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상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가 상기 중간층인 제2 레이어보다 우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산 수행시, 상기 제2 투명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색상값과 상기 배경색상값의 알파블렌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산 수행시, 상기 제1 투명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산된 결과와 상기 제1 발광색상값의 알파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산된 결과에 따라 결정된 최종 발광 색상으로 각 발광장치(30)가 발광될 수 있다.
반대로,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상기 중간층인 제2 레이어가 상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보다 우선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이어의 연출 정보(1510)와 상기 제3 레이어의 연출 정보(1530)에 기초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연산된 결과와 상기 제2 레이어의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산된 결과를 기초로 발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상기 중간층인 제2 레이어가 상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보다 우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산 수행시, 상기 제1 투명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색상값과 상기 배경색상값의 알파블렌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산 수행시, 상기 제2 투명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산된 결과와 상기 제2 발광색상값의 알파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산된 결과에 따라 결정된 최종 발광 색상으로 각 발광장치(30)가 발광될 수 있다.
도 20a를 참조하여, 제1 레이어(2010)가 최상위층, 제2 레이어(2020)가 중간층, 제3 레이어(2030)가 최하위층일 때, 제1 레이어(2010)가 제2 레이어(2020)를 우선하는 경우에 최종 발광 색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레이어(2010)가 우선하므로, 제2 레이어(2020)의 제2 발광색상값(즉, 하늘색)에 제2 투명도(1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030)의 배경색상값과 알파 블렌딩(제1 연산)하면, 제1 연산 결과(2040)가 도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레이어(2010)의 제1 발광색상값(즉, 빨간색)에 제1 투명도(25%)를 적용하여 제1 연산 결과(2040)와 알파 블렌딩(제2 연산)하면, 제2 연산 결과, 즉 최종 발광 색상(2050)이 도출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여, 제1 레이어(2010)가 최상위층, 제2 레이어(2020)가 중간층, 제3 레이어(2030)가 최하위층일 때, 제1 레이어(2010)가 제2 레이어(2020)를 우선하지 않는 경우(제2 레이어(2020)가 우선하는 경우)에 최종 발광 색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레이어(2020)가 우선하므로, 제1 레이어(2010)의 제1 발광색상값(즉, 빨간색)에 제1 투명도(2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030)의 배경색상값과 알파 블렌딩(제1 연산)하면, 제1 연산 결과(2060)가 도출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레이어(2020)의 제2 발광색상값(즉, 하늘색)에 제2 투명도(10%)를 적용하여 제1 연산 결과(5670)와 알파 블렌딩(제2 연산)하면, 제2 연산 결과, 즉 최종 발광 색상(2070)이 도출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중 어떤 레이어가 우선하느냐에 따라 발광장치(30)가 최종적으로 발광하는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데이터패킷(1500)에는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는 복수의 레이어 중 최상위층 레이어와 중간층 레이어의 순서를 변경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어의 순서는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이고, 제2 레이어가 중간층이고,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인 것을 기본 설정값으로 한다.
도 22a를 참조하면,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는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연출장면 번호별로 0또는 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한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0인 경우,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는 모든 발광장치(30)가 상기 기본 설정값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한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1인 경우,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는 모든 발광장치(30)가 상기 기본 설정값과는 다르게, 제2 레이어를 최상위층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레이어를 중간층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의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와 제1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는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연출장면 번호별로 각 분류에 할당된 변경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런 경우, 발광장치(30)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는 탑 레이어 변경 분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발광장치(30)는 자신의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변경값을 확인하여, 변경값에 따라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자신이 속한 분류에 할당된 변경값이 0인 발광장치(30)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설정값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자신이 속한 분류에 할당된 변경값이 1인 발광장치(30)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설정값과는 다르게, 제2 레이어를 최상위층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레이어를 중간층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의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와 제1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기본 설정값에 따라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인 경우,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연출장면 번호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기본 설정값이 제2 레이어가 최상위층인 것으로 설정된 경우,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의 제2 연출장면 번호에 대해 탑 레이어 변경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모든 발광장치(30)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또는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각각의 발광장치(30)가 속한 분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각 발광장치(30)가 자신의 최종 발광 색상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편의상 발광장치가 4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제는 공연장에 존재하는 수 만개의 발광장치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가 특정 공연연출 구간을 위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4개의 발광장치(30)에 전송하면, 4개의 발광장치(30)는 수신된 데이터패킷과 자신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을 위한)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발광장치 A의 제1 연출장면 번호 1번에 대한 제1 발광색상값은 “빨강”이고, 제1 마스킹값은 0이고, 제1 투명값은 25%이고, 제2 연출장면 번호 4번에 대한 제2 발광색상값은 “하늘”이고, 제2 마스킹값은 1이고, 제2 투명도값은 10%으로 확인될 수 있다.
발광장치 B의 제1 연출장면 번호 1번에 대한 제1 발광색상값은 “노랑”이고, 제1 마스킹값은 0이고, 제1 투명값은 15%이고, 제2 연출장면 번호 4번에 대한 제2 발광색상값은 “파랑”이고, 제2 마스킹값은 0이고, 제2 투명도값은 15%으로 확인될 수 있다.
발광장치 C의 제1 연출장면 번호 1번에 대한 제1 발광색상값은 “노랑”이고, 제1 마스킹값은 1이고, 제1 투명값은 50%이고, 제2 연출장면 번호 4번에 대한 제2 발광색상값은 “초록”이고, 제2 마스킹값은 0이고, 제2 투명도값은 30%으로 확인될 수 있다.
발광장치 D의 제1 연출장면 번호 1번에 대한 제1 발광색상값은 “빨강”이고, 제1 마스킹값은 0이고, 제1 투명값은 70%이고, 제2 연출장면 번호 4번에 대한 제2 발광색상값은 “보라”이고, 제2 마스킹값은 0이고, 제2 투명도값은 15%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편의상 발광색상값을 “빨강”, “노랑”, “하늘”, “파랑”, “초록” 및 “보라”로 도시하였지만, 해당 값들은 RGB 등에 기반한 색상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강”은 (255, 0,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먼저, 도 22a와 같이,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모든 발광장치(30)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때, 변경값이 0인 경우, 4개의 발광장치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기본 설정값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A의 제1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010)가 중간층인 제2 레이어(202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와 제3 레이어(20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0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의 제2 발광색상값(하늘)에 제2 투명도값인 1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0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0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2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A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11)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4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B의 제1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110)가 중간층인 제2 레이어(212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120)와 제3 레이어(21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1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120)의 제2 발광색상값(파랑)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1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1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12)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4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C의 제1 마스킹값은 1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210)가 중간층인 제2 레이어(2220)보다 우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와 제3 레이어(22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2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5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2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220)의 제2 발광색상값(초록)에 제2 투명도값인 30%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C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13)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4d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D의 제1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310)가 중간층인 제2 레이어(232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320)와 제3 레이어(23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3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320)의 제2 발광색상값(보라)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3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3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70%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D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14)으로 발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a와 같이,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모든 발광장치(30)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때, 변경값이 1인 경우, 4개의 발광장치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기본 설정값과는 다르게, 제2 레이어를 최상위층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레이어를 중간층으로 변경하여,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의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와 제1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A의 제2 마스킹값은 1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0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010)보다 우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와 제3 레이어(20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0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의 제2 발광색상값(하늘)에 제2 투명도값인 1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0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0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2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A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21)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6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B의 제2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1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11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110)와 제3 레이어(21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1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1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1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120)의 제2 발광색상값(파랑)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B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22)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6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C의 제2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2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21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와 제3 레이어(22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2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5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2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220)의 제2 발광색상값(초록)에 제2 투명도값인 30%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C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23)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6d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D의 제2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3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31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310)와 제3 레이어(23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3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3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7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3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320)의 제2 발광색상값(보라)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D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24)으로 발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3과 같이, 탑 레이어 변경정보(1540)가 각각의 발광장치(30)가 속한 분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적용될 때, 발광장치 A와 발광장치 D의 변경값은 0이고, 발광장치 B와 발광장치 C의 변경값은 1인 경우, 발광장치 A와 발광장치 D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기본 설정값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의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발광장치 B와 발광장치 C는 제1 연출장면의 1번에 대해서 기본 설정값과는 다르게, 제2 레이어를 최상위층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레이어를 중간층으로 변경하여,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의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와 제1 레이어 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8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A의 제1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010)가 제2 레이어(202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와 제3 레이어(20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0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020)의 제2 발광색상값(하늘)에 제2 투명도값인 1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0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0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2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A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31)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8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B의 제2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1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11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110)와 제3 레이어(21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1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1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1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120)의 제2 발광색상값(파랑)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B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32)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8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C의 제2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2220)가 중간층인 제1 레이어(221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와 제3 레이어(22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2 레이어(222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1 레이어(2210)의 제1 발광색상값(노랑)에 제1 투명도값인 50%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2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2 레이어(2220)의 제2 발광색상값(초록)에 제2 투명도값인 30%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C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33)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28d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 D의 제1 마스킹값은 0이므로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2310)가 중간층인 제2 레이어(2320)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320)와 제3 레이어(2330) 간 수행되고, 제2 연산은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2310) 간 수행될 수 있다.
제1 연산은 제2 레이어(2320)의 제2 발광색상값(보라)에 제2 투명도값인 15%를 적용하여 제3 레이어(2330)의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제2 연산은 제1 레이어(2310)의 제1 발광색상값(빨강)에 제1 투명도값인 70%를 적용하여 상기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장치 D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최종 발광 색상(2534)으로 발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이고, 제2 레이어가 중간층이고,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인 경우를 기본 설정 순서로 했을 때, 최상위층인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연출장면의 번호별로 탑 레이어 변경 정보가 전체 발광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각각의 발광장치에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각 발광장치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최종 발광 색상으로 발광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레이어가 최상위층이고, 제1 레이어가 중간층이고,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인 경우를 기본 설정 순서로 했을 때에는, 최상위층인 제2 레이어에 대한 제2 연출장면의 번호별로 탑 레이어 변경 정보가 전체 발광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각각의 발광장치에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각 발광장치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고 최종 발광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기본 설정값, 탑 레이어 변경값(전체 적용 또는 개별 적용), 레이어의 개수, 각 레이어 별 마스킹값, 투명도값 등 다양한 경우에 따라 각각의 발광장치(30)가 최종적으로 발광하는 색상이 다양하게 표현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공연장에 존재하는 전체 발광장치(30)를 이용하여 공연장면을 연출할 때 보다 섬세하고 다양한 장면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최상위층인 레이어의 마스킹값을 이용하여 최상위층 레이어와 중간층 레이어의 우선순위만 판단하고, 우선순위 판단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제1 연산 및 제2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최상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과 중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을 전부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레이어가 최상위층이고, 제2 레이어가 중간층이고, 제3 레이어가 최하위층인 것을 기본 설정값으로 하여 최상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과 중간층 레이어의 마스킹값을 전부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콘솔장치(10)의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레이어 각각에 대한 연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110). 단계 S1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다.
발광장치(30)의 제2 프로세서(340)는 제2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제어콘솔장치(10)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1500)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1500)에 포함된 상기 연출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부(33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S1420].
이하에서 단계 S120에 대해서 설명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광장치(30) 각각은 제2 레이어의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연산을 수행하고, 이후 제1 연산 결과와 제1 레이어의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연산을 수행하고, 제2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 발광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장치(30) 각각은 제1 연산 수행시, 상기 제2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2 레이어와 제3 레이어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순위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투명도값을 이용한 알파블렌딩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 판단 결과, 제2 레이어가 제3 레이어보다 우선되는 경우(제2 레이어가 제3 레이어를 마스킹하는 경우), 제2 투명도값을 제2 발광색상값에 적용하여 배경색상값(검정)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우선순위 판단 결과, 제2 레이어가 제3 레이어보다 우선되지 않는 경우(제2 레이어가 제3 레이어를 마스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투명도값을 이용한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발광장치(30) 각각은 제2 연산 수행시, 상기 제1 마스킹값에 기초하여 제1 레이어와 상기 제1 연산 결과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순위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투명도값을 이용한 알파블렌딩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산 결과는 제2 투명도값이 적용된 제2 발광색상값과 배경색상값이 알파 블렌딩된 색상값이 적용된 제2 레이어일 수도 있고, 또는 알파 블렌딩되지 않은 제2 발광색상값이 그대로 적용된 제2 레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 판단 결과, 제1 레이어가 제1 연산 결과보다 우선되는 경우(제1 레이어가 제1 연산 결과를 마스킹하는 경우), 제1 투명도값을 제1 발광색상값에 적용하여 제1 연산 결과와 알파 블렌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우선순위 판단 결과, 제1 레이어가 제1 연산 결과보다 우선되지 않는 경우(제1 레이어가 제1 연산 결과를 마스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투명도값을 이용한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장치(30) 각각은 이렇게 다양한 경우에 따른 제2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마스킹값을 이용하여 두 번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각 판단 결과에 따라 알파 블렌딩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각 발광장치(30)가 더욱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연출장면과 관련된 모든 정보는 집합단위로 제어콘솔장치(10)에서 관리 또는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의 제어를 위해 복수의 장면을 하나의 집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그룹제어를 위한 제1 장면 내지 제3 장면을 제1 집합으로 제4 내지 제6 장면을 제2 집합으로 하여 발광제어 신호(데이터패킷)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콘솔장치(10)는 그룹제어를 위한 제1 장면, 제3 장면 및 제6 장면을 제1 집합으로 제2 장면, 제4 장면 및 제7 장면을 제2 집합으로 하여 발광제어 신호(데이터패킷)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가 장면의 집합 단위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현재 제어가 장면의 집합 단위로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 및 수행되는 장면의 집합을 표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장면과 관련된 집합 식별정보)를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장치(30)는 데이터패킷에 포함된 장면의 집합에 포함된 장면들의 발광정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장면의 집합 단위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하는 경우, 특정 집합 내의 장면들의 연출 순서, 연출 시간, 연출 속도 및/또는 부분 연출 장면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장면들의 집합 중 특정 집합 내의 장면들에서 연출의 시작 장면, 연출의 마지막 장면 및/또는 정/역순 재생 여부, 재생 후 정지, 재생 후 암전, 재생 후 사라짐, 재생 후 깜빡임 등을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가 연출 시간을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미리 저장된 장면 별 연출 시간에 기초하여 수신된 연출 시간과 대응되도록 장면 별 연출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장면 별 연출 시간이 1.5초이고, 수신된 연출 시간이 20초이며, 연출하고자 하는 장면의 집합이 총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경우, 발광장치(30)는 각 장면의 연출 시간을 2초로 변경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장면이 연출될 시간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1번 장면은 2초, 2번 장면은 3초, 5번 장면은 3초, 7번 장면은 3초 동안 연출하라는 시간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1번, 2번, 5번, 7번 장면을 제외한 나머지 장면들을 9초에 연출하기 위해 나머지 장면들의 각 장면 별 연출 시간을 0.5초로 변경하여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가 연출 속도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연출 속도는 FPS(frame per seco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frame은 장면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장치(30)는 수신되는 FPS에 따라 장면별로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콘솔장치(10) 연출하고자 하는 장면의 집합 중 특정 장면에 대한 연출 속도만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장면과 관련된 집합 정보는 제어관련 정보로써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기 정보확인 장치 또는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발광장치(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그룹 제어, 레이어 제어, 비트맵 제어는 모두 장면의 집합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 장면의 집합 단위는 제어 방식 별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제어, 레이어 제어 또는 비트맵 제어는 동일 또는 상이한 장면의 집합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제어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발광 장치(30) 및 비트맵 제어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발광 장치(30)는 모두 장면의 제1 집합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룹 제어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발광 장치(30)는 장면의 제1 집합에 따라 제어되고, 비트맵 제어 방식에 따라 제어되는 발광 장치(30)는 장면의 제2 집합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다양한 색상 좌표계에 기초하여 발광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발광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상 좌표계는 RGB, CIE XYZ, Lab, CIE 1931, CIE 1976, HSL/HSV, YUV 및 CMY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30)는 RGB 색상을 표현하는 LED 소자로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장치(30)로 하여금 발광 중인 색상을 변경하도록 색상 변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색상 변경 정보는 현재 제어콘솔장치(10)가 사용중인 특정 색상 좌표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콘솔장치(10)는 색상 변경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발광장치(30)의 특정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거나 모든 색상을 동일하게 시프팅 시킬 수도 있다.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색상 좌표계 변환 함수를 기초로 수신되는 색상 변경 정보와 대응되도록 발광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색상 좌표계간의 변환에 필요한 함수 정보는 정보로써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기 정보확인 장치 또는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발광장치(3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10)는 '255,0,0(빨강)'으로 전송되는 정보 또는 메모리(320)에 '255,0,0(빨강)'으로 저장되어 있는 모든 색상 정보를 CMYK 좌표계의 'C0%M81%Y15%K14%' (RGB 24비트 방식 HEX값 표현 #DB2ABA에 대응) 색상으로 변경하라는 색상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색상 좌표계 변환 함수에 기초하여 연산을 통해 상기 수신되는 색상 변경 정보와 대응되도록 발광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어콘솔장치(10)는 RGB 좌표계의 색상을 모두 CMYK 좌표계의 색상으로 변경하라는 색상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발광장치(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색상 좌표계 변환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되는 연산을 통해 색상 변경 정보와 대응되도록 발광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좌표계 변환시 생기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오차의 보정 방법 및 보정값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발광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콘솔장치(10)는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여 발광장치(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는 메모리(320)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255,0,0(빨강)'을 인덱스 1 및 '0,255,0(녹색)'를 인덱스 2 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공연장에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장면별로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만을 발광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는 티켓 확인 단계에서 상기 정보확인 장치 또는 관객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발광장치(30)의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연장의 상황에 따라 공연 기획 단계에서 예상하였던 보다 훨씬 적은 무선 대역폭만으로 발광장치(30)를 제어해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발광색 정보 자체(예를 들어, '255,0,0(빨강)')를 발광장치(30)에 전송하여 발광장치(30)의 발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콘솔장치(10)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발광색 정보 자체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콘솔장치(30)는 정확한 RGB 발광색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24비트를 전송해야 하지만 R, G, B 각각을 2비트 내지 7비트 중 하나의 비트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축 과정에서 유사한 발광색이 동일한 발광색으로 압축되어 전송될 수 있으므로, 특정 연출 장면에서 서로 다른 그룹, 세트(40) 또는 집합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제어의 경우 A형상을 나타내는 A그룹과 B형상을 나타내는 B그룹 간 경계가 불분명해짐으로써 공연장에 있는 사람들은 구분된 그룹에서 기인하는 연출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룹 제어 시 특정 연출 장면에서 서로 다른 일련의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임에도 불구하고 발광색을 압축함에 따라 상기 발광장치들은 동일한 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연출 장면과 동일한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일련의 연속된 그룹 중 동일한 색으로 발광되는 그룹 중 일부 그룹에 속하는 발광장치들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발광색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된 발광색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연속된 일련의 그룹인 A, B 및 C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이 동일한 색으로 발광되는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B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에 대하여는 압축되지 않은 발광색 정보를, C 그룹에 포함되는 발광장치들에 대하여는 색상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광색 정보 자체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비트맵 제어 및 레이어 제어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콘솔장치(10)는 서로 다른 집합 또는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들이 동일한 색으로 발광되는 경우, 상술한 그룹제어와 동일하게 일부 집합 또는 세트에 포함된 발광장치들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발광색 정보를 데이터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30, 34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공연에 대한 연출장면 별로 발광 동작을 위한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콘솔장치;
    상기 제어콘솔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발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발광장치; 및
    마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 각각은,
    기 저장된 상기 연출장면 각각에 대한 집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패킷 내의 제1 연출장면에 대한 제1 집합정보에 대응되는 제1 컬러로 발광하고,
    상기 제어콘솔장치는,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의 배치도 위에 동영상의 각각의 장면을 오버레이하여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가 위치하는 부분의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로 전송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패킷은,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일부 집합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 정보, 상기 제1 연출장면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정보를 포함하는 컬러팔레트 정보 및 상기 제1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일부 집합정보 각각에 대한 컬러의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일부 집합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콘솔장치는,
    공연장의 특정 구역에 위치하는 발광장치로 상기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에서 상기 제1 연출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발광장치의 발광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콘솔장치는,
    상기 특정 구역에서 제2 연출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발광장치의 발광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연출장면에 대응하는 데이터패킷은, 상기 제1 연출장면과 상이한 제2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출장면을 구성하는 상기 특정 구역에 대한 일부 집합정보는, 복수의 집합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집합정보 각각에 포함되어 픽셀로 정의되는 발광장치가 겹치지 않게 그룹핑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콘솔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는,
    상기 송출되는 발광제어 신호 중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는,
    범용 발광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와 관계없이, 수신되는 발광제어 신호 내의 데이터에 정의된 발광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는,
    상기 발광제어 신호에 연출 시간이 포함된 경우, 기 저장된 장면 별 연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제어 신호에 포함된 연출 시간과 대응되도록 장면 별 연출 시간을 변경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가 사용할 무선 대역폭을 리스트로 저장하고,
    특정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 정정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장치의 발광제어 신호를 식별하도록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로 대체하는,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KR1020240052866A 2021-03-11 2024-04-19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20240054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731 2021-03-11
KR1020210031731A KR20210035109A (ko) 2021-03-11 2021-03-11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0210034978A KR102660528B1 (ko) 2021-03-11 2021-03-18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78A Division KR102660528B1 (ko) 2021-03-11 2021-03-18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952A true KR20240054952A (ko) 2024-04-26

Family

ID=752381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31A KR20210035109A (ko) 2021-03-11 2021-03-11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0210034978A KR102660528B1 (ko) 2021-03-11 2021-03-18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0240052866A KR20240054952A (ko) 2021-03-11 2024-04-19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731A KR20210035109A (ko) 2021-03-11 2021-03-11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0210034978A KR102660528B1 (ko) 2021-03-11 2021-03-18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10035109A (ko)
WO (1) WO2022191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109A (ko) * 2021-03-11 2021-03-31 주식회사 팬라이트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530692B1 (ko) * 2021-09-14 2023-05-09 주식회사 팬라이트 마스킹 레이어를 이용해 연출 객체의 동적 효과를 유발하는 조명 효과 연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38A (ko) 2013-11-14 201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신호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822B2 (ja) * 2003-08-26 2007-10-10 日本無線株式会社 発光装置
KR20120019615A (ko) * 2010-08-26 2012-03-07 (주)티디엘 경관 조명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구조 및 이 프로토콜 구조를 이용한 경관 조명 제어시스템
JP5570438B2 (ja) * 2011-01-12 2014-08-13 京楽産業.株式会社 発光制御装置および発光制御システム
JP6854468B2 (ja) * 2017-02-23 2021-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074976B1 (ko) * 2018-02-02 2020-02-07 주식회사 팬라이트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1939627B1 (ko) * 2018-06-25 2019-01-17 주식회사 팬라이트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KR102224664B1 (ko) * 2020-02-13 2021-03-08 주식회사 비트로 복수의 무선 라이팅 디바이스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35104A (ko) * 2021-02-04 2021-03-31 주식회사 팬라이트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344604B1 (ko) * 2021-02-10 2021-12-29 주식회사 팬라이트 복수의 레이어를 이용한 공연 연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70520B1 (ko) * 2021-02-10 2022-03-04 주식회사 팬라이트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10035109A (ko) * 2021-03-11 2021-03-31 주식회사 팬라이트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38A (ko) 2013-11-14 201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신호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662A1 (ko) 2022-09-15
KR102660528B1 (ko) 2024-04-24
KR20210043511A (ko) 2021-04-21
KR20210035109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4952A (ko)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US20230209674A1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KR102370732B1 (ko)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102494125B1 (ko) 공연 장면 연출을 위한 비트맵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93612B1 (ko) 복수의 레이어를 이용한 공연 연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0893597B2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KR102247264B1 (ko) 공연연출시스템
JP2023545350A (ja) マスキングレイヤを用いて演出オブジェクトの動的効果を誘発する照明効果演出方法及び装置
JP2024026743A (ja) 複数のレイヤを用いた公演演出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7481442B2 (ja) 公演場面演出のためのビットマップ制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20200050448A (ko) 공연연출시스템
KR20200071711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KR102577977B1 (ko)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9754A (ko) 공연연출시스템
KR20230150248A (ko) 공연연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