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753A -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 Google Patents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753A
KR20240054753A KR1020220135088A KR20220135088A KR20240054753A KR 20240054753 A KR20240054753 A KR 20240054753A KR 1020220135088 A KR1020220135088 A KR 1020220135088A KR 20220135088 A KR20220135088 A KR 20220135088A KR 20240054753 A KR20240054753 A KR 2024005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ent
head unit
bed head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우제
Original Assignee
(주)유창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이앤씨 filed Critical (주)유창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13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753A/en
Publication of KR2024005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7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드 헤드 유닛의 전기 배선과 가스 배관 설치와 유지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한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wall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that is very easy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the electric wiring and gas piping of the bed head unit.

Description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본 발명은 건식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드 헤드 유닛의 전기 배선과 가스 배관 설치와 유지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한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wall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that is very easy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the electric wiring and gas piping of the bed head unit.

병원에서는 여러 의료가스를 일정 공간에 보관하고 중앙 집중 통제 방식에 의하여 배관 라인을 통해 각 병실로 공급하고 있다.In hospitals, various medical gases are stored in a certain space and supplied to each patient room through piping lines under centralized control.

병실로 공급된 가스는 개개의 환자에게 공급되어야 하고 밸브장치를 구비하여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환자의 침대 근처에는 가스터미널(gas terminal)이 설치되어야 한다.The gas supplied to the hospital room must be supplied to each patient and must be equipped with a valve devic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For this, a gas terminal must be installed near the patient's bed.

또한,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진공터미널(vacuum terminal)도 필요한데, 이는 환자의 타액을 흡입하는 목적 등으로 사용되고 이 또한 개개의 환자별로 조절이 가능하여야 한다.In addition, a vacuum terminal used for treatment purposes is also needed, which is used for the purpose of suctioning the patient's saliva, and this must also be adjustable for each patient.

병실은 환자의 치료 공간인 동시에 환자 및 간병인이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텔레비전, 라디오와 같은 편의 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환자의 침대 가까운 곳에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급상황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환자나 보호자가 급하게 의료진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도 요구된다.Since the hospital room is both a patient treatment space and a living space for patients and caregivers,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power supply near the patient's bed to enable the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televisions and radios.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a means for patients or guardians to quickly convey the emergency situation to medical staff is also required.

이와 같은 병실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이 분리되어 실치 된 경우에는 환자와 보호자의 불편이 유발되고, 의료행위의 효율성도 낮아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If the various devices needed in such a hospital room are separated and installed, it is inevitable that inconvenience will be caused to patients and guardians and the efficiency of medical treatment will be reduced.

예를 들어, 가스 터미널을 침대까지 끌어오기 위하여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고,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환자 가족이나 간병인이 의료진의 도움 없이는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긴급 상황에서의 대응이 늦추어지면 환자의 병세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For example, there is no choice but to endure the inconvenience of bringing the gas terminal to the bed, and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for the patient,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s family or caregivers to use the gas without the help of medical staff, which delays response in emergency situations. It can also have a fatal adverse effect on the patient's condition.

의료용 가스 종류에는 산소(산소부족 및 수술 전신마취 등 사용), 아산화질소(아산화질소 흡입 마취법 사용), 질소가스(수술기구 에어터빈, 에어드릴 등 동력원 사용), 압축공기(인공호흡기 구동용, 에어드릴 구동용 오물 제거 등 사용), 진공(오물 흡입이나 분비물 흡입제거 등에 사용) 등이 있다.Types of medical gases include oxygen (used for oxygen deficiency and surgical general anesthesia, etc.), nitrous oxide (used for nitrous oxide inhalation anesthesia), nitrogen gas (used as a power source for surgical equipment, air turbines, air drills, etc.), and compressed air (for driving artificial respirators, air). (used to remove dirt for driving a drill, etc.), vacuum (used to suction dirt or secretions, etc.), etc.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치료용 또는 편의용 시설이 하나의 공간에 집중되어 설치된다면 치료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고, 병실의 공간을 단순화시켜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꾀할 수 있다.Therefore, if various types of treatment or convenienc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installed in one space, treatment efficiency can be achieved and the patient's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achieved by simplifying the space of the hospital room.

베드 헤드 유닛(bed head unit)이란 상기의 목적으로 개발된 장비로서, 도 1과 같이 병원이나 요양소의 침대 머리맡에 설치되고, 의료장비의 운용을 위한 전기 공급부 및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가스 공급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A bed head unit is equipment developed for the above purpose, and is installed at the bedside of a hospital or nursing home as shown in Figure 1, and includes an electric supply unit for operating medical equipment and a gas supply unit used for treatment purposes. It is equipped with

상기와 같은 베드 헤드 유닛(20)은 건축물 시공 시 건식 벽체에 각종 전기 배선 및 가스 배관을 매립하고, 단부에 베드 헤드 유닛(20)을 설치하여 벽체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을 구성한다.In the bed head unit 20 as described above, various electric wiring and gas pipes are buried in a dry wall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bed head unit 20 is installed at the end to form a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그런데 베드 헤드 유닛의 전기 배선 및 가스 배관 추가 설치나 유지 및 보수가 매우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ed head unit's electrical wiring and gas pipes are very inconvenient or impossible.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2105호, "엘이디 조명부가 형성된 베드헤드 유닛“Document 1.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52105, “Bedhead unit with LED lighting unit”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377129호, "컨테이너를 이용한 병원시설물"Document 2.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77129, “Hospital Facilities Using Containers”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1672044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Document 3.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672044, “Modular booth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 배선과 가스 배관을 설치하거나, 유지 및 보수하기가 매우 간편한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that is very easy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electric wiring and gas pip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는 웹(111)과, 상기 웹(111)의 상, 하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플랜지(112) 및 제2 플랜지(115)와, 상기 제1,2 플랜지(112, 115) 사이에서 개방된 점검구(117)와, 상기 제2 플랜지(115)에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관통구(113)가 형성된 상부 런너 Assy.(100); 상기 점검구(117)을 개폐하는 커버(165); 바닥에 체결되는 하부 런너(150); 및 상단은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에 체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런너(150)에 체결되는 수직의 스터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의 내부에 설치된 배관(30) 및 전선이 관통구(113)를 통해 스터드(140) 내부로 분기, 유입되어 벽체에 설치된 베드 헤드 유닛(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y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111, a first flange 112 and a second flange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11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 115), an inspection hole 117 ope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2 and 115, and a through hole 113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second flange 115. ( 100); A cover 165 that opens and closes the inspection hole 117; Lower runner 150 fastened to the floor; And a vertical stud 140, the upp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runner Assy. (100), and the lower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runner 150, so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runner Assy. (100) The installed pipes 30 and wires branch and flow into the stud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are connected to the bed head unit 20 installed on the wall.

이때, 상기 제2 플랜지(115)의 양측단이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1 플랜지(122) 및 제2 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스터드(140)가 상기 제1,2 플랜지(112, 123)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flange 122 and the second flange 123 ar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econd flange 115 are bent and extended downward, and the stud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2. , 123).

또한,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1 절곡부(114)가 형성되고, 상게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2 절곡부(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114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ange 112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and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formed in the shape in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bent and extended upward. 116) is characterized in that it was formed.

이때, 상기 제1 절곡부(114)에는 석고 보드(164) 및 커버(165)를 고정하는 지지구(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bent portion 114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130 for fixing the gypsum board 164 and the cover 165 is formed.

또한, 상기 지지구(130)는, 제1 절곡부(114)에서 돌출된 연장편(131)과, 상기 연장편(131)이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체결편(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iece 131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114, and a fastening piece 132 whose end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Do this.

또한, 상기 지지구(130)와 천정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구를 가리는 라운드 바(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ound bar 170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ceiling to cover the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라운드 바(170)는, 수평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구(130)와 천정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 밀착편(171)과, 상기 상부 밀착편(171)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어 지지구(130)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편(1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ound bar 170 has an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nd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ceiling, and protrude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to form a support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lower contact piece 17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130).

그리고 상기 상부 런너 Assy.(100)는, 수직의 웹(111)의 상, 하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플랜지(112) 및 제2 플랜지(115)와,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된 제1 절곡부(114)와, 상기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된 제2 절곡부(116)와, 상기 제1,2 절곡부(114, 116) 사이에 형성된 점검구(117)와, 상기 제2 플랜지(115)에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관통구(113)로 구성된 설비 프레임(110); 상기 관통구(113)와 대응되는 위치로 수평의 웹(121)에 천공된 관통구(124)와, 상기 웹(121)의 양 측단이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된 제1,2 플랜지(122, 123)로 구성되어 웹(121)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제2 플랜지(115)에 체결되는 상부 런너(120); 수평의 연장편(131)과, 상기 연장편(131)의 양 측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체결편(132, 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편(133)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제1 절곡부(114)에 체결되는 지지구(130);로 구성되고, 이들이 별도로 제작된 후 체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nd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flange 112 and a second flange 115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web 11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and an end of the first flange 112. Between a first bent portion 114 that is bent downwardly and extended, a second bent portion 116 whos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bent upwardly and extended, 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114 and 116 An equipment frame 110 consisting of an inspection hole 117 formed in and through holes 113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second flange 115; A through hole 124 is drilled in the horizontal web 1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3, and first and second flanges 122 and 123 have both side ends of the web 121 bent and extended downward, respectively. ) and the web 121 is fastened to the second flange 115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120); I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extension piece 131 and fastening pieces 132 and 133 where both side ends of the extension piece 13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piece 133 is the first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It consists of a support 130 fastened to the bent portion 114, and these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fastened together.

이때, 상기 제1 플랜지(112)에는 소정 간격마다 관통구(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flange 1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holes 11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는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벽체 손상 없이 유지와 보수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dry wall structure for the bed hea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very simple to construct, and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without damaging the wall.

도 1은 병실에 설치된 벽체와 베드 헤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런너 Assy.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런너 Assy.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벽체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런너 Assy.와 스터드를 통해 가스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9, 도 11은 본 발명의 건식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라운드 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 런너 Assy.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and a bed head unit installed in a hospital roo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runner assembl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upper runner Ass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ame structure of a dry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s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runner assembly and stu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9 and Figure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dry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und ba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runne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ssuming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one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patent claims, this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sisting of only that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include mor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Terms such as “upper”, “lower”, “bottom”, “front”, “rear”, “bottom”,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refer to the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Refers to orientation.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벽체(10) 구조는 상부 런너 Assy.(100), 스터드(140) 및 하부 런너(150)로 구성된 프레임과, 내부에 삽입되는 단열재(161)와, 석고 보드(162) 및 마감 패널(163)로 구성된다.The drywall 10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composed of an upper runner assembly 100, a stud 140, and a lower runner 150, an insulation material 161 inserted therein, a gypsum board 162, and It consists of a finishing panel 163.

본 발명의 상부 런너 Assy.(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의 웹(111)과, 상기 웹(111)의 상, 하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2 플랜지(112, 115)와,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된 제1 절곡부(114)와, 상기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된 제2 절곡부(11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web (111) and first and second bends extending forward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web (111), respectively. Flanges 112 and 115, a first bent portion 114 where the end of the first flange 112 is bent downward and extended, and a second bent portion where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bent upward and extended ( 116).

상기 제1 플랜지(112) 및 제2 플랜지(115)에는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구멍 형태로 관통구(113)가 형성된다.Through-holes 113 are formed in the first flange 112 and the second flange 115 in the form of perforated hol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관통구(113)는 스터드(140)와 접하는 제2 플랜지(115)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The through hole 113 may be formed only in the second flange 11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ud 140.

그리고 상기 웹(111)과 제2 절곡부(116)가 각각 하향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22)와 제2 플랜지(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절곡부(114)의 전면에는 연장편(131)이 돌출되고, 상기 연장편(131)에는 수직의 체결편(132)이 형성된다.Then, the web 11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16 extend downward, respectively, to form a first flange 122 and a second flange 123. An extension piece 131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bent portion 114, and a vertical fastening piece 132 is formed on the extension piece 131.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런너 Assy.(100)는 웹(111) 하단이 절곡 연장된 제2 플랜지(115)를 기준으로 그 상부는 설비 프레임(110) 역할을 하고, 그 하부는 상부 런너(120) 역할을 한다.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configured as above is based on the second flange (115) of which the lower end of the web (111) is bent and extended, and its upper part serves as an equipment frame (110), and its lower part serves as an upper runner (120). It plays a role.

본 발명의 건식 벽체(10)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상부 런너 Assy.(100)가 천정에 체결되고, 단면이 '└┘' 형태인 하부 런너(150)가 바닥에 체결되며, 단면이 'ㄷ' 형태인 수직의 스터드(140)가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와 하부 런너(150) 사이에 체결된다.In the dry wal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above-described upper runner assembly 100 is fastened to the ceiling, and the lower runner 150, whose cross-section is in the shape of '└┘', is fastened to the floor, and the cross-section is A vertical stud 140 in the shape of 'ㄷ' is fastened between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lower runner 150.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벽체 구조 시공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The drywall 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과 같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제1 플랜지(112)를 천정(1)에 밀착 체결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런너 Assy.(100)와 대응하는 위치로 바닥에 하부 런너(150)를 체결한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first flange 112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is tightly fastened to the ceiling 1,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part is placed on the flo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Fasten the runner (150).

그리고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의 하부에 위치한 상부 런너(120)와 바닥에 체결된 하부 런너(150)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수직의 스터드(140)를 체결하여 건식 벽체 구조의 프레임을 시공한다.Then, vertical studs 140 are faste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upper runner 12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lower runner 150 fastened to the floor to construct a dry wall structure frame. .

이때, 스터드(140)의 상단은 상부 런너 Assy.(100)의 제2 플랜지(115)에 형성된 관통구(113)와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부 런너 Assy.(100)의 내부 공간과 스터드(14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tud 140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113 formed in the second flange 115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stud 140 )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communicates.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부 런너 Assy.(100)와 스터드(140)에 배관(30) 및 각종 전선을 설치한다.And, as shown in FIG. 5, the pipe 30 and various wir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stud 140.

도 5와 같이 상부 런너 Assy.(100)의 개방된 점검구(117)에 수평의 가스 배관(30)이나 전선 배관(30) - 전선은 배관 없이 시공할 수도 있다 - 을 삽입하고, 소켓을 이용하여 배관을 분기하여 스터드(140) 내부로 수직의 배관(30)을 설치한다.As shown in Figure 5, insert the horizontal gas pipe 30 or the wire pipe 30 - the wire can also be installed without the pipe - into the open inspection hole 117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use the socket. Branch the pipe and install a vertical pipe (30) inside the stud (140).

건식 벽체 프레임의 여러 스터드(140) 중에서 베드 헤드 유닛이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스터드(140)에만 배관(30)을 분기하여 배관과 전선을 유입시킨다.Among the several studs 140 of the drywall frame, the pipe 30 is branched only to the stud 14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bed head unit is installed, and the pipe and wire are introduced.

도 5와 같이 상부 런너 Assy.(100)와 스터드(140)의 내부에 배관(30) 및 전선을 삽입한 후에 도 7과 같이 스터드(140)와 스터드(140) 사이에 단열재(161)를 삽입한다.After inserting the pipe 30 and the wire into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stud 140 as shown in FIG. 5, the insulation material 161 is inserted between the stud 140 and the stud 140 as shown in FIG. 7. do.

스터드(140)와 스터드(140) 사이에 단열재(161)를 삽입한 후에 도 8과 같이 건식 벽체 프레임의 외측에 석고 보드(162)와 마감 패널(163)을 체결한다. 상기 석고 보드(152)와 마감 패널(163)은 스터드(140)에 피스로 체결하여 고정한다.After inserting the insulation material 161 between the studs 140 and the studs 140, the gypsum board 162 and the finishing panel 163 are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drywall frame as shown in FIG. 8. The gypsum board 152 and the finishing panel 163 are fixed to the studs 140 with pieces.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부 런너 Assy.(100)에도 석고 보드(164)와 커버(165)를 체결한다.And as shown in FIG. 9, the gypsum board 164 and cover 165 are fastened to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상부 런너 Assy.(100)의 석고 보드(164)와 커버(165) 하부는 상부 런너 Assy.(100)의 제2 절곡부(116) 또는 제1 플랜지(122)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고, 석고 보드(164)와 커버(165)의 상부는 제1 절곡부(114)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지지구(130)의 연장편(131)에 접하도록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 고정한다.The lower part of the gypsum board 164 and cover 165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is fixed by piece fastening to the second bent portion 116 or the first flange 122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plaster The upper portions of the board 164 and the cover 165 are fixed to the first bent portion 114 by fastening them with pieces, or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so as to contact the extension piece 131 of the support member 130.

벽체 프레임에 석고 보드와 마감 패널을 체결하면 벽체 상단에 지지구(130)의 체결편(132)이 노출되는데, 이곳에 라운드 바(170)를 체결하여 심미감을 높이도록 한다.When the gypsum board and the finishing panel are fastened to the wall frame, the fastening piece 132 of the support member 130 is exposed at the top of the wall, and the round bar 170 is fastened to this place to enhance aesthetics.

라운드 바(1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상부 밀착편(171)과, 상기 상부 밀착편(171)에서 하단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하부 밀착편(17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round bar 17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upper contact piece 171 and a plate-shaped lower contact piece 17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ntact piece 171.

도 11과 같이 라운드 바(170)의 상부 밀착편(171)의 후단을 상부 런너 Assy.(100)의 체결편(132)과 천정 사이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하고, 하부 밀착편(172)이 체결편(132)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건식 벽체가 시공된다.As shown in Figure 11, the rear end of the upper contact piece 171 of the round bar 170 is inserted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fastening piece 132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ceiling, and the lower contact piece 172 is The dry wall is constructed by bring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piece 13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라운드 바(170)의 상부 밀착편(171)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체결편(132)과 천정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부 밀착편(171)의 하부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체결편(132)의 상단에 걸려 라운드 바(170)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of the round bar 17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erted and fastened between the fastening piece 132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ceiling, but the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 and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hang on the top of the fastening piece 132 to fix the round bar 170.

그리고 베드 헤드 유닛(20)이 설치된 지점의 마감 패널(163)과 석고 보드(162)를 천공하여 베드 헤드 유닛(20)을 설치하고, 스터드(140)를 따라 상부 런너 Assy.(100)으로부터 수직으로 분기된 가스 배관(30)과 여러 전선을 베드 헤드 유닛(20)과 체결한다.Then, the bed head unit 20 is installed by perforating the finishing panel 163 and the gypsum board 162 at the point where the bed head unit 20 is installed, and vertically from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long the stud 140. Connect the branched gas pipe 30 and several wires to the bed head unit 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식 벽체 구조는 벽체에 가스 배관과 전선을 설치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사용 중에 전선이나 배관을 추가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를 할 때는 벽체를 해체할 필요 없이 벽체 상단의 커버(165)와 석고 보드(164)를 열고 - 상기 석고 보드(164)는 필요에 따라 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 배관이나 전선을 추가 시공하거나, 점검 및 수리 등의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dry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kes it very easy to install gas pipes and wires on the wall.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dditional wires or pipes or performing maintenance during use, open the cover 165 and the gypsum board 164 at the top of the wall without the need to dismantle the wall - and the gypsum board 164 can be constructed as needed. It may not be possible - Maintenance such as additional construction of pipes or wires, inspection and repair, etc. can be easily performed.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성된 상부 런너 Assy.(100)는 압출 성형하거나, 얇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도 12와 같이 설비 프레임(110), 상부 런너(120) 및 지지구(130)로 각각 제작한 후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configured as shown in FIGS. 2 and 3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or bending a thin metal plate, but as shown in FIG. 12, the equipment frame 110, upper runner 120, and support 130 are used. They can also be manufactured individually and then fastened for use.

도 12와 같이 설비 프레임(110)은 웹(111)의 상, 하단이 각각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제1, 2 플랜지(112, 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제1 절곡부(114)가 형성되며,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되어 제2 절곡부(116)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2, the equipment frame 11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langes 112 and 115,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111 are bent and extended forward, respectively, and the ends of the first flanges 112 are downwardly inclined. The first bent portion 114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nd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bent and extended upward to form the second bent portion 116.

상부 런너(120)는 웹(121)의 양 측단이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되어 제1 플랜지(122)와 제2 플랜지(1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웹(121)에는 설비 프레임(110)의 관통구(113)에 해당하는 위치에 관통구(124)가 형성된다.The upper runner 120 has both side ends of the web 121 bent downwardly and extended to form a first flange 122 and a second flange 123. At this time, a through hole 124 is formed in the web 1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3 of the facility frame 110.

상기 상부 런너(120)의 웹(121)은 설비 프레임(110)의 제2 플랜지(115)에 체결된다.The web 121 of the upper runner 120 is fastened to the second flange 115 of the equipment frame 110.

지지구(130)는 판 형태의 연장편(131)의 일측이 하향 절곡 연장되어 체결편(133)이 형성되고, 연장편(131)의 타측이 상향 절곡 연장되어 다른 체결편(132)기 형성된다.In the support tool 130, one side of the plate-shaped extension piece 131 is bent downward and extended to form a fastening piece 133,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iece 131 is bent upward and extended to form another fastening piece 132. do.

지지구(130)의 체결편(133)이 설비 프레임(110)의 제1 절곡부(114)에 체결됨으로써, 상부 런너 Assy.(100)가 구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may be form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piece 133 of the support tool 130 to the first bent portion 114 of the equipment frame 110.

상기와 같이 설비 프레임(110), 상부 런너(120) 및 지지구(130)를 각각 별도 제작하고, 이들을 체결하여 상부 런너 Assy.(100)를 구성할 때 설비 프레임(110)의 제1 플랜지(112)에도 관통구(1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quipment frame 110, upper runner 120, and support 130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fastened to form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the first flange of the equipment frame 110 ( It is desirable to form a through hole 113 in 112).

도 12의 설비 프레임(110)은 상, 하 대칭 구조이므로 뒤집어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방향성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Since the equipment frame 110 in Figure 12 has a top-bottom symmetrical structure, it can be constructed even if turned over, allowing for simple construction without directionalit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벽체의 일 측면에만 석고 보드, 마감 패널 및 커버를 체결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는 벽면에 밀착하여 건식 벽체를 시공할 때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 것이고, 실내를 분할하는 건식 벽체를 시공할 때는 벽체의 양 측면에 석고 보드, 마감 패널 및 커버를 체결한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ypsum board, finishing panel, and cover are shown to be fastened to only one side of the wall. This explanation assumes that the dry wall is being construc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When constructing the dry wall that divides the room, gypsum board, finishing panels, and covers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wall.

조립식 건축물 시공 방법으로 모듈러를 조립 시공하여 여러 형태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모듈러 건축 방식이 이동형 병원에 사용되고 있다.A method of constructing various types of buildings by assembling modular structures is widely used as a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Recently, this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s being used in mobile hospitals.

이러한 이동형 병원의 시설 규모에 맞도록 가스배관 및 전선을 설치 운용하는데 본 발명의 건식 벽체 구조가 시공, 유지 및 점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dry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useful for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installing and operating gas pipes and wires to suit the facility size of such a mobile hospital.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shown or explain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f-evident, and still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 : 천정
10 : 건식 벽체
20 : 베드 헤드 유닛(BHU)
30 : 배관
100 : 상부 런너 Assy.
110 : 설비 프레임
111 : 웹
112 : 제1 플랜지
113 : 관통구
114 : 제1 절곡부
115 : 제2 플랜지
116 : 제2 절곡부
117 : 점검구
120 : 상부 런너
121 : 웹
122 : 제1 플랜지
123 : 제2 플랜지
124 : 관통구
130 : 지지구
131 : 연장편
132 : 체결편
133 : 체결편
140 : 스터드
150 : 하부 런너
161 : 단열재
162 : 석고 보드
163 : 마감 패널
164 : 석고 보드
165 : 커버
170 : 라운드 바
171 : 상부 밀착편
172 : 하부 밀착편
1: Ceiling
10: Drywall
20: Bed head unit (BHU)
30: Piping
100: Upper runner assembly.
110: Equipment frame
111: web
112: first flange
113: Through hole
114: first bending part
115: second flange
116: second bending part
117: Inspection port
120: upper runner
121: web
122: first flange
123: second flange
124: through hole
130: support district
131: Extension
132: fastening piece
133: Fastening piece
140: stud
150: lower runner
161: insulation material
162: Gypsum board
163: Finishing panel
164: Gypsum board
165: cover
170: round bar
171: Upper adhesion piece
172: Lower adhesion piece

Claims (9)

웹(111)과, 상기 웹(111)의 상, 하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플랜지(112) 및 제2 플랜지(115)와, 상기 제1,2 플랜지(112, 115) 사이에서 개방된 점검구(117)와, 상기 제2 플랜지(115)에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관통구(113)가 형성된 상부 런너 Assy.(100);
상기 점검구(117)을 개폐하는 커버(165);
바닥에 체결되는 하부 런너(150); 및
상단은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에 체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런너(150)에 체결되는 수직의 스터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런너 Assy.(100)의 내부에 설치된 배관(30) 및 전선이 관통구(113)를 통해 스터드(140) 내부로 분기, 유입되어 벽체에 설치된 베드 헤드 유닛(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 web 111, a first flange 112 and a second flange 115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eb 11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and an open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2 and 115. An upper runner assembly (100) having an inspection hole (117) and through holes (113)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second flange (115);
A cover 165 that opens and closes the inspection hole 117;
Lower runner 150 fastened to the floor; and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nd the lower end is a vertical stud (140) fastened to the lower runner (150),
The pipe 30 and the wire installed inside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re configured to branch and flow into the stud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connect to the bed head unit 20 installed on the wall. Features drywall construction for bed head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115)의 양측단이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1 플랜지(122) 및 제2 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스터드(140)가 상기 제1,2 플랜지(112, 123)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flange 122 and the second flange 123 ar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econd flange 115 are bent and extended downward, and the stud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2 and 123. ) Dry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1 절곡부(114)가 형성되고, 상게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된 형태로 제2 절곡부(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ent portion 114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the end of the first flange 112 downward,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16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upward. A dry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114)에는 석고 보드(164) 및 커버(165)를 고정하는 지지구(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3,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member 130 for fixing the gypsum board 164 and the cover 165 is formed in the first bent portion 1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30)는, 제1 절곡부(114)에서 돌출된 연장편(131)과, 상기 연장편(131)이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 연장된 체결편(1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clause 4,
The support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iece 131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114, and a fastening piece 132 whose end of the extension piece 131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Drywall construction for bed head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30)와 천정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구를 가리는 라운드 바(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clause 4,
A dry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ound bar (170)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ceiling to cover the support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바(170)는, 수평 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구(130)와 천정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 밀착편(171)과, 상기 상부 밀착편(171)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어 지지구(130)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편(1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clause 6,
The round bar 1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nd has an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ceiling, and a support member 130 that protrude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close contact piece 171. )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ower contact piece (172) in close contact with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런너 Assy.(100)는,
수직의 웹(111)의 상, 하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제1 플랜지(112) 및 제2 플랜지(115)와,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된 제1 절곡부(114)와, 상기 제2 플랜지(115)의 단부가 상향 절곡 연장된 제2 절곡부(116)와, 상기 제1,2 절곡부(114, 116) 사이에 형성된 점검구(117)와, 상기 제2 플랜지(115)에 소정 간격마다 천공된 관통구(113)로 구성된 설비 프레임(110);
상기 관통구(113)와 대응되는 위치로 수평의 웹(121)에 천공된 관통구(124)와, 상기 웹(121)의 양 측단이 각각 하향 절곡 연장된 제1,2 플랜지(122, 123)로 구성되어 웹(121)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제2 플랜지(115)에 체결되는 상부 런너(120);
수평의 연장편(131)과, 상기 연장편(131)의 양 측단이 각각 절곡 연장된 체결편(132, 133)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편(133)이 상부 런너 Assy.(100)의 제1 절곡부(114)에 체결되는 지지구(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runner Assy. (100),
A first flange 112 and a second flange 115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web 11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and a first bent portion 114 where the end of the first flange 112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 a second bent portion 116 at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115 is bent and extended upward, an inspection hole 117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114 and 116,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17. Equipment frame 110 consisting of through holes 113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lange 115;
A through hole 124 is drilled in the horizontal web 1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3, and first and second flanges 122 and 123 have both side ends of the web 121 bent and extended downward, respectively. ) and the web 121 is fastened to the second flange 115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120);
I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extension piece 131 and fastening pieces 132 and 133 where both side ends of the extension piece 131 are bent and extended,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piece 133 is the first of the upper runner assembly (100).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upport member (130) fastened to the bent portion (1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2)에는 소정 간격마다 관통구(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헤드 유닛용 건식 벽체 구조.
According to clause 8,
A dry wall structure for a bed head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holes 113 are formed in the first flange 1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KR1020220135088A 2022-10-19 2022-10-19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KR202400547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88A KR20240054753A (en) 2022-10-19 2022-10-19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88A KR20240054753A (en) 2022-10-19 2022-10-19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753A true KR20240054753A (en) 2024-04-26

Family

ID=9088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88A KR20240054753A (en) 2022-10-19 2022-10-19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75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105B1 (en) 2010-02-17 2012-06-01 주식회사엠엠에이코리아 Bed head unit with LED lamp unit
KR102377129B1 (en) 2021-02-23 2022-03-21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Hospital facilities us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105B1 (en) 2010-02-17 2012-06-01 주식회사엠엠에이코리아 Bed head unit with LED lamp unit
KR102377129B1 (en) 2021-02-23 2022-03-21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Hospital facilities us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452A (en) Device for attachment of ceiling-supended equipment
US4646211A (en) Service outlet wall and rail system for use thereon
ES2578786T3 (en) Prefabricated module for a building
US8955260B2 (en) Vertical cabinet door with flush front face
ES2605598T3 (en) Prefabricated panel for a building
US20110131900A1 (en) Multifunctional beam for sub-ceilings, sub-ceiling structure and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sub-ceiling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beam
US11408170B2 (en) Universal pre-fabricated operating room ceiling system
US9629769B2 (en) Support system for a lift motor unit
CN206707348U (en) A kind of intelligent integration fast-assembling operating room
WO1986007619A1 (en) Cleaning chamber device for movable partitions
KR20240054753A (en) Drywall structure for bed head unit
JP2010095899A (en) Indoor wiring structure and building
NL2029432B1 (en) Prefabricated medical wall and medical unit assembling method
CN214740264U (en) Assembled ward with wash basin
CN214740261U (en) Assembled medical ward
KR200190700Y1 (en) Multi-functional Mouldings For Interial of Building
CN215949071U (en) Steel construction building medical ward module
CN214884643U (en) Modular assembly type wall structure
CN215290928U (en) Suspended ceiling of patient unit
JPS6331425Y2 (en)
US20210100708A1 (en) Modular insert for a patient room
JP7202829B2 (en) Interior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interior wall structure
JP3062608B2 (en) Exterior unit with built-in equipment
JP3098821B2 (en) System ceiling
JP3123701B2 (en) Office structure